KR200201428Y1 - 선풍기의 좌우 선회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선풍기의 좌우 선회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428Y1
KR200201428Y1 KR2020000011343U KR20000011343U KR200201428Y1 KR 200201428 Y1 KR200201428 Y1 KR 200201428Y1 KR 2020000011343 U KR2020000011343 U KR 2020000011343U KR 20000011343 U KR20000011343 U KR 20000011343U KR 200201428 Y1 KR200201428 Y1 KR 2002014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gear
slider
connecting rod
gea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한
Original Assignee
김국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한 filed Critical 김국한
Priority to KR2020000011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4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4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팬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헤드부의 수평 회전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선풍기의 좌우 선회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드라이빙 기어에 힌지 결합되는 컨넥팅 로드의 일측 지지점의 위치를 가변시켜 필요에 따라 헤드부의 선회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헤드부(2)의 중심축(3)이 네크부(1)의 중심보스(4)에 끼워지고 구동기어(7)와 맞물려 회전하는 드라이빙 기어(8)의 중심축과 어긋난 지점과 네크부(1)사이에는 컨넥팅 로드(5)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선풍기에 있어서, 외주면에스퍼어 기어가 형성된 드라이빙 기어(8)의 저면에 공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저면에는 둘레면을 따라 베벨기어(9)가 형성된 조절놉(10)과, 상기 조절놉의 저면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드라이빙 기어와 고정되며 수평방향으로 기다란 가이드홈(13)이 형성된 바디(11)와,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게 설치되어 컨넥팅 로드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슬라이더(14)와, 상기 바디에 공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슬라이더에 나사 결합되고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는 둘레면에는 조절놉에 형성된 베벨기어(9)와 맞물리는 베벨기어(17)가 형성된 회전체(15)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선풍기의 좌우 선회각도 조절장치{.}
본 고안은 팬(Fan)의 회전에 따라 바람을 일으키는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좀 더 구체적으로는 팬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헤드부의 수평 회전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선풍기의 좌우 선회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네크부(1)에 헤드부(2)의 중심축(3)이 끼워지는 중심보스(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보스의 일측에는 컨넥팅로드(5)의 일측 힌지점역할을 하는 연결보스(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부(2)의 후방에 설치된 모터(도시는 생략함)의 구동축에 구동기어(7)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기어에는 구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드라이빙 기어(8)가 맞물려 있으며 상기 드라이빙 기어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지점과 연결보스(6)사이에는 구동기어의 회전운동을 헤드부(2)의 선회운동으로 절환하는 컨넥팅 로드(5)가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장치는 헤드부(2)와 네크부(1)사이에 설치된 컨넥팅 로드(5), 드라이빙 기어(8) 그리고 네크부(1)에 의해 하나의 4절 연쇄기구를이루게 되어 모터의 구동으로 구동기어가 회전하면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려 있는 드라이빙 기어(8)에 그 회전력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 드라이빙 기어(8)가 회전하면 상기 드라이빙 기어의 중심에 편심되게 컨넥팅 로드(5)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다른 일단은 중심보스(4)의 일측에 위치된 연결보스(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상기 컨넥팅 로드(5)에 당겨지거나, 미는 힘이 반복적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헤드부(2)가 설정된 각도(110°로 셋팅되어 있음)내에서 선회운동하게 된다.
즉, 컨넥팅 로드(5)의 일측에 연결된 네크부(1)는 선풍기 본체에 지지되어 있어 컨넥팅 로드(5)가 당겨지거나, 밀리는 동작을 할 때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컨넥팅 로드(5)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중심보스(4)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헤드부(2)에좌, 우 회전력이 전달되고, 이에 따라 헤드부(2)가 설정된 각도내에서 선회운동을하면서 바람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4절 연쇄기구를 형성하는 각 요소(중심보스, 연결보스, 드라이빙 기어의 중심축, 드라이빙 기어와 컨넥팅 로드의 연결점)간의 거리가 셋팅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헤드부의 선회각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풍향각도가 110°로 셋팅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70°범위내에서 송풍하고자 하더라도 풍향각도의 조절이 불가능하여 나머지 40°범위내에 불필요한 송풍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송풍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드라이빙 기어에 힌지 결합되는 컨넥팅 로드의 일측 지지점의 위치를 가변시켜 필요에따라 헤드부의 선회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종래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네크부 2 : 헤드부
3 : 중심축 5 : 컨넥팅 로드
7 : 구동기어 8 : 드라이빙 기어
9, 17 : 베벨기어 10 : 조절놉
11 : 바디 14 : 슬라이더
15 : 회전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헤드부의 중심축이 네크부의 중심보스에 끼워지고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드라이빙 기어의 중심축과 어긋난 지점과 네크부사이에는 컨넥팅 로드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선풍기에 있어서, 외주면에 스퍼어 기어가 형성된 드라이빙 기어의 저면에 공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저면에는 둘레면을 따라 베벨기어가 형성된 조절놉과, 상기 조절놉의 저면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드라이빙 기어와 고정되며 수평방향으로 기다란 가이드홈이형성된 바디와,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게 설치되어 컨넥팅 로드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바디에 공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슬라이더에 나사결합되고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는 둘레면에는 조절놉에 형성된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베벨기어가 형성된 회전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좌우 선회각도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저면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 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구동기어(7)와 맞물려 회전하는 드라이빙 기어(8)의 저면에 안착홈(8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드라이빙 기어의 안착홈(8a)에는 저면에 둘레면을 따라 베벨기어(9)가 형성된 조절놉(10)이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놉의저면에는 상기 조절놉(10)이 드라이빙 기어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공회전하도록 지지하는 바디(11)가 보울트(12)로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1)에 수평방향을 따라 기다란 가이드홈(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13)에는 컨넥팅 로드(5)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슬라이더(14)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14)에는 회전체(15)가 나사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슬라이더(14)에 나사 결합되는 회전체(15)는 바디(11)에 별도의 키이(16)로 지지되어 공회전하게 되어 있으며 바디(11)의 외부로 노출되는 둘레면에는 조절놉(10)에 형성된 베벨기어(9)와 맞물리는 베벨기어(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디(11)에 끼워지는 슬라이더(14)의 수평 이동이 원활하도록 가이드홈(13)의 양측면에 반구형상의 요입홈(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14)에는 상기 요입홈(18)에 끼워지는 돌기(19)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의 구동에 따라 헤드부(2)를 선회시키는 역할을 하는 컨넥팅 로드(5)의 일단이 연결보스(6)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다른 일단은 바디(11)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14)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팬이 회전하는 상태에서 선회모드를 설정하면 모터의 구동에 따라 구동기어(7)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린 드라이빙 기어(8)가 회전하게 되므로 슬라이더(14)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 컨넥팅 로드(5)의 운동범위내에서 헤드부(2)의 선회각도가 결정되어 선회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헤드부(2)의 선회각도를 가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선회모드에서 정지모드로 절환시킨 다음 외부로 노출된 조절놉(1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놉의 저면에 베벨기어(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벨기어에는 회전체(15)의 베벨기어(17)가 맞물려 있어 바디(11)에 설치된 회전체(15)가 반시계방향으로 공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바디(11)에서 공회전하는 회전체(15)는 키이(16)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동작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조절놉(10)의 회전으로 바디(11)에 설치된 회전체(15)가 공회전하면 상기 회전체에는 슬라이더(14)가 나사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체의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절환되어 슬라이더(14)에 전달되므로 컨넥팅 로드(5)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 슬라이더(14)가 가이드홈(13)을 따라 도 6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이동하여 컨넥팅 로드(5)의 궤적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헤드부(2)의 선회각도가 커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헤드부(2)의 선회각도를 줄이고자 할경우에는 조절놉(1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4)가 드라이빙 기어의 중심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컨넥팅 로드(5)의 궤적을 줄이게 되므로 헤드부(2)의 선회각도가 줄어 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절놉(1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홈(13)을 따라 수평 이동하는 슬라이더(14)의 위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정해진 범위(약 30-120° 범위)내에서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조절놉(10)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컨넥팅 로드(5)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슬라이더(14)의 위치가 임의의 위치로 가변되므로 헤드부(2)의 선회각도가 임의로 조절되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송풍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Claims (2)

  1. 헤드부의 중심축이 네크부의 중심보스에 끼워지고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드라이빙 기어의 중심축과 어긋난 지점과 네크부사이에는 컨넥팅 로드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선풍기에 있어서, 외주면에 스퍼어 기어가 형성된 드라이빙 기어의저면에 공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저면에는 둘레면을 따라 베벨기어가 형성된 조절놉과, 상기 조절놉의 저면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드라이빙 기어와 고정되며 수평방향으로 기다란 가이드홈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게 설치되어 컨넥팅 로드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바디에 공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슬라이더에 나사 결합되고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는 둘레면에는 조절놉에 형성된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베벨기어가 형성된 회전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선풍기의 좌우 선회각도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드홈의 양측면에 반구형상의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수평 이동하는 슬라이더에는 상기 요입홈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좌우 선회각도 조절장치.
KR2020000011343U 2000-04-20 2000-04-20 선풍기의 좌우 선회각도 조절장치 KR200201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343U KR200201428Y1 (ko) 2000-04-20 2000-04-20 선풍기의 좌우 선회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343U KR200201428Y1 (ko) 2000-04-20 2000-04-20 선풍기의 좌우 선회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428Y1 true KR200201428Y1 (ko) 2000-11-01

Family

ID=1965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343U KR200201428Y1 (ko) 2000-04-20 2000-04-20 선풍기의 좌우 선회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4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220A (ko) * 2014-09-23 2016-03-31 김형태 선풍기 해드부의 좌우회전각도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220A (ko) * 2014-09-23 2016-03-31 김형태 선풍기 해드부의 좌우회전각도 조절장치
KR101708346B1 (ko) * 2014-09-23 2017-02-27 김형태 선풍기 해드부의 좌우회전각도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8738A (en) Electric mirror angle adjusting device with pivoting cross-shaped member
JP3172658B2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KR200201428Y1 (ko) 선풍기의 좌우 선회각도 조절장치
JP2001062160A (ja) ラジコン送信機
JPH05338442A (ja) 終点位置の間で調節できる車両部材の駆動装置
KR200173243Y1 (ko) 선풍기의 좌우 선회각도 조절장치
KR10056435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모드도어 링크장치
US6386058B1 (en) Forward/backward steering control mechanism for a remote-controlled toy car
JPH06341395A (ja) 扇風機首振構造
JP3729639B2 (ja) 変速機付き駆動装置を備えたシャッター
KR920004552Y1 (ko) 선풍기의 좌, 우선회 조정장치
JP2500169B2 (ja) 風向調整装置
KR200142687Y1 (ko)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리미트 조절장치
KR200280256Y1 (ko) 차량용 송풍 조절장치
KR0122484Y1 (ko) 선풍기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KR970005780Y1 (ko) 선풍기의 풍향 조절장치
JPH02225932A (ja) 空調吹出口の羽根制御装置
JPS6296173A (ja) 電動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213787Y1 (ko) 유성기어를 이용한 리미트 조절장치
JP4077305B2 (ja) ミラー角度調整装置および電動ミラー装置
KR100468492B1 (ko) 차량용 조향 장치의 가변 랙 변위 장치
KR200201698Y1 (ko) 자동차후진경
JP3033112B2 (ja) 操作伝達装置
JP2003262255A (ja) 動力断続機構
KR930006513Y1 (ko) 차량용 실내후사경의 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