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320Y1 - 사무실용 바닥판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사무실용 바닥판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320Y1
KR200201320Y1 KR2020000016478U KR20000016478U KR200201320Y1 KR 200201320 Y1 KR200201320 Y1 KR 200201320Y1 KR 2020000016478 U KR2020000016478 U KR 2020000016478U KR 20000016478 U KR20000016478 U KR 20000016478U KR 200201320 Y1 KR200201320 Y1 KR 200201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re
bottom plate
offic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진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진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진보
Priority to KR2020000016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3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3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04F15/02417Floor panels made of box-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낮이조절이 가능한 다수개의 지지대(10)에 볼트체결이 용이하도록 상호 결합된 상, 하부판(110)(120)의 각 모서리에 홀(124)이 천공되고, 상기 하부판(120)에 형성된 상, 하부엠보싱(121)(121a)에 의해 압축강도를 보강하고, 상기 지지대(10)가 구비된 하부공간에 전선이 구비되도록 사무실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판(1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바닥판(100)은 상기 홀(124) 사이에 노칭으로 요부(125)가 최소한 하나이상 형성된 하부판(120)과;
상기 상부엠보싱(121)과 플랜지(122)에 접촉되는 부위는 용접으로 장착되고, 상기 요부(125)에 구비되도록 소정각도의 예각으로 절곡된 절곡부(111)를 형성하여 외부의 라운드면에 의해 전선의 단락을 방지하도록 하는 전선공(112)을 구비한 상부판(110)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라운드면을 갖는 전선공에 의해 전선의 단락을 방지하고, 바닥판의 분해작업이 용이하고, 각 사무실마다 복잡하게 구비된 전선을 자유롭게 배치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무실용 바닥판의 결합구조 { Combination Structure of Floor Board For Office }
본 고안은 사무실용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판에 다수개 형성된 절곡부에 의해 하부판을 구속하여 각 코너의 각이 맞게 장착되도록 지지되는 지그의 역할을 수행하여 스폿트 용접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고, 상기 절곡부가 4변에 각각 최소한 하나 이상 형성될 경우, 절곡된 플랜지부는 스폿트 용접을 시행하지 않아도 그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소정각도로 절곡된 전선공의 외부에 형성된 라운드부에 의해 전선의 단락을 방지하여 보호하도록 하는 사무실용 바닥판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용 바닥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공고번호 특 1996 - 0001442호로 '사무용 바닥재'가 개시된 바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호울(3)은 원형접속박스를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캡(6)을 씌워 놓게 된다. 이 캡(6)에는 홀(7)이 형성되어 원형접속박스 전체를 사용할 정도의 배선용량은 아니나 한 두 선로정도를 필요로 하게 되는 경우에는 캡(6)을 씌워 놓은 상태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전선이 지나도록 하는 캡의 재질이 통상적으로 P.V.C재질로 제작되어 홀의 모서리 날카로운 부위에 의해 전선이 단락될 경우 타면서 유독가스가 발생하고, 충격에 약해 파손될 경우 그 부위는 함몰되어 급기야 상부에 마감재인 러버 타일(Rubber Tile) 또는 카펫트등이 뚫어지는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케이블커버가 어느 한군데 장소에 구비됨으로 컴퓨터 또는 사무기기의 위치가 바뀔경우 전선이 노출되어 레이 아웃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사무기기의 수량이 증가할 경우 전선을 새롭게 배치하기 위해서 바닥판을 해체할 경우는 부득이 하게 진공패드(Vacumm Pad) 또는 리프터(Lifter)등의 공구를 사용해서 들어올림으로써 그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블 커버의 대용으로 전선이 지날 수 있도록 네변에 절곡으로 형성된 전선공을 최소한 하나이상 구비함으로 일반배선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선의 레이아웃 변경이 자유롭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바닥판과 같이 진공패드를 이용하는 불편함이 없이, 각 모서리의 피스볼트를 해체한 드라이버를 전선공에 삽입하여 들어 올리면 용이하게 해체가 가능하여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 하부판 장착 작업시 절곡된 플랜지에 의해 하부판의 네변을 고정하므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하여 셋팅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판 테두리 4변에 각각 하나이상의 절곡부를 절곡하여 상, 하부판의 테두리, 즉, 플랜지부는 용접을 시행하지 않아도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바닥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닥판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바닥판의 상부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절곡부의 절곡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의 가)와 나)는 도 3의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절곡으로 형성된 전선공의 절곡각도를 달리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닥판으로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일측에 상세도시한 것은 각 바닥에 구비된 다수개의 전선이 전선공을 통해 배치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대 100; 바닥판
110; 상부판 111;절곡부
112; 전선공 113;카운터 홀
114; 상부플랜지 115;평면부
120; 하부판 121; 상부엠보싱
121a; 하부엠보싱 122; 하부플랜지
124; 홀 125; 요부(凹部)
본 고안은 높낮이조절이 가능한 다수개의 지지대에 볼트체결이 용이하도록 상호 결합된 상, 하부판의 각 모서리에 홀이 천공되고, 상기 하부판에 형성된 상, 하부엠보싱에 의해 압축강도를 보강하고, 상기 지지대가 구비된 하부공간에 전선이 구비되도록 사무실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바닥판은 상기 홀 사이에 노칭으로 요부가 최소한 하나이상 형성된 하부판과;
상기 상부엠보싱과 플랜지에 접촉되는 부위는 용접으로 장착되고, 상기 요부에 구비되도록 소정각도의 예각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여 외부의 라운드면에 의해 전선의 단락을 방지하도록 하는 전선공을 구비한 상부판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닥판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바닥판의 상부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절곡부의 절곡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의 가)와 나)는 도 3의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절곡으로 형성된 전선공의 절곡각도를 달리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닥판으로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일측에 상세도시한 것은 각 바닥에 구비된 다수개의 전선이 전선공을 통해 배치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닥판(100)은 통상의 바닥판과 마찬가지로 하부판(120)과 상부판(110)으로 대별된다.
하부판(110)은 엠보싱(Embossing)의 凹凸이 이 형성되어 자체의 강도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편의상 상부로 향하여 상부판(110)과 용접으로 장착되도록 하는 부위를 상부엠보싱(121)으로 칭하고, 하부로 향하고 있는 부위를 하부엠보싱(121a)으로 칭한다.
또한, 상부엠보싱(121)과 같은 레벨의 각 4변에 하부플랜지(122)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의 하부플랜지(122)는 후술할 상부판(110과) 겹쳐서 장착됨으로써 그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고, 상기 4변으로 형성된 하부플랜지(122)의 중간에는 노칭(Notching)으로 따내어진 요부(125)가 형성되어 있다.(요부의 설명은 상부판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플랜지(122)의 각 모서리에는 홀(124)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판(120)에 형성된 홀(124)은 바닥판(100)의 시공시 지지대(10)와 결합하도록 하는 피스볼트의 체결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부판(110)은 각 모서리부위에 상기의 홀(124)과 대응하도록 하는 위치에 카운터 홀(Counter Hole)(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운터 홀(113)은 바닥판(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전선등이 구비되도록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지지대(10)에 고정되도록 하는 통상의 평머리 피스볼트(미도시)의 머리부분이 구비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판(100)의 시공이 완료된 후 상부에 러버 타일(Rubber Tile) 또는 카펫트등의 마감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의 피스볼트가 돌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판(120)의 각 4변 중심에 형성된 요부(125)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절곡부(111)가 90도로 절곡성형되어 하부판(120)의 하부플랜지(122)와 겹치도록 포개어지고, 중심측의 평면부(115)가 상기의 상부엠보싱(121)과 접촉되어 각 접촉된 부위에 스폿트용접(Spot Welding)을 시행할 때,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이 뒤틀어지지 않도록 하는 지그(Jig)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 하부판 (110)(120)의 상, 하부플랜지(114)(122)가 상호 정렬되지 않고 결합될 경우 바닥판 (100)의 시공작업시 상호 갭(Gap)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각각의 바닥판(100) 직각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 전체적인 정렬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위치에 스폿트 용접이 완료되면, 상기 90도로 절곡된 절곡부(111)의 플랜지를 측면에서 에어실린더(Air Cylinder)를 이용하여 90도 이상의 각도로 절곡하여 상, 하플랜지(114)(122)의 겹침을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의 절곡 각도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45도 또는 60도의 예각으로 에어실린더의 스트로크(Stroke)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하여 소망하는 각도로 변형하여 절곡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방법 이외에 바람직 하기로는 도 3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상부판(110)의 4변에 형성된 전선공(112)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상, 하부판(110)(120)의 접촉되는 면의 스폿트 용접이 완료되고, 각 4변에 하나 이상의 다수개 형성된 전선공(112)의 절곡부(111) 플랜지를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실린더를 이용하여 예각(銳角)으로 절곡하면 각 4변의 상, 하플랜지(114)(122) 접촉면에는 스폿트용접을 시행하지 않아도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스폿트용접을 시행한 후 절곡을 시행하는 방법도 있으나, 다른 방법으로는 4변에 다수개 형성된 절곡부(111)의 플랜지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부판(120)을 정렬시킨 후, 스폿트 용접을 시행하는 방법도 권장할 만하다. 그 이유로는 각 4변의 겹쳐진 상, 하부플랜지(114)(122)를 정렬한 후 중심부에 들뜨는 현상을 스폿트 용접으로 2차 작업을 시행하여 견고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이 완료된 바닥판(100)은 통상의 방법과 같이 내부에 경량 무수축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공명(空鳴)등의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작이 완료된 바닥판(100)은 각 모서리에 지지대(10)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대(10) 상부에 다수개 형성된 볼트 탭(Tap)에 맞춰서 각 바닥판(100)의 모서리에 형성된 카운터 홀(113)에 피스볼트를 체결하면 용이하게 시공은 완료되게 된다.
또한, 일측에 상세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공(112)의 사이로 전선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 형성된 전선공(112)에 의해 아무리 복잡한 환경의 사무실이라 하더라도 용이하게 배치가 가능하여 전기기기의 레이아웃(Lay Out)이 자유로운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이 접촉되는 부위인 전선공(112)의 절곡된 외부는 철판의 절곡 특성상 연신율에 의해 라운드(Round)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선의 피복이 벗겨짐으로 발생하는 단락의 위험성이 없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바닥판(100)을 해체해야 할 경우에는 종래의 진공패드등의 공구가 필요없이 시공자는 지지대(10)에 결합된 피스볼트를 해체할 때 사용했던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전선공(112) 사이에 삽입한 후 일측을 위로 들어올리면 맞닿은 바닥판(100)이 상호 어긋나며 해체가 용이하도록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공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블 커버의 대용으로 전선이 지날 수 있도록 네변에 절곡으로 형성된 전선공을 최소한 하나이상 구비함으로 일반배선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선의 레이아웃 변경이 자유롭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닥판은 종래의 바닥판과 같이 진공패드를 이용하는 불편함이 없이, 각 모서리의 피스볼트를 해체한 드라이버를 전선공에 삽입하여 들어올리면 용이하게 해체가 가능하여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판 테두리 4변에 각각 하나이상의 절곡부를 절곡하여 상, 하부판의 테두리, 즉, 플랜지부는 용접을 시행하지 않아도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높낮이조절이 가능한 다수개의 지지대(10)에 볼트체결이 용이하도록 상호 결합된 상, 하부판(110)(120)의 각 모서리에 홀(124)이 천공되고, 상기 하부판(120)에 형성된 상, 하부엠보싱(121)(121a)에 의해 압축강도를 보강하고, 상기 지지대 (10)가 구비된 하부공간에 전선이 구비되도록 사무실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판(100)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0)은 상기 홀(124) 사이에 노칭으로 요부(125)가 최소한 하나이상 형성된 하부판(120)과;
    상기 상부엠보싱(121)과 플랜지(122)에 접촉되는 부위는 용접으로 장착되고, 상기 요부(125)에 구비되도록 소정각도의 예각으로 절곡된 절곡부(111)를 형성하여 외부의 라운드면에 의해 전선의 단락을 방지하도록 하는 전선공(112)을 구비한 상부판(1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실용 바닥판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공(112)은 한 변마다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실용 바닥판의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공(112)의 절곡각도는 90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실용 바닥판의 결합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공(112)이 하나 이상의 다수개가 형성될 경우에는 상, 하부플랜지(114)(122)의 용접이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실용 바닥판의 결합구조.
KR2020000016478U 2000-06-10 2000-06-10 사무실용 바닥판의 결합구조 KR200201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478U KR200201320Y1 (ko) 2000-06-10 2000-06-10 사무실용 바닥판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478U KR200201320Y1 (ko) 2000-06-10 2000-06-10 사무실용 바닥판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320Y1 true KR200201320Y1 (ko) 2000-11-01

Family

ID=19660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478U KR200201320Y1 (ko) 2000-06-10 2000-06-10 사무실용 바닥판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3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011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Strength of a Utility Pole
US11879254B2 (en) Securing member and wall structure
KR200201320Y1 (ko) 사무실용 바닥판의 결합구조
KR20120030051A (ko) 미부착된 천장 패널과 천장 빔을 가진 천장 상에 물체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JP7458022B2 (ja) 電気設備用固定装置、電気設備システム、及び電気設備固定方法
KR102049583B1 (ko) 무용접 방식으로 트러스를 연결하는 브라켓
KR20190046469A (ko) 내진가대
CN215208179U (zh) 一种塔机附着抱箍式连墙件
JP2931288B1 (ja) 作業用プラットフォームの支柱
KR200201254Y1 (ko) 건축용 패널
JP7130695B2 (ja) 構造物の立て起こし用治具
JP2020159176A (ja) 機器固定用床構造及び機器の設置方法
JP2000045501A (ja) フロア構造
JP2616145B2 (ja) 床部材の連結用部材
JP5575199B2 (ja) アンテナ取付け架台組立キットおよび基地局
JPH0291351A (ja) フロアパネルの固定金具
KR100539052B1 (ko) 커버 고정레일
JP2014105509A (ja) 床パネル
JP2021155962A (ja) 内装下地の固定構造および下地取付具
JP2021155963A (ja) 内装下地の固定構造および内装下地の固定具
JP2001164735A (ja) 浮床の構造とその施工方法
JPH09328886A (ja) 二重床
JPH0629348Y2 (ja) 床パネルの連結構造
JP2546042B2 (ja) 床部材の連結用部材
JP6453174B2 (ja) 外壁取付具および外壁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