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848A - 정보축적방법, 디지털 데이터 처리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축적방법, 디지털 데이터 처리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848A
KR20020096848A KR1020020008157A KR20020008157A KR20020096848A KR 20020096848 A KR20020096848 A KR 20020096848A KR 1020020008157 A KR1020020008157 A KR 1020020008157A KR 20020008157 A KR20020008157 A KR 20020008157A KR 20020096848 A KR20020096848 A KR 20020096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image data
input
digit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5982B1 (ko
Inventor
테쯔오 오카모토
요시노리 마쯔노
히로타께 쿠도
마나브 우시쿠보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9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축적방법, 디지털 데이터 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 원고를 읽어 들이고 데이터 보관장치(83)를 향해 송신하고(데이터 송신(T1)), 데이터 보관장치(83)가 접수하고 기억장치(22J)에 격납한다. 데이터 보관장치(83)는 기억장치(22J)의 격납위치를 데이터 입출력장치(85)를 향해 송신하고(데이터 송신(T2)),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를 인쇄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 읽어 들인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격납장소가 인쇄된 프린트(90)를 얻을 수 있고, 다른 장소에 설치된 사용자 컴퓨터(84)에서 화상 데이터를 취출할 수 있다(데이터 송신 (T3, T4)).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간편하며 저비용으로 화상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축적방법, 디지털 데이터 처리방법 및 장치 {Method of collecting data and processing digital data, and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정보축적방법, 디지털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캐너장치 등의 입력장치에서 읽어 들인 화상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정보축적방법, 디지털 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반도체 기술이나 그 밖의 제조기술의 급속한 향상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 및 그 주변장치는 고속화나 고기능화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에 따라,고속 및 고기능의 퍼스널 컴퓨터를 소유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면, 종래에는 전문가에게 의뢰할 수밖에 없었던 여러 가지 처리나 복잡한 처리를 사용자 개인이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퍼스널 컴퓨터와 처리에 필요한 주변장치를 미리 준비하면 좋다.
일례로서, 퍼스널 컴퓨터(PC)를 정보단말기로서 네트워크에 참가하여 각종 정보를 발신하거나, 입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용이하게 이용가능해진 네트워크로서 인터넷이 알려져 있고,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PC를 준비하는 것만으로 손쉽게 정보교환이 가능, 즉 쌍방향 정보교환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런데, 고성능 및 고기능의 PC는, 용이하게 입수가능하게 되었으나, 사용량, 비용 그리고 성능을 고려하면, 원하는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주변장치를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모두 준비하는 것은 곤란하다. 예를 들면, 사용빈도가 비교적 적고 고가의 주변장치를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준비하는 것은 드문 일이다.
예를 들어, 최근에는, 전달되는 데이터의 정보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홈페이지 등과 같이 PC에 의해 화상(화상 데이터)을 취급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는 화상 데이터를 취급함으로써, 정보교환의 자유도가 증대한다.
그러나, 화상 데이터는 그 해상도에 따라서 정보량이 증대한다. 따라서,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팽대한 기억장치가 필요해진다. 또한, 그 화상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스캐너 등의 화상독해장치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사용자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것을 이용하는 것을 간단히 실현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고 저비용으로 화상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는 정보축적방법, 디지털 처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이미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의 각 장치의 개략 기능구성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출력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4는 사용자가 격납을 요구한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기억장치)를 인쇄한 프린트를 묘사한 이미지도이며,
도 5는 데이터 입출력 장치의 처리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데이터 보관장치의 처리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7은 데이터 취출장치의 처리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은 사용자가 격납을 요구한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기억장치)를 복수 인쇄한 프린트를 묘사한 이미지도이며,
도 9는 사용자가 격납을 요구한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홈페이지)를 인쇄한 프린트를 묘사한 이미지도이고,
도 10은 사용자가 격납을 요구한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 및 광고와 쿠폰을 인쇄한 프린트를 묘사한 이미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J기억장치80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
83처리서버(데이터 보관장치)
84사용자 컴퓨터(데이터 취출장치)
85입출력서버(데이터 입출력장치)
88네트워크
90프린트92원고
94기억매체T1데이터 송신
T2데이터 송신T3데이터 송신
T4데이터 송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디지털 데이터를 축적하고, 축적한 디지털 데이터의 축적 장소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 및 상기 액세스 정보의 인쇄 지시를 인쇄기능을 가지는 외부장치를 향하여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디지털 데이터를 축적하고, 축적한 디지털 데이터의 축적 장소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인쇄정보를 가지는 외부장치를 향하여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디지털 데이터를 축적하고, 축적한 디지털 데이터의 축적 장소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 및 광고정보를 인쇄기능을 가지는 외부장치를 향하여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액세스 정보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축적된 축적 장소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세스 정보는 축적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참조를 허락하기 위한 암호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액세스 정보를 단일 페이지의 화상에 복수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세스 정보를 복수 페이지의 화상에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액세스 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합성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이며,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편집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화상 데이터는 복수 페이지의 화상을 갖으며, 화상 데이터의 편집이라는 것은 복수 페이지의 화상을 단일 페이지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편집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데이터의 편집은 동일 화상을 복수 개소에 포함시키는 편집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동일 화상을 동일 페이지의 복수 개소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 화상을 복수 페이지에 걸쳐서 복수 개소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복수 페이지를 가지는 화상 데이터이며,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화상 데이터가 가지는 소정 페이지의 화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 페이지의 화상이라는 것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선두 또는 최종 페이지의 화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보축적에 관계하는 요금의 요금정보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축적되는 외부장치에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하고, 송신되고 상기 외부장치에 축적된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액세스 정보를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처리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이며, 입력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축적하고, 축적된 디지털 데이터와 수신된 액세스 정보를 합성하여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이며, 입력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편집하여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신한 액세스 정보와 미리 축적되어 있거나 또는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된 광고정보를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하고,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축적하고, 축적한 디지털데이터의 축적 장소로 액세스 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 및 상기 액세스 정보의 인쇄 지시를 인쇄기능을 가지는 외부장치를 향하여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하고,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축적하고, 축적한 디지털 데이터의 축적 장소로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인쇄기능을 가지는 외부장치를 향하여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하고,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축적하고, 축적한 디지털 데이터의 축적 장소로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 및 광고정보를 인쇄정보를 가지는 외부장치를 향하여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은,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하고,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축적되는 입력장치에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하고,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외부장치에 축적된 디지털 데이터로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인쇄수단에 의해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처리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하고,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축적되는 입력장치에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하고,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외부장치에 축적된 디지털 데이터로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인쇄수단에 의해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처리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액세스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축적장치를 포함하는 서버에 통신회선에 접속되며 인쇄기능을 가지는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정보축적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입력장치에서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축적요구를 상기 입력장치의 통신회선상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위치정보와 함께 접수하며, 접수한 상기 축적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축적장치에 격납하고, 상기 축적장치에 격납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격납위치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축적장치에 격납한 것을 표시하는 완료정보가 상기 입력장치에서 인쇄매체에 인쇄되도록 상기 완료정보를 상기 장치위치정보에 의거하는 입력장치를 향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을 통해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정보축적방법에 적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축적장치를 포함하는 서버에 통신회선에 접속되며 인쇄기능을 가지는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한다. 이 서버에서는, 먼저 입력장치에서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축적요구를 입력장치의 장치위치정보와 함께 접수한다. 입력장치는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며, 화상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거나 화상을 주사(스캔)하여 화상 데이터를 얻는 것이 있다. 장치위치정보는 URL이나 IP주소 등의 입력장치의 통신회선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장치위치정보를 참조하면 통신회선상에서 위치를 특정할 수 있고, 정보교환이 가능해진다. 또한, 입력장치는 직접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무선이나 유선 통신회선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서버는 접수한 축적요구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를 축적장치에 격납한다. 즉, 서버는 축적이 요구된 화상 데이터를 접수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축적장치에 격납한다. 이 격납시에는, 서버에서는 축적장치에 격납한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서버는 축적장치에 격납한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이 격납위치 정보는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디렉토리나 격납한 축적장치의 위치라면 좋다. 또한, 격납위치 정보는 화상 데이터 자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화상 데이터 자체의 위치를 촉구하는 지시정보가 격납된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페이지의 URL이나 FTP서버의 IP주소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완료정보를 입력장치를 향하여 송신한다. 완료정보는 격납위치정보를 포함하며 화상 데이터를 축적장치에 격납한 것을 표시한다. 그리고, 이 완료정보가 입력장치에서 인쇄매체에 인쇄되도록 송신한다. 이 송신시에는 장치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입력장치를 특정하고, 그 입력장치를 향하여 송신한다. 이로써, 입력장치에서는 완료정보가 인쇄된다. 이 인쇄물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가 격납된 위치가 인쇄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그 인쇄물을 참조함으로써,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 인쇄물은 사용자가 축적요구한 화상 데이터를 그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취출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즉, 사용자는 축적장치에 화상 데이터를 격납했을 때, 그 화상 데이터를 취출할 장치가 입력장치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쇄물을 참조하고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을 통해 완료정보에 의한 축적장치에 대하여 접촉하고 화상 데이터를 취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서버는 상기 축적장치에 격납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의 참조를 허락하기 위한 암호정보를 정하고, 상기 완료정보에 더하여 상기 암호정보를 더 송신할 수 있다.
서버가 축적장치에 화상 데이터를 격납하면, 그 축적장치에 접속가능한 정보에 제3자에 의해 취출될 가능성이 생긴다. 따라서, 서버는 축적장치에 격납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의 참조를 허락하기 위한 암호정보를 정한다. 이 암호정보의 입력이 일치했을 때에 화상 데이터의 참조가 허락된다. 또한, 화상 데이터의 참조라는 것은 단순히 참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갱신이나 삭제 등의 명령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암호정보는 사용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서버는 완료정보에 더하여 암호정보를 더 송신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축적요구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참조가 허락된 액세스권을 소유할 수 있으며 제3자로부터의 액세스를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정보축적방법은 다음의 정보축적서버에 기재한 바와 같이,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축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축적장치에 통신회선에 접속되며 인쇄기능을 가지는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정보축적서버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에서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축적요구를 상기 입력장치의 통신회선상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위치정보와 함께 접수하는 접수수단과, 접수한 상기 축적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축적장치에 격납하는 격납수단과, 격납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격납위치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축적장치에 격납한 것을 표시하는 완료정보가 상기 입력장치에서 인쇄매체에 인쇄되도록 상기 완료정보를 상기 장치위치정보에 의거하는 입력장치를 향해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축적서버에서는 화상 데이터가 제3자에 의해 취출되는 것을 회피하는 비밀성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음의 정보축적서버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실현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정보축적서버는 상기 축적장치에 격납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의 참조를 허락하기 위한 암호정보를 정하는 설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완료정보에 더하여 상기 암호정보를 더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축적방법은 다음의 매체에 기억시킴으로써 상기 정보축적방법에 의한 처리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가는 것이 가능해지고,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킴으로써, 어느 컴퓨터에서라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세하게는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축적장치를 포함하는 서버에서 실행되고, 통신회선에 접속되며 인쇄기능을 가지는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정보축적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에 있어서, 정보축적프로그램은 상기 입력장치에서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축적요구를 상기 입력장치의 통신회선상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위치정보와 함께 접수시키고, 접수된 상기 축적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축적장치에 격납시키고, 상기 축적장치에 격납시킨 상기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정보를 취득시키며, 상기 격납위치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축적장치에 격납시킨 것을 표시하는 완료정보가 상기 입력장치에서 인쇄매체에 인쇄되도록 상기 완료정보를 상기 장치위치정보에 의거하는 입력장치를 향해 송신시킨다.
또한,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축적장치를 포함하는 서버에 통신회선에 접속되며 인쇄기능을 가지는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정보축적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가 화상을 읽어 들이고, 상기 서버로 화상 데이터의 축적을 요구하기 위하여 읽어 들인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하고, 상기 축적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축적장치에 격납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정보가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되었을 때에 상기 격납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격납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축적내용정보를 인쇄매체에 인쇄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을 통해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축적장치를 포함하는 서버에 통신회선에 접속되며 인쇄기능을 가지는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정보축적방법에 적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입력장치가 화상을 읽어 들이고, 서버에 화상 데이터의 축적을 요구하기 위하여, 읽어 들인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한다. 서버에서는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함과 동시에, 축적요구에 의거하고 축적장치에 격납한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정보를 송신한다. 입력장치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정보가 서버로부터 송신되었을 때에 격납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격납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축적내용정보를 인쇄매체에 인쇄한다. 즉, 입력장치는 인쇄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축적요구에 대응하여 축적된 그 위치 등의 격납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축적내용정보를 응답으로서 접수하고, 인쇄한다. 이로써, 입력한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 등의 화상 데이터의 내용에 관한 데이터를 인쇄물로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쇄물을 참조하고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을 통해 축적내용정보에 의한 축적장치에 대하여 접속하고 화상 데이터를 취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축적내용정보를 인쇄매체에 인쇄할 때는 상기 격납위치 정보 및 상기 읽어 들인 화상의 일부를 상기 축적내용정보로서 인쇄매체에 인쇄할 수 있다.
화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화상 그 자체를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화상을 읽어 들여 축적하는 경우, 축적요구측에 화상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인쇄물에 읽어 들인 화상의 일부를 게재함으로써, 사용자의 화상파악이 용이해진다. 이 게재는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제시하는 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데이터 용량 삭감을 위하여, 해상도를 감소시키거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적내용정보를 인쇄매체에 인쇄할 때에, 미리 정한 광고정보와 함께 인쇄할 수 있다.
인쇄된 인쇄매체는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것이다. 따라서, 인쇄매체는 정보제공의 매체로서 효과적이다. 그러면, 축적내용정보를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경우, 광고정보를 함께 인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있어서 의의있는 정보제공이 가능해진다. 이 광고정보는 미리 정한 것을 제시하여도 좋고, 복수개 정하여 선택적으로 제시하여도 좋다. 또한, 광고정보만 다른 장치에서 접수하여도 좋다. 또한, 광고정보의 인쇄 여부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광고정보를 인쇄할 때에는 상기 화상의 축적에 관해 미리 정한 요금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축적내용정보를 인쇄매체에 인쇄할 때에 광고정보를 함께 인쇄하는 것은 광고정보의 제공측에 있어서 유리하게 작용하는 경우가 많고, 사용자에게 있어서 부담이 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화상의 축적에 관계하는 미리 정한 요금정보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축적에 요금이 부과되는 경우나 인쇄물을 얻을 때에 요금이 부과되는 경우, 그 요금부과 금액을 변경(예를 들어, 감액)한다. 이로써, 사용자에게 있어서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화상 데이터의 축적이라고 하는 일련의 작업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정보축적방법은, 다음의 화상독해장치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화상을 읽어 들이는 독해수단과,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축적장치를 포함하는 정보축적서버에 화상 데이터의 축적을 요구하기 위하여, 상기 독해수단으로 읽어 들인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축적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축적장치에 격납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정보가 상기 정보축적서보로부터 송신되었을 때에, 그 격납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한 격납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축적내용정보를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인쇄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인은, 점포 등 공중의 장소에 설치할 프린트 서버에, 예를 들어 스캐너기능, 복사기능, 팩시밀리기능, 프린트기능 등 다종다양한 출력기능을 구비한 「복합기」를 제안하고 있다. 즉, 복합기 한 대로, 다른 종류의 정보입출력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공간을 줄일 수도 있다. 이러한 복합기는 본 발명에 적합한 것이다. 즉, 화상의 읽어 들임, 화상 데이터의 축적요구, 그리고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 인쇄를 단일의 복합기로 실현가능하며, 이들을 갖고 있지 않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화상독해장치에서도 화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화상 그 자체를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인쇄수단이 상기 격납위치정보 및 상기 읽어 들인 화상의 일부를 상기 축적내용정보로서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쇄된 인쇄매체는 정보제공의 매체로서 유효하기 때문에, 광고정보를 기억한 광고정보기억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인쇄수단은 상기 축적내용정보를 상기 광고정보와 함께 인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있어서 의의 있는 정보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축적내용정보를 인쇄매체에 인쇄할 때에 광고정보를 함께 인쇄하는 경우는, 광고정보의 제공측에 있어서 유리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 화상의 축적에 관계하는 요금정보를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인쇄수단에 있어서 상기 광고정보를 인쇄할 때에 상기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요금정보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상축적방법은 다음의 매체에 기억시킴으로써 상기 화상축적방법에 의한 처리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가는 것이 가능해지고,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킴으로써, 어느 컴퓨터라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세하게는, 입력장치에서 실행되며,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축적장치를 포함하는 서버에, 통신회선에 접속되며 인쇄기능을 가지는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정보축적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이며, 상기 입력장치에서 실행되는 정보축적프로그램은, 화상을 읽어 들이게 하고, 상기 서버로 화상 데이터의 축적을 요구하기 위하여, 읽어 들인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시키며, 상기 축적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축적장치에 격납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정보가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되었을 때에, 그 격납위치정보를 수신시키고, 수신된 격납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축적내용정보를 인쇄매체에 인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축적서버와 화상독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사용자는 화상을 축적하고 그 위치가 인쇄된 인쇄물을 참조함으로써, 화상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통신회선에 접속되며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축적장치를 포함하는 정보축적서버에, 통신회선에 접속되며 인쇄기능을 가지는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정보축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축적서버는 상기 입력장치에서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축적요구를 상기 입력장치의 통신회선상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위치정보와 함께 접수하는 접수수단과, 접수한 상기 축적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축적장치에 격납하는 격납수단과, 격납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격납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축적장치에 격납한 것을 표시하는 완료정보가 상기 입력장치에서 인쇄매체에 인쇄되도록, 상기 완료정보를 상기 장치위치정보에 의거하는 입력장치를 향해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입력수단은 화상을 읽어 들이는 독해수단과,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축적장치를 포함하는 정보축적서버에 화상 데이터의 축적을 요구하기 위하여, 상기 독해수단에서 읽어 들인 화상의 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 송출하는 송출수단과, 상기 축적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축적장치에 격납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정보가 상기 정보축적서버로부터 송신되었을 때에, 그 격납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한 격납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축적내용정보를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인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컴퓨터나 PDA 등의 정보단말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네트워크 접속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제1실시예]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80)은, 예를 들면 분산형 네트워크 시스템이어도 좋다.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각 사용자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 자원 대상의 소재를 특별히 인식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절차도 네트워크 상에서 분산되어 보호유지되고, 관리되고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상의 어떤 하나의 컴퓨터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프로세스가 다른 컴퓨터상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스의 절차를 호출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80)은 통신매체로서 인터넷이나 그 밖의 소규모 네트워크로서 LAN(Local Arear Network)로 대표되는 네트워크(8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 네트워크(88)에는 각 국가 또는 각 지역의 전화회사가 구축·제공하는 공중전화망 등으로 대표되는 통신망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통신망에는, 예를 들면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나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가 포함된다. 또한, 통신망으로서, 더욱 PDC(Personal Digital Cellular)나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등 각종 형식의 무선전화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88)와 통신망을 별개의 네트워크로서 구축하는 경우에는 게이트 웨이트 시스템에 의해 상호 접속하도록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망은 휴대단말기에 대한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은 물론, 발신자 번호의 인증기능과 각 기지국의 셀(Cell)내에 등록된 휴대단말기에 대한 위치 데이터의 부여기능 등의 기능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88)에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사용자 컴퓨터(84) 및 각종 서버 컴퓨터가 각각 모뎀, 루터, TA(터미널 어댑터 : Terminal Adapter) 등의 접속장치(86)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들 컴퓨터는 네트워크(88)를 통해 상호 통신에 의해 정보교환이 가능한 구성이다.
인터넷이나 각각의 소규모 네트워크 등의 네트워크(88)에서는, 모뎀이나 루터 등의 통신장치(86)를 경유하여 상호 접속이 가능하고, 이와 같은 네트워크상의 컴퓨터끼리는, 예를 들어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호 액세스 가능하다. 따라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80)상에는 무수한 호스트 단말기나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된 구성으로 되고, 이들 컴퓨터 시스템은, 일부의 컴퓨터는 각종 자원 서비스를 유상 또는 무상으로 제공하는 「서버」, 다른 일부는 서버에 대하여 자원 서비스를 요구하는 「클라이언트」로서 가동하는, 소위 서버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서 기능한다.
서버의 일례는 인터넷과 같은 TCP/IP 네트워크 상에 구축된 WWW시스템의 WWW서버이다. WWW서버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콘텐츠 등의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자원 대상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의 다른 예로서 각 사용자 어카운트에 대한 전자 메일의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일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등이 존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종 서버 컴퓨터(82)의 구체적인 일례로서, 처리서버(83) 및 입출력서버(8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들 각 서버의 상세한 동작은 후술하겠지만, 처리서버(83)는, 입출력서버(85)에서 읽어 들여진 화상 데이터를 접수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격납하여, 격납위치를 입출력서버(85)로 반신하는 것이다. 입출력서버(85)는, 사용자가 지정한 화상을 읽어 들이고 또한 읽어 들인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처리서버(83)로 송신하여 반신된 격납위치를 출력(인쇄)하는 것이다.
상기 처리서버(83)는, 화상 데이터를 격납하는 데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서버를 네트워크(88)에 접속하여 구성한다. 처리서버(83)는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를 기억하는 대신에 축적서버의 위치(URL)를 기억하여 그 위치의 서버로 화상 데이터를 격납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서버 컴퓨터는 각각 한 대씩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대도 좋고, 또는 이들 서버를 연결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이하 설명에서는 처리서버(83)를 데이터 보관장치(83)라고 칭하고, 입출력 서버(85)를 데이터 입출력장치(85)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사용자 컴퓨터(84)를 데이터 취출장치(84)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LAN등의 소규모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기업 등의 특정 조직·단체에 의해 운영되는 경우가 있고, 예를 들어 방화벽(Fire Wall)(미도시)과 같은 서버를 통하여 외부 광역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외부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액세스 제한할 수 있다. LAN이 특정 기업에 의해 소유·관리되고 있는 것과 같은 경우, LAN상에 설치된 서버에는, 기업내의 문서나 데이터 등의 기업에 관련된 여러 가지 콘텐츠가 다수 축적된다. 클라이언트는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쳐 기업에 있어서 정당한 권한이 부여된 것이 명확해지면, 이러한 종류의 서버에 액세스가 허가된다.
상기 콘텐츠라는 것은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정보 내용 그 자체를 말하며, 특히 컴퓨터 내에서 취급되고 네트워크 안을 유통하는 정보의 내용 그 자체를 말한다. 또한, 콘텐츠는 텍스트 데이터, 도형 데이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포함하여 제공될 제공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컴퓨터에는 해당 컴퓨터에서 지시입력을 하기 위하여 각각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컴퓨터에 의한 처리 결과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컴퓨터는 범용적이며 일반적인 하드웨어 구성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88)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컴퓨터나 단말기에 WWW브라우저를 인스톨하여 기동시킴으로써 임의의 컴퓨터에 액세스가능하게 된다. 이 때, 액세스 위치(액세스할 곳의 서버 등의 위치 및 서버 등 내의 정보의 위치로 구성되는 데이터)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80)에 있어서 정보의 교환에 대한 개요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은 데이터 보관장치(83), 데이터 입출력장치(85) 및 데이터 취출장치(84)의 각 장치의 기능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겠지만, 데이터 출력의 흐름을 보면, 사용자는 축적을 희망하는 원고 등의 화상을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 읽어 들인다. 데이터 입출력장치(85)는 그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보관장치(83)를 향하여 송신한다(데이터 송신(T1). 데이터 보관장치(83)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접수하고, 축적 데이터베이스 등의 기억장치(22J)에 격납한다. 데이터보관장치(83)는 기억장치(22J)에 격납한 위치를 파악하여 데이터 입출력장치(85)를 향해 송신한다(데이터 송신T2). 데이터 입출력장치(85)는 데이터 보관장치(83)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 읽어 들인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격납장소가 인쇄된 프린트(90)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는 프린트(90)를 소지하여 자택 등의 이격된 장소에 설치된 자기가 조작할 사용자 컴퓨터(84)에서 화상 데이터의 취출을 요구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보관장치(83)를 향하여 송신한다(데이터 송신T3). 데이터 보관장치(83)는 사용자 컴퓨터(84)로부터의 요구를 접수하고, 기억장치(22J)에 격납된 화상 데이터를 사용자 컴퓨터(84)로 반신한다(데이터 송신T4).
이러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80)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고도의 정밀도를 가지는 스캐너나 대용량의 축적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임의의 장소에서 화상입력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임의의 장소(상기 장소는 사용자 컴퓨터(84))에서 데이터 출력요구를 행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의 교환을 주체로 한 데이터 보관장치(83), 데이터 입출력장치(85) 및 데이터 취출장치(84)의 각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표시하였다. 이하, 이들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입출력장치]
데이터 입출력장치(85)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프린터 등의 정보출력장치의 관리와 네트워크 상에서 발행된 프린트 요구 등의 정보출력 요구를 총괄적으로제어할 수 있는 복합기이다. 즉, 데이터 입출력장치(85)는 컴퓨터 처리된 문서나 이미지를 인쇄하는 프린터 이외에 복사기능이나 팩시밀리 기능 등 여러 종류의 기능 서비스 등 다른 기능도 제공하는 「복합기」로 구성할 수 있다. 데이터 입출력장치(85)는, 예를 들어 편의점이나 대학생협회, 가솔린 스탠드, 고속도로의 서비스 지역 등, 비교적 많은 사람이 모이기 쉬운 공공 장소에 설치되고,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사이에서 공용된다.
또한, 데이터 입출력장치(85)는 네트워크(88)상의 소정의 장소(IP주소)에서 접속되지만, 서버의 설치 장소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 상에 있어서 데이터 입출력장치(85)의 소재는, 예를 들어 IP주소나 URL에 의해 지정할 수 있으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는 CPU(12A), ROM(12B), RAM(12C) 및 I/O(12D)가 코맨드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게 접속된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I/O(12D)는 플로피 디스크 장치 등의 리드라이트 장치(12E), 키보드 등의 조작장치(12F),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12G) 및 처리 프로그램이 기억된 메모리(12H)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12H)는 처리 프로그램이 ROM(12B)나 RAM(12C)에 기억되는 경우에는 불필요하다.
리드라이트 장치(12E)는 기억매체(94)가 삽발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억매체(94)에는 플로피 디스크 등이 있다. 또한, 후술할 처리루틴 등은 리드라이트 장치(12E)를 이용하여 기억매체(94)로부터 실행가능하다. 따라서, 후술할 처리루틴은 메모리(12H) 등에 기억하지 않고 미리 기억매체에 기록해 두고, 리드라이트장치(12E)를 통하여 기억매체에 기록된 처리프로그램을 실행하여도 좋다. 또한, 하드디스크장치 등의 대용량 기억장치를 구비하여, 기억매체에 기억된 처리프로그램을 격납(인스톨)하여 해당하는 처리를 실행하여도 좋다. 또한, 기억매체로서는 CD-ROM, MD, MO, DVD 등의 디스크나 DAT 등의 자기테이프가 있으며, 이들을 이용할 때에는 상기 리드라이트장치(12E)에는 CD-ROM장치, MD장치, MO장치, DVD장치, DAT장치 등을 이용하면 좋다.
또한, I/O(12D)에는 통신장치(14), 독해장치(16) 및 출력장치(18)도 접속되어 있다. 통신장치(14)는 네트워크(88)에 접속하기 위한 도 1의 통신장치(86)를 포함하는 것이며, 데이터 입출력장치(85)와 외부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독해장치(16)는 소위 스캐너 기능이며, 원고(92)를 주사하여 화상을 독해하는 장치이다. 출력장치(18)는 소위 프린터기능이며 데이터 입출력장치(85)로부터 화상 데이터나 텍스트 데이터를 인쇄하여 프린트(90)로서 출력하는 장치이다.
또한, 데이터 입출력장치(85)가 가지는 기능의 일례로서, 비용부과 처리가 있다. 비용부과 처리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 있어서 실행되는 서비스(기능) 즉, 정보 입출력 서비스에 대하여 정당한 대가, 요금을 사용자에게 청구하는, 즉 비용을 부과하는 처리이다. 구체적으로는 원고(92)를 주사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 통신장치(14)를 이용하여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처리, 출력장치(18)로부터 프린트(90)를 얻는 처리, 기억매체(94)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처리 등의 서비스가 있다.
이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 있어서 요금체계 등의 비용부과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있어도 좋고, 외부장치로부터 얻어도 좋다. 즉, 데이터 입출력장치(85)는, 모든 정보 입출력에 대한 비용부과 정보를 일원적으로 집중관리하여도 좋고, 비용부과 처리만을 행하여 비용부과 정보를 데이터 제공원으로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외부장치로부터의 비용부과 처리는, 예를 들어 통신망이나 네트워크 경유로 행해진다. 예를 들어, 컬러 프린터나 고품질 용지로의 프린트 출력 등, 출력 서비스의 품위에 따라서 요금체계를 바꾸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바에서는 데이터 입출력 장치에, 독해장치(16) 및 출력장치(18)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각 별개로 구성하고, 네트워크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전용선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데이터 보관장치]
데이터 보관장치(83)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측에서 지정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장치(22J)에 격납하거나 취출하거나 하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 보관장치(83)에서 실행되는 처리는 데이터 보관장치(83)내에서 실행하여도 좋고, CGI(Common Gateway Interface) 등의 원격수속호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88)상의 다른 서버에 맡겨도 좋다. 일례로는, 데이터 보관장치(83)는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기억장치를 따로 구비하고 축적되어 있는 장치로의 주소를 제시하는 것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보관장치(83)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와 거의 마찬가지로, CPU(22A), ROM(22B), RAM(22C) 및 I/O(22D)가 코맨드나 데이터의 교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접속된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I/O(22D)에는 리드라이트 장치(22E), 조작장치(22F), 표시장치(22G)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I/O(22D)에는 처리 프로그램이 기억된 메모리(22H),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기억장치(22J) 및 기억장치(22J)의 화상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가 기억된 메모리(22K)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I/O(12D)에는 통신장치(24)도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 보관장치(83)에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송신된다. 데이터 보관장치(83)에서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로부터 접수한 화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즉, 데이터 보관장치(83)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로부터 접수한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격납기능과 다른 컴퓨터로부터 지정된 화상 데이터를 취출하고 송신하는 취출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데이터 보관장치(83)에는 비용부과 처리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이 비용부과 처리기능은 접수한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기능에 대하여 생기는 요금을 사용자에게 요구하는(징수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비용부과 대상이 되는 사용자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 원고를 읽어 들인 사용자이며, 그 징수형태는 다음의 두 종류가 있다.
첫 번째는, 상기 격납기능에 대한 요금만을 징수하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격납기능에 대하여 미리 요금을 설정해 두고, 이것을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것이다. 이 요구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데이터 입출력장치(85)의 사용 요금 등을 지불하는 경우에, 합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신용거래회사등이 개설하고 있는 결재사이트로 사용자 정보를 갖고 이것을 요구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상기 격납기능에 대한 요금에 더하여, 그 밖의 데이터를 얻기 까지 생긴 요금을 징수함과 동시에, 이것을 관리하는 것이다. 먼저, 상기 격납기능에 대한 요금에 더하여 그 밖의 데이터를 얻기까지 생긴 요금을 징수하는 점은 축적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송신할 때에 요금이 발생하는 경우, 이것을 격납기능에 대한 요금에 더하여 징수하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관리라는 것은 발생한 요금을 그 항목마다 내역을 작성하는 것이다. 내역에는 사용 사이트, 사용 데이터, 사용 일시, 사용 용량 등이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경우, 그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제3자가 액세스한 것으로 사용자의 비밀성이 손상된다. 따라서, 데이터 보관장치(83)의 다른 기능으로서 인증처리가 있다. 인증처리는 화상 데이터마다 액세스를 위한 암호정보(패스워드)를 발행하고,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액세스 요구되었을 때에 그 패스워드가 일치한 경우에만 액세스를 허락하는 처리기능이다.
[데이터 취출장치]
데이터 취출장치(84)는 사용자가 조작가능한 컴퓨터(사용자 컴퓨터(84))이며, 사전에 격납한(데이터 입출력장치(85)측에서 읽어 들여 격납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취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데이터 취출장치(84)는 설치된 컴퓨터이어도 좋고, PDA 등의 휴대단말기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취출장치(84)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와 거의 마찬가지로 CPU(32A), ROM(32B), RAM(32C) 및 I/O(32D)가 코맨드나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게 접속된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I/O(32D)에는 리드라이트 장치(32E), 조작장치(32F), 표시장치(32G) 및 처리프로그램이 기억된 메모리(32H)가 접속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실시예에 관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교환의 흐름을 이미지적으로 표시하였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장치로서 데이터 입출력장치를 적용하고,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 서버로서 기능하는 데이터 보관장치가 수신하고, 수신한 디지털 데이터를 축적하고, 서버로서 기능하는 데이터 보관장치가 축적한 디지털 데이터의 축적 장소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 및 상기 액세스 정보의 인쇄 지시를 인쇄 기능을 가지는 외부장치로서 데이터 입출력장치로 되돌려 보내는(송신하는) 것이다.
먼저, 사용자는, 화상데이터의 축적을 상기할 때,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 원고(92)를 주사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처리 (S1)). 또한, 본 발명은 원고(92)를 주사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억매체(94)로부터 리드라이트장치(12E)에서 읽어 들이는 것으로 화상데이터를 생성해도 좋다.
이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요구를 데이터 보관장치(83)에 대하여 행하고(데이터(D1)), 데이터 보관장치(83)는 그 요구를 접수하여 요구 내용을 파악하고(처리(S2)),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다(처리(S3)). 격납한 화상 데이터의 보관장소(격납위치)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로 송신된다(데이터(D2)).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는 데이터 보관장치(83)로부터의 데이터를 접수하여,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프린트(90)(상세한 것은 후술)로서 인쇄한다(처리(S4)). 사용자는 프린트(90)를 참고함으로써 격납된 화상 데이터의 격납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프린트(90)를 소지하면서 화상 데이터를 취출할 장소로 이동한다. 이 장소라는 것은 데이터 취출장치(84)를 조작할 수 있는 위치이며, PDA 등의 휴대단말기를 데이터 취출장치(84)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장소가 정해진 것은 아니다. 즉, 네트워크(88)에 접속할 수 있는 논리적인 데이터 취출장치(84)의 위치이다.
사용자는 상기 격납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는 상태가 되면, 프린트(90)를 참조하면서 데이터 취출장치(84)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격납한 화상 데이터를 취출희망 처리를 행하고(처리(S5)), 데이터 보관장치(83)에 대하여 요구한다(데이터(D3). 데이터 보관장치(83)에서는 데이터 취출장치(84)로부터의 데이터를 접수하여 요구 내용을 파악하고(처리(S6)), 지시된 보관 장소에 격납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준비한다(처리(S7). 준비가 종료되면, 화상 데이터는 데이터 취출장치(84)로 송신된다(데이터(D4). 데이터 취출장치(84)에서는 데이터 보관장치(83)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접수하여 표시하거나 기억하여 확인한다(처리(S8).
이로써, 사용자는 화상 데이터의 축적요구를 행하고, 그 결과(격납위치)를 프린트(90)로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격납된 화상 데이터를 임의의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는 그 화상 데이터가 격납된 URL을 지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를 격납하는 위치는 축적장치의 URL을 지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보관장치(83), 데이터 취출장치(84), 데이터 입출력장치(85)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각부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최초로 화상 데이터를 취급하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처리루틴이 실행된다. 도 5의 S100에서는 초기표시처리가 실행된다. 이 초기표시처리는 복합기인 데이터 입출력장치(85)를 조작하는 사용자에게 조작사용으로 하는 기능을 선택시키기 위한 선택지시를 촉구하는 표시처리이다. 예를 들면, 복사, 인쇄, 스캐너 등의 선택을 위한 데이터 입출력장치(85)의 표시장치(12G)에 표시될 선택화면의 포맷정보를 접수하여 표시한다.
다음으로 S102에서는 상기 S100에서 표시된 선택화면에서 스캔기능이 선택된 것을 표시하는 입력지시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화상 데이터의 축적요구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에 의해 스캔기능 이외의 것이 지시되면 S102에서 부정되고, S114에서 다른 처리가 실행된 후에, 본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스캔기능이 지시되면 S102에서 긍정되고, S104로 진행되고, 스캐닝 처리가 실행된다. 스캐닝 처리는 사용자가 준비한 원고(92)를 주사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이다. 스캐닝 처리가 종료되면, S106으로 진행하고, S104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보관장치(83)로 송신한다. 이 화상 데이터의 송신시에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의 위치를 표시하는 URL이나 IP어드레스 등도 함께 송신한다.
이로써, 화상 데이터의 축적요구를 행한다. 따라서, S100 내지 S106의 처리는 상기 도 3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S1)와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요구 데이터(D1)의 송신처리에 상당한다.
또한, 상기 S102 내지 S106에서는 원고(92)를 스캔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기억매체(94)로부터 리드라이트장치(12E)에서 읽어 들임으로써 화상 데이터를 얻어도 좋다. 이 경우, S102에서는 읽어 들이는 지시를 판단하고, S104에서는 독해처리를 실행하고, S106에서는 읽어 들인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다음의 S108에서는 상기 S106의 송신에 대응하는 반신이 데이터 보관장치(83)로부터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S108에서는 데이터 보관장치(83)로부터 S106의 송신에 대응하는 반신이 이루어지기까지, 부정을 반복하고, 긍정되면, S110으로 진행하고 인쇄 데이터의 생성처리를 실행한다. 인쇄 데이터의 생성처리는, 반신된 데이터를 어떠한 포맷(예를 들어 배치나 크기)으로 인쇄할지를 설정한 다음에, 그 설정한 포맷에 따른 인쇄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이다. 이 생성된 인쇄용 데이터를 다음의 S112에서 인쇄하여, 본 루틴을 종료한다. 반신된 데이터는 축적요구한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URL 등)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며, 사용자에게 격납위치를 인지시키기 위한 데이터이다. 또한, 인쇄 시에는 격납한 화상 파악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스캔한 화상의 일부를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112에서는 원고(92)의 화상 데이터를 축적요구하여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취지의 프린트(90)를 얻기까지 서비스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비용부과 처리를포함할 수 있다. 이 비용부과 처리는 일련의 서비스 또는 일부의 서비스에 대하여 미리 정한 비용부과액을 사용자에게 요구하여 징수하는 처리이다. 이 비용부과 처리는 상기 처리 전후에 개별적으로 처리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처리종료후에 징수하는 처리를 부가하여도 좋고, 상기 처리를 실행이전에 조기 징수하는 처리를 부가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가 축적을 요구한 원고의 화상 데이터의 격납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프린트(90)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S108 및 S110의 처리는 상기 도 3의 인쇄하는 처리S4에 상당한다.
도 4에는 데이터 보관장치(83)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의해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 인쇄되는 프린트(90)의 일례를 나타냈다. 프린트(90)는 인쇄영역(40, 42, 44, 46, 48, 5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상기 S110에서 설정되는 포맷으로서 스캔한 화상의 적어도 일부, 축적한 화상 데이터의 위치, 그 화상 데이터에 액세스 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인쇄하기 위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쇄영역(42)은 프린트(90)의 처리대상 원고의 일부 화상이 인쇄되는 영역이며, 인쇄영역(40)은 그 화상에 대한 표제가 인쇄되는 영역이다. 또한, 인쇄영역(42)에 인쇄하는 화상은, 스캔한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인쇄하여도 좋고, 해상도를 변경(예를 들어, 해상도를 감소)하여 인쇄하여도 좋고, 화상 데이터의 일부를 인쇄하여도 좋다. 또한, 이 인쇄영역(42)에 인쇄하는 화상의 화상 데이터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 스캔한 데이터를 이용하여도 좋고, 데이터 보관장치(83)로부터 접수하여도 좋다.
인쇄영역(44)은 원고(92)를 스캔하여 그 화상 데이터를 축적요구한 시각정보(본 실시예에서는 연월일 및 시각)를 인쇄하는 영역이다. 이 인쇄영역(44)에는 화상 데이터의 용량을 추가할 수 있다. 인쇄영역(46)은 축적된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URL 등)를 인쇄하는 영역이다. 도 4의 예에서는 격납위치(URL)로서 컴퓨터용 표기방법(ftp://fujixerox.co.jp/chikuseki/kokodesu)으로 인쇄된다.
인쇄영역(50)은 축적된 화상 데이터에 액세스할 때의 인증용 암호정보인 패스워드를 인쇄하는 영역이다. 인쇄영역(48)은 그 패스워드에 대한 표제가 인쇄되는 영역이다. 이 패스워드는 데이터 보관장치(83)에서 설정되어 관리되는 것이다.
또한, 프린트(90)에 인쇄하는 항목은, 적어도 화상 데이터의 축적위치(격납위치)와 그 화상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한 암호정보(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패스워드가 있으면 좋다.
다음으로 데이터 보관장치(83)의 처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처리루틴이 데이터 보관장치(83)에서 실행되고, S120에서 다른 장치로부터의 액세스 요구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액세스 요구가 이루어지기 까지 S120에서는 부정되고, 긍정되면 S122로 진행하고 그 액세스가 화상 데이터의 보관요구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관요구일 때에는, S122에서 긍정되고 S124로 진행하고, 부정되면 S136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S120 및 S122의 판단처리는 도 3의 데이터(D1)의 수신처리와 요구를 파악하는 처리(S2)에 상당한다.
S124에서는 축적요구된 화상 데이터 보관 장소를 설정하고, 다음의 S126에서보관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제한을 설정한다. S124에서는 기억장치((22J))로 격납하는 위치(URL 등)를 설정한다. 이 설정은 그 위치에 기억 영역을 확보함으로써 좋다. S126에서는 그 기억장치((22J))로 격납한 화상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한 암호정보(패스워드)를 생성하고 설정한다. 이 S126에서는 격납위치와 암호정보와의 대응 테이블을 생성하고 메모리(22K)에 기억하는 것이다.
다음의 S128에서는 요구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음의 S130에서 상기 설정한 보관 장소로 격납한다. 다음의 S132에서는 상기 S124에서 설정된 화상 데이터의 격납 위치를 표시하는 격납 정보를 생성하고, 다음의 S134에서 데이터 입출력장치(85)를 향하여 송신한다. 이 S134의 송신은 상기 S120에서 액세스 요구된 장치의 위치를 원래대로 하여 그 위치의 장치, 즉 데이터 입출력장치(85)로 반신하는 처리이다.
따라서, S124 내지 S130의 처리는 화상 데이터를 보관하는 도 3의 처리 S3에 상당한다. 또한, S132 및 S134의 처리는 도 3의 데이터D2의 송신처리에 상당한다.
이로써, 사용자로부터의 축적요구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를 격납하고, 격납한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URL)를 반신한다. 화상 데이터의 격납 및 격납 위치의 반신이 종료되면 본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S122에서 부정되면, S136에서 인증처리가 실행된다. S136의 처리는 기억장치((22J))에 격납한 화상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가 정규의 사용자로부터의 액세스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결과를 도출하는 처리이다. 즉, S136에서는 액세스 요구된 사용자(데이터 취출장치(84))에 대하여 암호정보인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구하고, 반신된 패스워드(입력 패스워드)를 입수함과 동시에, 메모리22K에 기억되어 있는 테이블을 참고하여 정규의 패스워드를 입수한다.
다음의 S138에서는 입력 패스워드와 정규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액세스 요구하고 있는 사용자가 화상 데이터를 축적요구한 사용자로 허락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138에서 긍정된 경우에는 S140으로 진행하고, 격납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액세스 요구된 장치(데이터 취출장치(84))를 향해 송신하여 루틴을 종료한다.
상기 S138에서 부정된 경우는, 정규 사용자가 아니기 때문에 에러 정보를 액세스 요구된 장치(데이터 취출장치(84))를 향해 송신하여 본 루틴을 종료한다. 이 에러 정보는 요구된 화상 데이터로의 액세스를 실시할 수 없음을 표시하는 데이터이며, 예를 들어 패스워드가 다른 점을 표시하는 메시지 정보가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S120, S122 및 S136 내지 S140의 처리가 도 3의 데이터(D3)의 수신처리와 그 요구를 파악하는 처리(S6)에 상당한다. 또한, S138의 부정판단에 의한 S142도 데이터(D4)의 송신처리에 상당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취출장치(84)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처리 루틴이 데이터 취출장치(84)에서 실행되고, 먼저 S150에서 데이터 보관장치(83)에 대한 액세스 요구를 위한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를 지정한다. 사용자는 프린트(90)를 참조하여 데이터 보관장치(83)의 기억장치((22J))의 격납위치(URL)를 입력함으로써 지정한다. 다음의 S152에서는 데이터 요구처리를 실행한다. 데이터 요구처리는 상기 S150에서 지정한 격납 위치를 데이터로서송신함으로써, 화상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요구를 행한다. 이 때, 데이터 보관장치(83)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 처리가 실행되고, 인증을 위한 패스워드 입력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S152에서는 상술한 인증처리를 위한 패스워드 입력 처리를 포함하는 것이다.
다음의 S154에서는 데이터 보관장치(83)로부터 반신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기까지 부정판단을 반복하고, 긍정되면 S156으로 진행하고, 요구한 화상 데이터를 접수한다. 이와 함께,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는, 예를 들어 표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등의 유틸리티(대응처리)를 실행하여 본 루틴을 종료한다.
따라서, S150 내지 S156의 처리가 도 3의 데이터(D4)의 수신 처리와 그 화상 데이터를 확인하는 처리(S8)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 의해 축적을 희망하는 원고를 읽어 들여 그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보관장치(83)로 송신한다. 데이터 보관장치(83)에서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장치((22J))에 격납하고, 그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가 데이터 입출력장치(85)를 향해 송신된다. 화상 데이터의 격납 위치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 접수하며 이것을 인쇄한다. 따라서, 원고(92)를 읽어 들인 위치(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 그 원고(92)를 읽어 들인 화상 데이터의 격납 위치를 프린트(90)로서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의도하는 장소에서 화상 데이터를 취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축적된 화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나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기와 같은 논리적 및 물리적으로 있는 장소가 부정한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서 취출할 수 있고, 그 취출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자의 이용 형태에 따라서 적절히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128 내지 S134의 처리는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를 축적하고, 액세스 정보, 인쇄 지시,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 광고 정보 등을 외부 장치(예를 들어, 데이터 입출력장치(85))로 송신하는 것에 상당한다. 또한, 디지털 데이터에는 정지화상이나 동화상 등의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격납 정보를 송신할 때에 격납한 화상의 적어도 일부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은 본 발명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 상당한다.
또한, S132에서 생성하는 격납 정보는 복수의 데이터, 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의 격납 위치(URL 등)를 복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134에서 송신하는 화상 데이터로서는 격납할 화상 데이터가 복수의 화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미리 정한 화상, 예를 들어 선두 페이지의 화상, 최종 페이지의 화상, 미리 정한 페이지의 화상 및 사용자 지정 페이지의 화상 중 어느 화상을 대표화상으로 사용하여도 좋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와 거의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린트(90)에 데이터 보관장치(83)로부터 접수한 격납 위치를 하나 인쇄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인쇄하는 것이다.본 실시예는 축적한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사용자에게 배포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도 8에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보관장치(83)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의해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 인쇄되는 프린트(90A)의 일례를 표시하였다. 프린트(90A)는 세 개의 동일 프린트 영역(90-1, 90-2, 90-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동일 프린트 영역의 수량은 세 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2개 또는 4개 이상이어도 좋다. 이들 세 개의 동일한 프린트 영역(90-1, 90-2, 90-3)은 절단선(54)에 의해 분단되고 수용된다.
제1프린트 영역(90-1)은 인쇄영역(42A, 44A, 46A, 5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쇄영역(42A)은 프린트(90)의 인쇄영역(42)과 마찬가지로 처리대상의 원고 일부의 화상이 인쇄되는 영역이다. 인쇄영역(44A)은 원고(92)를 스캔하여 그 화상 데이터를 축적한 점의 메시지를 인쇄하는 영역이다. 인쇄영역(46A)은 프린트(90)의 인쇄영역(46)과 마찬가지로 축적된 화상 데이터의 격납 위치(URL 등)를 인쇄하는 영역이다. 인쇄영역(52)은 프린트(90A)에서 추가된 항목이며, 축적한 화상 데이터의 유효기한(본 실시예에서는 연월일 및 시각)을 인쇄하는 영역이다. 인쇄영역(52)에 인쇄되는 유효기한은 축적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기한이며, 그 기한은 데이터 보관장치(83)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제2프린트영역(90-2) 및 제3프린트영역(90-3)은 제1프린트영역(90-1)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프린트(90A)를 얻기 위해서는 각 장치에서 다음과 같이 실행되면 좋다.
데이터 보관장치(83)에서는 도 6의 S126에서 설정하는 액세스 제한으로서 암호정보(패스워드) 대용으로 화상 데이터를 보관하는 유효기한을 설정한다. 또한, 이 설정은 암호정보(패스워드)를 조합하여도 좋다. 또한, S126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보관하는 유효기한을 생성하고, 메모리(22K)에 기억하지만, 그 유효기한의 관리는, 별도 데이터 보관장치(83)에서 행할 필요가 있다. 이 관리는 데이터 보관장치(83)에서 타이머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타이머에 의거하여 유효기한의 동안,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면 좋다. 유효기한을 초과한 때에는 삭제하거나 이동하는 미리 정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축적요구한 사용자에게 유효기한 후의 처리를 미리 설정시키거나 유효기한 근방에 사용자에게 질문할 수도 있다.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는 도 6의 S110에서 생성하는 인쇄 데이터의 생성처리로서 도 4의 포맷에서 도 8의 포맷으로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세 개의 동일 프린트영역(90-1, 90-2, 90-3)과 그 사이의 절단선(54)으로 이루어진 포맷에 의한 인쇄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생성된 인쇄용 데이터를 인쇄함으로써, 도 8의 프린트(90A)를 얻을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축적을 요구한 원고의 화상 데이터의 격납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프린트(90A)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 복수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인쇄 데이터를 생성처리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데이터 보관장치에서 포맷한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입출력장치(85)로송신하고, 이것을 수신한 데이터 입출력장치(85)가 한 페이지를 인쇄하는 것만으로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하나의 화상으로서 단일 화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 화상으로 구성한 복합 화상이어도 좋다. 이 복합 화상은 데이터 보관장치에서 편집 처리를 한 후에 생성된 화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한 페이지에 동일 화상을 복수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 화상이 복수 페이지에 걸치도록 복수로 구성하여도 좋다.
[제3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와 거의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축적 장소(격납 위치)를 인쇄하여 프린트(90)를 얻은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축적 서버에 축적시키고, 그 축적 서버의 위치를 인쇄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임의의 축적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도 9에는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보관장치(83)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의해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 인쇄되는 프린트(90B)의 일례를 나타냈다. 프린트(90B)와 프린트(90)의 차이점은 인쇄영역에 인쇄될 내용이며, 구체적으로는 인쇄영역(44, 46, 48, 50)로부터 인쇄영역(44B, 46B, 48B, 50B)으로 변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적 서버가 개설한 홈페이지의 URL을 격납 위치로 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인쇄영역(44B)은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위치가 홈페이지인 점과 독해처리(다운로드)하는 점의 표제가 인쇄되는 영역이다. 인쇄영역(46B)은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홈페이지의 위치(URL 등)을 인쇄하는 영역이다. 도 9의 예에서는 컴퓨터용 표기방법(http://fujixerox.co.jp/chikuseki/kokodesu)로 인쇄된다.
인쇄영역(50B)은 홈페이지에 액세스할 때의 인증용 암호정보인 패스워드를 인쇄하는 영역이며, 인쇄영역(48B)은 그 패스워드에 대한 표제가 인쇄되는 영역이다. 이 패스워드는 데이터 보관장치(83)에서 설정되고 관리되어도 좋고, 축적 서버측에서 설정되고 관리되어도 좋다.
상기 프린트(90B)를 얻기 위해서는 데이터 보관장치(83)에서 다음과 같은 실행되면 좋다.
데이터 보관장치(83)에서는 도 6의 S124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의 보관 장소의 설정으로서 기억장치((22J))에서 미리 정한 축적 서버나 홈페이지를 격납하는 위치(URL 등)로서 설정한다. 그리고, 도 6의 S130에서 화상 데이터를 격납하는 처리로서, 미리 정한 축적 서버나 홈페이지에 대하여 격납 요구를 행하고,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때 암호정보(패스워드)를 함께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사용자가 축적을 요구한 원고의 화상 데이터의 격납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프린트(90B)를 얻을 수 있다.
[제4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와 거의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린트(90)에, 축적요구한 원고(92)의 화상 데이터에 관련된 데이터, 즉 데이터 보관장치(83)로부터 접수한 격납 위치를 인쇄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추가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시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도 10에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 인쇄되는 프린트(90C)의 일례를 나타냈다. 프린트(90C)는 두 개의 프린트영역(56, 58)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동일 프린트영역의 수량은 세 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두 개 또는 네 개 이상이어도 좋다. 이들 두 개의 프린트영역(56, 58)은 절단선(55)에 의해 분단되고 수용된다. 프린트영역(56)은 프린트(90)의 인쇄영역과 마찬가지로 인쇄영역(44, 46)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린트영역(58)은 광고정보의 인쇄영역(60)과 할인정보(쿠폰권)의 인쇄영역(6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쇄영역(60)은 제조자(Maker)나 기업체, 그리고 정보발신을 희망하는 그룹 등에 의해 제작된 광고정보를 인쇄하는 영역이며, 텍스트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가 인쇄된다. 이 인쇄영역(60)에 인쇄되는 광고정보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 설정되고 관리되어도 좋고, 데이터 보관장치(83)에서 설정되고 관리되어도 좋고, 다른 컴퓨터측에서 설정되고 관리되어도 좋다.
인쇄영역(62)은 제조자나 기업체, 그리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룹 등에 의해 제작된 할인정보를 인쇄하는 영역이며, 텍스트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가 인쇄된다. 이 인쇄영역(62)에 인쇄되는 할인정보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 설정되고 관리되어도 좋고, 데이터 보관장치(83)에서 설정되고 관리되어도 좋고, 다른 컴퓨터측에서 설정되고 관리되어도 좋다.
상기 프린트(90C)를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 다음과 같이 구성 및 기능 실행되면 좋다.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는 도 5의 S110에서 생성하는 인쇄 데이터의 생성처리로서 도 4의 포맷에서 도 10의 포맷으로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두 개의 프린트영역(56, 58)과 그 사이의 절단선(55)으로 이루어진 포맷에 의한 인쇄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S110에서는 프린트영역(58)으로 광고 정보 및 할인 정보를 인쇄시키기 위하여, 이들 정보를 기억장치로부터 읽어 들이는 처리를 추가한다.
즉, 광고정보나 할인정보의 읽어 들임을 실현하기 위하여, 광고정보 및 할인정보의 데이터를 기억장치(예를 들어, 메모리(12H))에 미리 기억하여 데이터 입출력장치(85)를 구성한다. 따라서, S110에서는 데이터 보관장치(83)로부터 접수한 데이터와 기억장치(예를 들어, 메모리(12H))로부터 읽어 들인 광고정보 및 할인정보를 광고정보, 할인정보 및 화상 데이터의 격납정보로 이루어지는 인쇄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생성된 인쇄용 데이터를 인쇄함으로써, 도 10의 프린트(90C)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광고정보 및 할인정보는 기억매체(94)에 격납하여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서 이것을 읽어 들여 기억 보호 유지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에서는 데이터 입출력장치(85)에 광고정보 및 할인정보를 미리 기억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보관장치(83)로부터 수신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보관장치(83)에서는 도 6의 S134에서 송신하는 격납정보에 광고정보 및 할인정보를 추가하면 좋다.
또한, 광고정보 및 할인정보는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광고정보 및 할인정보는 이들 조합을 동일한 층에 기억하는 것을 한정하지 않는다. 즉, 광고정보 및 할인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네트워크(88)에 접속된 장치의 어딘가에 기억되어 있으면 좋다.
이로써, 사용자가 축적을 요구한 원고의 화상 데이터의 격납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추가한 프린트(90C)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축적을 요구한 원고의 화상 데이터가 격납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프린트에 광고정보나 할인정보를 추가하고 있다. 이 광고정보나 할인정보를 추가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한 비용부과 처리의 비용부과액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광고정보를 추가한 프린트(90C)를 제공하는 경우에, 비용부과액을 감액한다. 이에 의해, 통상의 비용부과액 보다 감액되고, 사용자의 이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비용부과액의 변경은 비용부과 각 전체에 행하여도 좋고, 분류된 비용부과액(예를 들어, 스캔요금이나 축적요금)마다 일정 금액의 변경이나 할인율의 설정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읽어 들임으로써 얻은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격납하고 축적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읽어 들임으로써 얻은 화상 데이터를 미리 정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서비스를 추가하여도 좋다. 일예로서, 비트맵 형식의 화상 데이터를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서 주로 이용되는 압축데이터(예를 들어, JPEG데이터)로 변환하거나 격납하는 서비스가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가 다색의 화상 데이터인 경우에 색상 수를 감소시키는 서비스도 프린트를 인쇄하거나 컴퓨터에서 표시하는 기종의존을 고려하면 바람직한 것이다. 즉, 화상 데이터의 생성시 장치의 종류나 사양 및 출력하는 장치의 종류나 사양에 관계없이, 표시나 프린트를 사용자의 지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들 서비스를 추가한 경우에는 상술한 비용부과 처리를 서비스 정도에 따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실시예의 수정이나 대용을 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을 통해 화상 데이터의 축적을 요구하여 축적된 화상 데이터의 격납 위치 정보가 인쇄 매체에 인쇄되므로, 사용자는 화상 데이터의 격납 위치 파악이 용이함과 동시에 인쇄물을 참고하고,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을 통해 완료정보에 의한 축적 장치에 대하여 접속하고 화상 데이터를 취출하는 것이 용이해 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26)

  1.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디지털 데이터를 축적하고,
    축적한 디지털 데이터의 축적 장소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 및 상기 액세스 정보의 인쇄 지시를 인쇄기능을 가지는 외부장치를 향하여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방법.
  2.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디지털 데이터를 축적하고,
    축적한 디지털 데이터의 축적 장소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인쇄정보를 가지는 외부장치를 향하여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방법.
  3.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디지털 데이터를 축적하고,
    축적한 디지털 데이터의 축적 장소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 및 광고정보를 인쇄기능을 가지는 외부장치를 향하여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정보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축적된 축적 장소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정보는 축적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참조를 허락하기 위한 암호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정보를 단일 페이지의 화상에 복수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정보를 복수 페이지의 화상에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합성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이며,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편집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는 복수 페이지의 화상을 가지며,
    화상 데이터의 편집이라는 것은 복수 페이지의 화상을 단일 페이지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편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의 편집은 동일 화상을 복수 개소에 포함시키는 편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동일 화상을 동일 페이지의 복수 개소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동일 화상을 복수 페이지에 걸쳐서 복수 개소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방법.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복수 페이지를 가지는 화상 데이터이며,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화상 데이터가 가지는 소정 페이지의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소정 페이지의 화상이라는 것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선두 또는 최종 페이지의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방법.
  16. 제3항에 있어서,
    정보축적에 관계하는 요금의 요금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방법.
  17.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축적되는 외부장치에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하고,
    송신되어 상기 외부장치에 축적된 디지털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처리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액세스 정보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처리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이며,
    입력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축적하고,
    축적된 디지털 데이터와 수신된 액세스 정보를 합성하여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처리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이며,
    입력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편집하여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처리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수신한 액세스 정보와 미리 축적되어 있거나 또는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된 광고정보를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처리방법.
  22.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하고,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축적하고,
    축적한 디지털 데이터의 축적 장소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 및 상기 액세스 정보의 인쇄 지시를 인쇄기능을 가지는 외부장치를 향하여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장치.
  23.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하고,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축적하고,
    축적한 디지털 데이터의 축적 장소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인쇄기능을 가지는 외부장치를 향하여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장치.
  24.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하고,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축적하고,
    축적한 디지털 데이터의 축적 장소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 및 광고정보를 인쇄기능을 가지는 외부장치를 향하여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축적장치.
  25.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하고,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축적되는 외부장치에 통신회선을 통해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하고,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되어, 상기 외부장치에 축적된 디지털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인쇄수단에 의해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처리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액세스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처리장치.
KR1020020008157A 2001-06-20 2002-02-15 정보축적방법, 디지털 데이터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665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87406A JP2003006610A (ja) 2001-06-20 2001-06-20 情報蓄積方法、デジタルデータ処理方法及び装置
JPJP-P-2001-00187406 2001-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848A true KR20020096848A (ko) 2002-12-31
KR100665982B1 KR100665982B1 (ko) 2007-01-09

Family

ID=19026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157A KR100665982B1 (ko) 2001-06-20 2002-02-15 정보축적방법, 디지털 데이터 처리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20198954A1 (ko)
JP (1) JP2003006610A (ko)
KR (1) KR100665982B1 (ko)
CN (1) CN100543718C (ko)
TW (1) TWI2570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8726A (ja) * 2002-06-26 2004-03-18 Casio Comput Co Ltd ネットワークプリントシステム
KR20060009677A (ko) * 2004-07-26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균일 자원 로케이터 제공 방법 및 네트워크 스캐너
JP4847278B2 (ja) * 2006-10-26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4295328B2 (ja) * 2007-02-19 2009-07-1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KR20080113498A (ko) * 2007-06-25 2008-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스캔장치 및 방법
KR20100049474A (ko) * 2008-11-03 201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른 디바이스로 이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672803B2 (ja) * 2010-07-08 2015-02-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906594B2 (ja) * 2010-08-31 2016-04-20 株式会社リコー 連携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連携制御方法、連携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712562B2 (ja) * 2010-10-29 2015-05-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コンテンツ出力システム、コンテンツサーバー、および、コンテンツ出力方法
JP5609544B2 (ja) * 2010-10-29 2014-10-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入力システム、コンテンツサーバー、仲介サーバー、および、画像入力方法
JP6067252B2 (ja) * 2012-06-22 2017-01-25 シャープ株式会社 スキャンサービス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14103B2 (ja) * 2016-02-29 2018-10-3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保存システムおよび画像保存方法
JP6339167B2 (ja) * 2016-12-20 2018-06-06 シャープ株式会社 複合機、スキャンサービス方法及びスキャンサービス用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1350A (en) * 1989-10-10 1994-04-05 Unisys Corporation Real time storage/retrieval subsystem for document processing in banking operations
US5933829A (en) * 1996-11-08 1999-08-03 Neomedia Technologies, Inc. Automatic access of electronic information through secure machine-readable codes on printed documents
US5910988A (en) * 1997-08-27 1999-06-08 Csp Holdings, Inc. Remote image capture with centralized processing and storage
JP3716645B2 (ja) * 1998-10-28 2005-11-1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771385B1 (en) * 1999-03-03 2004-08-03 Konica Corporation Method of using a server connected with a network and a server system
US6965855B1 (en) * 1999-05-17 2005-11-1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system and device design and control
US6865608B2 (en) * 2000-03-31 2005-03-08 Neomedia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simplified access to internet content on a wireless device
JP2001320654A (ja) * 2000-05-11 2001-11-16 Konica Corp フォト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画像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98954A1 (en) 2002-12-26
JP2003006610A (ja) 2003-01-10
KR100665982B1 (ko) 2007-01-09
CN1392495A (zh) 2003-01-22
TWI257045B (en) 2006-06-21
CN100543718C (zh)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69183B (zh) 服务器装置、要求处理方法以及要求处理系统
US7271928B2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image server,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and image system
KR100665982B1 (ko) 정보축적방법, 디지털 데이터 처리방법 및 장치
US7433916B2 (en) Serv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04013361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hich performs data keeping servi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ep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6980668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nabling electronic watermarking, and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able to such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030050893A1 (en) Digital contents provision system, server device incorporated in the system, digital contents provision method using the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CN101344838B (zh) 数据处理方法和数据处理系统
EP1351166A2 (en) Information processing
CA2229828C (en) Edited image printing system and method
US6789113B1 (en) Information input/output system, information input/output method, recording medium of recording information transmitting/receiving progra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400030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making computer implement that method
EP0965929A2 (en) Image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1175138A (zh) 信息处理设备、图像日志管理设备及图像日志管理系统
EP1603320B1 (en) Edited image printing system and method
US6819441B2 (en) Digital integrated apparatus and image control system
JP3814508B2 (ja) 電子アルバム公開システム、電子アルバム管理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4206345A (ja) 画像管理システム、画像管理サーバ、端末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03018973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nd storage medium that stores program to be readable by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01127068A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器、信息处理方法和记录介质
EP1480443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determination of originality of contents data and method therefore
JP4407436B2 (ja) 画像出力装置および画像出力方法
KR100386014B1 (ko) 온라인 출판물의 이미지 제공 방법
JPH11259484A (ja) 簡易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JP4603644B2 (ja) 情報処理装置、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