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45Y1 -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45Y1
KR200200945Y1 KR2020000014934U KR20000014934U KR200200945Y1 KR 200200945 Y1 KR200200945 Y1 KR 200200945Y1 KR 2020000014934 U KR2020000014934 U KR 2020000014934U KR 20000014934 U KR20000014934 U KR 20000014934U KR 200200945 Y1 KR200200945 Y1 KR 2002009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upport
corner
concrete structure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9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수
Original Assignee
서용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2513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81681B1/ko
Application filed by 서용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용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49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9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의 거푸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거푸집을 'ㄱ' 자 형상으로 두 개를 서로 겹친 상태에서 모서리부분에 면귀부재를 대고서 고정핀으로 고정시키고, 거푸집에 수평으로 덧대진 측면보강부재에 모서리보강수단으로 체결하여 고정시킨 후, 측면가압수단 및 보조모서리 보강수단을 설치하여서 거푸집을 보강하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장치{ Form Work Device Of Concrete Structure }
본 고안은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거푸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거푸집을 'ㄱ' 자 형상으로 두 개를 서로 겹친 상태에서 모서리부분에 면귀부재를 대고서 고정핀으로 고정시키고, 거푸집에 수평으로 덧대진 측면보강부재에 모서리보강수단으로 체결하여 고정시킨 후, 측면가압수단 및 보조모서리 보강수단을 설치하여서 거푸집을 보강하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하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이라는 건축기구물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벽체 혹은 내력기둥 등을 형성할 때, 콘크리트의 외곽면을 지지하여 평면을 형성하여 주는 콘크리전용 보강체이다.
상기한 거푸집은 초기에는 나무, 특히, 합판을 사용하여 판재로 이용하고 목재빔등을 사용하여 지지대로 사용하여서 거푸집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다가 최근에는 금속판재를 사용하고 그 이외의 보강재를 덧대어서 거푸집으로 사용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상기 목재빔을 사용하여 거푸집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목재 거푸집을 고정하여 눌러주는 별도의 보강수단이 많이 필요할 뿐 만아니라 목재의 경우에는 가격이 비싸고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내구성이 약하여서 전체적인 공정에 분리한 절감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이와 같이, 최근에는 목재 대신에 금속재질을 사용하여 공사를 진행하는 추세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금속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거푸집이 연결되는 부분과 모서리부분 및 측면부분을 적절하게 보강하지 못하여 정밀한 콘크리트구조물에는 제대로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거푸집을 'ㄱ' 자 형상으로 두 개를 서로 겹친 상태에서 모서리부분에 면귀부재를 대고서 고정핀으로 고정시키고, 거푸집에 수평으로 덧대진 측면보강부재에 모서리보강수단으로 체결하여 고정시킨 후, 측면가압수단 및 보조모서리 보강수단을 설치하여서 거푸집을 보강하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장치에서 분리되는 부분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장치의 측면보강수단을 보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측면보강수단의 조립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모서리보강수단의 조립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거푸집 12 : 지지패널
14 : 수직 보강재 20 : 측면 보강재
22 : 요홈부 24 : 코너 커넥터
30 : 모서리 보강수단 32 : 지지체
34 : 고정나사축 36 : 고정볼트
37 : 끼움공 40 : 면귀부재
42 : 고정핀 지지부 50 : 모서리 지지대
60 : 측면 보강부재 62 : 지지부재
65 : 가압보강재 67 : 고정볼트
70 : 보조 모서리 보강수단
이러한 목적은 프레임부재의 내측면에 콘크리트에 접촉되는 지지패널을 형성하고, 수직으로 수직보강재를 보강하여 콘크리트구조물을 형성하는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수직보강재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일정한 상,하간격으로 요홈부를 갖도록 형성된 측면보강재와; 상기 각각의 거푸집의 프레임부재에 접촉되어서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모서리지지대와; 상기 두 개의 거푸집의 모서리 부분에 일정 각도로 절곡된 고정핀지지부가 돌출되어서 프레임부재에 접촉되어지고, 모서리지지대의 통공, 고정핀지지부의 끼움공 및 프레임부재의 통공으로 끼워진 고정핀에 의하여 콘크리트구조물의 모서리 부분을 경사지게 형상하는 면귀부재와; 상기 각각의 거푸집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측면보강재의 요홈부에 삽입되어서 거푸집의 모서리 부분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모서리보강수단과; 상기 각각의 거푸집의 측면부분에 측면보강재를 가압하여 거푸집의 연결부위를 가압하여 보강하는 측면보강부재와; 상기 모서리보강수단이 설치된 거푸집의 다른 모서리부분 보강을 위하여 측면보강재의 요홈부에 고정 설치되는 보조모서리보강수단으로 구성된 콘크리트구조물의 거푸집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장치에서 분리되는 부분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장치의 측면보강수단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측면보강수단의 조립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모서리보강수단의 조립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프레임부재(16)의 내측면에 콘크리트에 접촉되는 지지패널(12)을 형성하고, 수직으로 수직보강재(14)를 보강하여 콘크리트구조물(80)을 형성하는 거푸집(10)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10)의 수직보강재(14)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일정한 상,하간격으로 요홈부(22)를 갖도록 형성된 측면보강재(20)와; 상기 각각의 거푸집(10)의 프레임부재(16)에 접촉되어서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다수의 통공(18)이 형성된 모서리지지대(50)와; 상기 두 개의 거푸집(10)의 모서리 부분에 일정 각도로 절곡된 고정핀지지부(42)가 돌출되어서 프레임부재(16)에 접촉되어지고, 모서리지지대(50)의 통공(52), 고정핀지지부(42)의 끼움공(44) 및 프레임부재(16)의 통공(18)으로 끼워진 고정핀(19)에 의하여 콘크리트구조물(80)의 모서리 부분을 경사지게 형상하는 면귀부재(40)와; 상기 각각의 거푸집(1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측면보강재(20)의 요홈부(22)에 삽입되어서 거푸집(10)의 모서리 부분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모서리보강수단(30)과; 상기 각각의 거푸집(10)의 측면부분에 측면보강재(20)를 가압하여 거푸집(10)의 연결부위(17)를 가압하여 보강하는 측면보강부재(60)와; 상기 모서리보강수단(30)이 설치된 거푸집(10)의 다른 모서리부분에 보강을 위하여 측면보강재(20)의 요홈부(22)에 고정 설치되는 보조모서리보강수단(7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보강수단(30)은, 상기 각각의 측면보강재(20)의 요홈부 (22)에 대칭 방향으로 삽입되어 측면보강재(20)의 삽입공(27)으로 삽입되어 관통공(38)으로 삽입된 고정핀(38)으로 고정되고, 수평으로 관통된 끼움공(37)을 형성하는 지지체(32)와; 상기 대응된 각각의 지지체(70)의 끼움공(37)에 삽입되는 고정나사축(34)과; 상기 고정나사축(34)에 각각 체결되어 각각의 지지체(32)를 서로 당겨주어서 서로 다른 두 개의 거푸집(10)의 모서리부분을 고정 시켜주는 고정볼트(3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보강수단(60)은, 거푸집(10) 연결부위(17)의 측면보강재(20)의 요홈부(22)에 삽입되어 측면보강재(20)의 끼움공(26)으로 끼워진 고정핀(38)에 의하여 고정되고 일측으로 숫나사부(63)가 형성된 지지부재(62)와; 상기 지지부재(62)의 숫나사부(63)가 삽입장공(66)으로 돌출되어서 숫나사부(63)에 체결된 고정볼트(67)에 의하여 측면보강재(20)의 측면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보강재(6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모서리 보강수단(70)은, 상기 각각의 측면보강재(20)의 요홈부(22)에 대칭 방향으로 삽입되어 측면보강재(20)로 삽입되는 고정핀(72)에 의해 고정되고, 걸림턱부(76)에 의하여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고정되는 보조지지체(74)와; 상기 대응된 각각의 보조지지체(70)에 삽입되는 고정나사축(77)과; 상기 고정나사축(34)에 각각 체결되어 각각의 보조지지체(32)를 서로 당겨주어 서로 다른 두 개의 거푸집(10)의 모서리부분을 고정 시켜주는 고정볼트(78)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장치의 사용 상태를 살펴 보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을 형성하기 위하여 두 개의 거푸집(10)을 서로 겹쳐서 모서리 부분에 모서리 지지대(50)를 위치 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거푸집(10)에 위치를 맞춘 후에 모서리부분 내측면에 면귀부재(40)를 설치하여서 고정핀지지부(42)가 프레임부재(16)와 모서리지지대 (5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핀(19)을 모서리지지대(50)의 통공(52), 고정핀지지부(42)의 끼움공(44) 및 프레임부재(16)의 통공(18)으로 끼워서 고정시키도록 한다.
그런 후에 상기 거푸집(10)의 측면보강재(20)의 요홈부(22)에 모서리보강수단(30)인 지지체(32)를 삽입하고, 상부로부터 고정핀(38)을 삽입하여 관통공(38)으로 끼워서 서로 다른 두 개의 지지체(32)를 대응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나사축(34)을 지지체(32)의 끼움공(37)을 통하여 삽입하여 끼운 후에 반대측 끝단 부분에서 삽입하여서 고정볼트(36)로 강한 힘을 가하여 체결하면, 지지체(30)가 당겨지면서 측면보강재(20)를 밀어주어서 서로 다른 두 개의 거푸집(10)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0)의 공간부내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타설하게 되면, 그 압력이 매우 크므로 상기 거푸집(10)의 연결부위(17)가 약간 볼록하게 외측으로 벌려지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측면보강재(20)의 요홈부(22) 내에 지지부재(64)를 삽입하여 측면보강재(20)의 끼움공(26)에 고정핀(38)을 삽입하여 지지부재(64)의 삽입공(64)으로 끼워서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62)의 숫나사부(63)를 통하여 가압보강재(65)의 삽입장공(66)을 끼워서 고정시킨 후에 고정볼트(67)를 나사로 조여 주면, 가압보강재(65)가 당겨지면서 측면보강재(20)를 밀어주어서 거푸집(12)의 연결부위 (17)가 미세한 량이나마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모서리보강수단(70)이 설치되는 거푸집(10)의 모서리에는 측면보강재(20)의 요홈부(22)에 별도의 코너커넥터(24)를 삽입하여 위치를 보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코너커넥터(24) 만으로 충분하게 거푸집(10)의 모서리부분을 보강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보조 모서리 보강수단(70)중에서 보조지지체(74)를 코너커넥터(24)의 홈부에 삽입하여 위치를 잡은 후에 고정핀(72)을 측면보강재(20)와 지지체(32)에 삽입하여 각각의 보조지지체(74)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나사축(77)을 보조지지체(74)에 삽입하여 끼운후에 양측 끝탄부에서 고정볼트(78)를 체결하여 보조지지체(74)를 당겨주어서 거푸집(10)의 모서리부분을 보조적으로 보강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의 거푸집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거푸집을 '??' 자 형상으로 두 개를 서로 겹친 상태에서 모서리부분에 면귀부재를 대고서 고정핀으로 고정시키고, 거푸집에 수평으로 덧대진 측면보강부재에 모서리보강수단으로 체결하여 고정 시킨 후, 측면가압수단 및 보조모서리 보강수단을 설치하여서 거푸집을 보강하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4)

  1. 프레임부재(16)의 내측면에 콘크리트에 접촉되는 지지패널(12)을 형성하고, 수직으로 수직보강재(14)를 보강하여 콘크리트구조물(80)을 형성하는 거푸집(10)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10)의 수직보강재(14)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일정한 상,하간격으로 요홈부(22)를 갖도록 형성된 측면보강재(20)와;
    상기 각각의 거푸집(10)의 프레임부재(16)에 접촉되어서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다수의 통공(18)이 형성된 모서리지지대(50)와;
    상기 두 개의 거푸집(10)의 모서리 부분에 일정 각도로 절곡된 고정핀지지부(42)가 돌출되어서 프레임부재(16)에 접촉되어지고, 모서리지지대(50)의 통공(52), 고정핀지지부(42)의 끼움공(44) 및 프레임부재(16)의 통공(18)으로 끼워진 고정핀(19)에 의하여 콘크리트구조물(80)의 모서리 부분을 경사지게 형상하는 면귀부재(40)와;
    상기 각각의 거푸집(1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측면보강재(20)의 요홈부 (22)에 삽입되어서 거푸집(10)의 모서리 부분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모서리보강수단 (30)과;
    상기 각각의 거푸집(10)의 측면부분에 측면보강재(20)를 가압하여 거푸집(10)의 연결부위(17)를 가압하여 보강하는 측면보강부재(60)와;
    상기 모서리보강수단(30)이 설치된 거푸집(10)의 다른 모서리부분에 보강을 위하여 측면보강재(20)의 요홈부(22)에 고정 설치되는 보조모서리보강수단(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의 거푸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보강수단(30)은, 상기 거푸집(10)으로 접촉되는 부위에서 각각의 측면보강재(20)의 요홈부(22)에 대칭 방향으로 삽입되어 측면보강재(20)의 삽입공(27)으로 삽입되어 관통공(38)으로 삽입된 고정핀(38)으로 고정되고, 수평으로 관통된 끼움공(37)을 형성하는 지지체(32)와; 상기 대응된 각각의 지지체(70)의 끼움공(37)에 삽입되는 고정나사축(34)과; 상기 고정나사축(34)에 각각 체결되어 각각의 지지체(32)를 서로 당겨주어서 서로 다른 두 개의 거푸집(10)의 모서리부분을 고정 시켜주는 고정볼트(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보강수단(60)은, 거푸집(10) 연결부위(17)의 측면보강재(20)의 요홈부(22)에 삽입되어 측면보강재(20)의 끼움공(26)으로 끼워진 고정핀(38)에 의하여 고정되고 일측으로 숫나사부(63)가 형성된 지지부재(62)와; 상기 지지부재(62)의 숫나사부(63)가 삽입장공(66)으로 돌출되어서 숫나사부(63)에 체결된 고정볼트(67)에 의하여 측면보강재(20)의 측면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보강재(6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의 거푸집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모서리 보강수단(70)은, 상기 측면보강재(20)의 요홈부(22)에 대칭 방향으로 삽입되어 측면보강재(20)로 삽입되는 고정핀(72)에 의해 고정되고, 걸림턱부(76)에 의하여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고정되는 보조지지체 (74)와; 상기 대응된 각각의 보조지지체(70)에 삽입되는 고정나사축(77)과; 상기 고정나사축(34)에 각각 체결되어 각각의 보조지지체(32)를 서로 당겨주어 서로 다른 두 개의 거푸집(10)의 모서리부분을 고정 시켜주는 고정볼트(7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장치.
KR2020000014934U 2000-05-10 2000-05-26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장치 KR2002009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934U KR200200945Y1 (ko) 2000-05-10 2000-05-26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131A KR100381681B1 (ko) 2000-05-10 2000-05-10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장치
KR2020000014934U KR200200945Y1 (ko) 2000-05-10 2000-05-26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131A Division KR100381681B1 (ko) 2000-05-10 2000-05-10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5Y1 true KR200200945Y1 (ko) 2000-10-16

Family

ID=2663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934U KR200200945Y1 (ko) 2000-05-10 2000-05-26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45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555A (ko) * 2001-03-06 2001-06-05 류왕수 합성수지계 우물통 거푸집의 2중화 공법
KR100638846B1 (ko) 2005-06-30 2006-10-25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기둥폼
KR100662815B1 (ko) * 2004-08-30 2006-12-28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수직 구조물용 기둥폼
KR100943424B1 (ko) 2009-11-27 2010-02-19 주식회사종합기술건축사사무소도원 앵커를 이용한 모서리 연결방식의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체결구조
KR101139014B1 (ko) 2010-08-30 2012-04-26 서보산업 주식회사 가변형 기둥폼
KR101612918B1 (ko) * 2015-02-02 2016-04-15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건축물의 기둥 축조를 위한 거푸집 결속장치
KR101642484B1 (ko) * 2015-04-14 2016-07-26 (주)케이테코 멀티 코너 타이 브라켓
KR20160003777U (ko) * 2015-04-23 2016-11-02 주식회사 동신텍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CN111827674A (zh) * 2020-07-30 2020-10-27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桥梁柱墩模板加固装置
CN112252762A (zh) * 2020-10-30 2021-01-22 蔡庸刚 一种拐角加固件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555A (ko) * 2001-03-06 2001-06-05 류왕수 합성수지계 우물통 거푸집의 2중화 공법
KR100662815B1 (ko) * 2004-08-30 2006-12-28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수직 구조물용 기둥폼
KR100638846B1 (ko) 2005-06-30 2006-10-25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기둥폼
KR100943424B1 (ko) 2009-11-27 2010-02-19 주식회사종합기술건축사사무소도원 앵커를 이용한 모서리 연결방식의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체결구조
KR101139014B1 (ko) 2010-08-30 2012-04-26 서보산업 주식회사 가변형 기둥폼
KR101612918B1 (ko) * 2015-02-02 2016-04-15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건축물의 기둥 축조를 위한 거푸집 결속장치
KR101642484B1 (ko) * 2015-04-14 2016-07-26 (주)케이테코 멀티 코너 타이 브라켓
KR20160003777U (ko) * 2015-04-23 2016-11-02 주식회사 동신텍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KR200482085Y1 (ko) 2015-04-23 2016-12-13 주식회사 동신텍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CN111827674A (zh) * 2020-07-30 2020-10-27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桥梁柱墩模板加固装置
CN111827674B (zh) * 2020-07-30 2022-02-22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桥梁柱墩模板加固装置
CN112252762A (zh) * 2020-10-30 2021-01-22 蔡庸刚 一种拐角加固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945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장치
AU721252B2 (en) Strap tie connector
KR102414815B1 (ko) 외장재의 부착구 및 건물의 외장 구조
KR10038168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장치
JP3872881B2 (ja) 筋かい固定金具および筋かい固定方法
CN114008279B (zh) 固定构件和墙壁结构
JPS6132014Y2 (ko)
JP2000192550A (ja) 軸組部材の接合金物及び接合部構造
JPH0446436Y2 (ko)
JPH0740012Y2 (ja) 天井板継ぎ合わせ構造
JP4455069B2 (ja) 軸組材の接合装置
JPH022810Y2 (ko)
KR100641887B1 (ko) 슬라브판넬에 결합되어 벽체 판넬과 직접 체결되는체결기구 및 그 해체방법
JPH071445Y2 (ja) 型枠補強材の締付け金具
JP2560900B2 (ja) 可動間仕切壁
JPH0618982Y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組立金具
JPH04176927A (ja) 本体利用型枠板の連結部構造
JPS608027Y2 (ja) 枠結合装置
JP3042754B2 (ja) フラット状外囲体
JPS6341474Y2 (ko)
JP2542714Y2 (ja) 二重床用支持脚の固定部構造及び二重床用支持具
JPS5912324Y2 (ja) 溝形鋼用交差連結金具
KR200341307Y1 (ko) 철재문틀 조립 장치
KR960006901Y1 (ko) 금속각재
JP3881899B2 (ja) 引寄せ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