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2428A - 위험물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위험물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2428A
KR20020092428A KR1020027013704A KR20027013704A KR20020092428A KR 20020092428 A KR20020092428 A KR 20020092428A KR 1020027013704 A KR1020027013704 A KR 1020027013704A KR 20027013704 A KR20027013704 A KR 20027013704A KR 20020092428 A KR20020092428 A KR 20020092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dangerous goods
storage
concrete body
reinforc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오르기한스
Original Assignee
오이스터 인터내셔날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이스터 인터내셔날 엔.브이. filed Critical 오이스터 인터내셔날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20092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42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05Containers for solid radioactive wastes, e.g. for ultimate dispos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 E04C5/0618Closed cages with spiral- or coil-shaped stirrup r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10T29/49874Prestressing rod, filament or str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Manipulator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위험물, 특히 방사성 폐기 핵연료와 같은 열 생성 위험물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10)는 위험물용의 축방향으로 기다란 저장 공간(18)을 구비하고 실질적으로 원통형 보강 콘크리트 본체(12)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 공간(18) 주위에 나선형으로 연장하는 보강 부재(28, 29)를 구비한 프리스트레스 보강재(17)가 그의 외측에 인접한 콘크리트 본체(12)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보강 부재(28, 29)는 다른 하나의 그룹 내부에 그리고 부근에 하나의 그룹이 있고, 그룹들 중 한 그룹의 보강 부재(28)의 방향이 다른 그룹의 보강 부재(29)의 방향과 마주하고 있는 두 개의 그룹으로 분할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콘크리트 본체의 단부는 보강 부재(28, 29)가 고정된 단부 덮개(15, 16)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위험물 저장장치{A DEVICE FOR STORAGE OF HAZARDOUS MATERIAL}
WO96/21932 및 DE-A1-3515971은 상기 장치들의 종래 기술인 실시예들의 일례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들로부터 공지된 실시예에서, 또한 동일한 종류의 다른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 콘크리트 본체는 위험물을 수용하기 위한 중심 저장 공간을 구비한다. 저장 공간의 폭보다 훨씬 두께가 크고 저장 공간을 애워싸고 있는 콘크리트 벽은 3차원으로 강화된다.
WO96/21932에서 보인 실시예에서 보강재는 콘크리트 본체의 저장 공간과 원통형 외부 표면 사이의 링에 배열된 축방향 프리스트레스(prestressed) 보강 케이블 또는 막대를 포함하고, 프리스트레스 보강재는 외부 표면 주위에 감긴다. 자연적으로, 그 후의 보강재는 콘크리트 본체가 주조되고 적어도 어느 정도로 경화된 후에 적용된다.
또한 DE-A1-3515871에 개시된 실시예의 콘크리트 본체는 위험물을 수용하기 위한 중심 저장 공간을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 보강재는 콘크리트 본체 벽의 전체 단면 위에 분포되고 콘크리트 내에 완전히 파묻힌다.
본 발명은 위험물, 특히 방사성 폐기 핵연료와 같은 열생성 위험물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위험물용의 축방향으로 기다란 저장 공간을 갖춘 실질적으로 원통형 보강 콘크리트 본체를 구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들은 폐기 핵연료가 재처리되거나 또는 다른 공정을 통해서 처리되기 위해 대기하는 동안 임시 저장과 같은 일시적이고 단기간 저장과 장기간 저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각각 핵연료 유닛를 수용하기 위한 여덟개의 저장실로 형성된 저장 공간을 가진 저장 장치의 축방향 직경 절단면에 대한 부분 투시도이다.
도 2는 저장 장치의 단부 덮개, 상기 단부 덮개에 고정된 보강재의 일부 및 콘크리트 폼워크(formwork)로써 사용된 부품 요소들에 대한 직경 절단면의 도면이다.
도 3은 단부 덮개와 폼워크부가 직경 절단면으로 도시되고, 도 2에서 보인 단부 덮개, 상기 단부 덮개에 고정된 보강재의 일부 및 폼워크 부품의 일부에 대한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보인 저장 장치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상부 우측부에 도시된 저장 장치의 일부에 대하여 확대되고 더욱 상세하게 도시된 투시도이다.
도 6은 절단이 도 5에서 아치형 라인 Ⅵ-Ⅵ으로 지시된 원통형 표면의 일부를 따라 이루어진 보강 부재용 고정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장치의 변경된 실시예의 축방향 단면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저장 장치 상부에 대한 부분 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저장 공간 주위에 나선형으로 이동하는 보강 부재를 구비한 프리스트레스(pre-stressed) 보강재가 외측에 인접한 콘크리트 본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바람직하게, 보강 부재는 다른 하나의 그룹 내부에 그리고 부근에 하나의 그룹이 있고, 하나의 그룹의 보강 부재의 방향이 다른 그룹의 보강 부재의 방향과 마주하고 있는 두 개의 그룹이 배열된다. 보강 부재는 막대, 케이블 또는 와이어일 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구축에 따라서, 콘크리트 본체는 제조 관점에서 바람직한 매우 효과적인 보강재를 가진다.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따라서, 콘크리트 본체는 적당하게 강으로 이루어지고 보강 부재가 고정된 단부 덮개들이 제공된다.
단부 덮개들은 보강 부재를 프리스트레스 장치 및 고정 장치에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성능, 신장력이 콘크리트 본체의 단부 면 위에 바람직하게 분포되는 성능, 및 리프팅 힘이 보강 부재를 관통하여 콘크리트 본체 내부로 도입되는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단부 덮개들은 리프팅 아이(lifting eye) 또는 저장 장치에 리프팅 훅또는 리프팅 이음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다른 장치와 같은 리프팅 보조기구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일례의 방법으로 제공된 발명의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아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아래에 통(cask)으로 인용되고 10으로 지시된 도 1 내지 6에서 보인 저장 장치는 특히 폐기물의 형태인 위험물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의도되어지지만, 재처리 또는 다른 조치를 기다리는 동안, 예를 들면 일년 또는 수 년에서 수 십년까지의 저장 기간동안 활성이고 열을 생성하는 핵 연료 요소들을 진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도면들은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즉, 밀봉 상태와 연료 요소(미도시)를 보유하는 통(10)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연료 요소는 연료 조립체 또는 연료 요소의 번들과 같은 연료 유닛과 결합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체로, 통(10)은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 단면의 원통형 중심 통로(11)를 가진 직선 원통형 본체의 형상을 이룬다. 또한, 통에 의해 설비된 공간의 주요 부분이 콘크리트 본체(12)에 의해 채워지고, 원통형 단면의 원통형 중심 통로를 가진 직선 원통 형상을 이룬다.
콘크리트 본체(12)의 원통형 외부 표면은 원통형 셀(13)에 의해 차폐되고, 그의 중심 통도는 중심 통로(11)의 주요 부품으로 형성되는 원통형 중앙 튜브 (14)와 늘어서 있다. 셀(13)과 중앙 튜브(14)는 콘크리트 본체(12)가 주조되고, 즉,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통(10)의 부품으로 남아 있는 내구적인 폼워크 부품이다.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이러한 부품은 강과 같은 고열전도성 재료로 적절하게 제조된다.
콘크리트 본체(12)의 단부들은 원형 하단 덮개(15)와 유사한 상단 덮개(16)에 의해 차폐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부 덮개들 (15, 16)은 강판으로 제조되고, 셀(13)과 중심 튜브(14)와 같은 내구적인 폼워크 부품이다.
콘크리트 본체(12)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17로 지시된, 단부 덮개(15, 16)에 고정되고 축방향과 모든 방사상 방향인 3차원으로 콘크리트 본체에 미리 응력을 가하는 프리스트레스 보강재가 파묻혀 있다. 또한 아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어진 보강재(17)가 콘크리트 본체(12)의 원통형 외부 표면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18로 지시된, 다수의 폐쇄 순환 원통형 저장 용기는 밀폐된 상태로 밀봉되고 저장된 연료 유닛을 수용하는 분배된 저장실(연료실)을 형성하며, 완전히, 즉 이음매가 없게 콘크리트 본체(12)에 파묻혀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저장 용기(18)는 그의 수에 있어서 여덟개이고 콘크리트 본체(12)와 중심의 통로(11)와 동심원을 이룬 허상 원통형 표면 위에 그들의 축으로 배치된다. 도면들을 통해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특히 도 1 및 4를 보면, 저장 용기(18)를 중심 튜브(14)로부터 분리하는 거리는 저장 용기(18) 및 셀(13)을 분리하는 거리보다 훨씬 작다. 저장 용기(18)에 의해 형성된 저장실은 물과 같은 유체 냉각제로 채워진다.
각 저장 용기(18)에서 냉각제는 튜브(19)를 포함하는 폐쇄된 냉각제 순환로를 통해 자연 대류(써머사이펀(thermosiphon) 순환)에 의해 순환하고, 단부들은 용기의 상하 단부에 있는 저장 용기의 내부와 연통하고 주로 콘크리트 본체(12)의 방사상 외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냉각제는 저장 용기(18)에서 생성된 열의 일부를콘크리트 본체의 일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콘크리트 본체 일부의 열은 주위 공기 또는 물로 인해 제거된다. 추가적인 열은 중심 통로(11)로 이동되어서 위로 흐르는 공기 또는 물에 의해 통로를 관통하여 대류적으로 환경 매체로 소산될 수 있다.
또한 저장 용기의 외측에 설치된 일부 냉각제의 순환은 저장 용기의 상단에 인접한 확장 용기(20)를 포함한다.
단부 덮개들(15, 16)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다음의 설명에서 그들은 주로 상단 덮개(16)로 나타내어졌다. 두 개의 단부 덮개(15, 16)는 콘크리트 본체(12)가 주조된 폼워크의 단부 벽으로써, 콘크리트 본체의 보강재(17)를 위한 고정 부재로써, 그리고 완전한 통(10)내에 콘크리트 본체 단부의 보호 부재로써 사용된다. 추가로, 상단 덮개(16)는 보강재에 응력을 가하고 다음에 저장 용기(18)의 내용물을 제거 할때 워크 플랫폼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제거는 저장 용기(18) 위의 콘크리트를 직접 제거하고, 따라서 저장 용기의 상단이 다시 개방될 수 있게 한다.
도시된 도면들을 통해 명백해진 바와 같이, 단부 덮개(16)는 주로 상부 또는 외부 플레이트(21) 및 하부 또는 내부 플레이트(22)를 포함한다. 마무리되어진 통 (10)에서 플레이트들(21, 22)은 적당한 방법, 예를 들면 용접을 통해 서로 결합되고, 그들 사이의 공간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콘크리트로 채워진다. 바람직하게, 플레이트들 사이의 공간은 통(10)의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장비와, 일례로 온도와 활동도 측정, 누수 탐지 및 제어부와 연결하기 위한 장비와 같은 감시와 경보 발신 목적을 위해 사용된 장비를 갖출 수 있다.
두 개의 플레이트(21, 22)는 원형이고 대략적으로 중심 튜브(14)와 같은 동일한 직경의 중심 개구를 구비한다. 그들의 내부 가장자리 및 그들의 외부 가장자리에 있는 플레이트들에는 외부 플레이트(21) 위의 아래로 지향된 순환 원통형 림들 23과 24와, 내부 플레이트(22) 위의 아래로 지향된 순환 원통형 림들 25와 26이 제공된다. 외부 플레이트(21) 위의 림들(23, 24)은 내부 플레이트 위의 림들(25, 26) 위로 연장한다. 셀(13)의 상단은 림 23과 25사이의 틈 안으로 연장하고, 상응한 방법을 통해서 중심 튜브(14)의 상단이 림 24와 26사이의 틈 안으로 연장한다.
내부 플레이트(24)의 방사상 외부에는 보강재(17)의 완곡하고 균일하게 일정한 간격을 이룬 고정 부재(막대, 와이어 또는 케이블)(28, 29)의 두 그룹을 위한 고정 부재로써, 그리고 프리스트레스 힘을 콘크리트 본체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사용되는 환상 강 레일(27)이 지지되어 있다. 추가로, 레일(27)은 통(10) 전체를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된 리프팅 장치를 부착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완곡하게 일정한 간격을 이룬 장치(미도시)용의 고정 부재로써 사용된다.
각 보강 부재(28, 29)를 위해서 레일(27)에는 도 5 및 6에서 도시된 고정 장치용 시트(seat)(30)가 제공되고, 너트(31) 및 관계된 와셔(32)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 장치(31, 32)들은 외부 플레이트(21)내에 개구 링(33)을 관통하여 조작되기 위해 접근할 수 있다.
외부 플레이트(21)의 중심부는 침하(depress)되고 다수의 개구(34)가 제공되며, 그러한 하나의 개구는 각각 저장 용기(18)위에 직접 놓인다. 내부 플레이트 (22)에도 상응한 개구(35)가 제공된다. 이러한 개구들은 콘크리트 본체(12)가 콘크리트 배치에 의해 형성되기전 연료 유닛이 저장 용기(18)의 개구 상단으로 용이하게 도입될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를 이룬다. 바람직하게, 개구(34, 35)의 직경은 적어도 저장 용기(18)의 직경만큼 크다.
또한 개구(34)의 주변에는 저장된 연료 유닛이 점검 또는 재처리 또는 다른 처리되어지기 위해 적출될 때와 같이, 통(10)이 완성되어진 후 저장 용기(18)의 내용물이 더 짧거나 더 긴 저장 시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때 개구 바로아래 콘크리트를 제거하기 위한 도 1에서 점들(36)로 상징적으로 나타내어진 적당한 공구를 설치하고 부착하는 보조 수단이 상부 플레이트(21)에 제공된다.
상단 덮개(16)에서 개구(37) 링은 콘크리트의 관통을 위해 놓인 튜브, 즉, 콘크리트가 셀(13), 중심 튜브(14)와 단부 덮개(15, 16)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도입되도록 하기 위한 트레미 튜브(tremie tube)(상기 튜브들은 미도시)를 설치하기 위해 형성된다.
하단 덮개(15)는 상단 덮개(16)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적어도 상단 덮개의 개구들(34, 35, 37)과 상응한 개구를 구비하지 않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2 내지 6은 강 보강재(17)를 더욱 상세히 보이고 있다. 보강재(17)의 특징적인 형태는 단부 덮개 15와 16사이에 나선형 라인, 즉 원통 나선형 라인을 따른 두 그룹의 각각의 보강 부재(28, 29)를 배치하는데 있다. 두 그룹 중 하나에서 보강 부재 28은 다른 그룹의 보강 부재 29보다 셀(13)에 약간 더 근접한 허상 원통형 표면을 따라 배치되고, 허상 원통형 표면과 제1 그룹의 보강 부재의 방향과 마주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두 개의 허상 원통형 표면은 셀(13)과 중심 튜브(14)와 동심원을 이룬다. 적당하게, 모든 보강 부재의 나선형 각은 약 45°이고, 적어도약간의 그들의 교점에서 보강 부재들은 적당하게 와이어 바인딩 또는 다른 적당한 상호 연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명백하게 되는 이유들에 대해서, 각 보강 부재(28, 29)는 적당하게 관형 외피(미도시)내에 동봉된다.
설명된 통(10)의 제조는 통의 세밀한 구조, 예측된 통의 용도, 이용가능한 제조설비 등에 의존하여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다음의 제조 절차에 대한 간결한 설명은 연료 유닛으로 저장 용기(18)의 충진과 다소 직접적인 연결상태에서 발생하는 설명된 제조의 일례로 간주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기술된 제조 절차의 주요 단계들은 대부분의 경우에서 적용가능하고 적당한 것으로써 간주될 수 있다. 약간의 다양한 단계의 연속적인 순서는 변할 수 있다.
처음에, 하단 덮개(15)는 지지부 위에 놓인다. 이러한 단부 덮개는 실질적으로 완성되었고, 즉 플레이트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이미 콘크리트가 채워져 경화되었고, 따라서 단부 덮개는 콘크리트 본체(12)를 형성하는 나중에 놓일 젖은 콘크리트에 의해 부여된 하중을 견뎌낼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하단 덮개(15)가 콘크리트로 채워지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이런 경우에는 과도한 콘크리트에 의해 가해진 압력이 단부 덮개를 변형시키지 않도록 플레이트들 사이에 적당한 지지물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 다음에 그들의 냉각제 튜브를 가진 저장 용기(18)가 장착된다. 적당하게, 그들을 바람직한 위치로 가져올 수 있는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되고 적당한 보조 장치의 수단에 의해 상기 위치에서 유지된다. 또한, 셀(13) 및 중심 튜브(14)는장착되고 하단 덮개(15) 위에 확보된다.
보강재(17)는 하단 덮개(15) 위에 셀(13)을 설치하기 전 또는 후에 장착될 수 있다. 만약 바람직하다면, 보강 부재들(28, 29)과 만약 외피가 사용된다면 그들의 외피는 적소로 들어올려질 수 있고 하단 덮개(15)에 확보될 수 있는 유닛(보강재 케이지)과 결합될 수 있다. 만약 바람직하다면, 이러한 유닛은 들어올리고 확보되는 작동이 이루어지기 전에 상단 덮개(16)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상단 덮개가 보강재 (17)가 적소로 유도되어진 후 상단 덮개(16)에 고정될 수 있다.
콘크리트 본체(12)용 폼워크를 구성하는 부품이 조립되고 저장 용기(18)에 의해 형성된 유닛이 장착될 때, 액체 냉각제(물과 같은)는 소정 레벨로 저장 용기내에 채워진다. 이 때에, 저장 용기(18)의 상단은 여전히 개방된다. 그 다음에 연료 유닛은 연료 유닛을 소정 위치로 유지시키는 적당한 내부 요소가 제공되어 있는 저장 용기(18)로 도입된다. 그 후 저장 용기는, 만약 바람직하다면, 액체 냉각제가 다른 액체 또는 가스 냉각제로 대체된 후에 덮개 또는 다른 적당한 클로저 (closure)에 의해 밀봉하게 폐쇄된다. 상기 언급된 작동은 상단 덮개(16)에 있는 개구(34, 35)를 통하여 실행된다.
그 다음에 콘크리트는 개구(37)를 통하여 관통되고 하단 덮개(15) 부근에서 그들이 개방될 때까지 낮아지는 적소에 놓인 복수개의 튜브(미도시)를 관통하여 놓인다. 콘크리트는 적소에 놓인 튜브를 관통하여 공급되고, 젖은 콘크리트의 레벨이 상승하는 것 처럼, 적소에 놓인 튜브는 콘크리트 표면의 바로 아래에서 언제나 개방하도록 상승된다.
만약 콘크리트가 미리 상단 덮개(16)에 채워지지 않거나, 불완전하게 채워진경우, 콘크리트는 외부 플레이트(21)와 내부 플레이트(22)사이의 공간에 놓인다. 이는 콘크리트가 셀(13), 중심 튜브(14) 및 단부 덮개(15, 16)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 놓여진 후, 예를 들면 상기 공간에 놓인 콘크리트가 약 24 시간동안 경화되어질 때 적당하게 행해진다. 그러나, 단부 덮개의 외부에 있는 공간, 즉 레일(27)이 설치된 공간은 보강 부재들이 미리 응력이 가해지고 미리 응력이 가해진 조건을 통해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조작을 위해 고정 장치(31, 32)가 계속하여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약간의 추가 시간동안 채워지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저장 용기(18) 내부로 연료 유닛의 도입과 콘크리트 본체(12)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의 배치는 바람직하게 셀(13), 중심 튜브(14) 및 완전하게 또는 적당한 수준으로 물로 채워진 단부 덮개(15, 16)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실행된다. 이는 효율적이고 일정한 연료 유닛의 냉각을 확보한다.
적당한 시간동안, 예를 들면 2 내지 4 일동안에 콘크리트 본체(12)가 경화된 후, 보강 부재(28, 29)는 신장된다. 이는 외부 플레이트(21)에 있는 개구(33)와 하단 덮개(15)에 있는 상응한 개구들을 관통하여 종래 방법인 보강 부재에 연결된 잭 수단에 의해 적당하게 행해진다. 윤활제로 채워진 관형 외피 내에 보강 부재의 봉쇠(containment)는, 바람직하다면, 신장력이 단부 덮개들(15, 16) 사이의 모든 통로에서 실행되는 것을 확보한다. 필요하다면 보강재(17)의 신장은 약간의 추가 시간 후에 실행될 수 있다. 신장이 완료될 때, 콘크리트는 관형 외피 내부로 도입된다. 그 다음에 레일(27)과 고정 장치(31, 32)를 수용하는 공간은 콘크리트로 채워지고, 환상 덮개 플레이트는 상단 덮개(16)의 침하 중심부에 놓인다.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화되어 통(10)의 운송이 가능하게 되자마자, 통은 대기에, 지붕 아래에 또는 물속에 있는 저장 사이트로 이동되고 놓인다. 다수의 유사한 통들이 적층될 수 있고, 그 결과 중심 통로(11)는 저장 용기(11)로부터 콘크리트와 중심 튜브(14)를 관통하여 유도된 열에 의해 발생된 자연 대류(굴뚝 통풍)에 의해, 및/또는 팬 또는 펌프의 작동하에 공기 또는 물이 위로 흐르는 샤프트를 형성한다. 저장 용기(18)를 관통하여 순환하는 냉각제에 의해 저장 용기로부터 통(10)의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밖으로 전도된 열은 셀(13)과 접촉해 있는 공기 또는 물에 의해 제거된다.
통(10)이 완성될 때, 상단 덮개(16)의 침하부는 강의 환상 덮개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다음에 통으로 나타내어진 도 7에 도시된 저장 장치(40)는 주로 잠시 동안 또는 비교적 단기간 동안, 특히 예를 들면, 핵연료 유닛을 임시 저장 풀(pool)로부터 장기간 저장 사이트로 이동시킬 때와 같이 핵연료 유닛을 운송하는 동안 위험물을 저장하도록 의도되어졌다.
통 40은 그의 콘크리트 본체(41)가 중심 공동을 관통하는 모든 통로가 연장되지 않고, 단지 콘크리트 본체의 상부로부터 콘크리트 본체의 하단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레벨로 내려가는 중심 공동(42)이 제공되는 점에서 도 1 내지 6의 통 10과 구별된다. 공동(42)은 핵연료 유닛(B)용의 저장실을 형성하는 상부가 개방된 저장 용기(43)와 함께 늘어서 있다.
다른 차이점은 통 40이 개별 냉각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점에 있다. 저장이 단기간이기 때문에 연료 유닛에 의해 발생된 열은 통을 과도하게 가열하지 않고 콘크리트 본체에 흡수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통 40이 개별 냉각 수단을 필요로 한다면, 저장 용기(43) 주변에 링이 배치되고 통을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연장한 많은 축방향 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공기 또는 물은 저장 용기(43)에서 전도된 열을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자연 대류에 의해 통로를 관통하여 위로 흐른다.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저장 용기(43)의 비영구적인 밀봉을 위한 폐쇄 장치 (44)는 저장 용기의 상부에 수용된다. 이러한 폐쇄 장치는 비교적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고, 따라서 연료 유닛(B)은 통 1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통 10과 통 40 사이의 추가 차이점은 두 개의 단부 덮개(47, 48)가 다르게 구축되는 점에 있다.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두 개의 단부 덮개(47, 48)는 하단 덮개(47)가 중심 개구를 구비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단 덮개(48)는 외부 또는 상부 플레이트(49) 및 내부 또는 하부 플레이트 (50)를 구비한다.
이러한 플레이트들은 도 1 내지 6에서와 같은 동일한 목적을 위해서 상부 플레이트 위의 아래로 지향된 순환 원통형 림 51, 52와 하부 플레이트 위의 아래로 지향된 순환 원통형 림 53, 54를 구비한다. 또한, 림 51, 52와 상응한 림이 하단 덮개(47)의 플레이트에 제공된다.
그의 외부 가장자리에 인접한 단부 덮개(47, 48)는 상부 플레이트(59)가 내부 플레이트(50)를 체결하는 환상 침하부(55)를 가진다. 침하부(55)에 의해 형성된 위로 개방하는 그루브의 환상을 통해서, 환상 강 레일(56)은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레일(27)과 같이, 도 1 내지 6의 보강재(17)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작용하고 보강 부재(57, 58)의 두 그룹으로부터 형성된 미리 신장된 보강재(59)용의 고정 부재로써 사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그루브는 환상 덮개 플레이트(60)에 의해 차폐되고 보강 부재들이 신장된 후 콘크리트로 채워진다. 유사하게, 상단 덮개(48) 중심부의 침하는 저장 용기(43)가 밀봉된 후 장착되는 덮개 플레이트(미도시)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셀(61), 저장 용기(43) 및 두 개의 단부 덮개(48, 49)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배치하기 위해서, 많은 개구(62)(도 8)들이 상단 덮개(48)에 제공된다. 또한 이러한 개구들은 콘크리트의 배치가 콘크리트 본체(41)를 형성한 후 외부와 내부 단부 덮개 플레이트 사이의 개방 공간에 콘크리트를 배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차이점은 콘크리트 본체(41)의 외측이 위로 그리고 관통해서, 위로 향하여 그리고 아래로 향하여 연장하는 금속 재킷(63)이 제공되고, 저장 용기(43)의 단면이 핵 연료 유닛(B)을 수용하는 것에 있다. 적당하게 강으로 제조된 상기 재킷은 상당한 벽 두께, 예를 들면 10cm의 두께를 구비한다. 콘크리트 본체(41)의 단면에 제공되어 애워싸는 방사능 보호물이 더해진다. 따라서 콘크리트 본체의 직경은 콘크리트 본체가 단독으로 방사능 보호물을 제공하는 경우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다.
저장 용기(43)에서 연료 유닛(B)은 저장 용기의 바닥 벽을 통해서 지지된 받침대(64) 위에 받쳐져 있고, 저장 용기(43)의 내측에 장착된 완곡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많은 리브(65)에 의해 저장 용기의 중심 위치에 지지된다.

Claims (7)

  1. 원통형 보강 콘크리트 본체(12, 41)를 포함하고 위험물용의 축방향으로 기다란 저장 공간(18, 42)을 갖춘 방사성 폐기 핵연료와 같은 위험물, 특히 열생성 위험물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10, 40)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공간(18, 42) 주위에 나선형으로 연장하는 보강 부재(28, 29, 57, 58)를 구비한 프리스트레스 보강재(17, 59)가 외측에 인접한 콘크리트 본체(12, 41)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28, 29, 57, 58)가 다른 하나의 그룹 내부에 그리고 부근에 하나의 그룹이 있는 두 개의 그룹으로 분할되고, 상기 그룹들 중 한 그룹의 보강 부재(28, 57)의 방향이 다른 그룹의 보강 부재(29, 58)의 방향과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저장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본체의 단부에는 단부 덮개(15, 16, 47, 48)가 제공되고 보강 부재(28, 29, 57, 58)가 상기 단부 덮개(15, 16, 47, 48)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저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각 단부 덮개(15, 16, 47, 48)는 콘크리트 본체(12, 41)를 체결하는 내부 플레이트(22, 50)와 적어도 단부 덮개의 주요 부분에서 상기 내부플레이트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외부 플레이트(21, 49)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들 사이의 공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콘크리트로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저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각 단부 덮개(15, 16, 47, 48)가 단부 덮개의 외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레일(27, 56)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28, 29, 57, 58)가 레일(27, 56)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저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56)이 단부 덮개(47, 48)에 형성된 침하부(55)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저장 장치.
  7. 제4항 및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침하부(55)가 외부 플레이트(49)에 형성되고 상기 침하부의 바닥 벽이 내부 플레이트(50)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저장 장치.
KR1020027013704A 2000-04-11 2001-04-11 위험물 저장장치 KR200200924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001327A SE518948C2 (sv) 2000-04-11 2000-04-11 Anordning för förvaring av riskmaterial
SE0001327-6 2000-04-11
PCT/SE2001/000810 WO2001078083A1 (en) 2000-04-11 2001-04-11 A device for storage of hazardous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428A true KR20020092428A (ko) 2002-12-11

Family

ID=20279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704A KR20020092428A (ko) 2000-04-11 2001-04-11 위험물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771731B2 (ko)
EP (1) EP1273011B1 (ko)
JP (1) JP2003534535A (ko)
KR (1) KR20020092428A (ko)
AT (1) ATE354853T1 (ko)
AU (1) AU2001247035A1 (ko)
DE (1) DE60126753D1 (ko)
RU (1) RU2264670C2 (ko)
SE (1) SE518948C2 (ko)
UA (1) UA75065C2 (ko)
WO (1) WO20010780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0073B2 (en) 2012-06-26 2017-05-16 Posco Forward portion of vehicle bod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2956B1 (fr) * 2004-07-12 2006-11-17 Cogema Logistics Sa Dispositif externe d'evacuation de chaleur pour emballage destine au stockage et/ou au transport de matieres nucleaires
US20070034541A1 (en) * 2005-02-17 2007-02-15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And College System Of Nevada Nuclear material container and methods of use
US8995604B2 (en) 2009-11-05 2015-03-31 Holtec International,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ditional radiation shielding to high level radioactive material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6461A (en) 1969-01-29 1973-04-10 Nippon Concrete Ind Co Ltd Apparatus for forming pc concrete pipe reinforcing
US3579931A (en) * 1969-09-18 1971-05-25 Du Pont Method for post-tensioning tendons
US3686875A (en) * 1970-05-01 1972-08-29 Subsea Equipment Ass Ltd Submerged storage unit
SE348870B (ko) * 1970-12-02 1972-09-11 Atomenergi Ab
US4044088A (en) * 1972-08-10 1977-08-23 Graeme Reginald Hume Stressed hollow concrete cylinders
US4175005A (en) * 1975-12-06 1979-11-20 Harstead Gunnar A Component nuclear containment structure
DE2717869B2 (de) * 1977-04-22 1979-05-31 Dyckerhoff & Widmann Ag, 8000 Muenchen Verfahren zum Aussteifen eines dünnwandigen Hüllrohrs und zum Einfädeln eines Spannglieds in das Hüllrohr
HU179174B (en) * 1979-09-14 1982-08-28 Eroemue Es Halozattervezoe Process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housing radioactive and/or other dangerous materials
DE3321250C2 (de) * 1983-06-11 1985-10-03 Transnuklear Gmbh, 6450 Hanau Betonbehälter zur Aufnahme bioschädlicher Stoffe
FR2548717B1 (fr) * 1983-07-06 1986-07-04 Gtm Ets Sa Procede pour la realisation d'un ancrage de precontrainte par filage d'un manchon en acier sur une ame metallique
AT379636B (de) 1983-07-15 1986-02-10 Best Baueisen & Stahl Bewehrungskorb fuer raeumliche armierungen von stahlbetonkoerpern
US5675941A (en) * 1983-12-09 1997-10-14 Dykmans; Maximiliaan J.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prestressed structures utilizing a membrane and floating dome assembly
US5408793A (en) * 1983-12-09 1995-04-25 Dykmans; Max J. Multi-purpose dome structure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5134830A (en) * 1983-12-09 1992-08-04 Dykmans Max J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circumferentially wrapped prestressed structures utilizing a membrane
SE447141B (sv) * 1985-04-24 1986-10-27 Hans Georgii Offshore-anleggning
DE3515871A1 (de) * 1985-05-03 1986-11-06 Hochtemperatur-Reaktorbau GmbH, 4600 Dortmund Transport- und lagerbehaelter fuer brennelemente
US4806771A (en) * 1986-02-21 1989-02-21 Westinghouse Electric Corp. Solid, soft, light metal impact skirts for radioactive waste and other shipping containers
JP2954626B2 (ja) * 1989-10-09 1999-09-27 ヒードロ・ベトング・アー・ベー 環境的に危険な廃棄物の貯蔵のための配列
FR2705824B1 (fr) * 1993-05-24 1995-07-28 Electricite De France Conteneur en béton désaéré pour le stockage de déchets radioactifs.
US5303836A (en) * 1993-07-21 1994-04-19 The Babcock & Wilcox Company Shipping container for highly enriched uranium
SE509491C2 (sv) * 1995-01-10 1999-02-01 Hydro Betong Ab Sätt och anordning för lagring av riskavfall
SE504793C2 (sv) * 1995-05-15 1997-04-28 Hydro Betong Ab Anläggning för offshore-förvaring av riskavfall samt baskropp med förvaringsutrymmen
US6372157B1 (en) * 1997-03-24 2002-04-1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Radiation shielding materials and containers incorporating same
SE513129C2 (sv) * 1998-11-27 2000-07-10 Hans Georgii Förvaringsbehållare för lagring av riskmaterial
JP2001166083A (ja) * 1999-12-09 2001-06-2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クリートキャスク
JP2002323593A (ja) * 2001-04-27 2002-11-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クリートキャス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0073B2 (en) 2012-06-26 2017-05-16 Posco Forward portion of vehicle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73011A1 (en) 2003-01-08
EP1273011B1 (en) 2007-02-21
JP2003534535A (ja) 2003-11-18
UA75065C2 (en) 2006-03-15
RU2264670C2 (ru) 2005-11-20
ATE354853T1 (de) 2007-03-15
US6771731B2 (en) 2004-08-03
US20030076917A1 (en) 2003-04-24
DE60126753D1 (de) 2007-04-05
SE0001327D0 (sv) 2000-04-11
WO2001078083A1 (en) 2001-10-18
SE0001327L (sv) 2001-10-12
AU2001247035A1 (en) 2001-10-23
SE518948C2 (sv) 200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205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nuclear fuel
US8067659B2 (en) Method of removing radioactive materials from a submerged state and/or preparing spent nuclear fuel for dry storage
US7820870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ransfer of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to and/or from a pool
US6538259B2 (en) Storage container, storage container refilling system, and refilling method
US4330711A (en) Container combination for the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radioactive waste especially nuclear reactor fuel elements
CN112313756B (zh) 用于存储和运输乏核燃料的多部件桶
US200700030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radiation shielding during cask transfer procedures
KR100458331B1 (ko) 위험한쓰레기의저장장치및저장방법
KR20020092428A (ko) 위험물 저장장치
RU2303305C2 (ru) Контейн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опас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EP1565917B1 (en) A container device for the storage of hazardous material, particularly for the ultimate disposal of nuclear fu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KR20020092427A (ko) 위험물 저장장치
US6784444B2 (en) Containment and transportation of decommissioned nuclear reactor pressure vessels
US6696695B1 (en) Storage container for hazardous material
JP2007292682A (ja) 金属キャス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4013608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toring hazardous waste materials by encasing same in a fusible metal alloy
CA2016923A1 (en) Radioactive material storage structure
JPH0636075B2 (ja) 廃炉解体用円筒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