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0663A - 자동차의 리어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90663A KR20020090663A KR1020010029624A KR20010029624A KR20020090663A KR 20020090663 A KR20020090663 A KR 20020090663A KR 1020010029624 A KR1020010029624 A KR 1020010029624A KR 20010029624 A KR20010029624 A KR 20010029624A KR 20020090663 A KR20020090663 A KR 200200906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r seat
- back frame
- seat
- vehicle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which protect the occupants against personal attack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치백 차량의 리어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트렁크룸에 놓여 있던 적재물이 차량의 급정차 또는 추돌에 의해 리어시트 쪽으로 이동되면서 리어시트에 착석하고 있던 승객이 심한 충격을 받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어시트의 백 프레임(110)양측으로 핀(111)을 설치하고 차체의 휠하우스(500)에는 상기 핀(111)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한 깊이의 홈부(511)가 구비된 브라켓(500)을 형성하므로서, 리어시트가 설치되면 리어시트의 백 프레임(110)양측에 형성된 핀(111)이 휠하우스(500)의 브라켓(510)에 끼워져 있는 상태가 되므로 트렁크룸(300)에 적재된 적재물(400)이 리어시트 쪽으로 이동되어 리어시트의 백 프레임(110)에 충격을 가하더라도 그 충격을 차체에 분산되면서 승객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완화시켜 승객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치백 차량의 리어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트렁크룸에 적재된 적재물이 급정차 또는 추돌에 의해 리어시트로 이동되면서 리어시트에충격을 가하게 되는 경우, 상기 충격을 차체로 분산시키면서 승개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리어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의 큰 특징은 승차원의 지지가 적절하여 노면으로 부터의 진동을 흡수하고 피로를 최소한으로 멈추게 해주는 승차감이 필요하며, 또한 차량의 구성품 가운데 시트의 중량이나 원가는 큰 비율을 차치하고 있기 때문에 경량화나 경제적인 구조를 채용해야 할 필요가 있고, 기획된 좌석 전원이 만족스럽게 착좌할 수 있는 형상 및 치수를 갖추어야 하는 스페이스디멘션이 필요하며, 차실공간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의장적으로도 만족할 만한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시트의 종류는 용도 및 배치에 따라 드라이버 시트, 패슨저 시트, 리어 시트, 차일드 시트로 구분되며, 그 형상에 따라 로우백 시트, 하이백 시트, 버켓 시트로 구분되며 기능에 따라서는 고정식 시트, 변환식 시트, 집어넣기 시트, 튕겨오름 시트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시트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시트 프레임에 시트 스프링을 설치하고 그 위에 패드를 놓고 다시 트림커버 어셈블리로 겉을 붙인 것이 많으며, 이 밖에 시트 프레임을 상자형으로 성형하고 두꺼운 패드를 사용해서 시트 스프링을 생략한 풀폼시트나 코일 스프링을 통하여 직포 스프링이나 와이어 등을 시트 스프링으로 사용한 것도 있다.
즉, 시트 프레임은 승차원 및 시트 자체의 하중을 차체 구조물로 전달하는 작용을 하기 위하여 그에 필요한 강도와 강성을 필요로 하며 시트슬라이드 어저스터나 릭라이닝 어저스터, 시트리프트, 럼버서포트어저스터, 사이드서포트어저스터등의 기능부품과 헤드레스트나 시트벨트 등의 안전부품 센터레스트 등의 의장부품이 설치된다.
또한 시트 프레임은 쿠션 프레임과 백 프레임으로 대별되며 일반적인 승용차의 뒷좌석과 같이 쿠션 프레임과 백 프레임이 각자 독립인 것, 즉 차체에 설치됨으로써 비로서 시트의 형태로 되는 것과 일반 승용차의 앞좌석과 같이 한몸으로 만들어져 있거나 릭라이닝기구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는 것이 있으며, 시트 프레임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강판, 강관, 강선이 일반적이지만 경량화를 위하여 알루미늄합금, 마그네슘합금, 수지, 목재, 하드보드 등이 쓰이기도 한다.
한편, 도1은 해치백 차량에 설치된 리어시트를 도시한 것이며, 이러한 해치백 차량은 트렁크룸(30)과 리어시트(10)가 연결되어 있어, 트렁크룸(30)의 공간을 넓히고자 할 경우 리어시트(10)를 접어 트렁크룸(30)의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쿠션 프레임(12)에 백 프레임(11)을 접어 올려놓거나 접혀진 쿠션프레임 (12)과 백 프레임(11)을 프론트시트(20)쪽으로 다시 한번 접어놓을 수 있어 필요에 따라 트렁크룸(30)의 공간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트렁크룸(30)에 놓여 있던 적재물(40)이 차량의 급정차 또는 추돌에 의해 리어시트(10) 쪽으로 이동되면 그 충격이 리어시트(10)에 착석하고 있던 승객에게 대부분 전달됨에 따라 승객이 큰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치백 차량의 트렁크룸에 적재된 적재물이 리어시트쪽으로 이동되어 리어시트에 충격을 가하는 경우 그 충격을 차체를 통해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리어시트에 착석한 승객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리어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해치백 차량의 리어시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리어시트의 백 프레임 양측에 외부로 돌출되는 핀을 설치하고 차체의 휠하우스에는 상기 핀과 상응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홈부를 형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리어시트가 설치되면 리어시트의 백 프레임 양측에 형성된 핀이 휠하우스의 브라켓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져 있는 상태가 되므로 트렁크룸에 적재된 적재물이 이동되어 리어시트의 백 프레임에 충격을 가할 경우 충격이 차체에 분산되면서 리어시트에 착석한 승객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감소시켜 승객의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리어시트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라 리어시트와 차체가 연결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리어시트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리어시트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백 프레임 111 : 핀
500 : 휠 하우스 510 : 브라켓
511 : 홈부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즉, 도 2 는 본 고안에 따라 리어시트의 백 프레임과 휠하우스가 핀과 브라켓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리어시트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리어시트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치백 차량의 리어시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자동차의 리어시트를 구성하고 있는 백 프레임(110)의 양측으로 핀(111)을 설치하고 차체의 플로어패널에 형성된 휠하우스(500)에는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한 깊이의 홈부(511)를 가지는 브라켓(510)을 설치하여 상기 백 프레임(110)의 핀(111)이 브라켓(510)의 홈부(511)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리어시트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20)은 리어시트의 쿠션 프레임이고, (200)은 프론트시트이며, (300)은 트렁크룸이며, (400)은 트렁크룸에 적재된 화물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해치백 차량과 같이 트렁크룸(300)과 리어시트가 통해져 있는 경우 트렁크룸(300)에 적재된 적재물(400)이 리어시트의 백 프레임(110)으로 이동되어 리어시트에 충격을 가할 경우 리어시트 전체가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리어시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차체로 분산시켜 리어시트에 착석한 승객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어시트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리어시트의 백 프레임(110) 양측에는 외부로 돌출된 핀(111)이 구비되어 있고 차체의 양측에 위치한 휠하우스(500)에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일정한 깊이의 홈부(511)가 형성된 브라켓(510)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백 프레임(110)의 양측에 구비된 핀(111)이 휠하우스(500)의 브라켓(510)에 형성된 홈부(511)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3 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차량이 추돌을 당하거나 급정차 등으로 인하여 트렁크룸(300)에 적재되어 있던 적재물(400)이 리어시트쪽으로 이동될 경우 높이가 낮은 적재물은 백 프레임(110)보다 쿠션 프레임(120)에 충격을 가하게 되면 서 쿠션 프레임(120)을 전방쪽으로 밀게 되는데, 이때 백 프레임(110)의 양측에 설치된 핀(111)이 휠 하우스(500)의 브라켓(510)에 고정되어 있어 적재물에 의해 쿠션 프레임(120)이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트렁크룸(300)에 적재된 적재물(400)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백 프레임(110)에 충격을 가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상기 백 프레임(110)이 가해지는 충격이 핀(111)과 브라켓(510)에 의해 차체의 휠하우스(500)로 분산됨에 따라 리어시트에 착석하고 있던 승객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완화시켜 승객의 큰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리어시트는 도 4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백 프레임(110)의 핀(111)이 휠하우스(500)에 고정되어 있더라도 백 프레임(110)을 쿠션 프레임 (120)의 상부로 올려지도록 접거나 접혀진 백 프레임(110)과 쿠션 프레임(120)을 다시 한번 접어 프론트시트(200)의 후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치백 차량에 있어서, 리어시트의 백프레임에 핀을 설치하고 상기 핀은 차체의 휠하우스에 형성한 브라켓의 홈부에 끼워지도록 구성하므로서 트렁크룸에 적재된 적재물이 리어시트로 이동되어 충격을 가하더라도 그 충격력이 차체로 분산되면서 승객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감소시키고 리어시트의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므로서, 승객에 대한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 트렁크룸과 리어시트가 열견되어 있는 해치백 차량에 있어서,리어시트의 백 프레임(110) 하부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핀(111)을 설치하고, 상기 핀(111)과 대향된 위치에 있는 차체의 휠 하우스(500)에는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깊이의 홈부(511)를 가지는 브라켓(510)을 형성하여 상기 핀(111)이 브라켓(510)의 홈부(511)에 끼워져 고정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시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29624A KR20020090663A (ko) | 2001-05-29 | 2001-05-29 | 자동차의 리어시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29624A KR20020090663A (ko) | 2001-05-29 | 2001-05-29 | 자동차의 리어시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90663A true KR20020090663A (ko) | 2002-12-05 |
Family
ID=2770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29624A KR20020090663A (ko) | 2001-05-29 | 2001-05-29 | 자동차의 리어시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90663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12113A (ko) | 2022-07-20 | 2024-01-2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후석 시트 |
KR20240012114A (ko) | 2022-07-20 | 2024-01-2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후석 시트 |
KR20240027458A (ko) | 2022-08-23 | 2024-03-0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후석 시트 |
-
2001
- 2001-05-29 KR KR1020010029624A patent/KR2002009066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12113A (ko) | 2022-07-20 | 2024-01-2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후석 시트 |
KR20240012114A (ko) | 2022-07-20 | 2024-01-2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후석 시트 |
KR20240027458A (ko) | 2022-08-23 | 2024-03-0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후석 시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58428B2 (en) | Device for attaching a backrest | |
JP3972937B2 (ja) | 自動車の衝撃吸収パッド取付構造 | |
KR100337830B1 (ko) | 트렁크룸의 수화물침입 방지구조 | |
KR20020090663A (ko) | 자동차의 리어시트 | |
JP4019744B2 (ja) | シート | |
JP4506204B2 (ja) | 車両の側部車体構造 | |
KR100312153B1 (ko) | 자동차의 3열 시트 취부구조 | |
CN210437089U (zh) | 一种副驾行李舱及汽车 | |
KR100288300B1 (ko) | 자동차용 회전시트의 변형 방지구조 | |
KR100435387B1 (ko) |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트랙 좌굴 방지 구조 | |
KR100279574B1 (ko) | 자동차필러의내장재구조 | |
JP2516214Y2 (ja) | 自動車用バンパービーム構造 | |
KR100290176B1 (ko) | 차량용 시트취부구조 | |
KR100410930B1 (ko) | 차량용 트렁크실의 전방구조 | |
KR100365231B1 (ko) | 해치백형 자동차의 수화물 차단부재 | |
KR100288297B1 (ko) | 자동차 시트의 가이드 레일 록장치 | |
KR0170101B1 (ko) | 자동차의 리어프레임 취부구조 | |
KR200235371Y1 (ko) | 왜건형 자동차의 화물실 보강 구조 | |
KR19980018092U (ko) | 자동차의 차체 보강구조 | |
JPH04119741U (ja) | 自動車のトランクルーム構造 | |
KR19990007183U (ko) | 자동차의 사이드아우터 패널 강도 보강구조 | |
KR19980024588U (ko) | 자동차 프런트 필라 로어 패널의 보강 구조 | |
KR20010095408A (ko) | 자동차용 파티션보드의 보강구조 | |
KR19980021162U (ko) | 자동차의 시이트그립 | |
KR19990019857U (ko) | 차량의 전방충돌 저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