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9313A - Inkjet-fabricated intergrated circuits - Google Patents

Inkjet-fabricated intergrated circui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9313A
KR20020089313A KR1020027008128A KR20027008128A KR20020089313A KR 20020089313 A KR20020089313 A KR 20020089313A KR 1020027008128 A KR1020027008128 A KR 1020027008128A KR 20027008128 A KR20027008128 A KR 20027008128A KR 20020089313 A KR20020089313 A KR 20020089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s
substrate
inkjet printing
polym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1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09481B1 (en
Inventor
시링하우스헤닝
프리엔드리차드헨리
가와세다케오
Original Assignee
플라스틱 로직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라스틱 로직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플라스틱 로직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GB2000/004938 external-priority patent/WO2001046987A2/en
Publication of KR20020089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3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48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27Etching organic layers
    • H01L21/31133Etching 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0/00Organi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ganic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K10/40Organic transistors
    • H10K10/46Field-effect transistors, e.g.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OTFT]
    • H10K10/462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 H10K10/464Lateral top-gate IGFETs comprising only a single g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0/00Organi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ganic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K10/40Organic transistors
    • H10K10/46Field-effect transistors, e.g.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OTFT]
    • H10K10/462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 H10K10/468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characterised by the gate dielectrics
    • H10K10/471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characterised by the gate dielectrics the gate dielectric comprising only 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10K71/13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91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the orientation or alignment of the layer to be deposi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0/00Organi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ganic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K10/40Organic transistors
    • H10K10/46Field-effect transistors, e.g.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OTFT]
    • H10K10/462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 H10K10/466Lateral bottom-gate IGFETs comprising only a single g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element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covered by group H10K10/00
    • H10K19/1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element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covered by group H10K10/00 compris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20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 H10K71/231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by etching of existing layers
    • H10K71/233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by etching of existing layers by photolithographic etch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30Doping active layers, e.g. 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60Forming conductive regions or layers, e.g.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3Hetero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sulfur or selene, e.g. polythioph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3Hetero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sulfur or selene, e.g. polythiophene
    • H10K85/1135Polyethylene dioxythiophene [PEDOT]; Derivatives thereof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5Polyfluorene; Derivatives thereof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51Copolym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Liquid Deposition Of Substances Of Which Semiconductor Devices Are Composed (AREA)
  • Formation Of Insulating Films (AREA)
  • Ink Jet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적어도 두 개의 상호 연결된 스위칭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집적회로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시되며, 이 방법은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들중 적어도 일부를 잉크젯 프린팅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is disclosed for forming an integrated circuit comprising at least two interconnected switching devices,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witching devices by inkjet printing.

Description

잉크젯으로 제조되는 집적회로{INKJET-FABRICATED INTERGRATED CIRCUITS}INKJET-FABRICATED INTERGRATED CIRCUITS < RTI ID = 0.0 >

최근, 반도체 공액(semiconducting conjugated) 폴리머 박막 트랜지스터들(TFTs)은 플라스틱 기판 상에 집적되는 값싼 논리 회로들(씨 드러리 등이 APL 73, 108(1998)에 발표), 고해상도의 활성-매트릭스 디스플레이들에서의 픽셀 트랜지스터 스위치들 및 광전자 집적 디바이스들(에이치 시링하우스 등이 Science 280, 1741(1998)에 및 에이 도다바라푸르 등이 Appl. Phys. Lett. 73, 142(1998)에 발표)에서의 응용들에 관하여 관심을 끌게 되었다. 시험에서, 폴리머 반도체 및 무기 금속 전극들 및 게이트 유전체층들을 갖는 디바이스 구성들은 고성능 TFTs임이 증명되었다. 0.1cm2/Vs까지의 전하 캐리어 이동도 및 106-108의 ON-OFF 전류비가 달성되었는데, 이는 비정질 실리콘 TFTs의 성능(에이치 실링하우스 등이 Advances in Solid State Physics 39, 101(1999)에 발표)과 거의 동등하다.In recent years, semiconducting conjugated polymer thin film transistors (TFTs) have been used in the field of inexpensive logic circuits (Cedrari et al., Published in APL 73, 108 (1998)) integrated on plastic substrates, high resolution active- (Published in Science 280, 1741 (1998) and Eidobarapur et al., Appl. Phys. Lett. 73, 142 (1998)), I was attracted to them. In the test, device configurations with polymer semiconductor and inorganic metal electrodes and gate dielectric layers have been demonstrated to be high performance TFTs. Charge carrier mobilities of up to 0.1 cm 2 / Vs and ON-OFF current ratios of 10 6 -10 8 were achieved, because the performance of amorphous silicon TFTs (H. Schillinghaus et al., Advances in Solid State Physics 39, 101 Announcement).

공액 폴리머 반도체들의 얇은 디바이스-품질 막들은 유기 용제의 폴리머 용액을 기판에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은 이상적으로,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에도 호환될 수 있는 값싸고도 넓은 영역에 걸친 용액 처리에적합하다. 잠재적인 비용 및 용이성 면에서의 처리의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층들, 유전체층들, 전도성 전극들 및 상호연결부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용액에 의해 증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n device-quality films of conjugated polymer semiconductors can be formed by coating a polymer solution of an organic solvent on a substrate. Thus, this technique is ideally suited for solution processing over a range of inexpensive and wide areas that are compatible with flexible plastic substrates. In order to make full use of the advantages of processing in terms of potential cost and ease, it is desirable that all components of the device including semiconductor layers, dielectric layers, conductive electrodes and interconnects be deposited by solution.

완전-폴리머(all-polymer) TFT 디바이스들 및 회로들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하기의 주요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한다:In order to manufacture all-polymer TFT devices and circuits, the following main problems must be solved:

-다중층 구조의 완전성: 후속되는 반도체, 절연 및/또는 전도성층들을 용액 증착하는 동안, 하부 층들이 용해되지 않아야 하거나, 또는 후속층들의 증착에 이용되는 용제에 의해 팽창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팽창은 용제가 하부층 내에 혼합되는 경우에 일어나며, 이는 일반적으로 층의 특성들을 저하시킨다.Completeness of the multilayer structure: During solution deposition of subsequent semiconductor, insulating and / or conductive layers, the underlying layers must not be dissolved or swelled by the solvent used for the deposition of subsequent layers. This expansion occurs when the solvent is mixed in the underlying layer, which generally degrades the properties of the layer.

- 전극들에 대한 고해상도 패터닝: 전도성층들은 양호하게 정의된 상호연결부들 및 L≤10㎛의 채널 길이를 갖는 TFT 채널들을 형성하도록 패터닝될 필요가 있다.High resolution patterning for the electrodes: The conductive layers need to be patterned to form well defined interconnects and TFT channels with a channel length of L ≤ 10 mu m.

- TFT 회로들을 제조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의 서로 다른 층들의 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수직 상호연결 영역들(비아홀들)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To fabricate the TFT circuits, vertical interconnect regions (via holes) need to be form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odes of the different layers of the device.

WO 99/10939 A2에서는, 모든 폴리머 TFT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는데, 이 방법은 디바이스의 후속층들을 증착하기 전에 디바이스의 용액 처리층들의 불용해성 형태로의 변환에 의존한다. 이는 하부층들의 용해 및 팽창의 문제들을 극복한다. 그러나, 이는 이용될 수 있는 반도체 물질들의 선택 가능성을 낮게, 그리고 몇몇 관점들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는 부류의 전구체(precursor) 폴리머들로 극히 제한시킨다. 또한, 유전체의 게이트 절연층의 교차 결합은 유전체층들을 통한 비아홀들의 제조를 어렵하게 하며, 이에 따라 금속 펀칭과 같은 기술들이 이용해야만 한다(WO 99/10939 A1).In WO 99/10939 A2, a method of manufacturing all polymer TFTs is disclosed, which method relies on the conversion of the solution-treated layers of the device into an insoluble form before depositing subsequent layers of the device. This overcomes the problems of dissolution and expansion of the underlying layers. However, this limits the selectivity of semiconductor materials that can be used to be low, and in some respects to an undesirable class of precursor polymers. In addition, cross-linking of the gate insulating layer of the dielectric makes it difficult to manufacture via holes through the dielectric layers, and therefore techniques such as metal punching have to be used (WO 99/10939 Al).

본 발명은 잉크젯 기술들에의해 제조되는 집적회로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ntegrated circuits fabricated by inkjet techniques.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제를 통해 설명될 것이다.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용액 처리 완전 폴리머(all-polymer) TFT들의 상이한 디바이스 구성들을 도시한다.Figure 1 shows different device configurations of solution-processed all-polymer TFTs.

도 2는 F8T2 활성층, PVP 게이트 절연층, 그리고 PEDOT/PSS 게이트 전극을 가지는 도 1c에 따르는 폴리머 TFT들의 전달 특성들을 도시한다.2 shows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polymer TFTs according to FIG. 1C with a F8T2 active layer, a PVP gate insulating layer, and a PEDOT / PSS gate electrode.

도 3은 샘플을 상온(a) 및 약 50℃(b)에 유지한 상태에서 증착된 F8T2 활성층, PVP 게이트 절연층 및 PEDOT/PSS 게이트 전극을 가지는 도 1c에 따르는 폴리머 TFT들의 전달 특성들을 도시한다.3 shows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polymer TFTs according to FIG. 1C with a F8T2 active layer, a PVP gate insulating layer and a PEDOT / PSS gate electrode deposited with the sample held at room temperature (a) and at about 50 DEG C (b) .

도 4는 도 1(a)와 같이 F8 확산 장벽층과 PVP 표면 변형층을 포함하는 F8T2 완전-폴리머 TFT의 출력(a)과 전달 특성들(b)을 도시한다.Figure 4 shows the output (a) and transfer characteristics (b) of a F8T2 full-polymer TFT comprising an F8 diffusion barrier layer and a PVP surface strained layer as in Figure 1 (a).

도 5는 TFB(a) 및 폴리스틸렌(polystylene)(b) 확산 장벽과 PVP 표면 변형층을 가지는 도 1(a)와 같은 F8T2 완전-폴리머 TFT들의 전달 특성들을 도시한다.Figure 5 shows the transfer characteristics of F8T2 full-polymer TFTs as in Figure 1 (a) with TFB (a) and polystyrene (b) diffusion barrier and PVP surface strained layers.

도 6은 베어(bare)유리 기판 상에 직접 프린팅된 F8T2 활성층과 소스-드레인 전극들을 가지는 도 1(a)에 따르는 완전-폴리머 TFT의 광학 현미경 사진을 도시한다.Figure 6 shows an optical micrograph of a full-polymer TFT according to Figure 1 (a) with F8T2 active layer and source-drain electrodes printed directly on a bare glass substrate.

도 7은 작은 채널 길이와 소수성 및 친수성 영역들까지 기판 표면의 패터닝을 통과하는 작은 오버랩 커패시턴스를 가지는 TFT들의 형성을 도시한다.Figure 7 illustrates the formation of TFTs with small overlap lengths that pass through the patterning of the substrate surface to a small channel length and hydrophobic and hydrophilic regions.

도 8은 소수성 폴리이미드 뱅크(polyimid bank)의 부근에 PEDOT/PSS 소스/드레인 전극들을 IJP 증착 후 L=20㎛(a) 그리고 L=5㎛(b)를 가지는 트랜지스터 채널 영역의 광학 현미경 사진을 도시한다.8 is an optical micrograph of a transistor channel region with L = 20 μm (a) and L = 5 μm (b) after IJP deposition of PEDOT / PSS source / drain electrodes in the vicinity of a hydrophilic polyimide bank Respectively.

도 9는 폴리이미드 뱅크의 부근에 잉크 방울들을 증착하는 중에 찍은 광학 현미경 사진을 도시한다.Figure 9 shows an optical microscope photograph taken during the deposition of ink droplets in the vicinity of the polyimide bank.

도 10과 11은 각각 채널 길이들 L=20㎛ 그리고 L=7㎛를 가지는 도 7(c)와 같이 형성된 트랜지스터들의 출력 및 전달 특성들을 도시한다.Figures 10 and 11 show the output and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ransistors formed as in Figure 7 (c) with channel lengths L = 20 [mu] m and L = 7 [mu] m, respectively.

도 12는 간략한 다이어그램(a), 1.3㎛ 두께의 PVP 게이트 유전층 상에 메탄올 방울들을 연속 증착함으로써 비아홀들을 형성하는 공정의 덱텍 프로파일로메트리((Dektak profilometry) 및 광학 현미경 사진들(b), 그리고 잉크젯 방울들의 지름과 PVP층의 두께들에 대한 비아홀 외경 및 내경의 종속성(c)을 도시한다.Figure 12 shows a schematic diagram (a), a Dektak profile and photomicrographs (b) of the process of forming via holes by continuous deposition of methanol droplets on a PVP gate dielectric layer with a thickness of 1.3 탆, (C) the diameter of the droplet and the dependency of the inner diameter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via hole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es of the PVP layer.

도 13은 기저부의 PEDOT 전극과 상부 전극을 가지는 비아홀을 통한 전류-전압 특성들을 도시한다.13 shows the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via hole having the PEDOT electrode and the upper electrode of the base portion.

도 14는 비아홀들을 형성하기위한 서로 상이한 공정들을 예시한다.14 illustrates different processes for forming via holes.

도 15는 논리 인버터들(공핍 부하(depletion-load)(a), 개선-부하(enhancement -load)(b) 그리고 저항-부하(resistance-load)(c)), 그리고 다중 레벨 상호연결 구성들(d)과 같은 비아홀들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도시한다.Figure 15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logic inverters (depletion-load (a), enhancement-load (b) and resistance-load (c) (d). < / RTI >

도 16은 W/L 크기 비율이 상이한 두개 레지스터들을 가지는 프린팅된 완전-폴리머 TFT들로 형성된 도 1(a)와 같은 개선-부하 인버터 회로들의 특성들이 도시된다.Fig. 16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roved-load inverter circuits as in Fig. 1 (a) formed with printed full-polymer TFTs having two registers with different W / L size ratios.

도 17은 대안적 기저부-게이트 디바이스 구성을 도시한다.17 shows an alternative base-gate device configuration.

도 18은 활성 메트릭스 픽셀의 간략한 도면을 도시하며,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메모리 구성요소는 전압(a) 또는 전류(b)에의해 제어된다.Figure 18 shows a simplified diagram of an active matrix pixel, wherein the display or memory component is controlled by voltage (a) or current (b).

도 19는 활성 메트릭스의 픽셀의 가능한 구성을 도시한다.Figure 19 shows a possible configuration of pixels of the active matrix.

도 20은 정렬된 F8T2 TFT의 편광된 광학적 흡수를 도시한다.Figure 20 shows the polarized optical absorption of an aligned F8T2 TFT.

도 21은 (a)반도체 및 유전체층들의 프린팅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된 활성층 섬(island)를 가지는 폴리머 TFT들과 (b)프린팅된 절연층 섬에의해 분리되는 전도체 상호연결부들 사이의 오버랩 영역을 도시한다.Figure 21 shows an overlap region between the polymer TFTs having patterned active layer islands formed by printing (a) semiconductor and dielectric layers and (b) the conductor interconnects separated by a printed insulating island. do.

도 22는 사용자 정의 전자 회로들을 형성하기위한 IJP 상호연결부들의 네트워크에의해 연결되는 트랜지스터 디바이스들의 메트릭스를 도시한다.Figure 22 shows the metrics of transistor devices connected by a network of IJP interconnects to form user defined electronic circuits.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르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독립항들에 제시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특징들은 종속항들에서 설명된다.According to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s) and method (s) presented in the dependent claims of the appended claims are provided. Preferred features are described in the dependent claims.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상호 연결된 스위칭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집적회로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들중 적어도 일부를 잉크젯 프린팅으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집적회로 형성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forming an integrated circuit comprising at least two interconnected switching devices,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witching devices by inkjet printing; / RTI >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르면, 스위칭 디바이스들과, 다음의 구성요소들; 연결부, 비아홀 연결부, 저항, 커패시터,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요소 들을 하나 이상씩 포함하는 집적회로에서, 상기 두 스위칭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 및 나머지 다른 요소들의 일부분을 잉크젯 프린팅으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집적회로 형성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witching device comprising: switching devices; An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onnection, a via hole connection, a resistor, a capacitor, a diode, and display elements,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wo switching elements and a portion of the other elements by inkjet printing / RTI >

본 발명의 제 3 양상에 따르면, 비아홀 연결부들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전자 스위칭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집적회로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비아홀 연결부들을 잉크젯 프린팅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forming an integrated circuit comprising electronic switching devices interconnected by via hole connections,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the via hole connections by inkjet printing.

상기 잉크젯 프린팅 단계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한다. 그러한 전도성 물질은 디바이스들의 전극을 형성한다.The inkjet printing step includes a conductive material. Such conductive material forms the electrodes of the devices.

상기 잉크젯 프린팅 단계는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물질은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들의 활성층을 형성한다.Wherein the inkjet printing step comprises a semiconductor material, wherein the semiconductor material forms an active layer of the switching devices.

상기 반도체 물질은 공액 폴리머 바람직하게는 공액 블록 코폴리머이다. 상기 반도체 물질은 적어도 두 개의 공유결합에 의하여 각각 연결되는 제 1 블록의 공액 모노머 유닛과 제 2 블록의 모노머 유닛으로 구성된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코폴리머는 전자 친화도가 3.0eV 또는 3.5eV 이상이다. 상기 반도체 물질은 적어도 두 개의 공유결합에 의하여 각각 연결되는 제 1 블록의 공액 모노머 유닛과 제 2 블록의 모노머 유닛으로 구성된 코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코폴리머는 이온화 전위가 5.5eV 에서 4.9eV 의 범위이다. 상기 제 1 블록의 모노머 유닛은 불소 유도체, 페닐렌 유도체 및 인디노(indeno)불소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제 2 블록의 모노머 유닛은 티오펜 유도체, 트리아릴아민 유도체 및 벤조티아디아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이상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물질은 F8T2 또는 TFB이다.The semiconductor material is a conjugated polymer, preferably a conjugated block copolymer. Wherein the semiconductor material comprises a block copolymer consisting of a first block of a conjugated monomer unit and a second block monomer unit, each of which is connected by at least two covalent bonds, wherein the block copolymer has an electron affinity of 3.0 eV or 3.5 eV. Wherein the semiconductor material comprises a copolymer consisting of a first block of conjugated monomer units and a second block of monomer units, each of which is connected by at least two covalent bonds, the block copolymer having an ionization potential of 5.5 eV to 4.9 eV Range. Wherein the monomer unit of the first block compris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uorine derivative, a phenylene derivative and an indeno fluorine derivative, and the monomer unit of the second block i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hiophene derivative, a triarylamine derivative, And a diazole derivative. The semiconductor material is F8T2 or TFB.

상기 반도체 물질은 액정 공액 폴리머를 포함한다. 상기 잉크젯 프린팅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들의 절연층의 국부적인 영역들에 용제를 잉크젯 프린팅함으로써, 상기 영역들의 절연층을 용해시켜 상기 층들을 관통 연장하는 통과공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통과공에 전도성 물질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emiconductor material comprises a liquid crystal conjugated polymer. The ink-jet printing step ink-jet prints the solvent onto the localized areas of the insulating layer of the devices so that the insulating layer of the areas dissolves to form a through-hole extending through the layers. The method also includes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through hole.

상기 잉크젯 프린팅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들의 절연층의 국부적인 영역들에 확산성 도펀트를 잉크젯 프린팅함으로써, 상기 영역들의 절연층을 변화시켜 상기 층들을 관통 연장하는 전도성 물질로된 채널이 형성되도록 한다.The inkjet printing step forms a channel of conductive material extending through the layers by varying the insulating layer of the regions by inkjet printing a diffusing dopant in localized areas of the insulating layer of the devices.

상기 방법은 또한 잉크젯 프린팅으로 상기 디바이스들 사이에 전도성 물질을증착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들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also includes causing the devices to be interconnected by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between the devices by inkjet printing.

상기 방법은 잉크젯 프린팅으로 상기 디바이스들 사이에 절연성 물질을 증착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들이 전기적으로 분리되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includes depositing an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devices by inkjet printing to cause the devices to be electrically isolated.

상기 디바이스들은 바람직하게는 트랜지스터이다The devices are preferably transistors

상기 잉크젯 프린팅 단계는 컴퓨터의 제어로 동작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헤드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에 의해 적절하게 수행되어, 상기 기판상의 선택된 영역에 물질을 증착한다.The inkjet printing step is suitably performed by an inkjet printer having at least one printing head operable under the control of a computer to deposit material on selected areas on the substrate.

상기 잉크젯 프린팅 단계는 상기 기판상의 광학적 콘트라스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컴퓨터의 제어로 상기 프린트 헤드를 동작시키기위해 상기 광학적 콘트라스트에 근거하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inkjet printing step includes sensing an optical contrast on the substrate and performing a process based on the optical contrast to operate the printhead under the control of the computer.

상기 방법은 상기 트랜지스터들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트랜지스터들중 하나의 임의 전극은 상기 디스플레이 요소의 임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 를 포함한다.The method includes forming a display element on at least one of the transistors, wherein one electrode of one of the transistor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y electrode of the display ele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기판과 기판 위에 위치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들 - 이들 각 트랜지스터는 상기 트랜지스터들을 상호 연결해주는 적어도 하나의 상호 연결 전극을 갖는다 - 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어레이로부터 전자회로를 정의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상기 기판 위에 전도성 물질을 잉크젯 프린팅하여 상기 트랜지스터들중 적어도 두 개의 트랜지스터 사이에 상호 연결 패턴이 정의되게함으로써 상기 상호 연결 전극들중 두 전극들 사이에 전도 경로가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efining an electronic circuit from an electronic device array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transistors located on the substrate, each transistor having at least one interconnecting electrode interconnecting the transistors. A method is provided in which a conductive path is provided between two of the interconnecting electrodes by inkjet prin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substrate to define an interconnect pattern between at least two of the transistors .

상기 두 트랜지스터들 중 하나는 상기 기판위의 트랜지스터들의 사전 연결된 기능 블록의 일부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랜지스터들 각각은 폴리머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폴리머 물질은 전도성 또는 반도체성 폴리머이다.One of the two transistors is part of a previously connected functional block of transistors on the substrate. Preferably, each of the transistors is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The polymer material is a conductive or semiconducting polymer.

상기 기판은 하나 이상의 수동 회로 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 상기 기판 위에 전도성 물질을 잉크젯 프린팅함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 중의 어느 하나의 상호연결 전극과 상기 수동 회로 요소들중 하나와의 사이에 전도 경로가 제공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ubstrate includes one or more passive circuit elements. The method preferably includes inkjet prin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substrate such that a conduction path is provided between one of the interconnecting electrodes of the transistor and one of the passive circuit elements.

상기 기판은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능동 회로 요소들을 포함한다.The substrate preferably comprises one or more active circuit elements.

상기 방법은 상기 트랜지스터들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트랜지스터들중 임의 전극은 상기 디스플레이 요소의 임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 를 포함한다.The method includes forming a display element on at least one of the transistors, wherein any one of the transistor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y electrode of the display element.

상기 잉크젯 프린팅 단계는 컴퓨터의 제어로 동작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헤드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기판상의 선택된 영역에 물질을 증착하게된다.The inkjet printing step is performed by an inkjet printer having at least one printing head operable under the control of a computer to deposit a material in a selected area on the substrate.

상기 잉크젯 프린팅 단계는 상기 기판상의 광학적 콘트라스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컴퓨터의 제어로 상기 프린트 헤드를 동작시키기위해 상기 광학적 콘트라스트에 근거하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이전에 증착된 패턴에 대하여 양호한 등록 정확도가 달성되도록 한다.The inkjet printing step includes sensing an optical contrast on the substrate and performing a process based on the optical contrast to operate the printhead under the control of a computer, Ensure accuracy is achieved.

상기 잉크젯 프린터는 전도성 및/또는 절연성 물질을 증착하는 동작을 하여, 잉크젯 프린팅에 의해 상기 기판상에 사용자 선택 회로가 정의되도록 한다.The inkjet printer is operable to deposit conductive and / or insulating materials to define a user selection circuit on the substrate by inkjet printing.

본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들의 절연층들의 국부적인 영역들에 용제를 잉크젯 프린팅함으로써 상기 영역들의 상기 절연층들을 용해시켜 상기 층들을 관통 연장하는 통과공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통과공에 전도성 물질을 증착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method comprises dissolving the insulating layers of the regions by inkjet printing of solvent in localized areas of the insulating layers of the devices to form a through hole extending through the layers and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through holes .

상기 기판은 상기 트랜지스터들의 전극들 사이에, 액체에 대한 상대적인 친화력 및/또는 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전극들사이의 사전 정의된 경로에서 상기 기판상에 증착된 상기 액체를 한정시키는 구조를 포함한다.The substrate includes a structure between the electrodes of the transistors to define the liquid deposited on the substrate in a predefined path between the electrodes by a relative affinity and / or repulsion to the liqui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2 표면 영역에 의하여 각각 분리되는 제1 표면 영역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기판으로부터 전자 디바이스를 정의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상대적으로 상기 제1 표면 영역들에 친화적이고 상기 제2 표면 영역에는 반발적인 용제에서 상기 제1 영역에서 물질이 석출되도록 하는 용액으로부터 전도성 폴리머 물질을 증착하여 상기 기판 상의 다수의 트랜지스터들의 전극을 정의하고, 상기 트랜지스터들의 기능적 영역을 순차 형성하여 단일 트랜지스터의 전극으로서 인근의 제1영역들에 해당하는 영역들의 물질을 상호 연결한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efining an electronic device from a substrate comprising an array of first surface areas each separated by a second surface area, Depositing a conductive polymer material from a solution which is amenable to said second surface region and which causes material to precipitate in said first region in a repellent solvent in said second surface region to define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transistors on said substrate, And interconnects the materials of the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gions as neighboring electrodes of the single transistor.

적절하게, 상기 기판상에 다수의 트랜지스터들을 정의하기위해, 상기 제 2 표묜 영역은 상기 제 1 표면 영역들보다 큰 선택된 용제에 대한 반발성을 갖는다.Suitably, in order to define a plurality of transistors on the substrate, the second indicia region is repellent to the selected solvent larger than the first surface regions.

본 방법은 채널 길이는 상기 반발 표면 영역에 의해 정의되지만 위치와 채널폭은 사용자가 정의하는 폴리머 트랜지스터들을 증착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 방법은 추가로 전도성 물질을 잉크젯 프린팅하여 두 연결부의 중첩 영역에 솔벤트를 국부적으로 증착하거나 및/또는 절연층을 잉크젯 프린팅함으로써 트랜지스터간 및/또는 절연층을 관통하는 비아홀의 개구부 사이에 연결부를 제공한다.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depositing polymer transistors defined by the channel length and the repulsive surface region, wherein the position and channel width define user-defined methods, wherei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inkjet printing of the conductive material, To provide a connection between the openings of the via holes passing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and / or between the transistors by locally depositing the solvent and / or inkjet printing the insulating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기판과 다수의 트랜지스터들 또는 상기 기판상에 위치한 트랜지스터들의 기능성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각 트랜지스터 또는 기능성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전극을 구비하여 상기 트랜지스터간에 연결하는 전자 디바이스 어레이로에서 전자 디바이스를 정의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바, 이 방법은 전도성 물질을 잉크젯 프린팅하여 두 연결 전극 사이에 전도성 통로를 제공하는 단계와, 트랜지스터의 절연층에 솔벤트를 국부적으로 증착하여 트랜지스터의 절연층을 관통하는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두 트랜지스 또는 기능성 블록 사이의 영역에 절연 물질을 잉크젯 프린팅 하는 단계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두개의 트랜지스터 사이의 연결 패턴을 정의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transistors or functional blocks of transistors located on the substrate, wherein each transistor or functional block has at least one connection electrode,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efining an electronic device in a device array comprising the steps of inkjet printing a conductive material to provide a conductive path between two connecting electrodes and locally depositing a solvent in the insulating layer of the transistor, Defining a connection pattern between the at least two transistors by at least one of the steps of forming a via hole passing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and inkjet printing an insulating material in an area between the two transistors or the functional block.

여기 설명되는 바람직한 형성 방법은 완전 유기물의 용액 처리 박막 트랜지스터의 형성을 허용하며, 여기서 불용성 형태로 변환 또는 교차 결합되는 층은 없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각 층은 증착된 곳으로부터 용제에서 용해될 수 있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용제의 국부 증착을 기반으로 유전체 절연층들을 통과는 비아홀들을 형성하는 단순 방법을 가능하게하며, 이는 이하 자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다음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ferred formation process described herein allows the formation of a solution-treated thin film transistor of fully organic, wherein no layer is converted or cross-linked to an insoluble form. Each layer of such a device can remain in a form that can be dissolved in the solvent from the deposition. This enables a simple method of forming via holes that pass through the dielectric insulating layers based on local deposition of the solvent, which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Such a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components.

- 패턴된 전도성 소스-드레인, 게이트 전극들 그리고 상호연결부들.- patterned conductive source-drain, gate electrodes and interconnects.

- 0.01㎠/Vs를 초과하는 전하 캐리어 이동성과 104를 초과하는 고속 온-오프 전류 스위칭 속도를가지는 반도체층.A semiconductor layer having a charge carrier mobility of greater than 0.01 cm 2 / Vs and a fast on-off current switching speed in excess of 10 4 .

- 얇은 게이트 절연층- thin gate insulating layer

- 상기 반도체층과 상기 절연층이 불순물과 이온 확산에의해 의도적이지 않게 도핑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확산 장벽층.A diffusion barrier layer that protects said semiconductor layer and said insulating layer from unintentional doping by impurities and ion diffusion.

- 프린팅 기법들에의해 상기 게이트 전극의 고해상도 패터닝을 가능하게하는 표면 변형층.- a surface strained layer that enables high resolution patterning of the gate electrode by printing techniques.

- 유전체층들을 통과하는 상호연결부들을 위한 비아홀들.- via holes for interconnections through the dielectric layers.

그러나, 여기 설명된 상기 방법은 전술된 모든 특징들을 가지는 디바이스들의 형성으로만 제한되지 않는다.However, the method described herein is not limited to the formation of devices having all the features described above.

제 1의 예시적 디바이스의 형성은 이제 도 1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의 디바이스는 상부-게이트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 박막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TFT)이다.The formation of the first exemplary device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device of Figure 1 is a thin film field effect transistor (TFT) configured to have an upper-gate structure.

세정된 7059 유리 기판(1)의 상부에 전도성 폴리머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ethylenedioxythiophene)/폴리스티롤설포네이트(polystyrolsulfonate)(PEDOT(무게대비 0.5%)/PSS(무게대비 0.8%))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잉크젯 프린팅함으로써 소스-드레인 전극들(2, 3)과 상기 전극들 사이의 상호연결 라인들 그리고 접촉 패드들(미도시)이 증착된다.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페놀 또는 아세톤과 같은 다른 용제들이 잉크의 표면 장력, 점도 그리고 습윤 속성들에 영향을 주도록 첨가될 수 있다. PEDOT/PSS는 베이어(Bayer)사에서 구입할 수 있다("베이트론 피"라는 제품명으로 구입할 수 있음). 상기 IJP 프린터는 압전형의 것이다. 이는 정밀한 2차원 해석 스테이지와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프린팅되는 패턴들의 정렬을 가능하게하는 현미경 스테이지를 탑재하고 있다. 상기 IJP 헤드는 전압 펄스로 구동된다. 방울당 0.4ng의 전형적인 고체 내용물의 방울들을 분사하기위한 적절한 구동 조건들은 20V의 펄스 높이, 10㎲의 상승 시간, 그리고 10㎲의 하강 시간으로 달성될 수 있다. 유리 기판 상부를 건조한 다음, 이들은 50㎛의 전형적인 지름을 가지는 PEDOT 점을 500Å의 전형적인 두께로 생성한다.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conductive polymer polyethylenedioxythiophene / polystyrolsulfonate (PEDOT (0.5% by weight) / PSS (0.8% by weight)) was applied on top of the cleaned 7059 glass substrate 1 By inkjet printing, the source-drain electrodes 2, 3 and interconnect lines and contact pads (not shown) between the electrodes are deposited. Other solvents such as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or acetone may be added to affect the surface tension, viscosity and wetting properties of the ink. PEDOT / PSS is available from Bayer under the name "Baytron". The IJP printer is of a piezoelectric type. It is equipped with a precise two-dimensional analysis stage and a microscope stage that enables the alignment of patterns that are printed sequentially on each one. The IJP head is driven by a voltage pulse. Suitable driving conditions for injecting droplets of 0.4 ng of typical solid contents per droplet can be achieved with a pulse height of 20 V, a rise time of 10 s, and a fall time of 10 s. After drying the top of the glass substrate, they produce a PEDOT point having a typical diameter of 50 mu m with a typical thickness of 500 ANGSTROM.

소스-드레인 전극들의 IJP는 공기중에서 수행된다. 이후, 상기 샘플들은 불활성 분위기 글러브 박스 시스템(inert atmosphere glove box system)으로 전달된다. 그 다음, 상기 기판들은 이후 활성 반도체층의 증착에 사용될, 폴리플루오렌폴리머들의 경우 혼합된 크실렌(xylene)들과 같은 유기 용제에서 스펀-건조(spun-dry)된다. 그 다음, 이들은 PEDOT/PSS 전극들에서 잔류 용제와 다른 비휘발성 종들(volatile species)을 제거하기위해 불활성 니트로겐 분위기에서 200℃로 20분간 열처리된다. 그 다음, 스핀-코팅에 의해서 활성 반도체 폴리머(4)가 200-1000Å인 두꺼운 막으로 증착된다. 리지오레귤라(regioregular) 폴리-3-헥실티오펜(P3HT), 그리고 폴리-9,9'-디옥틸플루오렌-코-디티오펜(F8T2)과 같은 폴리플루오렌 코-폴리머들과 같은 다양한 반도체 폴리머들이 이용되어왔다. F8T2는 게이트 전극의 증착 중 공기 중에서 좋은 안정성을 보이기 때문에 바람직한 선택이다. 무수의(anhydrous), 혼합 크실렌들에서 F8T2의 5-10 mg/ml 용액(로밀(Romil)사에서 구입)은 1500-2000rpm 에서 스핀-코팅된다. P3HT의 경우, 혼합 크실렌에 무게당 1% 용액이 사용된다. 하부 PEDOT 전극들은 크실렌과 같은 극성없는 유기 용제서 불용성이다. 그 다음, 상기 막들은 게이트 절연체층(5)의 증착에 이후 사용될 수 있는 이소프로페놀 또는 메탄올과 같은 용제에서 스펀-건조된다.The IJP of the source-drain electrodes is performed in air. Thereafter, the samples are transferred to an inert atmosphere glove box system. The substrates are then spun-dried in an organic solvent such as mixed xylenes in the case of polyfluorene polymers to be used for the deposition of the active semiconductor layer. They are then heat treated at 200 ° C for 20 minutes in an inert nitrogen atmosphere to remove residual solvents and other volatile species in the PEDOT / PSS electrodes. The active semiconductor polymer 4 is then deposited by spin-coating into a thick film of 200-1000 ANGSTROM. Such as polyfluorene co-polymers such as poly-9,9'-dioctylfluorene-co-dithiophene (F8T2), and regioregular poly-3-hexylthiophene Polymers have been used. F8T2 is a preferred choice because it exhibits good stability in air during the deposition of the gate electrode. A 5-10 mg / ml solution of F8T2 (obtained from Romil) in anhydrous, mixed xylenes is spin-coated at 1500-2000 rpm. For P3HT, 1% solution per weight is used in the mixed xylene. Lower PEDOT electrodes are insoluble in polar solvents such as xylene. The films are then spun-dried in a solvent such as isopropanol or methanol, which can then be used for deposition of the gate insulator layer 5.

그 다음, 상기 반도체 폴리머의 전하 전달 속성들을 개선하기위해 후속 열처리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에서의 높은 온도 열처리에서 액정(liquid crystalline) 상태를 보이는 폴리머들에 있어서, 상기 액정 변이의 결과 폴리머 사슬의 방향은 서로 평행이 된다. F8T2의 경우에서, 열처리는 불활성 N2분위기 하에서 275-285℃로 5-20분 동안 수행된다. 그 다음, 상기 샘플들은 상기 사슬들의 상기방향을 고정시키고 비정질 유리를 만들기 위해 상온으로 빠르게 식혀진다. 만일 샘플들이 정렬층 없이 평탄한 유리 기판 상에 마련되면, 상기 폴리머는 다중도메인(multidomain) 구성을 채용하며, 여기서 랜덤 방향성을 가지는 액정 도메인들은 상기 TFT 채널 내부에 위치된다. 5-10-3㎠/Vs정도의 이동성을 보이는 액정 상태로부터 급속냉각함으로써 F8T2가 유리질 상태로 제공되는 트랜지스터 디바이스들은 상기 스펀 F8T2 막들을 가지는 디바이스들에서 측정된 이동성보다 한 차수 이상 크기가 크다. 또한, 상기 증착된 디바이스들은 높은 턴-온 전압(Vo)을 보인다. 이는 부분적으로 결정인 상기 증착된 상태와 비교하여 상기 유리질 상태의 국부적 전자 트랩 상태의 밀도가 더 낮기 때문이다.A subsequent heat treatment step may then be performed to improve the charge transfer properties of the semiconductor polymer. In polymers exhibiting a liquid crystalline state at a high temperature thermal treatment at this temperature, the direction of the polymer chains as a result of the liquid crystal transition is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case of F8T2, heat treatment is performed for 5-20 min. 275-285 ℃ under an inert N 2 atmosphere. The samples are then quickly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fix the orientation of the chains and make amorphous glass. If samples are provided on a flat glass substrate without an alignment layer, the polymer employs a multidomain configuration, wherein liquid crystal domains with random orientation are located within the TFT channel. Transistor devices in which F8T2 is provided in a glassy state by rapid cooling from a liquid crystal state showing mobility of about 5-10 < -3 > / cm < 2 > / Vs are larger in magnitude than mobility measured in devices having the spun F8T2 films. In addition, the deposited devices exhibit a high turn-on voltage Vo. This is because the density of the localized electron trap state of the vitreous state is lower compared to the deposited state, which is partially determined.

만일 상기 폴리머가, 상기 트랜지스터 채널에 평행한 폴리머 사슬들의 단축(uniaxial)과 함께 단일 도메인(monodomain) 상태로 제공된다면 전형적으로 3-5의 인자에의한 이동성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이는 기계적으로 연마된 폴리이미드층(도 1(b)의 9)과 같은 적절한 정렬층으로 상기 유리층을 코딩함으로써 달성된다. 단일 도메인 상태에서, 상기 폴리머 사슬들은 하부 폴리이미드층의 연마 방향에 단축으로 평행하도록 정렬된다. 이 결과 디바이스들의 전하 캐리어 이동성이 더욱 개선되며, 여기서 상기 TFT 채널은 상기 사슬들의 정렬 방향과 평행이다. 이러한 공정은 본원과 동시 계류중인 영국 특허 출원 번호 제 9914489.1호에 좀더 자세히 설명된다.If the polymer is provided in a monodomain state with a uniaxial of polymer chains parallel to the transistor channel, the mobility by factors of typically 3-5 can be further improved. This is accomplished by coding the glass layer with a suitable alignment layer such as a mechanically polished polyimide layer (9 in Figure 1 (b)). In the single domain state, the polymer chains are aligned so as to be uniaxially parallel to the polishing direction of the lower polyimide layer. This further improves the charge carrier mobility of the devices, where the TFT channels are parallel to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chains. Such a process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co-pending UK Patent Application No. 9914489.1.

반도체층의 증착 후, 상기 게이트 절연층(5)은 극성 용제로부터 폴리하이드록시스틸렌(polyhydroxystyrene)(또한 폴리비닐페놀(polyvinylphenol:PVP)이라 불림)의 용액을 스핀 코딩함으로써 증착되며, 여기서 상기 하부 반도체 폴리머는 불용성이다. 바람직한 용제의 선택은 메탄올, 2-프로페놀 또는 부탄올과 같은 알콜이며, 여기서 특별히 낮은 용해성을 가지는 F8T2와 같은 비극성 폴리머들은 부풀어오르지 않는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의 두께는 300nm(용액 농도는 30mg/ml)와 1.3㎛(용액 농도는 100mg/ml) 사이이다. 물에 대한 폴리-비닐알콜(pholy-vinylalcohol:PVA), 또는 부틸 아세테이트(butyl acetate) 혹은 프로필렌 클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에 대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PMMA)와 같은 용해성 요구사항들을 만족하는 다른 절연 폴리머들과 용제들 역시 사용될 수 있다.After the semiconductor layer is deposited, the gate insulating layer 5 is deposited by spin-coating a solution of polyhydroxystyrene (also referred to as polyvinylphenol (PVP)) from a polar solvent, The polymer is insoluble. The choice of a preferred solvent is an alcohol such as methanol, 2-propanol or butanol, where nonpolar polymers such as F8T2, which have particularly low solubility, do not swell. The thickness of the gate insulating layer is between 300 nm (solution concentration is 30 mg / ml) and 1.3 탆 (solution concentration is 100 mg / ml). The use of poly-methyl-methacrylate (PVA) for poly-vinylalcohol (PVA) or propyleneglycol methyl ether acetate for butyl acetate or water, methacrylate: PMMA) may also be used as well as other insulating polymers and solvents that meet the solubility requirements.

그 다음, 게이트 전극(6)이 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에 증착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층은 상기 게이트 절연층(도 1(c) 참고) 상에 직접 증착되거나, 예를 들어, 표면 변형, 확산 장벽 또는 용제 호환성과 같은 공정 이유 때문에 하나 이상의 중간층들(도 1(a)와 (b))이 존재할 수 있다.Then, a gate electrode 6 is deposit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The gate electrode layer may be deposited directly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see FIG. 1 (c)) or may be deposited on one or more intermediate layers (FIG. 1 (a) and (b)) may be present.

도 1(c)의 단순한 디바이스를 형성하기위해서, PEDOT/PSS 게이트(6)는 PVP 절연층(5)의 상부에 직접 프린팅될 수 있다. 기판은 다시 공기중에서 IJP 스테이션으로 전달되고 여기서 PEDOT/PSS 게이트 전극 패턴이 수용액으로 프린팅된다. 상기 하부 PVP게이트 절연층은 물에 대해서 낮은 용해성을 가지며, 그로인해 상기 게이트 전극의 완전함은 PEDOT/PSS 게이트 전극의 프린팅 중에 보존된다. 비록 PVP가 고밀도 극성 하이드록실(polar hydroxyl) 군들을 포함하지만, 바로 비극성 폴리스틸렌과 유사한 백본(backbone) 때문에 물에 대한 용해성은 낮다. 유사하게, PMMA는 물에 대해 불용성이다. 도 2는 F8T2 반도체층, PVP 게이트 절연층, 그리고 IJP PEDOT/PSS 소스-드레인 및 게이트 전극들을 가지는 IJP TFT의 전달 특성들을 도시한다. 상기 디바이스 특성들은 니트로겐 분위기에서 측정된다. 연속적인 측정들은 각각 게이트 전압의 상승(상향 삼각형)과 하강(하향 삼각형)을 도시한다. PEDOT/PSS(베이트론 피)의 새롭게 준비된 군(a)과 일년이 경과된 군(b)에의해 디바이스들에 속한 특성들이 얻어졌다. 트랜지스터 동작은 명백히 도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디바이스들은 양의 문턱전압(Vo)>10V 에서 이상한 정상적 온(normally-on) 동작을 보이는 반면에, 금 소스-드레인 그리고 게이트 전극들을 증착하여 형성된 기준 디바이스들은 정상적 오프(normally-off) 동작(Vo<0)을보인다는 것이 밝혀졌다. PEDOT의 "오래된(old)" 군으로부터 형성된 디바이스들에서(도 2(b)), 이동성 이온 불순물들(이하 참조)의 높은 농도 때문에 높은 히스테리스스 효과들이 관찰된다. 만일 깊은 공핍(Vg=+40V)에서 만곡(sweep)이 시작되면, 상기 트랜지스터는 Vf o +20V(상향 삼각형)에서 턴온된다. 그러나, 역방향 스캔(scan)에서(하향 삼각형) 상기 트랜지스터는 Vf o>+35V에서만 턴오프된다.To form the simple device of Figure 1 (c), the PEDOT / PSS gate 6 may be directly printed on top of the PVP insulating layer 5. The substrate is again transferred to the IJP station in the air where the PEDOT / PSS gate electrode pattern is printed in aqueous solution. The lower PVP gate insulating layer has low solubility in water, whereby the integrity of the gate electrode is preserved during printing of the PEDOT / PSS gate electrode. Although PVP contains high density polar hydroxyl groups, its solubility in water is low due to its backbone similar to nonpolar polystyrene. Similarly, PMMA is insoluble in water. 2 shows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n IJP TFT having a F8T2 semiconductor layer, a PVP gate insulating layer, and IJP PEDOT / PSS source-drain and gate electrodes. The device characteristics are measured in a nitrogen atmosphere. Continuous measurements show rise (upward triangle) and fall (downward triangle) of the gate voltage, respectively. Properties belonging to the devices were obtained by the newly prepared group (a) of PEDOT / PSS (bithronite) and the group (b) that passed one year. The transistor operation can be clearly shown. However, these devices exhibit anomalous normally-on operation at a positive threshold voltage (Vo)> 10 V, while reference devices formed by depositing gold source-drain and gate electrodes are normally-off, (Vo < 0). &Lt; / RTI &gt; In devices formed from the &quot; old &quot; group of PEDOTs (Fig. 2 (b)), high hysteresis effects are observed due to the high concentration of mobile ionic impurities (see below). If the deep-depleted (Vg = + 40V) from the curved (sweep) is started, the transistor is V f o It is turned on at + 20V (upper triangle). However, in a reverse scan (downward triangle) the transistor is turned off only at V f o &gt; + 35V.

상기 정상적-온 동작과 히스테리시스 효과들은 상기 디바이스의 층들 중 하나의 이온 종들의 확산에 의해 유발될 수도 있다. 이상하게 큰 Vo의 양의 값은 상기 이온이 음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양의 종들이 누적층의 이동 전하의 일부를 보상하고 Vo를 좀더 음의 값으로 이동시킬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온 종류들의 근원을 식별하기위해서, 다른 층들과 PEDOT 소스/드레인 전극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하면서 상부-게이트 IJP PEDOT 전극은 증착된 금 전극으로 대체하여 디바이스들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디바이스들은 일반-오프되고 안정적인 문턱전압을 보인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완전-폴리머 디바이스의 도핑 및 히스테리시스 효과들이 전도성 폴리머 상부 게이트 전극의 용액 증착, 그리고 상기 PEDOT 용액/막으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하부층들로의 이동, 이온 불순물들의 가능한 확산에 관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normal-on operation and the hysteresis effects may be caused by diffusion of ion species of one of the layers of the device. The value of the oddly large positive of Vo implies that the ions are negative. It can be expected that positive species will compensate for a portion of the transfer charge of the accumulation layer and move Vo to a more negative value. To identify the source of these ionic species, other layers and PEDOT source / drain electrodes were formed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upper-gate IJP PEDOT electrode was replaced with a deposited gold electrode to form devices. In such a structure it has been found that the devices are normally off and exhibit a stable threshold voltage. This means that the doping and hysteresis effects of the full-polymer device are related to solution deposition of the conductive polymer top gate electrode and migration of the PEDOT solution from the film to the underlying layers of the device, possible diffusion of ionic impurities.

가열된 기판 상에 게이트 전극을 증착함으로써 문턱전압의 값을 제어할 수 있고 그리고 히스테리시스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이 밝혀졌다. 이는 기판 상의 물방울의 건조 시간을 줄인다. 도 3(b)은 TFT 디바이스의 전달 특성들을 도시하는데, 이를 위해 기판은 게이트 전극의 증착 동안 50℃의 온도로 가열되었다. 히스테리시스 효과가 상온에서 게이트를 증착한것 보다 대단히 작아졌다는 것(도 3b)과 Vo가 6V의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값을 가진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증착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문턱전압은 Vo = 1-20V의 영역으로 조절될 수 있다.It has been found that the value of the threshold voltage can be controlled and the amount of hysteresis can be reduced by depositing the gate electrode on the heated substrate. This reduces the drying time of water droplets on the substrate. 3 (b) shows the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TFT device, in which the substrate was heated to a temperature of 50 [deg.] C during the deposition of the gate electrode. It can be seen that the hysteresis effect is much smaller than at room temperature (Fig. 3B) and that Vo has a relatively small positive value of 6V. By controlling the deposition temperature, the threshold voltage can be adjusted to the range of Vo = 1-20V.

도 1(c)와 같이 PVP층 상에 직접 증착된 게이트 전극들을 가지는 디바이스는 공핍 타입의 디바이스이다. 이의 정상적-온 동작은 단순 공핍-부하 논리 인버터(도 14(a))와 같은 공핍 타입의 논리 회로들에 유용하다.The device having the gate electrodes deposited directly on the PVP layer as shown in Fig. 1 (c) is a depletion type device. Its normal-on operation is useful for depletion type logic circuits such as a simple depletion-load logic inverter (Figure 14 (a)).

개선된 타입의 정상적-오프 TFT들을 형성하기위해서, 상기 게이트의 증착 중에 상기 반도체의 도핑은 확산 장벽층의 결합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도 1(a)와(b)의 디바이스에서, 전도체 폴리머 게이트 전극의 증착 이전에 비극성 폴리머의 얇은 층(7)이 상기 PVP 게이트 절연층 상부에 증착된다. 이 층은 약한 극성의 PVP 절연체를 통한 이온 종들의 확산을 차단하는 확산 장벽으로 동작할 것이다. PVP는 상기 막을 통한 이온의 전도율과 확산률을 개선하는 경향이 있는 고밀도 극성 하이도록실 군들을 포함한다. 폴리-9,9'-디옥틸플루오랜(F8), 폴리스틸렌(PS), 폴리(9,'9-디옥틸-플루오렌-N-(4-부틸페닐)디페닐라민)(TFB) 또는 F8T2와 같은 몇몇 비극성 폴리머들이 사용되었다. 약 50-100nm의 이러한 폴리머들의 박막들은 크실렌과 같은 비극성 유기 용제의 용액으로부터 PVP 게이트 절연층의 표면 상에 증착될 수 있고, 여기서 PVP는 불용성이다.During the deposition of the gate, the doping of the semiconductor can be prevented by the bonding of the diffusion barrier layer to form an improved type of normal-off TFTs. In the device of Figures 1 (a) and (b), a thin layer 7 of nonpolar polymer is deposited over the PVP gate dielectric layer prior to deposition of the conductor polymer gate electrode. This layer will act as a diffusion barrier to block the diffusion of ion species through the PVP insulator of weak polarity. The PVP contains a series of high-density poles that tend to improve the conductivity and diffusion of ions through the membrane. Poly (9,9'-dioctyl-fluorene-N- (4-butylphenyl) diphenylamine) (TFB) or F8T2 &Lt; / RTI &gt; were used. Thin films of these polymers of about 50-100 nm can be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PVP gate insulating layer from a solution of a nonpolar organic solvent such as xylene where the PVP is insoluble.

비극성 확산 장벽층의 상부 또는 PMMA와 같은 약한 극성 폴리머의 상부에 대한 극성 수용액으로부터의 PEDOT/PSS 직접 프린팅은 나쁜 습윤성과 넓은 접촉 각도들 때문에 문제점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를 처리하기위해서, 표면 변경층(8)이 비극성 폴리머의 상부에 증착된다. 상기 층은 소수성 표면보다는 친수성 표면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PEDOT/PSS는 좀더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게이트 전극 패턴의 고해상도 프린팅을 가능하게한다. 상기 표면 변형층을 형성하기위해서, PVP의 얇은 층은 이소프로페놀 용액으로부터 증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하부 확산 장벽층은 불용성이다. 상기 PVP층의 두께는 50n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PVP의 표면 상에서 PEDOT/PSS의 고해상도 프린팅이 가능하다. 대안적인 표면 변형층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친수성 및 소수성 기능 군을 포함하는 비누와 같은 계면활성제들 또는 폴리머들의 얇은 층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분자들은 하부비극성 폴리머 그리고 자유 표면과의 계면에 각각 유인되는 소수성 그리고 친수성 군들로 상태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 다른 가능성은 상기 비극성 확산 장벽의 표면을, 상기 표면을 친수성으로 만드는 약한 O2플라즈마에 짧게 노출하는 것이다. 상기 TFT 디바이스 성능을 감소시키지 않는 적절한 플라즈마 처리는 12초 동안 50W의 전력으로 13.5Mhz O2 플라즈마에 노출하는 것이다.Direct printing of PEDOT / PSS from a polar aqueous solution on top of a non-polar diffusion barrier layer or on top of a weakly polar polymer such as PMMA has been found to be problematic due to poor wettability and wide contact angles. To treat this, a surface modifying layer 8 is deposited on top of the nonpolar polymer. The layer provides a hydrophilic surface rather than a hydrophobic surface, wherein the PEDOT / PSS can be formed more easily. This enables high resolution printing of the gate electrode pattern. To form the surface strained layer, a thin layer of PVP can be deposited from an isopropanol solution, wherein the bottom diffusion barrier layer is insoluble. The thickness of the PVP layer is preferably 50 nm or less. High resolution printing of PEDOT / PSS on the surface of PVP is possible. Alternative surface modified layers may be used. These include thin layers of surfactants or polymers such as soaps including hydrophilic and hydrophobic functional groups. These molecules tend to separate into hydrophobic and hydrophilic groups that are attracted to the lower nonpolar polymer and the interface with the free surface, respectively. Another possibility is to briefly expose the surface of the nonpolar diffusion barrier to a weak O 2 plasma which makes the surface hydrophilic. A suitable plasma treatment that does not reduce the TFT device performance is to expose to 13.5 Mhz O2 plasma at a power of 50 W for 12 seconds.

게이트 전극이 알코올(이소프로판올, 메탄올 등)을 포함하는 물보다 극성이 덜한 용매로부터 프린팅된다면, 비극성 확산 장벽의 상부에 있는 표면 수정층이 필요할 수 있다.If the gate electrode is printed from a less polar solvent than water containing alcohol (isopropanol, methanol, etc.), a surface modification layer at the top of the non-polar diffusion barrier may be required.

층 시퀀스의 무결성은 극성과 비극성 용매로부터 추출된 폴리머 물질을 교대로 증착시키는데 달려 있다. 제2층을 증착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용매내 제1층은 단위부피당 0.1w%보다 적고, 바람직하게는 0.01w%보다 적다.The integrity of the layer sequence depends on the alternating deposition of polar and polymeric materials extracted from non-polar solvents. The first layer in the solvent used to deposit the second layer is less than 0.1w%, preferably less than 0.01w%, per unit volume.

용매 적합성의 기준은 극성의 정량화에 관한 힐데브란트 용해도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정량화될 수 있다(D.W. van Krevelen, Properties of polyners, Elsevier, Amsterdam(1990)). 각 폴리머(용매)의 용해도는 상호작용, 극성, 및 액체상태의 폴리머(용매) 분자 상호간의 수소 결합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파리미터 δd, δp, δh로 기술될 수 있다. 다른 작용 군의 폴리머의 기증물을 첨가함으로써 분자구조를 알게된다면, 3가지 파라미터에 대한 값이 계산되어질 수 있다. 이들 폴리머들은 대부분 흔한 포리머들이다. 종종 δp와 δd는 결합되어 δv 2d 2p 2가 된다.Criteria for solvent compatibility can be quantified using the Hildebrand solubility parameter for the quantification of polarity (DW van Krevelen, Properties of polyners, Elsevier, Amsterdam (1990)). The solubility of each polymer (solvent) can be described by the parameters δ d , δ p , δ h , which indicate interactions, polarity, and hydrogen bond interactions between polymer molecules in the liquid state (solvent). If the molecular structure is known by adding a donor of the polymer of another functional group, then values for the three parameters can be calculated. These polymers are mostly common polymers. Often, δ p and δ d are combined to become δ v 2 = δ d 2 + δ p 2 .

혼합 자유에너지는 ΔGm=ΔHm-TΔSm으로 주어지고, 이 경우 혼합 엔트로피는 ΔSm>0이고, 혼합 엔탈피는 ΔHm=V*φps*(( δv pv s)2+(δh ph s)2)이다. 이것으로부터 폴리머(P)는 용매(S)보다 더 잘 녹는데, 즉, ΔHm이 적을수록 D=(( δv pv s)2+(δh ph s)1/2)도 적어진다. 대략적인 기준으로, 상호작용 파라미터(D)가 대략적으로 5보다 작으면, 상기 폴리머는 용매에 녹을 수 있다. D가 5-10이라면, 부풀림이 종종 관찰된다. D가 10보다 크면, 상기 폴리머는 대체적으로 상기 용매에 녹지 않고, 아무런 부풀림도 없다.The mixed free energy is given by ΔG m = ΔH m -T ΔS m where the mixing entropy is ΔSm> 0 and the mixing enthalpy is ΔH m = V * φ p * φ s * ((δ v pv s ) a 2 + (δ h p -δ h s) 2). Polymer (P) from this I is more soluble than the solvent (S), that is, the less ΔH m D = ((δ v p -δ v s) 2 + (δ h p -δ h s) 1/2 ). On an approximate basis, if the interaction parameter D is less than approximately 5, the polymer may be soluble in the solvent. If D is 5-10, swelling is often observed. If D is greater than 10, the polymer is generally insoluble in the solvent and has no swelling.

용해 처리된 TFT 장치에서 단열의 인터페이스를 얻기 위해서는 각 폴리머 층과 다음 층의 용매에 대한 D값이 대략적으로 10보다 커야 한다. 이것은 반도체 폴리머층 및 케이트 유전체의 용매에 있어 특히 중요하다. F8T2와 이소프로판올(부틸 아세테이트)의 경우, D값은 대략적으로 16(12)이다.In order to obtain the adiabatic interface in the dissolvable TFT device, the D value for each polymer layer and the solvent in the next layer should be approximately 10.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e solvent of the semiconductor polymer layer and the keat dielectric. For F8T2 and isopropanol (butyl acetate), the D value is approximately 16 (12).

몇몇 디바이스 구성들의 경우, 전면적인 다중층 구조는 물과 같은 극성 용매에 잘 녹는 극성 물질군을 포함한 폴리머와 극성 물질군을 거의 포함하지 않거나 약간 포함하여 크실렌과 같은 비극성 용매에 잘 녹는 폴리머가 교대로 쌓아진 형식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호 작용 파라미터 D는 폴리머 층과 다음의 용매와의 δ9의 차이때문에 더 크다. PEDOT/PSS의 고극성 전극, F8T2와 같은 비극성 반도체 층, 수용해 물질로부터 증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과 같은 고극성 유전체 층, 일련의 적층을 가능하게 하는 버퍼층으로 작용하는 TFB의 비극성 확산 장벽층, PEDO/PSS 게이트 전극이 그 예이다.In some device configurations, the overall multilayer structure may include polymers that include a polar material group that is well soluble in polar solvents such as water, or polymers that are soluble in a non-polar solvent, such as xylene, It can be a stacked form. In this case, the interaction parameter D is greater due to the difference in delta 9 between the polymer layer and the next solvent. A high polarity electrode of PEDOT / PSS, a nonpolar semiconductor layer such as F8T2, a high polarity dielectric layer such as polyvinyl alcohol deposited from a storage material, a nonpolar diffusion barrier layer of TFB serving as a buffer layer enabling a series of stacking, / PSS gate electrode is an example.

그러나, 단일 유전체 층에 의하여 비극성 반도체 층과 극성 게이트 전극 층을 분리하는 것이 종종 편리하다. 이러한 층 시퀀스는 약간의 극성을 갖는 용매로 부터 증착된 약간의 극성을 갖는 폴리머 물질이 고극성 또는 비극성 폴리머 사이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가능하다. 약간의 극성을 가는 폴리머는 극성과 비극성 군을 포함하는 폴리머이고, 극성 용매에서 잘 녹지 않는다. 용해도 파라미터와 관련하여, 약간의 극성을 가는 용매의 용해도 파라미터 δH가 기저 폴리머와 현저히 차이를 갖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비록 용매의 상기 극성 용해도 파라미터δPV)가 기저 폴리머층과 비슷하다 하더라도, 부풀림(큰D)은 방지될 수 있다. 약간의 극성을 갖는 폴리머 층은 히드록시기와 같은 특정의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히드록시기는 상기 폴리머의 작용기를 잘 끌어 당기는 작용기를 포함하는 용매에 상기 폴리머가 잘 녹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인력은 수소 결합 상호 작용일 수 있다. 폴리머의 작용성으로 인해, 상기 폴리머는 적당한 극성을 갖는 물질에 잘 용해되고, 극성 용매에 잘 용해되지 않게 된다. 적당한 극성을 갖는 폴리머의 예로는 비극성 반도체 층과 PEDOT/PSS 게이트 전극 층 사이에 놓여 있는 PVP게이트 유전체 층(도 1)이 있다. 적당한 극성을 갖는 용매의 예로는 IPA(δh;F8T2:δh≒0)가 있다.However, it is often convenient to separate the non-polar semiconductor layer and the polarity gate electrode layer by a single dielectric layer. This layer sequence is possible by placing a polymer material with a slight polarity deposited from a solvent having a slight polarity between the high polarity or nonpolar polymer. The slightly polarizing polymer is a polymer containing polar and nonpolar groups and is not well soluble in polar solvents. With respect to the solubility parameter, the solubility parameter &lt; RTI ID = 0.0 &gt;# H &lt; / RTI &gt; of the solvent which undergoes some polarity can be defined as having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base polymer. In this case, even if the polar solubility parameter? P (? V ) of the solvent is similar to the base polymer layer, the bulge (large D) can be prevented. The polymer layer having a slight polarity may contain a specific functional group such as a hydroxyl group, and the hydroxyl group functions to dissolve the polymer well in a solvent containing a functional group which attracts the functional group of the polymer well. Such attraction may be a hydrogen bonding interaction. Due to the functionality of the polymer, the polymer is well soluble in a material having an appropriate polarity and is not well soluble in a polar solvent. An example of a polymer with suitable polarity is a PVP gate dielectric layer (FIG. 1) that lies between the nonpolar semiconductor layer and the PEDOT / PSS gate electrode layer. Examples of the solvent having the appropriate polarity are IPA (δ h; F8T2: δ h ≒ 0) a.

도 4는,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PVP 게이트 절연층, F8 장벽층, PVP 표면 수정층을 갖는 모든 F8T2 IJT TFT 폴리머층의 출력(a)과 전달(b) 성질을 나타낸다.상기 디바이스는 V0≤0V에서 순수하고 준이상적으로 정상적-오프 트랜지스터 작용을 갖는다. 상부(위쪽 삼각형)과 하부(아래쪽 삼각형) 전압 사이의 한계 전압 편이는 ≤1v이다. 상기 디바이스의 성질은 Au 드레인과 게이트 전극을 사용하여 비활성 대기합하에서 가공된 표준 디바이스와 극히 유사하다. 필드 효과 유동성은 0.005-0.01cm2/Vs이고, Vg=0과 -60V 사이에서 측정된 온/오프(on/off) 전류비는 104-105이다.Figure 4 shows the output (a) and transfer (b) properties of all F8T2 IJT TFT polymer layers with a PVP gate insulating layer, F8 barrier layer, PVP surface modification layer as disclosed in Figure 1. The device has V 0 Lt; / RTI &gt; and &lt; RTI ID = 0.0 &gt; 0V &lt; / RTI &gt; The threshold voltage shift between the top (top triangle) and bottom (bottom triangle) voltage is ≤1v. The nature of the device is very similar to standard devices fabricated in an inert-atmosphere combination using Au drain and gate electrodes. The field effect fluidity is 0.005-0.01 cm 2 / Vs, and the on / off current ratio measured between V g = 0 and -60 V is 10 4 -10 5 .

디바이스는 F8, TFB(도 5(a)는 전달 성질을 나타낸다), PS(도 5(b)는 전달 성질을 나타낸다)와 같은 광범위한 비극성 확산 장벽층을 이용하여 가공된다. 각각의 경우에, 순수한 정상적-오프(clean normally-off) 행동과 히스테리시스 효과와 한계 전압 편이가 관찰될 수 있고, 이러한 현상은 Au 드레인 전극을 갖는 기준 디바이스와 양적으로 동일하다. 이것은 게이트 전극 밑에 비극성 폴리머를 삽입하면 게이트 절연층을 용융 증착하는 동안 및 증착 후에 이온 불순물의 확산이 방지된다는 해석을 뒷받침한다. 이것이 TFT 한계 전압을 재생하고 우수한 작동 안정성을 가져온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다. 확산 장벽을 갖는 정상적-오프 디바이스는 보다 나은 장시간 한계 전압 안정성과 이온의 확산의 확산이 방지됨에 따른 오랜 수명을 갖기 때문에, 상술한 공핍형의 디바이스보다는 확산 장벽을 갖는 노말리-오프 디바이스가 선호된다. 용융처리가 가능한 복합 폴리머 또는 올리고머 물질은 반도체 층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폴리머 또는 올리고머 물질은 10-3cm/Vs, 바람직하게는 10-2cm/Vs을 초과하는 적당한 필드 효과 유동성을 갖는다. 적당한 물질이 H.E. Katz, J. Mater의 이름으로 Chem. 7,369(1997) 또는 Z. bao의 이름으로 Advanced Materials 12, 227(2000)에 예시되어 있다.The device is fabricated using a wide range of non-polar diffusion barrier layers such as F8, TFB (Fig. 5 (a) shows transfer properties), PS (Fig. 5 (b) shows transfer properties). In each case, pure normally-off behavior and hysteresis effects and threshold voltage shifts can be observed, and this phenomenon is quantitatively equivalent to a reference device with an Au drain electrode. This supports the interpretation that inserting a non-polar polymer under the gate electrode prevents diffusion of ionic impurities during and during melt deposition of the gate insulating layer. It is known that this regenerates the TFT threshold voltage and results in excellent operational stability. A normally-off device having a diffusion barrier is preferred to a normally-off device having a diffusion barrier rather than the depletion device described above, because it has a better long-term threshold voltage stability and a longer lifetime due to the diffusion of ion diffusion being prevented . Composite polymer or oligomer material is melt processible can be used as a semiconductor layer, in which case the polymer or oligomer material has a suitable field effect mobility in excess of 10 -3 cm / Vs, and preferably 10 -2 cm / Vs . Suitable materials are described in HE Katz, J. Mater in Chem. 7,369 (1997) or in Advanced Materials 12, 227 (2000) by Z. Bao.

프린팅 TFTs가 우수한 안정성과 놓은 온-오프 전류비를 갖도록 가공하는 데 있어 중요 요구사항 중의 하나는 공정처리와 프린팅 단계에서 대기 산소와 물로 인한 우발적인 도핑에 대한 반도체 물질의 우수한 안정성이다. 프린팅 TFTs는 활성 반도체 층으로 F8T2(전술한 내용 참조) 또는 혼합 크실렌 용액으로 부터 용착된 레글로레귤러(regloregular) P3HT 반도체 폴리머를 사용하여 가공되어 왔다. 불활성 대기압하의 시험 디바이스에 마련되는 P3HT TFTs의 경우에는, 0.05-0,1 cm2/Vs 범위의 필드 효과 유동성은 F8T2의 경우보다 약간 높다. 그러나, 레글로레귤러(regloregular) P3HT는 산소 및/또는 물에 의한 도핑에 대하여 불안정하고, 이에 따라 공기와 낮은 온-오프 전류비에서 행해지는 프리팅 단계동안 필름 전도성이 증가하게 된다. 이것은 P3HT의 IP≒4.9 eV 범위의 낮은 이온화 포텐셜과 관련이 있다. 106보다 큰 높은 온-오프 전류비를 갖는 P3HT가 시험되었지만, 이 경우 증착후에 히드라진 증기에 노출 시키는 것과 같은 환원 도핑 단계가 필요하였다(H. Sirringhaus 등이 Advances in Solid State Physics 39, 101 (1999)에 발표). 그러나, 상술한 IJP TFTs의 경우에는, PEDOT 전극이 도핑 이탈(dedoping)되고 전도성이 현저히 감소하기 때문에, 이러한 후처리 환원 단계가수행될 수 없다. 따라서, 높은 전류 변환비를 얻기 위해서는, 폴리머 반도체가 산소 또는 물에 의한 우발적인 도핑에 대한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고 사용되는 것이 중요하다.One of the important requirements for processing printing TFTs to have excellent stability and a low on-off current ratio is the excellent stability of the semiconductor material for accidental doping due to atmospheric oxygen and water in the processing and printing processes. Printing TFTs have been fabricated using a regloregular P3HT semiconductor polymer deposited as an active semiconductor layer from F8T2 (see above) or a mixed xylene solution. In the case of P3HT TFTs provided in a test device under inert atmospheric pressure, the field effect fluidity in the range of 0.05-0,1 cm 2 / Vs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F8T2. However, regloregular P3HT is unstable to doping with oxygen and / or water, thereby increasing the film conductivity during the fritting step performed at air and low on-off current ratios. This is related to the low ionization potential in the range of I P ? 4.9 eV of P3HT. P3HT having a high on-off current ratio of greater than 10 6 was tested, but a reduction doping step such as exposing to hydrazine vapor after deposition was required (H. Sirringhaus et al., Advances in Solid State Physics 39, 101 ). However, in the case of the aforementioned IJP TFTs, such a post-treatment reduction step can not be performed because the PEDOT electrode is doped off and the conductivity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a high current conversion ratio, it is important that the polymer semiconductor is used with excellent stability against accidental doping with oxygen or water.

우수한 주변 안정성 및 높은 유동성을 갖는 물질군은 규칙 배열된 일련의 A와 B블록을 포함하는 A-B 경질 막대 블록 코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적당한 A 블록은 구조적으로 잘 정의되고, 큰 밴드 간격을 가는 사다리형 폴리머이고, 단일 폴리머로서 5.5eV 보다 큰 이온화 포텐셜을 가지며, 우수한 주변 안정성이 있다. 적당한 A 블럭으로는 플루오린 유도체(US 5,777,070), 인딘플루오린 유도체(S. Setayesh, Macromolecules 33, 2016(2000)), 페닐 또는 사다리형 페닐 유도체(J, Grimme et al., Adv. Mat. 7, 292(1995)) 등이 있다. 적당한 B 블럭으로는 황 또는 질소 같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면서 작은 밴드 간격을 갖는 정공 운반 모이어티(moieties)가 있고, 단일 폴리머로서 5.5eV 보다 작은 이온화 포텐셜을 갖는다. B 블럭의 역할은 상기 블럭 코폴리머의 이온화 포텐셜을 낮추는 것이다. 상기 블럭 코폴리머의 이온화 포텐셜은 4.9eV≤Ip≤5.5eV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코폴리머의 예로는 F8T2(이온화 포텐셜 5.5eV) 또는 TFB(US 5,777,070)가 있다.A group of materials with good peripheral stability and high flowability is an AB hard bar block copolymer comprising a series of ordered A and B blocks. Suitable A blocks are structurally well defined, ladder-type polymers with large band spacing, with a single polymer having an ionization potential greater than 5.5 eV and excellent peripheral stability. Suitable A blocks include fluorine derivatives (US 5,777,070), indifluorine derivatives (S. Setayesh, Macromolecules 33, 2016 (2000)), phenyl or ladder type phenyl derivatives (J, Grimme et al., Adv. , 292 (1995)). Suitable B blocks include hole transport moieties with small band spacings, including heteroatoms such as sulfur or nitrogen, and have an ionization potential of less than 5.5 eV as a single polymer. The role of the B block is to lower the ionization potential of the block copolymer. The ionization potential of the block copolymer is preferably a 4.9eV≤I p ≤5.5eV. An example of such a copolymer is F8T2 (ionization potential 5.5 eV) or TFB (US 5,777,070).

다른 적당한 정공 운반 폴리머는 알콕시 또는 플루오르와 곁사슬을 갖는 폴리씨오핀(polythiophene)과 같은, 5eV 보다 큰 이온화 포텐셜을 갖는 폴리씨오핀 유도체의 단일 폴리머이다(R.D. McCullough가 AdvancedMaterials 10, 93(1998)에 발표).Another suitable hole transporting polymer is a single polymer of a polycyoporphine derivative with an ionization potential greater than 5 eV, such as polythiophene with alkoxy or fluorine and side chains (RD McCullough in AdvancedMaterials 10, 93 (1998) ).

정공 운반 반도체 폴리머 대신에, 용융성 전자 운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캐리어 트랩으로 작용하는 산소와 같은 대기 불순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3eV보다 큰 전자 친화도를 요한다. 적당한 물질로 용해 가능한 전자 운반용 소분자 반도체(H.E. Katz등이 Nature 404, 478(2000)에 발표) 또는 결전자 플루오린화 곁사슬을 갖는 폴리씨오핀 유도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잘 정의된 AB타입 블럭 코폴리머, 5.5eV 보다 큰 이온화 에너지를 갖는 사다리형 A 블럭, 및 코폴리머의 전자 친화도를 3eV 바람직하게는 3.5eV 보다 크게 증가시키는 전자 운반용 B 블럭도 적당하다. A 블럭의 예로는 플루오린 유도체(US 5,777,070), 이데노플루오린 유도체(S. Setayesh가 Macromolecules 33, 2016(2000)에 발표), 페닐린 또는 사다리형 페닐린 유도체(J. Frimme등이 Adv. Mat. 7,292(1995)에 발표)가 있다. 전자 운반용 B 블럭은 벤조씨아디아졸 유도체(US 5,777,00), 페닐 유도체, 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릭 다이미드 유도체(H.E. Katz등이 Nature 404, 478(2000)에 발표) 또는 플루오린화 씨오핀 유도체가 있다.Instead of the hole-transporting semiconductor polymer, a fusible electron-transporting material may be used. They require an electron affinity greater than 3 eV to prevent atmospheric impurities such as oxygen acting as a carrier trap from remaining. Electron transport small molecule semiconductors (disclosed in H.E. Katz et al., Nature 404, 478 (2000)) or polymeric fluorinated derivatives having electron-donating fluorinated side chains can be included.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tructurally well defined AB type block copolymer, a ladder type A block with an ionization energy greater than 5.5 eV, and a B block for electron transport which increases the electron affinity of the copolymer by more than 3 eV, preferably greater than 3.5 eV Do. Examples of A block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fluorine derivatives (US 5,777,070), idenofluorene derivatives (S. Setayesh, published in Macromolecules 33, 2016 (2000)), phenylenes or ladder phenylalanine derivatives (J. Frimme et al. Mat., 7,292 (1995)). The B block for electron transport is a benzocyclohexane derivative (US 5,777,00), a phenyl derivative, a naphthalene tetracarboxylic dimide derivative (HE Katz et al., Published in Nature 404, 478 (2000)) or a fluorinated cefoxin derivative have.

논리 회로의 빠른 동작을 위해서, 상기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L)과 소스/드렌인과 게이트 사이의 중첩(d)은 가능한 한 작아야 한다. 임계 치수는 L이다. 왜냐하면, 트랜지스터 회로의 작동 속도는 대략 L-2에 대략적으로 비례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낮은 유동성을 갖는 반도체 층에 있어 중요하다.For fast operation of the logic circuit, the channel length (L) of the transistor and the overlap (d) between source / drain and gate should be as small as possible. The critical dimension is L. This is because the operating speed of the transistor circuit is roughly proportional to L &lt; -2 & gt ;. This is important for semiconductor layers having relatively low fluidity.

이러한 고해상도 패턴은 현재의 잉크젯 프린팅 기술로는 달성할 수 없고, 심지어는 최신의 IJP 기술(도 6)로도 피처 사이즈 10-20㎛로 제한된다.피쳐(feature)의 빠른 동작과 고밀도 팩킹이 필요하다면, 더 세밀한 피쳐 해상도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채택되어야 한다. 아래에 서술되는 기술은 기판 표면의 잉크젯 방울을 한정하기 위해 잉크 표면 상호작용을 이용한다. 채널 길이를 더 작게 하는 것은 종래 기술보다는 상기 기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is high resolution pattern can not be achieved with current inkjet printing technology, and even with the latest IJP technology (Fig. 6), the feature size is limited to 10-20 [mu] m. If fast operation of the features and high density packing are required , Techniques that enable finer feature resolution should be employed. The techniques described below use ink surface interactions to define inkjet droplets on the substrate surface. Making the channel length smaller can be accomplished by the above techniques rather than the prior art.

상기 한정 기술은 기판에 증착물질을 고해상도를 가지고 용착되게 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기판의 표면은 선택된 일부 표면이 용착되는 물질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인력을 가지면서 덜 반발하도록 처리된다. 예를 들면, 일부 표면이 소수성을 가지면서 다른 일부 표면은 친수성을 가지도록 예비 패턴 처리된다. 상기 예비 패턴처리 단계가 고해상력 및/또는 정확한 레지스트레이션으로 행해짐으로써, 후속되는 증착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above described technique can deposit the deposition material on the substrate with high resolution. First,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is processed so that some selected surfaces are relatively repulsive with relatively attractive forces on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For example, some surfaces are hydrophobic and some others are hydrophilic. By performing the preliminary pattern processing step with high resolution and / or accurate registration, subsequent deposition can be accurately performed.

도 7은 예비 패턴 처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특히 세밀한 채널 길이(L)를 갖는 도 1(c)의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c)와 마찬가지로 동일 도면 부호가 사용된다. 도 7(b)는 예비 처리된 기판상에 프린팅 및 잉크 제한을 나타낸다.Fig. 7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liminary pattern processing. Fig. 7 shows the formation of the device of Fig. 1 (c) with a particularly fine channel length L. Fig. 1 (c),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igure 7 (b) shows printing and ink restraints on pretreated substrates.

소스-드레인 전극(2, 3)의 증착 전에, 얇은 폴리이미드 층(10)이 유리 시트(1) 위에 형성된다. 상기 폴리 이미드 층(10)은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이 형성되는 위치에서 제거되도록 세밀하게 패턴 처리된다. 상기 제거 단계는 고 해상력 및/또는 정확한 레지스트레이션이 가능한 사진 석판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의 일 예에서, 상기 폴리이미드는 포토레지스트(11) 층으로 덮힐 수 있다. 상기 포토레지스트는 상기 폴리이미드가 제거되는 곳에서 제거될 수 있도록 사진 석판술로 패턴 처리된다. 다음, 상기 폴리이미드는 상기 포토레지스트가 저항력을 갖는 공정에 의하여 제거된다. 상기 폴리이미드는 상기 유리 기판이 상대적으로 친수성인 것과는 대조적으로 소수성을 갖기 때문에 선택된다. 다음, 소스-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PEDOT 물질이 잉크젯 프린팅에 의해 상기 친수성 기판 영역(12) 위로 증착된다. 상기 유리 기판 영역에 퍼져 있는 잉크 방울이 소수성 폴리이미드 영역(12)의 경계를 닿을 때, 상기 잉크는 반발되어 상기 소수성 표면 영역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는다. 이러한 한정 효과에 의해, 상기 잉크는 친수성 표면에만 증착되고, 작은 간격을 갖는 고해상도 패턴과 10㎛ 보다 작은 트랜지스터 채널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도 7(b)).Prior to deposition of the source-drain electrodes 2 and 3, a thin polyimide layer 10 is formed on the glass sheet 1. The polyimide layer 10 is finely patterned to be removed at a position where the source-drain electrode is formed. The removal step can be performed by photolithography capable of high resolution and / or accurate registration. In one example of such a process, the polyimide may be covered with a layer of photoresist 11. The photoresist is patterned photolithographically so that it can be removed where the polyimide is removed. Next, the polyimide is removed by a process in which the photoresist is resistant. The polyimide is selected because it has hydrophobicity as opposed to being relatively hydrophilic. Next, a PEDOT material forming the source-drain electrode is deposited over the hydrophilic substrate region 12 by ink-jet printing. When the ink droplet spreading on the glass substrate region touches the boundary of the hydrophobic polyimide region 12, the ink repels and does not flow into the hydrophobic surface region. With this limiting effect, the ink is deposited only on the hydrophilic surface, and a high resolution pattern with small spacing and a transistor channel length of less than 10 mu m can be formed (Fig. 7 (b)).

도 7(a)는 상기 폴리이미드가 제거되거나 폴리 이미드의 제거후 상대적인 표면 효가를 증대시는 공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폴리이미드 층(10)과 상기 포토레지스트(11)은 산소 플라즈마에 노출된다. 상기 산소 플라즈마는 얇은(500Å) 상기 포리이미드 층을 상기 두꺼운(1.5㎛) 포토 레지스트 층보다 빠르게 에칭한다.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 영역에 있는 상기 노출된 유리 표면(12)은, 상기 포토레지스트의 제거 전에 산소 플라즈마에 노출되므로써, 친수성으로 된다. 상기 폴리이미드를 제거하는 동안, 폴리이미드의 표면은 포토레지스트에 의해 보호되고 소수성을 유지하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FIG. 7 (a) shows an embodiment of a process in which the polyimide is removed or the relative surface effect is increased after removal of the polyimide. The polyimide layer 10 and the photoresist 11 are exposed to an oxygen plasma. The oxygen plasma etches the thin (500 Å) of the polyimide layer faster than the thick (1.5 袖 m) photoresist layer. The exposed glass surface 12 in the source-drain electrode region is exposed to an oxygen plasma prior to removal of the photoresist to become hydrophilic. It should be noted that, during removal of the polyimide, the surface of the polyimide is protected by the photoresist and remains hydrophobic.

필요하다면, 상기 폴리이미드의 표면은 CF4플라즈마에 추가적으로 노출 시키므로써 더욱 소수성화될 수 있다. CF4플라즈마는 상기 폴리이미드 표면을 플루오린화 할 뿐이며, 상기 친수성 유리 기판과는 상호 작용하지 않는다. 이 추가적인 플라즈마 처리는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기 전에 수행함으로써 상기 폴리이미드 패턴(10)의 측면만을 플루오린화하거나,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한 후에 할 수 있다.If necessary, the surface of the polyimide may be further rendered hydrophobic by further exposing it to CF 4 plasma. The CF 4 plasma only fluorinates the polyimide surface and does not interact with the hydrophilic glass substrate. This additional plasma treatment may be performed after fluorination of only the side surface of the polyimide pattern 10 or after removing the photoresist by removing the photoresist before removing the photoresist.

산소 플라즈마 처리된 7059 유리에서 물 안 PEDOT/PSS의 접촉각은, 폴리이미드 표면에서의 접촉각 θPI≒70-80°와 대조적으로, θglass≒20°이다. 플루오린화된 폴리이미드에서 물 안 PEDOT/PSS의 접촉각은 120°이다.The contact angle of water PEDOT / PSS in oxygen plasma treated 7059 glass is θ glass ≒ 20 °, in contrast to the contact angle θ PI ≒ 70-80 ° at the polyimide surface. The contact angle of PEDOT / PSS in water in the fluorinated polyimide is 120 °.

상술한 바와 같이 PEDOT/PSS층이 수용액으로부터 예비 패턴 처리된 폴리이미드 층으로 증착될 때, 비록 채널 길이(L)가 수 마이크론에 불과할 지라도(도 7(b)) PEDOT/PSS 잉크는 소스-드레인 전극 영역에 한정된다.When the PEDOT / PSS layer is deposited as a pre-patterned polyimide layer from the aqueous solution as described above, the PEDOT / PSS ink has a source-drain (not shown), even though the channel length L is only a few microns Electrode region.

잉크 방울의 한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잉크 방울의 운동 에너지는 가능한 작게 유지된다. 방울의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퍼지는 방울이 친수성 한정 구조를 무시하거나 이웃한 친수성 영역으로 엎질러질 가능성이 커진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definition of ink droplets, the kinetic energy of the ink droplets is kept as small as possible. The larger the size of the droplet, the greater the likelihood that the spreading droplet will ignore the hydrophilic confinement structure or spill into a neighboring hydrophilic region.

상기 잉크 방울(13)의 증착은 상기 잉크 방울의 중심과 폴리이미드 경계간의 거리 d에서 상기 기판(12)으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d는 충분히 작아서 상기 퍼지는 잉크가 상기 경계에 닿고, 상기 PEDOT 필름이 상기 폴리이미드 경계 끝가지 뻗어갈 수 있게 할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d는 충분히 커서 빠르게 퍼지는 잉크가 상기 소수성 영역으로 엎질러지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상기 폴리이미드(10) 상부의 PEDOT 증착이 TFT 길이를 한정할 위험을 증가시키고, 소스와 드레인 전극간에 짧은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0.4ng의 고체 성분을 함유한 PEDOT 방울이 인접하는 방울간 수평거리가 12.5㎛인 상태로 산소 플라즈마 처리된 7059 유리로 증착되기 위해서는, d≒30-40㎛이 적당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최적의 d 값은 연속적으로 증착된 방울 간의 수평거리를 의미하는 상기 증착 피치, 방울이 증착되는 주기 및 용액의 건조 시간뿐만 아니라 표면의 습식성에도 좌우된다.The deposition of the ink droplet 13 is preferably performed on the substrate 12 at a distance d between the center of the ink droplet and the polyimide boundary. On the other hand, d needs to be small enough so that the spreading ink touches the boundary, allowing the PEDOT film to extend across the polyimide boundary.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hat d is sufficiently large so that the rapidly spreading ink does not spill into the hydrophobic region. This increases the risk that the PEDOT deposition on top of the polyimide 10 will limit the TFT length and can form a short circuit between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In order for the PEDOT droplets containing 0.4 ng of solid component to be deposited as oxygen plasma treated 7059 glass with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adjacent droplets of 12.5 占 퐉, d? 30-40 占 퐉 was found to be suitable. The optimum d value depends not only on the deposition pitch, which is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successively deposited droplets, on the period of deposition of the droplets and on the drying time of the solution, but also on the wettability of the surface.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를 한정하는 소수성 한정층은 두번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반도체 폴리머를 상기 트랜지스터의 채널 안에 증착시키는 후속적인 증착단계에서, 이것은 얼라이닝 공구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이미드층(10)은 기계적으로 연마되거나 사진정렬되고, 액정 반도체 폴리머(4)의 단일 영역 얼라인머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얼라인먼트 층(9, 도1(b))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hydrophobic confinement layer, which defines the channel length of the transistor, may provide a second function. In a subsequent deposition step of depositing a semiconductor polymer into the channel of the transistor, this can be used as an alignment tool. The polyimide layer 10 may be mechanically polished or photo aligned and used as an alignment layer 9 (Fig. 1 (b)) to provide a single-domain alignment of the liquid crystal semiconductor polymer 4.

유사하게, 게이트 전극(6)은 게이트 절연층(5)의 상부에 형성된 패턴 처리된 층(14)에 의하여 한정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연층(5)은 상기 게이트 전극이 증착되는 용액에 대하여 끌어 당기거나 반발하는 표면 영역을 갖는다. 상기 패턴 처리된 층(6)은 소스-드레인 패턴을 따라 정렬하여 소스/드레인과 게이트 전극 사이의 중첩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도 7(c)).Similarly, the gate electrode 6 may be defined by the patterned layer 14 formed on the top of the gate insulating layer 5. The gate leading layer (5) has a surface region that attracts or repels against the solution in which the gate electrode is deposited. The patterned layer 6 may be aligned along the source-drain pattern to minimize the overlap region between the source / drain and the gate electrode (Fig. 7 (c)).

폴리이미드 이외의 물질이 상기 예비 패턴 처리된 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사진 석판술 이외의 다른 정교한 예비 패턴 처리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Materials other than polyimide can be used as the pre-patterned layer. Other sophisticated preliminary pattern processing techniques other than photolithography may be used.

도 8은 상대적으로 소수성이고 친수성 층 구조가 잉크젯 프린팅에 의해 증착된 액체 "잉크"를 한정하는 능력을 설명한다. 도 8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소수성을 갖도록 처리된 얇은 폴리이미드 스트립(10)과,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친수성을 갖도록 처리된 넓은 유리 기판 영역(12)을 포함하는 기판의 광학 미세조직을 나타낸다. 소스-드레인 전극으로 사용되는 PEDOT 물질은 상기 스트립(10)에 근접한 라인(2, 3)에서 흐르는 일련의 방울을 잉크젯 프린팅함으로써 증착된다. 비록 잉크젯된 물질이 낮은 대조를 나타내지만, 상기 증착된 물질의 단부 표면(2,3)에서 상기 증착된 물질이 스트립(10)에 한정되어 스트립 두께(L=5㎛)에 이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Figure 8 illustrates the ability to define a liquid " ink " that is relatively hydrophobic and has a hydrophilic layer structure deposited by inkjet printing. 8 shows the optical microstructure of a substrate comprising a thin polyimide strip 10 treated to be relatively hydrophobic as described above and a wide glass substrate area 12 treated to be relatively hydrophilic as described above . The PEDOT material used as the source-drain electrode is deposited by inkjet printing a series of droplets that flow in lines 2, 3 adjacent to the strip 10. Although the ink jetted material exhibits a low contrast, it can be seen that the deposited material at the end surfaces 2, 3 of the deposited material is limited to the strip 10 to reach the strip thickness (L = 5 占 퐉) have.

도 9는 폴리이미드 스트립(10) 부근에서 잉크젯 증착 과정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상기 이미지는 투명한 기판 아래에 장착된 스트로보스코프 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상기 폴리이미드 패턴(10)의 단부는 흰 선으로 나타난다. 상기 잉크 방울(21)은 잉크제 헤드(20)의 노즐로부터 분사되고, 그 방울 중심이 상기 폴리이미드 스트립(10)으로부터 거리 d만큼 떨어진 상태로 착지된다. 이러한 이미지는 상기 스트립 패턴(10)을 따라 상기 잉크젯 증착을 정교하게 국부적으로 얼라인먼트하고, 패턴 인식을 이용하는 국부적 얼라인먼트 과정을 자동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기 설명 참조).9 is a view showing an inkjet deposition process in the vicinity of the polyimide strip 10. The image was taken with a stroboscopic camera mounted below a transparent substrate. The ends of the polyimide pattern 10 appear as white lines. The ink droplet 21 is ejected from the nozzle of the ink head 20 and the droplet center thereof is landed at a distance d from the polyimide strip 10. This image can be used to finely and locally align the inkjet deposition along the strip pattern 10 and to automate the local alignment process using pattern recognition (see below).

도 10과 도 11은 도 7(c)의 방법으로 형성되며, 상술한 차동 습윤 프로세스로 정의되는 각각의 채널 길이(L)가 20㎛, 7㎛인 트랜지스터의 출력 및 전달 특성을 나타낸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 상기 채널 너비는 3mm이다. 도 10(a)는 20㎛ 디바이스의 출력 특성을 나타낸다. 도 10(b)는 7㎛ 디바이스의 출력 특성을 나타낸다. 도 10(c)는 20㎛ 디바이스의 전달 특성을 나타낸다.Figs. 10 and 11 show the output and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transistor formed by the method of Fig. 7 (c) and each having a channel length L of 20 mu m and 7 mu m defined by the above-described differential wetting process. In each case, the channel width is 3 mm. 10 (a) shows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a 20 탆 device. 10 (b) shows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a 7 [micro] m device. 10 (c) shows the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20 [micro] m device.

도 11b는 7 μm 디바이스의 전달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7 μm 디바이스는 작은 소오스-드레인 전압에서는 전류가 감소되고 포화 상황에서는 출력 컨덕턴스가 한정되는 특징적인 짧은 채널 동작을 보여준다. 쇼트 채널의 이동성 및 온-오프 전류비는 위에서 논의한 긴 채널 디바이스의 그것과 유사하다. 즉 μ = 0.005 - 0.01 cm2/Vs, ION/IOFF= 104- 105이다.11B shows the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7 [mu] m device. The 7 μm device exhibits characteristic short channel operation with reduced current at small source-drain voltages and limited output conductance under saturated conditions. The mobility and on-off current ratio of the short channel is similar to that of the long channel device discussed above. That is, μ = 0.005 - 0.01 cm 2 / Vs and I ON / I OFF = 10 4 - 10 5 .

잉크 제한은 소수성 및 친수성 표면의 축축한 성질의 차이의 결과이며, 지형상의 프로파일(topographic profile)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폴리이미드 필름은 매우 얇게 만들어질 수 있다 (500Å). 이것은 액체 상태에서의 잉크 방울의 크기(수 마이크로미터)보다 훨씬 작다. 따라서, 기판 예비-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 예컨대 패턴화된 자기 결합 모노층(SAM), 예를 들어 소수성 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리안 등의 플루오르 군 또는 알콕시군 등의 극성군을 함유하는 SAM으로 유리 기판의 표면을 기능화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SAM은 새도우 마스크를 통한 UV 광선 노출(H. Sugimura 등이 Langmuir 2000, 885 (2000)에 발표) 또는 미소접촉 프린팅( Brittain 등이 Physics World May 1998, p.31에 발표)과 같은 적절한 방법에 의해 패턴화될 수 있다.Ink limitations are the result of differences in the moist nature of hydrophobic and hydrophilic surfaces and do not require the presence of a topographic profi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olyimide film can be made very thin (500 Å). This is much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droplet of ink in the liquid state (several micrometers). Thus, other methods for forming a substrate pre-pattern, such as a patterned self-assembled monolayer (SAM), for example a fluorine or an alkoxy group such as hydrophobic alkyl or trifluoropropyl-trimethoxysilane, A method of functionalizing the surface of a glass substrate with a SAM containing a group can be used. SAMs are prepared by appropriate methods such as UV light exposure through a shadow mask (as disclosed by H. Sugimura et al. In Langmuir 2000, 885 (2000)) or micro-contact printing (Brittain et al. In Physics World May 1998, p. Can be patterned.

예비-패턴화는 TFT의 층의 증착에 앞서 수행되기 때문에, 기판의 예비-패턴화는 위에서 설명한 처리 흐름과 손쉽게 양립한다. 따라서, 넓은 범위의 패턴화 및 프린팅 방법은 폴리머 층을 열화 시킬 위험 없이 고해상도의 예비-패턴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Since pre-patterning is performed prior to deposition of a layer of TFT, the pre-patterning of the substrate is easily compatible with the process flow described above. Thus, a wide range of patterning and printing methods can be used to generate a high-resolution pre-pattern without the risk of degrading the polymer layer.

유사한 방법들이 작은 중첩 성능을 달성할 수 있도록 게이트 전극의 증착에 앞서 게이트 절연 층 또는 표면 변형 층의 표면을 예비-패턴화하는데 응용될 수 있다.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6)은 패턴화된 층(4)에 의해 한정될 수도 있다. 그러한 예비-패턴화의 한가지 실시예는 클로로실란 또는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 등의 메톡시 실란 군을 함유하는 자기 결합 모노층(SAM)의 미소 접촉 프린팅 또는 UV 포토패턴화이다. 이들 분자는 SiO2또는 유리 기판의 표면 상에서 안정된 모노층을 형성하며, 이 기판에서 상기 분자는 극성 표면 상의 하이드록시 군에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표면을 소수 상태로 만든다. PVP 또는 PMMA 등의 게이트 유전체 폴리머의 표면 상에 유사한 모노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본 발명자들은 발견하였다. 이것은 PVP 표면 상의 하이드록시 군에 분자들이 결합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SAM 피복된 오수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소오스-드레인 전극과 잘 한정된 작은 중첩 부분을 갖는 미세한 오수 라인으로 이루어진 표면 자유 에너지 패턴은 부드러운 석판 스탬핑에 의해 쉽게 한정될 수 있다. 아래에 있는 소오스-드레인 전극에 대하여 스탬프 패턴을 정렬하기 위하여, 스탬핑은 광학 현미경 또는 마스크 정렬 디바이스 아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유도가 이루어질 때, 물에 기반을 둔 폴리머 잉크는 자기 결합 모노층에 의해 한정되는 미세한 친수성 라인에 한정된다. 이렇게 하여,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게이트 유전체 층 위의 통상적인 라인 폭보다 더 작은 라인 폭을 얻을 수 있다. 이 결과, 소오스-드레인 대 게이트 중첩 용량은 감소한다.Similar methods can be applied to pre-pattern the surface of the gate insulating layer or the surface strained layer prior to the deposition of the gate electrode so as to achieve small overlapping performance. As shown in Fig. 7C, the gate electrode 6 may be defined by the patterned layer 4. One example of such pre-patterning is micro-contact printing or UV photopatterning of a magnetically bonded monolayer (SAM) containing a methoxysilane group such as chlorosilane or octadecyltrichlorosilane. These molecules form a stable monolayer on the surface of SiO 2 or a glass substrate on which the molecules are chemically bonded to the hydroxy group on the polar surface to render the surface hydrophobic. The inventors have discovered that it is possible to form a similar monolayer on the surface of a gate dielectric polymer such as PVP or PMMA. This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binding of molecules to the hydroxy group on the PVP surface. Surface free energy patterns consisting of source-drain electrodes surrounded by SAM-coated wastewater areas and fine wastewater lines with well-defined small overlapping areas can be easily defined by soft lithographic stamping. To align the stamp pattern with the underlying source-drain electrode, stamping can be performed under an optical microscope or mask alignment device. When induction is made, the water-based polymer ink is confined to fine hydrophilic lines defined by the magnetically bonded monolayer. In this way, a line width smaller than the typical line width on the gate dielectric layer where no pattern is formed can be obtained. As a result, the source-drain to gate overlap capacitance decreases.

예비 패턴화된 기판의 도움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TFT 및 비아홀을 통한 조립 공정에 기초하는 고속 논리 회로를 조립할 수 있다.With the aid of the pre-patterned substrate, it is possible to assemble a high speed logic circuit based on the assembly process through the TFT and via hole described herein.

큰 면적상에서의 트랜지스터 회로의 조립을 위한 중요한 요건 중의 하나는 기판 상의 패턴에 대한 증착의 정합 및 정렬이다. 큰 면적 위에서 왜곡을 나타내는 유연한 기판 상에서 적절한 정합을 얻는 것은 특히 어렵다. 후속하는 패턴화 단계 사이에서 기판이 뒤틀리면, 석판 프린팅 공정에서의 다음 마스크 레벨은 더 이상 아래의 패턴과 중첩되지 않게 된다. 잉크젯 헤드의 위치는 기판 상의 패턴에 대해 국부적으로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 개발된 고해상도 잉크젯 프린팅 공정은 플라스틱 기판 상의 큰 면적에 걸친 정확한 정합을 달성하기에 적합하다 (도 9). 이 국부적인 정렬 공정은 잉크젯 헤드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하여 피드백 기구와 조합되는 도 9의 경우와 같은 이미지를 사용하는 패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화될 수 있다.One of the important requirements for the assembly of transistor circuits on large areas is the alignment and alignment of the deposition on the pattern on the substrate. It is particularly difficult to obtain adequate matching on a flexible substrate that exhibits distortion over a large area. If the substrate is twisted between subsequent patterning steps, the next mask level in the lithographic printing process will no longer overlap with the underlying pattern. Since the position of the ink jet head can be locally adjusted to the pattern on the substrate, the high resolution ink jet printing process developed here is suitable for achieving accurate registration over a large area on a plastic substrate (FIG. 9). This local alignment process may be automated using a pattern recognition technique using images such as the case of FIG. 9 combined with a feedback mechanism to calibrate the position of the ink jet head.

위에서 설명한 유형의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다중 트랜지스터 집적회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비아홀이 디바이스의 두께를 통해 직접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이러한 회로는 특히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상호 연결을 이루는 한가지 방법은 용제로 형성된 비아홀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TFT의 용액 처리 층의 어느 것도 녹지 않는 형태로 변환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에 의해 용제의 국부적인 증착에 의해 비아홀이 개방된다.In order to form a multi-transistor integrated circuit using a device of the type described above, it is desirable that the via holes are directly interconnected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device. Whereby this circuit can be formed particularly small. One way to make such interconnection is to use a via hole formed of a solvent.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method has an advantage that none of the solution treatment layers of the above-described TFTs is converted into a non-melting form. Whereby the via hole is opened by local deposition of the solvent.

용제에 의해 형성되는 비아홀(도 12a)을 만들기 위하여, 적절한 양의용제(29)는 비아홀이 형성되어야 하는 층의 상부에 국부적으로 증착된다. 용제는 비아홀이 형성되는 하부 층을 녹일 수 있도록 선택된다. 용제는 비아홀이 형성될 때까지 점진적인 용해에 의해 층 속으로 스며든다. 용해된 물질은 비아홀의 측벽 W 상에 증착된다. 용제의 유형 및 그 증착 방법은 개개의 적용분야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다. 그러나, 다음의 네 가지 경우가 바람직하다.To make a via hole (Fig. 12A) formed by a solvent, an appropriate amount of solvent 29 is locally deposited on top of the layer where the via hole should be formed. The solvent is selected so as to melt the lower layer in which the via hole is formed. The solvent seeps into the layer by gradual dissolution until the via hole is formed. The dissolved material is deposited on the side wall W of the via hole. The type of solvent and its deposition method are selectable according to the respective application. However, the following four cases are preferable.

1. 용제가 증발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후속하는 공정을 방해하지 않고 디바이스의 과도한 또는 부정확한 용해를 야기하지 않도록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용제 및 공정 조건이 이루어져야 한다.1. Solvent and process conditions must be met so that the solvent can be easily removed so that it does not evaporate or otherwise cause undue or inaccurate dissolution of the device without interfering with subsequent processes.

2. 용제는 IJP 등의 선택적인 공정에 의해 증착되어야 하며, 이에 의해 정확히 제어된 양의 용제가 정확히 기판 상의 원하는 지점에 인가될 수 있다.2. The solvent should be deposited by an optional process such as IJP, whereby a precisely controlled amount of solvent can be accurately applied to the desired point on the substrate.

3. 비아홀의 직경은 용제 방울의 표면 장력 및 용제의 기판을 적시는 능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3. The diameter of the via hole is affected by the surface tension of the droplet and the ability of the substrate to wet the substrate.

4. 용제는 전기 연결이 이루어져야 하는 하부 층을 용해하지 않는다.4. Solvent does not dissolve the underlying layer where electrical connection is to be made.

도 12a는 도 1c에 예시한 일반적인 유형의 부분 형성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상에 메탄올 용제 방울(29)(방울 당 20ng 함유)을 증착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12a의 부분적인 디바이스는 1.3 μm 두께의 PVP 절연층(28)과, F8T2 반도체 층(27)과, PEDOT 전극 층(26)과, 유리 기판(25)을 포함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절연 PVP 층을 통해 비아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탄올은 쉽게 PVP를 녹이는 능력 때문에 용제로서 선택된다. 그 이유는 후속하는 공정을 방해하지 않도록 쉽게 증발할 수 있고, PVP의 만족할만한 습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예에서 비아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IJP 프린팅 헤드는 비아홀이 형성되어야 하는 기판 상의 지점으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 비아홀이 형성될 때까지 필요한 수의 적절한 크기의 메탄올 방울이 IJP로부터 떨어진다. 연속적으로 방울이 떨어지는 간격은 메탄올이 디바이스의 층을 용해하는 비율과 일치하도록 선택된다. 각각의 방울은 다음 방울이 증착되기 전에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증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아홀이 바닥의 비극성 반도체 층에 도달할 때, 하부 층이 제거되지 않도록 에칭 공정은 중단되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아세톤 등의 다른 용제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처리량을 높이기 위해서, 단일 용제 방울의 증착에 의해 비아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0 nm 두께의 필름과 30pl의 체적 및 50μm의 직경을 갖는 방울의 경우, 용제 내의 층의 용해 능력은 체적당 1 - 2 중량% 보다 높아야 한다. 단일 방울로 비아홀을 형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더 높은 비등점이 필요하다. PVP의 경우, 225℃의 비등점을 갖는 1,2-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DMI)이 사용될 수 있다.Figure 12a shows the deposition of a methanol droplet 29 (containing 20 ng per droplet) on a generic type of parting transistor device illustrated in Figure 1c. The partial device of FIG. 12A includes a PVP insulating layer 28 of 1.3 μm thickness, a F8T2 semiconductor layer 27, a PEDOT electrode layer 26, and a glass substrate 25. In this exampl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via hole through the insulating PVP layer. Methanol is easily selected as a solvent because of its ability to dissolve PVP.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t can easily evaporat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subsequent processes and has satisfactory wet properties of PVP. In this example, in order to form a via hole, the IJP printing head moves to a point on the substrate where a via hole is to be formed. The required number of methanol droplets drops from the IJP until the via hole is formed. The interval between successive dropping drops is chosen to match the rate at which methanol dissolves the layer of the device. It is preferred that each droplet is completely or nearly completely evaporated before the next droplet is deposited.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the via hole reaches the bottom non-polar semiconductor layer, the etching process is stopped so that the bottom layer is not removed. Other solvents such as isopropanol, ethanol, butanol or acetone may also be used. In order to increase the throughput, it is preferable to form a via hole by vapor deposition of a single droplet of solvent. For a 300 nm thick film, a droplet with a volume of 30 pl and a diameter of 50 탆, the solubility of the layer in the solvent should be higher than 1-2 wt% per volume. If it is necessary to form a via hole with a single droplet, a higher boiling point is required. For PVP, 1,2-dimethyl-2-imidazolidinone (DMI) having a boiling point of 225 &lt; 0 &gt; C can be used.

도 12b는 비아홀이 형성된 지점 상에 순차적으로 메탄올을 여러 방울 떨어뜨리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오른쪽 패널은 1, 3 및 10 방울을 떨어뜨린 후의 디바이스의 현미경 사진을 보인 것이다. 왼쪽 패널은 비아홀이 형성될 때 비아홀에 걸친 동일한 디바이스의 덱탁(Dektak) 표면 프로파일 측정을 보인 것이다. (비아홀의 지점은 각각의 패널에서 위치 "V"로 표시되어 있다.) 동일한 지점에 순차적으로 여러 방울이 증착되면, PVP필름 내에 패인 홀이 형성된다. 패인 홀의 깊이는 방울이 연속해서 떨어짐에 따라 증가하며, 대략 6 방울이 떨어진 후에는 하부의 F8T2 층의표면이 노출된다. 이 용해된 PVP 물질은 비아홀의 측면의 벽 W 내에 증착된다. 비아홀의 직경은 대략 50 μm 이며, 이는 방울의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 이 크기는 논리 회로,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등의 많은 응용 분야에서 적절하다.12B shows that several drops of methanol are sequentially dropped on the points where the via holes are formed. The right panel shows a photomicrograph of the device after dropping 1, 3, and 10 drops. The left panel shows the Dektak surface profile measurement of the same device across the via hole when the via hole is formed. (The points of the via holes are indicated by the position " V " in each panel.) When a plurality of droplets are sequentially deposited at the same point, a hole is formed in the PVP film. The depth of the hole increases as the droplet continues to fall, and after approximately 6 drops, the surface of the underlying F8T2 layer is exposed. The dissolved PVP material is deposited in the side wall W of the via hole. The diameter of the via hole is approximately 50 μm, which is limited by the size of the droplet. This size is suitable for many applications such as logic circuits, large display devices, and the like.

비아홀의 직경은 잉크젯 용제 방울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홀의 깊이는 방울의 직경에 비례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도 12c 참조). 측벽의 외경은 첫 번째 방울의 크기 및 살포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용해되는 폴리머 층의 두께와는 무관하다. 폴리머의 두께가 증가하면, 측벽의 내경은 감소한다.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디바이스와 같이 더 작은 홀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더 작은 방울 크기가 사용될 수도 있고, 기판 표면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면 상의 방울을 한정하는 적절한 방법에 의해 예비 패턴화될 수도 있다. 다른 용제를 또한 사용할 수도 있다.The diameter of the via hole is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inkjet solvent droplet. The depth of the hole was observed to be proportional to the diameter of the droplet (see FIG. 12C). The outer diameter of the sidewalls is determined by the size and spread of the first droplet, which is independent of the thickness of the polymer layer to be dissolved. As the thickness of the polymer increases, the inner diameter of the sidewall decreases. In fields where smaller holes are required, such as high resolution display devices, smaller droplet sizes may be used and the substrate surface may be pre-patterned by any suitable method to define droplets on the surface as described above. Other solvents may also be used.

표면 프로파일의 측정을 통해 비아홀의 형성에 의해 물질이 용해되어 비아홀의 가장자리로 변위할 수 있고, (도 12b에서 W로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제가 중발된 후에는 그 상태로 유지된다. 변위된 물질은 도 12b에 예시된 것보다 더욱 매끄러운 형태로 이루어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도면 12b의 표면 프로파일 그래프의 x 및 y 축의 축척은 다르다 (x는 μm, y는 Å).By the measurement of the surface profile, the material can be dissolved by the formation of the via hole to be displaced to the edge of the via hole, and the state is maintained after the solvent is spouted (as shown by W in Fig. 12B).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isplaced material is of a smoother shape than that illustrated in FIG. 12B. The scale of the x and y axes of the surface profile graph of Figure 12b is different (x is μm, y is Å).

비아홀 형성을 위한 메커니즘, 즉 측벽에 대한 물질의 이동은 잘 알려진 커피-스테인(coffee-stain) 효과의 그것과 유사한 것으로 믿어진다. 이 효과는 용질을 함유하고 있는 건조되고 있는 방울의 접촉 라인이 고착되면 발생한다. 고착은 예를 들어 표면 거칠기 또는 화학적 이종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도 있다. 양호한 용제의 증착은 용해 중에 언제나 표면 거칠기를 발생시킨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용제가 증발할 때, 접촉 라인 부근에서 증발하는 용제를 교체하기 위하여 모세관 흐름이 발생한다. 접촉 라인 부근에서의 표면 대 벌크 비율은 크기 때문에 더 많은 용제가 접촉 라인 부근에서 증발한다. 모세관 흐름 속도는 통상적인 확산 속도와 비교하여 크다. 따라서, 용질은 방울의 가장자리로 전달되고, 용질 증착은 림 근처에서만 발생하며, 건조되고 있는 방울의 중앙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R.D. Deegan 외, Nature 389, 827 (1997)). 용질의 확산은 측벽을 형성하기보다는 용제가 건조되면 전체 영역에 걸쳐서 폴리머의 균질한 재증착을 장려하는 경향이 있다. 모세관 흐름 속도 v(r)(여기서, r: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R: 방울의 반경)이 (R-r)(여기서, λ = (π-2θc)/(2π-2θc))에 비례하는 것은 이론에 의해 예측된다. 따라서, λ가 증가하면 v가 증가한다. 즉 접촉 각 θc가 감소한다. 따라서, 접촉 각이 작으면 작을수록 가장자리에서의 증착은 더욱 빨리 일어난다.It is believed that the mechanism for via hole formation, i.e., the movement of material to the sidewalls, is similar to that of the well-known coffee-stain effect. This effect occurs when the contact line of the droplet that is drying contains solute. Adhesion may also occur due to, for example, surface roughness or chemical heterogeneit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position of a good solvent always generates surface roughness during dissolution. When the solvent evaporates, capillary flow occurs to replace the solvent that evaporates near the contact line. Since the surface to bulk ratio near the contact line is large, more solvent evaporates near the contact line. The capillary flow rate is larg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iffusion rate. Thus, the solute is delivered to the edge of the droplet, solute deposition occurs only near the rim, and does not occur at the center of the droplet being dried (RD Deegan et al., Nature 389, 827 (1997)). Diffusion of the solute tends to encourage homogeneous redeposition of the polymer over the entire area when the solvent is dried, rather than forming sidewalls. Capillary flow velocity v (r) is proportional to (where, r:: distance from the center, the radius R of the drops) is (Rr), (where, λ = (π-2θ c ) / (2π-2θ c)) Is predicted by theory. Therefore, v increases as λ increases. That is, the contact angle? C decreases. Thus, the smaller the contact angle is, the faster the deposition at the edge occurs.

따라서, 비아홀을 형성하는 경우, (가) 초기 방울의 접촉 라인을 고정시키고, (나) 용해되는 폴리머 상부에서의 방울의 접촉 각이 충분히 작고, (다) 폴리머 용질 확산이 무시될 수 있도록 용제의 증발이 충분히 빠른 것이 중요하다. PVP 상의 IPA의 경우, 접촉 각은 약 12°이고, 방울은 1 초 미만의 시간 이내에 건조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forming a via hole, it is necessary to (a) fix the contact line of the initial droplet, (b) sufficiently reduce the contact angle of the droplet on the dissolved polymer, and (c) It is important that evaporation is fast enough. For IPA on PVP, the contact angle is about 12 [deg.] And droplets are dried within less than one second.

접촉 각이 작으면 작을수록, 방울 내에서의 모세관 흐름 속도는 더욱 빨라진다. 다시 말해서, 측벽의 형성이 더욱 확실해진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접촉각이 작으면 작을수록 방울의 직경은 더욱 커진다. 따라서, 최적의 접촉 각은 잘 한정된 측벽을 갖는 직경이 작은 비아홀을 얻을 수 있는 각이다. 양호한 용제에 있어서 더 큰 접촉 각을 얻기 위하여, 기판의 표면은 예를 들어 용제의 침투 방지성이 큰 자기 결합 모노층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자기 결합 모노층은 용제의 증착을 작은 영역으로 한정하기 위하여 소수성 및 친수성 표면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패턴화될 수도 있다.The smaller the contact angle, the faster the capillary flow rate in the droplet. In other words, the formation of the side wall becomes more certain.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 smaller the contact angle is, the larger the diameter of the droplet becomes. Therefore, the optimum contact angle is an angle at which a via hole with a small diameter having a well-defined sidewall can be obtained. In order to obtain a larger contact angle in a good solvent,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may be treated with, for example, a magnetically bonded monolayer having a high permeation preventing property of the solvent. The magnetically bonded monolayer may be patterned to provide hydrophobic and hydrophilic surface areas to confine the deposition of the solvent to a small area.

비아홀의 깊이 및 에칭 비율은 떨어지는 용제의 방울 수, 증착 주파수 및 기판 용해 비율과 비교되는 용제의 증발 비율의 조합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증착이 이루어지는 환경 및 기판의 온도는 증발 비율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용제에 용해되지 않거나 매우 서서히 용해되는 물질로 된 층은 용해의 깊이를 제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The depth and etch rate of the via holes can be controlled by a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drops of the solvent, the deposition frequency, and the evaporation rate of the solvent compared with the substrate dissolution rate.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deposition takes plac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ubstrate may affect the rate of evaporation. A layer of a material that is not soluble in the solvent or dissolves very slowly may be used to limit the depth of dissolution.

TFT의 층은 극성 층 및 비극성 층이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에칭이 잘 한정된 깊이에서 중단되도록 용제 및 용제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Since the layer of the TFT is constituted by alternately arranging the polar layer and the non-polar layer, the solvent and solvent combination can be selected so that the etching is stopped at a well defined depth.

비아홀을 통해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비아홀 내로 연장되고 비아홀의 바닥에서 물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도체 층이 그 위에 증착될 수 있다. 도 13a는 도 12a에 도시한 유형의 디바이스를 보여주고 있지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아홀을 형성한 후에 형성되는 금으로 된 전극(25)을 포함하고 있다.A conductor layer may be deposited thereon so as to extend into the via hole and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terial at the bottom of the via hole so as to be contactable via the via hole. 13A shows a device of the type shown in FIG. 12A, but includes a gold electrode 25 formed after forming a via hole as described above.

도 13은 바닥 PEDOT 전극(25)과 PVP 게이트 절연 층(28)의 상부에 증착된 도체 전극(29) 사이에서 측정되는 전류 전압 특성을 곡선(30)으로 보여주고 있다. 비아홀의 직경은 50 μm 이었다. 비교를 위하여, 곡선(31)은 기준 샘플을 보여주고있다. 이 곡선에서는 상부 및 바닥 전극 사이의 중첩 영역에는 비아홀이 위치하고 있지 않다. 특성은 비아홀을 통한 전류는 그 크기가 비아홀이 없는 게이트 절연 디바이스를 통과하는 누설 전류의 수배인 것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측정된 비아홀을 통과하는 전류는 개개의 PEDOT 전극의 전도성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PEDOT 전극의 전도성에 의해 제한된다. 이것은 비아홀의 저항에 의해서는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비아홀 저항 RV의 하한치만이 이들 측정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RV< 500 kΩ.13 shows the curve 30 of the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measured between the bottom PEDOT electrode 25 and the conductor electrode 29 deposited on top of the PVP gate insulating layer 28. FIG. The diameter of the via hole was 50 탆. For comparison, curve 31 shows the reference sample. In this curve, no via hole is located in the overlapping reg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The characteristic clearly shows that the current through the via hole is several times the leakage current through the gate insulating device without via holes. The current through the measured via holes is limited by the conductivity of the PEDOT electrode, as can be seen by performing a conductivity measurement of the individual PEDOT electrodes. Since this is not limited by the resistance of the via-hole, only the lower limit of the via-hole resistance R V can be obtained from these measurements: R V <500 kΩ.

도 12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비아홀 형성 방법은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확산 장벽를 갖지 않는 소모형 디바이스 및 비아홀이 형성된 후에 확산 장벽가 증착되는 디바이스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도 14a는 비아홀이 형성되고, 그 후에 확산 장벽 층이 개재됨이 없이 게이트 전극이 증착된 디바이스를 보여주고 있다. 도 14b는 비아홀의 형성 후에, 게이트 전극(6)이 증착되기 전에 확산 장벽 폴리머(7)가 형성된 디바이스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 확산 장벽 층은 비아홀 저항 RV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양호한 전하 운반 특성을 나타낼 필요가 있다. 적절한 확산 장벽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얇은 TFB 층이다.The via hole forming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2 can be applied directly to a small model device having no diffusion barrier (as shown in FIG. 1C) and to a device in which a diffusion barrier is deposited after the via hole is formed. 14A shows a device in which a via hole is formed, and then a gate electrode is deposited without a diffusion barrier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14B shows a device in which the diffusion barrier polymer 7 is formed before the gate electrode 6 is deposited after the formation of the via hole. In this case, the diffusion barrier layer needs to exhibit good charge transport characteristics in order to minimize the via hole resistance R V. A suitable diffusion barrier is a thin TFB layer as shown in Figure 5A.

낮은 접촉 저항이 요구되는 경우, 비아홀 위치에서 반도체 층이 또한 제거될 수 있다. 이것은 확산 장벽이 형성된 후에 이루어지는 바람직하다. 확산 장벽(7) 및 반도체 폴리머(4)는 양호한 용제 - 이 예에서는 크실렌 - 의 IJP 증착에 의해 국부적으로 용해될 수 있다. 반도체 물질 및 절연 물질 모두에 대해 양호한 용제를혼합함으로써, 이들 층 모두는 동시에 용해될 수 있다. 이에 후속하여 게이트 전극의 증착이 이루어진 디바이스가 도 14c에 도시되어 있다.When a low contact resistance is required, the semiconductor layer can also be removed at the via hole position. This is preferably done after the diffusion barrier is formed. The diffusion barrier 7 and the semiconductor polymer 4 can be locally dissolved by IJP deposition of a good solvent-xylene in this example. By mixing a good solvent for both the semiconductor material and the insulating material, both of these layers can be dissolved simultaneously. A device in which the gate electrode is subsequently deposited is shown in Fig. 14C.

용제의 혼합물은 용해될 층 위의 용제 혼합물의 접촉 각을 증가시킴으로써 비아홀의 직경을 감소시키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비아홀의 상호 연결을 형성한 후에 그것을 연결하기 위하여 도체 물질을 증착하는 또 다른 방법은 도체가 될 수 있도록 하부 층의 기판을 국부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재료를 국부적으로 증착하는 것이다. 일례로 하나 또는 다수의 층 안으로 확산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용액의 국부적인 IJP 증착이 있다. 이것은 도 14d에 예시되어 있다. 영역(32)은 불순물을 가지고 처리하여 도체가 된 물질을 가리킨다. 불순물은 N,N'-디페닐-N,N'-비스(3-메틸페닐)-(1.1'-비페닐)-4,4'-디아민(TPD) 따위의 트리아릴라민 등의 작은 공액 분자일 수 있다. 불순물은 용제의 경우처럼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ixture of solvents may also be used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via holes by increasing the contact angle of the solvent mixture on the layer to be dissolved. Another method of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to form a via hole interconnect thereon is to locally deposit a material that can locally transform the substrate of the underlying layer to become a conductor. For example, there is local IJP deposition of a solution containing mobile impurities that can diffuse into one or more layers. This is illustrated in Figure 14d. Region 32 refers to a material that has been treated with impurities to become a conductor. The impurity is a small conjugated molecule such as triarylamine such as N, N'-diphenyl-N, N'-bis (3-methylphenyl) - (1,1'-biphenyl) -4,4'- diamine . Impurities are preferably delivered as in the case of solvents.

PVP 유전체 층을 통한 비아홀 형성 방법은,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논리 인버터 디바이스에서 요구되는 하부 층 내에서의 소오스 또는 드레인 전극에 TFT의 게이트 전극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한 비아홀 연결이 대부분의 논리 트랜지스터 회로에서 요구된다. 도 16은 도 15b에서와 같이 두 개의 정상적 오프 트랜지스터 디바이스와 함께 형성된 향상-부하 인버터 디바이스의 특성을 그래프로 보여주고 있다. 채널 길이 비율(W/L)에 대한 채널 폭의 비율이 다른 두 개의 인버터가 도시되어 있다 (그래프 35 비율 3:1, 그래프 36 비율 5:1). 입력 전압이 논리 낮음에서 논리 높음으로 변할 때 논리 높음(-20V)에서 논리낮음(≒0V)으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인버터의 이득, 다시 말해서 특성의 최대 경사는 1보다 크다. 이것은 링 발진기 따위의 더욱 복잡한 회로의 조립을 허용하는데 필요한 조건이다.The via hole formation method through the PVP dielectric layer can be used to connect the gate electrode of the TFT to the source or drain electrode in a lower layer required, for example, in a logic inverter device as shown in Fig. Similar via hole connections are required in most logic transistor circuits. Figure 16 graphically illu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an enhanced-load inverter device formed with two normally off transistor devices as in Figure 15b. Two inverters with different ratio of channel width to channel length ratio (W / L) are shown (graph 35 ratio 3: 1, graph 36 ratio 5: 1).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input voltage changes from logic low to logic high, it changes from a logic high (-20V) to a logic low (? 0V). The gain of the inverter, in other words the maximum slope of the characteristic, is greater than one. This is a necessary condition to allow assembly of more complex circuits, such as ring oscillators.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아홀은 다른 층에서의 상호 연결 라인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복잡한 전자 회로의 경우, 다중 레벨의 상호 연결 구조가 요구된다. 이것은 양립될 수 있는 용제로부터 증착된 일련의 상호 연결부(72)와 각기 다른 유전체 층(70)(71)을 증착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15d). 그런 다음, 비아홀(73)은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호 연결 라인은 자동 에칭 중단 기능을 제공한다.The via holes as described above can also be used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interconnect lines in different layers. For complex electronic circuits, multilevel interconnect structures are required. This is formed by depositing a different dielectric layer 70 (71) with a series of interconnects 72 deposited from a compatible solvent (Fig. 15d). Then, the via hole 73 is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The interconnect line provides an automatic etch stop function.

적절한 유전체 물질의 예로서, PVP 따위의 극성 폴리머(70)와 폴리스티렌 따위의 비극성 유전체 폴리머(71)가 있다. 이들은 극성 및 비극성 용제로부터 교대로 증착될 수 있다. 하부 유전체 층이 에칭 중단 층을 제공하는 한, 비아홀은 각각의 유전체 층의 양호한 용제의 국부적인 증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An example of a suitable dielectric material is a polar polymer 70, such as PVP, and a non-polar dielectric polymer 71, such as polystyrene. They can be alternately deposited from polar and nonpolar solvents. As long as the lower dielectric layer provides an etch stop layer, via holes can be formed by local deposition of a good solvent of each dielectric layer.

위에서 설명한 유형의 디바이스의 재료 및 증착 공정을 선택함에 있어서, 각각의 층이 바로 아래의 층을 사실상 용해하지 않는 용제로부터 증착되는 경우 큰 장점을 얻을 수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하여, 용액의 처리에 의해 연속적으로 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재료 및 공정 단계의 선택을 단순화하는 한가지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연속되는 층으로서 예시된 바와 같이, 극성 및 비극성 용제로부터 교대로 둘 이상의 층을 증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녹을 수 있는 도체, 반도체 및 절연체 층을 포함하는 다층 디바이스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하부 층의 용해 및 팽창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selecting the material and deposition process of the device of the type described above, a great advantage can be obtained when each layer is deposited from a solvent that does not substantially dissolve the layer immediately below it. In this way, the layer can be continuously formed by the treatment of the solution. One way to simplify the selection of such materials and process steps is to deposit two or more layers alternately from polar and nonpolar solvents, as exemplified as the continuous layer described above. Thus, it is possible to easily form a multi-layer device including a conductor, a semiconductor, and an insulator layer which can be melted. This avoids the problem of dissolution and expansion of the underlying layer.

위에서 설명한 디바이스의 구조, 물질 및 공정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으며, 따라서 여러 가지로 변경이 가능하다.The structures, materials, and processes of the devices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amples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에 도시한 상부-게이트 구성과는 다른 디바이스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은 도 17에 도시된 더욱 표준적인 바닥-게이트 구성이다. 필요하다면, 확산 장벽(7) 및 표면 변형 층(8)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도 17에서,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사용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층 순서가 다른 기타 디바이스 구성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와는 다른 디바이스가 아날로그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 device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top-gat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can be used. Another configuration is the more standard bottom-gate configuration shown in FIG. If necessary, a diffusion barrier 7 and a surface strained layer 8 may also be included. In Fig. 17,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reference numerals used in Fig. Other device configurations with different layer orders can also be used. A device other than the transistor may be formed in an analog manner.

PEDO/PSS는 용액으로부터 부착될 수 있는 임의의 전도성 폴리머로 교체될 수 있다. 그러한 것의 예에는 폴리아닐린 또는 폴리피롤이 포함된다. 그러나, PEDO/PSS의 흥미로운 특징들 중 일부 특징으로는, (a) 본래부터 확산성이 낮은 폴리머 도펀트(polymeric dopant)(PSS)라는 것, (b) 양호한 열 안정성 및 공기 중의 안정성이 있다는 것, 그리고 (c) 효율적인 홀 전하 캐리어 주입을 허용하는 공통 홀 전달 반도체 폴리머의 전리 포텐셜에 잘 맞는 약 5.1 eV의 작동 기능 등이다.PEDO / PSS can be replaced with any conductive polymer that can be attached from solution. Examples of such include polyaniline or polypyrrole. However, some of the interesting features of PEDO / PSS include (a) inherently poorly dispersed polymeric dopant (PSS), (b) good thermal stability and stability in air, And (c) an operating capability of about 5.1 eV that is well suited to the ionization potential of a common hole-transferring semiconductor polymer that allows efficient hole charge carrier injection.

효율적인 전하 캐리어 주입은 채널 길이 L이 10㎛ 미만인 짧은 채널 트랜지스터 디바이스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그와 같은 디바이스에 있어서 소스 드레인접촉 저항 효과는 작은 소스 드레인 전압용의 TFT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도 10b 참조). 채널 길이가 상당한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PEDOT 소스/드레인 전극으로부터의 주입이 무기 금 전극으로부터의 주입에 비해 더 효율적이라는 점이 밝혀졌다.이것이 나타내는 바는, 무기 전극 재료로는 반도체의 전리 포텐셜에 잘 맞는 전리 포텐셜을 갖는 폴리머 소스-드레인 전극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Efficient charge carrier injection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short channel transistor devices with a channel length L less than 10 [mu] m. The source-drain contact resistance effect in such a device can limit the TFT current for a small source-drain voltage (see Fig. 10B). It has been found that for devices with significant channel lengths, the implantation from the PEDOT source / drain electrode is more efficient than the implantation from the inorganic gold electrode. A polymer source-drain electrode having a potential is preferable.

수용액[베이트론 피(Baytron P)]으로부터 부착된 PEDOT/PSS의 전도도는 0.1 내지 1 S/cm의 수준이다. 상한을 100 S/cm로 하는 보다 높은 전도도는 혼합 용제[이소프로파놀과 N-메틸-2-피롤리돈(NMP)을 함유하는 바이엘(Bayer) CCP 105T]를 함유하는 제형제(formulation)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제형제의 용제 조합이 층 배열의 용해성 요건과 양립할 수 있다는 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보다 더 높은 전도도가 요구되는 응용 예에서는 또 다른 전도성 폴리머, 또는 금속 무기 입자가 액체 상태로 유지된 아교질 현탁액과 같은 용액 처리성 무기 전도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conductivity of PEDOT / PSS deposited from aqueous solution (Baytron P) is on the order of 0.1 to 1 S / cm. Higher conductivities with an upper limit of 100 S / cm can be achieved with a formulation containing a mixed solvent (Bayer CCP 105T containing isopropanol and N-methyl-2-pyrrolidone (NMP) &Lt; / RTI &gt; In the latter case care must be taken that the solvent combination of the siblings may be compatible with the solubility requirements of the layer arrangement. In applications where higher conductivity is required, another conductive polymer, or a solution-treating inorganic conductor, such as a gelatin suspension in which the metallic inorganic particles remain in a liquid state, may be used.

여기서 설명하는 공정 및 디바이스들은 용액 처리 폴리머로 제조된 디바이스로 제한되지 않는. 회로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하기의 내용 참조)에 있어서의 TFT의 전도성 전극들 및/또는 상호 접속부들의 일부는, 일례로 아교질 현탁액을 사전에 패턴화 된 기판 상에 프린팅하거나 전기 도금함으로써 부착될 수 있는 무기 전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모든 층들이 용액으로부터 부착되는 것이 아닌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그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PEDOT/PSS 부분들을 진공 증착 전도체와 같은 난용성 전도성 재료로 교체할 수 있다.The processes and devices described herein are not limited to devices fabricated from solution-treated polymers. A portion of the conductive electrodes and / or interconnection of the TFT in a circuit or display device (see below) may be formed, for example, by depositing a glue suspension on a pre-patterned substrate, And may be formed of a conductor. For devices in which all layers are not adhered from solution, one or more of the PEDOT / PSS portions of the device may be replaced with a poor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vacuum deposition conductor.

반도체 층은 또한 다른 용액 처리성 반도체 재료로 대체될 수 있다. 가용화 측 사슬을 갖는 작은 공액 분자[미국 화학 학회(American Chemistry Society)의 Journal 120, 664 (1998년), 저자: 제이. 지. 라퀸다넘(J. G. Laquindanum) 등],용액으로부터 자체 결합된 반도체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재료[사이언스(Science) 286, 946 (1999년), 저자: 시. 알. 카간(C. R. Kagan) 등], 또는 CdSe 나노 입자와 같은 용액 부착 무기 반도체[사이언스(Science) 286, 746 (1999년), 저자: 비.에이. 리들리(B. A. Ridley) 등]을 포함시킬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The semiconductor layer may also be replaced by another solution-processing semiconductor material. Small conjugated molecules with solubilized side chain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stry Society 120, 664 (1998), J. G. J. G. Laquindanum et al., Semiconductor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s self-bonded from solution [Science 286, 946 (1999), author: egg. C. R. Kagan et al.) Or solution-bound inorganic semiconductors such as CdSe nanoparticles (Science 286, 746 (1999); B. A. Ridley et al.] May also be included.

전극은 잉크 젯 프린팅가 아닌 다른 기술로 패턴화시킬 수 있다. 그 적절한 기술에는, 소프트 리소그래픽 프린팅(soft lithographic printing)[물리학 논문(Physics Letter) 75, 1010 (1999년), 저자: 제이. 에이. 로저스(J. A. Rogers) 등; 피직스 월드(Physics World) 1998년 5월호, 31페이지, 저자: 에스. 브릿테인(S. Brittain) 등]나, 또는 스크린 프린팅[화학 재료(Chemical Material) 9, 12999 (1997년), 저자: 쥐. 바오(Z. Bao) 등]나, 또는 포토리소그래픽 패터닝(국제 공개 WO 99/10939 참조) 혹은 도금이나, 또는 소수성 및 친수성 표면 영역이 있는 패턴화 기판의 단순 침지 피복 등이 포함된다. 잉크 젯 프린팅은 양호한 프린팅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넓은 구역, 특히 강성 플라스틱 기판을 패턴화하기에 특히 적절하다.The electrodes can be patterned with other techniques than ink jet printing. Suitable techniqu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oft lithographic printing [Physics Letter 75, 1010 (1999), a. J. A. Rogers et al .; Physics World, May 1998, p. 31, author: S. S. Brittain et al.], Or screen printing [Chemical Material 9, 12999 (1997), Author: Rat. Z. Bao et al.], Or photolithographic patterning (see WO 99/10939) or plating, or simple immersion coating of patterned substrates with hydrophobic and hydrophilic surface areas, and the like. Ink jet printing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patterning large areas, particularly rigid plastic substrates, while maintaining good printing consistency.

그러한 디바이스는 유리판 대신에 폴리에테르술폰과 같은 유연성 플라스틱 기판이나 퍼스펙스(Perspex: 상표명임)와 같은 기타 다른 기판 재료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료는 판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머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투명 및/또는 유연성일 수 있다.Such a device may be attached to a flexible plastic substrate such as polyethersulfone or other substrate material such as Perspex (trade name) instead of a glass plate. Such a material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plate, preferably a polymer material, and may also be transparent and / or flexible.

디바이스 및 회로의 모든 층들과 구성 요소들이 용액 처리 및 프린팅 기술에 의해 부착 및 패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도체 층과 같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은 진공 증착 기술에 의해 부착되거나 그리고/또는 포토리소그래픽 공정에 의해 패턴화될 수도 있다.While it is preferred that all layers and components of the device and circuit be adhered and patterned by solution processing and printing techniques, one or more components such as a semiconductor layer may be attached by a vacuum deposition technique and / . &Lt; / RTI &g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조된 TFT와 같은 디바이스는, 이러한 디바이스 하나 이상이 서로 간에 그리고/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일체화된 보다 복잡한 회로 또는 디바이스의 부품일 수가 있다. 그 응용 디바이스의 예에는, 디스플레이나 메모리 디바이스용의 논리 회로 및 활성 매트릭스 회로나, 혹은 사용자 정의 게이트 어레이 회로가 포함된다.Devices such as TFTs fabricated as described above may be components of more complex circuits or devices in which one or more of these devices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and / or with other devices. Examples of such application devices include logic circuits and active matrix circuits for displays or memory devices, or user-defined gate array circuits.

논리 회로의 기본 구성 요소는 도 15에 도시된 인버터이다. 기판 상의 모든 트랜지스터가 공핍 타입이나 혹은 누적(accumulation)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능한 구성은 3가지이다. 공핍 부하 인버터(depletion-load inverter)(도 15a 참조)는 정상적으로 켜지는 디바이스용으로 적합하고(도 1c 및 도3 참조), 개선 부하 구성(도 15b 참조)은 정상적 오프 트랜지스터용으로 사용된다(도 1a, 도 1b, 도 4 참조). 이와 같은 두 가지 구성은 부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그 전원과 드레인 전극 각각 사이에 비아홀을 필요로 한다. 또 다른 구성은 저항 부하 인버터이다(도 15c 참조). 후자의 디바이스는 부하 저항기로서의 적당한 길이와 전도도를 갖는 얇고 넓은 PEDOT 라인을 프린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PEDOT에 대한 PSS의 비를 증가시킴으로써 PSSPEDOT의 전도도를 감소시키게 되면 저항기 라인의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PEDOT/(PEDOT+PSS) 중량비가 0.4인 베이트론 피(Baytron P) PEDOT/PSS의 전도도는 기존의 증착 필름에 대해서는 0.2 S/cm의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N2분위기 하에서 20분 동안 280℃까지 어닐링함으로써 전도도가 2 S/cm까지 증가하게 되었다. 용액을 PSS로 희석시킴으로써 전도도가 그 규모의 수준으로 감소될 수 있었다. PEDOT/(PEDOT+PSS) 중량비가 0.04인 경우, 280℃에서 어닐링 한후의 전도도는 10-3S/cm로 측정되었다. 폭이 60㎛이고 길이가 500㎛ 수준인 PEDOT의 라인을 잉크젯 프린팅함으로써 저항치 50㏁의 저항기가 제조되었다.The basic component of the logic circuit is the inverter shown in Fig. When all the transistors on the substrate are of the depletion type or the accumulation type, there are three possible configurations. The depletion-load inverter (see FIG. 15A) is suitable for normally-on devices (see FIGS. 1C and 3) and the improved load configuration (see FIG. 15B) 1a, 1b, and 4). Both of these structures require a via hole between the gate electrode of the load transistor and each of the power source and the drain electrode of the load transistor. Another configuration is a resistive load inverter (see Fig. 15C). The latter device can be fabricated by printing a thin and wide PEDOT line with a suitable length and conductivity as a load resistor. For example, by decreasing the conductivity of PSSPEDOT by increasing the ratio of PSS to PEDOT, the length of the resistor line can be minimized. PEDOT / (PEDOT + PSS) Conductivity of Baytron P PEDOT / PSS with a weight ratio of 0.4 was measured at a level of 0.2 S / cm for conventional deposited films. The conductivity was increased to 2 S / cm by annealing to 280 ° C for 20 minutes under N 2 atmosphere. By diluting the solution with PSS, the conductivity could be reduced to that level of scale. When the weight ratio of PEDOT / (PEDOT + PSS) was 0.04, the conductivity after annealing at 280 ° C was measured to be 10 -3 S / cm. A line of PEDOT having a width of 60 mu m and a length of 500 mu m was ink-jet printed to produce a resistor having a resistance value of 50 M OMEGA.

이미 현상되어 있는 다른 잉크젯 프린팅 구성 요소들, 즉 트랜지스터, 비아홀 상호 접속부, 저항기, 커패시터, 및 다층 상호 접속 체계(multilayer interconnect scheme) 등은 직접 프린팅과 용액 처리의 조합에 의하여 집적 전자 회로를 제조하기 위해 일체화될 수 있다. 잉크젯 프린팅은 측면 패턴닝이 필요한 모든 처리 단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 있는 단순한 인버터 회로는 보다 복잡한 논리 회로용 빌딩 블록이다.Other inkjet printing components that have already been developed, such as transistors, via hole interconnects, resistors, capacitors, and multilayer interconnect schemes, are used to fabricate integrated electronic circuits by a combination of direct printing and solution processing Can be integrated. Inkjet printing can be used for all processing steps where side patterning is required. The simple inverter circuit already described is a building block for more complex logic circuits.

전술한 바와 같은 용액 처리 TFT는, 적절한 회로가 도 18a에 도시되어 있는 액정(LCD) 또는 전기이동(electrophoretic) 디스플레이 [네이쳐(Nature) 394, 253 (1998년), 저자: 비. 코미스키(B. Comiskey) 등]와 같은 활성 매트릭스 디스플레이와 적절한 회로가 도 18b에 도시되어 있는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사이언스(Science) 280, 1741 (1998년), 저자: 에이치. 서링하우스(H. Sirrinhaus) 등]의 픽셀 스위칭 트랜지스터로서 사용되거나, 혹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와 같은 메모리 디바이스의 활성 매트릭스 어드레싱 디바이스로서 사용될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에서, 트랜지스터(T1, T2)는 전술한 바와 같은 트랜지스터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도면 부호 40은 전류 및 전압 공급 패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를 나타낸다.A solution-processing TFT a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electrophoretic display (Nature 394, 253 (1998), author: Non- An active matrix display, such as an active matrix display,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such as the one shown in Fig. 18 (B Comiskey et al.) And a suitable circuit is shown in Fig. 18b (Science 280, 1741 (1998) (H. Sirrinhaus et al.), Or may be used as an active matrix addressing device of a memory device such as a random access memory (RAM). 18A and 18B, the transistors T1 and T2 may be formed with the transistors as described above. Reference numeral 40 denotes a display or memory device with current and voltage supply pads.

LCD 또는 전기 이동 디스플레이의 전극 상의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가능한 디바이스 구성의 예는 도 19에 도시되었는데, 이 도면에서 도 1과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9 관련 도면들(일례로, 도 7, 도 14, 도 17)에서, 게이트 절연 층은 도 1a에서처럼 확산 차단벽 및/또는 표면 변형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An example of a possible device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voltage on the electrodes of an LCD or electrophoretic display is shown in Fig. 19, wherein the same elements as in Fig. 1 are design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19, the gate insulating layer may comprise a multi-layer structure including a diffusion blocking wall and / or a surface strained layer as in FIG. 1A. In FIG.

도 18을 참고하면, TFT의 전원 및 게이트 전극(2, 3)은, 보다 긴 길이에 걸쳐서 적절한 전도도를 얻기 위하여 다른 전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활성 매트릭스의 데이터 라인(44)과 어드레싱 라인(43)에 접속된다. TFT의 드레인 전극(3)은 픽셀 전극(41)이 될 수도 있다. 픽셀 전극은 도 19에서와 마찬가지로 다른 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전하 캐리어 주입보다는 전계의 적용에 의존하게 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전극(41)이 액정 또는 전기이동 잉크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와 직접 접촉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TFT 및 상호 접속 라인에 의해 점유된 총 픽셀 영역이 작게 유지되어야만, 적절한 개구 비(aperture ratio)를 얻을 수 있으며 데이터 라인(43) 및 어드레싱 라인(44) 상의 신호들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 간의 잠재적 누화를 줄일 수 있다.18, the power source and gate electrodes 2 and 3 of the TFT are connected to the data lines 44 and addressing lines (not shown) of the active matrix, which may be made of other conductive materials to obtain appropriate conductivity over a longer length 43. The drain electrode 3 of the TFT may be the pixel electrode 41. [ The pixel electrode may be formed of another conductive material as in Fig. In a device that depends on application of an electric field rather than charge carrier injection, the electrode 41 may not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display device 40 such as liquid crystal or electrophoretic ink. In such a configuration, the total pixel area occupied by the TFT and the interconnect line must be kept small so that an appropriate aperture ratio can be obtained and the signals on the data line 43 and addressing line 44, The potential crosstalk between the devices 40 can be reduced.

도 19b의 구성은 보다 복잡하다. 그러나 픽셀 영역의 전체 픽셀 또는 그 대부분은 TFT 및 상호 접속 라인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픽셀전극(41)에 의해 데이터 라인(43) 및 어드레싱 라인(44) 상의 신호로부터 차폐된다. 이러한 구성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픽셀 전극(41)을 TFT 드레인 전극(3)으로 접속시키기 위해서 추가의 유전층(42)과 전도성 재료(45)로 충전된 비아홀이 필요하다. 비아홀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Fig. 19B is more complicated. However, the entire pixel or a majority thereof in the pixel region can be used for TFT and interconnect lines, and the display device is shielded from the signal on the data line 43 and addressing line 44 by the pixel electrode 41. In order to manufacture such a structure, a via hole filled with an additional dielectric layer 42 and a conductive material 45 is required in order to connect the pixel electrode 41 to the TFT drain electrode 3. The via hole can be manufactured by the procedure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개구비는 최소화될 수도 있고 거의 100%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전달성 LCD 디스플레이와 같은 백라이트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응용 디바이스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여기서 제조된 바와 같은 모든 폴리머 TFT는 가시 스펙트럼 영역에서의 투명도가 높기 때문이다. 도 20은 F8T2 폴리머 TFT 상에서 측정된 광학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것인데, 여기서 폴리머 사슬은 고해상도 프린팅용 사전 패턴화 층으로서의 역할도 하는 마찰 폴리이미드 정렬 층 상에 액정 반도체 폴리머를 부착시킴으로써 단축으로 정렬되어 있다. 디바이스는, F8T2의 비교적 높은 밴드 갭 때문에 대부분의 가시 스펙트럼 영역에서 아주 투명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일 F8 또는 TFB나 혹은 기타 다른 폴리플루오렌 유도체(미국 특허 제5,777,070호 참조)와 같이 밴드 갭이 보다 큰 반도체 층이 사용되면, 더욱 더 양호한 투명도가 달성될 수 있다. 폴리머 사슬의 정렬은, 정렬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편광된 광("∥" 표시로 도시)이 정렬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편광된 광("⊥" 표시로 도시)보다 더 강하게 흡수되도록 하는 광학 이방성을 초래한다. 폴리머 사슬의 정렬 방향을 유리 배면과 백라이트 사이의 편광 프리즘에 수직하게 배향시킴으로써 TFT의 광학 투명도를 더 증가시키기 위해 LCD 디스플레이에 광학 이방성이 사용될 수 있다. 광이 편광된 상태 하에서, F8T2 층의 두께가 500Å이하이면, 트랜지스터 디바이스는 가시광에서 대부분 무색으로 나타난다. PEDOT를 포함하는 TFT의 다른 모든 층들은 가시 스펙트럼 영역에서 낮은 광학 흡수성을 갖는다.In such a configuration, the opening ratio may be minimized or almost 100%. This configuration can also be used for display application devices with a backlight, such as a full-reach LCD display, because all of the polymer TFTs, as made here, have high transparency in the visible spectrum. Figure 20 shows the optical absorption spectra measured on F8T2 polymer TFTs where the polymer chains are shortened by attaching the liquid crystal semiconductor polymer onto a friction polyimide alignment layer that also serves as a pre-patterned layer for high resolution printing. It can be seen that the device is very transparent in most visible spectral regions due to the relatively high band gap of F8T2. If a semiconductor layer having a larger bandgap such as F8 or TFB or another polyfluorene derivative (see U.S. Patent No. 5,777,070) is used, even better transparency can be achieved. The alignment of the polymer chains is such that the optical anisotropy which allows the light polarized parallel to the alignment direction (shown by the symbol "∥") to be absorbed more strongly than the light polarized perpendicular to the alignment direction (shown by the "⊥" . Optical anisotropy may be used in an LCD display to further increase the optical transparency of the TFT by orienting the alignment of the polymer chains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prism between the glass back surface and the backlight. When the thickness of the F8T2 layer is 500 angstroms or less under light-polarized state, the transistor device appears almost colorless in visible light. All other layers of the TFT including PEDOT have low optical absorption in the visible spectrum region.

광학 흡수성이 낮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다른 이점은 TFT의 감광성 특성이 가시광까지로 감소되는 점이다. 비결정 실리콘 TFT의 경우에 있어서, 광 조명 하에서의 큰 오프(OFF) 전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블랙 매트릭스를 사용해야 한다. 밴드 갭이 넓은 폴리머 TFT 반도체의 경우에 있어서는 TFT를 주위의 빛과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없다.Another advantag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with low optical absorptivity is that the photosensitive characteristic of the TFT is reduced to visible light. In the case of an amorphous silicon TFT, a black matrix should be used to prevent a large off-current under light illumination. In the case of a polymer TFT semiconductor having a wide bandgap, it is not necessary to protect the TFT from ambient light and the backlight of the display.

도 19b의 구성도 LED 디스플레이의 구동 트랜지스터(T1)(도 18b 참조)용으로 적합한데, 그 이유는 픽셀 전극(41) 아래의 전 영역을 사용하는 큰 채널 폭(W)을 갖는 소스 드레인 전극을 서로 맞물린 배열로 제조함으로써 TFT의 구동 전류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19B is also suitable for the driving transistor Tl of the LED display (see Fig. 18B), because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having a large channel width W using the entire region below the pixel electrode 41 So that the drive current of the TFT can be increased.

선택적으로, 도 17의 바닥 게이트 TFT 구성은 상기한 모든 응용례에서 사용될 수 있다(도 19c 참조).Alternatively, the bottom gate TFT configuration of Figure 17 may be used in all of the above applications (see Figure 19c).

활성 매트릭스 회로의 제조에 있어서의 중요한 기술적 사항들 중 하나는 PEDOT/PSS TFT 및 픽셀 전극(2, 3, 6)과 금속 상호 접속 라인(43, 44, 41) 사이의 접촉이다. 강산성 성질로 인해, PEDOT/PSS는 알루미늄과 같은 많은 통상적인 무기 금속과는 양립될 수 없다. 알루미늄은 PEDOT/PSS와 접촉하면 쉽게 산화된다. 한가지 가능한 해결책은, 상호 접속 라인과 픽셀 전극(43, 44, 41)을 산화 인듐-주석(ITO) 또는 탄탈륨, 텅스텐, 그리고 내화 금속 또는 이러한 환경에서 보다 안정성을 갖는 기타 다른 재료를 가지고 제조하는 것이나, 혹은 적절한 차단벽 층을 사용하는 것이다.One of the important technical considerations in the production of the active matrix circuit is the contact between the PEDOT / PSS TFT and the pixel electrodes 2, 3, 6 and the metal interconnect lines 43, 44, 41. Due to the strongly acidic nature, PEDOT / PSS can not be compatible with many conventional inorganic metals such as aluminum. Aluminum is easily oxidized when in contact with PEDOT / PSS. One possible solution is to fabricate interconnect lines and pixel electrodes 43, 44 and 41 with indium tin oxide (ITO) or tantalum, tungsten, and other materials that are more refractory in this environment , Or use an appropriate barrier wall layer.

디스플레이에 응용하는 경우, 도 19에서 도면 부호 10으로 나타낸 사전 패턴화 기판 상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린팅함으로써 채널 길이가 짧은 TFT를 제조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application to a display, it is also preferable to manufacture a TFT having a short channel length by printing on the pre-patterned substrat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0 in Fig. 19 as described above.

제어되어야 할 픽셀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일례로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서와 같이 커패시터 또는 다이오드와 같은 메모리 디바이스라면, 활성 매트릭스 트랜지스터 스위치용의 유사한 디바이스 구성도 사용될 수 있다.If the pixel device to be controlled is a memory device, such as a capacitor or a diode, as well as a display device, e.g., a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a similar device configuration for an active matrix transistor switch may be used.

전도성 전극 이외에, TFT의 일부 다른 층도 스크린 프린팅 또는 IJP와 같은 직접 프린팅 기법으로 패턴화시킬 수 있다. 도 21a(이 도면에서 도 1과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음)는 반도체 층(4)의 활성층 섬과 게이트 절연 층(5)이 직접적으로 프린팅된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비아홀은 필요하지 않지만, 접속부가 적절한 게이트 전극 패턴(6)의 직접 프린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어드레싱 또는 상호 접속 라인(43, 44)이 중첩되는 경우 전기 절연을 제공하기 위해 두꺼운 섬의 유전성 폴리머(46)를 프린팅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conductive electrodes, some other layers of the TFT may also be patterned by direct printing techniques such as screen printing or IJP. 21A (the same elements as those in FIG. 1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FIG. 21A) shows a device in which the active layer island of the semiconductor layer 4 and the gate insulating layer 5 are directly printed. In this case, a via hole is not required, but a connection portion can be formed by direct printing of the appropriate gate electrode pattern 6. When the addressing or interconnecting lines 43, 44 overlap, the thick island dielectric polymer 46 can be printed to provide electrical insulation.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디바이스 다수가 하나의 기판 상에 형성되어 전도성 층에 의해 상호 접속될 수 있다. 디바이스들은 하나의 레벨이나 혹은 하나 이상의 레벨 위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부 디바이스들은 다른 레벨들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호 접속 스트립 및 비아홀을 사용하게 되면 특히소형의 회로 구조가 형성된다.Many of the devices formed as described above can be formed on one substrate and interconnected by a conductive layer. Devices can be formed on one level or on more than one level, some devices can be formed on top of other levels. The use of interconnection strips and via holes as described above results in a particularly compact circuit structure.

잉크젯 프린팅 트랜지스터, 비아홀, 및 상호 접속 라인의 제조를 위해 본 발명에서 개발한 기술은 잉크젯 프린팅에 의해서 집적 전자 회로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친수성 및 소수성 표면 영역의 열을 포함하는 사전에 제조된 기판이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 및/또는 상호 접속 라인의 폭을 한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기판은 또한 전도성이 높은 금속제 상호 접속 라인의 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잉크 젯 프린팅와 용액으로부터의 연속 층의 부착을 조합하여 이용하게 되면 트랜지스터 디바이스의 열은 주문 위치에서 주문 채널 폭으로 구획된다. 이어서 비아홀과 전도성 라인의 잉크젯 프린팅를 이용하여 트랜지스터의 쌍과 적절한 상호 접속부 사이에 전기 접속부를 형성함으로써 집적 회로가 제조된다.Techniques develop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fabrication of inkjet printing transistors, via holes, and interconnect lines can be used to fabricate integrated electronic circuits by inkjet printing. A prefabricated substrate containing heat of hydrophilic and hydrophobic surface regions can be used to define the channel length of the transistor and / or the width of the interconnect line. The substrate may also comprise a row of highly conductive metal interconnect lines. The combined use of ink jet printing and adherence of the continuous layer from the solution allows the heat of the transistor device to be partitioned into the custom channel width at the customized location. An integrated circuit is then fabricated by form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air of transistors and a suitable interconnect using ink-jet printing of the via hole and the conductive line.

사전 제조 기판이 트랜지스터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이미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판은 일례로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전극을 구비하는 완성된 무기 트랜지스터 디바이스들의 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집적 회로의 잉크젯 방식 제조는, 잉크젯 프린팅 비아홀, 상호 접속 라인, 및 차단 패드를 이용하여 트랜지스터 쌍과 하나 또는 다수 레벨의 상호 접속 체계 간의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도 15d 참조).It is also possible that the prefabricated substrate already comprises one or more components of the transistor device. The substrate may comprise, for example, a row of completed inorganic transistor devices each having at least one exposed electrode. In this case, inkjet fabrication of the integrated circuit includes forming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a pair of transistors and one or more levels of interconnect schemes using inkjet printing via holes, interconnect lines, and blocking pads (see FIG. 15D) .

전자 회로는,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이외에, 디스플레이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나 용량성 또는 저항성 디바이스와 같은 기타 다른 활성 및 수동 회로 디바이스도 포함한다.Electronic circuits include, in addition to transistor devices, other active and passive circuit devices such as display or memory devices or capacitive or resistive devices.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다수의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유닛을 형성하고 이어서 용액 기초 처리를 통하여 특정의 후속 용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a, 도 1b, 또는 도 1c에 도시된 형태의 다수의 트랜지스터(50)를 일례로 게이트 어레이 형태로 구비하는 기판이 플라스틱 판 위에 형성될 수 있다.(도 22 참조). 다이오드 또는 커패시터와 같은 기타 다른 디바이스도 그 플라스틱 판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그 판은 비아홀(52)을 형성하기 위한 적절한 용제(일례로, 메탄올)와 전도성 트랙(53)을 형성하고 비아홀을 충전하기 위한 적절한 재료(일례로, PEDOT)용의 프린팅 헤드를 구비하는 잉크 젯 프린터 내에 배치한다. 잉크 젯 프린터는 판 상의 트랜지스터의 위치와 구성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으며 적절히 프로그램된 컴퓨터의 제어 하에서 작동 가능하다. 이어서, 비아홀 형성 단계 및 상호 접속 단계의 조합에 의해서 잉크젯 프린터는, 트랜지스터를 소정의 방식으로 상호 접속시킴으로써, 소정의 전자 또는 논리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은 소형의 저렴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서도 기판 상에 논리 특정 회로가 형성될 수 있게 한다.Can be formed using a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to form a unit having a plurality of transistors and then to a specific subsequent use through solution based processing. As an example, a substrate having a plurality of transistors 50 of the type shown in FIG. 1A, 1B, or 1C,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gate array may be formed on a plastic plate (see FIG. 22). Other devices such as diodes or capacitors may also be formed on the plastic plate. The plate is then coated with a suitable solvent (e.g., methanol) to form a via hole 52 and an ink containing a printing head for a suitable material (e.g., PEDOT) to form a conductive track 53 and fill the via hole. Jet printer. The ink jet printer is knowledgeable about the loca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transistors on the plate and is operable under the control of a suitably programmed computer. Then, by the combination of the via hole forming step and the interconnection step, the ink jet printer forms a circuit that performs predetermined electronic or logic functions by interconnecting the transistors in a predetermined manner. Thus, this technique allows logic specific circuits to be formed on a substrate even with small, inexpensive devices.

그와 같은 회로의 응용례는 활성 전자 티켓, 수화물, 및 식별 꼬리표의 프린팅이 있다. 티켓 또는 꼬리표 프린팅 디바이스에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를 지지하는 기판을 각각 포함하고 있는 다수의 비형성성 유닛(non-configured unit)이 장착된다. 티켓 프린팅 디바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터를 제어할 수 있으며 티켓의 유효 기능을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를 포함한다. 티켓의 프린팅이 필요한 경우, 프린팅 디바이스는 비아홀 및/또는 전도성 재료를 프린팅함으로써 적절한 전자 회로용 기판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기판 상의 트랜지스터가 적절하게 형성된다. 이어서 기판은 일례로 접착성 플라스틱 쉬트로 밀봉하여 덮어씌울 수 있는데, 전기 접속 단자(54, 55)는 노출된 채로 남겨 둔다. 이어서 티켓이 분배된다. 티켓을 유효화시키려는 경우, 그 기능을 유효화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입력 단자에 입력치가 가해지고 하나 이상의 출력 단자에서의 출력치가 모니터된다. 티켓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 상에 프린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pplications of such circuitry include printing of active electronic tickets, baggage, and identification tags. The ticket or tag printing device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non-configured units each containing a substrate supporting a plurality of transistors. The ticket printing device includes a comput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ink jet printer as described above and displaying the valid function of the ticket. When printing of a ticket is required, the printing device forms a substrate for a suitable electronic circuit by printing a via hole and / or a conductive material, whereby a transistor on the substrate is appropriately formed. Subsequently, the substrate may be covered with an adhesive plastic sheet, for example,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s 54 and 55 are left exposed. The ticket is then distributed. When the ticket is to be validated, an input value is applied to one or more input terminals and the output value at one or more output terminals is monitored to validate the function. The ticket is preferably printed on a flexible plastic substrate for convenient use.

가격 부착 및 꼬리표 부착용이 아닌 사용자 정의 회로도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회로의 유효화 및 판독도 또한 일례로 무선 주파수 방사(피직스 월드(Physics World) 1999년 3월호, 31페이지)를 이용하여 원격 검침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User-defined circuits other than price attachments and tag attachments can also be manufactured in a similar manner. Circuit validation and reading may also be accomplished by remote meter reading using, for example, radio frequency radiation (Physics World, March 1999, p. 31).

적절한 접속부를 표준 배열 상에 단순히 잉크 젯 프린팅하기만 해도 최종 사용자가 회로를 정의할 수 있는 능력은 공장 설계 회로에 비해 상당히 증가된 융통성을 제공한다.The ability of the end user to define the circuit by merely ink jet printing the appropriate connections on a standard array provides significantly increased flexibility over the factory design circuitry.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징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개념의 새롭고 진보된 모든 특징을 포함하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그 특징들의 새롭고 진보된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ll new and advanced features of the concepts described herein and all the new and advanced combinations of features described herein.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이 이상에서 설명한 어떠한 한정 사항의 범위로 제한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들 중 임의의 특징이나 그 조합을 함축적으로나 혹은 명시적으로, 또는 일반적으로 포함한다는 점에 주목시키고자 한다. 이상의 설명에 비추어 볼 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수정을 할수 있음은 분명하다.Applicant has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y feature or combination of features disclosed herein either implicitly or explicitly, or generally, without limiting the scope of any of the limitations set forth hereinabove do. In light of the above description, it is apparent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9)

적어도 두 개의 상호 연결된 스위칭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집적회로를 형성하는 방법에서,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들중 적어도 일부를 잉크젯 프린팅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집적회로 형성방법.A method of forming an integrated circuit comprising at least two interconnected switching devices comprising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witching devices by inkjet printing. 전자 스위칭 디바이스들과, 그리고 연결부, 비아홀 연결부, 저항, 커패시터,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요소들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집적회로 형성 방법에서, 상기 스위칭 요소들중 적어도 일부와 그리고 상기 다른 요소들중 적어도 하나를 잉크젯 프린팅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집적회로 형성방법.In an integrated circuit formation method that includes electronic switching devices and at least one of a connection, a via hole connection, a resistor, a capacitor, a diode, and display elements, at least one of the switching elements and at least one of the other elements Lt; RTI ID = 0.0 &gt; inkjet &lt; / RTI &gt; printing. 비아홀 연결부들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전자 스위칭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집적회로를 형성하는 방법에서, 상기 비아홀 연결부들을 잉크젯 프린팅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집적회로 형성방법.A method of forming an integrated circuit comprising electronic switching devices interconnected by via-hole connections,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the via-hole connections by ink-jet printing.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항에 있어서,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잉크젯 프린팅 단계는 전도성 물질을 잉크젯 프린팅하는 집적회로 형성방법.Wherein the inkjet printing step comprises inkjet printing a conductive material.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전도성 물질은 디바이스들의 전극을 형성하는 집적회로 형성방법.Wherein the conductive material forms an electrode of the device.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항에 있어서,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잉크젯 프린팅 단계는 반도체 물질을 잉크젯 프린팅하는 집적회로 형성방법.Wherein the ink-jet printing step comprises ink-jet printing a semiconductor material.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반도체 물질은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들의 활성층을 형성하는 집적회로 형성방법.Wherein the semiconductor material forms an active layer of the switching devices.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반도체 물질은 공액(conjugated) 폴리머인 집적회로 형성방법.Wherein the semiconductor material is a conjugated polymer. 제6항 내지 제8항중 어느항에 있어서,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상기 반도체 물질은 공액 블록 코포리머인 집적회로 형성방법.Wherein the semiconductor material is a conjugate block co-polymer. 제6항 내지 제9항중 어느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상기 반도체 물질은 적어도 두 개의 공유결합에 의하여 각각 연결되는 제 1 블록의 공액 모노머 유닛과 제 2 블록의 모노머 유닛으로 구성된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코폴리머는 전자 친화도가 3.0eV 또는 3.5eV 이상인 집적회로형성방법.Wherein the semiconductor material comprises a block copolymer consisting of a first block of a conjugated monomer unit and a second block monomer unit, each of which is connected by at least two covalent bonds, wherein the block copolymer has an electron affinity of 3.0 eV or 3.5 eV &lt; / RTI &gt; 제6항 내지 제9항중 어느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상기 반도체 물질은 적어도 두 개의 공유결합에 의하여 각각 연결되는 제 1 블록의 공액 모노머 유닛과 제 2 블록의 모노머 유닛으로 구성된 코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코폴리머는 이온화 전위가 5.5eV 에서 4.9eV 의 범위인 집적회로 형성방법.Wherein the semiconductor material comprises a copolymer consisting of a first block of conjugated monomer units and a second block of monomer units, each of which is connected by at least two covalent bonds, the block copolymer having an ionization potential of 5.5 eV to 4.9 eV Lt; / RTI &gt;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상기 제 1 블록의 모노머 유닛은 불소 유도체, 페닐렌 유도체 및 인디노(indeno)불소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제 2 블록의 모노머 유닛은 티오펜 유도체, 트리아릴아민 유도체 및 벤조티아디아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이상 포함하는 집적회로 형성방법.Wherein the monomer unit of the first block compris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uorine derivative, a phenylene derivative and an indeno fluorine derivative, and the monomer unit of the second block i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hiophene derivative, a triarylamine derivative, And a diazole derivative. 제5항 내지 제8항중 어느항에 있어서,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상기 반도체 물질은 F8T2 또는 TFB인 집적회로 형성방법.Wherein the semiconductor material is F8T2 or TFB. 제5항 내지 제8항중 어느항에 있어서,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상기 반도체 물질은 액정 공액 폴리머를 포함하는 집적회로 형성방법.Wherein the semiconductor material comprises a liquid crystal conjugated polymer.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2, or 3, 상기 잉크젯 프린팅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들의 절연층의 국부적인 영역들에 용제를 잉크젯 프린팅함으로써, 상기 영역들의 절연층을 용해시켜 상기 층들을 관통 연장하는 통과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집적회로 형성방법.Wherein the inkjet printing step forms a through-hole extending through the layers by dissolving the insulating layer of the regions by inkjet printing the solvent onto localized areas of the insulating layer of the devices. 제15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통과공에 전도성 물질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집적회로 형성방법.And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through hole.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2, or 3, 상기 잉크젯 프린팅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들의 절연층의 국부적인 영역들에 확산성 도펀트를 잉크젯 프린팅함으로써, 상기 영역들의 절연층을 변화시켜 상기 층들을 관통 연장하는 전도성 물질로된 채널이 형성되도록 하는 집적회로 형성방법.Wherein the inkjet printing step comprises forming an integrated circuit on the substrate to form a channel of a conductive material extending through the layers by varying the insulating layer of the regions by inkjet printing a diffusible dopant in localized areas of the insulating layer of the devices. Way. 전술한 어느 청구항에서 있어서,In any of the foregoing claims, 잉크젯 프린팅으로 상기 디바이스들 사이에 전도성 물질을 증착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들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집적회로 형성방법.And causing the devices to be interconnected by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between the devices with inkjet printing. 전술한 어느 청구항에 있어서,In any of the foregoing claims, 잉크젯 프린팅으로 상기 디바이스들 사이에 절연성 물질을 증착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들이 전기적으로 분리되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집적회로 형성방법.And depositing an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devices by inkjet printing to cause the devices to be electrically isolated. 전술한 어느 청구항에 있어서,In any of the foregoing claims, 상기 디바이스들은 트랜지스터인 집적회로 형성방법.Wherein the devices are transistors. 전술한 어느 청구항에 있어서,In any of the foregoing claims, 상기 잉크젯 프린팅 단계는 컴퓨터의 제어로 동작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헤드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기판상의 선택된 영역에 물질을 증착하는 집적회로 형성방법.Wherein the ink jet printing step is performed by an ink jet printer having at least one printing head operable under the control of a computer to deposit material in selected areas on the substrate. 제21항에 있어서,22. 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잉크젯 프린팅 단계는 상기 기판상의 광학적 콘트라스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컴퓨터의 제어로 상기 프린트 헤드를 동작시키기위해 상기 광학적 콘트라스트에 근거하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집적회로 형성방법.Wherein the inkjet printing step comprises sensing optical contrast on the substrate and performing a process based on the optical contrast to operate the printhead under the control of a computer. 제22항에 있어서,23. 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트랜지스터들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트랜지스터들중 하나의 임의 전극은 상기 디스플레이 요소의 임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 를 포함하는 집적회로 형성방법.Forming a display element in at least one of the transistors, wherein any one of the transistor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y electrode of the display element. 기판과 기판 위에 위치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들 - 이들 각 트랜지스터는 상기 트랜지스터들을 상호 연결해주는 적어도 하나의 상호 연결 전극을 갖는다 - 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어레이로부터 전자회로를 정의하는 방법에서,A method for defining an electronic circuit from an array of electronic devices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transistors located on the substrate, each transistor having at least one interconnecting electrode interconnecting the transistors, 상기 기판 위에 전도성 물질을 잉크젯 프린팅하여 상기 트랜지스터들중 적어도 두 개의 트랜지스터 사이에 상호 연결 패턴이 정의되게함으로써 상기 상호 연결 전극들중 두 전극들 사이에 전도 경로가 제공되도록 하는 전자회로 정의방법.Wherein the conductive path is provided between two of the interconnecting electrodes by inkjet prin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substrate to define an interconnect pattern between at least two of the transistors. 제24항에 있어서,25. 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두 트랜지스터들 중 하나는 상기 기판위의 트랜지스터들의 사전 연결된 기능 블록의 일부인 전자회로 정의방법.Wherein one of the two transistors is part of a previously connected functional block of transistors on the substrate.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2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4 or 25, 상기 트랜지스터들 각각은 폴리머 물질로 형성되는 전자회로 정의방법.Wherein each of the transistors is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제25항에 있어서, 폴리머 물질은 전도성 또는 반도체성 폴리머인 전자 디바이스 어레이에서 전자회로 정의방법.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polymeric material is a conductive or semiconducting polymer.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항에 있어서,2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27, 상기 기판은 하나 이상의 수동 회로 요소들을 포함하며,Wherein the substrate comprises one or more passive circuit elements, 상기 기판 위에 전도성 물질을 잉크젯 프린팅함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 중의 어느 하나의 상호연결 전극과 상기 수동 회로 요소들중 하나와의 사이에 전도 경로가 제공되게 하는 전자회로 정의방법.And inkjet prin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substrate to provide a conductive path between any one of the interconnecting electrodes of the transistors and one of the passive circuit elements. 제24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항에 있어서,2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28, 상기 기판은 하나 이상의 능동 회로 요소들을 포함하는 전자회로 정의 방법.Wherein the substrate comprises one or more active circuit elements. 제29항에 있어서,30. 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트랜지스터들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트랜지스터들중 하나의 임의 전극은 상기 디스플레이 요소의 임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 를 포함하는 전자회로 정의방법.Forming a display element on at least one of the transistors, wherein an optional electrode of one of the transistor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y electrode of the display element. 제24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항에 있어서,3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30, 상기 잉크젯 프린팅 단계는 컴퓨터의 제어로 동작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헤드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기판상의 선택된 영역에 물질을 증착하는 전자회로 정의방법.Wherein the inkjet printing step is performed by an inkjet printer having at least one printing head operable under the control of a computer to deposit a material on a selected area on the substrate. 제24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항에 있어서,3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31, 상기 잉크젯 프린팅 단계는 상기 기판상의 광학적 콘트라스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컴퓨터의 제어로 상기 프린트 헤드를 동작시키기위해 상기 광학적 콘트라스트에 근거하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이전에 증착된 패턴에대하여 양호한 등록 정확도가 달성되도록 하는 전자회로 정의방법.The inkjet printing step includes sensing an optical contrast on the substrate and performing a process based on the optical contrast to operate the printhead under the control of a computer, An electronic circuit definition method for achieving accuracy. 제24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항에 있어서,3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32, 상기 잉크젯 프린터는 전도성 및/또는 절연성 물질을 증착하는 동작을 하여, 잉크젯 프린팅에 의해 상기 기판상에 사용자 선택 회로가 정의되도록 하는 전자 회로 정의방법.Wherein the inkjet printer is operative to deposit a conductive and / or insulating material to define a user selection circuit on the substrate by inkjet printing. 제24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항에 있어서,3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32, 상기 디바이스들의 절연층들의 국부적인 영역들에 용제를 잉크젯 프린팅함으로써 상기 영역들의 상기 절연층들을 용해시켜 상기 층들을 관통 연장하는 통과공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통과공에 전도성 물질을 증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회로 정의방법.Dissolving the insulating layers of the regions by inkjet printing a solvent in localized areas of the insulating layers of the devices to form a through hole extending through the layers and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through hole Electronic circuit definition method. 제24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항에 있어서,3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34, 상기 기판은 상기 트랜지스터들의 전극들 사이에, 액체에 대한 상대적인 친화력 및/또는 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전극들사이의 사전 정의된 경로에서 상기 기판상에 증착된 상기 액체를 한정시키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회로 정의방법.Wherein the substrate includes a structure between the electrodes of the transistors that defines the liquid deposited on the substrate in a predefined path between the electrodes by a relative affinity and / Way. 전술한 임의 청구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형성된 전자 디바이스.An electronic device formed by a method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제2 표면 영역에 의하여 각각 분리되는 제1 표면 영역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기판으로부터 전자 디바이스를 정의하는 방법에서,A method of defining an electronic device from a substrate comprising an array of first surface areas each separated by a second surface area, 상대적으로 상기 제1 표면 영역들에 친화적이고 상기 제2 표면 영역에는 반발적인 용제에서 상기 제1 영역에서 물질이 석출되도록 하는 용액으로부터 전도성 폴리머 물질을 증착하여 상기 기판 상의 다수의 트랜지스터들의 전극을 정의하고, 상기 트랜지스터들의 기능적 영역을 순차 형성하여 단일 트랜지스터의 전극으로서 인근의 제1영역들에 해당하는 영역들의 물질을 상호 연결하는 전자 디바이스 정의방법.Depositing a conductive polymer material from a solution that is relatively friendly to the first surface areas and causes material to precipitate in the first area in a solvent that is repellent to the second surface area to define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transistors on the substrate And sequentially forming the functional regions of the transistors to connect the materials of the regions corresponding to neighboring first regions as electrodes of a single transistor. 제37항에 있어서,39. The method of claim 37, 채널 길이는 상기 반발 표면 영역에 의해 정의되지만 위치와 채널 폭은 사용자가 정의하는 폴리머 트랜지스터들을 증착하고,The channel length is defined by the repulsive surface area, but the position and channel widths are used to deposit user-defined polymer transistors, 추가적으로 전도성 물질을 잉크젯 프린팅하여 두 연결부의 중첩 영역에 솔벤트를 국부적으로 증착하거나 및/또는 절연층을 잉크젯 프린팅함으로써 트랜지스터간 및/또는 절연층을 관통하는 비아홀의 개구부 사이에 연결부를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 정의방법.In addition, an electronic device definition that provides a connection between the openings of the via holes passing between the transistors and / or the insulating layer by inkjet printing of the conductive material to locally deposit the solvent in the overlap region of the two connections and / or inkjet printing the insulating layer Way. 기판과 다수의 트랜지스터들 또는 상기 기판상에 위치한 트랜지스터들의 기능성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각 트랜지스터 또는 기능성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전극을 구비하여 상기 트랜지스터간에 연결하는 전자 디바이스 어레이에서,A plurality of transistors, or functional blocks of transistors located on the substrate, each transistor or functional block having at least one connection electrode to connect between the transistors, 전도성 물질을 잉크젯 프린팅하여 두 연결 전극 사이에 전도성 통로를 제공하는 단계와, 트랜지스터의 절연층에 솔벤트를 국부적으로 증착하여 트랜지스터의 절연층을 관통하는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두 트랜지스터 또는 기능성 블록 사이의 영역에 절연 물질을 잉크젯 프린팅 하는 단계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두개의 트랜지스터 사이의 연결 패턴을 정의하는 전자 디바이스 정의방법.Forming a via hole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of the transistor by locally depositing a solvent on the insulating layer of the transistor to form a via hole between the two transistors or the functional block; And inkjet printing of an insulating material in the region of the at least two transistors.
KR1020027008128A 1999-12-21 2000-12-21 Integrated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method manufactured by inkjet KR10090948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930217.6A GB9930217D0 (en) 1999-12-21 1999-12-21 Solutiion processed transistors
GB9930217.6 1999-12-21
GBGB0009913.5A GB0009913D0 (en) 1999-12-21 2000-04-20 Integrated circuits
GB0009913.5 2000-04-20
PCT/GB2000/004938 WO2001046987A2 (en) 1999-12-21 2000-12-21 Inkjet-fabricated integrated circuit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832A Division KR100940110B1 (en) 1999-12-21 2000-12-21 Inkjet-fabricated intergrated circuits amd method for forming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313A true KR20020089313A (en) 2002-11-29
KR100909481B1 KR100909481B1 (en) 2009-07-28

Family

ID=1086676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129A KR100872154B1 (en) 1999-12-21 2000-12-21 Solution processing
KR1020027008128A KR100909481B1 (en) 1999-12-21 2000-12-21 Integrated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method manufactured by inkjet
KR1020027008126A KR100927890B1 (en) 1999-12-21 2000-12-21 Solution processing device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129A KR100872154B1 (en) 1999-12-21 2000-12-21 Solution processing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126A KR100927890B1 (en) 1999-12-21 2000-12-21 Solution processing devices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2) JP5014547B2 (en)
KR (3) KR100872154B1 (en)
BR (3) BRPI0016670B1 (en)
CA (1) CA2829416C (en)
GB (5) GB9930217D0 (en)
HK (3) HK1053011B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741B1 (en) * 2006-07-19 2007-1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A method for preparing an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and a flat panel display comprising the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prepared by the method
KR100792036B1 (en) * 2006-10-17 2008-01-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92407B1 (en) * 2006-10-10 2008-01-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 top gate thin film transistor using nano partic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6934B2 (en) * 2003-06-02 2012-03-28 株式会社リコー Electronic element, electronic element array, and display device
JP4629997B2 (en) * 2003-06-02 2011-02-09 株式会社リコー Thin film transistor and thin film transistor array
JP4666999B2 (en) * 2003-10-28 2011-04-0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Wiring and thin film transistor manufacturing method
US7968461B2 (en) 2003-10-28 2011-06-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forming wi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film transistor and droplet discharging method
JP4713192B2 (en) * 2004-03-25 2011-06-2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film transistor
JP4665545B2 (en) * 2005-02-24 2011-04-06 凸版印刷株式会社 Thin film transistor manufacturing method
JP2006261535A (en) * 2005-03-18 2006-09-28 Ricoh Co Ltd Lamination structure, electronic element using the same, electronic element array using electronic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ion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nic element
JP4556838B2 (en) * 2005-05-13 2010-10-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Bank forming method and film pattern forming method
KR100696555B1 (en) * 2006-02-28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A method for preparing an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the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prepared using the method and a flat panel display comprising the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JP4415977B2 (en) 2006-07-14 2010-02-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transfer substrate
JP4096985B2 (en) 2006-07-14 2008-06-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optical device
KR101475097B1 (en) * 2007-04-25 2014-12-23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ocess for preparing an electronic device
JP2009105258A (en) * 2007-10-24 2009-05-14 Konica Minolta Holding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in-film transistor, thin-film transistor and display unit
KR101678670B1 (en) * 2010-01-22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manufacturing TFT and array TFT
JP2011216647A (en) 2010-03-31 2011-10-27 Dainippon Printing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attern-formed body, method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element
JP5866783B2 (en) * 2011-03-25 2016-02-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Circuit board manufacturing method
JP6531319B2 (en) * 2016-05-16 2019-06-19 株式会社Nsc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6804082B2 (en) * 2016-09-21 2020-12-23 国立研究開発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Organic transistor and its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operation control device
CN106953029B (en) * 2017-03-22 2019-08-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film encapsulation method and packaging film, ink jet printing device
JP7030352B2 (en) * 2020-10-13 2022-03-07 国立研究開発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Organic transistor and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organic transis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4430B1 (en) * 1990-07-04 1992-09-18 Centre Nat Rech Scient THIN FILM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MIS STRUCTURE, IN WHICH THE INSULATION AND THE SEMICONDUCTOR ARE MADE OF ORGANIC MATERIALS.
JP2507153B2 (en) 1990-07-31 1996-06-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Orga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941169B2 (en) 1997-07-16 2007-07-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EL element
WO1999010939A2 (en) * 1997-08-22 1999-03-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ield-effect transistor substantially consisting of organic materials
CA2306384A1 (en) * 1997-10-14 1999-04-22 Patterning Technologies Limited Method of forming an electronic device
WO1999021233A1 (en) 1997-10-17 1999-04-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ocess for fabricating 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using ink-jet printing technology and device and system employing same
CN100530758C (en) * 1998-03-17 2009-08-1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Thin film pattering substrate and surface treatment
GB9808061D0 (en) * 1998-04-16 1998-06-17 Cambridge Display Tech Ltd Polymer devices
US6723394B1 (en) * 1999-06-21 2004-04-20 Cambridge University Technical Services Limited Aligned polymers for an organic TF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741B1 (en) * 2006-07-19 2007-1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A method for preparing an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and a flat panel display comprising the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prepared by the method
KR100792407B1 (en) * 2006-10-10 2008-01-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 top gate thin film transistor using nano partic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0792036B1 (en) * 2006-10-17 2008-01-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18756A (en) 2003-06-10
GB0009911D0 (en) 2000-06-07
JP5658789B2 (en) 2015-01-28
GB9930217D0 (en) 2000-02-09
JP5014547B2 (en) 2012-08-29
BRPI0016670B1 (en) 2018-09-11
GB0009915D0 (en) 2000-06-07
KR20020086870A (en) 2002-11-20
KR100909481B1 (en) 2009-07-28
BRPI0016643B1 (en) 2018-04-03
HK1053012A1 (en) 2003-10-03
HK1053011A1 (en) 2003-10-03
KR100872154B1 (en) 2008-12-08
CA2829416A1 (en) 2001-06-28
GB0009917D0 (en) 2000-06-07
HK1053013B (en) 2008-11-28
HK1053013A1 (en) 2003-10-03
CA2829416C (en) 2018-04-10
JP2013211565A (en) 2013-10-10
KR20020088065A (en) 2002-11-25
GB0009913D0 (en) 2000-06-07
KR100927890B1 (en) 2009-11-23
HK1053012B (en) 2010-01-15
HK1053011B (en) 2008-11-28
BRPI0016660B1 (en) 201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110B1 (en) Inkjet-fabricated intergrated circuits amd method for forming electronic device
US7763501B2 (en) Forming interconnects
US6905906B2 (en) Solution processed devices
US6808972B2 (en) Method of processing solution on a substrate
JP5658789B2 (en) Solution-treate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