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4883A -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 활성이 있는 물질의 테스트방법 및 화장품용으로서의 이용 - Google Patents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 활성이 있는 물질의 테스트방법 및 화장품용으로서의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4883A
KR20020084883A KR1020010040253A KR20010040253A KR20020084883A KR 20020084883 A KR20020084883 A KR 20020084883A KR 1020010040253 A KR1020010040253 A KR 1020010040253A KR 20010040253 A KR20010040253 A KR 20010040253A KR 20020084883 A KR20020084883 A KR 20020084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ity
substance
extract
lipolysis
lipoly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4933B1 (ko
Inventor
델핀 리발
라미발레리
에릭 페리어
Original Assignee
꼴레띠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꼴레띠까 filed Critical 꼴레띠까
Publication of KR2002008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9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9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ipids, e.g. cholesterol, lipoproteins, or their recep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4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8Clusiaceae, Hypericaceae or Guttiferae (Hypericum or Mangosteen family), e.g. common St. Johns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34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hydrolase
    • C12Q1/44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hydrolase involving ester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Diabet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bes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at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을 테스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인 바, 적어도 하나의 트리아실글리세롤 (triacylglycerol)을 포함하는 기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기질을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 및 보조인자가 있는 지질단백리파제와 적어도 트리아실글리세롤의 지방산 한 부분이 분비될 만큼 충분한 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잠재적 활성물질의 작용 하에서 지질단백리파제의 활성에 의한 지방산 분비의 억제정도를 측정하고, 테스트되는 잠재적 활성물질이 없는 경우 또는 기존의 억제제의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억제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화장품용 및 제약용 사용법을 설명한다.

Description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 활성이 있는 물질의 테스트 방법 및 화장품용으로서의 이용 {A method for testing a substance which is potentially active in the field of lipolysis and its mainly cosmetic use}
본 발명은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 활성이 있는 물질의 테스트 방법 및 화장품 분야에서의 이용과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질적으로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 활성이 있는 물질의 테스트 방법,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활성이 있는 것으로 감지된 물질, 그리고 그 물질의 화장품 또는 제약 분야에서, 특히 슬리밍 케어 (slimming care)용, 혈액 미소순환 증강용, 피부 외관 향상용, 그리고 <<오렌지 껍질>> 모양(orange peel appearance)의 피부 수축용 등으로의 이용법에 관련된 것이다.
오늘날 실험실에서 개발된 지방분해성 제품 (lipolytic products)은 실제로 효과적인 슬리밍 활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품은 사실상 지방분해를 조절하는 메카니즘 (mechanism) 전체를 더욱더 고려하는 전략의 결과물이다. 슬리밍 제품의 개발은 다음 두가지를 의미한다.
1) 정맥강장 활성제품 (veinotonic active products);
2) 지방분해에 관련된 전체 메카니즘을 대상으로 하는 지방분해성 활성제품 (lipolytic active products).
정맥강장 활성제품은 피부혈액 미소순환에 작용한다. 이들은 중각증 (heavy legs) 및 부종 (oedemas) 등의 치료에서, 또는 모세관 저항성 증강용으로 그리고 항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다. 그러므로, 정맥강장 제품은 1)혈액 미소순환 증강 및 2)피부 외관 향상 (오렌지껍질 현상의 완화)을 위해 선택되는 활성제품이 되는 것이다.
지방분해성 활성제품:
1) 지방분해의 핵심 효소는 호르몬민감 리파아제 (hormono-sensitive lipase, HSL)로서, 지방세포의 세포내 효소다. 이 리파아제는 가수분해에 의한 (HSL에 의한) 지방세포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소모 및 세포에 의하여 형성된 아미노산의 분해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지방분해성 화장품용 활성제품은 보조인자 (cofactors)의 도움으로 상기 효소를 활성화하거나 억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2) HSL은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활성 형태는 비활성 형태의 인산화된 것에 해당하고, 인산화는 하나의 효소, 단백질 키나아제 (protein kinase, PKA)에 의한 것으로, 이 효소는 cAMP 의존 효소, 즉 활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cAMP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지방분해성 화장품용 활성제품은 세포 안에서 더 많은 cAMP가 생산되게함으로써, 또는 cAMP의 분해를 방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효소를 활성화하는 것이다.
3) cAMP는 세포막 효소인 아데닐 시클라제 (adenyl cyclase) 때문에 세포 안에서 형성되는데, 이 효소는 베타-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에 민감한 자극성 G-단백질 (Gs)에 의하여 활성화될 수 있는 반면, 알파-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에 민감한억제성 G-단백질 (Gi)에 의하여 억제될 수 있다. 몇 가지 화장품용 활성제품들이 이러한 수용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고, 아데닐 시클라제를 촉진할 수 있으며, 세포 내 cAMP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되어 왔다.
4) cAMP는 또한 세포 내 효소인 포스포디에스터라제 (phosphodiesterase, PDE)에 의하여 세포 안에서 가수분해될 수 있고, 다른 화장품용 활성제품들이 상기 효소를 억제할 수 있고 세포 내 cAMP 농도를 증가한 채로 유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방분해 방면에 잠재적 활성을 가진 물질을 테스트하는 신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물질의 지방분해 활성 정도, 결국 지방분해반응에 작용하는, 즉 지방 축적이 감소, 지연, 또는 재흡수될 수 있게하며, 슬리밍 활성을 가지게 하고, 혈액 미소순환을 증가시키고, 피부 외관을 향상시키며 특히 흉한 <<오렌지 껍질>> 현상을 줄일 수 있게 하는, 그 물질의 효능을 측정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 목적은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활성이 있는 물질을 가능한 적은 단계를 거쳐서 찾을 수 있게하고, 비용이 적게 들고, 공장규모로, 특히 연구 실험실에서, 선호되는 바, 자동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가능한한 테스트를 수행하는 사람의 능력에 좌우되지 않는 테스트 방법을 제공함이라는 신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활성이 있는 물질을 찾을 수 있는 테스트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효율이 높고, 지방분해성 활성, 특히 지방 축적의 감소, 지연, 또는 재흡수 활성, 또는 슬리밍 활성, 또는 피부 색조의 향상에 관련한 활성을 이용하는 신규 화장품용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는 테스트 방법을 제공함이라는 신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도 1은 덩굴식물 운카리아 토멘토사의 물-알코올 추출물에서 농도의 함수로서의 지질단백리파제의 억제현상을 보여준다. 가로축은 무게 퍼센트로 사용된 농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지질단백리파제의 억제효과를 상대 퍼센트 비율로 보여 준다. 상기 측정은 상업용 NEFA-C 측정 키트 (Wako, from oxoid, 69571 Dardilly cedex France)로 비에스테르화된 지방산 (non esterified fatty acids, 즉 NEFAs)에 대하여 실시되었다.
도 2는 도 1에서와 같은 조건으로 얻은 결과이지만, 반응배지에 있는 지방산은 기체상 크로마토그래피 (GPC)로 분석하였다.
도 3은 지질단백리파아제 작용 하에서 도 1 및 도 2의 대상물질인 덩굴식물 운카리아 토멘토사 추출물의 억제활성을 물-글리콜 추출에 의한 세인트 존 워트 추출물의 같은 조건에서 얻은 결과와 비교한 것을 보여준다. 상기 물-글리콜 추출에서 용매는 40%(w/w)의 물과 60%(w/w)의 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되었고, 가로축은 조제물에서 활성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억제효과를 상대 퍼센트 비율로보여준다. 오른쪽 윗방향으로 빗금을 친 오른쪽 막대는 운카리아 토멘토사 추출물로 얻은 결과이고 왼쪽 윗방향으로 빗금을 친 왼쪽 막대는 세인트 존 워트 추출물로 얻은 결과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들이 관련 전문가들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아주 뜻밖의 방식으로 해결될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은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 활성이 있는 물질을 테스트하는 신규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테스트 대상 물질의 지질단백리파제 (lipoprotein lipase, LPL) 효소 억제능력에 기초한다.
LPL은 지방세포에 의하여 생성되는 효소이고, 모세혈관의 내피세포에 대한 세포외유출로 분비되며, 또한 혈관강에서 순환하는 VLDL (the very low density lipoproteins) 및 카일로마이크론 (chylomicrons)이 매개하는 트리아실글리세롤 ( triacylglycerol)의 1,3 위치에서의 에스터 결합 가수분해 능력을 가지고 있다 (I.J. Goldberg, Lipoprotein lipase and lipolysis: central rolses in lipoprotein metabolism and atherogenesis,Journal of Lipid Research 37, 693-707 (1996): 분비된 지방산이 지방세포에 의하여 포획된는 것에 대한 논문). 카일로마이크론 및 VLDL은 지질을 조직에 운반하는, 인간 원형질의 지질단백질임이 중요하다 (D. Quin, et al., Lipoprotein lipase: mechanism of action and role in lipoprotein metabolism,Prog. Lipid Res.22, 35-78 (1982)).
또한, 지방세포의 원형질막을 통하여 전달된 지방산이 트리아실글리세롤의 형태로 다시 저장되기 위하여 지방세포의 내부 생화학적 체계에 포획될 것임이 중요하다 (B. Feve, L'adipocyte, une ellule tres active que l'on commence a savoir controler,21, 30-33 (1999)).
따라서, 본 발명은 첫째,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 활성이 있는 물질, 선호하는 바 지질단백리파제 (lipoprotein lipase)의 억제에 작용하는 물질을 테스트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둘째, 지질분해반응에서 그러한 활성을 가진 물질, 특히 지질단백리파제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지방세포에서의 축적 제한을 위한 활성의 신규 수단으로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첫번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을 테스트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하기 기술된 단계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a) 적어도 하나의 트리아실글리세롤을 함유하는 기질을 제조하는 단계;
b) 이 기질을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기질, 그리고 보조인자 (cofactor)가 첨가된 지질단백리파제와 함께 반응시키는데, 트리아실글리세롤의 지방산 한 부분에서 적어도 방출이 일어날 만큼 충분한 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단계;
c) 상기 언급한 잠재적으로 활성있는 기질의 활성 하에서, 지질단백리파제의활성 때문에 발생하는 지방산 방출이 억제되는 정도를 측정하고, 그 활성물질이 없는 상황에서 얻은 결과 또는 기존의 알려진 억제제를 이용하여 얻은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그 억제 능력을 평가하는 단계.
잠재적으로 활성있는 그 물질의 억제 반응 결과가 비교군, 즉 활성물질이 없을 경우보다 월등하거나 기존의 한 억제제와 비교하여 비슷하거나 월등하다면, 지방분해반응에서 상기 물질의 활성이 특성화, 즉 확인될 것인지 아니지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은 관련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사실이다.
본 발명에서, 주목할 점은 상기 테스트 방법은 트리아실글리세롤, 즉 에스테르화가 안된 지방산의 아실화 또는 트리아실화 부분으로부터 방출되는 지방산의 측정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올바른 변형 (variant) 중의 한 가지에 따라, 상기 방법은 사용되는 지질단백리파제가 소젖 (bovine milk)에서 추출한 것 또는 박테리아 유래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변형에 따라, 상기 방법은 트리아실글리세롤이 긴 연쇄기 지방산, 선호되는 바, 12 내지 30개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소를 포함하는, 더욱 선호되는 바, 식품에 주로 존재하는 지방산으로 구성되는 아실 (acyl) 부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특징에 따라, 상기 방법은 지질단백리파제가 아포지질단백 C-II (apolipoprotein C-II), 선호되는 바, 인간 유래의 것을 포함하는 상기 보조인자와 함께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유리한 변형에 따라, 상기 방법은 지질단백리파제의 효소 활성 저해를 방지하는 지방산-수용체 물질 또는 지방산-포획 물질이 있는 상황에서 지질단백질이 기질과 접촉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지방산-수용체 물질 또는 지방산-포획 물질은 소알부민 또는 인간알부민 (bovine or human albumin)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히 유리한 구현 (embodiment)에 따라, 상기 방법은 잠재적으로 활성있는 물질에 의한 지질단백리파제의 억제능력이 몇가지 단계에서 측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a) 우선, 지질단백리파제를 억제제로서 잠재적 활성이 있는 물질을 첨가한 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항온반응 (incubation)하고,
b) 트리아실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기질을, 선호되는 바, 아포지질단백 C-II으로 구성된 지질단백리파제 보조인자가 함께 있는 상황에서 항온반응하고,
c) 트리아실글리세롤/지질단백리파제 보조인자 혼합물을 지질단백리파제의 억제능에 대해서 테스트한, 잠재적 활성이 있는 물질과 함께 또는 그 물질이 없이 효소 지질단백리파제가 있는 상황에서 항온반응하고,
d) 이 반응이 끝난 후, 곧바로 에스테르화 안된 지방산의 반응배지 (reaction medium)에 대하여 기존의 알려진 기법으로 측정하고,
e) 트리아실글리세롤의 지방산 방출 억제능력, 즉 테스트대상인 잠재적 활성이 있는 물질이 있는 상황에서 지질단백리파제의 활성으로부터 나온 비에스테르화된 지방산을 상기 잠재적 활성 물질이 없는 상황에서 얻은 결과 또는 기준으로 작용하는 알려진 억제제가 있는 상황에서 얻은 결과와 비교한다.
상기 구현의 변형에 따라, 상기 비에스테르화된 지방산의 측정은 반응배지에 대하여 효소적 방법으로 한 후, 선호되는 바, 선택된 효소적 방법의 측정파장에서 비색 측정법 (colorimetry)을 적용하는데, 이러한 경우에서 상기 파장에서 얻은 광학밀도 (optical density, OD)의 하한 기준선은 대조구(control) 또는 기존의 억제제에 따라 결정된다.
더욱 유리한 변형에 따라, 상기 비에스테르화된 지방산의 측정은 반응배지에 대하여 효소적 방법으로 한 후, 550 nm에서 비색측정하고, 억제현상은 반응배지에서 합성된 지방산의 감소를 550 nm에서의 광학밀도로 측정하고, 대조구(control) 또는 기존의 억제제와 비교하여 상기 테스트대상 물질에 의한 억제현상이 심각한가 아닌가를 관찰함으로써 상기 물질이 양성 또는 음성 활성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특히 유리한 변형에 따라, 상기 테스트방법은 푸쿠스 (fucus) 추출물; 둘세 팔마리아 말마타 (dulse palmaria palmata) 추출물; 밀 단백질 추출물; 스피룰린 (spiruline) 추출물; 인동 (honeysuckle) 추출물; 세인트 존 워트 (St. John's wort) 추출물; 쌀 단백질 추출물; 덩굴식물 (liana) 추출물; 감자 추출물; 쉬이타케 (shiitake) 추출물; 민물 연어 추출물; 호박 추출물; 그리고 레몬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지방분해반응에서 잠재적 활성이 있는 물질에 대하여 수행한다. 이러한 추출물은 유익하게도 용매 추출과정을 통해 얻는데, 이 추출과정은 선호되는 바, 물 추출 (aqueous extraction), 또는 알코올 추출, 또는 물-알코올 (aqueous alcohol) 추출, 또는 물-글리콜 (특히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부틸렌 글리콜,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 추출로 구성된다.
특히 유리한 구현에 따라, 상기 테스트방법은 세인트 존 워트 추출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변형에 따라, 상기 테스트방법은 덩굴식물 추출물, 선호되는 바, 덩굴식물 운카리아 토멘토사 (lianaUncaria tomentosa)로 알려진 페루산 덩굴식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구현에 따라, 상기 방법은 어떤 물질이 그 지방분해 활성, 특히 슬리밍 활성에 대하여 상기 언급한 억제반응에 대한 테스트방법으로 확인됨을 특징으로 한다.
두번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화장품 조성물이나 지방분해에 의한 지방축적물을 처리할 수 있는 약물 제조에 이용되는 물질의 활성, 즉 슬리밍 활성에 대한 평가용으로, 또 대상에 적용되는 슬리밍 케어 및 치료의 효능 평가용으로의, 상기 테스트 방법의 이용법을 포함한다.
세번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그 활성이 상기 정의된 또는 하기 설명될 테스트방법으로 평가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반응에 활성이 있는 물질은 어떤 것이든 포함한다.
네번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지방 축적의 감소, 지연, 또는 재흡수용, 슬리밍 활성용, 혈액 미소순환 증강용, 피부 색조 또는 외관의 향상용, 특히 <<오렌지 껍질>> 모양의 모공 수축용 등의 화장품 조성물에서 지방분해성 제제 중의 하나로서, 그 활성이 상기 정의된 또는 하기 설명될 테스트방법으로 평가된 물질을 이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다섯번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지나친 지방축적으로 발생하는 이상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 제조를 위한 지방분해성 제제의 하나로서, 그 활성이 상기 정의된 또는 하기 설명될 테스트방법으로 평가된 물질을 이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더욱이 화장품 조성물에서 지방분해 또는 슬리밍 활성을 가진 중요 요소 중의 하나로서, 덩굴식물 운카리아 토멘토사의 추출물을 이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더욱이 화장품 조성물에서 지방분해 또는 슬리밍 활성을 가진 제제 중의 하나로서, 세인트 존 워트 추출물을 이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여섯번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더욱이 효과적인 양의 덩굴식물 운카리아 토멘토사가 화장품용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에 지방분해 또는 슬리밍 활성을 가진 제제 중의 하나로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더욱이 효과적인 양의 세인트 존 워트 추출물이 지방분해 또는 슬리밍 활성을 가진 제제 중의 하나로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곱번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지방분해 또는 슬리밍 활성 (그 활성은 상기 정의된 또는 하기 설명될 테스트방법에 따라 측정된다)을 가진 활성물질로 구성된 화장품 조성물이 국소적으로 (topically) 피부에 처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건강관리 (cosmetic care) 방법을 포함한다.
독특한 구현에 따라, 본 발명은 덩굴식물 운카리아 토멘토사의 추출물을 지방분해 또는 슬리밍 활성을 가진 활성제제 중의 하나로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이 국소적으로 피부에 처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건강관리 방법을 포함한다.
또 다른 독특한 구현에 따라, 본 발명은 세인트 존 워트의 추출물을 지방분해 또는 슬리밍 활성을 가진 활성제제 중의 하나로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이 국소적으로 피부에 처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건강관리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든 상기 측면 또는 구현과 관련하여, 지방분해반응 분야에 활성이 있는 물질은 지방 축적의 감소, 지연, 또는 재흡수용, 슬리밍 활성용, 혈액 미소순환 증강용, 피부 색조 또는 외관의 향상용, 특히 <<오렌지 껍질>> 모양의 모공 수축용 등으로 요구되는 그 지방분해 효과를 얻기에 충분한 양으로 사용될 것이다. 상기 물질의 사용 농도는 그 물질 자체의 성질에 따른 함수로서 다양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물질 또는 상기 활성물질으로 구성된 식물추출물의 농도는 크게 보아서 0.01%~70%(w/w)이고, 0.01~30%(w/w)가 더욱 좋고, 선호되는 바 0.5~20%(w/w)이다. 산업용 농도는 실시예 2 내지 6의 조제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0.01% 내지 30%가 될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된 설명으로 관련 전문가들이 더욱 잘 이해하게 될 것이고, 하기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라 지방분해반응 분야에 잠재적 활성이 있는 물질의 테스트방법의 선호되는 구현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는 단지 실례로서 주어질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사실상 선호되는 물질의 실시예가 단지 실례로서 주어질 뿐,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방법의 영역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더 나아가, 전체적으로, 실시예를 포함하여, 그리고 첨부된 도면으로 완성되는 본 명세서로부터 새로워 보이는 모든 특성은 그 자체로서, 또 그 작용의 일반적 양식 뿐만 아니라 그 기능으로 권리가 청구된다. 화장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실시예는 또한 실증적인 방식으로 주어질 것이다. 실시예에서, 별 다른 지시가 없다면, 모든 퍼센트 (percentage)는 무게 비율이고, 온도는 섭씨며, 압력은 대기압 (atm)이다.
실시예 1.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 활성이 있는 물질의 테스트방법을 위한 준비작업
I - 지방분해 활성의 측정을 위한 연구모델
지질단백리파제의 억제에 대한 연구는 세포가 없는 생체외 (in vitro) 모델에서 수행되는데, 이는 생체내 (in vivo)에서 직면하게되는 상황의 할 수 있는 가장 현명한 반영일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모델에서 사용된 LPL 소젖에서 얻은 것이고, 이러한 선택을 한 것은 이 효소가 그에 해당하는 인간의 효소와 97%의 유사성 (homology)을 보였기 때문이다 (A. Tatina et al, La sequence en acides amines de la lipoproteine lipase humaine a ete comparee a celle du lait bovin selon le programme BLAST 2 SEQUENCES, Blast 2 sequences-a new tool for comparing protein and nucleotide sequences,FEMS Microbil. Lett. 174, 247-250 (1999)). LPL 효소의 기질로서 트리올레인 (triolein)이 있는데, 트리올레인은 세 개의 올레산 (oleic acid) 연쇄기로 구성된 트리아실글리세롤의 일종이다 (주로 식품에서 발견되는 긴 연쇄기 지방산).
지방세포에 존재하는 지방산 분석에 대한 한 연구에서 올레산이 그 안에 대부분 차지하고 있으므로 올레산이 지질단백리파제의 가수분해 주산물임을 밝힌 이래로 (T. Raclot, et al, Selective release of human adipocyte fatty acids according to molecular structure,Biochem. J. 324, 911-915 (1997); Cholesteryl ester transfer activity in liver disease and cholestasis, and its relation with fatty acid composition of lipoprotein lipids,Clinica Chimica Acta 248, 157-174 (1994)), 트리올레인은 생체내에서 직면하게 되는 상황의 가장 대표적인 기질이다.
반응배지에 더 첨가되는 것이 있다:
- LPL의 트리아실글리세롤의 가수분해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LPL의 보조인자인 인간 유래의 아포지질단백 C-II (apoCII) (Posner et al, Kinetics of product inhibition and mechanisms of lipoprotein lipase activation by apolipoprotein CII,Biochemistry 26, 3771-3717 (1987)). ApoCII은 혈액의 트리아실글리세롤에 고정되고, 효소의 활성자리에서 기질을 인식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LPL 형태상의 변화가 유도될 수 있게한다 (Santamarina-Fojo S., Dugi K.A., Structure, function and role of lipoprotein lipase in lipoprotein metabolism,Current Opinion in Lipidology 5, 117-125 (1994)).
- 소 알부민 (bovine albumin)으로 구성되는 지방산 수용체. LPL은 그 반응생성물에 상당한 친화력을 가진 효소다. 분비된 지방산은 효소 주변에서 엉기어 효소가 지방산에 의하여 고립이 될 것이고, 따라서 더이상 기질이 접근할 수 없게된다. 지방산에 대해 매우 높은 친화력을 가진 알부민을 사용함으로써 LPL 효소 활성이 방해받지 않게 한다 (Bengtsson-Olivecrona G., Olivecrona T., Phospholipase activity of milk lipoprotein lipase,Methods in enzymology 197, 345-356 (1991)).
II - 지질단백리파제의 억제현상
LPL의 억제현상에 대한 연구는 본 발명에 따라 선호되는 바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 그 억제제와 함께 정해진 시간 동안 효소를 항온배양(incubation)시키는 한편, 트리올레인은 생체내의 상황과 유사하게 하기 위해 apoCII과 함께 항온배양시킨다. 그 다음, 트리올레인/ApoCII 혼합물을 억제제가 첨가된 효소 반응배지 또는 억제제가 첨가되지 않은 효소 반응배지에서 항온배양시킨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배지에 대하여 550 nm에서 비색측정이 되는 효소적인 측정기술에 의해서 NEFA를 측정한다 (NEFA-C kit).
억제제가 없는 상황에서의 LPL의 활성에 해당하는 비교표준이 설정된다. 효소 활성을 변화시킬수 있는 활성 생성물을 사용함으로써 550 nm의 흡광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즉, 비교표준에 대하여 반응배지에서 합성되는 지방산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날 것이다. 결과은 비교표준에 대한 퍼센트 비율로 나타낸다.
1 -기존의 지질단백리파제 억제제:
문헌에서 밝혀진 기존의 억제제가 (Korn E.D., Clearing factor, a heparin-activated lipoprotein lipase,J. Biol. Chem. 215, 1-14 (1955); Quinn D.M. et al, Lipoprotein lipase catalyzed hydrolysis of water-soluble p-nitrophenyl esters. Inhibition by apolipoprotein C-II,Biochemistry,21(26), 6872-6879 (1982); Greten H. et al, Comparison of assay methods for selective measurement of plasma lipase,Atherosclerosis 26, 563-572 (1977)) 본 연구모델에서 테스트가능한 것이었고, 하기 결과를 얻었다.
억제효과 (%)
억제제(초기 농도) 순수 생성물 1/100배 희석된 순수 생성물 1/10,000배 희석된 순수 생성물
황산 프로타민(protamine sulphate)(0.4%) 10.1% ±7.9 2.6% ±14.4 11.8 ±14.7
프로타민(2.4%) 11.2% ±6.6 9.6% ±5 8.5% ±8.7
나트륨 파이로포스페이트(6%) 15% ±12.6 13% ±12.5 0.4% ±8.3
실험한 농도에서 관찰된 억제제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그다지 높지 않고 효소의 기질과 경쟁함으로써 억제효과를 내는 것으로 문헌상에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문헌에서 인용된 억제제들은 LPL의 잠재적인 억제제로 생각되지 않는다.
2 -단백질 변성제 (Protein denaturing product)
단백질을 침전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탄닌 (tannin) 및 플라보노이드 (flavonoid)와 같은 변성제들에 대해 시험을 할 수 있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2와같다.
억제효과 (%)
억제제(초기 농도) 순수 생성물 1/100배 희석된 순수 생성물 1/10,000배 희석된 순수 생성물
탄닌산 (tannin acid) 98.3 ±12.4 11.4 ±10.39 0 ±9.8
포도 OPC* 99.3 ±17.5 0 ±1.5 0 ±5.6
* OPC = 일종의 폴리페놀인 Oligomers Procyanidolic
3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한 활성 생성물 선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잠재적인 활성소 (活性素), 즉 식물 추출물, 조류 (algae), 다당류 또는 단백질 등의 다양한 과에 중에서 강력한 LPL 억제 활성을 것을 선별하기 위해 약 백개의 분자에 대하여 선발 작업을 하였다. 모든 추출물은 III-1-b 항에서 기술된 프로토콜에 따란 제조하였다.
억제효과는 다양한 화합물의 억제활성을 비교하기 위해 두 가지 다른 농도에서 측정되었다.
하기 표 3은 얻은 몇가지 결과를 모은 것이다.
순수 추출물의 억제효과 (%) 1%로 희석된 추출물의 억제효과 (%)
푸쿠스 추출물 39 34
둘스 팔마리아 팔마타 추출물 49 19
밀 단백질 추출물 71 69
스피룰린 추출물 66 47
인동 추출물 79 21
레몬의 물-추출물* 53 12
세인트 존 워트 추출물 86 33
쌀 단백질 추출물 24 0
덩굴식물 추출물 98 50
감자 추출물 27 5
쉬이타케 추출물 47 41
민물연어 추출물 1.1 0.4
호박 추출물 30 60
레몬의 부틸렌 글리콜(60/40 w/w) 추출물** 6.2 5.9
* 물 95%에 일상에서 구입이 가능한 레몬분말 5%(w/w)
** 물-부틸렌 글리콜 (60/40 w/w) 혼합물 95%(w/w)에 일상에서 구입이 가능한 레몬분말 5%(w/w)
이 연구 결과, 남아메리카 유래의 매우 독특한 덩굴 식물 (운카리아 토멘토사)로부터 만든 특정 추출물이 높은 활성으로 선택되었다.
III - 선별된 활성 물질
1 -덩굴 식물, 운카리아 토멘토사 ( Uncaria tomentosa , Cat's Claw (캣츠클로):
a) 개요
캣츠클로는 루비아시에 (Rubiaceae) 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운카리아 토멘토사 (Uncaria tomentosa)라고 불리운다. 캣츠클로는 이파리를 기초로 해서 만들어진 발톱으로 아마존 숲의 나무에 붙어서 서식하는 덩쿨식물인데, 고양이의 발톱과 닮았다는 이유로 그러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 페루 및 중남미에서 재배된다.고도 400 내지 800 미터에서 습기찬 곳에 서식한다.
페루 인디안의 전통에서 이 덩쿨식물의 많은 효험을 볼 수 있다. 그 껍질 추출물을 위장병 또는 장탈, 그리고 다양한 염증 등에 사용한다. 그 식물을 달인 탕제는 여러가지 감염에 국소적으로 뿐만 아니라 전신적으로 사용 (topical and systemic use)된다. 그리고 이 식물에 질병의 방지 그리고 종양 및 암 치료 효과가 있다. 여성 월경 주기 및 피임에 대한 일반 효과도 보고된 바 있다 (Karl-Heinz Reinhard, Uncaria tomentosa (Willd.)D.C.: Cat's claw, Una de gato, or Saventaro,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5, N2, 143-151 (1999)).
운카리아 토멘토사는 여러가지 형태의 치료용 생산물로서 미국에도 있는데, 천식, 암, 질병 예방, 발열, 위궤양, 출혈, 염증, 류머티즘, 비뇨기관 염증, 피부 불순물 및 그 외 여러가지에 대해서 적용되고 있다 (Keplinger Klaus, et al, Uncaria tomentosa (Willd.) DC - Ethnomedicinal use and new pharmacological, toxicological and botanical results,Journal of Ethnopharmacology 64, 23-34 (1999)). 이 덩굴식물에 대한 많은 연구 작업이 지난 10년간 수행되었다.
자연 상에서, 운카리아 토멘토사는 두가지 화학적 형태로 존재하는데, 뿌리에 테트라시클릭 옥신돌 알카로이드 (tetracyclic oxindole alkaloids) (rynchophylline and isorhyncophylline) 또는 펜타시클릭 옥신돌 알카로이드 (pteropodine, isopteropodine, speciophylline, uncarine F, mitraphylline and isomitraphylline) 중 어느 쪽을 함유하느냐에 따라서 분류한다. 화학적 형태에 따라서, 운카리아 토멘토사의 특성은 동일하지 않다 (Laus Gerhard, Brossner Dagmar and Keplinger Klaus, Alkaloids of Peruvian Uncaria tomentosa,Phytochemistry 45, N4, 855-860 (1997)).
운카리아 토멘토사는 항염증성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성질은 식물 껍질에 존재하는 퀴노빅산 글리코시드 (quinovic acid glycosides)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캣츠클로 껍질의 물 추출물은 퍼옥시니트라이트 (peroxynitrite)에 의해서 유도되는 세포 독성의 억제를 가능하게 한다. NO의 생산을 감소시키는 NF-κB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유도성 니트릭옥사이드 신타아제 (nitric oxide synthase)의 발현을 억제한다. 이러한 항염증성 활성은 그 덩굴식물에 존재하는 모든 글리코시드의 조합에 의한 것이라 입증되어왔다 (Sandoval-Chacon M. et al, Anti-inflammatory actions of Cat's claw: the role of NF-KB,Aliment Pharmacol Ther 12, 1279-1289 (1998)).
이러한 항염증성 성질에 더하여, 보호성 항돌연변이 효과가 아메스 테스트 (the Ames test)에 의한 광학성돌연변이에 대하여 생체 내에서 입증되었다 (Karl-Heinz Reinhard, Uncaria tomentosa (Willd.)D.C.: Cat's claw, Una de gato, Saventaro,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5, N2, 143-151 (1999)).
펜타시클릭 옥신돌 알카로이드 (POA)형 운카리아 토멘토사는 과립구에 의한 식균작용 수준을 증가시킨다. 더욱이, 내피 세포를 거쳐 인간 B 및 T 림프구의 증식을 증가시킨다. POA는 생체 외 내피세포가 림프구의 증식을 조절하는 상등액으로인자를 방출하도록 유도한다. 운카리아 토멘토사는 림프구모세포 (lymphoblast) 및 림프아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 이러한 알카로이드는 인간 면역반응의 조절자로서 작용한다 (Wurm Martin, et al, Pentacyclic Oxindole Alkaloids form Uncaria tomentosa induce human endothelial cells to release a lymphocyte-proliferation-regulating fator,Planta Medica 64, 701-704 (1998)).
운카리아 토멘토사에 존재하는 스테로이드 및 퀴노빅산의 글리코시드는 20-60 mg/ml의 최소 억제농도 값에서 수포성 구내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고 있다. 항백혈병 활성은 루케믹 (leukaemic) HL60 및 U937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POA에 의하여 증명되어 왔다 (Keplinger Klaus, et al, Uncaria tomentosa (Willd.) DC - Ethnomedicinal use and new pharmacological, toxicological and botanical results,Journal of Ethnopharmacology 64, 23-34 (1999)).
운카리아 토멘토사는 또한 대식세포에 의해 인터루킨 (interleukin) IL1 및 IL6의 생성을 자극한다. 그러므로 면역자극제 역할도 가지고 있다 (Lemaire I. et al, Stimulation of interleukin-1 and -6 production in alveolar macrophages by the neotropical liana, Uncaria tomentosa (una de gato),Journal of Ethnopharmacology 64, 109-115 (1999)).
b)운카리아 토멘토사의 항-지질단백리파제 활성:
b1-a) 페루산 덩굴식물 운카리아 토멘토사의 물-알코올 (aqueousalcohol) 추출물의 제조
알코올 추출물은 구입할 수 있는 페루산 덩굴식물 운카리아 토멘토사의 껍질 및 뿌리로부터 하기 방식으로 제조한다:
50 g의 나무껍질 또는 30 g의 식물 전체를 매우 미세하게 빻아서 가루로 만든다.
500 ml의 물-에탄올 용액 (70% v/v 에탄올)에 가루로 만든 것을 첨가한다. 섭씨 65도에서 열을 가하여 두 시간 동안 리플럭스 (reflux) 시킨다. 그런 다음, 알코올은 증발시키고, 수용액에 남은 침전물은 원심분리로 제거한다. 얻은 상등액은 그대로 사용되거나, 선호되는 바, 동결건조될 수 있으며, 하기 b2 항목에 따른 본 발명에 따라, 특히 화장품 조성물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건조 덩굴식물 추출물이 된다.
b1-b) 폐루산 덩굴식물 운카리아 토멘토사의 물 추출물의 제조
b1-a 항목에서 설명된 추출법을 시행하는 바, 단, 가열할 필요없이 물에서 추출하는데, 예를 들면 15 내지 35℃의 온도에서, 유리하게는 상온에서 한다.
불용성 물질은 원심분리로 제거하고, 수용액 형태로 얻은 상등액은 그 자체로, 특히 화장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b1-c) 폐루산 덩굴식물 운카리아 토멘토사의 물-글리콜 (aqueous glycol) 추출물의 제조
b1-a 항목에서 설명된 추출법을 시행하는 바, 단, 물/부틸렌 글리콜 혼합물에서, 80/20 내지 20/80의 범위에 해당하는 비율로, 냉각 상태에서 추출을 시행한다. 또한, 가열할 필요없이 물/프로필렌 글리콜 혼합물을, 예를 들면 섭씨 15 내지 30도, 유리하게는 상온에서, 80/20 내지 20/80의 범위에 해당하는 비율로 상기 프로토콜 (protocol)이 적용되거나, 심지어 가열할 필요없이 글리콜을, 예를 들어 섭씨 15 내지 30도, 유리하게는 상온에서 80/20 내지 20/80의 범위에 해당하는 비율로 상기 프로토콜이 적용된다.
불용성 물질은 원심분리로 제거하고, 물-글리콜성 상등액은 그 자체로, 특히 화장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b2) Wako의 상용 NEFA-C 측정 키트 (Oxoid, 69571 Dardilly Cedex, France)를 이용한 비에스테르화된 지방산, 즉 NEFA의 측정
0.2% 나트륨 메틸파라벤 (sodium methylparaben) 및 15%의 부틸렌글리콜을 함유하는 2% 덩굴식물 추출물 (물 100g 당 b1-a 항목에 따라 제조된 동결건조물 2g)의 다양한 농도에서의 억제활성에 대한 연구를 네번 수행했다. 얻어진 결과는 하기 표 4 및 도면 1에 나타냈다.
2% 운카리아 토멘토사 추출물의 사용 농도 5% 3% 2% 1% 0.55% 0.25%
억제효과 (%) 99.7 83.2 64.3 12.2 0 0
표준편차 (%) 36.3 10.7 8.4 4.0 1.8 1.7
표 4 및 도면 1로부터 선택된 덩굴식물 추출물이 지질단백리파제 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결과를 얻었고, 그 활성이 강력하고 문헌상에 인용된 '잠재적'억제제와는 대조적으로 '투여량-의존성 (dose dependent)' 이다.
결론적으로, 덩굴식물 추출물은 매우 강력한 활성물질로서 슬리밍 제제 분야에서 상당히 혁신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b3) 기체상 크로마토그래피, 즉 GPC를 이용한 NEFA의 측정
NEFA-C 키트를 이용한 운카리아 토멘토사로 얻은 억제현상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LPL 반응 배지에서 분비된 지방산을 GPC로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효소 반응 완결 단계에서 올레산 (oleic acid)을 정량화하는 올레산 측정법을 개발하였다.
올레산은 에탄올로 반응배지에서 추출한 후, 상용 컬럼 (DBJW scientific : DB FFAP, 길이 15 m, 내경 0.32 mm, 두께 0.25 ㎛ in splitless mode)에 주입한다. 주입기 (injector) 및 측정기 (detector)의 온도는 280℃다. 온도 프로그래밍 : 1분 동안 50℃로 시작하여, 이 후 1 분당 40℃ 씩 200℃까지 올린 후, 3 분 동안 분당 15℃ 씩 250℃까지 올린다. 이러한 조건에서 올레산의 retention time은 7.74 분이다.
몇 가지 참고 억제제, 즉 나트륨 피로포스페이트 (Sodium pyrophosphate) 및 프로타민 설페이트 (Protamine sulphate), 그리고 변성제로는 탄닌산에 대하여 GPC를 이용한 상기 기술로 재검사하였다.
얻은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억제효과 (%)
억제제 또는 변성제(초기농도) 순수 생성물 1/100로 희석된 순수 생성물 1/10,000로 희석된 순수 생성물
나트륨 피로포스페이트(6%) 35.1 ±11.1 30.4 ±4.0 47.4 ±10.4
프로타민 설페이트(0.4%) 17.9 ±17.5 5.0 ±9.6 27.7 ±2.9
탄닌산 100 ±1.8 44.8 ±10.6 0 ±3.8
NEFA-C 키트로 NEFA를 측정하는 대상이며, 0.2%의 나트륨 메틸파라벤 및 15%의 부틸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추출물인 운카리아 토멘토사의 2% 추출물, 즉 100 g의 물에 2 g 포함된 것을 다양한 농도로 LPL에 대하여 네번 검사하였다. 분비된 지방산은 GPC로 분석하였다. 얻은 결과는 표 6 및 도면 2에 표시하였다.
2% 운카리아 토멘토사 추출물의 사용 농도 5% 3% 2% 1% 0.55% 0.25%
억제효과 (%) 96.8 83.6 64.8 24.4 13 6.2
표준편차 (%) 6.2 2.5 5.2 1.5 0.1 0.1
GPC에 의한 분석은 측정 키트에 의한 결과와 일치한다.
GPC는 적은 퍼센트 농도의 억제제에 대하여 민감도가 높다. 사실상, 참조 억제제 및 탄닌산에 대하여 얻은 억제효과가 더 높다.
반면, 2 내지 5%의 농도를 사용하였을 때 GPC 또는 키트에 의하여 덩굴식물로 얻은 억제효과는 정확히 일치한다. 2% 이하일 때는 GPC가 검출할 수 있는 것을 키트가 검출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덩굴식물 운카리안 토멘토사가 지질단백리파제의 매우 강력한 억제활성 생성물이라는 사실을 확인시켜준다.
2) LPL 억제를 위해 선택된 다른 활성 생성물 : 세인트 존 워트 (St. John'swort) 추출물
2.1) 세인트 존 워트 추출물의 제조
하기 절차에 따라, 상용가능한 식물인 세인트 존 워트의 꽃머리 (꽃 및 봉오리)로부터 제조한다 :
2.1-a) 세인트 존 워트의 물-알코올 추출물의 제조
50 g의 꽃머리를 미세하게 갈아둔다.
500 ml의 물-에탄올 용액 (70% v/v 에탄올)에 상기 갈아놓은 것을 첨가한다. 65℃로 열을 가하여 2 시간 동안 리플럭스 시킨다. 그런 다음, 알코올은 증발시키고 수용액 상에 남은 침전물은 원심분리로 제거한다. 그렇게 얻은 상등액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선호되는 바 동결건조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하기 2.2 항목에 따른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특히 화장품 조성물 제조용으로 건조된 세인트 존 워트 추출물이 만들어진다.
2.1-b) 세인트 존 워트의 물 추출물의 제조
2.1-a 항목에 설명된 추출법을 시행하는 바, 단, 가열할 필요없이 물에서 추출하는데, 예를 들면 15 내지 35℃의 온도에서, 유리하게는 상온에서 한다.
불용성 물질은 원심분리로 제거하고 수용액 형태로 얻은 상등액은 선호되는 바 그 자체로, 특히 화장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2.1-c) 세인트 존 워트의 물-글리콜 추출물의 제조
2.1-a 항목에서 설명된 추출법을 시행하는 바, 단, 물/부틸렌 글리콜 혼합물에서, 80/20 내지 20/80의 범위에 해당하는 비율로, 냉각 상태에서 추출을 시행한다. 또한, 가열할 필요없이 물/프로필렌 글리콜 혼합물을, 예를 들면 섭씨 15 내지 30도, 유리하게는 상온에서, 80/20 내지 20/80의 범위에 해당하는 비율로 상기 프로토콜 (protocol)이 적용되거나, 심지어 가열할 필요없이 글리콜을, 예를 들어 섭씨 15 내지 30도, 유리하게는 상온에서 80/20 내지 20/80의 범위에 해당하는 비율로 상기 프로토콜이 적용된다.
불용성 물질은 원심분리로 제거하고, 물-글리콜성 상등액은 그 자체로, 특히 화장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2.2) Wako의 상용 NEFA-C 측정 키트 (Oxoid, 69571 Dardilly Cedex, France)를 이용한 비에스테르화된 지방산, 즉 NEFA의 측정
2% 세인트 존 워트 추출물의 LPL 억제활성에 대한 연구를 다양한 농도에서 네번 수행하였다. 미세하게 갈아놓은 2 g의 꽃머리를 98 g의 물-글리콜 혼합물 (40/60 = 물/글리콜 (w/w))에서 추출한 다음, 불용성 물질을 원심분리로 제거하고, 얻은 물-글리콜 상등액이 LPL 억제 활성용으로 사용되는 "2% 세인트 존 워트 추출물"이 된다. 얻은 결과는 하기 표 7에 표시하였다.
2% 세인트 존 워트 추출물의 사용 농도 5% 3% 2% 1% 0.5%
억제효과 및 표준편차 (%) 96.5±0.7 90.9±0.8 76.9±3.8 9.5±1.7 5.7±0.8
얻은 억제효과의 백분율은 표 7에 열거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b2) 항목에서 언급한 운카리아 토멘토사의 측정법에서 처럼 Wako의 상용 NEFA-C 측정 키트를 이용한 NEFA의 측정에 의한 값들이다.
세인트 존 워트 추출물 및 운카리아 토멘토사 추출물로 얻은 각각의 억제효과의 각각의 결과가 도면 3의 주제다.
도면 3으로부터 연구 농도에서 LPL의 억제효과의 결과는 선별된 두개의 추출물에 대하여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덩굴식물 및 세인트 존 워트의 추출물의 LPL-억제활성이 높고 투여량-의존성이라는 것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지질단백리파제의 억제효과 모델에서의 활성물질 선별작업은 투여량-의존적으로 효소를 억제하는 활성물질이 선별될 수 있게 한다.
선택된 활성물질 중에서, 두개의 추출물은 주목할 만한 점을 보여준다: 두 식물, 즉 1)페루산 덩굴식물인 운카리아 토멘토사 및 2)세인트 존 워트의 물, 글리콜 또는 알코올 추출물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특히 기대하지 않은 기술적 이점을 가져왔는 바, 이 기술적 이점은 관련 전문가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것이고, 지질단백리파제, 즉 LPL에 대하여 활성이 있는 물질을 선별할 수 있게하는 새로운 테스트 방법이 제공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테스트 방법에 따라 선택된 활성산물, 특히 슬리밍, 지방분해, 피부 색조에의 적용 및 기타 등등의 화장품용 덩굴식물 및 세인트 존 워트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활성산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제물 (cosmetic formulation) 및 슬리밍 크림으로서의 사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테스트 방법에 의한 약학적 활성산물의 선별법 (selection)을 포함하는 바, 그 생성물이 화장품 활성이라는 맥락에서 선별된 것들과 같을 수도 있고 아닐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러한 활성산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제물 (pharmaceutical formulation) 및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이상 증상 (pathology)을 치료하는 맥락에서 이들의 사용법을 포함한다.
이제 화장품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조제법 (formulation)의 실시예를 하기 설명한다.
화장품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조제법의 실시예
실시예 2 :
oil-in-water형 화장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조제물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생산물의 사용법.
조제물 2a:
A 물부틸렌글리콜글리세린디히드록시세틸 인산 나트륨(sodium dihydroxycetyl phosphate),이소프로필 히드록시세틸 에테르(isopropyl hydroxycetyl ether) qsp 100232
B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SE트리이소노나노인 (triisononanoine)옥틸 코코에이트 (octyl cocoate) 1456
C 부틸렌글리콜,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프로필파라벤,5.5로 pH 조절 2
D 본 발명의 생산물 0.01 - 30%
A상 및 B상은 각각 75℃로 가열한 후, 충분히 세게 휘저으면서 B를 A에 첨가하고, C, D 순서로 첨가하면, 냉각되는 동안 크림 (cream)이 형성된다.
조제물 2b:
A 물부틸렌글리콜글리세린폴리아크릴아미드, 이소파라핀, 로레트-7 (laureth-7) qsp 100232.8
B 부틸렌글리콜, 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부틸렌글리콜 220.5
C 본 발명의 생산물 0.01 - 30%
A상을 75℃로 가열한 후, 휘저으면서 B 그리고 C 순서로 A에 첨가하면, 냉각하면서 그 조제물이 제조된다.
조제물 2c:
A 카르보머 (Carbomer)프로필렌글리콜글리세롤물 0.5035qsp 100
B 옥틸 코코에이트비스아볼롤 (bisabolol)디메티콘 (dimethicone) 50.300.30
C 수산화나트륨 1.60
D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0.50
E 향료 (perfume) 0.30
F 본 발명의 생산물 0.01-30%
A상 및 B상은 각각 75℃로 가열한 후, 충분히 세게 휘저으면서 B를 A에 첨가하고, C, D, E, F 순서로 순차적으로 첨가하면, 냉각되는 동안 크림 (cream)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
water-in-oil형 조제물에서 본 발명의 "지방분해성" 산물의 사용법.
A PEG 30-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ic triglycerides)세티아릴 옥타노에이트(cetearyl octanoate)디부틸 아디페이트 (dibutyl adipate)포도씨 기름조조바 기름 (Jojoba oil)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에틸파라벤 33431.51.50.5
B 글리세린부틸렌글리콜황산마그네슘EDTA물 330.50.05qsp 100
C 시클로메티콘 (cyclomethicone)디메티콘 11
D 향료 0.3
E 본 발명의 생산물 0.01-30%
A상 및 B상을 각각 75℃로 가열한 후, 강하게 휘저어 주면서 B를 A에 첨가한다; 그런 다음 C, D, E 순서로 순차적으로 첨가하면, 냉각하는 동안 크림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4:
세안제형 (face cleanser type) 조제물에서 상기 "지방분해성" 산물의 사용법.
A 잔탄검 (Xantahne gum)물 0.8qsp 100
B 부틸렌글리콜, 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0.50.5
C 시트르산 (citric acid) 0.8
D 황산로레트나트륨(sodium laureth sulphate) 40.0
E 본 발명의 생산물 0.01-30%
A상 및 B상은 각각 상온에서 준비한 후, B를 A에 저으면서 첨가한다; C, D, E를 차례로 부드럽게 저으면서 첨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5:
무수형 (anhydrous type)의 조제물에서 본 발명의 생산물의 사용법.
A 미네랄 왁스 (mineral wax)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isostearyl isostearate)프로필렌글리콜 디펠라고네이트(propylene glycol dipelargonate)프로필렌글리콜 이소스테아레이트밀랍/PEG 8수소화된 야자열매유수소화된 야자나무 글리세라이드 기름(hydrogenated palm glycerides oil)라놀린유 (lanolin oil)참깨유 (sesame oil)세틸 락테이트 (Cetyl lactate)미네랄유, 라놀린 알코올 17.031.52.61.73.03.43.41.71.73.0
B 캐스터유건조된 형태의 본 발명의 산물 qsp 1000.001 - 5%
A상 및 B상을 각각 80℃로 가열한 후, B를 A에 저어주면서 첨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6:
수성 젤 조제물 (aqueous gel formulation) (face gels, body gels, 등등)에서 본 발명의 생산물의 사용법.
A 물카르복시비닐릭 폴리머 (또는 카르보머)부틸렌글리콜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에틸파라벤 qsp 1000.5150.5
B 본 발명의 생산물 0.01 - 30%
A상은 모든 성분을 첨가하여 모두 80℃로 가열하여 균질화된 혼합물을 얻음으로써 제조된다. 그런 후, B를 A에 강하게 휘저으면서 첨가하면, 냉각되는 동안 젤이 형성된다.
실시예 7 - 무해성 검사 (Innocuousness tests)
본 발명의 생산물을 함유하는 제조물의 화장품으로서의 수용성 평가
독성 검사를 보유한 두가지 화합물, 즉 덩굴식물 추출물 및 세인트 존 워트 추출물에 대해서 순수한 형태로 사용하여 시행하였는데, 래빗 (rabbit)에서 안구 검사, 랫 (rat)에서 단일 경구 투약에 의한 비정상 독성의 부재에 관한 연구, 그리고 기니피그 (guinea pig)에서 민감성 연구 등으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1. 래빗에서 일차 피부 자극의 평가 :
<<피부에 대한 급성 자극성/부식성 효과>>와 관련하여 OECD에서 추천하는 방법에 따라 희석하지 않고 세마리의 래빗 피부에 상기 설명된 제조물 0.5 ml을 발랐다.
상기 생산물은 21/02/82의 JORF ("Journal Officiel de la Republique Francaise", the " Official Journal of the French Republic") 에서 출간된 1/2/1982의 의결에서 정의된 표준에 따라 분류되었다.
이 검사 결과, 보유하고 있는 상기 제조물이 피부에 대해 비자극성으로 분류되었다.
2. 래빗에서 안구 자극에 대한 평가 :
<<피부에 대한 급성 자극성/부식성 효과>>와 관련하여 1987년 2월 24차 OECD 제 405호의 지침에서 추천하는 방법에 따라 상기 설명된 제조물을 순수한 형태로 한번에 서서히 0.1ml의 양을 세마리의 토끼 눈에 주입하였다.
이 검사 결과, 상기 제조물은 순수하게 사용될 때, 지침 91/326 EEC의 관점에서 눈에 대해 비자극성으로 간주될 수 있었다.
3. 랫에서 단일 경구투여에 의한 이상적 독성의 부재 (absence)에 대한 검사
<<피부에 대한 급성 자극성/부식성 효과>>와 관련하여 1987년 2월 24차 OECD 제 401호의 지침에서 추천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제조물을 다섯 마리의 암컷 및 다섯 마리의 수컷 쥐에게 체중에 대하여 5 g/Kg의 양을 한번에 경구투여하였다.
LD0 및 LD50은 5,000 mg/Kg 이상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검사된 제조물은 섭취시 위험한 제조물에 포함되지 않는다.
4. 기니피그에서 잠재된 피부 민감성 평가
OECD의 제406호 지침과 일치하는 프로토콜인 Magusson 및 Kligmann의 최대화 테스트 방법을 상기 제조물에 적용하였다.
본 제조물은 피부와의 접촉에서 비민감성으로 분류되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방분해 방면에 잠재적 활성을 가진 물질을 테스트하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지방의 축적을 감소 및 지연시키며 재흡수될 수 있게 하고 슬리밍 활성 및 혈액 미소순환을 증가시키고 피부 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지방분해 반응 분야에서 활성이 있는 물질을 가장 적은 단계를 거쳐서 찾는 방법을 제시하며 더 나아가 지방분해성 활성, 슬리밍 활성 또는 피부 색조의 향상에 관련한 활성을 이용하는 신규 화장품용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는 테스트 방법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화장품, 제약, 농공업 및 식품산업상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8)

  1. 하기 단계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을 테스트하는 방법 :
    a) 적어도 하나의 트리아실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기질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의 기질을 지질단백 리파제의 보조인자 (cofactor) 존재하에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기질 및 지질단백리파제와 함께 트리아실글리세롤의 지방산의 적어도 한 부분에서 방출이 일어날 만큼 충분한 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단계;
    c) 상기 잠재적으로 활성있는 기질의 활성 하에서, 지질단백리파제의 활성에 의해 발생하는 지방산 방출이 억제되는 정도를 측정하고, 그 활성물질이 없는 상황에서 얻은 결과 또는 기존의 알려진 억제제를 이용하여 얻은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그 억제 능력을 평가하는 단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단백리파제가 아포지질단백 C-II, 바람직하게는 인간 유래의 아포지질단백 C-II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 것으로 구성되어지는 상기 보조인자와 함께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을 테스트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단백리파제의 효소 활성 저해를 방지하는 지방산-수용체 물질 또는 지방산-포접 물질의 존재하에서 지질단백질이 기질과 접촉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을 테스트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수용체 물질 또는 지방산-포접 물질이 소 또는 인간의 알부민 (bovine or human albumin)을 포함하거나 이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을 테스트하는 방법.
  5. 제 1 내지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단백리파제가 소의 젖 또는 박테리아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을 테스트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실글리세롤이 긴 사슬 지방산으로부터 얻어지는 아실 부분(acyl part)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을 테스트하는 방법. 단, 상기 긴 사슬 지방산은 직선의 또는 가지형의 사슬안에 12 내지 30개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소 원자를 포함된 것이 선호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긴사슬 지방산은 식품에 주로 존재하는 것이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실글리세롤이 트리올레인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을 테스트하는 방법.
  8. 잠재적으로 활성있는 물질에 의한 지질단백리파제의 억제능력이 하기 단계들로 측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우선, 지질단백리파제를 억제제로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을 첨가한 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항온반응 (incubation)하고,
    b) 트리아실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기질을 바람직하기로는 아포지질단백 C-II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 것으로 구성된 지질단백리파제 보조인자의 존재하에서 항온반응하고,
    c) 트리아실글리세롤/지질단백리파제 보조인자 혼합물을 지질단백리파제의 억제능력을 테스트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과 함께 또는 상기 물질이 없이 효소 지질단백리파제의 존재하에서 항온반응하고,
    d) 상기 반응이 끝난 후, 곧바로 에스테르화가 안된 지방산의 반응배지 (reaction medium)상에서 종래의 알려진 방법으로 측정을 하고,
    e) 트리아실글리세롤의 지방산 방출 억제능력, 즉 테스트대상인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의 존재하에서 지질단백리파제의 활성으로부터 나온 비에스테르화된 지방산을 상기 잠재적 활성물질의 부존재하에서 얻은 결과 또는 참조 (reference)로 작용하는 알려진 억제제의 존재하에서 얻은 결과와 비교한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효소적 방법에 의해 측정되어지는 파장에서 비색 측정법 (colorimetry)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비에스테르화된 지방산의 측정은 효소적 방법으로 반응배지상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파장에서 얻은 광학밀도 (optical density, OD)의 하한 기준선은 대조구(control) 또는 참조 억제제 (reference inhibitor)에 대해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을 테스트하는 방법.
  10. 제 8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비에스테르화된 지방산의 측정은 효소적 방법으로 반응배지상에서 이루어진 뒤 550 nm에서 비색측정되고, 억제현상은 반응배지에서 합성된 지방산의 감소를 나타내는 550 nm에서의 광학밀도로 측정되고, 대조구 또는 참조 억제제와 비교하여 상기 테스트대상 물질에 의한 억제현상이 현저한지아닌지를 관찰함으로써 상기 물질을 양성 또는 음성 활성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을 테스트하는 방법.
  11. 제 1 또는 제 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은 푸쿠스 (fucus) 추출물; 둘세 팔마리아 말마타 (dulse palmaria palmata) 추출물; 밀 단백질 추출물; 스피룰린 (spiruline) 추출물; 인동 (honeysuckle) 추출물; 세인트 존 워트 (St. John's wort) 추출물; 쌀 단백질 추출물; 덩굴식물 (liana) 추출물; 감자 추출물; 쉬이타케 (shiitake) 추출물; 민물 연어 추출물; 호박 추출물; 그리고 레몬 추출물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을 테스트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수성 (aqueous) 또는 물 추출물, 물-알코올 추출물, 물-글리콜 추출물, 물-에탄올 추출물, 물-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 물-부틸렌글리콜 추출물,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을 테스트하는 방법.
  13. 제 1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은 덩굴식물,특히 덩굴식물 운카리아 토멘토사의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을 테스트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이 세인트 존 워트 (St. John's wort)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을 테스트하는 방법.
  15.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어떤 물질이 상기 억제효과 테스트로부터 그의 지방분해성 활성, 슬리밍 활성이 밝혀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을 테스트하는 방법.
  16. 화장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거나 또는 지방분해반응에 의해서 지방축적물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약제를 제조하기 위하거나 또는 슬리밍 (slimming)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항 또는 제 8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을 테스트하는 방법의 사용.
  17. 어떤 대상에 적용된 슬리밍 처리 또는 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제 1항 또는 제 8항의 어는 한 항에 따른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을 테스트하는 방법의 사용.
  18.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의 그 활성이 제 1 또는 제 8항의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테스트 방법에 의해서 평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활성이 있는 물질.
  19. 제 1 또는 제 8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그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의 활성이 평가된 물질이 지방 축적의 감소, 지연, 또는 재흡수용, 슬리밍 활성용, 혈액 미소순환 증강용, 피부 색조 또는 외관의 향상용, 특히 <<오렌지 껍질>> 모양의 감소용 화장품 조성물에서 지방분해성 제제 중의 하나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물질의 사용.
  20. 제 1 또는 제 8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그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의 활성이 평가된 물질이 지방축적 과다에 따른 이상 증상을 치료할 수 있는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지방분해성 제제 중의 하나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물질의 사용.
  21. 화장품 조성물에서 지방분해성 또는 슬리밍 활성, 즉 혈액 미소순환 증강용, 피부외관 또는 색조 향상용, 특히 <<오렌지 껍질>> 모양 감소용 활성소 중의 하나로서 사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식물 운카리아 토멘토사의 추출물의 사용.
  22. 화장품 조성물에서 지방분해성 또는 슬리밍 활성, 즉 혈액 미소순환 증강용, 피부외관 또는 색조 향상용, 특히 <<오렌지 껍질>> 모양 감소용 활성소(活性素) 중의 하나로서 사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인트 존 워트의 추출물의 사용.
  23. 제 1 또는 제 8항의 어는 한 항에 따른 테스트 방법에 의하여 그 활성이 측정된 지방분해성 또는 슬리밍 활성을 가진 활성물질이 지방분해성 또는 슬리밍 활성을 가진 활성제 중의 하나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24. 지방분해성 또는 슬리밍 활성을 가지거나 혈액 미소순환을 증가시키고 피부의 외관 또는 색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활성제, 특히 <<오렌지 껍질>>과 같은 외관을 축소시키기 위한 활성화 제제의 하나로서 덩굴식물 운카리아 토멘토사 추출물의 효과적인 양을 화장품용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25. 지방분해성 또는 슬리밍 활성을 가지거나 혈액 미소순환을 증가시키고 피부의 외관 또는 색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활성제, 특히 <<오렌지 껍질>>과 같은 외관을 축소시키기 위한 활성화 제제의 하나로서 세인트 존 워트 추출물의 효과적인 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26. 제 1 또는 제 8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테스트 방법에 의하여 그 활성이 측정된 지방분해성 또는 슬리밍 활성을 가진 활성물질을 지방분해성 또는 슬리밍 활성을 가진 활성화 제제의 하나로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이 국소적으로 (topically) 피부에 처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건강관리 (cosmetic care) 방법.
  27. 덩굴식물 운카리아 토멘토사의 추출물을 지방분해성 또는 슬리밍 활성을 가진 활성화 제제의 하나로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이 국소적으로 피부에 처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건강관리 방법.
  28. 세인트 존 워트의 추출물을 지방분해성 또는 슬리밍 활성을 가진 활성화 제제의 하나로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이 국소적으로 피부에 처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건강관리 방법.
KR10-2001-0040253A 2001-05-03 2001-07-06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 활성이 있는 물질의 테스트방법 및 화장품용으로서의 이용 KR100444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05908 2001-05-03
FR0105908A FR2824334B1 (fr) 2001-05-03 2001-05-03 Procede pour tester une substance eventuellement active dans le domaine de la lipolyse et son utilisation principalement cosmetiqu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252A Division KR100483194B1 (ko) 2004-01-20 2004-01-20 덩굴식물 운카리아 토멘토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지방분해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883A true KR20020084883A (ko) 2002-11-13
KR100444933B1 KR100444933B1 (ko) 2004-08-18

Family

ID=886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253A KR100444933B1 (ko) 2001-05-03 2001-07-06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 활성이 있는 물질의 테스트방법 및 화장품용으로서의 이용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030086949A1 (ko)
JP (2) JP4135859B2 (ko)
KR (1) KR100444933B1 (ko)
FR (1) FR28243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6756B2 (en) * 2003-09-10 2008-08-26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the recovery of a phytolipid composition
WO2005089783A1 (ja) * 2004-03-22 2005-09-29 Shiseido Co., Ltd. リポプロテインリパーゼ活性抑制剤
BRPI0403688A (pt) * 2004-09-01 2006-05-02 Herbarium Lab Botan Ltda composto fitoterápico tópico para tratamento de herpes
FR2892635B1 (fr) 2005-10-28 2012-11-09 Engelhard Lyon Substance pour restaurer une co-expression et une interaction normales entre les proteines lox et nrage
WO2009000935A1 (en) 2007-06-28 2008-12-31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Slimming composition
FR2941151B1 (fr) * 2009-01-22 2012-05-11 Caster Extrait de lentinus pour son action sur la cellulite et les amas graisseux.
FR2994387B1 (fr) 2012-08-13 2016-07-29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Ingredient hydratant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FR3003758B1 (fr) 2013-03-27 2015-07-17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d'un extrait de polygonum bistorta
CN103383382A (zh) * 2013-06-28 2013-11-06 上海相宜本草化妆品股份有限公司 用于检测化妆品中尼泊金酯类及其复配防腐剂的方法
FR3009786B1 (fr) 2013-08-23 2017-08-11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d'un extrait de quassia amara
FR3010314B1 (fr) 2013-09-12 2017-05-05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d'un extrait de tapirira guyanensis
KR101649335B1 (ko) * 2014-12-05 2016-08-24 박창동 발목관절 보조기
FR3106756B1 (fr) 2020-01-30 2023-12-22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Utilisation cosmétique, nutraceutique ou dermatologique d'un extrait deTamarindus indicaL. et / ou d’une composition le comprenant
FR3110415B1 (fr) 2020-05-20 2023-07-14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d’un extrait d’adansonia digitatapour maintenir et / ou diminuer la communication bacterienne
FR3117340B1 (fr) 2020-12-15 2024-01-05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cosmétique, nutraceutique ou dermatologique d’une souche deLactobacillus crispatus et / ou d’une composition la comprenant
FR3133312A1 (fr) 2022-03-08 2023-09-15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cosmétique ou dermatologique de Sphingomonas glacialis et/ou d’une composition la comprenant
WO2023180661A1 (fr) 2022-03-23 2023-09-28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d'un extrait de dendrobium officinale pour maintenir et/ou augmenter l'epaisseur de la peau
CN116831962A (zh) 2022-03-23 2023-10-03 巴斯夫美容护理法国公司 铁皮石斛提取物用于维持和/或增加皮肤厚度的化妆或皮肤病学用途
FR3134010A1 (fr) 2022-03-30 2023-10-06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cosmétique, nutraceutique et/ou dermatologique d’une souche de Lactobacillus crispatus et/ou d’une composition la comprenant
FR3138039A1 (fr) 2022-07-21 2024-01-26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cosmétique ou dermatologique d’un extrait de Pyracantha fortuneana
WO2024008647A1 (fr) 2022-07-04 2024-01-11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cosmétique ou dermatologique d'un extrait de pyracantha fortuneana
WO2024023440A1 (fr) 2022-07-26 2024-02-01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Nouvelle utilisa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d'un extrait de gentiana crassicaulis
FR3138615A1 (fr) 2022-08-02 2024-02-09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Nouvelle utilisation cosmétique ou dermatologique d’un extrait de Gentiana crassicaulis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1175A (en) * 1964-07-18 1969-03-04 Amano Pharma Co Lt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lipoprotein lipase by cultivating organisms
FR1484662A (fr) 1966-02-09 1967-06-16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de la peau, notamment sous forme de masque
US3875007A (en) * 1972-11-03 1975-04-01 Amano Pharma Co Ltd Lipid metabolism improving and anti-atheromatic agent
GB1530238A (en) * 1976-05-04 1978-10-25 Du Pont Method of determining lipase activity using a triglyceride reag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at reagent
GB2022593B (en) * 1978-05-15 1982-08-18 Amano Pharma Co Ltd Acyl-coa synthetase
DK151634C (da) * 1978-09-29 1988-06-20 Mitsubishi Chem Ind Fremgangsmaade til rensning af langkaedet acyl-coenzym-a-syntetase
US4218443A (en) * 1979-01-15 1980-08-19 Hoffmann-La Roche Inc. Polyether ionophores as antiobesity and hypotriglyceridemic agents
JPS55108297A (en) * 1979-02-13 1980-08-20 Toyobo Co Ltd Determining method of free fatty acid
ATE13012T1 (de) 1980-10-07 1985-05-15 Klaus Keplinger Extract aus uncaria tomentosa (willd.) dc. zur therapeutischen verwendung.
US4603106A (en) * 1982-02-22 1986-07-29 The Rockefeller University Lipoprotein lipase suppression by endotoxin-induced mediator (shock assay)
EP0609722A1 (en) 1981-09-08 1994-08-10 The Rockefeller University An in vitro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invasive stimuli in mammals
JPH0812564B2 (ja) 1985-04-05 1996-02-07 三菱電機株式会社 搬送車制御装置
JP2693786B2 (ja) * 1988-08-09 1997-12-24 ユニチカ株式会社 耐熱性のリポプロテインリパーゼとその製造法及びそれを用いた定量用試薬
LU87390A1 (fr) 1988-11-17 1990-06-12 Oreal Utilisation du nicotinate d'alpha-tocopherol et/ou du nicotinate d'hexyle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a action amincissante
BE1004405A3 (fr) 1990-07-02 1992-11-17 Raquet Jean Paul Procede de fabrication de produits de soins du corps.
EP0474109A1 (de) * 1990-09-03 1992-03-11 Richter Gedeon Vegyeszeti Gyar R.T. Neue 5-Benzyl-substituierte Benzimidazolin-2-Thion-Deriva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FR2712811B1 (fr) 1993-11-26 1996-01-05 Oreal Procédé pour lutter contre l'adiposite et compositions utilisables à cet effet.
JPH0812564A (ja) * 1994-06-29 1996-01-16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US5955072A (en) * 1994-07-13 1999-09-21 Sankyo Company, Limited Expression systems utilizing autolyzing fusion proteins and a reducing polypeptide
JPH08127524A (ja) 1994-10-31 1996-05-21 Nonogawa Shoji Kk 皮膚外用剤
JPH09501186A (ja) * 1994-11-12 1997-02-04 株式会社エルジ化学 コレステリルエステル運搬蛋白質阻害ペプチドおよびこれを含む動脈硬化症のための予防および治療剤
JPH0959169A (ja) 1995-06-15 1997-03-04 Advanced Sukin Res Kenkyusho:Kk メラニン生成抑制剤
JPH0930949A (ja) 1995-07-21 1997-02-04 Shiseido Co Ltd 美白用皮膚外用剤
FR2746316B1 (fr) 1996-03-19 1998-06-12 Guerlain Nouvelles compositions cosmetologiques ou dermatologiques
FR2748659B1 (fr) 1996-05-14 1998-07-24 Lvmh Rech Composition topique amincissante
US5855917A (en) 1996-12-04 1999-01-05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ethod for controlling body fat and/or body weight in animal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use therein comprising 20-carbon conjugated unsaturated fatty acids
JPH10182414A (ja) 1996-12-27 1998-07-07 Shiseido Co Ltd 抗老化剤
FR2758143B1 (fr) * 1997-01-07 1999-02-19 Laphal Laboratoire De Pharmaco Inhibiteurs specifiques de la lipase pancreatique et leurs applications
US6039949A (en) * 1997-02-27 2000-03-21 Campamed, Inc. Method of preparation and composition of a water soluble extract of the plant species uncaria
JPH10265363A (ja) 1997-03-19 1998-10-06 Shiseido Co Ltd チロシナーゼ阻害剤
CA2238283C (en) 1997-05-30 2002-08-20 Cell Pathways, Inc. Method for identifying compounds for inhibition of neoplastic lesion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rom such compounds and uses of such compoun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neoplastic lesions
US5911992A (en) * 1997-06-12 1999-06-15 A. Glenn Braswell Method for controlling weight with hypericum perforatum and garcinia cambogia
JPH11269029A (ja) 1998-03-19 1999-10-05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3816262B2 (ja) 1998-09-30 2006-08-30 花王株式会社 セラミド産生促進剤
JP4233645B2 (ja) 1998-09-30 2009-03-04 御木本製薬株式会社 リパーゼ阻害剤
US6326396B1 (en) * 1998-11-20 2001-12-04 Alteon, Inc. Glucose and lipid lowering compounds
FR2791258B1 (fr) 1999-03-22 2001-08-24 Oreal Composition amincissante
DE19919634C2 (de) * 1999-04-30 2001-06-07 Aventis Pharma Gmbh Test zur Bestimmung der Integrität komplexer Phospholipid/Lipid-Strukturen mit Hilfe synthetischer fluoreszenz-markierter Acylglyceride und dessen Anwendung zur Bestimmung der Aktivität von Lipasen
JP2000336024A (ja) 1999-05-27 2000-12-05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FR2804605B1 (fr) 2000-02-07 2002-05-03 Inst Substances Vegetales Procede de preparation d'extraits vegetaux, extraits vegetaux susceptibles d'etre obtenus par ledit procede et leurs utilisations
US20010041708A1 (en) * 2000-02-15 2001-11-15 Zen-Bio, Inc. Compositions for preventing cellulite in mammalian skin
US20020052034A1 (en) * 2000-09-28 2002-05-02 Karl Guegler Isolated human lipase proteins, nucleic acid molecules encoding human lipase proteins, and uses thereof
EP1325117A2 (en) * 2000-10-06 2003-07-09 Incyte Genomics, Inc. Lipid metabolism enzymes
FR2819263B1 (fr) * 2001-01-10 2003-04-11 Lco Sante Procede de maturation des cellules dendritiques et d'activation des macrophages avec le ru 4174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4933B1 (ko) 2004-08-18
JP2002335996A (ja) 2002-11-26
JP2005343900A (ja) 2005-12-15
US20030086949A1 (en) 2003-05-08
US8741359B2 (en) 2014-06-03
FR2824334B1 (fr) 2003-10-10
FR2824334A1 (fr) 2002-11-08
JP4135859B2 (ja) 2008-08-20
US20120269910A1 (en) 2012-10-25
JP4790333B2 (ja)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4933B1 (ko)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 활성이 있는 물질의 테스트방법 및 화장품용으로서의 이용
KR101172700B1 (ko) 포스포리파아제 a2의 효소활성을 억제하기 위한 잠재적활성물질의 활성 검사방법
Liao et al. Selective-Inhibition of steroid 5 α-reductase isozymes by tea epicatechin-3-gallate and epigallocatechin-3-gallate
Cuellar et al. Topical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ome Asian medicinal plants used in dermatological disorders
US7531521B2 (en) Formulation for us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bohydrate induced diseases and conditions
US9168242B2 (en) Isolation of a dual COX-2 and 5-lipdxygenase inhibitor from Acacia
Padwad et al. Effect of leaf extract of Seabuckthorn on lipopolysaccharide 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murine macrophages
Xin et al. Extraction, purification and antitumor activity of a water-soluble polysaccharide from the roots of Polygala tenuifolia
US20170100326A1 (en) Lightening active agent containing plant extracts, uses thereof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KR100483194B1 (ko) 덩굴식물 운카리아 토멘토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지방분해용 조성물
KR100488240B1 (ko) 지방분해반응 분야에서 잠재적 활성이 있는 물질의 테스트방법 및 화장품용으로서의 이용
JP2001506647A (ja) 化粧品及び医薬品分野、特に皮膚科学分野でのオクメ樹脂抽出物の使用
KR100702329B1 (ko) 백굴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16482B1 (ko) 항염증 작용을 하는 곰취 추출물 및 그 분획물
Das et al. Effect of ethanolic extract of leaves of Vitex negundo L. on acetic acid induced colitis in Albino rats
Sankaran et al. Tephrosia purpurea Fraction Attenuates Lipid Accumulation and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and Reduces Body Weight in High Fat Diet Induced Obese Rats
FR2824270A1 (fr) Utilisation d&#39;un extrait de liane uncaria tomentosa comme principe actif lipolytique ou amincissant
Muneer et al. Protective effect of Terminalia chebula extract in doxorubicin induced hyperlipidemic rats
SONI et al. NOVEL TOPICAL ANTI-AGING HERBAL COMPOSITION
Nurzak et al. Skin Brightening Cream Formulation and Tyrosinase Inhibition Assay of Moringa Leaf Extract
Makdisi et al. Oats and skin health
DE10131188A1 (de) Verfahren zum Testen einer Substanz, die potentiell auf dem Gebiet der Lipolyse wirksam ist, und die hauptsächlich kosmetische Verwendung hiervon
Nayal et al. Investigating the Anti-Obesity Potential of Crataegus azarolus and Acer syriacum
Keum et al.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Cheongseoikki-tang ethanol extract on allergic reactions mediated by bone marrow-derived mast cells
Dode et al. Anti inflammatory activity of hydrogel formulations of Curculigo orchioides (Gaertn) rhizo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