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3586A - 캘리브레이션 될 소정의 클럭신호를 선택하는클럭선택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및 소정의 클럭신호를 선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캘리브레이션 될 소정의 클럭신호를 선택하는클럭선택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및 소정의 클럭신호를 선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3586A
KR20020083586A KR1020010022982A KR20010022982A KR20020083586A KR 20020083586 A KR20020083586 A KR 20020083586A KR 1020010022982 A KR1020010022982 A KR 1020010022982A KR 20010022982 A KR20010022982 A KR 20010022982A KR 20020083586 A KR20020083586 A KR 20020083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lock signal
input
circuit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5446B1 (ko
Inventor
최동준
정대현
황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2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5446B1/ko
Priority to US10/108,668 priority patent/US6696862B2/en
Priority to JP2002126981A priority patent/JP4027709B2/ja
Publication of KR20020083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4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8Address timing or clocking circuits; Address control signal generation or management, e.g. for row address strobe [RAS] or column address strobe [CAS]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4Data in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0Memory cell initialisation circuits, e.g. when powering up or down, memory clear, latent image memo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54Cal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am (AREA)
  • Logic Circuits (AREA)
  • Memory System (AREA)

Abstract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가 인에이블 되기 이전에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부의 소정의 클럭신호를 선택하여 캘리브레이션 회로에 공급하고,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가 인에이블 되면 상기 인에이블된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캘리브레이션 회로에 공급하는 클럭선택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 및 클럭선택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클럭선택방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입력회로는, 복수 개의 입력버퍼들, 클럭선택회로, 캘리브레이션 회로 및 복수 개의 데이터레지스터를 구비한다. 상기 클럭선택회로는, 공급전원이 최초로 공급되었을 때로부터 일정한 시간구간동안 소정의 제1로직레벨을 유지하다가, 상기 시간구간 후에는 상기 제1로직레벨과 반대되는 제2로직레벨을 갖는 선택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클럭선택회로는, 상기 선택신호가 제1로직레벨일 경우에는 상기 클럭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1클럭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선택신호가 제2로직레벨일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스트로브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1클럭신호로 출력한다.

Description

캘리브레이션 될 소정의 클럭신호를 선택하는 클럭선택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 및 소정의 클럭신호를 선택하는 방법{A input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clock selection circuit for selecting predetermined clock signal to be calibrated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에 관한 것이다.
설계 기술 및 공정 기술이 발전되어 감에 따라, 제조되는 메모리의 동작 주파수도 더불어 증가하게 되었다. 메모리의 동작 주파수가 증가하면, 입력데이터에 대한 셋업/홀드 윈도우(setup/hold window)가 줄어들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DDR(Double Data Rate) SDRAM의 경우 데이터 스트로브(data strobe) 신호를 이용하여 트래킹하는 방법 등이 고안되었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100)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입력버퍼들(101 내지 107), 캘리브레이션 회로(109) 및 복수 개의 데이터 레지스터들(111 내지 115)을 구비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100)는, 복수 개의 입력데이터(D0 내지 Di)가 소정의 시간 내에 해당하는 레지스터(111 내지 115)에 각각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주어진 임무 중의 하나이다.
캘리브레이션 회로(109)는, 서로 다른 지연특성을 동일하게 하는 신호전달회로(출원번호 10-2000-0035335 참조)이다. 캘리브레이션 회로(109)는, 데이터스트로브 신호(DQS)를 수신하고, 입력되는 패스(path)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고 입력되는 입력데이터(D0, D1 내지 Di)와 동기가 일치되도록 데이터스트로브 신호(DQS)를 조절한 제어클럭신호(controlling clock signal)를 출력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입력되는 입력데이터(D0, D1 내지 Di)는, 회로 및 각 소자들의 배치특성 때문에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고 해당 레지스터에 전달되며, 캘리브레이션 회로(109)에서는 상기 입력데이터를 해당 레지스터에 저장하게 하는 제어클럭신호를 데이터스트로브 신호(DQS)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상기 제어클럭신호는, 입력데이터가 적절한 순간에 해당되는 레지스터에 저장되도록, 상기 입력데이터와 동기가 일치되도록 조정된 신호이다.
캘리브레이션 회로(109)의 출력신호를 이용하면, 입력되는 복수 개의 데이터(D0 내지 Di)를 정확하게 해당되는 레지스터(register)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는, 쓰기 명령(write command, 미도시)신호가 활성화되었을 때 인에이블되는 신호이므로, 첫 번째 쓰기 동작 이전에는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스트로브 신호(DQS)는, 전원이 온(on)된 직후부터 첫 쓰기 동작까지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데이터를 적절한 시간에 해당되는 레지스터(111 내지 115)에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제어클럭신호를, 상기 데이터스트로브 신호(DQS)를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회로(109)에서 생성할 수 없게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1기술적 과제는, 전원이 최초로 켜진 후로부터 데이터스트로브 신호가 인에이블(enable) 되기까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가 오동작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클럭선택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입력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2기술적 과제는, 전원이 최초로 켜진 후로부터 데이터스트로브 신호가 인에이블 되기까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가 오동작하지 않도록,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에서 사용하는 클럭신호의 선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100)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에 대한 동작을 시간별로 구분한 타임다이어그램이다.
상기 제1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입력회로는, 복수 개의 입력버퍼들, 클럭선택회로, 캘리브레이션 회로 및 복수 개의 데이터레지스터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 개의 입력버퍼들은, 해당 입력데이터를 각각 버퍼링(buffering)한다. 상기 클럭선택회로는, 전원이 최초로 공급되었을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구간동안 소정의 제1로직레벨을 유지하다가, 상기 시간구간 후에는 상기 제1로직레벨과 논리적으로 반대되는 제2로직레벨을 갖는 선택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클럭선택회로는, 상기 수신된 선택신호의 로직레벨에 따라 데이터스트로브 신호 및 소정의 클럭신호를 선택하여 제1클럭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클럭선택회로는, 상기 클럭신호의 반전신호 및/또는 기준신호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캘리브레이션 회로는, 상기 제1클럭신호를 수신하고, 입력되는 패스(path)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고 입력되는 입력데이터와 동기가 일치되도록 상기 제1클럭신호를 조절한 제어클럭신호(controlling clock signal)를 출력한다.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레지스터들은, 상기 제어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데이터 중 해당하는 입력데이터를 각각 저장한다.
상기 소정의 시간구간은, 전원이 최초로 공급되었을 때로부터 MRS(Node Register Set)가 소정의 값으로 세팅(setting)될 때까지의 시간이거나, 전원이 최초로 공급되었을 때로부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가 인에이블 되기까지의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럭선택회로는, 상기 선택신호가 제1로직레벨인 경우에는 상기 클럭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1클럭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선택신호가 제2로직레벨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스트로브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1클럭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제1로직레벨은 논리하이(logic high) 상태이고, 상기 제2로직레벨은 논리로우(logic low)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럭선택회로는,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 제1버퍼,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제2버퍼, 제1인버터, 제1낸드게이트 및 제2낸드게이트를 구비한다.
상기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는, 일단이 일 공급전압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상기 선택신호에 연결된다. 상기 제1버퍼는, 일 입력단자에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가 인가되고, 다른 일 입력단자에 상기 기준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의 다른 일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는, 일단이 상기 제1버퍼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다른 일 공급전압에 연결되며, 게이트에 상기 선택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제2버퍼는, 일 입력단자에 상기 소정의 클럭신호가 인가되고, 다른 일 입력단자에 상기 클럭신호의 반전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제1인버터는, 입력단자가 상기 제1버퍼의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제1낸드게이트는, 상기 선택신호 및 상기 제2버퍼의 출력신호에 응답한다. 상기 제2낸드게이트는,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신호 및 상기 제1낸드게이트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클럭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2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럭신호 선택방법은, 선택신호에 따라 데이터스트로브 신호와 소정의 클럭신호 중에서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제1클럭신호로서 출력하는 클럭선택회로 및 상기 제1클럭신호를수신하고, 입력되는 패스(path)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고 입력되는 입력데이터와 동기가 일치되도록 상기 제1클럭신호를 조절한 제어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캘리브레이션 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에서 상기 선택신호의 로직레벨에 따라 상기 제1클럭신호로서 출력될 신호를 선택하는 클럭신호 선택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의 동작을 소정의 시간구간으로 서로 구별하는 단계;
데이터스트로브 신호 및 소정의 클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전원이 최초로 공급되었을 때로부터의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시간구간 내의 경우에는 상기 클럭신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시간구간을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스트로브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소정의 시간구간은, 전원이 최초로 공급되었을 때로부터 MRS가 소정의 값으로 세팅될 때까지의 시간이거나, 전원이 최초로 공급되었을 때로부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가 인에이블 되기까지의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200)는, 복수 개의 입력버퍼들(203 내지 207), 클럭선택회로(210), 캘리브레이션 회로(209) 및 복수 개의 데이터레지스터(221 내지 225)를 구비한다.
입력버퍼들(203 내지 207)을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데이터는, 캘리브레이션 회로(209)의 출력신호에 따라 복수 개의 데이터레지스터(221 내지 225) 중 해당하는 데이터레지스터에 각각 저장된다.
캘리브레이션 회로(209)는, 서로 다른 지연특성을 동일하게 하는 신호전달회로이다. 캘리브레이션 회로(209)는, 클럭선택회로(210)의 출력신호(SCLK)를 수신하고, 입력되는 패스(path)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고 입력되는 입력데이터(D0, D1 내지 Di)와 동기가 일치되도록 출력신호(SCLK)를 조절한 제어클럭신호를 출력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입력되는 입력데이터(D0, D1 내지 Di)는, 회로 및 각 소자들의 배치특성 때문에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고 해당 레지스터에 전달되며, 캘리브레이션 회로(209)에서는 상기 입력데이터를 해당 레지스터에 저장하게 하는 제어클럭신호를 출력신호(SCLK)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상기 제어클럭신호는, 입력데이터가 적절한 순간에 해당되는 레지스터에 저장되도록, 상기 입력데이터와 동기가 일치되도록 조정된 신호이다.
캘리브레이션 회로(209)의 출력신호를 이용하면, 입력되는 복수 개의 데이터(D0 내지 Di)를 정확하게 해당되는 레지스터(register)에 저장할 수 있다.
클럭선택회로(210)는, 제1피모스트랜지스터(213), 제1버퍼(211), 제1엔모스트랜지스터(214), 제2버퍼(212), 제1인버터(215), 제1낸드게이트(16) 및 제2낸드게이트(217)를 구비한다.
제1피모스트랜지스터는(213), 일단이 전원공급전압(Vdd)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선택신호(CL1)에 연결된다. 제1버퍼(211)는, 일 입력단자에 데이터스트로브 신호(DQS)가 인가되고, 다른 일 입력단자에 기준전압(Vref)이 인가되며, 제1피모스트랜지스터(213)의 다른 일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동작이 제어된다. 제1엔모스트랜지스터(214)는, 일단이 제1버퍼(211)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접지전압(Vss)에 연결되며, 게이트에 선택신호(CL1)가 인가된다.
제2버퍼(212)는, 일 입력단자에 클럭신호(CLK)가 인가되고, 다른 일 입력단자에 클럭신호의 반전신호(CLKB)가 인가된다. 제1인버터(21)는, 입력단자가 제1버퍼(211)의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제1낸드게이트(216)는, 선택신호(CL1) 및 제2버퍼(212)의 출력신호에 응답한다. 제2낸드게이트(217)는, 제1인버터(215)의 출력신호 및 제1낸드게이트(216)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제1클럭신호(SCLK)를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에 대한 동작을 시간별로 구분한 타임다이어그램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이 온(on)되어 소정의 시간(약 200 mu s) 동안의 비동작(non operation)기간을 거친 후로부터 프리차지(PRECHARGE) 되고 MRS(Mode Register Set)가 소정의 값으로 세팅될 때까지, 신호(CL1)의 값이 하이상태("H")를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상기 MRS가 소정의 값으로 세팅되면, 신호(CL1)의 값이 로우상태("L")로 변화되며, 이 때에 비로소 명령신호(COMMAND) 및 쓰기 명령신호(WR)도 활성화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클럭선택회로(210)는, 전원이 최초로 공급되었을 때로부터 일정한 시간구간동안(200 mu s) 소정의 제1로직레벨(CL1="H")을 유지하다가, 상기 시간구간 후에는 제1로직레벨(CL1="H")과 반대되는 제2로직레벨(CL1="L")을 갖는 선택신호(CL1)를 수신한다. 클럭선택회로(210)는, 선택신호(CL1)가 제1로직레벨(CL1="H")일 경우에는 클럭신호(CLK)를 선택하여 제1클럭신호(SCLK)로 출력하고, 선택신호(CL1)가 제2로직레벨(CL1="L")일 경우에는 데이터스트로브 신호(DQS)를 선택하여 제1클럭신호(SCLK)로 출력한다.
캘리브레이션 회로(209)는, 상기 제1클럭신호(SCLK)를 수신하여, 입력데이터(D0, D1 내지 Di)와 수신된 제1클럭신호(SCLK)의 동기를 일치시키는 캘리브레이션을 한 후 제어클럭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캘리브레이션 회로(209)의 제어클럭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버퍼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데이터를 해당하는 레지스터에 저장하면, 고속화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셋업/홀드 윈도우가 작은 경우에도 에러 없이 상기 입력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기준전압(Vref) 및 클럭신호(CLK)의 반전신호(CLKB)는, 경우에 따라서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럭선택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입력회로 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입력회로에서 사용하는 클럭신호 선택방법은,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고 입력되는 입력데이터를,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시간구간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레지스터에 저장할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해당 입력데이터를 각각 버퍼링(buffering)하는 복수 개의 입력버퍼들;
    선택신호에 따라 데이터스트로브 신호(data strobe signal) 및 소정의 클럭신호 중에서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제1클럭신호로서 출력하는 클럭선택회로;
    상기 제1클럭신호를 수신하고, 입력되는 패스(path)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고 입력되는 입력데이터와 동기가 일치되도록 상기 제1클럭신호를 조절한 제어클럭신호(controlling clock signal)를 출력하는 캘리브레이션 회로; 및
    상기 제어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데이터 중 해당하는 입력데이터를 각각 저장하는 복수 개의 데이터 레지스터들을 구비하며,
    상기 선택신호는,
    전원이 최초로 공급되었을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구간동안 제1로직레벨을 유지하다가, 상기 시간구간 후에는 상기 제1로직레벨과 반대되는 논리의 제2로직레벨을 가지는 신호이고,
    상기 클럭선택회로는,
    상기 선택신호가 제1로직레벨인 경우에는 상기 클럭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1클럭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선택신호가 제2로직레벨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스트로브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1클럭신호로 출력하는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선택회로는,
    일단이 일 공급전압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상기 선택신호에 연결된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
    일 입력단자에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가 인가되고, 다른 일 입력단자에 상기 기준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의 다른 일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는 제1버퍼;
    일단이 상기 제1버퍼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다른 일 공급전압에 연결되며, 게이트에 상기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일 입력단자에 상기 소정의 클럭신호가 인가되고, 다른 일 입력단자에 상기 클럭신호의 반전신호가 인가되는 제2버퍼;
    입력단자에 상기 제1버퍼의 출력단자가 연결된 제1인버터;
    상기 선택신호 및 상기 제2버퍼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1낸드게이트; 및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신호 및 상기 제1낸드게이트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제2낸드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구간은,
    전원이 최초로 공급되었을 때로부터 MRS(Node Register Set)가 소정의 값으로 세팅(setting)될 때까지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구간은,
    전원이 최초로 공급되었을 때로부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가 인에이블(enable) 되기까지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직레벨은,
    논리하이(logic high) 이고,
    상기 제2로직레벨은,
    논리로우(logic lo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
  6. 선택신호에 따라 데이터스트로브 신호와 소정의 클럭신호 중에서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제1클럭신호로서 출력하는 클럭선택회로 및 상기 제1클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클럭신호를 캘리브레이션하여, 입력되는 패스(path)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고 입력되는 입력데이터와 동기를 일치시키도록 한 제어클럭신호(controlling clock signal)를 출력하는 캘리브레이션 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에서 상기 선택신호의 로직레벨에 따라 상기 제1클럭신호로서 출력될 신호를 선택하는 클럭신호 선택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의 동작을 소정의 시간구간으로 서로 구별하는 단계;
    데이터스트로브 신호 및 소정의 클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전원이 최초로 공급되었을 때로부터의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시간구간 내의 경우에는 상기 클럭신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시간구간을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스트로브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신호 선택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구간은,
    전원이 최초로 공급되었을 때로부터 MRS가 소정의 값으로 세팅될 때까지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신호 선택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구간은,
    전원이 최초로 공급되었을 때로부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가 인에이블 되기까지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신호 선택방법.
KR10-2001-0022982A 2001-04-27 2001-04-27 캘리브레이션 될 소정의 클럭신호를 선택하는클럭선택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및 소정의 클럭신호를 선택하는 방법 KR100425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982A KR100425446B1 (ko) 2001-04-27 2001-04-27 캘리브레이션 될 소정의 클럭신호를 선택하는클럭선택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및 소정의 클럭신호를 선택하는 방법
US10/108,668 US6696862B2 (en) 2001-04-27 2002-03-27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put circuit
JP2002126981A JP4027709B2 (ja) 2001-04-27 2002-04-26 半導体メモリ装置の入力回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982A KR100425446B1 (ko) 2001-04-27 2001-04-27 캘리브레이션 될 소정의 클럭신호를 선택하는클럭선택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및 소정의 클럭신호를 선택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586A true KR20020083586A (ko) 2002-11-04
KR100425446B1 KR100425446B1 (ko) 2004-03-30

Family

ID=19708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982A KR100425446B1 (ko) 2001-04-27 2001-04-27 캘리브레이션 될 소정의 클럭신호를 선택하는클럭선택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및 소정의 클럭신호를 선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696862B2 (ko)
JP (1) JP4027709B2 (ko)
KR (1) KR1004254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010B1 (ko) * 2007-04-11 2008-10-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집적 회로
CN115085894A (zh) * 2021-03-15 2022-09-20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信号同步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6646B2 (en) * 2002-10-01 2008-07-29 Advantest Corporation Multi-strobe apparatus, testing apparatus, and adjusting method
JP4002811B2 (ja) * 2002-10-04 2007-11-07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マルチストローブ生成装置、試験装置、及び調整方法
KR100626375B1 (ko) 2003-07-21 2006-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주파로 동작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모듈
DE102004013929B3 (de) * 2004-03-22 2005-08-11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Steuern des Einlesens eines Datensignals sowie eine Eingangsschaltung für eine elektronische Schaltung
JP4583088B2 (ja) * 2004-06-29 2010-11-17 株式会社リコー ストローブ信号遅延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る半導体装置
KR100567908B1 (ko) 2004-12-30 2006-04-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보정 회로 및 그 구동 방법
CN101617371B (zh) * 2007-02-16 2014-03-26 莫塞德技术公司 具有多个外部电源的非易失性半导体存储器
KR20100034030A (ko) * 2007-06-27 2010-03-31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검출 장치 및 시험 장치
KR101252698B1 (ko) * 2009-04-29 2013-04-0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클록 게이팅 시스템 및 방법
US9672881B2 (en) * 2014-05-23 2017-06-06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mory device with variable strobe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5902B2 (ja) * 1997-06-24 2005-09-14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TW400635B (en) * 1998-02-03 2000-08-01 Fujitsu Ltd Semiconductor device reconciling different timing signals
JP3270831B2 (ja) * 1998-02-03 2002-04-02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6061292A (en) * 1998-08-21 2000-05-09 Winbond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circuit for triggering column select line for write operations
US6069829A (en) * 1998-09-29 2000-05-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ternal clock multiplication for test time reduction
KR100335503B1 (ko) 2000-06-26 2002-05-08 윤종용 서로 다른 지연 특성을 동일하게 하는 신호 전달 회로,신호 전달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래치 회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010B1 (ko) * 2007-04-11 2008-10-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집적 회로
CN115085894A (zh) * 2021-03-15 2022-09-20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信号同步系统
CN115085894B (zh) * 2021-03-15 2024-05-10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信号同步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5446B1 (ko) 2004-03-30
US20020158669A1 (en) 2002-10-31
US6696862B2 (en) 2004-02-24
JP4027709B2 (ja) 2007-12-26
JP2003036674A (ja) 200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9476B2 (en) Control component for controlling a delay interval within a memory component
USRE43539E1 (en) Output buffer circuit and integrated semiconductor circuit device with such output buffer circuit
US766394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on-die-termina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443323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WO2019160587A1 (en) Improved timing circuit for command path in a memory device
US6424592B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circuit for correcting data output timing
US650478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279115B1 (ko) 반도체 장치
KR100425446B1 (ko) 캘리브레이션 될 소정의 클럭신호를 선택하는클럭선택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회로및 소정의 클럭신호를 선택하는 방법
US6850459B2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llowing adjustment of data output timing
US6339353B1 (en) Input circuit of a memory having a lower current dissipation
US6333875B1 (en) Semiconductor circuit with adjustment of double data rate data latch timings
US695409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partially controlled delay locked loop
US8923077B2 (en) Semiconductor device operates on external and internal power supply voltages and data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7451360B2 (en) Method for monitoring an internal control signal of a memory device and apparatus therefor
KR100427028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US721246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20054892A (ko) Dll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출력 핀을 통하여테스트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클락 발생회로를 구비하는반도체 메모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8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