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3042A -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3042A
KR20020083042A KR1020010022451A KR20010022451A KR20020083042A KR 20020083042 A KR20020083042 A KR 20020083042A KR 1020010022451 A KR1020010022451 A KR 1020010022451A KR 20010022451 A KR20010022451 A KR 20010022451A KR 20020083042 A KR20020083042 A KR 20020083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alue
serial bus
power supply
h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1755B1 (ko
Inventor
김양기
김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755B1/ko
Priority to US10/128,331 priority patent/US7024567B2/en
Priority to CNB021186502A priority patent/CN1280746C/zh
Publication of KR20020083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범용직렬버스(USB)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 본체인 호스트(Host)와 연결 접속된 허브 중계기(HUB Repeater)에, 노트북 컴퓨터 또는 개인용 정보단말기(PDA) 등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가 연결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트에서 현재 공급 가능한 전원이, 상기 디바이스에서 요구한 전원 보다 작은 경우에도, 상기 호스트와 디바이스간에 인터페이스를 반복 수행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수용 가능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에서 전원 공급을 재 요구하기 위해 현재 연결 접속된 허브 중계기로부터 상기 디바이스를 분리시킨 후 재 연결 접속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디바이스로부터 요구되는 요구전원 값이 하향 조정되어 작아지거나, 또는 다른 주변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변화에 의해 호스트에서 공급 가능한 전원 값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경우, 디바이스에서 수용 가능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휴대용 디바이스에 내장된 배터리 전원을 충전하거나 또는 시스템 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using universal serial bus}
본 발명은,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범용직렬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PC)와 연결 접속된 허브 중계기(HUB Repeater)에,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가 연결 접속되는 경우, 해당 디바이스에 적합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도 1은 일반적인 범용직렬버스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와 허브 중계기, 그리고 디바이스가 연결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범용직렬버스(USB)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전자 펜(205) 또는 마우스(204) 등과 같은 입력장치가 키보드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102)에 추가로 연결 접속되고, 또한 스피커(203) 또는 마이크(2020 등과 같은 오디오 입/출력장치가 모니터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101)에 추가로 연결 접속되며, 그리고 폰(Phone)(201) 또는 허브 중계기(200) 등과 같은 다양한 주변기기들이 개인용 컴퓨터 본체인 호스트(100)에 추가로 연결 접속됨에 따라, 점차 복잡해지는 커넥터 접속 및 그에 따른 통신 오류 발생을 방지하고자 관련업체들간의 협약에 의해 표준화된 것으로, 현재 대부분의 개인용 컴퓨터에서는, 상기 범용직렬버스를 채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범용직렬버스를 통해 허브 중계기(200)와 연결 접속되는 개인용 컴퓨터, 즉 호스트(100)에는, 교류전원(AC Power)을 소정 전압으로 변압하여, 상기 허브 중계기(200)를 통해 연결 접속된 다양한 주변기기, 예를 들어 상기 범용직렬버스를 채용하고 있는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3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300)에서는, 상기 범용직렬버스를 통해 호스트로부터 인가되는 공급 전원을 배터리 충전용 전원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시스템 전원으로 사용하게 되는 데, 상기 호스트(100)에서는, 허브 중계기(200)를 통해 연결 접속된 디바이스(300)에 적합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범용직렬버스 상에 할당된 2 개의 신호 라인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한 후, 상기 디바이스에서 요구하는 요구 전원을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현재 연결 접속된 다른 주변기기들로 인가되는 공급 전원을 확인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요구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지를 판별하게 되고, 그 판별결과, 상기 요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경우, 그에 상응하는 전원을 상기 디바이스로 공급하여, 정상적인 배터리 충전 전원 또는 시스템 전원으로 사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판별결과, 상기 요구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 즉 현재 공급 가능한 전원이 상기 디바이스에서 요구한 전원 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원공급 불가신호에 해당하는 오버 플래그(Over Flag)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게 되므로, 상기 디바이스에서 요구한 전원 공급으로 인해 다른 주변기기들에 대한 전원 공급이중단 또는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호스트에서는, 현재 공급 가능한 전원이, 상기 디바이스에서 요구한 전원 보다 작다고 판별하여, 전원공급 불가신호에 해당하는 오버 플래그(Over Flag)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게 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와의 인터페이스를 즉시 종료하기 때문에, 상기 디바이스에서 전원 공급을 재 요구하기 위해서는, 현재 연결 접속된 허브 중계기로부터 상기 디바이스를 분리시킨 후 재 연결 접속하여, 상기 호스트와의 인터페이스 동작이 다시 수행되도록 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호스트에서 현재 공급 가능한 전원이, 상기 디바이스에서 요구한 전원 보다 작지만, 상기 디바이스에서 수용 가능한 전원인 경우, 상기 호스트와 디바이스간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호스트에서 공급 가능한 전원을 디바이스로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실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범용직렬버스(USB)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 본체인 호스트(Host)와 연결 접속된 허브 중계기(HUB Repeater)에,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가 연결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트에서 현재 공급 가능한 전원이, 상기 디바이스에서요구한 전원 보다 작은 경우에도, 상기 호스트와 디바이스간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에서 수용 가능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범용직렬버스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와 허브 중계기, 그리고 디바이스가 연결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개인용 컴퓨터와 허브 중계기에 대한 구성 및 연결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디바이스에 대한 일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디바이스에서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허브 중계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호스트 메인 로직12 : USB 로직
13 : 호스트 전원공급부20 : USB 케이블
21 : 허브 중계기 및 컨트롤러 22 : 허브 전원공급부
31,32,33 : 허브 포트34 : USB 컨트롤러
35 : 충전 로직36 : 전원 스위칭부
37 : 배터리100 : 호스트
200 : 허브 중계기300 : 휴대용 디바이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은, 범용직렬버스를 통해 새로 연결 접속된 디바이스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에서 요구하는 요구전원 값을 수신 확인하는 1단계; 상기 요구전원 값에 해당하는 전원의 공급이 불가능한 경우, 이를 알리는 신호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2단계; 및 상기 신호 전송 이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재 수신되는 요구전원 값을 확인하여, 그 요구전원 값에 해당하는 전원의 공급이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요구전원 값에 해당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은, 범용직렬버스를 통해 연결 접속된 호스트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 설정된 요구전원 값을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1단계; 상기 요구전원 값에 해당하는 전원 공급이 불가능하다는 신호를, 상기 호스트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요구전원 값을 하향 조정하는 2단계; 및 상기 하향 조정된 요구전원 값을, 상기 호스트로 전송한 후, 그 요구전원 값에 해당하는 전원 공급시, 그 공급 전원을 배터리 충전 전원 또는 시스템 전원으로 사용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개인용 컴퓨터와 허브 중계기에 대한 구성 및 연결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개인용 컴퓨터 즉, 호스트(100)에는, 중앙처리부(CPU), 비디오(Video) 처리부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HDD) 등과 같은 각 구성수단들과 연계됨과 아울러,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범용직렬버스를 통해 연결 접속되는 폰(201) 또는 허브 중계기(200)를 통해 연결 접속되는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디바이스(300)와의 인터페이스 및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호스트 메인 로직(11);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소정 전압, 예를 들어 5 V로 변압하여, 범용직렬버스를 통해 연결 접속된 외부 주변기기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3)가 포함 구성되며, 상기 호스트 메인 로직(11)에는, 범용직렬버스에서 정의하고 있는 규정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USB 로직(12)이 포함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허브 중계기(21)에는, 상기 호스트에서의 USB 로직(12)과 연계되어, 상기 호스트 메인 로직(12)과 디바이스(300)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거나 또는 중계 및 제어하는 허브 중계기 및 컨트롤러(21)가 포함 구성된다.
한편, 상기 호스트 메인 로직(11)과 폰(201)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는, 상기 USB 로직(12)을 통해, 범용직렬버스에서 규정하고 있는 2 개의 신호라인으로 송수신되고, 상기 호스트 메인 로직(11)과 디바이스(300)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는, 상기USB 로직(12)과 허브 중계기 및 컨트롤러(21)를 통해, 범용직렬버스에서 규정하고 있는 2 개의 신호라인으로 송수신된다.
또한, 상기 폰(201)에 대응되는 I/O 포트와, 상기 디바이스(300)와의 연결 접속되는 허브 중계기(200)에서의 I/O 포트에는, 각각 2 개의 신호라인과, 5 V 전원 및 접지 라인으로 구성되는 총 4 단자의 구성을 갖는 데, 이는 범용직렬버스에서 규정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허브 중계기(200)를 통해 호스트와 연결 접속되는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디바이스(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범용직렬버스에서 규정하고 있는 4 단자의 허브 포트들(31,32,33..) 중 어느 한 포트와 연결 접속되어, 상기 호스트 메인 로직(11)과의 인터페이스 동작을 수행하는 USB 컨트롤러(34); 상기 다수의 허브 포트들(31,32,33..) 중 어느 한 포트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선택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칭부(36); 상기 USB 컨트롤러(34)와 연계됨과 아울러, 상기 전원 스위칭부(36) 및 배터리(37)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충전 로직(35)이 포함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호스트에서의 메인 로직(11)과,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전원 충전 로직(35)은, 범용직렬버스를 통해 연결 접속된 허브 중계기를 통해, 전원 공급에 필요한 인터페이스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데, 상기 호스트와 디바이스에서 각각 이루어지는 전원 제어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호스트와 디바이스에서 각각 이루어지는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먼저 호스트의 메인 로직(11)에서는, 상기 허브 중계기(200)를 통해 새로운 디바이스가 연결 접속되는 지를 검출하게 되고(S10), 상기 검출결과,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새로운 디바이스(300)가 연결 접속된 경우(S11), 사전에 설정된 소정전압 및 전류, 예를 들어, 범용직렬버스에서 규정하고 있는 5 V와 100mA를, 상기 허브 중계기(200)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공급하게 된다(S12).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300)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상세 정보, 즉 디바이스 디스크립터(Descriptor)를 요구 및 수신하게 되고(S13),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의 디스크립터에 포함되는 요구 전원을 확인하는 한편, 현재 연결 접속된 다른 주변기기로 공급 중인 전원을 확인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공급 가능한 전원을 산출한 후, 그 요구 전원과 현재 공급 가능한 전원을 비교 확인하게 된다(S14).
즉, 상기 호스트의 메인 로직(11)에서는, 자신이 공급할 수 있는 최대 전원에서 현재 다른 주변기기로 공급되고 있는 전원을 감산한 후, 그 차 값이 상기 디바이스에서 요구한 전원 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요구전원을 공급 가능하다고 판별하여(S15), 해당 전원을 상기 디바이스로 공급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6).
한편, 상기 차 값이 상기 디바이스에서 요구한 전원 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요구전원을 공급 불가능하다고 판별하여(S15), 전원공급 불가신호인 오버 플래그(Over Flag)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게 되는 데(S17), 이때 상기 호스트의 메인 로직(11)에서는, 상기 오버 플래그를 전송한 이후, 상기 디바이스(300)로부터 전원공급 요구신호가 재 수신되는 지를 감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시 결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전원공급 요구신호가 수신되는 경우(S18)에는, 그 전원공급 요구신호에 포함된 요구 전원 값을 확인함과 아울러, 현재 연결 접속된 다른 주변기기로 공급 중인 전원을 확인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공급 가능한 전원을 산출한 후, 그 요구 전원과 현재 공급 가능한 전원을 비교 확인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S14-S18).
참고로, 소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전원공급 요구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감시동작을 해제한 후, 상기 디바이스에 기준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불필요하게 전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호스트의 메인 로직(11)에서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최초로 요구된 요구 전원이, 현재 공급 가능한 전원보다 큰 경우, 전원공급 불가신호인 오버 플래그를 전송하되, 그 오버 플래그를 전송한 이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전원공급 요구신호에 따라, 전원공급 여부를 다시 판별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므로,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요구되는 요구전원 값이 작아지거나, 또는 다른 주변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변화에 의해 공급 가능한 전원 값이 커지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300)에서 요구한 전원을 정상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바이스의 전원 충전 로직(35)에서는, 상기 허브 중계기(200)에 연결 접속되는 경우(S30), 상기 호스트의 메인 로직(11)에서의 제어 동작에 의해, 상기 허브 중계기(200)로부터 공급되는 기준전원, 즉 범용직렬버스에서 규정에 따라 인가되는 5 V와 100mA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 메인 로직(11)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 요구되는 디스크립터를 독출하여 상기 호스트로 전송한 후(S32), 상기 허브 중계기(200)를 통해 사전에 설정된 요구 전원이 공급되는 지를 감시하게 되는 데(S33), 상기 감시결과, 사전에 설정된 요구 전원, 예를 들어 5 V 및 500mA에 해당하는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경우, 통상적인 배터리 충전동작 또는 시스템 제어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34).
한편, 상기 감시결과, 5 V 및 500mA에 해당하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전원공급 불가신호에 해당하는 오버 플래그가 수신되는 경우(S35), 상기 전원 충전 로직(36)에서는, 이전에 요구한 전원을 하향 조정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상기 5 V 및 500mA를 5V 및 400mA로 하향 조정하게 된다(S36).
그리고, 상기 하향 조정된 요구 전원이, 상기 디바이스에서 배터리 충전 전원 또는 시스템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최저 전원 이하인 지를 판별하게 된다. 즉, 상기 디바이스에서 수용할 수 있는 최저 전원인 지를 판별한 후, 최저 전원 보다 큰 경우에는, 그 값에 해당하는 전원을 공급할 것을 요구하는 전원공급 요구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호스트의 메인 로직(11)으로 전송하게 된다(S38).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 요구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호스트의 메인 로직에서는, 도 4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하향 조정된 요구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전원공급 불가신호에 해당하는 오버 플래그를 선택 전송하게 되므로, 상기 디바이스의 전원 충전 로직(36)에서는, 요구 전원이 공급되는 지를 감시하는 일련의동작(S33-S38)을 반복 수행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수용 가능한 최저 전원 이상의 공급전원을, 상기 호스트로부터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시키거나 또는 시스템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허브 중계기(200)에 교류전원이 인가되고, 또한 상기 교류전원이 허브 중계기 내에 포함 구성된 전원 공급부(22)에 의해 5 V로 변압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디바아스에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허브 중계기(200)에서 직접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범용직렬버스에서의 디스크립터는, 통상적으로 8 비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디바이스에서 요구할 수 있는 최대 요구 전원은 5 V 및 512mA가 되고, 그 요구 전원을 최소 2mA 단위로 하향 조정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최대 요구 전원을 더 크게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8 비트를 16 비트로 확장시킬 수도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노트북 컴퓨터는 물론, 개인용 정보단말기(PDA) 등과 같은 USB 적용 기기에 확대 적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은, 범용직렬버스(USB)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 본체인 호스트(Host)와 연결 접속된 허브 중계기(HUB Repeater)에, 노트북 컴퓨터 또는 개인용 정보단말기(PDA) 등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가 연결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트에서 현재 공급 가능한 전원이, 상기 디바이스에서 요구한 전원 보다 작은 경우에도, 상기 호스트와 디바이스간에 인터페이스를 반복 수행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수용 가능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에서 전원 공급을 재 요구하기 위해 현재 연결 접속된 허브 중계기로부터 상기 디바이스를 분리시킨 후 재 연결 접속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디바이스로부터 요구되는 요구전원 값이 하향 조정되어 작아지거나, 또는 다른 주변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변화에 의해 호스트에서 공급 가능한 전원 값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경우, 디바이스에서 수용 가능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휴대용 디바이스에 내장된 배터리 전원을 충전하거나 또는 시스템 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0)

  1. 범용직렬버스를 통해 새로 연결 접속된 디바이스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에서 요구하는 요구전원 값을 수신 확인하는 1단계;
    상기 요구전원 값에 해당하는 전원의 공급이 불가능한 경우, 이를 알리는 신호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2단계; 및
    상기 신호 전송 이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재 수신되는 요구전원 값을 확인하여, 그 요구전원 값에 해당하는 전원의 공급이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요구전원 값에 해당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상기 범용직렬버스를 통해 새로 연결 접속된 디바이스에, 사전에 규정된 소정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한 후, 상기 디바이스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디스크립터(Descriptor)로부터, 상기 요구전원 값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요구전원 값이, 현재 공급 가능한 전원 값 보다 큰 경우, 전원 공급 불가능을 알리는 오버 플래그(Over Flag)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가능한 전원 값은, 상기 범용직렬버스를 통해 연결 접속된 다른 주변기기들에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신호 전송 이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재 수신되는 요구전원 값을 확인하여, 그 요구전원 값에 해당하는 전원의 공급이 가능한 경우, 상기 요구전원 값에 해당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신호 전송 이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재 수신되는 요구전원 값을 확인하여, 그 요구전원 값에 해당하는 전원의 공급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2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7. 범용직렬버스를 통해 연결 접속된 호스트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 설정된요구전원 값을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1단계;
    상기 요구전원 값에 해당하는 전원 공급이 불가능하다는 신호를, 상기 호스트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요구전원 값을 하향 조정하는 2단계; 및
    상기 하향 조정된 요구전원 값을, 상기 호스트로 전송한 후, 그 요구전원 값에 해당하는 전원 공급시, 그 공급 전원을 배터리 충전 전원 또는 시스템 전원으로 사용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소정 전압 및 전류를 공급받은 후, 그 호스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요구전원 값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디스크립터를 독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전원 공급이 불가능하다는 신호인 오버 플래그(Over Flag)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요구전원 값을, 적어도 2mA 단위 이상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조정된 요구전원 값을, 상기 호스트로 전송한 후, 상기 오버 플래그를 다시 수신하는 경우, 상기 2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KR1020010022451A 2001-04-25 2001-04-25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KR100671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451A KR100671755B1 (ko) 2001-04-25 2001-04-25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US10/128,331 US7024567B2 (en) 2001-04-25 2002-04-24 Electric power controlling method through a serial bus
CNB021186502A CN1280746C (zh) 2001-04-25 2002-04-25 通过串行总线进行电能控制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451A KR100671755B1 (ko) 2001-04-25 2001-04-25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042A true KR20020083042A (ko) 2002-11-01
KR100671755B1 KR100671755B1 (ko) 2007-01-22

Family

ID=19708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451A KR100671755B1 (ko) 2001-04-25 2001-04-25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24567B2 (ko)
KR (1) KR100671755B1 (ko)
CN (1) CN1280746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546B1 (ko) * 2006-03-16 2008-05-07 주식회사 씨모텍 Usb 단말장치를 위한 대전류 공급장치 및 usb단말장치 연결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9347B1 (en) * 2002-09-27 2006-06-27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adapting speed of a USB device based on available power
US7072989B1 (en) 2002-09-27 2006-07-04 Cypress Semiconductor, Inc. USB peripheral device storing an indication of an operating power mode when a host went into hibernate and restarting at the power mode accordingly
US20050033996A1 (en) * 2002-11-15 2005-02-10 Piau Fo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mmunication hub
TWI347523B (en) * 2003-02-05 2011-08-21 Panasonic Corp Peripher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mai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thereof
GB2401259B (en) * 2003-04-30 2005-12-21 Research In Motion Ltd Charging status indic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TW200603011A (en) * 2004-05-10 2006-01-1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obile terminal and USB device
US20050289257A1 (en) * 2004-06-24 2005-12-29 Fink Thomas M Self-powered USB device with USB power line reset and related USB host and USB system
JP5016783B2 (ja) * 2004-08-11 2012-09-05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電源制御方法
US20060047880A1 (en) * 2004-08-27 2006-03-02 Imation Corp. Memory device with HUB capability
US7801484B2 (en) * 2004-09-30 2010-09-21 Intel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s module
AU2005200225A1 (en) * 2005-01-19 2006-08-03 Opdicom Pty Ltd Single power source for serially connectable devices
KR100621399B1 (ko) * 2005-02-04 2006-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에 적용되는 메인기기및 서브기기
US7392407B2 (en) * 2005-02-09 2008-06-24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egotiating power between power sourcing equipment and powerable devices
US7467306B2 (en) * 2005-03-08 2008-12-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s and systems for allocating power to an electronic device
US7383452B2 (en) * 2005-04-07 2008-06-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nitiating powering-up of a processor in the electronic device
US7512720B2 (en) * 2005-04-29 2009-03-31 Sigmatel, Inc.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universal serial bus networks
JP4488987B2 (ja) * 2005-09-08 2010-06-23 シャープ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7647516B2 (en) * 2005-09-22 2010-01-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among compute nodes
KR20070067423A (ko) * 2005-12-23 2007-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와 그의 운영 방법
US20070150761A1 (en) * 2005-12-28 2007-06-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wer suppl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0785273B1 (ko) * 2006-08-16 2007-12-12 전자부품연구원 직렬 스위칭 버스 기반의 데이터 스위칭 시스템
US8296587B2 (en) * 2006-08-30 2012-10-23 Green Plug, Inc. Powering an electrical device through a legacy adapter capable of digital communication
JP5109434B2 (ja) * 2007-03-27 2012-12-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力供給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2150870A4 (en) * 2007-04-26 2010-09-08 Grabba Internat Pty Ltd DOCKING
US7631126B2 (en) * 2007-05-24 2009-12-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an electronic device with a host system
US20080304304A1 (en) * 2007-06-05 2008-12-11 Hsin-Hui Cheng Composite Connection Port Device
GB2453405B (en) * 2007-06-15 2012-08-08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evice-to-device handshaking through a power supply signal
US8266456B2 (en) 2007-10-15 2012-09-11 Apple Inc. Supplying remaining available current to port in excess of bus standard limit
JP5198475B2 (ja) * 2008-01-30 2013-05-15 京セラ株式会社 データ通信機能内蔵デバイス
JP5159396B2 (ja) * 2008-04-03 2013-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037331B2 (en) * 2008-04-28 2011-10-11 Dell Products L.P. Energy efficient method to wake host system for charging battery powered portable devices via bus powered external i/o ports
CN102084573A (zh) * 2008-05-05 2011-06-01 意法爱立信有限公司 移动设备的充电中断功能
US8344874B2 (en) * 2008-07-10 2013-01-01 Apple Inc. Intelligent power-enabled communications port
US20100063740A1 (en) * 2008-09-05 2010-03-11 Visgeneer, Inc. Rechargeable Biosensor
JP2010157110A (ja) * 2008-12-26 2010-07-1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デバイス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262604A (ja) * 2009-05-11 2010-11-18 Sony Corp 電力供給装置、電力受電装置、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電力供給方法
JP4643726B2 (ja) * 2009-05-26 2011-03-02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及び電力供給方法
US9130400B2 (en) 2009-09-24 2015-09-08 Apple Inc. Multiport power converter with load detection capabilities
US8856501B2 (en) * 2009-12-14 2014-10-07 Sandisk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interconnected devices by circulating host capability without a centralized manager
US8661268B2 (en) * 2010-02-22 2014-02-25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ly providing power to a device
CN102810880B (zh) * 2011-05-31 2015-04-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供电控制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2301305B (zh) * 2011-06-09 2015-12-16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对usb设备供电的方法与系统
US9274578B2 (en) * 2012-05-09 2016-03-01 Apple Inc. Enable power from an accessory to a host device based on whether the accessory is able to alter an electrical characteristic of the power path
WO2013162592A1 (en) * 2012-04-27 2013-10-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 adapters
US8856561B2 (en) * 2012-05-10 2014-10-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llocating and distributing power
JP6024288B2 (ja) * 2012-08-27 2016-11-16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外部機器
WO2015116124A2 (en) * 2014-01-31 2015-08-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utput voltage to serial communicaton port
US9887542B2 (en) * 2014-08-04 2018-02-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ower broker module
MY184148A (en) * 2015-12-25 2021-03-23 Intel Corp Power management system
CN105786145A (zh) * 2016-02-25 2016-07-2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EP3367210A1 (en) * 2017-02-24 2018-08-29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operating a device and corresponding device, system, computer readable program produc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11068041B2 (en) * 2017-06-13 2021-07-20 Intel Corporation Method to enhance device policy management (DPM) power sharing for USB Type-C (USB-C) only devices
US10712801B2 (en) * 2017-06-30 2020-07-14 Intel Corporation USB type-C power delivery management
JP2019121268A (ja) * 2018-01-10 2019-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DE102018101062A1 (de) * 2018-01-18 2019-07-1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Lagers mit mindestens einem ersten Energiebereitstellungsmodul und einem zweiten Energiebereitstellungsmodul
US11644881B2 (en) * 2019-07-31 2023-05-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allocation of power between electronic components
KR20210034431A (ko) * 2019-09-20 202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
JP7226581B2 (ja) * 2019-10-30 2023-02-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750623B (zh) * 2020-03-31 2021-12-21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電源管理系統以及電源管理方法
JP7461807B2 (ja) * 2020-06-22 2024-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受電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11927998B2 (en) * 2021-06-08 2024-03-12 Dell Products L.P. System performance using optimal adapter efficiency
CN114546040A (zh) * 2021-12-31 2022-05-27 深圳市和宏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输出功率的usb扩展坞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3656A (en) * 1993-01-14 1996-01-09 Apple Computer, Inc. System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devices coupled to a common bus
US5532945A (en) * 1994-06-17 1996-07-02 Intel Corporation Power budgetting in a computer system having removable devices
AU4519596A (en) * 1994-12-22 1996-07-10 Intel Corporation Power budgeting with device specific characterization of power consumption
JP3580630B2 (ja) * 1996-02-26 2004-10-2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消費電力を管理するシステム及び電源を管理する方法
KR100193737B1 (ko) * 1996-07-19 1999-06-15 윤종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제어방법
US5884086A (en) * 1997-04-15 1999-03-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voltage switching to supply various voltages and power levels to a peripheral device
JP4124873B2 (ja) * 1997-12-17 2008-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力制御システム
AU765116B2 (en) * 1998-07-30 2003-09-11 Airnet Communications Corporation Broadband power management (power banking) within a broadband multi-carrier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US6618811B1 (en) * 1999-07-29 2003-09-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automatically determining whether power consumption devices can be powered up in a power consuming system
JP2001075682A (ja) * 1999-09-01 2001-03-23 Canon Inc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KR100358142B1 (ko) * 1999-10-30 2002-10-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컴퓨터에 연결된 버스의 파워 조절 시스템
US6594771B1 (en) * 2000-04-13 2003-07-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in an electronic device
US6901525B2 (en) * 2001-05-25 2005-05-31 Iomeg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on a bus
KR20010079019A (ko) * 2001-06-05 2001-08-22 안태영 유에스비 포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546B1 (ko) * 2006-03-16 2008-05-07 주식회사 씨모텍 Usb 단말장치를 위한 대전류 공급장치 및 usb단말장치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62036A1 (en) 2002-10-31
CN1383072A (zh) 2002-12-04
US7024567B2 (en) 2006-04-04
KR100671755B1 (ko) 2007-01-22
CN1280746C (zh)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755B1 (ko)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US81542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 chargeable USB device
US7657290B2 (en) Power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a mobile device
US7849238B2 (en) Multiple-apparatus connection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EP169125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 chargeable usb device
US69468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ing and charg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40207977A1 (en) Usb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550045B1 (en) Device operable as both a host and a non-host (i.e. dual-mode device)
US8201008B2 (en) Battery module, computer system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RU250481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опитанием
KR20090028196A (ko) 휴대 단말기의 충전 장치 및 방법
US20100060233A1 (en) Charger with USB detection
US201400707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upply control and electronic device
WO2012077270A1 (ja) 電子機器
US20070075680A1 (en) Charging mode control circuit
KR20160100973A (ko) Usb 접속으로 전자 디바이스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7679321B2 (en) Power circuit
KR20140126491A (ko)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01963A (ko)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US7654861B2 (en) Connector and method thereof
KR20080007551A (ko) 저전압 트랜시버를 보호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81676A (ko) 트래블 어댑터
EP1737099B1 (en) Power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a mobile device
KR100700532B1 (ko) 범용 직렬 버스 포트의 연결 장치 인식 방법과 범용 직렬버스 어댑터
US20150123477A1 (en) Power integrated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