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431A -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431A
KR20210034431A KR1020190116402A KR20190116402A KR20210034431A KR 20210034431 A KR20210034431 A KR 20210034431A KR 1020190116402 A KR1020190116402 A KR 1020190116402A KR 20190116402 A KR20190116402 A KR 20190116402A KR 20210034431 A KR20210034431 A KR 20210034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voltage
usb
electronic device
usb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광
김경훈
김병준
김태웅
류상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6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4431A/ko
Priority to PCT/KR2020/009669 priority patent/WO2021054594A1/en
Priority to US16/947,548 priority patent/US11243594B2/en
Priority to EP20190902.5A priority patent/EP3796130A1/en
Priority to CN202010859166.4A priority patent/CN112540664A/zh
Publication of KR20210034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53Power saving in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외부 장치가 USB 포트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전력 전달 회로,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로부터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회로, 및 상기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전달 회로는 상기 USB 포트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USB 포트의 제1 핀을 통하여 확인하고, 상기 충전 회로는 상기 USB 포트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 제2 핀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압을 승압시킨 전압인 제1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된 상기 외부 장치가 지정된 벤더 식별자 및 지정된 제품 식별자를 갖는 제1 외부 장치인지 여부를 상기 USB 포트의 제3 핀을 통하여 확인하고, 상기 USB 포트에 상기 제1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충전 회로가 상기 제1 전압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신호를 상기 충전 회로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power consumption reducing method when using in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에 외부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 배치된 이어폰 연결 단자를 통해 전자 장치에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다. 기존의 이어폰 연결 단자는 3.5파이 연결 단자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 이어폰을 연결하면 이어폰 연결 단자를 통해 이어폰에 전원 및 데이터를 공급하여 이어폰에서 디지털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에 녹음 기능이 포함된 이어폰을 연결하고 이어폰이 사용자의 발화와 같은 외부의 소리를 녹음하도록 할 수 있다.
최근 전자 장치에서는 외부 장치와 아날로그 방식으로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제거하고 디지털 방식으로 연결되는 USB 포트를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어폰과 같은 외부 장치는 기존의 이어폰 연결 단자가 아닌 USB 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포트는 USB Type-C 포트일 수 있다.
USB 포트와 연결하여 외부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외부 장치가 USB 포트에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USB 포트에 포함된 VBUS 핀을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USB 포트에 포함된 D+ 핀 및 D- 핀을 통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USB 포트와 연결되는 외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VBUS 핀으로 USB 규격에서 지정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VBUS 핀으로 5V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USB 규격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외부 장치로 기존의 3.5 파이 연결 단자와 비교하여 높은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장치에 흐르는 소모 전류가 증가하여 전자 장치의 배터리가 빨리 방전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은 USB 포트에 외부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전자 장치의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USB 포트에 외부 장치를 연결하였을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가 USB 포트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전력 전달 회로,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로부터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회로, 및 상기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전달 회로는 상기 USB 포트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USB 포트의 제1 핀을 통하여 확인하고, 상기 충전 회로는 상기 USB 포트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 제2 핀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압을 승압시킨 전압인 제1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된 상기 외부 장치가 지정된 벤더 식별자 및 지정된 제품 식별자를 갖는 제1 외부 장치인지 여부를 상기 USB 포트의 제3 핀을 통하여 확인하고, 상기 USB 포트에 상기 제1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충전 회로가 상기 제1 전압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신호를 상기 충전 회로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USB 포트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 장치의 전력 전달 회로가 상기 USB 포트의 제1 핀을 통하여 확인하고, 상기 USB 포트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로부터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회로에서 상기 외부 장치로 제2 핀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압을 승압시킨 전압인 제1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가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된 상기 외부 장치가 지정된 벤더 식별자 및 지정된 제품 식별자를 갖는 제1 외부 장치인지 여부를 상기 USB 포트의 제3 핀을 통하여 확인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포트에 상기 제1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충전 회로가 상기 제1 전압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신호를 상기 충전 회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가 USB 포트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전력 전달 회로,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로부터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회로, 및 상기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전달 회로는 상기 USB 포트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USB 포트의 제1 핀을 통하여 확인하고, 상기 충전 회로는 상기 USB 포트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 제2 핀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압을 승압시킨 전압인 제1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의 카테고리 필드를 확인하고, 상기 카테고리 필드의 세부 정보가 지정된 제1 외부 장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충전 회로가 상기 제1 전압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신호를 상기 충전 회로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USB 포트에 외부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 지정된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것을 확인하는 경우 VBUS 핀에서 출력하는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켜 전자 장치의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USB 포트에 외부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VBUS 핀에서 출력하는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켜 전자 장치의 배터리가 빨리 방전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전자 장치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USB 포트에 외부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 전자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에 대한 데이터 통신 주기를 증가시켜 전자 장치의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USB 포트를 구성하는 핀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USB 열거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 서술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USB 드라이버가 충전 드라이버에 공급하는 전압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USB 드라이버가 충전 드라이버에 공급하는 전압을 감소시키는 경우 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서술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다른 오디오 기능 카테고리 코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상 모드 및 저전력 모드(Low Power Mode, LPM)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 및 외부 장치(240)를 나타낸 블록도(200)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소프트웨어(210), 하드웨어(220), 및 USB 커넥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소프트웨어(210)는 전자 장치(101)의 동작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예: 도 1의 어플리케이션(146))들과 같은 프로그램(예: 도 1의 프로그램(140))들을 실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210)는 프레임 워크(211) 및 커널(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 워크(211)는 소프트웨어(210)의 어플리케이션(146)이나 솔루션의 개발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소프트웨어(210)의 구체적 기능들에 해당하는 부분의 설계와 구현을 재사용 가능하도록 협업화된 형태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210) 환경일 수 있다. 프레임 워크(211)는 외부 장치(240)와 연결되는 방법 중 하나인 USB 연결을 제어하는 USB 프레임 워크(211-1),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배터리(예: 도 1의 배터리(189))의 충전 및/또는 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서비스(2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널(212)은 운영 체제(예: 도 1의 운영 체제(142))를 구성하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와 운영 체제(142)의 제어 아래서 주행하는 프로그램(140)에 대해 자원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커널(212)은 USB 연결 시 연결을 수립하는 USB 드라이버(212-1), 배터리(189)의 충전 모드를 제어하는 충전 드라이버(212-2), 및/또는 USB 커넥터(230)에 외부 장치(240)가 연결되는 경우 USB 커넥터(230)에 걸리는 저항을 감지하고 전력 전달(Power Delivery, PD) 통신을 담당하는 PDIC 드라이버(2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USB 드라이버(212-1)는 프로세서(120)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드웨어(220)는 전자 장치(101)를 물리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하드웨어(220)는 USB 컨트롤러(221), 충전 회로(Charging IC)(222), 및 PDIC(Power Delivery IC, 전력 전달 회로)(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USB 컨트롤러(221)는 프로세서(120)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USB 컨트롤러(221)는 USB 커넥터(230)에 포함된 D+ 라인 및 D- 라인을 이용하여 USB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충전 회로(222)는 PMIC(예: 도 1의 전력 관리 모듈(188))에 포함될 수 있다. 충전 회로(222)는 USB 커넥터(230)에 포함된 VBUS 라인을 이용하여 배터리(189)를 충전할 수 있다. 충전 회로(222)는 외부 장치(240)에 VBUS 출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PDIC(223)는 PMIC(188)에 포함될 수 있다. PDIC(223)는 USB 커넥터(230)에 포함된 CC 핀(Pin)을 통해 BMC(Bi-phase Marked Communication, 2상 표지 통신)을 할 수 있다. BMC는 단일한 배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싱글 와이어(Single Wire) 통신일 수 있다. PDIC(223)는 전력 역할(Role) 및 데이터 역할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드웨어(220)에 포함된 블록(Block)들은 소프트웨어(210)에 포함된 블록들과 각각 매핑(mapping)될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 충전 드라이버(212-2), 및/또는 PDIC 드라이버(212-3)는 서로 알림 메시지(Notify Message) 또는 회신(Callback) 함수를 통해 메시지 전달 및/또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USB 커넥터(230)는 USB 연결이 가능한 외부 장치(240)와 연결될 수 있다. USB 커넥터(230)는 USB 포트(port)일 수 있다. USB 포트는 USB Type-C 포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장치(240)는 USB 커넥터(241), 오디오 코덱(242), USB(242-1), 안테나(243), 마이크(244), 및/또는 스피커(24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240)는 USB Type-C 이어폰일 수 있다. 외부 장치(240)는 USB 커넥터(241)를 통해 전자 장치(101)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240)는 USB(242-1)를 통해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공받은 음성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242)으로 변환할 수 있다. 외부 장치(240)는 안테나(243)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장치(240)는 마이크(244)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외부 장치(240)는 스피커(245)를 이용하여 수신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USB 커넥터(230, 241) 에서 수행하는 통신의 속도는 전자 장치(100)의 통신 속도, 외부 장치(240)의 통신 속도, 및 USB 커넥터(230, 241)를 연결하는 USB 케이블의 통신 속도 중 가장 느린 속도로 설정될 수 있다. 통신 속도는 약 1.5Mbps의 낮은 속도(Low Speed), 약 12Mbps의 풀 속도(Full Speed), 약 480Mbps의 높은 속도(High Speed), 및/또는 5Gbps 이상의 수퍼 속도(Super Speed)일 수 있다. USB 2.0에서는 높은 속도까지 지원할 수 있다. USB 3.0 이상의 경우 수퍼 속도(Super Speed)까지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USB 포트(예: 도 2의 USB 커넥터(230, 241))를 구성하는 핀들(311, 312, 321, 322, 323, 324, 331, 332, 333, 334)을 나타낸 도면(300)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USB 포트는 USB Type-C 포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USB Type-C 포트는 24개의 핀을 가질 수 있다.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USB Type-C 포트(예: 도 2의 USB 커넥터(230))는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용기(Receptacle) 구조의 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장치(예: 도 2의 외부 장치(240))에 포함된 USB Type-C 포트(예: 도 2의 USB 커넥터(241))는 단자에 삽입할 수 있는 플러그(Plug) 구조의 핀들로 구성될 수 있다. USB Type-C 포트는 제1 핀(311, 312), 제2 핀(321, 322, 323, 324), 및/또는 제3 핀(331, 332, 333, 33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핀(311, 312)은 CC 핀일 수 있다. 제1 핀(311, 312)은 CC1 핀(311) 및 CC2 핀(312)을 포함할 수 있다. CC1 핀(311) 및 CC2 핀(312)은 USB Type-C 포트(230, 241)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240)를 연결할 때 외부 장치(240)의 장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CC1 핀(311) 및 CC2 핀(312)은 PDIC(예: 도 2의 PDIC(223))과 USB 커넥터(230)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핀(311, 312)은 케이블의 위 및 아래의 구분을 제거하기 위해 2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CC1 핀(311) 및/또는 CC2 핀(312)에 Rd 저항이 인식되는 경우 USB 호스트 모드(Host Mode)를 구동할 수 있다. Rd 저항은 USB Type-C 스펙(Spec)에서 정의하고 있는 저항으로 약 5.1㏀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핀(321, 322, 323, 324)은 VBUS 핀일 수 있다. 제2 핀(321, 322, 323, 324)을 통해 외부 장치(24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핀(331, 332, 333, 334)은 D+ 핀 또는 D- 핀일 수 있다. 제3 핀(331, 332, 333, 334)은 USB 2.0 인터페이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USB Type-C 포트는 고속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는 핀들(TX1+, TX1-, TX2+, TX2-, RX1+, RX1-, RX2+, RX2-), 보조 버스 핀(SBU1, SBU2), 및/또는 그라운드 핀(GN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USB 열거(Enumeration) 과정을 나타낸 도면(400)이다. USB 열거 과정은 외부 장치(240) 별로 주소(address)를 형성하는 과정일 수 있다. USB 열거 과정은 분리(Unattached)(410), 연결(Attached)(420), 전력 공급(Powered)(430), 디폴트(Default)(440), 어드레스(Addressed)(450), 및/또는 수립(Configured)(460)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분리(410)에서 연결(420)로 진행할 때 VBUS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VBUS가 충분한 경우 연결(420)에서 전력 공급(430)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전력 공급(430) 과정에서 전자 장치(101)로부터 리셋(Reset) 명령을 수신하고 D+ 핀 및/또는 D- 핀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예: 도 2의 외부 장치(240))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디폴드(440) 과정에서 외부 장치(240)로부터 주소 설정(Set Address) 명령을 수신하고 전자 장치(101)에서 장치 서술자(Device Descriptor)를 읽을 수 있다. 어드레스(450) 과정에서 외부 장치(240)로부터 수립 설정(Set Configuration) 명령을 수신하고 장치 별로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주소의 개수는 (2의 거듭제곱-1)개일 수 잇다. 예를 들어 주소의 개수는 127개일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를 외부 장치(240)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500)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510에서 USB 커넥터(230, 241)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에 외부 장치(24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PDIC(223)는 제1 핀(311, 312)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240)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USB Type-C 포트에 USB Type-C 이어폰이 연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충전 회로(222)는 동작 520에서 제2 핀(321, 322, 323, 324)에 해당하는 VBUS를 통해 제1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압은 외부 장치(240)로 공급되어 외부 장치(2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1 전압은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189)에서 제공되는 전압을 승압시킨 전압일 수 있다. 제1 전압은 약 4.75V 이상 약 5.25V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USB Type-C 포트에 USB Type-C 이어폰이 연결되면 충전 회로(222)에서 VBUS 핀을 통해 약 5V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에 포함된 USB 드라이버(212-1)는 동작 530에서 USB 열거를 통해 벤더 식별자(Vender ID)인 VID 및 제품 식별자(Product ID)인 PID를 획득할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는 외부 장치(240)가 최초로 전자 장치(101)에 장착되는 경우 USB 열거 과정을 통해 VID/PID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드라이버(212-1)는 USB Type-C 이어폰이 전자 장치(101)의 USB 커넥터(230)에 연결되는 경우 USB Type-C 이어폰의 VID/PID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드라이버(212-1)는 USB 오디오 장치인 USB Type-C 이어폰을 열거하게 되고 장치 서술자 내부의 VID/PID를 통해 USB Type-C 이어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에 포함된 USB 드라이버(212-1)는 동작 540에서 VID/PID가 제1 외부 장치와 동일한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외부 장치는 지정된 벤더 식별자 및 지정된 제품 식별자를 갖는 장치일 수 있다. 지정된 벤더 식별자 및 지정된 제품 식별자는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는 USB 커넥터(230)의 제3 핀(331, 332, 333, 334)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240)로부터 획득된 VID/PID가 지정된 벤더 식별자 및 지정된 제품 식별자와 동일한 지 확인할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는 VID/PID가 제1 외부 장치와 동일한 경우(동작 540-YES) 동작 550으로 진행할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는 VID/PID가 제1 외부 장치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동작 540-NO) 추가적인 확인을 종료하고 충전 장치(2222)가 USB 커넥터(230)의 VBUS를 통해 외부 장치(240)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 외부 장치(240)로 제1 전압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에 포함된 USB 드라이버(212-1)는 동작 550에서 USB 허브(Hub)에 연결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USB 허브는 하나의 USB 포트에 USB를 지원하는 외부 장치(240)를 복수 개 연결할 수 있는 보조 장치일 수 있다. USB 허브가 연결된 경우 전압을 감소시키지 않고 일정하게 공급하여야 외부 장치(24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USB는 USB 허브를 통해서 외부 장치(240)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한데 만약 USB Type-C 이어폰이 USB 허브를 경유하여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USB 허브의 동작 전압은 약 5V를 보장해야 할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는 USB 허브(Hub)에 연결된 상태인 경우(동작 550-YES) 추가적인 확인을 종료하고 충전 장치(2222)가 USB 커넥터(230)의 VBUS를 통해 외부 장치(240)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 외부 장치(240)로 제1 전압을 공급하도록 하며, 이 경우 VBUS 핀에서 약 4.5V로 하압하지 않고 약 5V의 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는 USB 허브(Hub)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동작 550-NO) 동작 560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에 포함된 USB 드라이버(212-1)는 동작 560에서 VBUS를 통해 제1 전압보다 작은 제2 전압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는 USB 커넥터(230)에 제1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충전 회로(222)가 상기 제1 전압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신호를 충전 드라이버(212-2)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전압은 약 4.35V 이상 약 4.7V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외부 장치를 USB Type-C 이어폰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USB 드라이버(212-1)는 연결된 외부 장치(240)가 USB Type-C 이어폰인지 여부를 VID/PID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는 USB 허브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USB Type-C 이어폰이 연결되는 경우 VBUS 핀의 전압을 감소시키는 회신(Callback)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는 충전 회로(222)에서 VBUS 핀을 통해 출력하는 전압의 크기를 낮추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드라이버(212-1)는 충전 회로(222)에서 VBUS 핀을 통해 출력하는 전압의 크기를 약 5V에서 약 4.5V로 낮추게 하여 소모 전력을 약 14㎽ 감소시킬 수 있다. USB Type-C 이어폰의 동작 전압은 약 3.1V 이상 약 5.5V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1)와 연결된 외부 장치(240)가 USB Type-C 이어폰의 경우 USB 드라이버(212-1)가 VBUS 핀에서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를 약 5V에서 약 4.5V로 감소시키도록 하는 경우 USB Type-C 이어폰을 정상적으로 동작시키면서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USB Type-C 이어폰이 동작하여 세트가 턴-온 된 상태에서 배터리(189)의 전압은 약 3.4V 이상 약 4.4V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적인 전압 범위를 갖는 배터리(189)에서 USB Type-C 이어폰으로 일정한 크기를 갖는 전압을 출력해 주기 위해서는 부스트(Boost) 회로 동작이 필요할 수 있다. 안정적인 부스트 회로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부스트 회로의 입력 전압인 배터리(189)의 전압보다 출력 전압인 Type-C 이어폰에 제공되는 전압이 높아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189)가 가질 수 있는 최대 전압보다 높은 약 4.5V의 전압을 VBUS 핀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 서술자(610)를 나타낸 도면(6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장치 서술자(610)는 외부 장치(240)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 및 설명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서술자(610)는 벤더 식별자(611) 및 제품 식별자(612)를 포함할 수 있다. USB 컨트롤러(221)는 제3 핀(331, 332, 333, 334)을 이용하여 장치 서술자(610)를 획득하여 외부 장치(240)의 벤더 식별자(611) 및 제품 식별자(612)를 확인할 수 있다. 벤더 식별자(611)는 0X04E8과 같은 지정된 식별자일 수 있다. 제품 식별자(612)는 0XA50 내지 0XA55와 같은 지정된 범위의 식별자들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장치 서술자(610)는 장치 클래스(613), 장치 프로토콜(614), 및/또는 장치 일련번호(615)와 같은 외부 장치(240)의 종류, 통신 방법, 및/또는 세부적인 제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USB 드라이버(212-1)가 충전 드라이버(212-2)에 공급하는 전압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7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커널(212)에서는 USB Type-C 이어폰이 연결되면 PDIC 드라이버(212-3)에서 Rd 저항을 인식할 수 있다. PDIC 드라이버(212-3)는 USB 드라이버(212-1)를 호스트 모드 온(Host Mode On)할 수 있다. PDIC 드라이버(212-3)는 제1 전압을 충전 드라이버(212-2)에 공급할 수 있다. PDIC 드라이버(212-3)는 충전 드라이버(212-2)가 OTG 부스트 온 하여 VBUS 핀을 통해 5V를 출력하도록 충전 드라이버(212-2)를 제어할 수 있다. 호스트 모드 온 되는 경우 USB 드라이버(212-1)에 포함된 XHCI 드라이버가 활성화되어 USB 열거 과정이 시작될 수 있다. USB 열거 과정이 시작되면 USB 드라이버(212-1)는 연결된 외부 장치(240)의 VID/PID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USB 드라이버(212-1)는 연결된 외부 장치(240)가 제1 외부 장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는 전자 장치(101)와 연결된 외부 장치(240)가 USB Type-C 이어폰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USB 드라이버(212-1)는 USB Type-C 이어폰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212-1)는 USB Type-C 이어폰 목록을 메모리(130)로부터 읽어올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는 USB Type-C 이어폰 목록에 포함된(예: 등록된) USB Type-C 이어폰 모델들 각각의 벤더 식별자(611) 및 제품 식별자(612)를 읽을 수 있다.
예를 들어, 0x04e8은 USB Type-C 이어폰의 벤더 식별자(611)일 수 있다. 다른 예로, 0xa057, 0xa058, 0xa054, 0xa051은 USB Type-C 이어폰의 제품 식별자(612)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USB 드라이버(212-1)는 연결된 외부 장치(240)의 장치 서술자(610)를 읽고 VID/PID를 확인할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는 확인한 VID/PID가 USB Type-C 이어폰 목록에 등록된 USB Type-C 이어폰 모델들의 벤더 식별자(611) 및 제품 식별자(612)와 일치하는 경우 연결된 외부 장치(240)가 USB Type-C 이어폰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USB 드라이버(212-1)는 감지한 VID/PID가 USB Type-C 이어폰인 것을 확인한 경우 USB Type-C 이어폰이 연결되었다는 알림 메시지를 충전 드라이버(212-2)로 전달할 수 있다.일 실시 예에서, USB 드라이버(212-1)는 연결된 외부 장치(240)가 오디오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는 오디오 장치가 연결된 경우 연결된 장치의 VID/PID를 확인할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는 확인한 VID/PID가 USB Type-C 이어폰 목록에 등록된 USB Type-C 이어폰 모델들의 벤더 식별자(611) 및 제품 식별자(612)와 일치하는 경우 USB Type-C 이어폰이 연결되었다는 사실을 충전 드라이버(212-2)에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 메시지를 전달 받은 충전 드라이버(212-2)는 OTG 부스트 설정을 변경하여 제1 전압보다 낮은 제2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충전 드라이버(212-2)는 충전 회로(222)에서 출력하는 VBUS의 전압을 약 5V에서 약 4.5V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충전 드라이버(212-2)는 충전 회로(222)에서 외부 전원 공급 핀에 전압을 내 주도록 할 수 있다. 즉, 충전 드라이버(212-2)는 OTG 부스트를 온(on) 할 수 있다. 충전 드라이버(212-2)는 전압 크기를 제1 전압에서 제2 전압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출력 전압을 설정하는 출력 전압 조정 함수의 출력 전압 값을 제2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충전 드라이버(212-2)는 OTG 부스트 설정에서 출력 전압 조정 함수에서 출력 전압을 4500mV 즉 4.5V로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USB 드라이버(212-1)가 충전 드라이버(212-2)에 공급하는 전압을 감소시키는 경우 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8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OTG 전류에 따른 OTG 부스트의 효율은 변화할 수 있다. OTG 전류가 증가하는 경우 효율은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압(810)으로 부스트하는 경우보다 제2 전압(820)으로 부스트하는 경우 효율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스트 전압을 약 5.1V로 구동하는 경우보다 부스트 전압을 약 4.5V로 구동하는 경우 약 14㎽ 소비 전력이 감소하고 약 5㎃ 정도 소모 전류가 감소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를 외부 장치(240)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900)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910에서 USB 커넥터(230, 241)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에 외부 장치(24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충전 회로(222)는 동작 920에서 제2 핀(321, 322, 323, 324)에 해당하는 VBUS를 통해 제1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USB 드라이버(212-1)는 동작 930에서 USB 열거를 통해 카테고리 필드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장치(240)가 USB 오디오 클래스 장치인 경우 USB 드라이버(212-1)는 열거 과정 중에 외부 장치(240)와 VID/PID 및 오디오 제어 인터페이스 서술자(Audio Control Interface Descriptor)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USB 드라이버(212-1)는 동작 940에서 외부 장치(240)가 오디오 클래스 장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USB 오디오 클래스 장치가 연결 되었을 경우에만 오디오 제어 인터페이스 서술자를 이용하여 카테고리 필드를 획득할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는 외부 장치(240)가 오디오 클래스 장치인 경우(동작 940-YES) 동작 950으로 진행할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는 외부 장치(240)가 오디오 클래스 장치가 아닌 경우 (동작 940-NO) 추가적인 확인을 종료하고 충전 회로(222)가 VBUS를 통해 외부 장치(240)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 외부 장치(240)로 제1 전압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USB 드라이버(212-1)는 동작 950에서 카테고리 필드의 세부 정보가 헤드셋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오디오 제어 인터페이스 서술자에 포함된 카테고리 필드는 외부 장치(240)에 관련된 세부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필드는 오디오 기능 카테고리 코드(Audio Function Category Code)라고 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는 카테고리 필드의 세부 정보가 헤드셋에 해당하는 경우(동작 950-YES) 동작 960으로 진행할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는 카테고리 필드의 세부 정보가 헤드셋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동작 950-NO) 추가적인 확인을 종료하고 충전 회로(222)가 VBUS를 통해 외부 장치(240)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 외부 장치(240)로 제1 전압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USB 드라이버(212-1)는 동작 960에서 USB 허브(Hub)에 연결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는 USB 허브(Hub)에 연결된 상태인 경우(동작 960-YES) 추가적인 확인을 종료하고 충전 회로(222)가 VBUS를 통해 외부 장치(240)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 외부 장치(240)로 제1 전압을 공급하도록 하며, 이 경우 VBUS 핀에서 약 4.5V로 하압하지 않고 약 5V의 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USB 컨트롤러(221)는 USB 허브(Hub)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동작 960-NO) 동작 970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USB 드라이버(212-1)는 동작 970에서 충전 회로(222)가 VBUS를 통해 제1 전압보다 작은 제2 전압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USB 드라이버(212-1)는 USB 커넥터(230, 241)에 헤드셋이 연결된 것을 확인하는 경우 충전 회로(222)가 상기 제1 전압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신호를 충전 회로(22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서술자(1010)를 나타낸 도면(10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페이스 서술자(1010)는 카테고리 필드(1011), 서술자 종류(1012), 및/또는 카테고리 길이(1013)와 같은 인터페이스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 필드(1011)는 오디오 기능 카테고리 필드(10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기능 카테고리 필드(1011-1)는 인터페이스 서술자(1010) 내에서 카테고리 필드로 지정된 상수 값으로 해당 오디오 기능의 주된 사용을 제조자가 의도한 대로 정의할 수 있다. 오디오 기능 카테고리 필드(1011-1)는 오디오 기능 카테고리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다른 오디오 기능 카테고리 코드(1010-1)를 나타낸 도면(1100)이다. 오디오 키능 카테고리 코드(1010-1)는 오디오 기능 카테고리 필드(1011-1)에서 외부 장치(240)의 종류 별로 지정한 값일 수 있다. 오디오 키능 카테고리 코드(1010-1)는 스피커에 0x01, 홈 씨어터에 0x02, 마이크에 0x03, 헤드셋에 0x04의 값을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장치(240)의 카테고리 필드(1011)의 오디오 기능 카테고리 필드(1011-1)의 코드 값이 0x04인 경우 헤드셋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충전 회로(222)에 전압 조정을 요청해서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기능 서브 클래스(Audio Function SubClass)가 헤드셋인 경우에 대해서만 VBUS 전압을 약 5V에서 약 4.5V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를 외부 장치(240)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1200)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1210에서 USB 커넥터(230, 241)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에 외부 장치(24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충전 회로(222)는 동작 1220에서 제2 핀(321, 322, 323, 324)에 해당하는 VBUS를 통해 제1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USB 드라이버(212-1)는 동작 1230에서 USB 열거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외부 장치(240)가 USB Type-C 이어폰과 같은 오디오 장치인 경우 다중 수립(multi configuration)을 지원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오디오 데이터를 등시성(Isochronous)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240)로 전송할 수 있다. 등시성 방식은 시간적으로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 방식일 수 있다. 등시성 방식은 UDP(User Datagram Protocol)와 같이 데이터의 무결성이 보장되지 않는 데이터 전송 방식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USB 드라이버(212-1)는 동작 1240에서 SOF(Start of Frame) 주기 1회 동안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SOF의 경우 풀(Full) 속도의 경우 약 1㎳의 주기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하이(High) 속도의 경우 약 125㎲의 주기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USB 컨트롤러(221)는 지정된 주기인 제1 주기마다 출력되는 데이터의 출력 양인 제1 양을 등시성 방식에서 지정된 최대 값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USB 드라이버(212-1)는 동작 1250에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동안 저전력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SOF 주기에 최대한 많이 보내 저전력 모드에 자주 진입하게 함으로써 외부 장치(240)의 USB(예: 도 2의 USB(242-1))가 사용하는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상 모드(1310) 및 저전력 모드(Low Power Mode, LPM)들(1320, 1330, 1340)을 나타낸 도면(13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정상 모드(1310)는 전자 장치(101)가 정상적으로 외부 장치(2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정상 모드(1310)는 L0로 정의될 수 있다. 저전력 모드들(1320, 1330, 1340)은 전자 장치(101)가 외부 장치(2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는 경우 진입할 수 있는 모드들일 수 있다. 저전력 모드들(1320, 1330, 1340)은 L1 모드(1320), L2 모드(1330), L3 모드(1340)로 정의될 수 있다. L1 모드(1320)는 슬립(Sleep) 모드, L2 모드(1330)는 서스펜드(Suspend) 모드, L3 모드(1340)는 턴 오프(Turn off) 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L0 모드(1310)에서 전자 장치(101)는 외부 장치(240)로 호스트 응답을 전송하고 L1 모드(1320)로 진입할 수 있다. L1 모드(13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240) 장치로부터 디바이스 응답을 받아 L0 모드(1310)로 진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L1 모드(1320)보다 장시간 저전력 모드인 경우 L0 모드(1310)에서 L2 모드(1330)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외부 장치(240)와 약 10㎲ 동안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는 경우 외부 장치(240)로 호스트 응답을 전송하고 L1 모드(1320)로 진입하고, 외부 장치(240)와 약 3㎳ 동안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는 경우 L2 모드(1330)로 진입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1)는 외부 장치(240)로부터 약 70㎲ 이상 약 1㎳ 이하의 시간 동안 지정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L1 모드(1320)에서 L0 모드(1310)로 진입하고, 외부 장치(240)로부터 약 30㎳ 이상의 시간 동안 지정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복구 명령을 받아 L2 모드(1330)에서 L0 모드(1310)로 진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외부 장치(240)와 분리되는 경우 L3 모드(1340)로 진입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외부 장치(240)와 다시 연결되어 리셋되는 경우 L3 모드(1340)에서 L0 모드(1310)로 복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한 SOF 주기에 최대한 많이 보내 저전력 모드 중 하나인 L1 모드(1320)에 자주 진입시키는 경우 외부 장치(240)의 USB(242-1)가 사용하는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101))는 외부 장치(예: 도 2의 외부 장치(240))가 USB 포트(예: 도 2의 USB 커넥터(230))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전력 전달 회로(예: 도 2의 PDIC(223)), 상기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예: 도 1의 배터리(189))로부터 상기 USB 포트(230)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240)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회로(예: 도 2의 충전 회로(222)) 및 상기 충전 회로(222)를 제어하는 프로세서(예: 도 2의 USB 드라이버(212-1))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전달 회로(223)는 상기 USB 포트(230)에 상기 외부 장치(24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USB 포트(230)의 제1 핀(예: 도 3의 제1 핀(311, 312))을 통하여 확인하고, 상기 충전 회로(222)는 상기 USB 포트(230)에 상기 외부 장치(240)가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 장치(240)로 제2 핀(예: 도 3의 제2 핀(321, 322, 323, 324))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189)에서 제공되는 전압을 승압시킨 전압인 제1 전압(예: 도 8의 제1 전압(810))을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212-1)는, 상기 USB 포트(230)에 연결된 상기 외부 장치(240)가 지정된 벤더 식별자(예: 도 6의 벤더 식별자(611)) 및 지정된 제품 식별자(예: 도 6의 제품 식별자(612))를 갖는 제1 외부 장치인지 여부를 상기 USB 포트(230)의 제3 핀(예: 도 3의 제3 핀(331, 332, 333, 334))을 통하여 확인하고, 상기 USB 포트(230)에 상기 제1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충전 회로(222)가 상기 제1 전압(810)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 전압(예: 도 8의 제2 전압(820))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신호를 상기 충전 회로(222)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212-1)는 상기 USB 포트(230)에 상기 제1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USB 포트에 USB 허브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USB 허브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충전 회로(222)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USB 포트(230)는 USB Type-C 포트이고, 상기 제1 외부 장치는 USB Type-C 이어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핀(311, 312)은 CC1 핀 및/또는 CC2 핀이고, 상기 제2 핀(321, 322, 323, 324)은 VBUS 핀이고, 상기 제3 핀(331, 332, 333, 334)은 D+ 핀 및/또는 D- 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212-1)는 상기 외부 장치(240) 별로 주소를 형성하는 열거 과정 중에 상기 지정된 벤더 식별자(611) 및 상기 지정된 제품 식별자(612)를 포함하는 장치 서술자(예: 도 6의 장치 서술자(610))를 읽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212-1)는 상기 충전 회로(222)에서 부스팅을 감소시키거나 최소 전압으로 부스팅이 발생하도록 하는 부스팅 감소 정보를 상기 제1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전압(810)은 약 4.75V 이상 약 5.25V 이하이고, 상기 제2 전압(820)은 약 4.35V 이상 약 4.7V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212-1)는 지정된 주기인 제1 주기마다 출력되는 데이터의 출력 양인 제1 양을 등시성 방식에서 지정된 최대 값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제1 주기를 제외한 구간에서 전력 상태를 정상 상태(예: 도 13의 정상 모드(1310))에서 절전 상태(예: 도 13의 저전력 모드들(1320, 1330, 1340))로 변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를 외부 장치(240)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101)의 USB 포트(230)에 상기 외부 장치(24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 장치(101)의 전력 전달 회로(223)가 상기 USB 포트(230)의 제1 핀(311, 312)을 통하여 확인하고, 상기 USB 포트(230)에 상기 외부 장치(240)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189)로부터 상기 USB 포트(230)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240)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회로(222)에서 상기 외부 장치(240)로 제2 핀(321, 322, 323, 324)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189)에서 제공되는 전압을 승압시킨 전압인 제1 전압(810)을 출력하고, 상기 충전 회로(222)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12-1)가 상기 USB 포트(230)에 연결된 상기 외부 장치(240)가 지정된 벤더 식별자(611) 및 지정된 제품 식별자(612)를 갖는 제1 외부 장치인지 여부를 상기 USB 포트(230)의 제3 핀(331, 332, 333, 334)을 통하여 확인하고, 상기 프로세서(212-1)는 상기 USB 포트(230)에 상기 제1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충전 회로(222)가 상기 제1 전압(810)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 전압(820)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신호를 상기 충전 회로(222)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외부 장치(240)가 USB 포트(230)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전력 전달 회로(223), 상기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189)로부터 상기 USB 포트(230)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240)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회로(222) 및 상기 충전 회로(222)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12-1)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전달 회로(223)는 상기 USB 포트(230)에 상기 외부 장치(24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USB 포트(230)의 제1 핀(311, 312)을 통하여 확인하고, 상기 충전 회로(222)는 상기 USB 포트(230)에 상기 외부 장치(240)가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 장치(240)로 제2 핀(321, 322, 323, 324)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189)에서 제공되는 전압을 승압시킨 전압인 제1 전압(810)을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212-1)는, 상기 외부 장치(240)의 카테고리 필드(예: 도 10의 카테고리 필드(1011))를 확인하고, 상기 카테고리 필드(1011)의 세부 정보(예: 도 11의 오디오 기능 카테고리 필드(1011-1))가 지정된 제1 외부 장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충전 회로(222)가 상기 제1 전압(810)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 전압(820)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신호를 상기 충전 회로(222)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212-1)는 상기 카테고리 필드(1011)의 세부 정보(1011-1)가 헤드셋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충전 회로(222)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212-1)는 상기 외부 장치(240) 별로 주소를 형성하는 열거 과정 중에 상기 카테고리 필드(1011)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서술자(예: 도 10의 인터페이스 서술자(1010))를 읽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212-1)는 상기 카테고리 필드(1011)에 포함된 서브 클래스의 코드(예: 도 11의 오디오 기능 카테고리 코드(1010-1))가 헤드셋에 지정된 코드(예: 도 11의 헤드셋(0x04))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충전 회로(222)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가 USB 포트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전력 전달 회로;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로부터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회로; 및
    상기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전달 회로는 상기 USB 포트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USB 포트의 제1 핀을 통하여 확인하고,
    상기 충전 회로는 상기 USB 포트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 제2 핀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압을 승압시킨 전압인 제1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된 상기 외부 장치가 지정된 벤더 식별자 및 지정된 제품 식별자를 갖는 제1 외부 장치인지 여부를 상기 USB 포트의 제3 핀을 통하여 확인하고,
    상기 USB 포트에 상기 제1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충전 회로가 상기 제1 전압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신호를 상기 충전 회로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포트에 상기 제1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USB 포트에 USB 허브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USB 허브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충전 회로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SB 포트는 USB Type-C 포트이고,
    상기 제1 외부 장치는 USB Type-C 이어폰인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핀은 CC1 핀 및/또는 CC2 핀이고,
    상기 제2 핀은 VBUS 핀이고,
    상기 제3 핀은 D+ 핀 및/또는 D- 핀인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 별로 주소를 형성하는 열거 과정 중에 상기 지정된 벤더 식별자 및 상기 지정된 제품 식별자를 포함하는 장치 서술자를 읽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회로에서 부스팅을 감소시키거나 최소 전압으로 부스팅이 발생하도록 하는 부스팅 감소 정보를 상기 제1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은 약 4.75V 이상 약 5.25V 이하이고,
    상기 제2 전압은 약 4.35V 이상 약 4.7V 이하인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지정된 주기인 제1 주기마다 출력되는 데이터의 출력 양인 제1 양을 등시성 방식에서 지정된 최대 값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제1 주기를 제외한 구간에서 전력 상태를 정상 상태에서 절전 상태로 변환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USB 포트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 장치의 전력 전달 회로가 상기 USB 포트의 제1 핀을 통하여 확인하고,
    상기 USB 포트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로부터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회로에서 상기 외부 장치로 제2 핀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압을 승압시킨 전압인 제1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가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된 상기 외부 장치가 지정된 벤더 식별자 및 지정된 제품 식별자를 갖는 제1 외부 장치인지 여부를 상기 USB 포트의 제3 핀을 통하여 확인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포트에 상기 제1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충전 회로가 상기 제1 전압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신호를 상기 충전 회로로 전송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포트에 상기 제1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USB 포트에 USB 허브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USB 허브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충전 회로로 전송하는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USB 포트는 USB Type-C 포트이고,
    상기 제1 외부 장치는 USB Type-C 이어폰인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핀은 CC1 핀 및/또는 CC2 핀이고,
    상기 제2 핀은 VBUS 핀이고,
    상기 제3 핀은 D+ 핀 및/또는 D- 핀인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 별로 주소를 형성하는 열거 과정 중에 상기 지정된 벤더 식별자 및 상기 지정된 제품 식별자를 포함하는 장치 서술자를 읽는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회로에서 부스팅을 감소시키거나 최소 전압으로 부스팅이 발생하도록 하는 부스팅 감소 정보를 상기 제1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은 약 4.75V 이상 약 5.25V 이하이고,
    상기 제2 전압은 약 4.35V 이상 약 4.7V 이하인 방법.
  16.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가 USB 포트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전력 전달 회로;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로부터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회로; 및
    상기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전달 회로는 상기 USB 포트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USB 포트의 제1 핀을 통하여 확인하고,
    상기 충전 회로는 상기 USB 포트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 제2 핀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압을 승압시킨 전압인 제1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의 카테고리 필드를 확인하고,
    상기 카테고리 필드의 세부 정보가 지정된 제1 외부 장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충전 회로가 상기 제1 전압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신호를 상기 충전 회로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테고리 필드의 세부 정보가 헤드셋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충전 회로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 별로 주소를 형성하는 열거 과정 중에 상기 카테고리 필드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서술자를 읽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테고리 필드에 포함된 서브 클래스의 코드가 헤드셋에 지정된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충전 회로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지정된 주기인 제1 주기마다 출력되는 데이터의 출력 양인 제1 양을 등시성 방식에서 지정된 최대 값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제1 주기를 제외한 구간에서 전력 상태를 정상 상태에서 절전 상태로 변환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KR1020190116402A 2019-09-20 2019-09-20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 KR20210034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402A KR20210034431A (ko) 2019-09-20 2019-09-20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
PCT/KR2020/009669 WO2021054594A1 (en) 2019-09-20 2020-07-22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power consumption reducing method when using electronic device in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US16/947,548 US11243594B2 (en) 2019-09-20 2020-08-06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power consumption reducing method when using electronic device in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EP20190902.5A EP3796130A1 (en) 2019-09-20 2020-08-13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power consumption reducing method when using electronic device in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CN202010859166.4A CN112540664A (zh) 2019-09-20 2020-08-24 当电子装置与外部装置连接使用时降低功耗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402A KR20210034431A (ko) 2019-09-20 2019-09-20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431A true KR20210034431A (ko) 2021-03-30

Family

ID=7208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402A KR20210034431A (ko) 2019-09-20 2019-09-20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43594B2 (ko)
EP (1) EP3796130A1 (ko)
KR (1) KR20210034431A (ko)
CN (1) CN112540664A (ko)
WO (1) WO202105459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570B1 (ko) * 2022-04-13 2022-08-02 주식회사 엠스톤 영상 기록 장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서버
WO2023008738A1 (ko) * 2021-07-27 2023-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른 전자 장치를 충전하는 전자 장치 및 다른 전자 장치를 충전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20675A (zh) * 2021-10-29 2022-02-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供电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4442984A (zh) * 2022-01-29 2022-05-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号处理方法及第一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1345B2 (en) 1999-12-28 2005-11-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JP2001251326A (ja) * 1999-12-28 2001-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伝送システム、データ伝送方法及びデータ伝送装置
KR100671755B1 (ko) * 2001-04-25 2007-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KR101139647B1 (ko) * 2005-02-28 2012-05-14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인터페이스 장치
KR101187143B1 (ko) * 2005-11-22 2012-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기기 인식장치 및 방법
US9235249B2 (en) 2006-11-30 2016-01-12 Nokia Technologies Oy Power control for serial bus peripheral device
US20110016253A1 (en) * 2009-07-16 2011-01-20 Musa Ibrahim Kakish Auto-function USB port
US9310838B2 (en) * 2010-03-19 2016-04-12 I/O Interconnect, Ltd. Power management method for switching power mode of a computer system based on detection of a human interface device
KR101846925B1 (ko) 2011-03-21 2018-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인터페이스 방법
US10152104B2 (en) * 2012-06-15 2018-12-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licy engine startup procedure for a default provider in USB power delivery
US8909818B2 (en) * 2012-09-27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shortening enumeration of tightly coupled USB device
US9348382B2 (en) 2013-02-22 2016-05-24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to an electronic device
CN104393627B (zh) 2014-08-29 2017-06-30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Usb充电器、移动终端和充电控制方法
CN105990863A (zh) 2015-02-03 2016-10-05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Usb接口充电装置
US9997940B2 (en) * 2015-04-23 2018-06-12 Apple Inc. Smart power bank system for efficient energy transfer
US10468893B2 (en) * 2015-08-19 2019-11-05 Delta Electronics, Inc. USB charging method having protection function
KR102476581B1 (ko) * 2015-10-02 2022-1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적응적 전력 관리 방법 및 장치
US9990326B2 (en) * 2015-10-14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Universal serial bus (USB) split cable
KR102512619B1 (ko) * 2015-11-10 2023-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충전 방법
KR102582600B1 (ko) * 2015-12-07 202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11514B1 (ko) * 2016-02-03 2023-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양한 충전 방식을 이용한 고속 충전 방법 및 장치
US9929771B2 (en) * 2016-02-05 2018-03-27 Apana Inc. Low power, centralized data collection
KR102639882B1 (ko) * 2016-05-04 202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8018414A (ja) 2016-07-29 2018-02-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KR20180024793A (ko) * 2016-08-31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09110B1 (ko) 2017-03-24 2021-10-06 삼성전자 주식회사 Usb 타입 c 커넥터에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7196357A (zh) * 2017-05-09 2017-09-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设备、终端设备及充电方法、充电监测方法
CN109508084A (zh) * 2017-09-15 2019-03-22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终端设备、供电方法、处理设备、存储介质以及芯片系统
KR102577457B1 (ko) * 2017-11-01 2023-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90100601A (ko) * 2018-02-21 2019-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신호 단자에 감지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로 출력하는 전압을 제어 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US11568044B2 (en) * 2018-03-19 2023-01-31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etting universal serial bus device firmware
US10338621B1 (en) * 2018-09-11 2019-07-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oltage regulator in USB power delivery integrated circuit
CN112514332B (zh) * 2018-09-16 2023-03-31 标柏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事物描述模型以使USB设备转作物联网(IoT)设备运行的方法和系统
US10971875B2 (en) * 2018-11-04 2021-04-06 Kien Hoe Daniel Chin Apparatus and method of securing adapters to a mobile device
KR102651715B1 (ko) * 2019-07-30 202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Usb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738A1 (ko) * 2021-07-27 2023-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른 전자 장치를 충전하는 전자 장치 및 다른 전자 장치를 충전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427570B1 (ko) * 2022-04-13 2022-08-02 주식회사 엠스톤 영상 기록 장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43594B2 (en) 2022-02-08
US20210089099A1 (en) 2021-03-25
EP3796130A1 (en) 2021-03-24
WO2021054594A1 (en) 2021-03-25
CN112540664A (zh)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8407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voltage output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size of voltage detected at signal terminal connected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KR102430757B1 (ko) 안테나 연결이 가능한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210034431A (ko)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
US11340676B2 (en) Method of identify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power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supporting same
KR102405773B1 (ko) Usb 타입 c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멀티 디바이스 간의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102446172B1 (ko)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771987B1 (en) Electronic device for preventing damage of usb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2631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with docking device by using USB interface
KR20190021776A (ko)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 장치
US11204882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external conversion device
US11269588B2 (en)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audio through USB port and method thereof
CN110800168B (zh) 改变连接器中包括的端子的阻抗的方法和装置
US20220147130A1 (en) Metho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voltage, and electronic device and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210037309A (ko) 컨트롤 ic의 리셋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015467A (ko)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무선 충전 장치의 통신 방법
US1177504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power from external electronic device
KR20200114757A (ko) 키리스 리셋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20230044807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connector and method for sensing disconnection
KR20200116250A (ko) 오디오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00134058A (ko) 전자 장치에서 외부 장치로 공급하는 전압에 대한 피드백 검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