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2030A - 펜스용 그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 펜스 - Google Patents

펜스용 그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2030A
KR20020082030A KR1020010021778A KR20010021778A KR20020082030A KR 20020082030 A KR20020082030 A KR 20020082030A KR 1020010021778 A KR1020010021778 A KR 1020010021778A KR 20010021778 A KR20010021778 A KR 20010021778A KR 20020082030 A KR20020082030 A KR 20020082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bolt
safety fence
fence
fou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근
Original Assignee
박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근 filed Critical 박호근
Priority to KR1020010021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2030A/ko
Publication of KR20020082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03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10Ice-skating or roller-skating rinks; Slopes or trails for skiing, ski-jumping or tobogga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키장 등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 설치하여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안전 펜스에 관한 것으로, 소정 경로를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지주, 지주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은 바닥에 연결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부딪히는 사람을 받아주고, 측면 가장자리에 이웃하는 것과 착탈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지퍼가 설치된 다수의 그물 및 그물의 상단과 하단을 지주와 바닥에 연결하여주기 위한 신축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파손된 부분의 그물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쉽고, 설치상태가 규칙적이고, 누가 설치하더라도 동일한 상태로 그물이 설치되기 때문에 규격화하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그물과 지주, 그물과 제 2기초 사이에 스프링이 개재되기 때문에 충격흡수력이 매우 뛰어나므로 특히 사람이 부딪히는 충격력이 매우 큰 스키장에 설치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펜스용 그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 펜스{Net for fense and safty fense utilizing the net}
본 발명은 펜스(fence)용 그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 펜스(safety fen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키장 등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 설치하여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그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키장 등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는 곳에는 안전 펜스를 설치한다. 안전 펜스로는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스펀지나 스치로폼을 비닐이나 천으로 둘러 싸 블록형태로 만든 것, 그물을 이용한 것 등이 있다. 경사지인 스키장에서는 스키를 즐기는 사람의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넘어지는 사람이 받는 충격력은 매우 크다. 이에 따라 스키장 등에서는 안전 펜스로 충격완충 성능이 뛰어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안전 펜스로 긴 그물을 스키장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지주에 상단을 연결하고, 하단은 작은 쐐기를 땅에 박아 거기에 연결하여 고정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 펜스에서는 설치하기가 까다로우며, 그물 한 곳이 조금만 찢어지더라도 그물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 그물의 설치를 주먹구구식으로 하기 때문에 안전에 문제가 유발될 수 있으며, 단순히 끈으로 그물을 연결하기 때문에 완충성능도 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안전 펜스로는 규격화가 어려워 안전성 검사를 하기 힘들고, 설치하는 사람에 따라 안전도에 편차가 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펜스를 규격화할 수 있고, 완충력이 커서 안전성이 뛰어나고, 교체가 쉬울 뿐만 아니라 설치하는 사람에 관계없이 안전도에 편차가 생기지 않도록 해주는 펜스용 그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 그물을 이용한 안전 펜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펜스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I-I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그물과 신축연결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펜스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안전 펜스110, 110a : 지주
111 : 제 1기초113 : 지지관
120 : 그물121 : 지퍼
123 : 벨크로 파스너125 : 관통공
127 : 원통부재129 : 보강선
130 : 신축연결수단131 : U볼트
132 : 링부재133 : 너트
134 : 스프링135 : 연결부재
136 : 체결수단139 : 제 2기초
본 발명의 목적은 펜스용 그물에 있어서, 가장자리에 이웃하는 그물과 용이하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용 그물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지퍼에 이웃하여 밸크로 파스너가 더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한 경로를 따라 설치되어 부딪치는 사람에게 미치는 충격을 완화시켜주기 위한 안전 펜스에 있어서, 소정 경로를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지주, 지주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은 바닥에 연결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부딪히는 사람을 받아주고, 측면 가장자리에 이웃하는 것과 착탈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지퍼가 설치된 다수의 그물 및 그물의 상단과 하단을 지주와 바닥에 연결하여주기 위한 신축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펜스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그물의 가장자리에는 이웃하는 그물과의 연결을 보강하기 위한 벨크로 파스너가 더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지주는 제 1기초 상에 설치되어 일측으로 굴곡되고, 그물의 하단은 제 1기초와 이격하여 설치된 제 2기초에 연결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위 그물의 4 모서리 부근에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관통공에 원통부재가 각각 설치되고, 원통부재 간에 그물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강선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좋다.
위 신축연결수단은 꺾여진 끝단에 나선을 형성하여 그물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삽입부를 갖는 U볼트와, U볼트의 끝단에 결합되어 U볼트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링부재와, 링부재 바깥쪽 U볼트의 끝단에 결합되어 U볼트가 관통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너트와, U볼트에 연결된 스프링과, 스프링의 끝단에 설치된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를 지주 또는 제 2기초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펜스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I-I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물과 신축연결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펜스(100)는 크게 스키장의 가장자리 등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110)와, 이지주(110)를 통해 설치되며, 지퍼(121)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그물(120)과, 그물(120)을 지주(110)와 바닥에 연결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축연결수단(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10)는 스키장의 가장자리 등 필요한 경로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그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제 1기초(111) 상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주(110)는 상단부근이 안쪽으로 꺾여져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주(110)로는 직경이 70~80㎜인 아연도금강관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지주(110)로는 주위 지형에 따라 다른 형태로,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할 수 있는 부분이다. 단지 그물(120)에 부딪히는 사람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여줄 수 있고, 또 그 때의 충격에 의해 그물(120)이 늘어나는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있으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펜스(100)는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해주는 그물(1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그물(120)은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그 측면 가장자리에는 이웃하는 그물(120)과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퍼(121)가 설치되어 있다. 즉, 이 지퍼(121)를 통해 누구나 쉽게 그물(120)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파손된 것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그물(120)은 그 설치된 상태에서 스키 등을 타다가 넘어지거나 충돌하는 사람을 받아주는 부분으로, 부분적으로 늘어나면서 부딪히는 사람에게 미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주는 부분이다. 이러한 그물(120)의 지퍼(121)에 이웃하여 벨크로 파스너(velcro fastener, 1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벨크로 파스너(123)는 지퍼(121)만으로 부족한 그물(120) 상호간의 연결력을 보강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이 벨크로 파스너(123)로는 일측면에는 암벨크로파스너(123a)를 그 반대면에는 숫벨크로 파스너(123b)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좋고, 이웃하는 그물간의 동일측면에도 그렇게 하는 것이 좋다. 물론, 일측 그물(120)에 벨크로 파스너(123)를, 그와 마주보는 타측 그물(120)에 벨크로 파스너(123)가 걸릴 수 있는 고리형태의 것을 설치하여, 벨크로 파스너(123)가 고리형태의 것에 걸리게 한 후 다시 되돌아와서 자신이 설치된 그물(120)의 일측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물(110)의 모서리 부근에는 관통공(125)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125)에 원통부재(127)가 결합된다. 원통부재(127)는 그물(120)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 1기초(111) 상에 지지된 지주(110)의 끝단과, 제 1기초(111)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된 제 2기초(139)에 각각 설치되는 신축연결수단(130)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그물(12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보강선(129)이 설치된다. 이 보강선(129)은 4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원통부재(127)에 걸려 그물(120)이 큰 충격력에도 견딜 수 있도록 보강하여주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펜스(100)는 신축연결수단(1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신축연결수단(130)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물(120)의 상단은 지주(110)의 끝단에, 그물(120)의 하단은 바닥의 제 2기초(139)에 각각 탄성적으로 연결하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 신축연결수단(130)의 탄성으로 인해 그물(120)에 부딪히는 사람에게 미치는 충격력을 더욱 완충하여줄 수 있는데, 이 또한 본 발명의 큰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이러한 신축연결수단(13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U볼트(131)를 구비하고 있다. 이 U볼트(131)는 그 끝단이 90°꺾여진 삽입부(131a)를 구비하고 있다. 이는 관통공(125)으로 삽입되는 부분으로, 그 끝단에 나선(131b)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25)을 통과한 U볼트(131)의 끝단에는 링부재(132)가 결합된다. 링부재(132)는 U볼트(131)의 끝단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에 구멍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 U볼트(131)가 양측으로 힘을 받더라도 그 끝단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링부재(132) 바깥쪽 U볼트(131)의 끝단에는 너트(133)가 결합된다. 이는 링부재(132)가 U볼트(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U볼트(131)가 관통공(125)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U볼트(131)에는 스프링(134)이 연결되어 있다. 이 스프링(134)은 그물(120)에 부딪치는 사람에게 미치는 충격을 한층 더 완충하여주어 그 사람이 다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무게 80㎏의 사람이 약 60km/hour 속도로 부딪혔을 때 상하 스프링(134)이 그 자체 길이의 배 정도 늘어날 수 있는 스프링 계수를 갖는 것을 사용하면 무난하다. 이 스프링(134) 양단의 고리부분 끝단은 큰 힘을 받더라도 벌어지지 않도록 고온용접하여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프링(134)의 끝단에는 그 상단에 구멍이 형성된 U자 형태의 연결부재(135)가 연결되고, 이 연결부재(135)는 볼트와 너트로 된 체결수단(136)을 통해 지주(110) 또는 제 2기초(139)에 설치된 브래킷 등에 체결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펜스(100)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펜스(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를 따라 기초볼트(111a, 131a)를 갖는 제 1기초(111)와 제 2기초(139)를 소정 간격 이격하여 각각 설치하고, 제 1기초(111)에는 상단 일측이 안쪽으로 꺾인 지주(110)를 설치하고, 제 2기초(139)에는 신축연결수단(130)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브래킷(132)을 고정하여둔다. 그런 다음 이웃하는 두 그물(120)을 지퍼(121)로 상호 연결한 후 그 양측면에서 다시 벨크로 파스너(123)로 결합한다.
한편, 신축연결수단(130)을 체결수단(136)으로 지주(110)의 끝단에 설치된 브래킷(112)과 제 2기초(139) 상에 설치된 브래킷(132)에 각각 체결하여둔다. 이 신축연결수단(130)의 U볼트(131)의 두 끝단은 일측의 링부재(132)에 먼저 삽입 하고, 이웃하는 두 그물(120)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25)에 각각 삽입한 후 반대편으로 돌출된 부분에 다른 링부재(132)를 끼우고, 그 바깥쪽에서 너트(133)를 잠근다. 이러한 과정으로 각 그물(120)을 순서대로 지주(110)와 제 2기초(139)에 각각 설치해 나가면 안전 펜스(100)의 설치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펜스(100)는 그 설치상태가 규칙적이고, 누가 설치하더라도 동일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그물에 미치는 최대 충격력 등을 고려하여 규격화하기가 쉽고, 또 그물(120)이 일측이 파손되더라도 그 그물(120)만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펜스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펜스를 설치하고자하는 장소에 언덕이 있는 경우, 거기에 지지관(113)을 설치하고, 이 지지관(113)에 지주(110a)의 하단을 삽입하여 지주(110a)를 경사지게 설치한 다음, 이 지주(110a)와 제 2기초(139) 사이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의 신축연결수단(130)으로 각 그물(120)을 순서대로 연결하여 나가면 된다. 물론, 신축연결수단(130)과 그물(120)의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펜스는 파손된 부분의 그물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쉽다.
또, 설치상태가 규칙적이고 누가 설치하더라도 동일한 상태로 그물이 설치되기 때문에 규격화하기가 쉽다.
뿐만 아니라 그물과 지주, 그물과 제 2기초 사이에 스프링이 개재되기 때문에 충격흡수력이 매우 뛰어나므로 특히 사람이 부딪히는 충격력이 매우 큰 스키장에 설치하기에 적합하다.

Claims (7)

  1. 필요한 경로를 따라 설치되어 부딪치는 사람에게 미치는 충격을 완화시켜주기 위한 안전 펜스에 있어서,
    상기 경로를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지주;
    상기 지주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은 바닥에 연결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부딪치는 사람을 받아주고, 측면 가장자리에 이웃하는 것과 착탈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지퍼가 설치된 다수의 그물; 및
    상기 그물의 상단과 하단을 상기 지주와 상기 바닥에 연결하여주기 위한 신축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펜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의 가장자리에는 이웃하는 그물과의 연결을 보강하기 위한 벨크로 파스너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펜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제 1기초 상에 설치되어 일측으로 굴곡되고, 상기 그물의 하단은 상기 제 1기초와 이격하여 설치된 제 2기초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펜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의 4 모서리 부근에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원통부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원통부재 간에 상기 그물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강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펜스.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연결수단은 꺾여진 끝단에 나선을 형성하여 그물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삽입부를 갖는 U볼트와, 상기 U볼트의 끝단에 결합되어 U볼트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링부재와, 링부재 바깥쪽 U볼트의 끝단에 결합되어 U볼트가 관통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너트와, 상기 U볼트에 연결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끝단에 설치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제 2기초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펜스.
  6. 펜스용 그물에 있어서,
    가장자리에 이웃하는 그물과 용이하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용 그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에 이웃하여 밸크로 파스너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용 그물.
KR1020010021778A 2001-04-23 2001-04-23 펜스용 그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 펜스 KR20020082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778A KR20020082030A (ko) 2001-04-23 2001-04-23 펜스용 그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778A KR20020082030A (ko) 2001-04-23 2001-04-23 펜스용 그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030A true KR20020082030A (ko) 2002-10-30

Family

ID=27702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778A KR20020082030A (ko) 2001-04-23 2001-04-23 펜스용 그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203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879B1 (ko) * 2010-02-12 2012-05-16 정진택 스키장 안전 펜스 및 그 시공방법
KR200466069Y1 (ko) * 2010-12-13 2013-04-08 대한민국 왕우렁이 유출차단장치
CN110107146A (zh) * 2019-05-24 2019-08-09 国家电网有限公司 变电站便接式围栏网
CN113349596A (zh) * 2021-07-31 2021-09-07 石新高 一种适用于公寓床的安全防护系统
KR102354095B1 (ko) * 2021-04-27 2022-01-20 원성재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차단 그물망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879B1 (ko) * 2010-02-12 2012-05-16 정진택 스키장 안전 펜스 및 그 시공방법
KR200466069Y1 (ko) * 2010-12-13 2013-04-08 대한민국 왕우렁이 유출차단장치
CN110107146A (zh) * 2019-05-24 2019-08-09 国家电网有限公司 变电站便接式围栏网
KR102354095B1 (ko) * 2021-04-27 2022-01-20 원성재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차단 그물망
CN113349596A (zh) * 2021-07-31 2021-09-07 石新高 一种适用于公寓床的安全防护系统
CN113349596B (zh) * 2021-07-31 2023-12-19 石新高 一种适用于公寓床的安全防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8332A (en) Domed membrane structure and method of erecting it
EP1728924B1 (en) Device for holding sliding masses or bodies
US5957425A (en) Safety sign post with breakaway connection
JP6393850B1 (ja) 防護柵における支柱の立設構造
JP3143816U (ja) 落石防護ネット構造
KR20020082030A (ko) 펜스용 그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 펜스
JP2003213972A (ja) フェンス構造体
KR100855231B1 (ko)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200300015Y1 (ko) 도로용 가이드 레일
JP3448587B2 (ja) 防護柵用支柱の基礎構造
CN209760887U (zh) 一种人工挖孔桩锁口多功能防护棚
US7308776B2 (en) Pole anchor footing system
JPH0728180Y2 (ja) 落石防止柵
US20090064633A1 (en) Telescopic Post and Bracing System for Bedrock Locations
KR20120001920U (ko) 도로 가드레일 결합형 보조가드레일지주
JP3874769B2 (ja) 落石防護ネット構造及びその工法
JP3258994B2 (ja) 大スパン落石防護工法および支柱装置
KR200370302Y1 (ko) 지하철공사의 경사면 도로구간용 밀림방지 조립식 복공판
KR102635716B1 (ko) 가드레일 보강장치
CN220151050U (zh) 野外帐篷抗风安装装置
CN215518445U (zh) 一种雪崩防护装置
JP2869519B2 (ja) 落石・落雪等防護施設の支柱吊りロープアンカー構造
KR100534640B1 (ko)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KR200493038Y1 (ko) 조립이 용이한 지주 폴
JP2560885Y2 (ja) 可動性防護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