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1907A - 표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표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1907A
KR20020081907A KR1020010021401A KR20010021401A KR20020081907A KR 20020081907 A KR20020081907 A KR 20020081907A KR 1020010021401 A KR1020010021401 A KR 1020010021401A KR 20010021401 A KR20010021401 A KR 20010021401A KR 20020081907 A KR20020081907 A KR 20020081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nveying
conveyance
wiring board
surfac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1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4598B1 (ko
Inventor
이치카와기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루멕쿠스
주식회사 티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70194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8190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루멕쿠스, 주식회사 티케이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루멕쿠스
Priority to KR10-2001-0021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598B1/ko
Publication of KR20020081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5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린트배선기판(60)의 세로 모양을 유지하면서 프린트 배선 기판(60)을 도금처리조(52)내의 반송로(62)를 따라서 반송하는 반송기구(54)를 갖고, 반송로(62)내의 프린트 배선기판(60)에 도금 처리를 실시하는 도금처리장치(50)에 관한 것으로서, 반송기구(54)는 반송로(62)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고, 또 반송방향(A)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팽팽하게 설치된 복수의 와이어(80)를 갖는 반송 가이드(72)와, 프린트 배선 기판(60)이 반송 가이드(72)로 둘러싸인 반송로(62)내로 들어가는 세로 모양을 유지 가능하게 프린트 배선 기판(60)의 상부를 유지하는 상부 유지수단(74)과, 상부 유지수단(74)을 반송방향(A)으로 반송 가능한 반송수단(76)을 갖는 것으로, 평판 형상물을 유지하는 지그의 형상, 유지 위치를 최소한으로 하고, 지그에 대한 평판 형상물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비용 절감 및 수율의 향상을 도모하고, 또 평판형상물이 조내에서 반송시에 움직이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면처리장치{SURFACE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표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박형의 평판 형상물에 대한 표면처리에 적합한 표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형상물에 표면처리를 실시하는 표면처리장치로서, 예를 들면 프린트 배선 기판에 도금 처리를 실시하는 도금 처리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도금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도금 처리 대상물인 프린트 배선 기판이 비교적 두꺼운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한 상부 유지 클램프(10)로 프린트 배선 기판(12)의 상부만을 유지하고, 프린트 배선 기판(12)을 수직 상태로 유지하면서, 도금처리조내를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도금처리대상물인 프린트 배선기판이 얇아지면 프린트 배선 기판을 도금 처리조내에서 반송할 때, 프린트배선기판이 도금액중에서 움직여버려 적정한 간격거리를 유지할 수 없어 균일한 도금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특히, 도금처리조내에서 도금액에 액류를 부여하여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는 경우에는 보다 더 프린트 배선 기판이 액중에서 움직여버려 상기한 문제가 더 현저해진다.
이때문에,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4)에 상부 유지 클램프(16) 및 하부 유지 클램프(18)를 부착한 지그(20)에 의해 프린트 배선 기판(12)의 상하부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2개의 프레임(22)에 의해 프린트 배선 기판(12)의 상하 좌우를 연속하여 유지하는 클램프부(24)를 설치한 지그(26)를 이용하여 프린트 배선 기판(12)의 전 주위를 유지하는 것으로 프린트 배선 기판(12)이 액중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그(20, 26)를 사용할 경우에는 지그(20, 26)의 형상도 복잡해질뿐만 아니라 1개의 프린트 배선 기판(12)에 대해 1개의 지그(20, 26)가 필요하여 지그(20, 26)의 수가 많아져 비용이 높아진다.
또, 각각의 지그(20, 26)에 대한 프린트 배선 기판(12)의 착탈에 손이 많이가고, 비용이 높아진다.
또, 프린트 배선 기판(12)의 유지 부분이 증가하여 그만큼 제품의 수율이 저하하게 된다.
특히, 박형의 프린트 배선 기판(12)은 취급하기 어렵고, 지그(20, 26)에 대한 착탈 작업도 손이 많이 가고, 또 착탈 작업시에 굴곡이나 접힘이 발생하기 쉬워 제품 수율도 저하하게 된다.
또, 도 5c와 같은 지그(26)를 이용하는 경우 평판 형상물의 두께가 변하면 지그(26)도 그에 따라서 변경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목적은 평판형상물을 유지하는 지그의 형상, 유지 위치를 최소한으로 하고, 지그에 대한 평판 형상물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비용 절감 및 수율의 향상을 도모하고, 또 평판형상물이 조내에서 반송시에 움직이는 것을 확실히방지할 수 있는 표면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도금처리장치의 반송반향을 따르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 Ⅱ-Ⅱ로 본 평면도,
도 3의 도 1의 Ⅲ-Ⅲ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도금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및
도 5a∼도 5c는 각각 종래 기술의 프린트 배선 기판의 유지용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110 : 도금처리장치 52 : 도금 처리조
54 : 반송기구 56 : 조(槽) 본체
60 : 프린트 배선기판 62 : 반송로
72, 112 : 반송 가이드 74 : 상부 유지수단
76 : 반송수단 80 : 와이어
82 : 언코일러 84 : 코일러
86, 88 : 확장 가이드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표면처리장치는 평판 형상물의 세로 모양을 유지하면서 상기 평판형상물을 표면처리조내의 반송로를 따라서 반송하는 반송기구를 갖고, 상기 반송로내의 평판형상물에 표면처리를 실행하는 표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는 상기 반송로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고, 또 상기 반송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팽팽하게 설치된 복수의 와이어를 갖는 반송 가이드와,
상기 평판형상물이 상기 반송가이드로 둘러싸인 반송로내로 들어가는 세로 모양을 유지 가능하게 상기 평판형상물의 상부를 유지하는 상부 유지수단; 및
상기 상부 유지수단을 상기 반송방향으로 반송 가능한 반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판형상물의 상부를 유지하는 상부 유지수단으로 평판 형상물의 세로 모양을 유지하기 때문에 상부 유지수단을 간략한 구성으로, 또 유지부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비용 절감과 제품의 수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반송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팽팽하게 설치된 복수의 와이어를 갖는 반송 가이드에 의해 평판 형상물의 반송시의 가이드를 실행하기 때문에 반송시에 평판 형상물이 움직인 경우에도 그 움직임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확실한 표면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을 도금 처리 장치에 적용할 경우에는 평판 형상물의 도금액중에서의 반송시에 평판 형상물이 액중에서 움직인 경우에도 적정한 간격 거리를 유지하여 균일한 도금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 평판 형상물의 두께의 차이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표면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자동화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 평판 형상물을 가이드하는 반송 가이드는 복수의 와이어로 형성되기 때문에 반송 가이드 전체를 박형화하여 표면처리조의 박형화에 기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송 가이드는 팽팽하게 설치한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평행하게 배치하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와이어의 설치를 균일하고 조밀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송 가이드는 팽팽하게 설치한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상기 반송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하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복수의 와이어 사이를 반송되는 평판 형상물이 반송시에 와이어와 유지 부분이 항상 같은 위치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평판형상물에 대한 표면 처리를 더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송 가이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와이어는 비도전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본 발명을 도금처리장치에 적용한 경우, 도금처리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송 가이드는 적어도 상기 평판 형상물의 입구측에 상기 평판 형상물 안내용의 확대된 확장 가이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팽팽하게 설치된 복수의 와이어의 양측의 반송로를 둘러싼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확장 가이드부에 의해 평판 형상물을 확실히 복수의 와이어 사이로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송 가이드는 상기 표면처리조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반송 가이드의 복수의 와이어에 문제점이 생긴 경우, 반송 가이드를 표면 처리조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반송 가이드를 표면 처리조에서 취출하여 와이어를 조(槽)외에서 용이하게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반송 가이드는 팽팽하게 설치된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상기 반송 방향의 한쪽측에서 풀기 가능한 언코일러와 그 다른쪽측에서 감기 가능한 코일러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복수의 와이어에 문제점이 생긴 경우, 언코일러로부터 코일러에 와이어를 감는 것으로 반송 가이드를 표면처리조에 설치한 상태 그대로도 새로운 와이어를 처리조내에 공급하여 보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평판 형상물이 프린트 배선기판이고, 상기 상부 유지수단이 유지한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에 통전 가능하게 되어 있도록 하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금 처리장치에 있어서, 간략한 구조로 프린트 배선 기판에 통전할 수 있어 양호한 도금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도금 처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도금 처리 장치의 반송방향을 따르는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살표 Ⅱ-Ⅱ로 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이 도금처리장치(50)는 도금처리조(52)와 반송기구(54)를 갖는다.
도금처리조(52)에는 조 본체(56)의 상부에 그의 길이방향 변을 따라서 한쌍의 도금액 공급관(58)이 배치되어 있다.
각 도금액 공급관(58)으로부터는 평판 형상물인 도금대상물로서의 프린트배선기판(60)의 반송로(62)를 따라서, 복수의 분기관(64)이 조 본체(56)내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도금액 공급관(58) 및 분기관(64)을 통하여 조 본체(56)내에 도금액(66)이 공급되어 조 본체(56)내를 채우도록 되어 있다.
또, 조 본체(56)내에는 분기관(64)의 외측 위치에 반송로(62)를 따라서 복수의 양극(68)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 양극(68)은 급전(給電) 행거(70)에 지지되고, 급전 행거(70)로부터 급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 프린트배선기판(60)은 예를 들면 0.06mm정도의 것이고, 굴곡이나 접힘이 생기기 쉽게 되어 있다.
반송기구(54)는 반송가이드(72)와 상부 유지수단으로서의 상부 유지 클램프(74)와 반송수단(76)을 갖고, 프린트 배선기판(60)을 도금처리조(52)내의 반송로(62)를 따라서 반송방향(A)으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반송가이드(72)는 반송로(62)의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프레임(78)과 이들 각 가이드프레임(78)에 반송방향(A)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팽팽하게 설치된 복수의 와이어(80)를 갖는다.
이들 복수의 와이어(80)는 각 가이드프레임(78)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고, 또 수평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각 와이어(80)는 프린트 배선 기판(60)의 반입측의 단부가 조 본체(56)상에 배치된 언코일러(82)에 감겨지고, 또 프린트 배선 기판(60)의 반출측의 단부가 조 본체(56)의 윗쪽에 설치된 코일러(84)에 감겨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이 와이어(80)는 반송되는 프린트 배선 기판(60)과의 마찰 감소 및 도금 처리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비도전체, 예를 들면 불화 수지 등의 수지 와이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프린트 배선 기판(60)의 반송시에 프린트배선기판(60)이 와이어(80)에 접촉하면 와이어(80)가 마찰되어 가늘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생긴 경우에는 코일러(84)에서 와어어(80)를 감고, 언코일러(82)측에서 와이어(80)를 풀어 새로운 와이어(80)를 반송로(62) 부분에 배치하여 용이하게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양측의 와이어(80)사이의 간격은 프린트 배선 기판(60)의 통과를 허락하고,또 프린트 배선 기판(60)이 도금액중에서 움직이려고 한 경우에 그 움직임을 멈추게 할 수 있을 정도로 되어 있다.
또, 가이드프레임(78)에는 프린트 배선 기판(60)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각각 가이드프레임(78)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확장된 확장 가이드부(86, 88)가 설치되고, 상기 확장 가이드부(86, 88)의 확장에 따라서 와이어(80)의 양단부도 확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프린트 배선 기판(60)을 와이어(80)를 배치한 가이드프레임(78)사이로 도입할 때, 확장 가이드부(86)가 도입 가이드로서 기능하게 되어 가이드프레임(79)사이의 간격이 좁아져도 원활하게 프린트 배선 기판(60)을 반송로(62)로 도입할 수 있다.
또, 가이드프레임(78)사이로부터 프린트 배선 기판(60)을 반출측으로 빼내는 경우에도 확장 가이드부(88)에 의해 원활히 취출할 수 있다.
상부 유지 수단(74)은 각 프린트 배선 기판(60)에 대해 한쌍 설치된 상부 유지 클램프(75)를 갖고, 상기 상부 유지 클램프(75)에 의해 프린트 배선 기판(60)이 반송 가이드에 둘러싸인 반송로(62)내로 들어가는 세로 모양을 유지 가능하게, 프린트 배선 기판(60)의 상부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한쌍의 상부 유지 클램프(75)는 한쌍의 매달림 바(90)를 통하여 반송용 슬라이드부재(92)에 부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프린트 배선 기판(60)은 음극이 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상부 유지수단(74)을 통하여 프린트 배선 기판(60)에 급전되도록 되어 있다.
반송수단(76)은 상부 유지수단(74)을 반송로(62)를 따라서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것으로, 반송용 슬라이드부재(92)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반송 레일(94)를 갖고 있다.
상기 반송레일(94)은 중앙의 주 레일부(96)와 상기 주 레일부(96)의 양 단부에 배치된 반입 레일부(98) 및 반출 레일부(100)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주 레일부(96)는 도금처리조(52)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 반입 레일부(98) 및 반출 레일부(100)는 상기 주 레일부(96)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주 레일부(96), 반입 레일부(98) 및 반출 레일부(100)에는 각각 모터(102), 풀리(104) 및 반송벨트(106) 등의 반송 구동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반송 구동수단에 의해 반송용 슬라이드부재(92)가 반송방향으로 반송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반입 레일부(98)가 상승 위치에서 프린트 배선기판(60)을 유지한 상태로 주 레일부(96) 위치까지 하강하여 반입 레일부(98)상의 프린트 배선 기판(60)을 주 레일부(96)에 건네고, 이 상태에서 주 레일부(96)가 프린트 배선 기판(60)을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고, 이 반송중에 프린트 배선기판(60)에 도금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 반송로(62)의 종단 위치에서 도금 처리를 종료한 프린트 배선 기판(60)을 주 레일부(96)로부터 반출 레일부(100)에 건네고, 반송 레일부(100)가 상승하여 반출을 실행하게 된다.
이 경우, 반입 레일부(98) 대응 위치에서는 확장 가이드부(86)에 의해 프린트 배선 기판(60)의 도금 처리조내에서의 반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고, 또 반입 레일부(98)로부터 주 레일부(96)로의 이행시에는 확장 가이드부(86)에 의해 프린트 배선 기판(60)이 가이드 프레임(78)사이의 반송로에 확실히 도입되게 된다.
또, 반송로(62)에 있어서는 가이드프레임(78)에 배치된 와이어(80)에 의해 프린트 배선 기판(60)이 가이드되기 때문에 프린트 배선 기판(60)과 양극(68)사이의 간격 거리가 확실히 일정하게 유지되어 균일한 도금 처리가 실행되게 된다.
또, 프린트 배선 기판(60)의 반출시에도 확장 가이드부(88)가 간격을 넓힌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취출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도금 처리 장치의 개략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금 처리장치(110)에서는 도금처리조(52)에 대해 반송 가이드(112)를 탈착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언코일러(82)나 코일러(84)를 설치하지 않고, 와이어(80)에 마모 등의 문제점이 생긴 경우에는 도금 처리조(52)로부터 반송 가이드(112)를 취출하여 문제점이 생긴 와이어(80)를 조외에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 와이어(80)는 가이드프레임(78)에 대해 평행하고, 반송방향(A)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와이어(80)사이를 반송되는 프린트 배선 기판(60)이 반송중에 와이어(8)와 같은 장소가 접촉하는 상태가 방지되어 양호한 도금 처리가 가능해진다.
다른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며, 동일한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프레임의 프린트 배선 기판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각각 확장 가이드부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확장 가이드부는 반드시 입구측 및 출구측의 양측에 설치할 필요 없고, 적어도 입구측에 형성하면 좋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도금 처리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반드시 도금 처리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평판 형상물의 세로 모양을 유지하면서 반송로를 따라서 보낼 때 평판 형상물의 움직임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면 여러가지의 표면처리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평판형상물을 유지하는 지그의 형상, 유지 위치를 최소한으로 하고, 지그에 대한 평판 형상물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비용 절감 및 수율의 향상을 도모하고, 또 평판형상물이 조내에서 반송시에 움직이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표면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평판 형상물의 세로 모양을 유지하면서 상기 평판형상물을 표면처리조내의 반송로를 따라서 반송하는 반송기구를 갖고, 상기 반송로내의 평판형상물에 표면처리를 실시하는 표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는 상기 반송로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고, 또 상기 반송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팽팽하게 설치된 복수의 와이어를 갖는 반송 가이드와,
    상기 평판형상물이 상기 반송가이드로 둘러싸인 반송로내로 들어가는 세로 모양을 유지 가능하게 상기 평판형상물의 상부를 유지하는 상부 유지수단; 및
    상기 상부 유지수단을 상기 반송방향으로 반송 가능한 반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가이드는 팽팽하게 설치한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평행하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가이드는 팽팽하게 설치한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상기 반송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가이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와이어는 비도전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가이드는 적어도 상기 평판 형상물의 입구측에 상기 평판 형상물 안내용의 확장된 확장 가이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가이드는 상기 표면처리조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가이드는 팽팽하게 설치된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상기 반송방향의 한쪽측에서 풀기 가능한 언코일러와 또 다른쪽측에서 감기 가능한 코일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형상물이 프린트배선기판이며, 상기 상부 유지수단이 유지한 상기프린트 배선 기판에 통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장치.
KR10-2001-0021401A 2001-04-20 2001-04-20 표면처리장치 KR100414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401A KR100414598B1 (ko) 2001-04-20 2001-04-20 표면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401A KR100414598B1 (ko) 2001-04-20 2001-04-20 표면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907A true KR20020081907A (ko) 2002-10-30
KR100414598B1 KR100414598B1 (ko) 2004-01-07

Family

ID=2770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401A KR100414598B1 (ko) 2001-04-20 2001-04-20 표면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598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47468B (en) * 1990-08-17 1994-10-05 Omi International Electroplating process
JP2943070B1 (ja) * 1998-07-30 1999-08-30 丸仲工業株式会社 均一メッキ処理を可能にした電気メッキ処理システム
JP3400729B2 (ja) * 1998-12-14 2003-04-28 株式会社ケミトロン メッキ用搬送方法と搬送間隔調整装置及びメッキ装置
KR20010034947A (ko) * 1999-10-08 2001-05-07 김정식 인쇄 회로 기판 도금 장치 및 방법
KR200184195Y1 (ko) * 1999-12-04 2000-06-01 주식회사심텍 인쇄회로기판 도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4598B1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769B1 (ko)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2종 이상의 도금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게 하는 인쇄회로기판 도금장치
JP2013011009A (ja) 表面処理装置及びワーク保持治具
JP5865958B2 (ja) 表面処理装置及びワーク保持治具
JP2011068492A (ja) 表面処理装置における板状被処理物の搬送装置、この搬送装置の挟持チャック
KR100414598B1 (ko) 표면처리장치
JP3754262B2 (ja) 表面処理装置
JP4190413B2 (ja) 非常に薄く平らな被処理物の搬送並びに湿式化学的又は電解的処理のための装置
JP2004346391A (ja) メッキ装置
JP3579802B2 (ja) 陰極板の自動搬送処理装置
JP6737527B2 (ja) 表面処理装置
JP2016029219A (ja) 表面処理装置
KR20120024394A (ko) 표면처리장치
JP4800009B2 (ja) メッキ装置
JP2015063717A (ja) ワーク保持枠体及びこれを用いためっき処理装置
JP3170766U (ja) クランプ搬送による薄板状被処理物の水平連続メッキ処理装置
JP6687592B2 (ja) 表面処理装置及びワーク保持治具
JP4568675B2 (ja) メッキ装置
JP2017128817A (ja) 表面処理装置
KR102351289B1 (ko) 지그장치가 필요없는 롤투롤 방식의 fpcb기판 처리장치
CN213266750U (zh) 镀覆装置
KR20160011780A (ko) 피도금물 이송용 캐리어
KR102506259B1 (ko) 수직 연속형 설비의 클램프 이송장치
KR200195590Y1 (ko) 다종 기판 도금용 지그
TWM606113U (zh) 鍍覆裝置
JP2002285397A (ja) 表面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927

Effective date: 20120924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1029

Effective date: 2013051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617

Effective date: 201310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8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