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1518A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1518A
KR20020081518A KR1020010020871A KR20010020871A KR20020081518A KR 20020081518 A KR20020081518 A KR 20020081518A KR 1020010020871 A KR1020010020871 A KR 1020010020871A KR 20010020871 A KR20010020871 A KR 20010020871A KR 20020081518 A KR20020081518 A KR 20020081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thode ray
ray tube
side wall
substr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3171B1 (ko
Inventor
임선우
김대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0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171B1/ko
Priority to US10/124,377 priority patent/US7301585B2/en
Publication of KR20020081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케이싱과, 상기 전면케이싱의 배면에 결합되는 음극선관과, 상기 음극선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음극선관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메인기판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을 수용하는 기판프레임과; 상기 전면케이싱의 배면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판프레임을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지지하는 프레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외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조립공정에서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프레임 설치영역의 구조가 개선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란 TV나 컴퓨터용 모니터를 통틀어 일컫는 말로써, 일반적으로 CRT모니터와 LCD모니터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 중 CRT모니터는, 음극선관(CRT)을 사용해서 영상신호의 세기에 따라 각기 다른 양의 전자빔이 CRT의 표면에 입혀진 단색 또는 RGB(Red, Green, Blue)의 형광물질을 타격하여 각기 다른 밝기나 색깔의 빛을 내게 만드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 부피가 커서 공간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음극선관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외관의 부피를 최소화하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6는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는 도 6의 기판프레임 설치영역의 요부확대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디스플레이장치(1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케이싱(103)과, 커버케이싱(103)내에 수용되는음극선관조립체(105)를 가지고 있으며, 음극선관조립체(105)로 전기적신호를 전달하는 메인기판(107)과, 메인기판(107)을 지지하는 기판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커버케이싱(103)은 상호 결합에 의해 음극선관조립체(105) 및 메인기판(107) 등의 부품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전면케이싱(110)과 후면케이싱(111)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면케이싱(110)에는 음극선관(120)의 패널부 전면에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투시개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케이싱(110) 배면의 내측 각 모서리에는 음극선관조립체(105)의 결합을 위한 암나사부(117)를 갖는 음극선관결합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케이싱(110)의 배면 하부에는 음극선관(120)의 전방 하단부를 지지하는 음극선관지지부(160) 및 기판프레임(140)의 결합을 위한 프레임지지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지지부(150)는 기판프레임(140)의 양측벽(141) 전방영역을 지지하도록 음극선관지지부(160)의 후방벽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측벽지지부(151)와, 양 측벽지지부(151) 사이구간에 형성되어 기판프레임(140)의 하부면 전방 연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153)를 갖는다.
양 측벽지지부(151)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벽 영역에는 후술할 기판프레임(140)의 양측벽(141)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복수의 가이드홈(155)이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155)은 전면케이싱(110)의 배면에 대해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음극선관조립체(105)는 음극선관(120)과, 음극선관(120)의 후단부영역에 결합되는 전자총 및 비디오장치(121)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음극선관(120)의 상부및 하부에는 음극선관(120) 및 주변부품들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을 제거하여 패널에 표시되는 화면을 안정시키는 디가우징코일(135)(Degaussin Coil)이 마련되어 있다. 이 음극선관조립체(105)는 음극선관(120)의 전방 둘레에 결합된 금속재의 결합밴드(123)에 의해 전면케이싱(110)에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결합밴드(123)의 각 모서리영역에는 음극선관조립체(105)가 전면케이싱(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스크류통과공(127)을 갖는 결합편(125)이 외향 돌출되어 있다.
기판프레임(140)은 메인기판(107)을 수용할 수 있도록 둘레외벽을 갖는 사각트레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프레임(140)의 전방영역 양측벽(141)에는 측벽지지부(151)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155)에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돌기(1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판프레임(140)은 양측벽(141)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돌기(143)들이 측벽지지부(151)의 가이드홈(155)에 슬라이딩 삽입됨으로써, 전면케이싱(110)에 대해 직교하도록 수평 결합된다.
한편, 양 측벽지지부(151)의 상부에는 음극선관(120)의 하부에 배치된 디가우징코일(135)의 양측부를 위치고정시키는 한편, 음극선관(120)의 만곡부위 일영역을 지지하는 지지홀더(170)가 결합되어 있다. 이 지지홀더(170)는 측벽지지부(15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서, 지지홀더(170)의 하부 외측에는 측벽지지부(151)와의 결합을 위한 ??자형상의 걸림부(177)가 형성되어 있고, 측벽지지부(151)의 상부 외측에는 걸림부(177)의 내측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157)와, 걸림부(177)의 외측을 지지하는 ??자 형상의 안내가이드(15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홀더(170)의 상부 외측에는 디가우징코일(135)의 양측부를 위치고정하기 위한 코일수용부(17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코일수용부(179)는 지지홀더(170)의 외측으로부터 ┛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지지홀더(170)의 외측벽과 함께 ??자형상의 수용홈을 형성한다. 한편, 기판프레임(140)의 전방벽 상단부에는 음극선관(120)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디가우징코일(135)의 일구간을 파지하는 코일밴드(147)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측벽지지부(151)와 지지홀더(170)에는 상호 맞물림 결합됨으로써, 지지홀더(170)의 유동을 방지하는 홀더고정부(180)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고정부(180)는 지지홀더(17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공(181)과, 측벽지지부(151)의 상부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걸림후크(183)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는, 기판프레임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케이싱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프레임지지부에 수평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따른다. 즉, 기판프레임이 전면케이싱과 직교하여 수평으로 결합됨으로써, 배면커버의 상하방향 높이를 축소하는데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기판프레임이 수평을 유지하며 전면케이싱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위해서는, 측벽지지부에 복수의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기판프레임의 양측벽에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수만큼 삽입돌기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측벽지지부의 상하높이와 기판프레임의 측벽 크기가 비교적 크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전면케이싱의 하부영역과 배면커버의 하부영역에 기판프레임의 장착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장치의 부피(도 8 및 도 9의 표시부"C")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음극선관의 하부에 배치되는 디가우징코일이 측벽지지부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홀더의 상부에 형성된 코일수용부와, 기판프레임의 전방벽 상단부에 결합되는 코일밴드에 의해 위치고정되기 때문에, 디가우징코일은 기판프레임의 상부영역에서 위치고정된다. 이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디스플레이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는, 기판프레임이 전면케이싱에 대해 직교하는 수평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음극선관과 기판프레임이 전면케이싱에 결합된 셋트가 다음의 조립공정에서 음극선관의 무게에 의해 전방으로(도 9의 표시부 "D" 방향) 전도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조립공정에서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기판프레임 설치영역의 요부확대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 및 도 2의 기판프레임 설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단면도,
도 6는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는 도 6의 기판프레임 설치영역의 요부확대사시도,
도 8 내지 도 9은 도 6 및 도 7의 기판프레임 설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음극선관조립체 7 : 메인기판
10 : 전면케이싱 20 : 음극선관
35 : 디가우징코일 40 : 기판프레임
43 : 상부삽입돌기 45 : 하부삽입돌기
50 : 프레임지지부 51 : 측벽지지부
53 : 하부지지부 55 : 하부가이드홈
57 : 걸림돌기 60 : 음극선관지지부
61 : 코일가이드벽 70 : 지지홀더
73 : 상부가이드홈 75 : 코일파지부
77 : 걸림그루브 78 : 음극선관보조지지부
79 : 코일수용부 80 : 홀더고정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면케이싱과, 상기 전면케이싱의 배면에 결합되는 음극선관과, 상기 음극선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음극선관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메인기판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을 수용하는 기판프레임과; 상기 전면케이싱의 배면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기판프레임을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지지하는 프레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지지부는 상기 전면케이싱의 하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기판프레임의 양측벽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벽지지부와, 상기 기판프레임의 전방영역 하부면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양 측벽지지부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벽에는 후단부를 향해 소정의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 하부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프레임의 양측벽에는 상기 하부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하부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측벽지지부의 전방 영역에는 상기 측벽지지부의 상부면 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음극선관의 하부를 지지하는 음극선관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극선관의 하부에 배치되는 자유굴곡 가능한 폐루프상의 디가우징코일과; 상기 양 측벽지지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기판프레임의 전방영역과 양측벽 외측영역에서 상기 디가우징코일을 위치 고정시키는 한 쌍의 지지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지지홀더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벽에는 상기 하부가이드홈과 평행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 상부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프레임의 양측벽에는 상기 상부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상부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홀더의 전방영역에는 상기 음극선관지지부의 후방벽과 함께 상기 디가우징코일의 일구간을 파지하는 코일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측벽지지부의 외측에는 상기 음극선관지지부로부터 상기 측벽지지부의 외측벽을 따라 후방으로 소정 구간 만큼 연장된 코일가이드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홀더의 외측벽에는 상기 코일가이드벽과 함께 상기 디가우징코일의 일부구간을 수용하는 코일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홀더의 후단부영역에는 상기 음극선관의 만곡부위 일영역을 지지하는 음극선관보조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측벽지지부의 상부면과 상기 지지홀더의 하부면 중 어느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그루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걸림그루브에 형상맞춤되도록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홀더의 유동을 방지하는 홀더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홀더고정부는, 상기 지지홀더의 전방 영역에 형성되는 걸림공과; 상기 음극선관지지부의 후방벽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상기 걸림공에 탄성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걸림후크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후크의 걸림해재방향으로 소정 이격된 위치의 상기 음극선관지지부의 후방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림후크의 탄성변형범위를 제한하는 후크보호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케이싱(3)과, 커버케이싱(3)내에 수용되는 음극선관조립체(5)를 가지고 있으며, 음극선관조립체(5)로 전기적신호를 전달하는 메인기판(7)과, 메인기판(7)을 지지하는 기판프레임(40)을 포함한다.
커버케이싱(3)은 상호 결합에 의해 음극선관조립체(5) 및 메인기판(7) 등의 부품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전면케이싱(10)과 후면케이싱(11)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면케이싱(10)에는 음극선관(20)의 패널(미도시)부 전면에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투시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케이싱(10) 배면의 내측 각 모서리에는 음극선관조립체(5)의 결합을 위한 음극선관결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음극선관결합부(15)에는 스크류체결을 위한 암나사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음극선관조립체(5)는 패널(미도시) 및 펀넬(33)의 상호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음극선관(20)과, 음극선관(20)의 후단부영역에 결합되는 전자총(미도시) 및 비디오장치(21)를 가지며, 음극선관(20)의 패널(미도시)과 펀넬(33) 결합부위에 둘레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금속재의 결합밴드(23)를 포함한다. 결합밴드(23)의 각 모서리영역에는 음극선관조립체(5)가 전면케이싱(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편(25)이 외향 돌출되어 있으며, 각 결합편(25)에는 전면케이싱(10)의 음극선관결합부(15)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부(17)에 대응하는 스크류통과공(2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음극선관(2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음극선관(20) 및 주변부품들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을 제거하여 패널(미도시)에 표시되는 화면을 안정시키는 디가우징코일(35)(Degaussin Coil)이 마련되어 있다.
디가우징코일(35)은 자유굴곡 가능한 폐루프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구간이 음극선관(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밴드(23)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구간이 음극선관(20)의 상부 및 하부 만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이 디가우징코일(35)은 가느다란 고정용 와이어(37)에 의해 음극선관(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메인기판(7)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기판프레임(40)은 메인기판(7)을 수용할 수 있도록 둘레외벽을 갖는 사각트레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프레임(40)의 전방영역 양측벽(41)의 상부 및 하부에는 후술할 지지홀더(70)의 상부가이드홈(73)과 후술할 프레임지지부(50)의 하부가이드홈(55)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상부삽입돌기(43)와 하부삽입돌기(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판프레임(40)은 금속판재를 이용한 프레스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부 및 하부삽입돌기(45)는 기판프레임(40)의 양측벽(41) 판면을 외향 절취절곡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전면케이싱(10) 배면의 하부영역에는 기판프레임(40)을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지지하는 프레임지지부(50)와, 음극선관(20)의 전방 하단부를 지지하는 음극선관지지부(60)가 전면케이싱(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지지부(50)에는 기판프레임(40)의 양측벽(41)을 지지하는 한편, 음극선관(20) 하부에 결합된 디가우징코일(35)의 위치 고정 및 음극선관(20)의 만곡부위를 지지하는 지지홀더(7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프레임지지부(50)는 기판프레임(40) 전방영역의 양측벽(41) 일부구간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벽지지부(51)와, 양 측벽지지부(51) 사이구간에 형성되어 기판프레임(40)의 하부면 전방 연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53)를 갖도록 전면케이싱(10)의 배면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양 측벽지지부(51)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벽 후방영역에는 기판프레임(40)의 양측벽(41)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걸림돌기(57)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하부가이드홈(55)이 후방으로 갈수록 소정의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판프레임(40)의 하부돌기가 측벽지지부(51)의 경사진 하부가이드홈(55)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됨으로써, 기판프레임(40)이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프레임지지부(50)에 결합된다. 또한, 양 측벽지지부(51)의 상부면에는 지지홀더(70)의 결합을 위한 ??자 단면형상의 걸림돌기(57)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음극선관지지부(60)는 상부면이 측벽지지부(51)의 상부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음극선관(20)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그리고, 음극선관지지부(60)의 후방영역에는 음극선관지지부(60)의 후방벽으로부터 측벽지지부(51)의 외측벽을 따라 후방으로 소정구간 연장된 코일가이드벽(6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코일가이드벽(61)은 지지홀더(70)의 외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후술할 코일수용부(79)와 함께 디가우징코일(35)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지지홀더(70)에는 측벽지지부(51)와의 결합을 위한 걸림그루브(77)와, 기판프레임(40)의 양측벽(41)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가이드홈(73)이 형성되어 있다.그리고, 지지홀더(70)에는 기판프레임(40)의 전방영역에서 디가우징코일(35)의 일구간을 위치고정시키는 코일파지부(75)와, 기판프레임(40)의 양측벽(41) 외측에서 디가우징코일(35)의 일부구간을 위치고정시키는 코일수용부(79)와, 음극선관(20)의 만곡부위 일영역을 지지하는 음극선관보조지지부(78)를 가지고 있다.
걸림그루브(77)는 지지홀더(70)의 하부면에 측벽지지부(51)의 ??자 걸림돌기(57)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홀더(70)를 측벽지지부(51)의 상면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측벽지지부(51)의 걸림돌기(57)와 지지홀더(70)의 걸림그루브(77)가 상호 형상맞춤되어 지지홀더(70)가 측벽지지부(51)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가이드홈(73)은 양 지지홀더(70)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벽에서 측벽지지부(51)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가이드홈(55)과 평행하게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상부가이드홈(73)에는 기판프레임(40)의 양측벽(41) 상부에 형성된 상부삽입돌기(43)가 슬라이딩 삽입된다. 즉, 기판프레임(40)은 양측벽(41)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삽입돌기(45)와 상부삽입돌기(43)가 측벽지지부(51) 및 지지홀더(70)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가이드홈(55)과 상부가이드홈(73)에 삽입됨으로써, 전면케이싱(10)의 배면 하부에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코일파지부(75)는 지지홀더(70)가 측벽지지부(51)에 결합된 상태에서 음극선관지지부(60)의 후방벽과 함께 ??자 형상의 파지홈을 이루도록 지지홀더(70)의 전방에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음극선관조립체(5)가전면케이싱(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홀더(70)를 측벽지지부(51)에 결합시키면 코일파지부(75)가 음극선관지지부(60)의 후방벽과 함께 음극선관(20)의 하단부를 따라 배치된 디가우징코일(35)의 일구간을 파지하여 위치고정시킨다. 따라서, 음극선관(20)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디가우징코일(35)은 기판프레임(40)의 전방영역에서 위치고정된다.
코일수용부(79)는 지지홀더(70)가 측벽지지부(51)에 결합된 상태에서 코일가이드벽(61)과 함께 ??자 형상의 수용홈을 이루도록 지지홀더(70)의 외측부에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음극선관조립체(5)가 전면케이싱(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홀더(70)를 측벽지지부(51)에 결합시키면 코일수용부(79)가 코일가이드벽(61)과 함께 음극선관(20)의 만곡면에 접촉되기 위해 절곡된 디가우징코일(35)의 측부를 수용하여 위치고정시킨다. 따라서, 음극선관(20)의 만곡면에 접촉되기 위해 절곡된 디가우징코일(35)은 절곡구간은 기판프레임(40)의 양측벽(41) 외측에서 위치고정된다.
음극선관보조지지부(78)는 지지홀더(70)의 후단부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음극선관보조지지부(78)는 지지홀더(70)가 측벽지지부(51)에 결합된 상태에서 음극선관(20)의 만곡부위 일영역을 지지한다. 이에 의해, 음극선관조립체(5)는 전면케이싱(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음극선관(20)의 전방 하단부가 측벽지지부(51)의 전방에 형성된 음극선관지지부(60)에 지지되고 음극선관(20)의 하부 만곡부위 일영역이 지지홀더(70)의 음극선관보조지지부(78)에 지지됨으로써, 전면케이싱(10)에 결합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음극선관지지부(60)의 후방벽과 지지홀더(70)의 전방영역에는 지지홀더(70)가 측벽지지부(51)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홀더고정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홀더고정부(80)는 지지홀더(70)의 전방 하부로부터 측벽지지부(51)의 상면과 평행하게 돌축된 돌출편에 형성되는 걸림공(81)과, 음극선관(20)의 후방벽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걸림공(81)에 탄성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걸림후크(83)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걸림공(81)과 걸림후크(83)가 맞물리는 위치의 측벽지지부(51)의 상면에는 측벽지지부(51)의 하부를 향해 관통된 걸림해재공(59)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해재공(59)은 지지홀더(70)의 분리시에 작업자가 소정의 지그를 측벽지지부(51)의 하부에서 걸림해재공(59)으로 삽입한 다음 상향 가압하면 지그의 상단부가 후크를 걸림해제방향으로 밀어낸다. 이에 의해, 지지홀더(70)를 측벽지지부(5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걸림후크(83)가 걸림해제방향으로 과도하게 탄성변형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걸림후크(83) 상부에 후크보호돌기(85)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걸림후크(83)와 소정 이격된 음극선관지지부(60)의 후방벽으로부터 걸림후크(83)와 평행하게 연장된 후크보호돌기(85)를 마련하여 걸림후크(83)의 변형범위를 제한 함으로써 걸림후크(8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 3과 같이, 전면케이싱(10)의 내측에 음극선관조립체(5)의 전방영역을 수용시킨 다음, 음극선관(20)의 결합밴드(23) 각 모서리에 형성된 결합편(25)의 스크류통과공(27)을 통해 음극선관결합부(15)의 암나사부(17)에 스크류를 체결하여 음극선관조립체(5)를 전면케이싱(10)에 결합시킨다. 이때, 음극선관(20)의 하단부는 전면케이싱(10)의 음극선관지지부(60) 상부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음극선관(20)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디가우징코일(35)의 일구간이 음극선관지지부(60)의 후방벽에 접하도록 위치한다.
음극선관조립체(5)의 결합이 완료된 다음, 도 4와 같이, 지지홀더(70)를 측벽지지부(51)의 상부에 결합시킨다. 즉, 지지홀더(7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그루브(77)와 측벽지지부(51)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57)가 맞물리도록 지지홀더(70)를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그러면 지지홀더(70)가 측벽지지부(51)의 상부면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그러면, 지지홀더(70)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코일파지부(75)가 음극선관지지부(60)의 후방벽과 함께 음극선관(20)의 하단부를 따라 배치된 디가우징코일(35)의 일구간을 파지하여 위치고정시킨다. 또한, 지지홀더(70)의 외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코일수용부(79)가 코일가이드벽(61)과 함께 음극선관(20)의 만곡면에 접촉되기 위해 절곡된 디가우징코일(35)의 측부를 수용하여 위치고정시킨다. 그리고, 지지홀더(70)의 전방에 형성된 걸림공(81)이 음극선관지지부(60)의 후방벽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후크(83)에 탄성적으로 걸림으로써 지지홀더(70)의 임의적이 유동이 방지된다. 이때, 지지홀더(70)의 후방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음극선관보조지지부(78)는 음극선관(20)의 만곡부위 일영역을 지지하게 된다.
지지홀더(70)의 결합이 완료되면, 도 5와 같이, 메인기판(7)이 수용된 기판프레임(40)을 전면케이싱(10)의 후방에 결합시킨다. 즉, 기판프레임(40)의 양측벽(41)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걸림돌기(57)와 상부걸림돌기(57)가 각각 측벽지지부(51)의 하부가이드홈(55)과 지지홀더(70)의 상부가이드홈(73)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기판프레임(40)을 결합시키면, 하부가이드홈(55)과 상부가이드홈(73)의 경사각에 의해서 기판프레임(40)은 도 5의 표시부"B"와 같이, 전면케이싱(10)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후방으로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결합된다. 이때, 음극선관(20) 하부에 배치된 디가우징코일(35)은 기판프레임(40)의 전방 및 양측벽(41) 외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디가우징코일(35)의 고정을 위한 확보공간이 기판프레임(40)의 외측공간에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디가우징코일(35)의 고정을 위해 기판프레임(40)의 상부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디스플레이장치(1)의 상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기판프레임(40)의 양측벽(41)에 형성된 상부삽입돌기(43)와 하부삽입돌기(45)가 각각 지지홀더(70) 및 측벽지지부(51)에 형성된 상부가이드홈(73) 및 하부가이드홈(55)에 삽입되기 때문에 기판프레임(40)의 결합을 위한 측벽지지부(51)의 상하 높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의 상하 부피(도 3 내지 도 5의 표시부 "A", 도 5의 표시부 "B")를 보다 효과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판프레임(40)이 결합된 후에는 다른 기기부품을 조립공정에 따라 적절히 결합한 다음 후면케이싱(11)을 전면케이싱(10)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기판프레임(40)의 경사각만큼 후면케이싱(11)의 하부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기판프레임(40)이 결합된 후에는 다른 기기부품을 조립공정에 따라 음극선관조립체(5)와 기판프레임(40)이 조립된 조립셋트가 다음 조립공정으로 이동하거나 대기할 때, 경사진 기판프레임(40)이 컨베이어 등의 이동장치 평면 또는 대기장소의 평면에 접면하므로 전방커버가 후방으로 약간의 기울기를 갖도록 기립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조립셋트가 음극선관(20)의 무게에 의해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기판이 결합된 기판프레임을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지지하는 프레임지지부를 마련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의 외관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조립공정에서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조립공정에서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3)

  1. 전면케이싱과, 상기 전면케이싱의 배면에 결합되는 음극선관과, 상기 음극선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음극선관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메인기판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을 수용하는 기판프레임과;
    상기 전면케이싱의 배면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판프레임을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지지하는 프레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지지부는 상기 전면케이싱의 하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기판프레임의 양측벽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벽지지부와, 상기 기판프레임의 전방영역 하부면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벽지지부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벽에는 후단부를 향해 소정의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 하부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프레임의 양측벽에는 상기 하부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하부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지지부의 전방 영역에는 상기 측벽지지부의 상부면 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음극선관의 하부를 지지하는 음극선관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의 하부에 배치되는 자유굴곡 가능한 폐루프상의 디가우징코일과;
    상기 양 측벽지지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기판프레임의 전방 및 양측벽 외측영역에서 상기 디가우징코일을 위치 고정시키는 한 쌍의 지지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더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벽에는 상기 하부가이드홈과 평행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 상부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프레임의 양측벽에는 상기 상부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상부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더의 전방영역에는 상기 음극선관지지부의 후방벽과 함께 상기 디가우징코일의 일구간을 파지하는 코일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지지부의 외측에는 상기 음극선관지지부로부터 상기 측벽지지부의 외측벽을 따라 후방으로 소정 구간 만큼 연장된 코일가이드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홀더의 외측벽에는 상기 코일가이드벽과 함께 상기 디가우징코일의 일부구간을 수용하는 코일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더의 후단부영역에는 상기 음극선관의 만곡부위 일영역을 지지하는 음극선관보조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지지부의 상부면과 상기 지지홀더의 하부면 중 어느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그루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걸림그루브에 형상맞춤되도록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5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더의 유동을 방지하는 홀더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고정부는,
    상기 지지홀더의 전방 영역에 형성되는 걸림공과;
    상기 음극선관지지부의 후방벽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상기 걸림공에 탄성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걸림후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후크의 걸림해재방향으로 소정 이격된 위치의 상기 음극선관지지부의 후방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림후크의 탄성변형범위를 제한하는 후크보호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10020871A 2001-04-18 2001-04-18 디스플레이장치 KR100783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871A KR100783171B1 (ko) 2001-04-18 2001-04-18 디스플레이장치
US10/124,377 US7301585B2 (en) 2001-04-18 2002-04-18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871A KR100783171B1 (ko) 2001-04-18 2001-04-18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518A true KR20020081518A (ko) 2002-10-28
KR100783171B1 KR100783171B1 (ko) 2007-12-07

Family

ID=19708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871A KR100783171B1 (ko) 2001-04-18 2001-04-18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01585B2 (ko)
KR (1) KR1007831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9191B2 (ja) * 2007-04-02 2009-05-27 船井電機株式会社 薄型表示装置の組付け構造、および薄型テレビジョン
CN110166722A (zh) * 2019-05-07 2019-08-23 深圳市康冠商用科技有限公司 一种超薄超薄多媒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6493A (en) * 1985-05-21 1987-12-29 Philip Zelkowitz Electronic instrument housing
JPH04132376A (ja) * 1990-09-21 1992-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受像器の筐体
JP2595966Y2 (ja) * 1991-12-07 1999-06-02 テクモ株式会社 モニター内蔵装置
JP2921538B2 (ja) * 1991-11-06 1999-07-19 船井電機株式会社 ビデオ装置及び映像装置
US5450221A (en) * 1993-09-08 1995-09-12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Compact liquid crystal display for instrument panel having a wrap arou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translucent web
JPH0856318A (ja) * 1994-08-12 1996-02-27 Funai Electric Co Ltd 表示部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67343B2 (ja) * 1996-07-22 2003-0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投射型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キャビネット装置と成型用金型および樹脂成型方法
KR100212315B1 (ko) * 1996-11-21 1999-08-02 윤종용 메인회로기판 수리가 용이한 디스플레이장치
KR19980066871U (ko) * 1997-05-20 1998-12-05 배순훈 텔레비젼용 메인프레임과 프론트 마스크의 결합장치
KR19990012254U (ko) * 1997-09-05 1999-04-06 윤종용 음극선관의 설치각도가 경사진 디스플레이장치
KR100357715B1 (ko) * 1999-10-19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열차단 플레이트를 구비한 모니터
KR100471064B1 (ko) * 2002-06-11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171B1 (ko) 2007-12-07
US7301585B2 (en) 2007-11-27
US20020154093A1 (en) 200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7120B2 (en) Image display device
US7088400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TV tuner and method thereof
EP3157107B1 (en) Power supply for television and television including the same
US20060040713A1 (en) Display apparatus
US7628627B2 (en) Backlight connector
US5973916A (en) Monitor-coupled personal computer and method of assembly
KR20020081518A (ko) 디스플레이장치
US7963795B1 (en) Light guiding structure for electric connector
KR20000056197A (ko) 모니터의 쉴드버텀 결합구조
JP4306301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8116617B2 (en) Disk unit-integrated television and disk unit-integrated display
KR100395638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416001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635147B1 (ko) 케이블 방송용 카드와 슬롯부재의 결합구조
KR100526619B1 (ko) 모니터의 스탠드 장착구조
EP1804497A2 (en) Disk unit-integrated display
KR100601437B1 (ko) 텔레비전의 인쇄회로기판 설치구조
KR10109669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340740B1 (ko) 모니터의 디가우징 코일용 홀더
KR200289350Y1 (ko) 코일스페이서와 네크커버의 체결구조
JP3077826U (ja) テレビジョンおよび消磁コイル固定構造
KR20040009336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80064645A (ko) 슬림형 음극선관 지지구조
JPH09281898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における主基板の取付構造
KR20040008859A (ko)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