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8859A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8859A
KR20040008859A KR1020020042584A KR20020042584A KR20040008859A KR 20040008859 A KR20040008859 A KR 20040008859A KR 1020020042584 A KR1020020042584 A KR 1020020042584A KR 20020042584 A KR20020042584 A KR 20020042584A KR 20040008859 A KR20040008859 A KR 20040008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support bracket
lug
screw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2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8859A/ko
Publication of KR20040008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885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0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screw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1CRT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화상신호를 전달하는 PCB조립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PCB조립체를 수용 지지하는 케이싱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며, 스크루공을 갖는 러그와,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의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돌출되며, 스크루 체결부를 갖는 복수의 돌출보스와, 상기 러그의 스크루공과 상기 돌출보스 중 하나의 스크루 체결부에 대응하는 러그 체결공과, 상기 돌출보수 중 나머지의 스크루 체결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출보스 체결공을 갖는 지지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하부에 영상기기 등의 설치공간을 확보하면서도, 디스플레이부의 하중을 분산 지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의 하중 지지구조를 개선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란 TV나 컴퓨터용 모니터를 통틀어 일컫는 말로써, 일반적으로 크게 LCD모니터와 CRT모니터 등으로 분류된다.
CRT모니터는 음극선관을 사용해서 영상신호의 세기에 따라 각기 다른 양의 전자빔이 CRT의 표면에 입혀진 단색 또는 RGB(Red, Green, Blue)의 형광물질을 타격하여 각기 다른 밝기나 색깔의 빛을 내게 만드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가격이나 성능 면에서 가장 경제적이며 우수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나 그 부피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해 LCD모니터는 일정한 전압을 가하면 액정(액정 크리스탈)의 분자 배열이 흐트러져서 빛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모니터를 얇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CRT모니터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표시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분류 중,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음극선관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디스플레이부(110)에 화상신호를 전달하는 PCB조립체(미도시)와, 디스플레이부(110) 및 PCB조립체를 수용 지지하는 케이싱을 갖는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화상이 형성되는 패널(112), 패널(112)의 후방에 결합하는 깔때기 형상의 펀넬(113) 및 넥크(미도시)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음극선관벌브(111)와, 음극선관벌브(111)의 넥크에 삽입되어 음극선관벌브(111) 내로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전자총유니트(미도시)를 갖는다.
디스플레이부(110)의 각 모서리 영역에는 후술할 전방케이싱(121)의 돌출보스(123)와 스크루에 의해 체결되는 판면에 스크루공(115)을 갖는 러그(114)가 마련되어, 디스플레이부(110)가 전방케이싱(121)에 고정 지지된다.
PCB조립체는 케이싱의 저면에 스크루(미도시) 등에 의해 고정되며, 전자총유니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총유니트에 소정의 화상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영상신호의 세기에 따라 전자총유니트로부터 각기 다른 양의 전자빔이 음극선관벌브(111) 내로 투사되면, 전자빔은 패널(112)의 표면에 입혀진 단색 또는 RGB(Red, Green, Blue)의 형광물질을 타격하여 각기 다른 밝기나 색깔의 빛을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0)에 화상이 형성된다.
케이싱은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방 연부를 차단하는 전방케이싱(121)과, 전방케이싱(121)의 배후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110) 및 PCB조립체를 수용하는 후방케이싱(122)을 갖는다. 전방케이싱(121)의 배면에는 후방케이싱(122)에 마련된 스크루 결합공(127)을 통과한 제1스크루(141)가 체결될 수 있도록 스크루 결합부(128)이 마련되어, 전방케이싱(121)과 후방케이싱(122)이 디스플레이부(110) 및 PCB조립체를 수용할수 있도록 결합된다.
전방케이싱(121)의 배면의 각 모서리 영역에는 후방케이싱(122)을 향해 돌출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돌출보스(12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돌출보스(123)들은 지지리브(125)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에, 디스플레이부(110)를 전방케이싱(121)에 장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의 각 모서리에 마련된 러그(114)의 스크루공(115)을 통과한 제2스크루(143)가 전방케이싱(121)의 각 모서리 영역에 마련된 돌출보스(123)에 체결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0)의 하중이 러그(114)를 통해 돌출보스(123)에 전달되어 지지된다.
특히, 돌출보스(123)들 중의 일부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전방케이싱(121)에 설치될 때,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의 하중이 러그(114)와 체결되는 돌출보스(123)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방케이싱(121)의 외관이 디스플레이부(110)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면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돌출보스(123) 및 지지리브(125)에 의해, 케이싱(120)의 크기가 커져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크기를 크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VTR, DVD 등과 같은 영상장치가 일체로 제작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콤비형 디스플레이장치"라고 함)의 경우, 이러한 영상장치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방케이싱(121)의 하부영역에 영상장치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전방케이싱(121) 하부 영역의 돌출보스(123) 및 지지리브(125)를 제거해야 하는데,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의 하중이 러그(114) 및 이와 결합하는 돌출보스(123)에 집중되어, 전방케이싱(121)의 외형의 변형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기기의 설치공간을 확보하면서도, 디스플레이부의 하중을 분산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와 전방케이싱이 결합되는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부와 전방케이싱이 결합되는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플레이장치 10 : 디스플레이부
11 : 음극선관벌브 12 : 패널
12 : 펀넬 14 : 러그
15 : 스크루공 20 : 케이싱
21 : 전방케이싱 22 : 후방케이싱
23 : 돌출보스 24 : 스크루 체결부
25 : 지지리브 26 : 가이드돌기
30 : 지지브래킷 34 : 돌출보스 체결공
35 : 러그 체결공 36 : 가이드공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화상신호를 전달하는 PCB조립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PCB조립체를 수용 지지하는 케이싱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며, 스크루공을 갖는 러그와,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의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돌출되며, 스크루 체결부를 갖는 복수의 돌출보스와, 상기 러그의 스크루공과 상기 돌출보스 중 하나의 스크루 체결부에 대응하는 러그 체결공과, 상기 돌출보수 중 나머지의 스크루 체결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출보스 체결공을 갖는 지지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지지브래킷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모서리 영역에 인접한 양측벽을 따라 절곡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출보스 및 상기 복수의 돌출보스 체결공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모서리의 둘레 영역을 따라 마련되는 것이, 디스플레이부의 하중을분산 지지할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돌출보스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디스플레이부의 하중을 지지하는데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지지브래킷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브래킷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브래킷을 안내하는 가이브공이 형성되는 것이, 디스플레이부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러그와 상기 지지브래킷은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러그의 스크루공과 상기 지지브래킷의 스크루 체결부는 하나의 스크루 통과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디스플레이부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화상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1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0)에 화상신호를 전달하는 PCB조립체(미도시)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0) 및 상기 PCB조립체를 수용 지지하는 케이싱(20)을 갖는다.
디스플레이부(10)는 화상이 형성되는 패널(12), 패널(12)의 후방에 결합하는 깔때기 형상의 펀넬(13) 및 넥크(미도시)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음극선관벌브(11)와, 음극선관벌브(11)의 넥크에 삽입되어 음극선관벌브(11) 내로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전자총유니트(미도시)를 갖는다.
PCB조립체(미도시)는 케이싱(20)의 바닥판에 스크루(미도시) 등에 의해 고정되며, 전자총유니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총유니트에 소정의 화상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영상신호의 세기에 따라 전자총유니트로부터 각기 다른 양의 전자빔이 음극선관벌브(11) 내로 투사되면, 전자빔은 패널(12)의 표면에 입혀진 단색 또는 RGB(Red, Green, Blue)의 형광물질을 타격하여 각기 다른 밝기나 색깔의 빛이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에 화상이 형성된다.
케이싱(20)은 디스플레이부(10)의 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10)의 전방 연부를 차단하는 전방케이싱(21)과, 전방케이싱(21)의 배후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10) 및 PCB조립체를 수용하는 후방케이싱(22)을 갖는다. 전방케이싱(21)의 배면에는 후방케이싱(22)에 마련된 스크루 결합공(27)을 통과한 제1스크루(41)가 체결될 수 있도록 스크루 결합부(28)이 마련되어, 전방케이싱(21)과 후방케이싱(22)이 디스플레이부(10) 및 PCB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부(10)와 전방케이싱(21)이 결합되는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10)의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며 스크루공(15)을 갖는 러그(14)와, 케이싱(20)의 내벽면의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돌출되며 스크루 체결부(24)를 갖는 복수의 돌출보스(23)와, 러그(14)의 스크루공(15)과 돌출보스(23) 중 하나의 스크루 체결부(24)에 대응하는 러그 체결공(35)과 돌출보스(23) 중 나머지의 스크루 체결부(24)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출보스 체결공(34)을 갖는 지지브래킷(30)을 갖는다.
러그(14)는 디스플레이부(10)의 각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대각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복수의 돌출보스(23)는 전방케이싱(21)의 배면의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후방케이싱(22)을 향해 지지브래킷(30)의 러그 체결공(35) 및 돌출보스 체결공(34)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루 체결부(24)를 갖는다. 여기서, 돌출보스(23)들은 지지리브(25)에 의해 상호 연결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가 전방케이싱(21)에 장착될 때 돌출보스(23)에 가해지는 디스플레이부(10)의 하중을 상호 지지하게 된다.
지지브래킷(30)은 전방케이싱(21)에 설치될 때, 디스플레이부(10)의 모서리 영역에 인접한 양측벽을 따라 절곡되어 접하도록 "L"자 형태를 가지며, 돌출보스 체결공(34)은 지지브래킷(30)의 판면에 디스플레이부(10)의 모서리의 둘레 영역을 따라 "L"자 형태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를 전방케이싱(21)에 장착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다.
먼저, 전방케이싱(21)의 배면의 모서리 중 한 곳의 돌출보스(23)에 지지브래킷(30)을 위치시킨 후, 제3스크루(43)를 지지브래킷(30)의 각 돌출보스 체결공(34)을 통해 각 돌출보스(23)의 스크루 체결부(24)에 체결함으로써, 지지브래킷(30)을 전방케이싱(21)의 배면에 고정시킨다. 마찬가지로, 전방케이싱(21)의 다른 모서리 영역의 돌출보스(23)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지지브래킷(30)을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디스플레이부(10)의 각 러그(14)에 마련된 스크루공(15)이 지지브래킷(30)의 러그 체결공(35)에 각각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10)를 전방케이싱(21)에 위치시키고, 제2스크루(42)를 러그(14)의 스크루공(15) 및 지지브래킷(30)의 러그 체결공(35)을 통해, 스크루공(15) 및 러그 체결공(35)에 대응하는 돌출보스(23)의스크루 체결부(24)에 체결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에 의해, 러그(14)를 통해 전달되는 디스플레이부(10)의 하중은 지지브래킷(30)을 통해 분산되어, 하중의 집중에 의한 전방케이싱(21)의 외형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돌출보스(23)에 인접한 전방케이싱(21)의 배면에는 후방케이싱(22)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26)가 마련되고, 지지브래킷(30)에는 가이드돌기(26)가 삽입되어 지지브래킷(30)의 장착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공(36)을 마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지지브래킷(30)을 전방케이싱(21)에 장착할 때, 지지브래킷(30)의 러그 체결공(35) 및 돌출보스 체결공(34)이 대응하는 돌출보스(23)의 스크루 체결부(24)에 정확히 위치될 수 있도록 지지브래킷(30)의 장착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지브래킷(30)이 별도로 마련되어, 디스플레이부(10)의 러그(14)와 제2스크루(42)에 의해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지지브래킷이 러그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를 전방케이싱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돌출보스 체결공(34)이 지지브래킷(30)에 "L"자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지지브래킷(30)에 돌출보스 체결공(34)이 3개 이상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지브래킷(30)이 전방케이싱(21)의 각 모서리 영역에 모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전방케이싱(21)의 하부 모서리 영역에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부(10)를 지지브래킷(30)에 의해 전방케이싱(21)에 설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의 하부에 영상기기의 설치공간을 확보하면서도, 디스플레이부(10)의 하중이 지지브래킷(30)을 통해 분산되어 하중의 집중에 의한 전방케이싱(21)의 외형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의 하부에 영상기기의 설치공간을 확보하면서도, 디스플레이부의 하중을 분산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5)

  1. 화상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화상신호를 전달하는 PCB조립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PCB조립체를 수용 지지하는 케이싱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며, 스크루공을 갖는 러그와;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의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돌출되며, 스크루 체결부를 갖는 복수의 돌출보스와;
    상기 러그의 스크루공과 상기 돌출보스 중 하나의 스크루 체결부에 대응하는 러그 체결공과, 상기 돌출보수 중 나머지의 스크루 체결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출보스 체결공을 갖는 지지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모서리 영역에 인접한 양측벽을 따라 절곡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출보스 및 상기 복수의 돌출보스 체결공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모서리의 둘레 영역을 따라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보스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지지브래킷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브래킷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브래킷을 안내하는 가이브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와 상기 지지브래킷은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20042584A 2002-07-19 2002-07-19 디스플레이장치 KR20040008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584A KR20040008859A (ko) 2002-07-19 2002-07-19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584A KR20040008859A (ko) 2002-07-19 2002-07-19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859A true KR20040008859A (ko) 2004-01-31

Family

ID=3731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584A KR20040008859A (ko) 2002-07-19 2002-07-19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88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643B1 (ko) * 2004-12-21 2006-08-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영상장치 프레임의 브라켓구조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5374U (ko) * 1987-05-22 1988-11-29
JPH0344979A (ja) * 1989-07-13 1991-02-26 Murata Mfg Co Ltd チップ状圧電部品
JPH0398578A (ja) * 1989-09-09 1991-04-24 Bayer Ag 細胞培養による生物学的物質の調製方法
KR940023749U (ko) * 1993-03-03 1994-10-22 텔레비젼 씨알티 고정용 브라켓트 취부장치
KR940023752U (ko) * 1993-03-26 1994-10-22 영상표시기의 브라운관 결합장치
KR950015546U (ko) * 1993-11-09 1995-06-19 브라운관의 고정장치
KR970004913U (ko) * 1995-07-04 1997-02-19 자동차의 변속기 지지부재
KR19980026267U (ko) * 1996-11-08 1998-08-05 김광호 음극선관용 방폭밴드
KR19990001721U (ko) * 1997-06-20 1999-01-15 김영환 모니터의 브라운관 고정장치
KR20000039618A (ko) * 1998-12-15 2000-07-05 전주범 텔레비젼 브라운관의 진동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5374U (ko) * 1987-05-22 1988-11-29
JPH0344979A (ja) * 1989-07-13 1991-02-26 Murata Mfg Co Ltd チップ状圧電部品
JPH0398578A (ja) * 1989-09-09 1991-04-24 Bayer Ag 細胞培養による生物学的物質の調製方法
KR940023749U (ko) * 1993-03-03 1994-10-22 텔레비젼 씨알티 고정용 브라켓트 취부장치
KR940023752U (ko) * 1993-03-26 1994-10-22 영상표시기의 브라운관 결합장치
KR950015546U (ko) * 1993-11-09 1995-06-19 브라운관의 고정장치
KR970004913U (ko) * 1995-07-04 1997-02-19 자동차의 변속기 지지부재
KR19980026267U (ko) * 1996-11-08 1998-08-05 김광호 음극선관용 방폭밴드
KR19990001721U (ko) * 1997-06-20 1999-01-15 김영환 모니터의 브라운관 고정장치
KR20000039618A (ko) * 1998-12-15 2000-07-05 전주범 텔레비젼 브라운관의 진동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643B1 (ko) * 2004-12-21 2006-08-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영상장치 프레임의 브라켓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4263B2 (en) Thin display apparatus
US7405925B2 (en) Display apparatus
US6056406A (en) Projection system having multiple screens
US7477528B2 (en) Frame bracket for printed board assembly and plasm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060077629A1 (en) Display apparatus
US20060227514A1 (en)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assembly for an optical projection system
US20110116217A1 (en) Image display device
US20080165991A1 (en) Display device with sound module
KR20030049808A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840714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40008859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40009336A (ko) 디스플레이장치
US11385419B2 (en) Display apparatus
US6633140B2 (en) Display apparatus with a combined structure of electron gun and video unit
KR20040013317A (ko) 디스플레이장치
US6894732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improved interconnection to video printed circuit board
KR100392459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1899505B1 (ko) 멀티비전용 엘이디 표시장치
JP2008076901A (ja) 背面投射型表示装置
KR200327982Y1 (ko) 디스플레이장치
US7301585B2 (en) Display apparatus
US7139041B2 (en) Display apparatus
JP3641257B2 (ja) 投射型表示装置及び磁気シールド装置
KR200329521Y1 (ko) 디스플레이장치
JP3077826U (ja) テレビジョンおよび消磁コイル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