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877A - 살선충성 트리플루오로부텐 - Google Patents

살선충성 트리플루오로부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877A
KR20020079877A KR1020027010827A KR20027010827A KR20020079877A KR 20020079877 A KR20020079877 A KR 20020079877A KR 1020027010827 A KR1020027010827 A KR 1020027010827A KR 20027010827 A KR20027010827 A KR 20027010827A KR 20020079877 A KR20020079877 A KR 20020079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logen
substituted
alkyl
formula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타나베유키요시
이시카와고이치
나라부신이치
고미부치다쿠야
오츠유이치
시부야가츠히코
Original Assignee
니혼 바이엘 아그로켐 케이. 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바이엘 아그로켐 케이. 케이. filed Critical 니혼 바이엘 아그로켐 케이. 케이.
Publication of KR20020079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87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7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3
    • A01N43/761,3-Oxazoles; Hydrogenated 1,3-ox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 C07D26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3/3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63/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63/46Sulfur atom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I)의 신규한 트리플루오로부텐, 그의 제조방법 및 살선충제로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할로겐, 또는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카보닐옥시, 할로알킬카보닐옥시 또는 시아노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알킬을 나타내거나, 알킬설포닐옥시를 나타내거나, 할로겐,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설포닐, 할로알콕시, 할로알킬티오, 페닐, 페녹시, 시아노 또는 니트로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페닐을 나타내며,
R2는 수소, 할로겐, 또는 알콕시 또는 할로겐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알킬을 나타내거나, 알콕시카보닐을 나타내고,
n은 0, 1 또는 2를 나타내며,
단, R1이 알킬을 나타내면 R2는 할로겐을 나타내지 않는다.

Description

살선충성 트리플루오로부텐{Nematicidal trifluorobutenes}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 85267/1990호에 살충 활성을 갖는 치환된 아졸티오에테르가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3,513,172호에 수 종류의 트리플루오로부테닐 화합물이 살선충 활성을 갖는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일본 특허출원 공개(PCT) 제 500037/1988호에는 수 종류의 폴리할로알켄 화합물이 살선충 활성을 갖는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WO95/24403호에는 4,4-디플루오로부테닐 화합물이 살선충 활성을 갖는다고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신규한 트리플루오로부텐, 그의 제조방법 및 살선충제로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하기 일반식 (I)의 신규한 트리플루오로부텐이 밝혀졌다: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할로겐, 또는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카보닐옥시, 할로알킬카보닐옥시 또는 시아노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알킬을 나타내거나, 알킬설포닐옥시를 나타내거나, 할로겐,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설포닐, 할로알콕시, 할로알킬티오, 페닐, 페녹시, 시아노 또는 니트로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페닐을 나타내며,
R2는 수소, 할로겐, 또는 알콕시 또는 할로겐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알킬을 나타내거나, 알콕시카보닐을 나타내고,
n은 0, 1 또는 2를 나타내며,
단, R1이 알킬을 나타내면 R2는 할로겐을 나타내지 않는다.
정의에서, 알킬과 같은 탄화수소쇄는 각 경우에 직쇄 또는 측쇄이다. 치환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및 하기에 언급된 일반식에 존재하는 래디칼의 바람직한 치환체 및 바람직한 범위가 아래에 정의된다.
R1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할로겐을 나타내거나, 할로겐, 하이드록시, C1-3알콕시, C1-3알킬티오, C1-3알킬카보닐옥시, 트리플루오로메틸카보닐옥시 또는 시아노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C1-6알킬을 나타내거나, C1-4알킬설포닐옥시를 나타내거나, 할로겐,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메톡시, 메틸티오, 메틸설포닐,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 페닐, 페녹시, 시아노 또는 니트로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페닐을 나타낸다.
R2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할로겐을 나타내거나, C1-3알콕시 또는 할로겐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C1-6알킬을 나타내거나, C1-4알콕시카보닐을 나타낸다.
n은 바람직하게는 0 또는 2를 나타낸다.
R1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를 나타내거나,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하이드록시, C1-3알콕시, C1-3알킬티오, C1-3알킬카보닐옥시, 트리플루오로메틸카보닐옥시 또는 시아노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C1-4알킬을 나타내거나, 메틸설포닐옥시 또는 에틸설포닐옥시를 나타내거나,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메톡시, 메틸티오, 메틸설포닐,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 페닐, 페녹시, 시아노 또는 니트로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페닐을 나타낸다.
R2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를 나타내거나, C1-3알콕시 또는 브로모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C1-4알킬을 나타내거나, C1-3알콕시카보닐을 나타낸다.
n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0을 나타낸다.
상기 언급된 일반식 (I)의 신규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다음의 제조방법 a), b), c), d), e), f), g) 또는 h)에 의해 수득된다.
제조방법 a)
R1이 수소를 나타내거나,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카보닐옥시, 할로알킬카보닐옥시 또는 시아노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알킬을 나타내거나, 할로겐,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설포닐, 할로알콕시, 할로알킬티오, 페닐, 페녹시, 시아노 또는 니트로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페닐을 나타내며,
R2가 수소를 나타내거나, 알콕시 또는 할로겐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알킬을 나타내고,
n이 0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II)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 및 필요에 따라 산 결합제의 존재하에 4-브로모-1,1,2-트리플루오로-1-부텐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1a는 수소를 나타내거나,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카보닐옥시, 할로알킬카보닐옥시 또는 시아노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알킬을 나타내거나, 할로겐,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설포닐, 할로알콕시, 할로알킬티오, 페닐, 페녹시, 시아노 또는 니트로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페닐을 나타내며,
R2a는 수소를 나타내거나, 알콕시 또는 할로겐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알킬을 나타내고,
n은 0을 나타낸다.
제조방법 b)
R1및 R2가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n이 1 또는 2를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Ia)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 산화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제조방법 c)
R1이 수소 또는 할로알킬을 나타내고,
R2가 할로겐을 나타내며,
n이 0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Ib)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 할로겐화제와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1b는 수소 또는 알킬을 나타내고,
R2b는 수소를 나타낸다.
제조방법 d)
R1이 할로알킬을 나타내고,
R2가 수소 또는 할로알킬을 나타내며,
n이 0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Ic)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 할로겐화제와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1c는 알킬을 나타내고,
R2c는 수소 또는 알킬을 나타낸다.
제조방법 e)
R1이 할로겐을 나타내고,
R2가 수소 또는 알킬을 나타내며,
n이 0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III)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 및 필요에 따라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할로겐화제와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2d는 수소 또는 알킬을 나타낸다.
제조방법 f)
R1이 알킬설포닐옥시를 나타내고,
R2가 수소 또는 알킬을 나타내며,
n이 0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전술한 일반식 (III)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 및 필요에 따라 무기 또는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하기 일반식 (IV)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1d는 알킬을 나타낸다.
제조방법 g)
R1이 알킬을 나타내고,
R2가 알콕시카보닐을 나타내며,
n이 0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IV)의 화합물을 티오우레아와 반응시킨 다음, 생성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 4-브로모-1,1,2-트리플루오로-1-부텐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1c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R3는 알킬을 나타낸다.
제조방법 h)
R1이 수소를 나타내고,
R2가 알콕시알킬을 나타내며,
n이 0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Id)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 하기 일반식 (VI)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1e는 수소를 나타내고,
R4는 알콕시알킬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I)의 화합물은 강력한 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며, 각종 작물과의 상용성(compatibility)이 우수하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I)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유사한 전술한 문헌에 기술된 화합물보다 매우 탁월한 살선충 활성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할로겐"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오드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를 나타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클로로 또는 브로모를 나타낸다.
"알킬", 및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카보닐옥시", "알킬설포닐옥시" 및 "알콕시카보닐"에서 각각의 알킬 부분은 직쇄 또는 측쇄 알킬,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 또는 i-프로필, n-, i-, s- 또는 t-부틸, n-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n- 또는 i-프로필, n-, i-, s- 또는 t-부틸, n-펜틸 또는 n-헥실을 나타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n- 또는 i-프로필 또는 n-, i-, s- 또는 t-부틸을 나타낸다.
"할로알킬", 및 "할로알킬카보닐옥시", "할로알콕시" 및 "할로알킬티오"에서 각각의 할로알킬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알킬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C1-4알킬을 나타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에 의해 치환된 메틸, 에틸, n- 또는 i-프로필을 나타낸다. "할로알킬"은 바람직하게는 클로로메틸, 브로모메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을 나타낸다.
매우 특히 강조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의 그룹이 제시된다:
R1이 수소 또는 할로겐을 나타내거나, 각 경우에 할로겐, 하이드록시, 메톡시, 에톡시, n- 또는 i-프로폭시, 메틸티오, 에틸티오, n- 또는 i-프로필티오, 메틸카보닐옥시, 에틸카보닐옥시, n- 또는 i-프로필카보닐옥시, 트리플루오로메틸카보닐옥시 또는 시아노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메틸, 에틸, n- 또는 i-프로필, n-, i-, s- 또는 t-부틸, n-펜틸 또는 n-헥실을 나타내거나, 메틸설포닐옥시, 에틸설포닐옥시, n- 또는 i-프로필설포닐옥시, n-, i-, s- 또는 t-부틸설포닐옥시를 나타내거나, 할로겐,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메톡시, 메틸티오, 메틸설포닐,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 페닐, 페녹시, 시아노 또는 니트로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페닐을 나타내고,
R2가 수소, 할로겐, 각 경우에 메톡시, 에톡시, n- 또는 i-프로폭시 또는 할로겐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메틸, 에틸, n- 또는 i-프로필, n-, i-, s- 또는 t-부틸, n-펜틸 또는 n-헥실을 나타내거나, 메톡시카보닐, 에톡시카보닐, n- 또는 i-프로폭시카보닐 또는 n-, i-, s- 또는 t-부톡시카보닐을 나타내며,
n이 0, 1 또는 2를 나타낸다.
그러나, R1이 메틸, 에틸, n- 또는 i-프로필, n-, i-, s- 또는 t-부틸, n-펜틸 또는 n-헥실을 나타내는 경우 R2는 할로겐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매우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의 그룹이 제시된다:
R1이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를 나타내거나, 각 경우에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하이드록시, 메톡시, 에톡시, n- 또는 i-프로폭시, 메틸티오, 에틸티오, n- 또는 i-프로필티오, 트리플루오로메틸카보닐옥시 또는 시아노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메틸, 에틸, n- 또는 i-프로필 또는 n-, i-, s- 또는 t-부틸을 나타내거나, 메틸설포닐옥시 또는 에틸설포닐옥시를 나타내거나,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메톡시, 메틸티오, 메틸설포닐,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 페닐, 페녹시, 시아노 또는 니트로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페닐을 나타내고,
R2가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를 나타내거나, 각 경우에 메톡시, 에톡시, n- 또는 i-프로폭시 또는 브로모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메틸, 에틸, n- 또는 i-프로필 또는 n-, i-, s- 또는 t-부틸을 나타내거나, 메톡시카보닐, 에톡시카보닐 또는 n- 또는 i-프로폭시카보닐을 나타내며,
n이 0, 1 또는 2를 나타낸다.
그러나, R1이 메틸, 에틸, n- 또는 i-프로필 또는 n-, i-, s- 또는 t-부틸을 나타내는 경우 R2는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를 나타내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출발물질로서 2-머캅토옥사졸 및 4-브로모-1,1,2-트리플루오로-1-부텐이 사용된 경우, 전술한 제조방법 a)는 하기 반응식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물질로서 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이 사용되고 산화제로서 m-클로로퍼벤조산이 사용된 경우, 전술한 제조방법 b)는 하기 반응식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물질로서 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이 사용되고 할로겐화제로서 설푸릴 클로라이드가 사용된 경우, 전술한 제조방법 c)는 하기 반응식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물질로서 4-메틸-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이 사용되고 할로겐화제로서 N-클로로숙신이미드가 사용된 경우, 전술한 제조방법 d)는 하기 반응식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물질로서 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리딘-4-온이 사용되고 할로겐화제로서 옥시염화인이 사용된 경우, 전술한 제조방법 e)는 하기 반응식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물질로서 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리딘-4-온 및 메탄설폰산 클로라이드가 사용된 경우, 전술한 제조방법 f)는 하기 반응식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물질로서 2-클로로-5-메톡시카보닐-4-메틸옥사졸, 티오우레아 및 4-브로모-1,1,2-트리플루오로-1-부텐이 사용된 경우, 전술한 제조방법 g)는 하기 반응식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물질로서 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및 브로모메틸 메틸 에테르가 사용된 경우, 전술한 제조방법 h)는 하기 반응식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전술한 제조방법 a)에서 출발물질로서 사용된 일반식 (II)의 화합물로는 문헌[참조예, J. Org. Chem., (1988), 53 (5), 1113-1114; Collect. Czech. Chem. Commun. (1983), 48 (12), 3421-3425; Can. J. Chem., (1972), 50 (18), 3082-3083 등]에 기술된 공지 화합물이 포함된다.
일반식 (II)의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
2-머캅토옥사졸,
2-머캅토-4-메틸옥사졸,
4-에틸-2-머캅토옥사졸,
2-머캅토-5-메틸옥사졸,
5-에틸-2-머캅토옥사졸,
2-머캅토-5-n-프로필옥사졸,
2-머캅토-4-n-프로필옥사졸,
2-머캅토-4-iso-프로필옥사졸,
2-머캅토-4-tert-부틸옥사졸,
2-머캅토-4,5-디메틸옥사졸,
2-머캅토-4-페닐옥사졸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전술한 제조방법 a)에서 출발물질로서 사용된 4-브로모-1,1,2-트리플루오로-1-부텐은 공보 WO86/07590호에 기술된 공지 화합물이다.
전술한 제조방법 b)에서 출발물질로서 사용된 일반식 (Ia)의 화합물은 n이 0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에 상응하며, 예를 들어 전술한 제조방법 a)에 따라 합성될 수 있다.
제조방법 b)에서 전술한 일반식 (Ia)의 화합물을 산화시키기 위해 사용된 산화제로서 유기 화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제, 예를 들어 과산화수소수, m-클로로벤조산, 퍼아세트산, 퍼벤조산, 마그네슘 모노퍼옥시프탈레이트, 칼륨 퍼옥시모노설페이트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전술한 제조방법 c) 및 제조방법 d) 각각에서 출발물질로서 사용된 일반식 (Ib) 및 일반식 (Ic)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n이 0을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I)로 기술된다. 이들은 예를 들어 전술한 제조방법 a)에 따라 합성될 수 있다.
제조방법 c) 및 제조방법 d) 각각에서 일반식 (Ib) 및 일반식 (Ic)의 화합물과 반응시킬 수 있는 할로겐화제로서, 유기 화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제, 예를 들어 설푸릴 클로라이드, N-클로로숙신이미드, N-브로모숙신이미드,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누르산, 불화칼륨, 염소 가스, 브롬, 요오드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전술한 제조방법 e) 및 제조방법 f)에서 출발물질로서 사용된 일반식 (III)의 화합물은 이전에 문헌에 기술된 바 없는 신규한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방법 i)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제조방법 i)
일반식 (III)의 화합물은, 일반식 (VII)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 및 필요에 따라 산 결합제의 존재하에 4-브로모-1,1,2-트리플루오로-1-부텐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2d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다.
전술한 일반식 (VII)의 화합물은 공지 화합물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문헌[Ukrain. Khim. Zhur., 16, 545-551 (1950)]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식 (III)의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 예를 들어,
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리딘-4-온,
5-메틸-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리딘-4-온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제조방법 e)에서 전술한 일반식 (III)의 화합물과 반응시킬 수 있는 할로겐화제로서, 옥시염화인, 옥시브롬화인, 오염화인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제조방법 f)에서 필요한 전술한 일반식 (IV)의 화합물은 유기 화학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다. 언급될 수 있는 구체적인 예는 메탄설폰산 클로라이드, 에탄설폰산 클로라이드 등이다.
전술한 제조방법 g)에서 출발물질로서 사용된 일반식 (V)의 화합물은 공지 화합물이며, 예를 들어 공보 WO95/24403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언급될 수 있는 전술한 일반식 (V)의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는 2-클로로-5-메톡시카보닐-4-메틸옥사졸, 2-클로로-5-에톡시-카보닐-4-메틸옥사졸 등이다.
제조방법 h)에서 출발물질로서 사용된 일반식 (Id)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일반식 (I)로 기술되며, 예를 들어 전술한 제조방법 a)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제조방법 h)에서 필요한 일반식 (VI)의 화합물은 유기 화학 분야에 널리 공지된 화합물이다. 언급될 수 있는 구체적인 예는 브로모메틸 메틸 에테르, 브로모메틸 에틸 에테르 등이다.
제조방법 a)의 반응은 적합한 희석제의 존재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희석제의 예는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 예를 들어 헥산, 사이클로헥산, 석유 에테르, 리그로인, 벤젠, 톨루엔 또는 크실렌; 에테르, 예를 들어 디에틸 에테르, 메틸 에틸 에테르,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디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옥사이드, 디옥산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케톤, 예를 들어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또는 메틸 이소부틸 케톤; 니트릴, 예를 들면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산 아미드,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N-메틸피롤리돈이다.
제조방법 a)의 반응은 산 결합제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 결합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탄산염 및 알콜화물 등, 삼급아민,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아닐린, 피리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1,4-디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탄(DABCO) 또는 1,8-디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덱-7-엔(DBU)이다.
제조방법 a)의 반응은 실질적으로 넓은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응은 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상기 반응은 일반적으로 상압하에 수행되나, 임의로 승압하 또는 감압하에 수행될 수 있다.
제조방법 a)를 수행하는 경우, 상응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0.7 내지 1.5 몰의 4-브로모-1,1,2-트리플루오로-1-부텐을 가열에 의한 환류하에서 1 내지 1.3 몰의 산 결합제(예를 들어, 탄산칼륨)의 존재하에 희석제(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1 몰의 일반식 (II)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제조방법 a)로 제조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I)의 화합물 중, R1이 하이드록시메틸, 알콕시메틸, 할로게노메틸, 알킬카보닐옥시, 알킬티오메틸 또는 시아노메틸을 나타내고, R2가 수소를 나타내며, n이 0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또한 합성예 10 내지 14에 기술된 다른 방법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제조방법 b)의 반응은 적합한 희석제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사용될수 있는 희석제의 예는 임의로 염소화될 수 있는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 예를 들어 헥산, 사이클로헥산, 석유 에테르, 리그로인,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에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클로로벤젠; 에테르, 예를 들어 디에틸 에테르, 메틸 에틸 에테르,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디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옥사이드, 디옥산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알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예를 들어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아밀 아세테이트; 산 아미드,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N-메틸피롤리돈; 카복시산, 예를 들어 포름산 또는 아세트산이다.
제조방법 b)의 반응은 실질적으로 넓은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응은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0 내지 8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상기 반응은 일반적으로 상압하에 수행되나, 임의로 승압하 또는 감압하에 수행될 수 있다.
제조방법 b)를 수행하는 경우, 상응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0.8 내지 3 몰의 m-클로로퍼벤조산을 실온에서 희석제(예를 들어,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에서 1 몰의 일반식 (Ia)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제조방법 c) 및 d)의 반응은 적합한 희석제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희석제의 예는 임의로 염소화될 수 있는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 예를 들어 헥산, 사이클로헥산, 석유 에테르, 리그로인,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에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클로로벤젠; 에테르, 예를 들어 디에틸 에테르, 메틸 에틸 에테르,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디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옥사이드, 디옥산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산 아미드,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N-메틸피롤리돈; 설폰 및 설폭시드, 예를 들어 디메틸 설폭시드 또는 설폴란이다.
제조방법 c) 및 d)의 반응은 실질적으로 넓은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응은 -2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상기 반응은 일반적으로 상압하에 수행되나, 임의로 승압하 또는 감압하에 수행될 수 있다.
제조방법 c) 및 d)를 수행하는 경우, 상응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1 내지 4 몰의 N-클로로숙신이미드를 가열에 의한 환류하에 희석제(예를 들어, 사염화탄소) 중에서 1 몰의 일반식 (Ib)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제조방법 e)의 반응은 적합한 희석제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희석제의 예는 전술한 제조방법 b)에서 언급된 희석제 리스트에 따른 할로겐화 탄화수소를 비롯한 탄화수소, 에테르, 니트릴 및 산 아미드이다.
제조방법 e)의 반응은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기 염기는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1,1,4,4-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 N,N-디메틸아닐린 또는 피리딘이다.
제조방법 e)의 반응은 실질적으로 넓은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응은 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상기 반응은 일반적으로 상압하에 수행되나, 임의로 승압하 또는 감압하에 수행될 수 있다.
제조방법 e)를 수행하는 경우, 상응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1 내지 5 몰의 할로겐화제를 피리딘의 존재하에 1 몰의 일반식 (III)의 화합물에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제조방법 f)의 반응은 적합한 희석제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희석제의 예는 전술한 제조방법 e)에서 언급한 것과 동일한 희석제이며, 그 밖에 알킬설포닐 클로라이드, 예를 들어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에탄설포닐 클로라이드 또는 이소프로필설포닐 클로라이드가 언급될 수 있다.
또, 제조방법 f)의 반응은 무기 염기 및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기 염기는 전술한 제조방법 e)에 예시된 것과 동일한 것이다. 사용될 수 있는 무기 염기는 예를 들어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륨이다.
제조방법 f)의 반응은 실질적으로 넓은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응은 -2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3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상기 반응은 일반적으로 상압하에 수행되나, 임의로 승압하 또는 감압하에 수행될 수 있다.
제조방법 f)를 수행하는 경우, 상응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1 내지 3 몰의 일반식 (IV)의 화합물을 희석제(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의 존재하에 유기 염기(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와 함께 1 몰의 일반식 (III)의 화합물에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제조방법 g)의 반응은 적합한 희석제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희석제는 전술한 제조방법 a)에서 언급된 것과 동일한 희석제 및 그 밖에 알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이다.
제조방법 g)의 반응은 실질적으로 넓은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응은 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상기 반응은 일반적으로 상압하에 수행되나, 임의로 승압하 또는 감압하에 수행될 수 있다.
제조방법 g)를 수행하는 경우, 상응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1 내지 1.5 몰의 티오우레아를 희석제(예를 들어, 에탄올)중에서 1 몰의 일반식 (V)의 화합물에 반응시킨 다음, 1 내지 1.5 몰의 4-브로모-1,1,2-트리플루오로-부텐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제조방법 h)의 반응은 적합한 희석제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희석제는 예를 들어 앞서 예시된 에테르이다.
제조방법 h)의 반응은 실질적으로 넓은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응은 10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78 내지 10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상기 반응은 일반적으로 상압하에 수행되나, 임의로 승압하 또는 감압하에 수행될 수 있다.
제조방법 h)를 수행하는 경우, 상응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1 내지 1.5 몰의 일반식 (VI)의 화합물을 n-부틸 리튬의 존재하에 희석제(예를 들어, 디에틸 에테르) 중에서 1 몰의 일반식 (Id)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있다.
제조방법 i)의 반응은 적합한 희석제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희석제는 전술한 제조방법 a)에서 언급된 것과 동일한 희석제이다.
제조방법 i)의 반응은 전술한 제조방법 a)에서 언급된 것과 동일한 산 결합제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제조방법 i)의 반응은 전술한 제조방법 a)에서 언급된 동일한 반응 온도 및 압력을 적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제조방법 i)를 수행하는 경우, 상응하는 일반식 (III)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0.7 내지 1.5 몰의 4-브로모-1,1,2-트리플루오로-1-부텐을 1 내지 1.3 몰의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 희석제(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중에서 1 몰의 일반식 (VII)의 화합물에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선충에 대해 강력한 구제능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들은 살선충제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작물에 대해 식물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특히 유해 선충 구제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I)의 활성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는 선충의 예는 예를 들어 프라틸렌쿠스 종(Pratylenchus spp.), 글로보데라 로스토키엔시스 올렌웨버 (Globodera rostochiensis wollenweber), 헤테로데라 종(Heterodera spp.), 예를 들어 헤테로데라 글리시네스 이키노헤(Heterodera glycines ichinohe), 멜로이도기네 종(Meloidogyne spp.), 아펠렌코이데스 바세이 크리스티에(Aphelenchoidesbasseyi christie), 브루사펠렌추스 크실로필리스(Bursaphelenchus xylophilis), 라도폴루스 시밀리스(Radopholus similis), 디틸렌쿠스 디프사키(Ditylenchus dipsaci), 틸렌쿨루스 세미페네트란스(Tylenchulus semipenetrans) 등이다. 그러나 상기 화합물로 구제될 수 있는 선충은 상기 리스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은 또한 다른 활성 화합물, 예를 들어 살충제, 살균제, 살비제, 살진균제 등과의 혼합물로서 그의 상업적으로 유용한 제제의 형태로 또는 이들 제제로부터 제조된 사용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혼합물에 가능한 성분은 살충제, 예를 들어 유기인 제제, 카바메이트 제제, 카복실레이트형 화학물질, 염소화 탄화수소형 화학물질 또는 클로로니코티닐형 화학물질,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살충 물질이다.
또,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은 상승제와의 혼합물로서 그의 상업적으로 유용한 것으로서 언급될 수 있는 이러한 제제 및 사용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승제는 상승제 그 자체가 활성화될 필요없이 활성 화합물의 작용을 증가시키는 화합물이다.
상업적으로 유용한 제제 또는 사용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함량은 넓은 범위내에서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I)의 활성 화합물의 적용 농도는 일반적으로 0.0000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01 내지 1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은 용액제, 유제, 수화성 분제, 수분산성 과립제, 현탁제, 분제, 포밍제, 페이스트, 과립제, 활성 화합물-함침된 천연 및 합성 물질,극미세 캅셀제, 훈증제 등과 같은 통상의 제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들 제제는 그 자체로 공지 방법에 따라, 예를 들어, 활성 화합물을 증량제, 즉 액체 용매, 액화가스 및/또는 고형 희석제 또는 담체 및 임의로 계면활성제, 즉 유화제 및/또는 분산제 및/또는 포움-형성제와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액체 희석제 또는 담체는 예를 들어 크실렌, 톨루엔 또는 알킬나프탈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클로로벤젠, 에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염소화 방향족 또는 염소화 지방족 탄화수소, 사이클로헥산 또는 파라핀, 예를 들어 광유 분획물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부탄올 또는 글리콜과 같은 알콜 및 그들의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또는 사이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메틸 설폭시드와 같은 강한 극성 용매, 물 등이다.
액화가스 희석제 또는 담체는 상온 및 상압하에서 가스 상태인 액화 물질이다. 예는 부탄, 프로판, 질소가스, 이산화탄소, 할로겐화 탄화수소와 같은 에어졸 추진제이다.
사용될 수 있는 고형 담체는 예를 들어 카올린, 점토, 활석, 백악, 석영, 아타펄기트,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규조토와 같은 분쇄된 천연 광물, 및 미분 규산, 알루미나 또는 실리케이트와 같은 분쇄된 합성 광물 등이다.
사용될 수 있는 과립제용 고형 담체는 예를 들어 방해석, 대리석, 경석, 해포석 및 백운석과 같은 분쇄 및 분류된 암석, 및 무기 및 유기가루의 합성과립, 및 톱밥, 코코넛 껍질, 옥수수 속대 및 담배줄기와 같은 유기물질의 미립자이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 및/또는 포움-형성제는 예를 들어 비이온성 및 음이온성 유화제,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아릴 폴리글리콜 에테르와 같은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알콜 에테르, 알킬설포네이트, 알킬설페이트 또는 아릴설포네이트, 알부민 가수분해물 등이다.
분산제는 예를 들어 리그린 설파이트 폐액 및 메틸셀룰로오즈이다.
점착제가 또한 분제, 과립제 또는 유제와 같은 제제 중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착제는 예를 들어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아라비아고무,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중합체이다.
착색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착색제는 예를 들어 산화철, 산화티탄 및 프루시안 블루와 같은 무기안료, 및 알리자린 염료, 아조염료 및 금속 프탈로시아닌 염료와 같은 유기염료, 및 철, 망간, 붕소, 구리, 코발트, 몰리브덴 및 아연의 염과 같은 미량 영양소이다.
상기 제제는 일반적으로 전술한 활성 화합물을 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90 중량%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예 및 사용예가 하기 실시예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어떤 방식으로든 제한되지 않는다. "부"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한 "중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제조 실시예
실시예 1
아세토니트릴 50 ㎖에 2-머캅토옥사졸 3.8 g, 4-브로모-1,1,2-트리플루오로-1-부텐 7.5 g 및 탄산칼륨 7.0 g을 첨가하고, 5 시간동안 가열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고체 물질을 흡인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하에 증류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헥산:디클로로메탄=1:1)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6.5 g을 수득하였다(수율 82.7 %, n20 D=1.4631).
실시예 2
디클로로메탄 50 ㎖에 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1.0 g 및 m-클로로퍼벤조산(순도 약 70%) 1.5 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0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0 ㎖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에틸 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1:4)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설피닐)옥사졸 1.0 g을 수득하였다(수율 92.9 %, n20 D=1.4820).
실시예 3
디클로로메탄 50 ㎖에 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1.0 g 및 m-클로로퍼벤조산(순도 약 70%) 3.0 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0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0 ㎖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디클로로메탄)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설포닐)옥사졸 0.8 g을 수득하였다(수율 69.4 %, n20 D=1.4705).
실시예 4
DMF(탈수) 40 ㎖에 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4.0 g을 첨가하고, 50 ℃에서 1 시간에 걸쳐 클로로포름 10 ㎖ 및 설푸릴 클로라이드 2.6 g의 혼합물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 ℃에서 3 시간 교반시킨 후, 클로로포름 5 ㎖ 및 설푸릴 클로라이드 0.8 g의 혼합물을 추가로 15 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50 ℃에서 15 시간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빙수 200 ㎖에 부은 다음 헥산 100 ㎖로 추출하였다. 수성 층을 1 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시키고, 헥산 100 ㎖로 추가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헥산 층을 합하고 200 ㎖의 포화식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헥산:디클로로메탄=1:1)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5-클로로-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2.4 g을 수득하였다(수율 51.5 %, n20 D=1.4830).
실시예 5
4-메틸-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2.2 g을 디클로로메탄 40 ㎖에 용해시키고, N-브로모숙신이미드 3.4 g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5 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헥산:에틸 아세테이트=93:7)에 의해 정제하여 5-브로모-4-브로모메틸-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2.4 g을 수득하였다(수율 63 %). n20 D=1.4963.
실시예 6
옥시염화인 2 g을 빙냉하에 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리딘 -4-온 2 g 및 피리딘 0.35 g의 혼합물에 적가하고, 70 내지 80 ℃에서 3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빙수를 첨가한 다음 30 분간 교반하고,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디클로로메탄)에 의해 정제하여 4-클로로-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0.7 g을 수득하였다(수율 65 %). n20 D=1.4813.
실시예 7
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리딘-4-온 1 g 및 트리에틸아민0.9 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0 ㎖에 용해시킨 다음 빙냉하에 메탄설폰산 클로라이드 0.56 g을 적가하고 50 ℃에서 8 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에테르에 용해시켰다. 1N 염산 및 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헥산:디클로로메탄=1:1)에 의해 정제하여 4-메틸설포닐옥시-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0.25 g을 수득하였다(수율 19 %). n20 D=1.4830.
실시예 8
2-클로로-5-메톡시카보닐-4-메틸옥사졸 2.1 g 및 티오우레아 1.1 g을 에탄올 55 ㎖에 용해시키고 8 시간 환류시켰다. 냉각시킨 후,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켰다. 잔류물을 아세톤 55 ㎖에 용해시킨 다음 4-브로모-1,1,2-트리플루오로-1-부텐 2.5 g 및 탄산칼륨 2.4 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8 시간 교반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켰다. 잔류물에 물 50 ㎖를 첨가하고 에테르로 추출한 후, 에테르 층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하여 5-메톡시카보닐-4-메틸-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3.1 g을 수득하였다. n20 D=1.4972.
실시예 9
-70 ℃에서 에테르 40 ㎖ 중 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3.14 g의 용액에 10.40 ㎖의 n-부틸리튬(1.6 M n-헥산 용액)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1 시간 교반한 후, 에테르 10 ㎖ 중 브로모메틸 메틸 에테르 2.06 g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되돌린 후 1 시간 교반한 다음, 염화암모늄 포화용액 50 ㎖를 첨가하여 에테르 층 및 수성 층으로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에테르로 추가로 추출한 다음 분리한 에테르 층과 합하여 염화나트륨 포화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하여 5-메톡시메틸-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0.5 g을 수득하였다(수율 13 %). n20 D=1.4705.
실시예 10
아세토니트릴 200 ㎖에 3,8-디옥사-1,6-디아자스피로[4,4]노나-1,6-디엔-2,7-디티올 7.5 g, 4-브로모-1,1,2-트리플루오로-1-부텐 7.5 g 및 탄산칼륨 7.0 g을 첨가하고 5 시간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흡인여과시킨 다음 여액을 감압하에 증류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에틸 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1:4)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4-하이드록시메틸-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7.0 g을 수득하였다(수율 74.2 %). n20 D=1.4910.
실시예 11
50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탈수) 중 4-하이드록시메틸-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2.7 g의 용액을 0 ℃에서 20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탈수) 중 NaH(순도 약 60 %) 0.5 g의 현탁액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한 후, 20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탈수) 중 요오드화메틸 2.0 g의 용액을 0 ℃에서 첨가하고, 추가로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0 g의 얼음 및 2N 염산의 혼합 용액에 부었다. 100 ㎖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후, 용액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디클로로메탄)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4-메톡시메틸-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1.5 g을 수득하였다(수율 52.5 %). n20 D=1.4710.
실시예 12
4-하이드록시메틸-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6.8 g 및 피리딘 2.5 g을 30 ㎖의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10 ㎖의 클로로포름중 티오닐 클로라이드 5.0 g의 용액을 0 ℃에서 적가하였다. 첨가종료후, 혼합물을 10 시간 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헥산:디클로로메탄=2:1)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4-클로로메틸-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5.7 g을 수득하였다(수율 77.8 %). n20 D=1.4933.
실시예 13
4-클로로메틸-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1.2 g, 나트륨 티오메톡시드 0.5 g 및 요오드화나트륨 0.1 g을 20 ㎖의 디메틸포름아미드(탈수)에 첨가하고 80 ℃에서 10 시간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200 ㎖의 물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100 ㎖의 디에틸 에테르로 두 번 추출하였다. 추출한 디에틸 에테르 층을 합하여 200 ㎖의 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헥산:디클로로메탄 = 2:1)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4-메틸티오메틸-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0.3 g을 수득하였다(수율 23.9 %). n20 D=1.5099.
실시예 14
4-하이드록시메틸-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3 g 및 트리에틸아민 1.5 g을 50 ㎖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20 ㎖의 디클로로메탄 중 아세틸 클로라이드 1 g의 용액을 빙냉하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8 시간 교반한 후, 혼합물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켯다.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하여 4-아세톡시메틸-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2.7 g을 수득하였다(수율 76.5 %).n20 D=1.4752.
실시예 15
4-클로로메틸-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1.2 g, 시안화칼륨 1 g, 18-크라운-6-에테르 0.1 g 및 요오드화나트륨 0.1 g을 200 ㎖의 디메틸포름아미드(탈수)에 첨가하고, 100 ℃에서 20 시간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200 ㎖의 물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한 다음 100 ㎖의 디에틸 에테르로 두 번 추출하였다. 추출한 디에틸 에테르 층을 합하여 200 ㎖의 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헥산:디클로로메탄=2:1)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4-시아노메틸-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사졸 0.3 g을 수득하였다(수율 15.6 %). n20 D=1.4844.
전술한 합성 실시예 1 내지 9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합성 실시예 1 내지 15의 화합물도 또한 표 1에 나타내엇다.
표 1에서, Me는 메틸을 나타내고, Et는 에틸을 나타내며, n-Pr은 n-프로필을나타내고, i-Pr은 이소프로필을 나타내며, n-Bu은 n-부틸을 나타내고, t-Bu는 t-부틸을 나타내며, n-Pen은 n-펜틸을 나타내고, n-Hex는 n-헥실을 나타내며, Ph는 페닐을 나타낸다.
표 1
표 1 (계속)
표 1 (계속)
표 1 (계속)
표 1 (계속)
제조 실시예 (출발물질)
실시예 (A)
티오시안산칼륨 16.5 g을 400 ㎖의 에탄올에 첨가하고 15 ㎖의 진한 염산을 냉각하에 조금씩 첨가한 다음 1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티오시안산의 에탄올 용액을 수득하였다. 별도의 플라스크에서 300 ㎖의 물 및 19.0 g의 디하이드록시 푸마르산을 60 ℃에서 1 시간 교반하여 탈카복시반응을 통해 글리콜알데하이드 수용액을 수득하였다. 이 용액을 혼합하여 15 시간 환류하였다. 반응을 종료시킨 후,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키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에틸 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1:9)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결정으로서 2-머캅토옥사졸 4 g을 수득하였다(수율 30.8 %). mp 149 내지 150 ℃.
실시예 (B)
35% 포르말린 32 ㎖, 물 46 ㎖ 및 진한 염산 165 ㎖를 시안화칼륨 65 g 및 티오시안산칼륨 97 g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한 후, 여액을 2 시간 환류시킨 다음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알칼리화시켰다. 에테르로 세척한 후, 이 용액을 진한 염산으로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켜 4-옥사졸리디논-2-티온 26.1 g을 수득하였다(수율 18 %). {J. Med. Chem.37(2), 322-8 (1994)}
실시예 (C)
4-옥사졸리디논-2-티온 1 g 및 트리에틸아민 1.8 g을 43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4-브로모-1,1,2-트리플루오로-1-부텐 1.9 g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0.2 g을 첨가한 다음 4 시간 환류시켰다. 냉각시키고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킨 후, 에테르 및 물을 첨가하여 격렬히 교반하였다. 에테르 층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디클로로메탄)로 처리하여 2-(3,4,4-트리플루오로-3-부테닐티오)옥살린-4-온 1 g을 수득하였다(수율 52 %). n20 D1.4964.
실시예 (D)
진한 염산 40 ㎖를 빙냉하에 에탄올 300 ㎖ 중 티오시안산칼륨 35.0 g의 현탁액에 조금씩 첨가하고 1 시간 교반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여, 티오시안산의 에탄올 용액을 수득하였다. 에탄올 100 ㎖ 중 디하이드록시아세톤 15.0 g의 용액을 상기 티오시안산 에탄올 용액에 첨가하고 15 시간 환류시켰다. 반응을 종료시킨 후,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키고 잔류물을 100 ㎖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한 다음 여과하였다. 여과한 결정을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3,8-디옥사-1,6-디아자스피로[4,4]노나-1,6-디엔-2,7-디티올 28.4 g을 수득하였다(수율 89.6 %). mp. 200-202 ℃.
실시예 (E)
메틸 2-클로로아세토아세테이트 150 g 및 우레아 180 g을 600 ㎖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36 시간 환류시켰다. 냉각시킨 후,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여 2N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현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켰다.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2-아미노-5-메톡시카보닐-4-메틸옥사졸 10 g을 수득하였다. mp. 199-201 ℃.
실시예 (F)
아세토니트릴 150 ㎖ 중 염화제이구리 4.84 g 및 t-부틸 니트라이트 3.4 g의 현탁액에 아르곤 기류하에 10 ℃ 이하에서 2-아미노-5-메톡시카보닐-4-메틸옥사졸 4.7 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 시간 교반하였다. 2N 염산으로 처리한 후, 혼합물을 에테르로 추출하고 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하여 2-클로로-5-메톡시카보닐-4-메톡시옥사졸 2.1 g을 수득하였다. mp. 69-71 ℃.
사용 실시예
실시예 1 : 멜로이도기네 종(Meloidogyne spp.)에 대한 시험(토양 포트 시험)
시험 제제의 제조:
활성 화합물 1부를 경석 99부에 함침시켜 미세 과립을 수득하였다.
시험 방법:
일반식 (I)의 화합물을 멜로이도기네 인코그니타(Meloidogyne incognita)로 오염된 토양에 약품 농도 10 ppm으로 가하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포트(1/5000 아르(are))에 토양을 채웠다. 포트당 약 20개의 토마토 종자(품종: 쿠리하라(Kurihara))를 파종하였다. 온실에서 4 주간 경작한 후, 뿌리가 상하지 않게 조심해서 파낸 후, 뿌리혹 지수(root knot index) 및 구제 효과를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다.
손상도0: 뿌리혹 선충이 관찰되지 않음
1: 약간의 뿌리혹 선충 관찰
2: 중간 정도의 뿌리혹 선충 관찰
3: 상당한 뿌리혹 선충 관찰
4: 극심한 정도로 뿌리혹 선충 관찰(비처리군에 상응)
시험 화합물의 선충 구제능을 수득된 구제 효과값에 기초하여 다음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a: 구제 효과 100-71%
b: 구제 효과 70-50%
c: 구제 효과 50% 미만
d: 구제 효과 0%
그 결과, 제조 실시예 1, 2, 3, 4, 5, 6, 8, 16, 17, 18, 19, 20, 21, 39, 46, 52, 54, 64, 65, 71, 75, 78, 80, 86, 96, 108, 110 및 127의 화합물이 구제 효과 a를 나타내었다.
제제예
실시예 a) (과립제)
본 발명의 화합물(예, 실시예 1) 10 부, 벤토나이트(몬모릴로나이트) 30 부, 활석 58 부 및 리그닌설포네이트염 2 부의 혼합물에 물 25 부를 첨가하고, 잘 혼합한 후, 압출 제립기로 10-40 메쉬로 과립화한 다음, 40-50 ℃에서 건조시켜 과립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b) (과립제)
0.2-2 ㎜ 범위의 입자 직경 분포를 갖는 점토 광물 입자 95 부를 회전 믹서에 도입하였다. 이것을 회전시키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예, 실시예 2) 5 부를 액체 희석제와 함께 광물 입자에 분무하여 균일하게 습윤된 입자를 수득한 후, 입자를 40-50 ℃에서 건조시켜 과립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c) (유화성 농축액)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예, 실시예 3) 30 부, 크실렌 55 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8 부 및 칼슘 알킬벤젠설포네이트 7 부를 혼합한 뒤 교반하여 유화성 농축액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d) (수화성 분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예, 실시예 1) 15 부, 화이트 카본(White Carbon)(함수성 무정형 이산화규소 미분)과 분말상 점토의 혼합물(1:5) 80 부, 나트륨 알킬벤젠설포네이트 2 부 및 나트륨 알킬나프탈렌설포네이트-포르말린-축합물 3 부를 분쇄하고 함께 혼합하여 수화성 분제를 수득하였다.

Claims (10)

  1. 일반식 (I)의 화합물: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할로겐, 또는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카보닐옥시, 할로알킬카보닐옥시 또는 시아노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알킬을 나타내거나, 알킬설포닐옥시를 나타내거나, 할로겐,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설포닐, 할로알콕시, 할로알킬티오, 페닐, 페녹시, 시아노 또는 니트로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페닐을 나타내며,
    R2는 수소, 할로겐, 또는 알콕시 또는 할로겐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알킬을 나타내거나, 알콕시카보닐을 나타내고,
    n은 0, 1 또는 2를 나타내며,
    단, R1이 알킬을 나타내면 R2는 할로겐을 나타내지 않는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또는 할로겐을 나타내거나, 할로겐, 하이드록시, C1-3알콕시, C1-3알킬티오, C1-3알킬카보닐옥시, 트리플루오로메틸카보닐옥시 또는 시아노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C1-6알킬을 나타내거나, C1-4알킬설포닐옥시를 나타내거나, 할로겐,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메톡시, 메틸티오, 메틸설포닐,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 페닐, 페녹시, 시아노 또는 니트로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페닐을 나타내고,
    R2가 수소 또는 할로겐을 나타내거나, C1-3알콕시 또는 할로겐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C1-6알킬을 나타내거나, C1-4알콕시카보닐을 나타내며,
    n이 0 또는 2를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를 나타내거나,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하이드록시, C1-3알콕시, C1-3알킬티오, C1-3알킬카보닐옥시, 트리플루오로메틸카보닐옥시 또는 시아노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C1-4알킬을 나타내거나, 메틸설포닐옥시 또는 에틸설포닐옥시를 나타내거나,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메톡시, 메틸티오, 메틸설포닐,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 페닐, 페녹시, 시아노 또는 니트로에 의해 치환되거나비치환될 수 있는 페닐을 나타내고,
    R2가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를 나타내거나, C1-3알콕시 또는 브로모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C1-4알킬을 나타내거나, C1-3알콕시카보닐을 나타내며,
    n이 0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또는 할로겐을 나타내거나, 각 경우에 할로겐, 하이드록시, 메톡시, 에톡시, n- 또는 i-프로폭시, 메틸티오, 에틸티오, n- 또는 i-프로필티오, 메틸카보닐옥시, 에틸카보닐옥시, n- 또는 i-프로필카보닐옥시, 트리플루오로메틸카보닐옥시 또는 시아노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메틸, 에틸, n- 또는 i-프로필, n-, i-, s- 또는 t-부틸, n-펜틸 또는 n-헥실을 나타내거나, 메틸설포닐옥시, 에틸설포닐옥시, n- 또는 i-프로필설포닐옥시, n-, i-, s- 또는 t-부틸설포닐옥시를 나타내거나, 할로겐,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메톡시, 메틸티오, 메틸설포닐,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 페닐, 페녹시, 시아노 또는 니트로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페닐을 나타내고,
    R2가 수소, 할로겐, 각 경우에 메톡시, 에톡시, n- 또는 i-프로폭시 또는 할로겐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메틸, 에틸, n- 또는 i-프로필, n-, i-, s- 또는 t-부틸, n-펜틸 또는 n-헥실을 나타내거나, 메톡시카보닐, 에톡시카보닐, n- 또는 i-프로폭시카보닐 또는 n-, i-, s- 또는 t-부톡시카보닐을 나타내며,
    n이 0, 1 또는 2를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
  5.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를 나타내거나, 각 경우에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하이드록시, 메톡시, 에톡시, n- 또는 i-프로폭시, 메틸티오, 에틸티오, n- 또는 i-프로필티오, 트리플루오로메틸카보닐옥시 또는 시아노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메틸, 에틸, n- 또는 i-프로필 또는 n-, i-, s- 또는 t-부틸을 나타내거나, 메틸설포닐옥시 또는 에틸설포닐옥시를 나타내거나,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메톡시, 메틸티오, 메틸설포닐,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 페닐, 페녹시, 시아노 또는 니트로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페닐을 나타내고,
    R2가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를 나타내거나, 각 경우에 메톡시, 에톡시, n- 또는 i-프로폭시 또는 브로모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메틸, 에틸, n- 또는 i-프로필 또는 n-, i-, s- 또는 t-부틸을 나타내거나, 메톡시카보닐, 에톡시카보닐 또는 n- 또는 i-프로폭시카보닐을 나타내며,
    n이 0, 1 또는 2를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
  6. a) R1이 수소를 나타내거나,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카보닐옥시, 할로알킬카보닐옥시 또는 시아노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알킬을 나타내거나, 할로겐,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설포닐, 할로알콕시, 할로알킬티오, 페닐, 페녹시, 시아노 또는 니트로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페닐을 나타내고,
    R2가 수소를 나타내거나, 알콕시 또는 할로겐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알킬을 나타내며,
    n이 0을 나타내는 경우, 일반식 (II)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 및 필요에 따라 산 결합제의 존재하에 4-브로모-1,1,2-트리플루오로-1-부텐과 반응시키거나,
    b) R1및 R2가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n이 1 또는 2를 나타내는 경우, 일반식 (Ia)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 산화시키거나,
    c) R1이 수소 또는 할로알킬을 나타내고,
    R2가 할로겐을 나타내며,
    n이 0을 나타내는 경우, 일반식 (Ib)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 할로겐화제와 반응시키거나,
    d) R1이 할로알킬을 나타내고,
    R2가 수소 또는 할로알킬을 나타내며,
    n이 0을 나타내는 경우, 일반식 (Ic)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 할로겐화제와 반응시키거나,
    e) R1이 할로겐을 나타내고,
    R2가 수소 또는 알킬을 나타내며,
    n이 0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언급된 일반식 (III)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 및 필요에 따라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할로겐화제와 반응시키거나,
    f) R1이 알킬설포닐옥시를 나타내고,
    R2가 수소 또는 알킬을 나타내며,
    n이 0을 나타내는 경우, 일반식 (III)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 및 필요에 따라 무기 또는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일반식 (IV)의 화합물과 반응시키거나,
    g) R1이 알킬을 나타내고,
    R2가 알콕시카보닐을 나타내며,
    n이 0을 나타내는 경우, 일반식 (IV)의 화합물을 티오우레아와 반응시킨 다음, 생성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 4-브로모-1,1,2-트리플루오로-1-부텐과 반응시키거나,
    h) R1이 수소를 나타내고,
    R2가 알콕시알킬을 나타내며,
    n이 0을 나타내는 경우, 일반식 (Id)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 일반식 (VI)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 식에서,
    R1a는 수소를 나타내거나,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카보닐옥시, 할로알킬카보닐옥시 또는 시아노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알킬을 나타내거나, 할로겐,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설포닐, 할로알콕시, 할로알킬티오, 페닐, 페녹시, 시아노 또는 니트로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페닐을 나타내며,
    R2a는 수소를 나타내거나, 알콕시 또는 할로겐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알킬을 나타내고,
    n은 0을 나타내며,
    R1및 R2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R1b, R2c및 R2d는 수소 또는 알킬을 나타내며,
    R2b및 R1e는 수소를 나타내고,
    R1c, R1d및 R3는 알킬을 나타내며,
    R4는 알콕시알킬을 나타낸다.
  7. 적어도 하나의 일반식 (I)의 트리플루오로부텐 및 통상의 증량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선충성(nematicidal) 조성물.
  8. 일반식 (I)의 트리플루오로부텐을 선충 및/또는 이들의 서식지에 작용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선충을 구제하는 방법.
  9. 선충을 구제하기 위한 일반식 (I)의 트리플루오로부텐의 용도.
  10. 일반식 (III)의 트리플루오로부텐:
    상기 식에서,
    R2d는 수소 또는 알킬을 나타낸다.
KR1020027010827A 2000-03-09 2001-03-08 살선충성 트리플루오로부텐 KR200200798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64615 2000-03-09
JP2000064615 2000-03-09
JP2000240855A JP2001322988A (ja) 2000-03-09 2000-08-09 殺センチュウ性トリフルオロブテン類
JPJP-P-2000-00240855 2000-08-09
PCT/IB2001/000331 WO2001066529A1 (en) 2000-03-09 2001-03-08 Nematicidal trifluorobute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877A true KR20020079877A (ko) 2002-10-19

Family

ID=26587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827A KR20020079877A (ko) 2000-03-09 2001-03-08 살선충성 트리플루오로부텐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743814B2 (ko)
EP (1) EP1263744A1 (ko)
JP (2) JP2001322988A (ko)
KR (1) KR20020079877A (ko)
CN (1) CN1476437A (ko)
AU (1) AU2001235916A1 (ko)
BR (1) BR0108989A (ko)
HU (1) HUP0300127A3 (ko)
MX (1) MXPA02008728A (ko)
NZ (1) NZ521227A (ko)
WO (1) WO20010665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38A1 (de) * 2002-01-15 2003-07-24 Bayer Crop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alogenierten 2-(3-Butenylsulfanyl)-1,3-thiazolen
JP2004018430A (ja) * 2002-06-14 2004-01-22 Bayer Ag 殺センチュウ性テトラゾール含有トリフルオロブテン誘導体
DE10229776A1 (de) * 2002-07-03 2004-01-22 Bayer Cropscience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heterocyclischen Fluoralkenylsulfonen
EP1569896B1 (en) * 2002-12-06 2007-08-15 Bayer HealthCare AG Tetrahydro-naphthalene derivatives
DE60322946D1 (de) * 2002-12-09 2008-09-25 Xention Ltd Tetrahydronaphtalen-derivate als vanilloid-rezeptor-antagonisten
DE10319591A1 (de) 2003-05-02 2004-11-18 Bayer Cropscience Ag Wirkstoffkombinationen mit nematiziden, insektiziden und fungiziden Eigenschaften basierend auf Trifluorbutenyl-Verbindungen
DE10319590A1 (de) 2003-05-02 2004-11-18 Bayer Cropscience Ag Wirkstoffkombinationen mit nematiziden und insektiziden Eigenschaften basierend auf Trifluorbutenyl-Verbindungen
JP2005008567A (ja) * 2003-06-19 2005-01-13 Bayer Cropscience Ag 殺センチュウ性チアゾリン含有フルオロブテン類
EP2112143A1 (de) 2008-04-22 2009-10-28 Bayer CropScience AG 2-(Benzylsulfonyl)-Oxazol-Derivate, chirale 2-(Benzylsulfinyl)-Oxazol-Derivate 2-(Benzylsulfanyl-Oxazol 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als Herbizide und Pflanzenwachstumsregulatoren
EP2112149A1 (de) 2008-04-22 2009-10-28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2-[(1h-Pyrazol-4-ylmethyl)-sulfonyl]-Oxazol-Derivate, 2-[(1H-Pyrazol-4-ylmethyl)-sulfanyl]-Oxazol-Derivate und chirale 2-[(1H-Pyrazol-4-ylmethyl)-sulfinyl]-Oxazol-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als Herbizide und Pflanzenwachstumsregulatoren
JP2012232910A (ja) * 2011-04-28 2012-11-29 Bayer Cropscience Ag 殺虫性アリルヘテロサイクル誘導体
CN102696609B (zh) * 2012-01-10 2013-09-11 山东中农联合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吡啶的三氟丁烯类杀虫剂
BR112018011501B1 (pt) 2015-12-10 2022-05-31 Rhodia Operations Composição de material agrícola, seu processo de preparação e métodos para controlar e prevenir peste e para aperfeiçoar o crescimento de planta
WO2019123196A1 (en) * 2017-12-20 2019-06-27 Pi Industries Ltd. Fluoralkenyl compounds, process for preparation and use thereof
AR114185A1 (es) 2018-01-23 2020-07-29 Adama Makhteshim Ltd Síntesis de 5-cloro-2-[(3,4,4-trifluoro-3-buten-1-il)tio]-tiazol
IT201800009385A1 (it) 2018-10-11 2020-04-11 Isagro Spa Derivati caffeinici ad attività nematocida, loro composizioni agronomiche e relativo uso
WO2020095161A1 (en) 2018-11-05 2020-05-14 Pi Industries Ltd. Nitrone compounds and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3172A (en) 1965-09-27 1970-05-19 Stauffer Chemical Co 3-phenyl-5-(3,4,4-trifluoro-3-butenylthio)1,2,4-thiadiazole
US3697536A (en) 1969-11-20 1972-10-10 Stauffer Chemical Co Composition of matter
US4952580A (en) 1985-06-20 1990-08-28 Fmc Corporation Pesticidal polyhaloalkene derivatives
IL90192A0 (en) * 1988-05-13 1989-12-15 Schering Ag Azole ether derivatives and pest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CA2104005A1 (en) 1991-03-01 1992-09-02 Peter Gerrard Ruminsky Fluoroalkenyl compounds and their use as pest repellents
EP0507464A1 (en) 1991-03-28 1992-10-07 Zeneca Limited Benzoxazole derivatives
GB9219634D0 (en) 1992-09-16 1992-10-28 Ici Plc Heterocyclic compounds
GB9219635D0 (en) 1992-09-16 1992-10-28 Ici Plc Heterocyclic compounds
IL112721A0 (en) 1994-03-10 1995-05-26 Zeneca Ltd Azole derivatives
JPH10287659A (ja) 1997-04-08 1998-10-27 Ube Ind Ltd 1,2,3−チアジアゾール化合物、その製法及び農園芸用の有害生物防除剤
WO1999052882A1 (fr) 1998-04-13 1999-10-21 Nihon Nohyaku Co., Ltd. Derive de 1,2,3-thiadiazole ou son sel et agent antiparasitaire, et procede d'utilisation
JP2001019685A (ja) 1999-07-06 2001-01-23 Nippon Bayer Agrochem Co Ltd 殺センチュウ性トリフルオロブテン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25930A (ja) 2003-09-02
HUP0300127A2 (en) 2003-05-28
CN1476437A (zh) 2004-02-18
NZ521227A (en) 2004-02-27
MXPA02008728A (es) 2003-04-14
JP2001322988A (ja) 2001-11-20
HUP0300127A3 (en) 2005-10-28
AU2001235916A1 (en) 2001-09-17
WO2001066529A1 (en) 2001-09-13
EP1263744A1 (en) 2002-12-11
US6743814B2 (en) 2004-06-01
US20030109563A1 (en) 2003-06-12
BR0108989A (pt) 2003-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9877A (ko) 살선충성 트리플루오로부텐
JP2001019685A (ja) 殺センチュウ性トリフルオロブテン類
PL172002B1 (pl) Pochodna 4-benzoiloizoksazolu PL PL
AU2006278950A1 (en) Insecticidal 3-acylaminobenzanilides
KR20010071975A (ko) 살선충성 피라졸
CA2044135A1 (en) Hetercyclic compounds
EP0778267A1 (en) Sulfonamide derivatives and insecticide, miticide and nematicide containing the same
WO2018155661A1 (ja) チアゾール化合物及び除草剤
RU2154644C2 (ru) Замещен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пиразола и средство, обладающее гербицид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JP3159859B2 (ja) 殺虫性ニトロ化合物
KR20010083945A (ko) 이소티아졸카복실산 유도체
JP2003506443A (ja) 除草性テトラゾリノン誘導体
JP2003113168A (ja) 殺センチュウ性トリフルオロブテン誘導体
US4666503A (en) Substituted phenoxyalkanecarboxylic acid esters used to combat weeds in rice fields
KR100297332B1 (ko) 해충구제제로서의피리딜-1,2,4-티아디아졸
JP2004018506A (ja) 殺虫性フタラミド誘導体
JP2003192675A (ja) 殺センチュウ性トリフルオロブテニルイミダゾールチオエーテル誘導体
US4872901A (en) Herbicidal pyrazole sulfonyl Imino-2H-1,2,4-thiadiazolo[2,3-a9 pyrimidines
JPH1017566A (ja) 1,2,3−ベンゾチアジアゾール誘導体及び植物病害防除剤
JP2005089383A (ja) 新規チアジアゾール含有ジフルオロアルケン類及び有害生物防除剤としての利用
JP2005008567A (ja) 殺センチュウ性チアゾリン含有フルオロブテン類
JPH0776577A (ja) ジフェニルトリアゾール誘導体及び殺虫、殺ダニ剤
JPH107657A (ja) スルホンアミド化合物
ZA200206250B (en) Nematicidal trifluorobutenes.
HU190555B (en) Herb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2-aryl-2-/alkyl halide/-oxirane-derivatives as active substanc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active subst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