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224A -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224A
KR20020079224A KR1020010019971A KR20010019971A KR20020079224A KR 20020079224 A KR20020079224 A KR 20020079224A KR 1020010019971 A KR1020010019971 A KR 1020010019971A KR 20010019971 A KR20010019971 A KR 20010019971A KR 20020079224 A KR20020079224 A KR 20020079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cessing
unit
processing apparatus
mobile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권상
최병욱
Original Assignee
(주)임베디드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임베디드웹 filed Critical (주)임베디드웹
Priority to KR1020010019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9224A/ko
Publication of KR20020079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22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내 어디에서도 자유롭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방범기능을 가지는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다수의 통신망과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 접속부와 무선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무선 모뎀부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고 처리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 명령에 따른 정보의 제공을 상기 무선 모뎀부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요청하고, 요청된 정보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한편 설정모드에 따라 상기 로봇의 이동 및 시스템 동작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제어부와; 적어도 가스 및 화재, 제3자의 침입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피사체를 촬영하여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 장치{A MOVABLE COMPLEXITY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가정용 종합 정보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내 어디에서도 자유롭게 인터넷을 이용함과 아울러 방범기능을 가지는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이용자의 급증과 더불어 다양한 인터넷 이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일환으로서 정보 처리 장치가 탑재된 가전 제품들이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정보 처리 장치가 탑재된 가전 제품의 대표적인 예로서 인터넷 접속 가능한 냉장고가 있다.
도 1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냉장고의 일부 구성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냉장고(100)는 인터넷 접속을 위해 필요한 통신부(120)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HTML문서를 표시하여 주기 위한 표시부(130) 및 상기 서버(300)로 정보 제공을 요청하기 위한 키입력 수단을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I/F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가전제품들은 이동성이 없기 때문에, 인터넷 이용자는 가전제품이 설치된 공간에서만 인터넷을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모든 가전제품들이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상용화된다 하더라도 가전제품들의 특성상 한 위치에 고정사용되기 때문에 사용공간의 제약을 받게 되는 것이고, 가정내에 여러 대의 인터넷 접속 가능한 제품들이 위치할 경우 사용중인 제품외에 다른 제품들은 인터넷 접속면에서 휴지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자원이 낭비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가정내 구비된 가전제품들의 대부분이 인터넷 접속 가능하다면 가정내 인입 통신선의 제약으로 별도의 통신선을 연결시켜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현재 보급되고 있는 인터넷 접속 가능한 가전제품들은 본연의 기능(냉장고, 전자레인지 등)외에 인터넷 접속 기능 및 표시기능만이 부가된 것이지만, 무선 인터넷 기술의 개발 및 보급에 따라 다양한 부가기능을 지원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가정내에서 자유롭게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방범장치 구비 없이 가정내 제3자의 불법침입, 가스누출,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을 감지하여 방범센터는 물론 이웃에게 전파할 수 있는 인터넷 접속 가능한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격지의 제어에 따라 가정내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원격지로 송출하여 줄 수 있는 인터넷 접속 가능한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가전 제품에 탑재되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도.
도 3은 도 2중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500a)의 구성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상에 따른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 장치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다수의 통신망과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 접속부와 무선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무선 모뎀부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고 처리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 명령에 따른 정보의 제공을 상기 무선 모뎀부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요청하고, 요청된 정보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한편 설정모드에 따라 상기 로봇의 이동 및 시스템 동작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제어부와;
가스 및 제3자의 침입여부를 적어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피사체를 촬영하여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가 이동성을 가지는 로봇에 탑재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 장치는;
원격제어모드하에서 무선 모뎀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 및 로봇의 이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이동성을 가지는 로봇,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500)는 이동 가능한 로봇에 장착되어 가정내에 위치하며 내장된 무선 모뎀을 통해 물리적인 통신매체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 접속부(400)와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접속부(400) 역시 각 가정내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500)를 인터넷망(200) 혹은 공중망(450)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접속부(400)에 의해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500)는 공중망(450)을 통해 방범 센터(460)와 호 접속 가능하며, 인터넷망(200)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와 접속 가능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네트워크 접속부(400)와 무선 통신 가능한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중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500)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500)는 이동 가능한 로봇을 외형으로 하여 가정내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동 가능한 로봇을 외형으로 가지는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500)의 구성을 설명하면,
우선 도 3의 무선 모뎀(510)은 정보처리 제어부(550)와 네트워크 접속부(400) 사이에서 무선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변복조 처리하여 출력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520)는 정보 처리 제어부(550)에서 디코딩된 음성데이터를 음성신호로 합성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하는 한편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정보 처리 제어부(550)로 출력한다. 사용자 I/F부는 터치 패널로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정보 처리 제어부(550)로 출력하고, 정보 처리 제어부(550)의 제어에 의해 디코딩된 표시정보들을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준다.
디지털 카메라(540)는 이동 가능한 로봇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정보 처리 제어부(55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소정 포맷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정보 처리 제어부(550)로 출력한다.
정보 처리 제어부(550)는 사용자 명령에 따른 정보의 제공을 상기 무선 모뎀부(510)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에 요청하고, 요청된 정보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사용자 I/F부(530)로 전송하는 한편 설정모드에 따라 상기 로봇의 이동 및 시스템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정보 처리 제어부(550)는 HTML문서로 된 사이트를 볼 수 있는 웹 브라우저를 구비함은 물론, 영상 및 음성용 코덱(codec), 그리고 로봇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구비한다.
한편 전원 공급부(560)는 시스템 구동에 필요한 서로 다른 레벨의 동작전원을 발생하여 시스템 각 부로 출력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560)는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포함한다.
로봇 메카니즘부(57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기계적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정보 처리 제어부(55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종합 정보 처리장치를 가정내에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로봇 메카니즘부(570), 즉 이동용 로봇은 바퀴가 연결된 모터와,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는 모터 드라이버와, 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조향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조향장치와 모터 드라이버는 정보 처리 제어부(550)에 의해 제어되는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이동형 로봇에는 각 방향마다 로봇의 몸체 외부에 초음파센서가 최소 4개 이상 장착되어 있고, 초음파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전기신호는 상기 정보 처리 제어부(550)로 전송된다.
참고적으로 이동형 로봇의 이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로봇이 이동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미리 사용자 I/F부(530)를 통해 이동경로를 메모리(590)에 등록시켜 놓아야 한다. 정보 처리 제어부(550)는 등록된 이동경로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CCD카메라와 로봇에 장착된 초음파 센서로 확인한 다음, 장애물이 없는 경우 이동해야될 방향과 거리를 이동형 로봇의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한다. 그러면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제어부(550)로부터 지령 받은 거리의 데이터로부터 모터의 속도제어 및 위치제어를 연산하고, 이 연산결과에 따라 모터 드라이버를 구동시킨다.그러면 모터는 회전하게 되고 모터에 연결된 바퀴가 회전함으로서 로봇이 이동하게 된다. 만약 장애물이 있으면 정보 처리 제어부(550)는 이동경로를 가능한 범위내에서 수정하여 장애물을 피해갈 수 있는 새로운 이동경로를 생성하여 중앙처리장치로 지령을 보내 새로운 경로를 따라 목적지에 도착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는 이동형 로봇에 의해 가정내에서 자유 자재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센서부(580)는 가스와, 화재 및 제3자의 침입여부를 적어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로 구성되어 가스 누출, 화재감지, 제3자의 불법 침입 감지시 그에 따른 전기적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정보 처리 제어부(550)로 출력한다. 이러한 센서들은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방범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센서들로서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 장치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출입문, 부엌 등에 설치되어 감지신호를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의 본체에 무선 송신할 수도 있다.
메모리(590)는 긴급상황 발생시 이를 외부에 알려주기 위한 아웃고잉 메시지와 방범센터(460)를 호출하기 위한 전화번호 등이 저장된다. 상기 아웃고잉 메시지의 예를 들면 화재발생에 대비하여 화재신고 내용 및 주소지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난발생에 대비하여 도난발생신고 및 주소지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방범센터(460)는 소방서, 경찰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2에서는 네트워크 접속부(400)가 가정내에 위치하여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와 네트워크 접속부(400)가 WAP(Wireless ApplicationProtocol)에서 정의된 프로토콜 방식으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400)는 기지국과 교환국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기지국은 WAP에서 정의된 프로토콜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600) 혹은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500a,500b,500c)와 무선 통신하며, 교환국은 상기 기지국과 인터넷망(200) 혹은 공중망(450)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에는 WML(Wireless Markup Language)로 된 사이트를 볼 수 있는 WAP 브라우저를 구비하여야 하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 역시 WML로 된 사이트를 서비스하여야 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사용자 I/F부(530)를 통해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를 이동모드로 전환시킨후 터치패널을 사용하여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를 가정내 소망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후 터치패널을 사용하여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를 인터넷 모드로 전환시킨후 사용자가 터치패널을 통해 인터넷 접속 버튼을 선택하면 이 신호는 무선 모뎀부(510)와 네트워크 접속부(400) 및 인터넷망(200)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로 전달된다. 따라서 서비스 요청 받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는 요청받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고, 이러한 서비스는 네트워크 접속부(400)를 통해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500)의 무선 모뎀(510)에 전달된다. 그러면 정보 처리 제어부(550)는 무선 모뎀(510)을 통해 수신된 HTML로 된 사이트를 웹 브라우저상에 표시하여 줌으로서, 사용자는 가정내 모든 위치에서 정상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메일 송수신, 게임참여, TV시청 등을 할 수 있다.
이하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의 또 하나의 모드인 방범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외출시 사용자는 사용자 I/F부(530)를 통해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를 방범모드로 설정한다. 이러한 방범모드에서 정보 처리 제어부(550)는 센서부(580)를 통해 물체감지신호, 가스누출감지신호, 혹은 열감지신호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정보 처리 제어부(550)는 메모리(590)에 저장된 경찰서의 전화번호를 독출하여 무선 모뎀(510)과 네트워크 접속부(400)를 통해 방범센터(460)의 전화기와 호 접속을 시도한다. 이러한 호 접속 시도에 따라 통화로가 형성되면 정보 처리 제어부(550)는 메모리(590)에 저장된 아웃고잉 메시지를 독출하여 방범센터(460)로 전송함으로서, 방범센터(460)에서는 도둑의 침입사실과 해당 주소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방범센터(460)로 긴급상황을 전파한 정보 처리 제어부(550)는 이후 외출한 사용자를 호출한다. 이러한 사용자 호출 역시 방범모드 설정하에서 사용자의 휴대전화번호를 메모리시켜 놓음으로서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집에 제3자의 무단침입 사실을 통보 받음으로서 신속히 귀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방범센터(460) 호출 및 사용자 호출을 완료한 정보 처리 제어부(550)는 이후 메모리(590)에 저장된 또 하나의 음성 메시지를 독출하여 음성신호 처리부(520)를 통해 제3자의 무단침입사실을 외부로 경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웃에게 제3자의 무단침입사실을 알려 무단침입한 제3자를 격퇴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요청하는 효과 외에, 경보메세지에 의해 침입자가 자진 퇴거하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범모드하에서 정보 처리 제어부(550)는 센서부(580)를 통해 긴급상황을 감지하고 이를 외부 방범센터(460) 및 사용자에게 통보하여 줌으로서 긴급상황을 조기에 해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원격제어모드하에서의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가정내 노약자 및 환자를 두고 외출할 경우 외출자는 노약자 혹은 환자의 상태가 걱정되어 정상적인 업무를 볼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는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를 원격지에서 제어하기 위해서는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를 웨이크업시키기 위한 식별정보의 할당이 필요하다. 즉, 각각의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에 고유식별정보를 부가하고 원격제어모드에서 무선 모뎀(510)을 통해 할당된 고유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정보 처리 제어부(550)는 이후 수신되는 제어코드에 따라 시스템 각 부를 제어하면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외출시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를 원격제어모드로 설정하여 놓는다. 이러한 원격제어모드 설정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정내 위치한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를 웨이크업시키고자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에 할당된 고유식별정보를 발신하면, 고유식별정보의 수신여부에 따라 정보 처리 제어부(550)는 대기상태에서 웨이크업하게 된다. 그리고 웨이크업상태에서 정보 처리 제어부(550)는 무선 모뎀(510)을 통해 제어코드의 수신여부를 판단함과 아울러 디지털 카메라(540)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540)의 구동에 의해 영상정보는 영상코덱에서 압축되어 무선 모뎀(510) 및 네트워크 접속부(400)를 통해 원격지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로 전송된다.
이에 원격지의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상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고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를 노약자 혹은 환자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코드를 발신하면, 정보 처리 제어부(550)는 수신되는 제어코드에 따라 전,후,좌,우로 이동하여 노약자 혹은 환자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의 이동이 완료되면, 원격지의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노약자 혹은 환자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으며,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에 탑재된 음성신호 처리부(520)를 통해 노약자 혹은 환자와 통화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를 통해 원격지에서 가정내 위치한 노약자 혹은 환자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로봇에 무선 데이터 통신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를 탑재함으로서, 가정내 어디에서도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정내 제3자의 불법침입, 가스누출,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을 감지하여 방범센터는 물론 사용자, 이웃들에게 긴급상황을 전파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방범 시스템 구비 없이 가스누출, 화재, 제3자의 불법침입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고 그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3자의 불법침입 자체를 사전에 격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원격지에서 집에 위치한 노약자 혹은 환자의 상태를 수시로 점검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이동성을 가지는 로봇에 탑재된 종합 정보 처리장치에 있어서,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다수의 통신망과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 접속부와 무선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무선 모뎀부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고 처리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 명령에 따른 정보의 제공을 상기 무선 모뎀부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요청하고, 요청된 정보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한편 설정모드에 따라 상기 로봇의 이동 및 시스템 동작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제어부와;
    적어도 가스 및 화재, 제3자의 침입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피사체를 촬영하여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종합 정보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제어부는 방범모드하에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제3자의 불법침입, 가스누출,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무선 모뎀부와 네트워크 접속부를 통해 미리 저장된 방범센터를 호출하여 아웃고잉 메시지를 송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음성신호 처리부와 음성신호입출력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제어부는 방범모드하에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제3자의 침입, 가스누출, 화재발생이 감지되면 경보메세지를 송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제어부는 원격제어모드하에서 상기 무선 모뎀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지털 카메라 및 로봇의 이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장치.
KR1020010019971A 2001-04-13 2001-04-13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 장치 KR20020079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971A KR20020079224A (ko) 2001-04-13 2001-04-13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971A KR20020079224A (ko) 2001-04-13 2001-04-13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224A true KR20020079224A (ko) 2002-10-19

Family

ID=2770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971A KR20020079224A (ko) 2001-04-13 2001-04-13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922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960A (ko) * 2001-11-09 2003-05-17 주식회사 이엠비아이에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로봇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KR100856273B1 (ko) * 2006-12-12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자동 기록 방법 및 장치
KR101447714B1 (ko) * 2013-09-16 2014-10-0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재 발생 감시 로봇, 화재 발생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들을 이용한 화재 경보 시스템
WO2016104821A1 (ko) * 2014-12-22 2016-06-30 (주) 트라이너스 사용자 착용 타입의 촬영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960A (ko) * 2001-11-09 2003-05-17 주식회사 이엠비아이에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로봇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KR100856273B1 (ko) * 2006-12-12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자동 기록 방법 및 장치
KR101447714B1 (ko) * 2013-09-16 2014-10-0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재 발생 감시 로봇, 화재 발생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들을 이용한 화재 경보 시스템
WO2016104821A1 (ko) * 2014-12-22 2016-06-30 (주) 트라이너스 사용자 착용 타입의 촬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1657T3 (es) Método y equipo para interconectar sistemas de seguridad mediante inscripción periódica en un centro remoto.
JP2002170174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4048571A (ja) 映像を送受信できる携帯電話・phs等の携帯通信端末を使用した遠隔監視システム
KR20070061213A (ko) 원격조정이 가능한 로봇을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및방법
KR100686436B1 (ko) 텔레비전전화 감시시스템
JP2003123177A (ja) 情報処理装置、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20079224A (ko) 이동식 종합 정보 처리 장치
CN107852463A (zh) 监控相机,带监控相机的系统和驱动监控相机的方法
KR101686857B1 (ko) 인터폰을 이용한 홈 보안 시스템
JP2009260837A (ja) 住宅設備監視制御システム
JP5401160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4343438A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遠隔監視システム
JP4590726B2 (ja) 遠隔監視装置
JP2008172348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9278265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2009259116A (ja) 車両異常警報システム
KR20010048301A (ko) 화상휴대전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JP3679761B2 (ja) 遠隔管理システム
WO2004028129A1 (fr) Procede et dispositif d'alarme, de poursuite et de surveillance utilisant un reseau de communication mobile et un telephone mobile
JP2001292442A (ja) 電話機による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1211269A (ja) 特定領域の監視システム
KR20030026443A (ko) 웹도어폰 시스템
JP2001127897A (ja) 携帯電話ホーム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2006058940A (ja) 建築現場監視制御方法及びそ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並びに現場設置のセキュリティ装置
JP2002315051A (ja) 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