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8446A - 차선 인식기 - Google Patents

차선 인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8446A
KR20020078446A KR1020010018809A KR20010018809A KR20020078446A KR 20020078446 A KR20020078446 A KR 20020078446A KR 1020010018809 A KR1020010018809 A KR 1020010018809A KR 20010018809 A KR20010018809 A KR 20010018809A KR 20020078446 A KR20020078446 A KR 20020078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support plate
hemisphere
lane recognizer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 희 원
Original Assignee
백 희 원
대성산업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 희 원, 대성산업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백 희 원
Priority to KR1020010018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8446A/ko
Publication of KR20020078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44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24Refl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corporation in or application to road surface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78Traffic lines consisting of preformed elements, e.g. tapes, block-type elements specially designed or arranged to make up a traffic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간 또는 악천우시에 운전자가 도로의 차선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선에 설치되는 차선 인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형의 구슬 하부에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막을 코팅하여 차량의 빛을 반사시키도록 하는 차선 인식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으로 부터 방출되는 빛이 유입되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구의 형태로 지면 위에 돌출되는 상부 반구(11)와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 반구(12)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10);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반구(11)와 하부 반구(12)의 접합면의 외주연에 형성된 지지판(20); 상기 하부 반구(12)와 지지판(20)의 저면에 증착되어 유입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막(30); 및 상기 지지판(20)에 설치되어 지면에 고정 및 지지시키기 위한 고정체(4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차선, 주행차선, 도로 갓길, 중앙 분리대, 옹벽, 등반 차선 및 안전 지대 등 도로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모든 지면과 벽면에 설치 가능하고, 별도의 전기 장치가 불필요하므로 고장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제조비가 적게 들고, 돌출된 부분이 적어 도로의 제설 작업이나 정비 작업시 파손이 적고, 주행선에 설치시 차선을 넘는 경우 돌출 부분이 있어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안전 운전에 도움을 주고, 야간이나 야간의 우천시에도 차선을 쉽게 인지할 수 있어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선 인식기{lane perceive equipment}
본 발명은 야간 또는 악천우시에 운전자가 도로의 차선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선에 설치되는 차선 인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형의 구슬 하부에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막을 코팅하여 차량의 빛을 반사시키도록 하는 차선 인식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선 인식기는 LED 를 이용하며 도로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었다.
즉, 종래의 차선 인식기(1)는 도 1a 및 도 1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LED(2) 를 두고 지면에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지면과 접하는 정면에서만 빛이 발산되도록 하였다. 다시말해서 종래의 차선 인식기(1)는 운전자가 주행하면서 차선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정면에 LED(2)가 설치되어 상부의 평면이 아닌 정면으로만 빛이 발산될 뿐 만 아니라 정면의 LED(2)로 빛이 방출될 수 있도록 지면에서 약 3cm 정도 돌출되어 설치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차선 인식기는 빛이 정면에서만 방출되어 지면에서 돌출되게 설치해야 하므로 중앙선에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설 작업이나 기타 도로 정비 작업시 돌출된 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차선 인식기는 LED 를 사용하여 야간에만 점등되도록 하므로 LED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전기 장치, 예를 들면 솔라셀 및 점등과 소등을 위한 조도 감지기가 설치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종래의 차선 인식기는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쉽게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하는 차량의 불빛을 반사시켜 차선을 정확히 인식시켜 주기 위한 차선 인식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면에 돌출되는 부분을 적게 하여 중앙선 뿐만 아니라 주행선에도 설치하여 운전자가 야간 또는 악천우에도 쉽게 차선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제설 및 도로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차선 인식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전기 장치없이 주행 차량의 불빛을 반사시키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선 인식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차선 인식기의 사시도
도 1b 는 종래의 차선 인식기의 정면도
도 2a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2b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3a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3b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4a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
도 4b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5 실시예의 사시도
도 6a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6 실시예의 사시도
도 6b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6 실시예의 평면도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저면도
도 8a, 도 8b, 및 도 8c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반사구 11 : 상부 반구
12 : 하부 반구 13 : 평면
20 : 지지판 21 : 요철 돌기
30 : 반사막 40 : 고정체
41 : 측면 고정부 42 : 핀구멍
43 : 하부 고정봉 50 : 지지대
100 : 제2 실시예 110 : 제3 실시예
120 : 제4 실시예 130 : 제5 실시예
140 : 제6 실시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으로 부터 방출되는 빛이 유입되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구의 형태로 지면 위에 돌출되는 상부 반구와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 반구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반구와 하부 반구의 접합면의 외주연에 형성된 지지판; 상기 하부 반구와 지지판의 저면에 증착되어 유입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막; 및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어 지면에 고정 및 지지시키기 위한 고정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인식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b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3a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b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4a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b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5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6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b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6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저면도이고, 도 8a, 도 8b, 및 도 8c 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는 도2, 도3, 도4,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으로 부터 방출되는 빛이 유입되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구의 형태로 지면 위에 돌출되는 상부 반구(11)와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 반구(12)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10);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반구(11)와 하부 반구(12)의 접합면의 외주연에 형성된 지지판(20); 및 상기 지지판(20)에 설치되어 지면에 고정 및 지지시키기 위한 고정체(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반사구(10) 및 지지판(20)을 제조시 안료나 형광 안료를 포함하여 제조하게 되면 차선 인식기는 안료의 색깔로 빛을 발하게 되어 운전자의 인지를 도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는 도 2, 도 3, 도 4, 및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10), 지지판(20), 및 고정체(40)에 상기 하부 반구(12)와 지지판(20)의 저면에 증착되어 유입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막(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부 반구(12)는 상기 상부 반구(11)보다 직경이 약간 크게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판(20)은 빛의 반사를 원활히 하기 위해 저면을 부식시켜 다수의 요철 돌기(2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40)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20)의 측면에 형성되어 핀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핀구멍(42)이 형성된 측면 고정부(41)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지지판(20)의 저면 중심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삽입 고정되는 하부 고정봉(4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 반구(11) 및 하부 반구(12)는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작은 평면(13)이 조합되어 반구의 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판(20)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에 강하도록 저면에 방사선 모양의 지지대(50)를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는 변형 및 파손이 없도록 충격에 강하도록 만들어진 특수 플라스틱이나 특수 유리로 투명하게 제작하며, 반사막(30)은 수은, 크롬, 또는 형광 안료를 증착하여 형성하므로써 빛의 반사 효과를 증대시킨다.
또한, 상기 반사구(10)는 원하는 색, 즉 법으로 정한 색, 예를 들면 흰색이나 노란색의 안료를 섞어 제작하므로써 운전자의 인식을 도울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구조 및 작용을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1 실시예는 도2, 도3, 도4,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으로 부터 방출되는 빛이 유입되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구의 형태로 지면 위에 돌출되는 상부 반구(11)와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 반구(12)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10);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반구(11)와 하부 반구(12)의 접합면의 외주연에 형성된 지지판(20); 및 상기 지지판(20)에 설치되어 지면에 고정 및 지지시키기 위한 고정체(40)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1 실시예는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10), 지지판(20), 및 고정체(40)가 일체로 이루어지는데, 강화 유리 또는강화 합성 수지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차량이 헤드라이트를 켜고 진행하게 되면 빛이 반사되어 차선의 위치를 알려 주게 된다.
이때, 상기 반사구(10) 및 지지판(20)을 제조시 안료나 형광 안료를 포함하여 제조하게 되면 차선 인식기는 안료의 색깔로 빛을 발하게 되어 운전자의 인지를 도울 수 있다.
또한, 빛의 원활한 반사를 위해 상기 하부 반구(12)는 상기 상부 반구(11)보다 직경이 약간 크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20)은 빛의 반사를 원활히 하기 위해 저면을 부식시켜 다수의 요철 돌기(21)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1 실시예는 차량의 헤드 라이트 불빛을 지지판(20)의 요철 돌기(21)와 반사구(10)에서 반사시켜 차선의 위치를 인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2 실시예(100)는 도2a 및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으로 부터 방출되는 빛이 유입되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구의 형태로 지면 위에 돌출되는 상부 반구(11)와 상기 상부 반구(11)보다 직경이 약간 크게 이루어져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 반구(12)로 이루어진 하나의 반사구(10), 상기 반사구(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반구(11)와 하부 반구(12)의 접합면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저면이 부식되어 형성된 다수의 요철 돌기(21)가 빛의 반사 효과를 배가시키는 지지판(20), 상기 하부 반구(12)와 지지판(20)의 저면에 증착되어 유입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막(30), 및 상기 지지판(20)의 측면에 형성되어 핀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핀구멍(42)이 형성된 측면 고정부(41)로 이루어진 고정체(4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체(40)는 지지판(20)의 저면 중심부, 즉 반사구(10)의 저면중심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삽입 고정되는 하부 고정봉(4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2 실시예(100)는 하나의 투명한 반사구(10)를 갖는 것으로, 도 8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를 나열하여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차선의 주변에 설치하여 차선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으며, 도 8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에 설치하여 도로의 상태, 즉 커브길 등을 표시할때 사용될 수 있다.
차선 인식기의 제2 실시예(100)는 도 2a 및 도 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뿐만 아니라 벽면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핀구멍이 형성된 측면 고정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핀구멍(42)에 핀을 박아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하부 고정봉(43)이 형성된 경우에는 지면에 하부 고정봉(43)을 박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3 실시예(110)는 도3a 및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으로 부터 방출되는 빛이 유입되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구의 형태로 지면 위에 돌출되는 상부 반구(11)와 상기 상부 반구(11)보다 직경이 약간 크게 이루어져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 반구(12)로 이루어진 2개 내지 4개의 반사구(10), 상기 2개 내지 4개의 반사구(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2개 내지 4개의 상부 반구(11)와 하부 반구(12)의 접합면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저면이 부식되어 형성된 다수의 요철 돌기(21)가 빛의 반사 효과를 배가시키는 지지판(20), 상기하부 반구(12)와 지지판(20)의 저면에 증착되어 유입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막(30), 및 상기 지지판(20)의 저면 중심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삽입 고정되는 하부 고정봉(43)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3 실시예(110)는 2개 내지 4개의 반사구(10)를 지지판(20)에 균일하게 분포시킨 것으로, 도 8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선을 확실하게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차선의 양단에 설치하여 차선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으며, 도 8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에 설치하여 도로의 상태, 즉 커브길 등을 표시할때 사용될 수 있다.
차선 인식기의 제3 실시예(11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하부 고정봉(43)을 박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4 실시예(120)는 도4a 및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으로 부터 방출되는 빛이 유입되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구의 형태로 지면 위에 돌출되는 상부 반구(11)와 상기 상부 반구(11)보다 직경이 약간 크게 이루어져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 반구(12)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반사구(10), 상기 다수개의 반사구(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다수개의 상부 반구(11)와 하부 반구(12)의 접합면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저면이 부식되어 형성된 다수의 요철 돌기(21)가 빛의 반사 효과를 배가시키는 지지판(20), 상기 하부 반구(12)와 지지판(20)의 저면에 증착되어 유입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막(30), 및 상기 지지판(20)의 저면 중심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삽입 고정되는하부 고정봉(43)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4 실시예(120)는 다수개, 즉 5개 이상의 반사구(10)를 지지판(20)에 균일하게 분포시킨 것으로, 평면을 사각형 뿐 만 아니라 원형으로도 할 수 있다.
차선 인식기의 제4 실시예(120)는 도 8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선을 확실하게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중앙선이나 실선에 해당하는 주행선에 설치하여 차선의 위치를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으며, 도 8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에 설치하여 도로의 상태, 즉 커브길 등을 표시할때 사용될 수 있다. 다시말해서 차선 인식기의 제4 실시예(120)는 많은 양의 제1 실시예(100)를 인접해서 설치하여 사용해야 하는 경우 설치시의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
차선 인식기의 제4 실시예(120)는 도 4a 및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하부 고정봉(43)을 박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5 실시예(130)는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으로 부터 방출되는 빛이 유입되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구의 형태로 지면 위에 돌출되는 상부 반구(11)와 상기 상부 반구(11)보다 직경이 약간 크게 이루어져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 반구(12)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반사구(10)를 일렬로 나열한 것으로, 상기 다수개의 반사구(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다수개의 상부 반구(11)와 하부 반구(12)의 접합면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저면이 부식되어 형성된 다수의 요철 돌기(21)가 빛의 반사 효과를 배가시키는 지지판(20), 상기 하부 반구(12)와 지지판(20)의 저면에 증착되어 유입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막(30), 및 상기 지지판(20)의 저면 중심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삽입 고정되는 하부 고정봉(43)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5 실시예(130)는 다수개, 즉 5개 이상의 반사구(10)를 지지판(20)에 일렬로 균일하게 분포시킨 것이다.
차선 인식기의 제5 실시예(130)는 차선을 확실하게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실선에 해당하는 주행선에 설치하여 차선의 위치를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으며, 도 8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에 설치하여 도로의 상태, 즉 커브길 등을 표시할때 사용될 수 있다. 다시말해서 차선 인식기의 제5 실시예(130)는 많은 양의 제2 실시예(100)를 인접해서 일렬로 설치하여 사용해야 하는 경우 설치시의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
차선 인식기의 제5 실시예(130)는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하부 고정봉(43)을 박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6 실시예(140)는 도6a 및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반구(11) 및 하부 반구(12)를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작은 평면(13)을 조합하여 반구의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이다.
즉, 차선 인식기의 제6 실시예(140)는 상부 반구(11)와 하부 반구(12)를 기본적으로 구형으로 형성하되, 다수의 작은 평면(13)을 조합하여 다수의 모서리를 형성한 것으로, 요철 돌기(21)가 형성된 지지판(20)을 형성하고 하부 반구(12)와 지지판(20)의 저면에 반사막(30)을 증착하고 고정체(40)를 형성하는 것은 다른 실시 예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는 도 7a 및 도 7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20)의 저면에 방사선 모양의 지지대(50)를 형성하여 차량이 지나가거나 제설 작업으로 충격이 가해져도 지지판(20)이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즉, 지지판(20)의 저면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저면 원주연으로 이어지도록 방사선의 형태로 지지대(50)를 형성하면 지지판(20)의 상부에 어느 정도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파손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1 실시예, 즉, 반사구(10), 지지판(20), 및 고정체(40)로 이루어지는 차선 인식기는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구(10)를 하나, 또는 2개 내지 4개, 또는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 또는 직사각형 형태의 지지판에 다수개의 반사구(10)를 형성한 경우, 또는 반사구(10)를 다수의 면으로 구성한 경우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는 지지판(20)을 지면과 같은 높이로 설치하게 된다. 즉, 도2b, 도 3b, 도4b,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20)의 상부와 지면의 높이를 같도록 지면에 삽입하고 고정체(40)와 접착제를 사용하여 지면에 고정시킨다.
이때 설치 장소는 도 8a, 도 8b, 및 도 8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의 차선, 즉 중앙선이나 주행선, 도로 갓길표시, 중앙 분리대, 옹벽, 등반 차선 및 안전지대, 도로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커브길 벽면, 등 도로의 차선과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모든 곳이 된다.
이와 같이 원하는 곳에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를 설치한 상태에서 자동차가 헤드라이트를 켜고 주행하게 되면 구형으로 이루어진 상부 반구(11)와 하부 반구(12)에 자동차의 헤드라이트의 빛이 부딪혀 여러 각도로 부서지면서 발광을 하게 된다.
즉, 헤드라이트의 빛은 상부 반구(11)와 하부 반구(12)을 통해 저면에 형성된 반사막(30)에서 반사되어 퍼지게 되고 이때 차선 인식기는 발광하게 된다. 또한, 지지판(20)의 요철 돌기(21)도 확대하여 보면 작은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차량에서 유입된 빛을 여러 각도로 반사시켜 발광하는 효과를 배가 시키게 된다.
한편, 상부 반구(11)가 하부 반구(12)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은 상부 반구(11)로 유입되는 빛을 하부 반구(12)에서 충분히 받아 반사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다른 부품이 전혀 부가되지 않으므로 1회 설치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차선 도색을 한후 유리 가루를 뿌려 차량의 헤드라이트이 난반사되도록 하였으나 몇개월 후에는 유리 가루가 떨어지고 차선의 도색이 퇴색하여 재도색하여야 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는 도 8a 및 도 8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선이나 주행선을 포함하는 모든 차선에 설치하게 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가 오는 야간에도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가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불빛을 반사시켜 차선의 위치를 알려 주므로 운전자가 차선을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즉, 비가 오는 야간의 경우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불빛이 도로에 흡수되어 차선의 위치를 알 수 없지만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는 불빛을 반사하여 주므로 차선이 쉽게 구별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는 중앙선에 설치된 종래의 차선 인식기와 달리 돌출되는 부분이 적어 도로의 제설 작업이나 정비 작업시에도 차선 인식기가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는 주행선에 설치하게 되면 반구형의 돌출부, 즉 돌출되는 상부 반구(11)로 인해 차선을 넘어갈때 운전자가 차선을 넘고 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선 인식기는 상부 반구(11)만이 돌출되어 있고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므로 먼지나 흙이 부착되지 않아 별도의 청소 작업을 하지 않아도 차선 인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선 인식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도로의 중앙차선, 주행차선, 도로 갓길, 중앙 분리대, 옹벽, 등반 차선 및 안전 지대 등 도로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모든 지면과 벽면에 설치 가능하다.
둘째, 별도의 전기 장치가 불필요하므로 고장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제조비가 적게 든다.
셋째, 돌출된 부분이 적어 도로의 제설 작업이나 정비 작업시 파손이 적다.
넷째, 주행선에 설치시 차선을 넘는 경우 돌출 부분이 있어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안전 운전에 도움을 준다.
다섯째, 야간이나 야간의 우천시에도 차선을 쉽게 인지할 수 있어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차량으로 부터 방출되는 빛이 유입되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구의 형태로 지면 위에 돌출되는 상부 반구(11)와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 반구(12)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10);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반구(11)와 하부 반구(12)의 접합면의 외주연에 투명하게 형성된 지지판(20);
    상기 지지판(20)에 설치되어 지면에 고정 및 지지시키기 위한 고정체(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인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반구(12)와 지지판(20)의 저면에 증착되어 유입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막(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인식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구(10) 및 지지판(20)은 제조시 안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인식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반구(12)는 상기 상부 반구(11)보다 직경이 약간 크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인식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은 빛의 반사를 원활히 하기 위해 저면을 부식시켜 다수의 요철 돌기(2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인식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반구(11) 및 하부 반구(12)는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작은 평면(13)이 조합되어 반구의 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인식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40)는 상기 지지판(20)의 측면에 형성되어 핀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핀구멍(42)이 형성된 측면 고정부(4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인식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40)는 상기 지지판(20)의 저면 중심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삽입 고정되는 하부 고정봉(4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인식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은 충격에 강하도록 저면에 방사선 모양의 지지대(5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인식기.
KR1020010018809A 2001-04-09 2001-04-09 차선 인식기 KR20020078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809A KR20020078446A (ko) 2001-04-09 2001-04-09 차선 인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809A KR20020078446A (ko) 2001-04-09 2001-04-09 차선 인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446A true KR20020078446A (ko) 2002-10-18

Family

ID=27700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809A KR20020078446A (ko) 2001-04-09 2001-04-09 차선 인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84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694A (ko) * 2022-03-11 2023-09-19 주식회사 금부산업 발광형 차로 이탈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694A (ko) * 2022-03-11 2023-09-19 주식회사 금부산업 발광형 차로 이탈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657B1 (ko) 도로표지병
JP4099403B2 (ja) 自発光視線誘導標
KR200241070Y1 (ko) 차선 인식기
KR20020078446A (ko) 차선 인식기
JP2018071240A (ja) 道路保安用器具
JPH10317332A (ja) 自発光式道路標識
KR200411153Y1 (ko) 경광등
JP2006293645A (ja) 信号機
KR200445356Y1 (ko) Led를 이용한 소형 경광등
KR20160000336U (ko)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
KR200153277Y1 (ko) 도로표지봉
KR200271330Y1 (ko) 표지병몸체가 삽입된 도로안전표지병
KR200148352Y1 (ko) 도로표지병
KR200396006Y1 (ko) 도로 표지병
KR200238700Y1 (ko) 야광형 도로 표지구
KR200359988Y1 (ko)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KR100524764B1 (ko) 도로표지병
KR200272931Y1 (ko) 경계석용 표지병
KR20180114790A (ko) 회전식 원형 도로 표지병
KR101145338B1 (ko) 도로표지병
KR200307803Y1 (ko) 횡단보도 및 정지선용 안전 표지병
KR200263360Y1 (ko) 도로차선 표지병
JP3869422B2 (ja) 標識体及び標識体の設置構造
JP2000136514A (ja) 道路標識柱
KR200202339Y1 (ko) 도로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