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110A -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110A
KR20020076110A KR1020010067016A KR20010067016A KR20020076110A KR 20020076110 A KR20020076110 A KR 20020076110A KR 1020010067016 A KR1020010067016 A KR 1020010067016A KR 20010067016 A KR20010067016 A KR 20010067016A KR 20020076110 A KR20020076110 A KR 20020076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audio
unit
com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도승
Original Assignee
한빛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빛아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빛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1/00221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2078326A1/en
Priority to CN 01144886 priority patent/CN1377187A/zh
Publication of KR20020076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11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8Interfacing a video terminal to a particular transmission medium, e.g. 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A용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부, 케이스 시스템 및 정보단말기를 포함한다. 카메라부가 사용자의 영상을 캡쳐하여 출력한다. 케이스 시스템은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부의 출력신호를 인터페이스하고, 입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변환하여 송수신한다. 정보단말기는 상기 케이스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내부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압축하여 상기 케이스 시스템을 통해 해당 상대방에게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복원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영상 및 음성을 주고받는 영상전화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Imag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H.323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영상 전화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주 사용은 주소록, 전자수첩, 스케줄 관리, 메모 등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기능과 MP3 플레이어를 이용한 음악을 듣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근래 들어 사용자의 정보통신 요구가 높아지고 인터넷의 활성화에 따라 PDA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하거나 이메일, 팩스, 음성통화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는 종합 기능의 휴대용 단말기를 원하게 되었고, 향후 IMT2000에 의한 영상/음성 통화도 가까운 장래에 이루어질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 요구에 부응한 영상/음성 통화 기능을 가지는 PDA의 필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이러한 PDA의 출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H.323 프로토콜은 PC에서 일반 전화망과 연결하기 위한 ITU에서 제정한 스펙이다. 기존의 기술에 있어서 H.323을 지원하는 스택(라이브러리)은 PC(Window OS Linux)기반에서 이미 개발되어 운영중에 있다.
하지만 PDA(WinCE) 및 모바일 단말기에서는 H.323을 지원하는 스택(라이브러리)이 개발되어 있지 못하다. 또한, 기존에 PDA를 통한 무선통신 단말기는 CDMA를 이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CDMA와 CF(compact flash) 인터페이스의 디지털 카메라를 동시에 이용할 수 없으므로 PDA와 PDA사이, PDA와 PC 사이, PDA와 비디오 폰 사이에 혼용하여 영상전화를 구현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PDA와 PDA사이, PDA와 PC 사이, PDA와 비디오 폰 사이에 혼용하여 영상전화를 구현할 수 있게 하여 PDA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H.323 스택을 PDA(WinCE)기반으로 구현하여 최초로 무선망을 이용하여 PDA와 기존 통신망과를 연동시키고, 각 통신망 (019, 011, 016, 017, 018)과 호환이 가능하여 PDA와 PDA사이, PDA와 PC 사이, PDA와 비디오 폰 사이에 혼용하여 영상전화를 구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는 CF(콤팩 플레쉬 : COMPAC FLASH)인터페이스와 95C 망을 지원하는 CDMA 모듈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지원하는 PDA용 확장팩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CDMA와 CF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제공하여 CDMA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과 CF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영상 데이터 캡쳐를 혼용하여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PDA와 접속된 CDMA 모듈을 통해 공중 통신망에 접속하여 양 사용자간에 디지털 카메라와 녹음기 및 스피커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영상 및 음성을 주고받는 영상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의 외관도이다.
도3은 영상 통신을 하는 개념을 보인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의 외관도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영상을 캡쳐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부의 출력신호를 인터페이스하고, 입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변환하여 송수신하는 케이스 시스템;
상기 케이스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내부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압축하여 상기 케이스 시스템을 통해 해당 상대방에게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복원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정보단말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영상을 캡쳐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내부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압축하고, 무선으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외부에서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복원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정보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의 출력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
음성을 입력받아 출력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 및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음성 및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압축하여 출력하는 영상 및 음성 압축부;
상기 영상 및 음성 압축부에서 압축된 영상 및 음성을 무선망을 통해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수신되는 압축신호를 복원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되는 압축신호를 무선환경에 맞도록 변환하고,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유선환경에 맞도록 변환하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모뎀;
상기 모뎀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방사하는 안테나;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압축신호를 복원하는 영상 및 음성신호 복원부;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 복원부에서 복원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 복원부에서 복원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카메라부가 사용자의 영상을 캡쳐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부의 출력신호 및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정보 단말기가 압축하는 단계;
케이스 시스템이 압축된 신호를 무선으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러한 본 발명을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은, 카메라부(100), 케이스 시스템(200) 및 정보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00)가 사용자의 영상을 캡쳐하여 출력한다. 케이스 시스템(200)은 상기 카메라부(100)가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부(100)의 출력신호를 인터페이스하고, 입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변환하여 송수신한다. 정보단말기(300)는 상기 케이스 시스템(200)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내부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압축하여 상기 케이스 시스템(200)을 통해 해당 상대방에게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복원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도2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외관상으로 보면, 액정표시장치 (350) 및 커넥터(380)를 갖는 정보단말기(300)와, 상기 정보단말기(300)를 삽입 고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정보단말기(300)와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250)를 구비하는 케이스 시스템(2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시스템(200)의 상부에 형성한 CF 타입 슬롯 형태인 커넥터(260)에 CF 타입의 영상 데이터 캡쳐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부(100)를 장착하고, 정보단말기(300)내에는 마이크(310) 및 스피커(360)가 내장된다.
상기의 디지털 카메라부(100)와 정보단말기(300) 상호간의 인터페이스는 콤팩 플레쉬(compact flash)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영상통화를 하기 위해 정보단말기(300)의키패드(330)를 조작한다.
그러면, 제어부(340)의 제어에 의해 인터페이스부(220), 모뎀(230) 및 안테나(240)를 통해 송신정보가 전송된다(S401). 전송된 송신정보는 CDMA망(13) 및 공중 전화망(40)을 통해 해당 사업자에게 전달되고, 사업자의 제어에 의해 상대방의 영상 전화기 또는 정보 단말기로 송신신호가 전달된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의 H.323/CDMA 데이터망인 공중 전화망(40)은 공지의 기술로서, 95C 망(41)(42)과, 게이트웨이 보안장치(43: GateKeepr), 다지점 회의 콘트롤러(44: MCU), 입출력 게이트웨이(45: Media Gateway), 공유 게이트웨이(46: Shared Gateway)로 구성된다.
그러면, 해당 신호를 수신받은 수신자는 이를 수락함에 의해 통화가 연결된다. 즉,상대방에게 연결 신호를 보내 응답이 있게 되면 통화가 연결된다(S402).
한편, 영상 데이터 캡쳐 기능을 가지는 콤팩 플레쉬(CF: COMPAC FLASH)타입 디지털 카메라부(100)는 사용자의 영상을 캡쳐하는데, 렌즈(110)가 피사체의 색성분을 빛으로 출력한다. 그러면, 촬상소자(120)가 빛을 전하로 바꾸어 일시축적하여 전기신호로 출력한다. 그리고 나서, A/D 변환기(130)가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나서, 인터페이스부(140)가 디지털 신호를 커넥터부(150)와 커넥터(210)를 통해 케이스 시스템(200)의 인터페이스부(220)로 영상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이후, 인터페이스부(220)는 영상신호를 커넥터(250, 380)를 통해 영상입력부로 인터페이스한다. 그러면, 영상 입력부(322)는 영상신호를 장치드라이버를 통해정보단말기(300)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다(S403). 그리고 나서, 영상 압축부(324)는 H.263(비디오 코덱)로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압축한다(S404).
한편, 정보 단말기(300) 내의 마이크(31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신호로 출력한다. 그러면, 음성 입력부(321)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정보단말기 (300)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다(S403). 그러면, 음성 압축부(323)는 마이크(310)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G723.1(오디오 코덱)로서 압축한다(S404). 이때, 상기, 음성 및 영상 압축부(320)는 녹음 기능 및 플레이 기능을 가지며, 정보 단말기(300)에서 디지털 카메라부(100)를 이용하여 초당 15∼20frame의 영상 데이터를 캡쳐하고 PDA(20) 내의 마이크(3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녹음하게 된다. 상기, G723.1을 이용한 음성 압축기능은 기존의 G.723.1/G.723의 코덱을 개선하였고 압축소요 시간은 기존의 35∼40ms보다 개선된 10∼12ms으로 디코딩 시간은 기존의 1ms에서 0.5ms로 개선하고, H.263을 이용한 영상 압축기능은 H.263은 기존의 H.261 권고안을 개량한 방법으로써 움직임 추정 및 보상을 이용하여 시간방향의 중복성을 제거하며, 변환 부호화를 이용하여 공간방향의 중복성을 제거한 복합적인 방법으로 영상을 압축한다. PDA(20)내의 입력비 스티림 버퍼와 출력비 스트림 버퍼는 각각 약 26kB를 할당하며, 영상버퍼는 20 프레임을 저장할 수 있게 760kB를 사용하고 무선망 상태에 따라서 전송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전송을 해줌으로써 보다 많은 영상 프레임을 전송하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영상 압축부(324)와 음성 압축부(323)에서 압축된 영상 및 음성 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340)는 압축된 신호를 커넥터(380, 250) 및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모뎀(230)으로 전송한다. 압축된 신호가 입력되면, 모뎀(230)은 무선통신 (TCP/IP)으로 H.323/CDMA 데이터망인 공중 전화망(40)에 데이터를 안테나(240)를 통해 전송한다(S405).
이후, 상대방은 데이터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를 거쳐(S406) 영상 및 음성을 압축 해제하고, 영상 데이터 및 음성을 정보 단말기에서 플레이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영상 및 음성을 플레이하고, 상기 과정의 송신과정과 같은 단계를 거쳐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상대방으로부터 송신된 압축 신호는 안테나(240)를 통해 모뎀(230)으로 전달되고(S407), 모뎀(230)은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제어부(340)로 압축된 신호를 유선환경에 맞도록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340)는 압축된 신호를 복원하도록 영상 및 음성 복원부(370)에 해당 압축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나서, 영상 복원부(371)가 H.263(비디오 코덱)로서 압축된 영상신호를 복원하여 액정표시장치(350)로 출력한다(S408). 또한, 음성 복원부(372)가 압축된 음성신호를 G723.1(오디오 코덱)로서 복원하여 스피커(360)로 출력한다 (S408). 여기서, 영상 및 음성의 압축 및 복원 기능은 하나의 비디오 및 오디오 코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사용자는 상대방의 모습을 보고 통화를 하게 된다 (S409). 이후, 사용자가 통화를 종료하게 되면(S410), 카메라부(100)와 마이크는 영상 및 음성을 입력받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송사용자는 영상전화를 시도하려는 사용자에게 전화를 걸고 그 사용자와 연결이 되면, 실시간으로 영상 및 음성을 캡쳐하고 압축하여 무선망을 통해 전송하여 상대에게 전송하고, 전송 받은 상대방은 영상 및 음성을 받아 압축을 해제하여 원래 영상/음성으로 되돌리어, 영상은 PDA의 화면을 통하여 보여주고 음성은 PDA의 스피커를 통해 들려주는 플로우를 반복 하므로써 서로 끊김없이 실제로 이야기하는 것 같은 영상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공중 전화망(40)과 연동 하는 표준 무선 통신 기능은 019, 011, 016, 017 등 무선 통신 사업자에 의해 구성된 무선망의 표준 프로토콜인 H.323을 정보 단말기(300)내의 소프트웨어로 구현하여 서로 다른 망 사용자라도 영상전화 통신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H.323 스택을 PDA(WinCE)기반으로 구현하고, 무선망인 공중 전화망(40)을 이용하여 PDA(300)와 기존 통신망과를 연동시키고, 각 통신망(019, 011, 016, 017, 018)과 호환이 가능하여 PDA와 PDA사이, PDA와 PC 사이, PDA와 비디오 폰 사이에 혼용하여 영상전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영상 및 음성 압축 기능은 영상 카메라 및 녹음기에 의해 입력된 영상 및 음성을 H.263(Vedio) 및 G723.1(Audio)로 압축하거나 복원하는 기능을 PDA소프트웨어로 구현하여 무선망을 실제로 전달되는 영상화면이나 음성이 끈김없이 실제 바로 앞에서 이야기하는 것과 같도록 영상/음성 데이터의 크기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실세로 케이스 시스템없이 정보단말기와 카메라부로 본 발명을 구현한 제2 실시예를 도5 및 도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은,
카메라부(500), 인터페이스부(620), 마이크(710), 영상 및 음성 압축부 (720), 제어부(740), 모뎀(630), 안테나(640), 영상 및 음성 복원부(770), 스피커 (760), 액정표시장치(75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500)는 사용자의 영상을 캡쳐하여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620)는 상기 카메라부(500)의 출력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마이크(710)는 음성을 입력받아 출력한다. 영상 및 음성 압축부(720)는 상기 마이크 및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음성 및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압축하여 출력한다. 제어부(740)는 상기 영상 및 음성 압축부에서 압축된 영상 및 음성을 무선망을 통해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수신되는 압축신호를 복원하도록 제어한다. 모뎀(630)은 상기 제어부(740)로부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되는 압축신호를 무선환경에 맞도록 변환하고,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유선환경에 맞도록 변환하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740)로 출력한다. 안테나(640)는 상기 모뎀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방사한다. 영상 및 음성신호 복원부(770)는 상기 제어부(740)의 제어에 따라 압축신호를 복원한다. 스피커(760)는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 복원부(770)에서 복원된 음성을 출력한다. 액정표시장치(750)는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 복원부(770)에서 복원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구성에서 케이스 시스템에 있는 인터페이스부(620), 모뎀(630) 및 안테나(640)를 정보단말기내에 설치한 구성이다. 이와같은 제2 실시예의 외관을 도6에 도시하였다.
도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는 정보단말기의 후면에 카메라부(500)가 콤팩 플랙시 타입으로 장착되는 구조이며, 이의 외형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의 동작은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의 각 구성요소와 동작이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는 케이스 시스템 없이 정보 단말기만으로 영상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향후 IMT2000으로 통신망이 확장될 경우 다 개발 제품의 CDMA를 업그레이드하면 IMT2000 통신망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PDA를 통하여 영상전화가 가능해짐으로써 PDA의 사용자는 PDA를 이용하여 개인정보관리 및 무선인터넷 뿐 아니라 원하는 상대방과의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얼굴을 보면서 통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PDA와 PDA사이, PDA와 PC 사이, PDA와 비디오 폰 사이에 혼용하여 영상전화를 구현할 수 있어 편리한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는 CF 인터페이스와 95C 망을 지원하는 CDMA 모듈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지원하는 PDA용 케이스 시스템을 제공하여 CDMA와 CF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제공 함므로써, CDMA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과 CF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영상 데이터 캡쳐를 혼용하여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사용자의 영상을 캡쳐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부의 출력신호를 인터페이스하고, 입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변환하여 송수신하는 케이스 시스템;
    상기 케이스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내부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압축하여 상기 케이스 시스템을 통해 해당 상대방에게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복원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정보단말기를 포함하는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시스템은,
    상기 카메라부의 출력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정보단말기로부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되는 압축신호를 무선환경에 맞도록 변환하고,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유선환경에 맞도록 변환하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모뎀;
    상기 모뎀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방사하고,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상기 모뎀으로 전달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음성을 입력받아 출력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 및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음성 및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압축하여 출력하는 영상 및 음성 압축부;
    상기 영상 및 음성 압축부에서 압축된 영상 및 음성을 무선망을 통해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수신되는 압축신호를 복원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압축신호를 복원하는 영상 및 음성신호 복원부;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 복원부에서 복원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 복원부에서 복원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및 음성 압축부는, H.263(비디오 코덱)로서 영상신호를 압축하고, G723.1(오디오 코덱)로서 음성신호를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콤팩 플래쉬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피사체의 색성분을 빛으로 출력하는 렌즈,
    빛을 전하로 바꾸어 일시축적하여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촬상소자,
    상기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케이스 시스템으로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
  7. 사용자의 영상을 캡쳐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내부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압축하고, 무선으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외부에서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복원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정보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부의 출력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
    음성을 입력받아 출력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 및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음성 및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압축하여 출력하는 영상 및 음성 압축부;
    상기 영상 및 음성 압축부에서 압축된 영상 및 음성을 무선망을 통해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수신되는 압축신호를 복원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되는 압축신호를 무선환경에 맞도록 변환하고,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유선환경에 맞도록 변환하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모뎀;
    상기 모뎀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방사하는 안테나;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압축신호를 복원하는 영상 및 음성신호 복원부;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 복원부에서 복원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 복원부에서 복원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
  8. 콤팩 플래쉬 타입의 카메라부가 사용자의 영상을 캡쳐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부의 출력신호 및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정보 단말기가 입력받고, H.263(비디오 코덱)으로 영상신호를 압축하고, G723.1(오디오 코덱)으로 음성신호를 압축하는 단계;
    케이스 시스템의 무선 모뎀이 압축된 신호를 무선으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압축된 영상 신호 및 음성신호가 무선으로 수신되면, H.263(비디오 코덱)으로 영상신호를 복원하고, G723.1(오디오 코덱)으로 음성신호를 복원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10067016A 2001-03-26 2001-10-30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7611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1/002210 WO2002078326A1 (en) 2001-03-26 2001-12-19 Imag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N 01144886 CN1377187A (zh) 2001-03-26 2001-12-28 个人数字助理的图像电信系统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604 2001-03-26
KR20010015604 2001-03-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110A true KR20020076110A (ko) 2002-10-09

Family

ID=19707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016A KR20020076110A (ko) 2001-03-26 2001-10-30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20135671A1 (ko)
KR (1) KR2002007611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538B1 (ko) * 2005-01-13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동망 환경에서의 단말기의 화질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971630B1 (ko) * 2008-06-30 2010-07-22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인터넷 전화 프로토콜을 이용한 영상 전화기간 영상공유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전화기
KR101411905B1 (ko) * 2007-08-09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정보 관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5030B1 (fr) * 2004-09-08 2006-11-24 Canon Kk Procede de visualisation d'une sequence de partage de donnees et dispositif de partage correspondant
US7518503B2 (en) * 2005-12-14 2009-04-1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A/V rela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401A (ko) * 1995-07-31 1997-02-24 배순훈 동영상 단말기의 간축장치
KR19980068392A (ko) * 1997-02-19 1998-10-15 구자홍 Pda에서의 화상통화기능 구현을 위한 촬상 및 통신 장치
KR20010009278A (ko) * 1999-07-08 2001-02-05 서평원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
KR200226519Y1 (ko) * 2001-01-22 2001-06-15 김학규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개인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401A (ko) * 1995-07-31 1997-02-24 배순훈 동영상 단말기의 간축장치
KR19980068392A (ko) * 1997-02-19 1998-10-15 구자홍 Pda에서의 화상통화기능 구현을 위한 촬상 및 통신 장치
KR20010009278A (ko) * 1999-07-08 2001-02-05 서평원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
KR200226519Y1 (ko) * 2001-01-22 2001-06-15 김학규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개인휴대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538B1 (ko) * 2005-01-13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동망 환경에서의 단말기의 화질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11905B1 (ko) * 2007-08-09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정보 관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971630B1 (ko) * 2008-06-30 2010-07-22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인터넷 전화 프로토콜을 이용한 영상 전화기간 영상공유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35671A1 (en) 200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08962A1 (en) Mobile phone, multimedia chat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070139513A1 (en) Video telephone soft client with a mobile phone interface
US8817064B2 (en) Videoconference arrangement
JPH0530502A (ja) 一体型テレビ電話機
JP2001500331A (ja) 汎用直列バス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動画カメラ
JP2003152888A (ja) ビデオ付き留守応答メッセージ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20020076110A (ko)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7542067B2 (en) System of using digital frames in an idle web video conferencing device
JPH09191451A (ja) ビデオ電話装置
US7590227B2 (en) Video-ready internet telephone
KR100319865B1 (ko) 웹 비디오 폰_
KR200242088Y1 (ko) 피디에이용 무선확장팩
JP3512327B2 (ja) 携帯形テレビ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画像データ領域可変方式
WO2002078326A1 (en) Imag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JP3062080U (ja) 画面付き電話装置
KR20020020136A (ko) 이동단말 기반의 영상회의시스템
KR100308486B1 (ko) 디지털 카메라 내장형 영상 전화기
KR20030033353A (ko) 도어폰
JP2002335502A (ja) 映像音声情報通信システム、テレビ会議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テレビ会議通信情報転送方法及び記憶媒体
JP3030019B2 (ja) 通信会議システム
KR100479786B1 (ko) 영상전화기를 이용한 동영상메일 송수신방법
KR200348823Y1 (ko) 통합형 전화 단말기
JP2000184342A (ja) Pcカード及びそれを用いた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H0522719A (ja) Avミ−テイング端末
TWI226783B (en) Video communication method of Voice over IP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