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486B1 - 디지털 카메라 내장형 영상 전화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 내장형 영상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486B1
KR100308486B1 KR1019990031485A KR19990031485A KR100308486B1 KR 100308486 B1 KR100308486 B1 KR 100308486B1 KR 1019990031485 A KR1019990031485 A KR 1019990031485A KR 19990031485 A KR19990031485 A KR 19990031485A KR 100308486 B1 KR100308486 B1 KR 100308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oice
data
telephon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8707A (ko
Inventor
이성민
김상범
강문상
Original Assignee
이성민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민,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성민
Priority to KR1019990031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486B1/ko
Publication of KR19990078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영상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동화상 전화기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의 모뎀부에 연결되어 착,발신 및 통화를 처리하는 음성통신 전화부와, 사용자 및 상대방의 음성을 주고 받는 음성 송수신부와, 소정 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부와, 상기 음성 송수신부로부터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A/D 또는 D/A 신호처리하는 음성신호 변환기와, 상대방 화상을 보고자 할 때 이를 선택하는 화상보기 선택키부와, 상기 화상보기 선택키부가 스위칭 온 되면 상기 음성변환기를 거쳐 들어온 음성신호를 음성 송수신부로 전달하고 화상보기 선택키가 스위칭 오프되면 상기 음성통신 전화부를 거쳐 들어온 음성신호를 음성 송수신부로 전달하는 구동 절환부와, 상기 디지털 카메라부 및 음성신호 변환기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인가받아 소정 포맷의 전송신호로 만들어 상기 데이터 코덱부로 보내주고 반대로 상기 데이터 코덱부로부터 외부 통신망에서 제공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인가받아 음성신호 변환기에 전송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싱 블록부를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전화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희망할 때만 간편하게 상대방의 화상 정보를 볼 수 있고 퍼스널 컴퓨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화상 전화기에 비해 최소의 제작단가로 다양한 기능구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 내장형 영상 전화기{A video telephone with digital camera}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영상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니전화기에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를 내장하고 퍼스널 컴퓨터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전화를 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간편하게 상기 퍼스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부로 상대방의 화상도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 전화기(Video telephone)는 음성뿐만 아니라 카메라로 찍은 송화자 또는 수화자의 동화상을 전화선을 통해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화상 전화기는 크게 몇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즉, 그 첫번째는 독립형(Stand alone)으로 전화기 형태의 제품 구조이며 하나의 기구 구조물에 카메라와 디스플레이장치 및 전화기가 모두 일체로 구성된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로는 TFT(Thin Film Transistor)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된다.
그리고 전화기를 이용하여 상대방을 선택하고 전화기에 부착된 카메라와 LCD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주고받으면서 상대방과 통화를 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독립형 동화상 전화장치는 사용 및 설치가 편리하지만 제품구성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또한, 제조비용에 비하여 화상통신상의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 지원이 제약된다.
두번째로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PC라고 함)용 동화상 전화방식으로 PC 내부에 동화상 전화와 관련된 카드를 별도로 구성하고 각각 별개의 카메라와 핸드폰을 연결한다. 또한, PC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상대방을 선택하고 헤드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한다. 이때 별개의 카메라를 통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전송하고 상대방의 영상신호는 PC의 모니터를 이용하여 확인한다. 이러한 PC형 동영상전화장치는 PC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하기 어렵고 동화상 전화만 지원되며 일반 음성전화기는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세번째로는 셋탑(Settop) 형태의 구성으로 동화상 전화와 관련된 회로를 별도의 박스로 구성하고 여기에 각각 별개의 전화기와 카메라 및 TV 모니터를 연결한다. 그리고 전화기를 통하여 상대방을 선택하여 통화를 하면서 셋탑 박스에 연결된 카메라와 TV를 보면서 영상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셋탑 박스형 동화상 전화기는 별도의 화상회의용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비용부담이 있고 또한 TV, 카메라, 전화기, 화상회의용 장치 등을 조합하여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가 어렵다.
싱기와 같은 단점들을 극복하여 설치 및 제품구성을 단순히 할 수 있고 사용을 편리하게 하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화상 전화기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 특 1999-000896)에 공지되어있는데 도 1을 통해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공지기술은 음성입력을 위한 핸드셋(102)과, 영상입력을 위한 카메라(104)와, 퍼스널 컴퓨터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PC용 모니터(118)와, 전화라인을 통한 착, 발신 및 통화를 처리하여 상기 핸드셋(102)과 카메라(104)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를 부호화하여 전화라인으로 전송하고 상기 전화라인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를 복호화하여 상기 핸드셋(102)과 PC용 모니터(118)로 각각 출력하는 본체부(1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핸드셋(102)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며 상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복호화하여 상기 핸드셋(102)으로 출력하는 음성 코덱(106)과, 상기 카메라(104)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며 상기 수신되는 영싱신호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영상 코덱(108)과, 상기 음성 코덱(106) 및 영상 코덱(108)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전화라인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음성 코덱(106) 및 영상코덱(108)에 각각 출력하는 음성 영상 합성부(110)와, 상기 전화라인을 통한 착, 발신 및 통화를 처리하는 전화부(114)와, 상기 음성 영상 합성부(11)에서 합성된 신호를 압축하고 상기 전화라인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부(114)를 통해 전화라인으로 전송하며, 전화라인으로부터 전화부(114)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재생하여 상기 음성 영상 합성부(110)로 출력하는 신호 제어부(112)와, 상기 영상 코덱(108)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PC용 모니터(118)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부(116)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지기술 역시 영상 및 음성 코덱을 근간으로 한 구조이므로 여전히 디지털 통신상의 화상회의 장치로 장치구현이 어렵고 기존의 음성통신 전화기 지원이 어렵다. 즉, 상기 공지기술은 디지털적으로 변환된 음성데이터만 처리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전화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반드시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야 했고 이로 인해 복잡한 음성 코덱 등이 더 필요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전화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직접 처리할수 있는 화상 전화기를 구현하는 것이 경제적 측면에서 요구되었다.
또한, 상기 공지기술에 의하면 사용자의 희망에 의해 선택적으로 화상 통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 또는 전화라인으로부터 화상신호가 입력되면 영상코덱에서 자동적으로 부호화 또는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방식을 채용했기 때문에 사용자 의사와 무관하게 항상 화상전화기로 쓸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니 전화기에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를 내장하고 퍼스널 컴퓨터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대방과 전화를 하면서 화상보기 선택키의 키입력에 의해 상기 퍼스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부로 상대방의 화상정보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전화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희망할 때만 간편하게 상대방의 화상 정보를 볼 수 있고 퍼스널 컴퓨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화상 전화기에 비해 제작단가를 월등히 줄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지원이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 내장형 영상 전화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사상은 통신가능하도록 외부 통신망에 연결되는 모뎀부와, 메모리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부와, 영상,음성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데이터 코덱(CODEC: Coder-Decoder)부와, 이들을 제어하는 주제어부로 이루어지는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동화상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모뎀부에 연결되어 착,발신 및 통화를 처리하는 음성통신 전화부와, 사용자 및 상대방 음성을 주고 받는 음성 송수신부와, 전화기에 내장되어 소정 영상을 촬영하는초소형 디지털 카메라부와,상기 음성 송수신부로부터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A/D 또는 D/A 신호처리하는 음성신호 변환기와, 상대방 화상을 보고자 할 때 이를 선택하는 화상보기 선택키부와, 상기 화상보기 선택키부가 스위칭 온 되면 상기 음성변환기를 거쳐 들어온 음성신호를 음성송수신부로 전달하고 화상보기 선택키가 스위칭 오프되면 상기 음성통신 전화부를 거쳐 들어온 음성신호를 음성 송수신부로 전달하는 구동 절환부와, 상기 디지털 카메라부 및 음성 코덱부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인가받아 입력 신호형태에 상응하는 소정 포맷의 디지털 전송신호로 만들어 상기 데이터 코덱부로 보내주고 반대로 상기 데이터 코덱부로부터 외부 통신망에서 제공된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인가받아 음성신호 변환기에 전송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싱 블록부를 포함하는 발명이 제시된다.
도 1은 종래의 공지된 동영상 전화장치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영상 전화기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설명>
1 : 퍼스널 컴퓨터 2 : 전화기 세트
10 : 데이터 통신 모뎀부 11 : 메모리부
12 : 디스플레이부 13 : 스피커부
14 : 데이터 코덱부 15 : 주제어부
20 : 음성통신 전화부 21 : 음성 송수신부
22 : 디지털 카메라부 23 : 음성신호 변환기
24 : 화상보기 선택키 25 : 구동 절환부
26 : 데이터 인터페이싱 블록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통신가능하도록 외부 통신망에 연결되는 데이터 통신 모뎀부(10)와, 메모리부(11)와, 디스플레이부(12)와, 스피커부(13)와, 영상,음성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데이터 코덱(CODEC: Coder-Decoder)부(14)와, 이들을 제어하는 주제어부(15)로 이루어지는 퍼스널 컴퓨터(1)를 이용한 동화상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모뎀부(10)에 연결되어 착,발신 및 통화를 처리하는 음성통신 전화부(20)와, 사용자 및 상대방 음성을 주고 받는 음성 송수신부(21)와, 전화기에 내장되어 소정 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부(22)와, 상기 음성 송수신부(21)로부터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A/D 또는 D/A 신호처리하는 음성신호 변환기(23)와, 상기 디지털 카메라부(22), 음성신호 변환기(23) 및 데이터 인터페이싱 블록부(26)에 연결되어 디지털 통신 즉, 화상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음성통신 전화부(20)에 연결되어 아날로그 음성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두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하는 화상보기 선택키(24)와, 상기 화상보기 선택키(24)에 의하여 디지털 화상통신과 아날로그 음성통신 중 하나의 데이터 통신 선로를 잡아주는 구동절환부(25)와, 상기 디지털 카메라부(22) 및 음성신호 변환기(23)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인가받아 입력 신호형태에 상응하는 소정 포맷의 전송신호로 만들어 상기 데이터 코덱부(14)로 보내주고 반대로 상기 데이터 코덱부(14)로부터 외부 통신망에서 제공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인가받아 음성신호 변환기(23)에 전송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싱 블록부(26)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싱 블록부(26)는 입력신호의 형태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RS232C, USB, IEEE 1394 또는 병렬(Parallel) 통신방식중 적합한 전송형태의 통신 프로토콜을 채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통신 모뎀부(10)는 퍼스널 컴퓨터 등 외부시스템의 통신 모뎀을 사용하게 되며, 상기 외부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받은 영상 및 음성 데이터는 사용자의 선택 키입력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의 메모리부(11)에 저장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 내장형 전화기는 주로 사용자가 퍼스널 컴퓨터 근처에서 전화를 하게 되는 상황에서 통화자 양쪽이 모두 본 발명에 의한 전화기 세트를 갖고 서로의 화상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후 영상데이터로 제공해야되는 사용환경을 갖고 있다. 이러한 사용환경에서만 통화자 양쪽의 화상을 사용자 선택에 의해 상기 퍼스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부로 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럼 지금부터 본 발명의 사용 양태와 각 구성의 신호처리 과정을 살펴보겠다.
우선, 사용자가 상대방과 통화를 원할 경우에는 소형화된 본 발명에 의한 전화기 세트(2)의 음성 송수신부(21)를 이루는 헤드셋 및 마이크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하면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상기 헤드셋을 통해 상대방의 음성을 듣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말을 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통상의 전화기와 마찬가지로 외부 통신망의 전화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데이터 통신 모뎀부(10)를 거쳐 음성통신 전화부(20)를 통해 음성 송수신부(21)의 헤드셋으로 출력되고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상대방의 음성을 들을 수 있게 된다.
참고적으로, 상기 데이터 통신 모뎀부(10)는 사용자의 설정행위가 있을 때에만 디지털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받아 처리하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통화하면서 자신의 화상도 보내고 상대방의 화상도 보고 싶을 때에는 미리 전화 통화상으로 상대방과 화상 통신의 의사 합치를 한 후 전화기 세트(2)의 화상보기 선택키(24)를 누르면 된다. 이때, 상기 화상보기선택키(24)는 토글식으로 되어있어 사용자가 한번 누르면 스위칭 온 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오프되도록 되어있다.
아무튼 사용자가 상기 화상보기 선택키(24)를 한번 누르게 되면 화상 통신 모드로 전환되게 되는데 우선, 사용자의 화상 정보가 상대방에게 제공되는 과정부터 살펴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화상보기 선택키(24)의 스위칭 온 신호를 받아 우선 디지털 카메라부(22)가 작동되면 상기 디지털 카메라부(22)는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한 후 촬영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인터페이싱 블록부(26)로 보내게 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싱 블록부(26)는 사용자의 모습이 담긴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인가받아 입력 신호형태에 따라 소정 프로토콜의 전송신호 형태로 만들어 상기 데이터 코덱부(14)로 보내주게 된다.
즉,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싱 블록부(26)에서는 USB, RS232C, 병렬 포트(Parallel Port) 통신, IEEE 1394 또는 그밖의 디지털신호 형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임의의 통신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데, 만약 데이터 인터페이싱 블록부(26)가 USB 통신방식으로 채택되게 되면 이 데이터 신호를 인가받는 퍼스널 컴퓨터(1)쪽 또한 USB 신호를 받을 수 있는 데이터 코덱부(14)로 구성되어야 한다.
아무튼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싱 블록부(26)로부터 소정 전송형태의 디지털 영상데이터가 퍼스널 컴퓨터(1)의 데이터 코덱부(14)로 보내지면 상기 데이터 코덱부(14)에서는 이 신호를 영상 압축한 후 부호화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코덱부(14)에서 부호화 과정이 완료되면 퍼스널 컴퓨터(1)의 주제어부(15)는 데이터 통신 모뎀부(10)에 제어신호를 보내 외부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쪽 퍼스널 컴퓨터로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통화 상대방의 퍼스널 컴퓨터쪽으로 보낼 수도 있는데 이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사용자에 의해 화상보기 선택키(24)가 스위칭 온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마이크에 대고 말을 하면 이에 따라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구동 절환부(25)의 구동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음성신호 변환기(23)에 보내지고 여기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다시 데이터 인터페이싱 블록부(26)로 보내진다.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싱 블록부(26)에서는 입력 디지털 음성신호를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방식으로 퍼스널 컴퓨터와 통신하기 적합한 형태의 신호(예를 들면, RS232C, USB, IEEE 1394 또는 병렬통신 방식 중 하나)로 만들어 데이터 코덱부(14)로 보내게 되고 순차적으로, 상기 데이터 코덱부(14)에서는 이 디지털 음성신호를 부호화하여 데이터 통신 모뎀부(10)에 보내고, 다시 상기 데이터 통신 모뎀부(10)는 외부 통신망을 통해 디지털 음성신호를 상대방의 퍼스널 컴퓨터로 전송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대방의 화상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즉, 외부통신망을 통해 통화 상대방의 디지털 음성 신호 및 영상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통신 모뎀부(10)에 수신되게 되면, 상기 영상 데이터는 사용자의 선택키입력에 의한 주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부(11)에 저장되게 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1)에 일단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주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 코덱부(14)로 보내지고 이곳에서 영상 압축이 풀리고 복호화되게 된다. 이러한 복호화 과정이 완료되면 다시 주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2)로 상대방의 화상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물론, 상대방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는 이 신호를 데이터 통신 모뎀부(10)가 수신받아 사용자의 선택 키입력에 의한 주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직접 스피커부(13)로 출력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데이터 코덱부(14), 데이터 인터페이싱 블록부(26)를 거쳐 음성신호 변환기(23)에서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진 후 음성 송수신부(21)의 헤드셋으로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외부 통신망을 통해 통화 상대방의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데이터 통신 모뎀부(10)에 수신되게 되면 상기 데이터 통신 모뎀부(10)는 모뎀 동작을 하지 않고 단지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보통의 전화기와 같이 음성통신 전화부(20)를 거쳐 음성송수신부(21)의 헤드셋으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듣고 말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통신가능하도록 외부 통신망에 연결되는 데이터 통신 모뎀부(10)와, 메모리부(11)와, 디스플레이부(12)와, 스피커부(13)와, 영상,음성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데이터 코덱부(14)와, 이들을 제어하는 주제어부(15)로 이루어지는 퍼스널 컴퓨터(1)를 이용한 동화상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모뎀부(10)에 연결되어 착,발신 및 통화를 처리하는 음성통신 전화부(20)와, 사용자 및 상대방 음성을 주고 받는 음성 송수신부(21)와, 전화기에 내장되어 소정 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부(22)와, 상기 음성 송수신부(21)로부터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A/D 또는 D/A 신호처리하는 음성신호 변환기(23)와, 상대방 화상을 보고자 할 때 이를 선택하는 화상보기 선택키(24)와, 상기 화상보기 선택키(24)에 의하여 디지털 화상통신과 아날로그 음성통신 중 하나의 데이터 통신 선로를 잡아주는 구동절환부(25)와, 상기 디지털 카메라부(22) 및 음성신호 변환기(23)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인가받아 입력 신호형태에 상응하는 소정 포맷의 전송신호로 만들어 상기 데이터 코덱부(14)로 보내주고 반대로 상기 데이터 코덱부(14)로부터 외부 통신망에서 제공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인가받아 음성신호 변환기(23)에 전송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싱 블록부(26)를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전화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희망할 때만 간편하게 상대방의 화상 정보를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화기 세트에는 디지털 카메라만을 구비하고 그밖에 필요한 기능은 퍼스널 컴퓨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화상 전화기에 비해 최소의 제작단가로 다양한 기능구현이 가능하다.

Claims (5)

  1. 통신가능하도록 외부 통신망에 연결되는 데이터 통신 모뎀부와, 메모리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부와, 영상,음성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데이터 코덱부와, 이들을 제어하는 주제어부로 이루어지는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동화상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모뎀부에 연결되어 착,발신 및 통화를 처리하는 음성통신 전화부와,
    사용자 및 상대방 음성을 주고 받는 음성 송수신부와,
    전화기에 내장되어 소정 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부와,
    상기 음성 송수신부로부터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A/D 또는 D/A 신호처리하는 음성신호 변환기와,
    상대방 화상을 보고자 할 때 이를 선택하는 화상보기 선택키부와,
    상기 화상보기 선택키부가 스위칭 온 되면 상기 음성변환기를 거쳐 들어온 음성신호를 음성 송수신부로 전달하고 화상보기 선택키가 스위칭 오프되면 상기 음성통신 전화부를 거쳐 들어온 음성신호를 음성 송수신부로 전달하는 구동 절환부와,
    상기 디지털 카메라부 및 음성 코덱부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인가받아 입력 신호형태에 상응하는 소정 포맷의 전송신호로 만들어 상기 데이터 코덱부로 보내주고 반대로 상기 데이터 코덱부로부터 외부 통신망에서 제공된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인가받아 음성신호 변환기에 전송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싱 블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내장형 전화기.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싱 블록부는 입력신호의 형태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적합한 전송형태의 통신 프로토콜을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내장형 전화기.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모뎀부는 퍼스널 컴퓨터 등 외부시스템의 통신 모뎀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내장형 전화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외부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받은 영상신호를 모니터부로 디스플레이시키고, 디지털 음성신호는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내장형 전화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통신방으로부터 수신받은 영상 및 음성 데이터는 사용자의 선택 키입력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의 메모리부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내장형 전화기.
KR1019990031485A 1999-07-31 1999-07-31 디지털 카메라 내장형 영상 전화기 KR100308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485A KR100308486B1 (ko) 1999-07-31 1999-07-31 디지털 카메라 내장형 영상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485A KR100308486B1 (ko) 1999-07-31 1999-07-31 디지털 카메라 내장형 영상 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707A KR19990078707A (ko) 1999-11-05
KR100308486B1 true KR100308486B1 (ko) 2001-09-29

Family

ID=3753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485A KR100308486B1 (ko) 1999-07-31 1999-07-31 디지털 카메라 내장형 영상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002A (ko) * 2000-07-22 2002-02-01 송석현 인터넷 화상 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707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45952A (zh) 会议电话终端、系统及共享数据的方法
KR20070010292A (ko) 화상호를 이용하여 방송전달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WO2003001773A1 (fr) Appareil telephonique a fonctionnalite de visiophone
JP2008135880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578251B1 (ko) 비디오-레디 인터넷 전화기
KR100308486B1 (ko) 디지털 카메라 내장형 영상 전화기
JP4469265B2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
JPH02113656A (ja) テレビ電話機
US7694879B2 (en) Remote controller with hands-free function for portable terminal
KR20070082782A (ko) 화상통신 단말기 및 화상통신 단말기에서 화상통신 방법
KR20030033353A (ko) 도어폰
KR20020076110A (ko)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6351016A (ja) テレビ会議装置の遠隔制御方法および遠隔制御装置
KR100685251B1 (ko)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KR19990000896A (ko)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를 이용한 동화상 전화장치
KR200290348Y1 (ko) 아이엠티-2000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 및영상신호를 가정 또는 사무실에 설치된 비디오 통신장치를 통해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장치
JPH0622310A (ja) 通信会議システム
KR100516930B1 (ko) 인터넷 영상 전화기
KR100451457B1 (ko) 케이블 모뎀을 이용한 영상전화기
JP3030019B2 (ja) 通信会議システム
KR100443249B1 (ko) 아이엠티-2000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 및영상신호를 가정 또는 사무실에 설치된 비디오 통신장치를 통해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장치
KR200290347Y1 (ko) 아이엠티-2000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 및영상신호를 가정 또는 사무실에 설치된 비디오 통신장치를 통해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장치
KR20000042799A (ko) 동영상 전화장치의 영상 송,수신 제어방법
KR20000041521A (ko) 휴대용 디지털 모니터링 시스템
KR100647215B1 (ko) Pc를 이용한 휴대 단말의 신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