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9278A -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9278A
KR20010009278A KR1019990027561A KR19990027561A KR20010009278A KR 20010009278 A KR20010009278 A KR 20010009278A KR 1019990027561 A KR1019990027561 A KR 1019990027561A KR 19990027561 A KR19990027561 A KR 19990027561A KR 20010009278 A KR20010009278 A KR 20010009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mera module
main body
video camera
video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7827B1 (ko
Inventor
강재순
박준원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27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7827B1/ko
Publication of KR20010009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영상카메라모듈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를 구비하고 음성통화 수신도중 또는 통화발신 전에 필요에 따라 영상카메라모듈을 장착하여 영상통화를 가능하게 한 영상전화기본체와, 상기 영상전화기본체의 연결부와 조립시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음성통화 수신도중 또는 통화발신 전에 필요에 따라 상기 영상전화기본체에 장착되어 이미지를 촬상하여 상기 영상전화기본체에서 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영상카메라모듈로 구성되어, 영상이미지를 캡쳐하는 영상카메라모듈을 영상전화기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전화기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한 연결장치를 통해 본체와 착탈가능하게 함으로써 영상전화기의 소형화설계에 따른 휴대성향상을 도모하고 필요시에만 카메라모듈을 부착하여 영상통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 {Portable Image Telephone of removable type of camera}
본 발명은 휴대용 영상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이미지를 캡쳐하는 영상카메라모듈을 영상전화기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전화기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한 연결장치를 통해 본체와 착탈가능하게 함으로써 영상전화기의 소형화설계에 따른 휴대성향상을 도모하고 필요시에만 카메라모듈을 부착하여 영상통화를 실현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영상전화기는 전화기를 이동하고 다니면서 영상신호를 송수신하여 영상통화를 실현하는 이동단말기이다.
도1은 종래 카메라 고정식 휴대용 영상전화기의 예시도이다.
그래서 종래에 출시된 NTT Docomo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SIEMEN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보편 이동통신 시스템) 단말기, Mitsubisch UMTS 단말기, Kyocera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 단말기, AV Tel. Canada 단말기와 같은 선진업체들의 휴대용 영상전화기는 모두 고정방식에 의해 카메라렌즈를 영상전화기에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고, 일부 기종은 1방향 회전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2는 이러한 종래 카메라 고정식 휴대용 영상전화기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여기서 참조번호 1은 영상전화기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이는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음)에서 처리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표시 장치)모니터이고, 2는 사용자가 상기 영상전화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버튼이며, 3은 상기 CPU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에너지를 음향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화기이고, 4는 상기 영상전화기의 영상통화시 공간을 통하여 전자파를 방사 또는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5는 음향에너지인 음압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마이크이고, 6은 영상전화기를 보호하고 통화시 플립을 열고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플립커버이며, 7은 이미지를 촬상하여 영상전화기에서 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카메라부이고, 8은 상기 카메라부(7)에 장착된 카메라렌즈이다.
이처럼 종래의 카메라 고정식 휴대용 영상전화기는 단말기 본체 상단부에 카메라 렌즈를 설치하고, 렌즈(8)의 촬상면에 이미지센서를 장착하여, 여기에서 얻어진 영상신호를 상대 단말기와 송수신하여 영상통화를 수행하도록 동작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영상전화기 상단에 카메라부(렌즈+이미지센서기판)를 설치한 장치는 단말기 자체의 크기가 카메라부의 크기만큼 확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무게는 물론이고 크기가 커져 실질적인 휴대성이 상당히 저하되며, 외형도 투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화기와 인접하여 카메라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 귀지, 땀, 이물질 등에 의한 렌즈의 오염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도 있었다.
더불어 카메라부가 단말기 상단이 돌출되어져 있기 때문에 가벼운 충격에 의해서도 영상단말기가 쉽게 손상될 수 있는 위험성이 크고, 렌즈의 파손이나 고장시 전체를 교환하거나 수리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영상통화시 항상 한쪽 손에 단말기를 들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통화시 행동에 제약을 받아야만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이미지를 캡쳐하는 영상카메라모듈을 영상전화기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전화기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한 연결장치를 통해 본체와 착탈가능하게 함으로써 영상전화기의 소형화설계에 따른 휴대성향상을 도모하고 필요시에만 카메라모듈을 부착하여 영상통화를 실현할 수 있는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카메라 고정식 휴대용 영상전화기의 예시도이고,
도2는 종래 카메라 고정식 휴대용 영상전화기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며,
도4는 도3에서 영상카메라모듈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의 정면도와 사시도이며,
도6은 도5에서 영상카메라모듈과 영상전화기본체가 조립된 후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40 : 영상전화기본체 11 : LCD모니터 12 : 조작버튼
13 : 수화기 14 : 안테나 15 : 마이크
16 : 플립커버 17 : 가이드돌기 18 : 암연결 컨넥터
20, 50 : 영상카메라모듈 21 : 가이드레일 22, 51 : 카메라렌즈
23 : 수연결 컨넥터 24 : 렌즈경통 25 : 이미지센서보드
26 : 플립스탠드 30 : 데스크면 41, 53 : 연결부
52 : 잠금레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는,
영상카메라모듈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를 구비하고 음성통화 수신도중 또는 통화발신 전에 필요에 따라 영상카메라모듈을 장착하여 영상통화를 가능하게 한 영상전화기본체와; 상기 영상전화기본체의 연결부와 조립시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음성통화 수신도중 또는 통화발신 전에 필요에 따라 상기 영상전화기본체에 장착되어 이미지를 촬상하여 상기 영상전화기본체에서 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영상카메라모듈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10은 음성통화 수신도중 또는 통화발신 전에 필요에 따라 영상카메라모듈(20)을 장착하여 영상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영상전화기본체이고, 11은 상기 영상전화기본체(10)의 CPU(이는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음)에서 처리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LCD모니터이며, 12는 사용자가 상기 영상전화기본체(1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버튼이고, 13은 상기 CPU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에너지를 음향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화기이며, 14는 상기 영상전화기본체(10)의 영상통화시 공간을 통하여 전자파를 방사 또는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15는 상기 영상전화기본체(10)내의 CPU의 제어에 따라 음향에너지인 음압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마이크이고, 16은 상기 영상전화기본체(10)를 보호하고 통화시 플립을 열고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플립커버이며, 17은 상기 영상전화기본체(10)와 상기 영상카메라모듈(20)의 조립시 상기 영상카메라모듈(20)의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삽입되도록 상기 영상전화기본체(10)의 좌우측면에 돌기되어 있는 가이드돌기이고, 18은 상기 영상카메라모듈(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연결용 컨넥터인 암연결 컨넥터이다.
또한 참조번호 20은 음성통화 수신도중 또는 통화발신 전에 필요에 따라 상기 영상전화기본체(10)에 장착되어 이미지를 촬상하여 상기 영상전화기본체(10)에서 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영상카메라모듈이고, 21은 상기 영상전화기본체(10)의 가이드돌기(17)가 삽입시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상기 영상카메라모듈(20)이 상기 영상전화기본체(10)의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상기 영상카메라모듈(20)의 양쪽 내측벽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이며, 22는 상기 영상카메라모듈(20)에 장착되어 이미지를 촬상하는 카메라렌즈이고, 23은 상기 영상카메라모듈(20)을 상기 영상전화기본체(10)에 장착시 암연결 컨넥터(18)와 연결되는 수연결 컨넥터이며, 24는 상기 카메라렌즈(22)를 버티어주고 밖으로부터 빛이 들어오지 못하게 막는 몸통인 렌즈경통이고, 25는 상기 카메라렌즈(22) 및 렌즈경통(24)이 연하여 설치되도록 하고 렌즈경통과 결합된 부위의 반대편에 상기 수연결 컨넥터(23)가 설치되도록 한 이미지센서보드이며, 26은 상기 영상카메라모듈(20)의 배면에 설치되어 일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카메라모듈(20)이 회전동작을 취할 수 있게 한 플립스탠드이고, 30은 지면 또는 데스크면이다.
도4는 도3에서 이러한 영상카메라모듈의 사시도이다.
이처럼 영상카메라모듈(20)은 별도의 모듈로써 영상전화기본체(10)와 분리되어져 있고, 영상전화기본체(10)의 하단부에 설치된 연결 컨넥터(18)(23)를 통해 영상카메라모듈(20)과 착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영상카메라모듈(20)의 내부에는 중심부에 카메라렌즈(22) 및 경통(24)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렌즈경통(24)의 말단에는 이미지센서기판(25)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이미지센서기판(24)에는 영상전화기본체(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용 컨넥터인 수연결 컨넥터(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영상카메라모듈(20)의 좌우 측벽에는 영상전화기본체(10)가 슬라이딩 착탈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레일(2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 상대편 단말기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돌기(17)가 갖추어져 있다.
그래서 영상통화 시에 영상카메라모듈(20)을 영상전화기본체(10)에 삽입한 후, 전화기를 한쪽 손에 들고 통화하는 방식 외에, 전화기를 책상 위에 올려놓고 통화할 수 있도록 하기 이하여, 영상카메라모듈(20)의 배면에는 플립용 스탠드(26)를 설치함으로써 지면(30)에 세워놓고 통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의 정면도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40은 음성통화 수신도중 또는 통화발신 전에 필요에 따라 영상카메라모듈(50)을 장착하여 영상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영상전화기본체이고, 41은 상기 영상전화기본체(40)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영상카메라모듈(50)과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부이며, 50은 음성통화 수신도중 또는 통화발신 전에 필요에 따라 상기 영상전화기본체(40)의 상측에 장착되어 이미지를 촬상하여 상기 영상전화기본체(40)에서 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영상카메라모듈이고, 51은 상기 영상카메라모듈(50)에 장착되어 이미지를 촬상하는 카메라렌즈이며, 52는 상기 영상카메라모듈(50)을 상기 영상전화기본체(40)에 결합시 잠금이 되도록 하는 잠금레버이고, 53은 상기 영상전화기본체(40)의 연결부(41)와 조립시 연결되어 상기 영상전화기본체(40)와 상기 영상카메라모듈(50)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부이다.
그래서 영상전화기본체(40)와 영상카메라모듈(50)간의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영상카메라모듈(50)을 잡는다. 그리고 영상전화기본체(40)에 위치해있는 연결부(41)에 영상카메라모듈(50)을 위치시킨다.
그래서 도5에서 영상카메라모듈(50)을 "가"의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자동으로 영상전화기본체(40)의 연결부(41)와 영상카메라모듈(50)의 연결부(53)가 결합되어 연결장치가 잠기게 된다.
도6은 이러한 영상카메라모듈과 영상전화기본체가 조립된 후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또한 분해시에는 먼저 영상카메라모듈(50)의 잠금레버(52)를 누른다. 그 다음 영상전화기본체(40)에서 영상카메라모듈(50)을 "나"의 방향으로 당기면 영상카메라모듈(50)이 영상전화기본체(40)에서 분리되게 된다.
여기서 대개의 통화형태는 음성통화가 대부분이며, 특히 전화가 걸려왔을 경우에 이것이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것인지는 미리부터 확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동단말기 자체에 영상카메라모듈을 내장시켜 그 크기와 무게를 증가시키게 되면 휴대성 측면에서는 상당한 단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영상이미지를 캡쳐하는 영상카메라모듈을 영상전화기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전화기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한 연결장치를 통해 본체와의 착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는 영상카메라모듈을 영상전화기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전화기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한 연결장치를 통해 본체와 착탈가능하게 하여 음성통화 수신도중 또는 통화발신 전에 필요에 따라 휴대전화 본체에 영상카메라 모듈을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일체형이 갖고 있는 카메라 렌즈의 오염, 손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렌즈 파손시 영상카메라모듈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서비스성이 우수하고, 휴대 단말기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영상카메라모듈의 배면에는 데스크위에 세워놓고 통화할 수 있도록 플립형의 스탠드를 갖추고 있어 손에 들지 않고 자리에 않아 영상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 행동에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휴대용 영상전화기에 있어서,
    영상카메라모듈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를 구비하고 음성통화 수신도중 또는 통화발신 전에 필요에 따라 영상카메라모듈을 장착하여 영상통화를 가능하게 한 영상전화기본체와;
    상기 영상전화기본체의 연결부와 조립시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음성통화 수신도중 또는 통화발신 전에 필요에 따라 상기 영상전화기본체에 장착되어 이미지를 촬상하여 상기 영상전화기본체에서 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영상카메라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LCD모니터, 조작버튼, 수화기, 안테나, 마이크, 플립커버를 구비한 상기 영상전화기본체는, 상기 영상전화기본체와 상기 영상카메라모듈의 조립시 상기 영상카메라모듈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삽입되도록 상기 영상전화기본체의 좌우측면에 돌기되어 있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영상카메라모듈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연결용 컨넥터인 암연결 컨넥터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고;
    카메라렌즈를 구비한 상기 영상카메라모듈은, 상기 영상전화기본체의 가이드돌기가 삽입시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상기 영상카메라모듈이 상기 영상전화기본체의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상기 영상카메라모듈의 양쪽 내측벽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영상카메라모듈을 상기 영상전화기본체에 장착시 암연결 컨넥터와 연결되는 수연결 컨넥터와, 상기 카메라렌즈를 버티어주고 밖으로부터 빛이 들어오지 못하게 막는 몸통인 렌즈경통과, 상기 카메라렌즈 및 렌즈경통이 연하여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렌즈경통과 결합된 부위의 반대편에 상기 수연결 컨넥터가 설치되도록 한 이미지센서보드와, 상기 영상카메라모듈의 배면에 설치되어 일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카메라모듈이 회전동작을 취할 수 있게 한 플립스탠드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전화기본체는, 상기 영상전화기본체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영상카메라모듈과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고;
    카메라렌즈를 구비한 상기 영상카메라모듈은, 상기 영상카메라모듈을 상기 영상전화기본체에 결합시 잠금이 되도록 하는 잠금레버와, 상기 영상전화기본체의 연결부와 조립시 연결되어 상기 영상전화기본체와 상기 영상카메라모듈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
KR10-1999-0027561A 1999-07-08 1999-07-08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 KR100417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561A KR100417827B1 (ko) 1999-07-08 1999-07-08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561A KR100417827B1 (ko) 1999-07-08 1999-07-08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278A true KR20010009278A (ko) 2001-02-05
KR100417827B1 KR100417827B1 (ko) 2004-02-05

Family

ID=19600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561A KR100417827B1 (ko) 1999-07-08 1999-07-08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7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110A (ko) * 2001-03-26 2002-10-09 한빛아이티 주식회사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8979A (ja) * 1989-09-22 1991-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静止画テレビ電話装置
JPH07114434A (ja) * 1993-10-20 1995-05-02 Daishin Kiki Kk ハンディコンピュータ用デジタルカメラアダプタ及びハンディコンピュータ
JP3380835B2 (ja) * 1996-06-06 2003-02-24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型テレビ電話
JP3516328B2 (ja) * 1997-08-22 2004-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通信端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110A (ko) * 2001-03-26 2002-10-09 한빛아이티 주식회사 영상 전화 단말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7827B1 (ko)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8727B1 (ko) 화상 통화용 분리형 휴대 단말기 및 그 통신 방법
KR20040042475A (ko) 폴더부 탈착식 화상통신 단말기
JP3380835B2 (ja) 携帯型テレビ電話
US7103395B2 (en) Folding mobile terminal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nd transmitting sound while folded
JPH10303824A (ja) 携帯端末機とオプション装置との接続方法および装置
JP2001298516A (ja) 携帯型無線通信装置
US8494598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with light source
KR100312546B1 (ko) 외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덮개가 슬라이딩개폐되는 폴더형휴대폰
CN100490462C (zh) 具有免提扬声器部的移动通信终端
JP3738195B2 (ja) 携帯電話端末
KR100630127B1 (ko) 보조 표시부를 구비한 폴더 타입 무선 단말기 및 보조표시부 구동방법
KR100417827B1 (ko)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
KR100511677B1 (ko) 슬라이딩 카메라 패널이 장착된 단말기
KR200174762Y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20090006372A (ko) 다기능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US7557856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shooting device and manual focus switch ring that is engaged with shooting device holder in housing
KR100678161B1 (ko)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
JP2004172767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KR101153511B1 (ko) 호환 가능한 분리형 카메라 및 그에 따른 칩셋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KR100640458B1 (ko) 와치 타입 텔레폰의 배터리팩 접속장치
JPH11136655A (ja) 送受話具を有する携帯型情報通信機用アダプタ
JP4272332B2 (ja) 画像伝送通信端末
KR200400374Y1 (ko) 악세사리 유형 휴대 안테나 장치
KR200295443Y1 (ko) Gps 수신기 및 gps 안테나가 내장된 슬라이딩 타입휴대폰
JP3640049B2 (ja) 携帯型情報通信機の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