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106A -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변조된 데이터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변조된 데이터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106A
KR20020076106A KR1020010041648A KR20010041648A KR20020076106A KR 20020076106 A KR20020076106 A KR 20020076106A KR 1020010041648 A KR1020010041648 A KR 1020010041648A KR 20010041648 A KR20010041648 A KR 20010041648A KR 20020076106 A KR20020076106 A KR 20020076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 length
sequence
modulated
sequences
constr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1781B1 (ko
Inventor
안성근
서상운
슈하머이밍크키즈에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09/998,791 priority Critical patent/US6531968B2/en
Publication of KR20020076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7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6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bit detection or demodula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하여, 한계 길이 조절 코드(Run Length Limited, RLL)의 (d,k) 구속조건을 이용하여 데이터 블록들 사이의 경계에서 변조될 채널 코드워드를 빠르고 정확하게 결정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변조된 데이터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변조방법은, 소정의 유니트들로 이루어진 블록의 마지막 유니트를 입력받고, 사전에 설정된 유니트의 변조 데이터 표를 참조하여, (d, k)구속조건을 갖는 한계 길이 조절 코드(Run Length Limited, RLL)에서 상기 설정된 k-구속조건을 위반하지 않는 블록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변조된 데이터 기록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MODULATING DIGITAL DATA AND MEDIUM FOR RECORDING MODULATED DATA GENERATED THEREBY}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변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하여, 한계 길이 조절 코드 (Run Length Limited, RLL)의 (d, k) 구속조건을 이용하여 데이터 블록들 사이의 경계에서 변조될 채널 코드워드를 빠르고 정확하게 결정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변조된 데이터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변조하여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방법들 중에서 엔알지아이(Non-Return-to-Zero-Inverted, NRZI) 코드는, 기록매체에서 검출된 신호가 이진수 '0' 이면, 기록 매체의 자속에 아무런 변화가 없음을 나타내고, 기록매체에서 검출된 신호가 이진수 '1'이면, 기록매체에 기록된 자속의 방향이 반대로 천이됨을 나타냄으로써,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신호를 검출 또는 재생한다.
최근들어 이용되고 있는 한계 길이 조절 코드(Run Length Limited, RLL)는, 상기 NRZI코드 개념을 확장한 코드로서, 8비트(1 바이트)의 데이터를 16비트의 특별한 코드 (코드워드)로 변환한다. 따라서, 상기 코드워드가 기록매체에 조밀하게 저장될수록 데이터 기록효율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8 비트는 256가지의 비트조합이 되고, 16비트는 65536가지의 비트조합이 되기 때문에, RLL코드는, 8비트에 의하여 생성되는 256 비트 조합수를 16비트에 의하여 생성되는 65536 비트 조합수 중에서 256 개로 변환하여 생성된다. 이때, 상기 변환되는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구속조건(constraint)을 만족해야 한다.
제 1구속조건은, 연속되는 '1'의 값을 갖는 비트들 사이에 적어도 한 개의 '0' 비트의 값을 갖는 비트가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데이터 비트는 특별한 조건을 두지 않고 저장하는 데이터 기록 밀도보다 세배가 커지고, 따라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데이터가 높은 기록밀도로 기록된다. 이때, 상기 제 1구속조건은, 상기 기록매체에 데이터가 높은 기록밀도로 기록된다고 해도,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데이터 비트의 자속극성을 구분할 수 있는 거리 (또는 하나의 비트가 다른 비트가 가깝게 있을 때 허용될 수 있는 거리)에 있게 한다. 곧, 제 1구속조건은, 기록매체에 일련의 '0'비트의 값을 갖는 비트들이 연속적으로 기록되고, 그 기록된 데이터가 재생될 때 심볼사이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조건이다.
제 2구속조건은, 연속되는 '1'비트와 '1'비트 사이에 0들의 수를 제한한다. 상기 제 2 구속조건은 재생되는 데이터들이 천이할 때 상기 천이들에 위상잠금 회로를 로킹함으로써, 재생된 데이터들로부터 클럭신호를 복구한다.
상기 RLL 코드는 (d, k)코드로 표현되고, 여기서, d는 연속하는 '1'의 값을 갖는 비트들 사이에 '0'의 값을 갖는 비트가 삽입될 최소한의 수를 나타내고, k는 연속하는 '1'의 값을 갖는 비트들 사이에 '0'의 값을 갖는 비트가 삽입될 최대한의 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 7) 코드는, 기록된 '1'의 값을 갖는 비트들 사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0'의 값을 갖는 비트들이 있어야 하는 조건과, 기록된 '1'의 값을 갖는 비트들 사이에 7개 이하의 연속된 '0'의 값을 갖는 비트들이 있어야 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코드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구속조건을 만족하면서 엔코딩되는 비트들은, 데이터 펄스의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또는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하는 에지에 대하여 '1' 의 값을 갖는 비트로 변조되고, 펄스의 천이가 없는 구간에 대하여, 0'의 값을 갖는 비트로 변조된다. 따라서, 데이터 펄스의 최소 역기간은, (d+1)T 로 표현되고, 최대 역기간은, (k+1)T로 표현된다. 여기서, T는 기록 데이터 스트림에서 비트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d, k)=(1, 7)코드에서, 최소 역 기간 (Tmin)은 2T가 되고, 최고 역 기간 (Tmax)은 8T가 된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기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최소역 기간(Tmin)은, 최소 런(2T)이 연속적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기록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왜곡이 포함될 수 있다. 곧, 2T 파형 출력 진폭의 초점인자와 법선기울기 인자들은, 다른 출력 파형들의 진폭들의 초점인자와 법선기울기 인자들보다 더 작고 흐트러지기 쉽다. 따라서,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할 때 오류가 발생되기 쉽다.
상기와 같이 오류를 갖는 데이터 신호가 변조되면 기록될 때 DC 성분을 포함하는 채널 데이터 스트림이 된다. 그러면,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의 드라이브를 서보제어할 때 트래킹 에러들과 같은, 많은 에러신호들이 변동이나 지터와 같은 형태로 쉽게 나타난다.
따라서, 가능하면 DC성분들이 포함되지 않게 변조된 신호를 생성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소스 코드에 대하여 디지털합값(Digital Sum Value, DSV)를 제어한다.
상기 DSV는 소스코드들에 대하여 NRZI(Non Return to Zero I) 변조 후 생성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합한 값을 의미한다.
광 또는 자기광 기록 캐리어에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고 읽기 위한 방법은, 이에프엠(Eight-to-Fourteen Modulation, EFM)이나 이에프엠 플러스 (Eight-to-Fourteen Modulation Plus, EFM Plus)를 이용한다.
이에프엠-변조신호는 일련의 8비트의 데이터 워드가 일련의 14비트의 코드워드로 변환되고, 3비트의 머징 워드(merging words)가 더 삽입됨으로써 생성되는 채널코드워드이다. 곧, 상기 14비트의 각각의 코드워드들은, 두 개의 연속된 '1'의 값을 갖는 비트들 사이에, '0'의 값을 갖는 비트들이 최소길이(최소 '0'런길이, d)가 2이고, '0'의 값을 갖는 비트들이 최대길이('0'런길이, k)가 10인 구속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또한, 상기 코드워드들 사이에서 상기 구속조건들이 만족되기 위하여, 3비트의 머징 워드가 이용된다. 예를 들어, 8개의 가능한 3-비트 머징워드들에 대하여, 4개의 3-비트 머징 워드가 사용될 수 있다. 곧, 001, 010, 000, 100가 되고, 나머지 가능한 3-비트 머징 워드들 (111, 011, 101, 110)은 상기 k(=2) 구속의 규칙에 위배되기 때문에 사용되지 못한다.
상기와 같은 규칙에 따라 머징 워드들을 결정함으로써, 변조된 신호의 저주파 성분들이 줄어들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변조 방법은, 상기 DSV를 제어하여 입력되는 코드워드들을 채널 코드워드로 변환한다고 해도, 복수개의 코드워드들로 구성되는 블록들 사이의 경계 (곧, 하나의 블럭의 마지막 코드워드와 다음 블럭의 첫번째 코드워드 사이)에서는 코드워드를 채널워드로 정확하고 빠르게 변조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하여, 한계 길이 조절 코드(Run Length Limited, RLL)의 (d,k) 구속조건을 이용하여 데이터 블록들 사이의 경계에서 변조될 채널 코드워드를 빠르고 정확하게 결정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계 길이 조절 코드(Run Length Limited, RLL)의 (d,k) 구속조건을 이용하여 데이터 블록들 사이의 경계에서 변조될 채널 코드워드를 빠르고 정확하게 결정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 및 그 장치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디지털 변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변조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은 본발명에 따라, 하나의 데이터 블록 안에 포함된 하나의 유니트의 채널코드워드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a-3b는 본발명에 따른 데이터라 채널 블록들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변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32 ................압축기 4,34 ............ 응축기
6,36 ............. 3방향밸브 8a,8b,42 ........ 모세관
10a,40a ........ 냉장실증발기 10b,40b ... 냉동실증발기
5,5a,5b,35a,35b .... 냉매관로
이를 위하여 본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변조방법은, 소정의 유니트들로 이루어진 블록의 마지막 유니트를 입력받고, 사전에 설정된 유니트의 변조 데이터 표를 참조하여, (d, k)구속조건을 갖는 한계 길이 조절 코드(Run Length Limited, RLL)에서 상기 설정된 k-구속조건을 위반하지 않는 블록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는, 소정의 유니트들로 이루어진 블록의 마지막 코드워드를 입력받고, 사전에 설정된 코드워드의 변조 데이터 표를 참조하여, (d, k)구속조건을 갖는 한계 길이 조절 코드(Run Length Limited, RLL)에서 상기 설정된 k-구속조건을 위반하지 않는 유니트들을 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은, 현재 블록의 마지막 코드워드의 종료 '0' 런 길이를 구하는 단계와, 다음 블록의 시작되는 코딩상태에 대응하는 시작 '0' 런 길이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종료 '0' 런 길이와 시작 '0' 런 길이들을 각각 합산하여 생성되는 총 '0' 런 길이와 사전에 설정된 k-구속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k-구속조건을 만족하는 코드워드만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은, 입력되는 데이터 워드에 서로 다른 디지털 워드를 부가하여 다수의 중간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다수의 중간 시퀀스들을 사전에 설정된 m/n 코디 비율에 따라 (d, k) 구속조건에 부합하는 시퀀스로 변조하는 단계와, 상기 변조된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들에서 이전의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와 이어지는 '0'런렝스가 k 구속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d, k) 구속조건 부합시퀀스를 배제하고 기록매체에 기록할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은, 입력되는 데이터 워드에 서로 다른 디지털 워드를 부가하여 다수의 중간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다수의 중간 시퀀스들을 사전에 설정된 m/n 코딩 비율에 따라 (d, k) 구속조건에 부합하는 시퀀스로 변조하는 단계와, 상기 변조된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들을 상기 변조단계에서 사용된 k 부다 작은 kset 값을 초과하는 '0'런렌스의 부시퀀스를 갖는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를 배제하고, 기록매체에 기록할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은, 입력되는 데이터 워드에, 서로다른 디지털 워드를 부가하여, 다수의 중간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발생부와, 상기생성된 다수의 중간 시퀀스들을, 사전에 설정된 m/n 코딩 비율에 따라 (d,k) 조건에 부합하는 시퀀스로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d,k)조건 부합 시퀀스들에서, 하나의 (d,k)조건 부합 시퀀스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은, 입력되는 데이터 워드에, 서로다른 디지털 워드를 부가하여, 다수의 중간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1단계, 상기 생성된 다수의 중간 시퀀스들을, 사전에 설정된 m/n 코딩 비율에 따라 (d,k) 조건에 부합하는 시퀀스로 변조하는 2단계 및 상기 변조된 (d,k)조건 부합 시퀀스들에서, 이전의 (d,k)조건 부합 시퀀스와의 이어지는 '0'런렝스가 k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d,k)조건 부합 시퀀스를 배제하고 기록매체에 기록할 (d,k)조건 부합 시퀀스를 선택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하여, 한계 길이 조절 코드 (Run Length Limited, RLL)의 (d, k) 구속조건을 이용하여 데이터 블록들 사이의 경계에서 변조될 채널 코드워드를 빠르고 정확하게 결정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변조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변조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데이터 워드를 입력받아 데이터 시퀀스를 생성하는 시퀀스 생성부(100)와, 상기 데이터 시퀀스를 입력받아 (d, k) 구속조건을 만족하는 시퀀스를 선택하는 선택부(200)와, 상기 선택부(200)가 (d, k) 구속조건을 만족하는 시퀀스를 선택할 때 참조하도록 변조 데이터를 저장하는 변조 데이터 저장부(300)와, 상기 (d, k) 구속조건을 만족하는 시퀀스를 입력받아 저주파 성분이 억제된 런렝스 시퀀스를 생성하는 전치코딩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퀀스 생성부(100)는, 상기 데이터 워드들을 입력받아 서로 결합하여 복수개의 중간 시퀀스를 생성하는 오그멘트(101)와, 상기 중간 시퀀스를 스크램블링하여 데이터 시퀀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크램블러(102)를 포함한다.
상기 선택부(200)는, 상기 시퀀스 생성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시퀀스를 입력받아 선택가능한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 (alternative (d,k) constrained sequence)를 생성하는 (d, k) 엔코더(201)와, 상기 선택가능한 (d,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를 입력받아 동기 패턴, '0'들이 긴 스트링, 또는 변동(alternate) Tmin 의 런(run)이 긴 스트링과 같은 원하지 않는 부 시퀀스(sub sequence)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202)와, 상기 판단부(202)로부터 결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d, k) 구속조건을 만족하는 시퀀스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기(203)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판단부(202)는, 상기 선택가능한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를 입력받아 연속적인 '0'의수 (곧, '0'런렝스)를 계산하는 런렝스 계산기(1)와, 상기 선택가능한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를 입력받아 사전에 결정된 동기 패턴이 있는직 검출하는 동기 검출기(2)와, 상기 선택가능한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를 입력받아 연속되는 Tmin의 런렝스 수를 계산하는 Tmin 계산기(3)와, 상기 선택가능한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를 입력받아 DSV를 계산하는 DSV 계산기(4)와, 상기 선택가능한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를 입력받아 연속되는 두 시퀀스들사이에 k-구속조건을 계산하는 k-조건 계산기(5)를 포함한다.
소스 코드워드로부터 채널 코드워드로 변조된 표들을 저장하는 변조 데이터 표 저장부(1)와, 상기 변조 데이터 표 저장부(1)의 변조된 채널 코드워드를 참조하여 입력되는 코드워드의 (d, k) 구속조건을 갖는 RLL 코드의 k-구속조건을 계산하는 k-구속조건 계산부(2)와, 상기 입력되는 코드워드의 디지털합값 (Digital Sum Value, DSV)을 계산하는 DSV 계산부(3)와, 상기 DSV 계산부(3)가 계산한 상기 입력되는 코드워드의 DSV로부터 페널티를 계산하는 페널티 계산부(4)와, 상기 입력되는 코드워드의 페널티와 상기 k-구속조건 계산부(2)에서 계산한 상기 입력되는 코드워드의 k-구속조건을 검사하여 상기 입력되는 코드워드를 채널코드워드로 변조할 지 판단하는 채널코드 선택부(5)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변조장치의 동작을 도 2- 도 4와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하나의 데이터 블록 내에 있는 데이터 유니트(data unit)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A-3B는 본발명에 따른 데이터라 채널 블록들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4는 본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변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유니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워드와, 상기 코드워드의 앞쪽에서 '0'의 개수를 나타내는 리딩부분(leading portion)과, 상기 코드워드의 뒤쪽에서 '0'의 개수를 나타내는 트레일링부분(trailing portion)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니트들이 모여서 형성된 블록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블록들과 함께 소정의 블록 데이터들(B1, B2, ..., Bi, Bi+1, ...)를 형성한다.
도 3a와 같이 블록들이 연결될 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블록(Bi)의 마지막 유니트의 트레일링부분(T)과 이어질 블록(Bi+1)의 첫번째 유니트의 리딩부분(L)이 사전에 설정된 k-구속조건들을 만족해야 상기 현재 블록과 이어질 블록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블록들이 연결되어 블록데이터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 4와 함께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k-조건 계산기(5)는, 선택가능한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들 사이에 k조건이 부합되는 지 판단하기 위하여, 이전에 입력되어 저장된 선택가능한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와 현재 입력된 선택가능한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 사이의 '0'런길이를 비교한다. 곧, 상기 이전에 입력된 선택가능한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의 트레일링부분(T)과 현재 입력된 선택가능한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의 리딩부분(L)의 '0'런길이를 합한 k(=T+L)값과 사전에 설정된 kset값을 비교하여, T + L > kset 이면, 현재의 시퀀스를 버리고(ST1 ~ST4 또는 ST5 와 ST7) 새로운 시퀀스를 입력받아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따라서, 상기 (d,k)구속조건을 만족하면 현재 시퀀스를 선택한다 (ST6). 상기 시퀀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블록에 포함된 유니트가 될 수 있고, 상기 과정은 유니트들에 대하여 수행된 다음에 블록이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k-조건 계산기(5)는, (d, k)엔코더(201)의 테이블을 바탕으로, m비트에서 n비트로 변조할 때 사용된 조건으로서 k값보다 작은 값(kSET)의 k조건을새롭게 설정할 수도 있다. 새롭게 설정할 경우, 상기 k-조건 계산기(5)는 시퀀스 연결 부분만이 아닌 시퀀스 전체에 대해, 설정된 kSET을 넘어서는 연속된 '0'런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연속된 '0'런이 있다면, 상기 시퀀스에 대하여 플래그를 세트시킨 다음에, 상기 시퀀스를 선택기(203)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변조할 때, k조건보다 더 작은 값의 조건으로 설정하여도, 예를 들어, 2r개의 선택가능한 (d, k)구속조건 부합 시퀀스가 생성되기 때문에, r값이 크면 상기 값들 중에서 kSET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퀀스가 있게 된다. 그러면, 기록되는 신호의 에지정보는 평균적으로 보다 자주 기록된다.
만약, 상기 (d,k) 엔코더(201)에서 사용하고 있는 테이블이, 예를 들어, k=14조건에서 작성되었다면, 상기 k-조건 계산기(5)에서는 9, 10, 11, 12, 13중에서 하나의 값을 kSET조건으로 선택할 수 있다. kSET이 너무 작으면, 상기 선택가능한 (d,k)구속조건 부합 시퀀스에서 kSET을 만족하는 시퀀스가 없을 수 있기 때문에, 너무 작은 값은 배제된다.
(d, k)엔코더(201)의 테이블 조건이, 예를 들어, k=18이면, kSET은 9에서 17사이의 값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측정된 또는 계산된 몇가지 측정값 또는 계산값과, 동기 검출에 의해 표시되는 플래그는, 상기 판단부(202)로부터 상기 선택기(203)에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선택기(203)는, 마지막으로 선택되어 기록될 하나의 시퀀스를, 상기 입력되는 몇가지 측정값과 관련된 DSV에 근거하여 결정한다. 이 때, 상기 판단부(202)에서 세트된 플래그를 갖는 시퀀스에 대해서는 선택대상에서 배제하고 나머지 선택가능한 (d,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선택된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는, 프리코더 (400)에 의하여, NRZI 프리코딩 과정을 통해 변조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변조신호는, '1'에서는천이되고, '0'에서는 천이가 없는 모듈로 2 적분된, 선택된 (d,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로부터 생성된 다음에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발명에 따른 변조방법은채널 (d, k) 엔코더(201)가 s/c (s:소스코드, c: 채널코드)의 코드변조율을 갖는 경우, 입력되는 시퀀스는, RLL코드의 (d, k)코드에 규정된 k 구속조건을 위반하지 않고 채널 코드워드로 변조된다. 여기서, 상기 (d, k) 엔코더(201)는, 이웃하는 코드워드들 사이에 k 구속조건을 위반하지 않고 채널코드워드로 변조시키도록 변조 데이터 저장부를 참조한다. 곧, 두 개의 블록이 연결되는 경계에서 코드워드가 k구속조건이 위반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각 상태에서 코드워드의 '0'으로 시작하는 개수 (벡터(v))를 세어 최대값을 정한다.
본 출원인이 출원한 선출원 (PCT/KR00/01292)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상기 벡터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당 출원의 실시예에 있는 바와 같이, 9/13 변조율, 13개의 코딩 상태(coding states)와 d 구속조건이 1인 코드 테이블에서, 벡터(v)가 {9, 5, 3,3, 2, 2, 1, 1, 0, 0, 0, 0,0}이다. 곧, 상기 벡터는, 13개의 코딩상태 각각에 대하여 해당 코딩상태의 코드워드들 중에서 가장 긴 시작 '0'의 런 길이값을 의미한다. 상기 첫번째 값으로서, 'v(1)= 9'는, 코딩상태 1에 있는 코드워드들 중에서 처음 비트부터 연속적으로 '0'의 값을 갖는 비트들이 나오는 최대 개수(곧, 시작 '0' 런길이)가 9임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v(2)=5'는, 코딩상태 2에 있는 코드워드들 중에서 시작 '0' 런 길이값이 5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변조 데이터 표를 이용하면, 벡터 (다음 상태에 오는 시작 '0' 런 길이값을 갖는 비트들의 수)를 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벡터(v)는, 상태에 따라, 각 변조 데이터 표마다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블록내에서 코드워드가 채널코드워드로 변조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블록들 사이에서 채널 코드워드로 변조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블록들 사이에서 오류없이 채널 코드워드로 변조하기 위하여, 코드워드들을 채널 코드워드로 변조하여 하나의 블록에 대하여 채널 변조 과정을 수행하다가, 상기 블록이 끝나는 시점에서 '0' 런길이값(T)을 구한다. 상기 시점에서 다음 상태(U)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다음 상태의 벡터(v(U))도 계산한다.
하나의 블록이 끝나는 마지막 코드워드에서 종료 '0'의 런길이값(T)과 다음 코딩상태에서 시작 '0'의 런 길이값(L)를 더하면, 다음 블럭에 변조될 코드워드의 예측되는 '0' 런 길이값(k=T+L)가 된다. 상기 예측되는 '0' 런길이값(k)은, 사전에설정된 kset 값과 비교하여, 상기 예측되는 '0' 런 길이값(k)이 상기 사전에 설정된 kset 값보다 크면, 입력되는 코드워드는 변조될 채널 코드워드의 후보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본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 및 장치는 블럭들 사이에서 오류없이 채널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정확하게 변조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장치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디지털 변조 데이터는 소정의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블록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소정의 코드워드 패턴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코드워드들은 곧바로 채널 코드워드로 변환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장치 및 그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변조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매체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블록들 사이에 채널 코드워드로 변조될 소스코드워드가 RLL코드의 (d, k) 구속조건을 만족하면서 빠르고 정확하게 결정된다.

Claims (26)

  1. 소정의 유니트들로 이루어진 블록의 마지막 유니트를 입력받고, 사전에 설정된 유니트의 변조 데이터 표를 참조하여, (d, k)구속조건을 갖는 한계 길이 조절 코드(Run Length Limited, RLL)에서 상기 설정된 k-구속조건을 위반하지 않는 블록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k-구속조건을 위반하지 않는 블럭들을 구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의 마지막 유니트의 런길이와 다음 블록에 변조될 유니트의 런길이를 합하여 상기 블록의 마지막 유니트의 k-구속조건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들은
    복수개의 유니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는
    코드워드와,
    상기 코드워드의 앞쪽에 '0'개의 개수를 나타내는 리딩부분과,
    상기 코드워드의 뒤쪽에 '0'개의 개수를 나타내는 트레일링부분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방법.
  5. 제 1항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 변조방법에 의하여 변조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6. 소정의 유니트들로 이루어진 블록의 마지막 코드워드를 입력받고, 사전에 설정된 코드워드의 변조 데이터 표를 참조하여, (d, k)구속조건을 갖는 한계 길이 조절 코드(Run Length Limited, RLL)에서 상기 설정된 k-구속조건을 위반하지 않는 유니트들을 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기록매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해진 유니트들은
    변조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되 k-구속조건을 위반하지 않는 유니트들은,
    상기 블록의 마지막 유니트의 런길이와 다음 블록에 변조될 유니트의 런길이가 합해진 다음에 상기 블록의 마지막 유니트의 k-구속조건이 계산되어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들은
    복수개의 유니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는
    코드워드와,
    상기 코드워드의 앞쪽의 '0'개의 개수를 나타내는 리딩부분과,
    상기 코드워드의 뒤쪽의 '0'개의 개수를 나타내는 트레일링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1. 현재 블록의 마지막 코드워드의 종료 '0' 런 길이를 구하는 단계와,
    다음 블록의 시작되는 코딩상태에 대응하는 시작 '0' 런 길이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종료 '0' 런 길이와 시작 '0' 런 길이들을 각각 합산하여 생성되는 총 '0' 런 길이와 사전에 설정된 k-구속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k-구속조건을 만족하는 코드워드만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블록의 시작되는 코딩상태에 해당하는 시작 '0' 런 길이를 구하는 단계는,
    해당 코딩 상태에 포함된 전체 유니트들 중에서 시작 '0' 런 길이가 최대인유니트의 시작 '0' 런 길이를 해당 값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 변조방법에 의하여 변조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4. 입력되는 데이터 워드에 서로 다른 디지털 워드를 부가하여 다수의 중간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다수의 중간 시퀀스들을 사전에 설정된 m/n 코딩 비율에 따라 (d, k) 구속조건에 부합하는 시퀀스로 변조하는 단계와,
    상기 변조된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들에서 이전의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와 이어지는 '0'런렝스가 k 구속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d, k) 구속조건 부합시퀀스를 배제하고 기록매체에 기록할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단계는
    상기 생성된 다수의 중간 시퀀스들을 스크램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단계는
    각 입력 데이터 워드에 대하여 r 비트 크기의 디지털 워드를 부가하되, r 비트의 크기로 생성 가능한 모든 경우 수의 디지털 워드를 생성하여, 이를 입력 데이터 워드에 부가함으로써, r 비트의 경우 수만큼 중간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변조방법.
  17. 입력되는 데이터 워드에 서로 다른 디지털 워드를 부가하여 다수의 중간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다수의 중간 시퀀스들을 사전에 설정된 m/n 코딩 비율에 따라 (d, k) 구속조건에 부합하는 시퀀스로 변조하는 단계와,
    상기 변조된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들을 상기 변조단계에서 사용된 k 부다 작은 kset 값을 초과하는 '0'런렌스의 부시퀀스를 갖는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를 배제하고, 기록매체에 기록할 (d, k) 구속조건 부합 시퀀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다수의 중간 시퀀스들을 스크램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
    각 입력데이터 워드에 대하여, r비트 크기의 디지털 워드를 부가하되, r 비트의 크기로 생성가능한 모든 경우 수의 디지털 워드를 생성하여 이를 입력 데이터 워드에 부가함으로써 r 비트의 경우 수만큼 중간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방법.
  20. 입력되는 데이터 워드에, 서로다른 디지털 워드를 부가하여, 다수의 중간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발생부와,
    상기 생성된 다수의 중간 시퀀스들을, 사전에 설정된 m/n 코딩 비율에 따라 (d,k) 조건에 부합하는 시퀀스로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d,k)조건 부합 시퀀스들에서, 하나의 (d,k)조건 부합 시퀀스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상기 발생부는
    각 입력 데이터 워드에 대하여, 서로다른 디지털 워드를 부가하여 다수의 중간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오그멘터(augmentor)와, 상기 생성된 중간 시퀀스 각각을 스크램블링하는 스크램블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오그멘터는
    각 입력 데이터 워드에 대해, r비트 크기의 디지털 워드를 부가하되, r비트의 크기로 생성가능한 모든 경우 수의 디지털 워드를 생성하여 이를 입력 데이터 워드에 부가함으로써, r비트의 경우 수만큼 중간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장치.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각 중간 시퀀스에 대해, 코딩 비율 m/n로 (d,k) 조건에 부합하는 시퀀스로 변조하는 엔코더와,
    상기 변조된 각 시퀀스에 대해 그 비트들의 내용과 미리 지정된 부 시퀀스의 발생 빈도수에 따른 감점을 부여하는 판단부와,
    상기 변조된 각 시퀀스 중, 상기 판단수단에 의해 부여된 감점이 가장 낮은 (d,k)조건 부합 시퀀스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시퀀스로 선택하는 선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장치.
  24. 입력되는 데이터 워드에, 서로다른 디지털 워드를 부가하여, 다수의 중간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1단계;
    상기 생성된 다수의 중간 시퀀스들을, 사전에 설정된 m/n 코딩 비율에 따라 (d,k) 조건에 부합하는 시퀀스로 변조하는 2단계; 및
    상기 변조된 (d,k)조건 부합 시퀀스들에서, 이전의 (d,k)조건 부합 시퀀스와의 이어지는 '0'런렝스가 k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d,k)조건 부합 시퀀스를 배제하고 기록매체에 기록할 (d,k)조건 부합 시퀀스를 선택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상기 생성된 다수의 중간 시퀀스들을 스크램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방법.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각 입력 데이터 워드에 대해, r비트 크기의 디지털 워드를 부가하되, r비트의 크기로 생성가능한 모든 경우 수의 디지털 워드를 생성하여 이를 입력 데이터 워드에 부가함으로써, r비트의 경우 수만큼 중간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변조방법.
KR10-2001-0041648A 2001-03-26 2001-07-11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변조된 데이터 기록매체 KR100531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998,791 US6531968B2 (en) 2001-03-26 2001-12-03 Digital data modula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odulated data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15632 2001-03-26
KR1020010015632 2001-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106A true KR20020076106A (ko) 2002-10-09
KR100531781B1 KR100531781B1 (ko) 2005-11-29

Family

ID=27698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648A KR100531781B1 (ko) 2001-03-26 2001-07-11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변조된 데이터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1781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5565A (ja) * 1994-03-02 1995-09-19 Sony Corp 信号変調方法及び信号変調回路
JP3457093B2 (ja) * 1995-04-14 2003-10-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媒体並びにデジタル変復調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339539B2 (ja) * 1995-12-13 2002-10-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ジタル変調装置、その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0286709A (ja) * 1999-01-29 2000-10-13 Victor Co Of Japan Ltd 変調方法、変調装置、復調方法、復調装置及び記録媒体
JP3551359B2 (ja) * 1999-05-25 2004-08-04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変調装置、復調装置
US6531968B2 (en) * 2001-03-26 2003-03-11 Lg Electronics Inc. Digital data modula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odulated data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1781B1 (ko) 2005-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53200C2 (ru) Способ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и м-битовых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слов в модулированный сигнал,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осителя записи, устройство кодирования, запис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игнал,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US6861965B2 (en) Code modulating method and code modulating apparatus, demodulating method and demodula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6829306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verting a series of data words into a modulated signal
JP3722331B2 (ja) 変調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100954986B1 (ko) 변조 장치 및 방법
EP1202462B1 (en) Modulation method, modulator, transmiss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6778105B2 (en) Method of modulating series of data words into constrained sequence
US6531968B2 (en) Digital data modula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odulated data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JP4049635B2 (ja) 一連のデータワードを変調信号に変換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531781B1 (ko)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변조된 데이터 기록매체
US7305044B2 (en) Data modulation method and apparatus
US5602547A (en) Data conversion apparatus and encoding apparatus
KR100945183B1 (ko) 정보어의 신호로의 변환 시스템
KR100407496B1 (ko) 일련의 데이터 워드를 변조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
CA2458540A1 (en) Coding method and device
KR20030010357A (ko) 정보를 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