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183B1 - 정보어의 신호로의 변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어의 신호로의 변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183B1
KR100945183B1 KR1020047011301A KR20047011301A KR100945183B1 KR 100945183 B1 KR100945183 B1 KR 100945183B1 KR 1020047011301 A KR1020047011301 A KR 1020047011301A KR 20047011301 A KR20047011301 A KR 20047011301A KR 100945183 B1 KR100945183 B1 KR 100945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formation
word
codeword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5947A (ko
Inventor
쇼우해머임밍크코르넬리스에이.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40075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5/00Conversion of the form of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digits
    • H03M5/02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 H03M5/04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the pulses having two levels
    • H03M5/14Code representation, e.g. transition, for a given bit cell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in one or more adjacent bit cells, e.g. delay modulation code, double density co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5/00Conversion of the form of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digits
    • H03M5/02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 H03M5/04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the pulses having two levels
    • H03M5/14Code representation, e.g. transition, for a given bit cell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in one or more adjacent bit cells, e.g. delay modulation code, double density code
    • H03M5/145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m비트 정보어를 런길이 제약된 변조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사용가능한 코드어는, 제 1 형태의 적어도 한 개의 그룹(G1)과 제 2 형태의 적어도 한 개의 그룹(G2) 상에 분산된다. 제 1 형태 또는 제 2 형태에 속하는 코드어의 전달은, 현재의 정보어에 따라 제 1 형태의 코딩상태(S1) 또는, 제 2 형태의 코딩상태(S2,S3)의 수 r중 한 개를 확립한다. 정보어마다 코드어로 이루어진 서브세트는 사용가능하고, 이 서브세트는 상기 r개의 코딩상태의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한 개의 분리된 코드어를 갖는다. 전달되는 코드어의 서브세트로부터의 선택은, 코드어의 시퀀스에 대한 런길이 제약을 동적으로 검증시에 또한, 변조신호의 저주파 성분과 같은 추가적인 기준상의 코딩상태를 기초로 한다.
Figure R1020047011301
변환기, 정보어, 코드어, 추가적인 기준, 코딩상태, 변조신호

Description

정보어의 신호로의 변환 시스템{SYSTEM OF CONVERTING INFORMATION WORDS TO A SIGNAL}
본 발명은 m(m은 정수) 비트 정보어의 시리즈를 변조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으로서, 그 방법은 n(n은 m을 초과하는 정수) 비트 코드어를 수신된 정보어마다 전달하고, 상기 전달된 코드어를 변조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대응한 변조신호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도록 상기 정보어의 시리즈를 코드어의 시리즈로 변환하고, 제 1 형태의 그룹에 속하는 코드어의 전달이 제 1 그룹에 의해 결정된 제 1 형태의 코딩상태를 확립하고, 제 2 형태의 그룹에 속하는 코드어의 전달이 제 2 그룹과 상기 전달된 코드어에 연관된 상기 정보어에 의해 결정된 제 2 형태의 r개의 코딩상태 중 하나를 확립하면서, 상기 코드어가 적어도 제 1 형태의 그룹 및 적어도 제 2 형태의 그룹에 분포되고, 상기 제 2 형태의 그룹이 다음 코드어의 소정의 파라미터를 평가하여 각각의 정보어를 구별할 수 있는 최대 r개의 정보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한 개의 코드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따라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매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m비트 정보어를 n비트 코드어로 변환하는 m 대 n 비트 변환기와, 상기 n비트 코드어를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변조신호로 변조하는 수단과, 상기 변환기에 의한 코드어의 전달시에, 제 1 그룹에 의해 결정된 제 1 형태의 그룹에 속하는 전달된 코드어의 각각에 대해 제 1 형태의 코딩상태와, 제 2 그룹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전달된 코드어에 연관된 정보어에 의해 결정된 제 2 형태의 그룹에 속하는 상기 전달된 코드어의 각각에 대해 제 2 형태의 r개의 코딩상태 중 하나를 확립하는 상태 확립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형태의 그룹이 다음 코드어의 소정의 파라미터를 평가하여 각각의 정보어를 구별가능한 최대 r개의 정보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한 개의 코드어를 포함한 코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어에 각각 대응하는 연속적인 신호부분으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포함하고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신호가, 정보패턴이 신호부분을 나타내는 트랙에 제공된 기록매체로서, 상기 신호부분의 각각은 제 1 또는 제 2 신호 값을 갖는 n비트 셀들과, 정보어를 유일하게 나타내는 신호부분의 제 1 형태의 그룹에 속하는 신호부분과, 유일한 정보어를 나타내는 연속적인 신호부분과 결합하여 신호부분의 제 2 형태의 그룹에 속하는 신호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형태의 그룹 중 적어도 한 개의 신호부분은 연속적인 신호부분의 소정의 파라미터를 평가하여 각각의 정보어를 구별가능한 최대 r개의 정보어와 연관되는 신호로서, 상기 신호는 상기 소정의 기준을 따르지 않는 모든 신호부분를 배제하는 신호부분의 서브 세트로부터 추가적인 기준에 의거하여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신호부분을 구비하고, 선행 신호부분이 상기 제 2 형태의 그룹에 속하는 경우에, 각각의 정보어와 연관되지 않는 소정의 파라미터의 값을 갖는 모든 신호부분을 배제하고, 상기 서브 세트는 정보어에 연관되고 소정의 파라미터의 값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적어도 r개의 신호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패턴이 상기 트랙 방향으로 교대해가는 제 1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이 검출가능한 제 1 특성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부분이 상기 제 1 특성과 구별가능한 제 2 특성을 나타내며, 상기 제 1 특성을 갖는 부분들이 상기 제 1 신호값을 갖는 비트셀들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특성을 갖는 부분들이 상기 제 2 신호값을 갖는 비트셀들을 나타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트랙으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렌더링 장치로서, 상기 트랙을 주사하는 수단과 상기 트랙에 형성되어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신호의 신호부분으로부터 코드어를 검색하는 복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호부분의 각각은 제 1 또는 제 2 신호 값을 갖는 n비트 셀, 정보어를 유일하게 나타내는 신호부분의 제 1 형태의 그룹에 속하는 신호부분, 및 유일한 정보어를 나타내는 연속적인 신호부분과 협력하여 신호부분의 제 2 형태의 그룹에 속하는 신호부분을 포함하며, 코드어를 정보어로 변환하되 다음 코드어의 소정의 파라미터를 평가하여 각각의 정보어를 구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변환기를 더 구비한 렌더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는, 코드어의 서브 세트로부터 선택된 코드어를 변환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서브 세트는 정보어와 연관되고 소정의 파라미터 값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적어도 r개의 코드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더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 상기 장치, 상기 기록매체 및 상기 신호는 US 5,790,056에 공지되어 있다. 이 문헌은, m비트 정보어로 이루어진 시리즈를 변조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이 방법은 EFM+이라 불리고 DVD와 같은 광 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시리즈로부터의 정보어마다, n비트 코드어를 전달한다. 상기 전달된 코드어는, 변조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코드어는, 제 1 형태의 적어도 한 개의 그룹 및 제 2 형태의 적어도 한 개의 그룹 상에 분산된다. 상기 제 1 형태의 그룹에 속하는 각 코드어의 전달에 대해 상기 연관된 그룹은, 제 1 형태의 코딩상태를 확립한다. 제 2 형태의 그룹에 속하는 코드어가 전달되는 경우, 제 2 형태의 코딩상태는 확립된다. 코드어는, 상기 확립된 코딩상태에 의존하는 코드어로 이루어진 세트로부터 선택된 상기 수신된 정보어에 할당된다. 제 2 형태의 코딩상태에 속하는 코드어로 이루어진 세트는 분리된다. 가능한 제 2 형태의 코딩 세트 중 선택된 한 개는, 상기 전달된 코드어에 연관된 정보어에 의해 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일부 정보어는 동일한 코드어와 연관될 수 있고 그 확립된 코딩상태는 다르다. 이러한 코딩방법에서는, 상기 시리즈 내의 코드어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유일한 비트 조합의 수가 확대됨으로써, 코딩 효율을 증가시킨다. 이렇게 얻어지고, 저장 및/또는 전송된 변조신호는, 먼저 상기 변조신호를 코드어로 이루어진 시리즈로 변환한 후 변환되는 코드어에 따라서 또한 다음의 코드어의 파라미터, 예를 들면, 현재의 코드어에 관계한 소정의 위치에 위치된 비트의 값에 따라서 상기 시리즈로부터 각 코드어에 정보어를 할당함으로써 정보어로 재변환될 수 있고, 그 논리적인 값은 이전에 확립된 코딩상태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상기 변조신호의 저주파 성분은 낮은 레벨로 억제되어야 하고, 특히 DC는 피해야 한다. 그 주된 이유는, 저주파 성분이 트랙에 대해 횡방향으로 광학 헤드의 위치를 제어하는 서보 트랙킹 신호 등의 다른 신호들과 간섭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DC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상술한 코딩계는, 반대의 DC 분산을 갖는 부분 이중 테이블을 갖고, 제 1 형태의 코딩 세트로부터 코드어가, 상기 변조신호의 소정의 기준, 즉 동일한 신호값을 갖는 비트 셀의 최소 및 최대 런길이에 대한 런길이 제약을 위반하지 않으면 선택되는 경우에, 택일적 코드어를 추가로 선택하게 한다. 상술한 변환방법이 변조신호에서 한정된 저주파 성분로 되었지만, 그래도 저주파 성분을 감소시키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그 변조신호의 특성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변조신호의 특성의 제어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변환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1 국면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각 정보어가 소정의 파라미터의 값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적어도 r개의 코드어를 포함한 코드어들의 연관된 서브 세트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된 코드어는, 상기 소정의 기준을 따르지 않는 모든 코드어를 배제한 코드어의 서브 세트로부터의 추가적인 기준에 의거하여 선택되고, 선행 코드어에 의해 상기 제 2 형태의 코딩상태가 확립된 경우에, 상기 제 2 형태의 확립된 코딩 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의 값을 갖는 모든 코드어를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두에 기재된 것과 같은 변환방법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상기 m 대 n 비트 변환기는, 소정의 방식으로 서로 다른 코드어의 적어도 r개의 제 2 형태를 포함한 코드어의 연관된 서브세트를 정보어마다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소정의 기준을 따르지 않는 모든 코드어를 배제하는 코드어의 서브세트로부터 추가적인 기준에 의거하여 코드어를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선행 코드어에 의해 상기 제 2 형태의 코딩상태가 확립된 경우에, 상기 제 2 형태의 상기 확립된 코딩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소정의 파라미터의 값을 갖는 모든 코드어를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장치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 3 국면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상기 신호는, 상기 소정의 기준을 따르지 않는 모든 신호부분을 배제하고, 선행 신호부분이 상기 제 2 형태의 그룹에 속하는 경우에, 각각의 정보어와 연관되지 않는 소정의 파라미터의 값을 갖는 모든 신호부분을 배제하는 신호부분의 서브세트로부터 추가적인 기준에 의거하여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신호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서브세트는 정보어에 연관되고 소정의 파라미터의 값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적어도 r개의 신호부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두에 기재된 것과 같은 신호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 4 국면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상기 변환기는, 코드어로 이루어진 서브세트로부터 선택된 코드어를 변환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서브세트는 정보어와 연관되고 소정의 파라미터의 값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적어도 r개의 코드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두에 기재된 것과 같은 렌더링장치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내용에 의거한다. 종래의 코드어는, 무한상태 머신 방법을 사용하여 발생되고, 코딩상태마다 코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테이블에서의 열과 같은 세트에 정의되어 있다. 코드어가 상기 확립된 코딩상태에 따라 선택되어야 할 경우, 정보어의 행 및 코딩상태의 열에 해당하는 테이블 내의 엔트리는 액세스된다. 소정의 기준, 즉 상기 신호의 런길이 제약을 갖는 컴플라이언스는, 각 열에 코드어에 관한 엄격한 조건으로 보증된다. 발명자는, 종래의 코딩계에서 항상 코드어가 사용가능하지만, 이것이 반드시 최상의 선택은 아니라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코드어는, 상태에 대응하는 세트의 일부가 되도록 더 이상 생각되지 않는다. 정보어마다 코드어로 이루어진 서브세트는, 다음과 같이 최상의 선택을 하는 것으로부터 사용가능하다. 먼저, 상기 런길이 기준은, 런길이 제약을 따르지 않는 모든 코드어를 배제하여 동적으로 평가되고, 둘째로, 제 2 형태의 코딩상태일 경우, 모든 코드어는, 실제의 상기 제 2 형태의 코딩상태에 대응하는 필요한 파라미터의 값을 갖지 않도록 배제된다. 마지막으로, 서브세트의 한 개의 코드어 이상이 상기 기준을 따르는 경우, 추가적인 기준, 예를 들면 신호의 저주파 성분에 의거하여 추가로 선택할 수 있다. 놀랍게도, 상술한 것처럼 종래의 DVD EFM+코딩계를 갖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변조신호와 비교할 경우, 약 3dB의 저주파 억제를 추가로 향상한다는 것이 발견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는 추가의 청구범위에 주어진다.
본 발명의 이들 내용과 다른 국면은, 다음의 설명과 첨부도면을 참조한 예에 의하여 설명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욱 명백해지고 명료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정보어의 시리즈, 코드어의 대응 시리즈 및 변조신호를 나타내고,
도 2는 기록매체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2의 기록매체의 확대부분을 나타내며,
도 4는 기록장치를 나타내고,
도 5는 디코딩 및 재생장치를 나타내고,
도 6은 코딩장치를 나타내고,
도 7a-도 7i는 각 정보어에 대해 코드어로 이루어진 서브세트들을 갖는 테이블을 나타내고,
도 8a-도 8b는 종래의 EFM+ 인코딩을 위한 테이블의 제 1 부분을 나타낸다.
도면들에서, 이미 설명된 소자에 대응하는 소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갖는다.
도 1은 3개의 연속적인 m 비트 정보어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 참조번호 1로 나타낸 8비트 정보어를 나타낸다. 코딩 방법에 대한 정보는, K.A.S. Immink, Codes for Mass Data Storage Systems, Shannon Foundation Publishers, Eindhoven, The Netherlands, 1999(ISBN 90-74249-23-X)에 의한 책과, K.A.S.Immink, 'A Survey of Codes for Optical Disc Recording',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of Communications, Special issue on signal processing and coding for digital storage, vol.19,pp.751-764, April 2001에 의한 논문에서 발견될 수 있다. 상기 타이틀에서, 예를 들면, 소위 EFM 변조계는 소위 콤팩트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데 사용되도록 기재되어 있고, EFM+계는 DVD에 사용된다. 이 EFM 변조신호는, 8비트 정보어의 시리즈를 14비트 코드어의 시리즈로 변환하여 얻어지고, 3개의 통합비트는 코드어 내에 삽입된다. 코드어는, "1"비트들 사이에 위치된 "0"비트들의 최소수는 d(2)이고, 최대수는 k(10)이도록 선택된다. 또한, 이러한 제약은 dk 제약이라고도 불린다. 상기 코드어의 시리즈는, 모듈로-2 적분동작을 통하여 하이 신호값 또는 로우 신호값을 갖는 비트셀로 형성된 대응신호로 변환되고, "1"비트는 하이신호값을 로우신호값으로 변경 또는 이와는 반대로 변경하여 상기 변조된 신호로 나타내어진다. "0"비트는, 2개의 비트셀 사이의 천이에서 신호값을 변경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상기 통합비트는, 2개의 코드어 사이의 천이의 영역에서도 dk제약이 만족되고 대응 신호에서 소위 러닝(running) 디지털 합값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선택된다. 특정 순간에 상기 러닝 디지털 합값은, 이 순간 전에 위치된 변조 신호부분 상에서 계산된, 하이 신호값을 갖는 비트셀의 수와 로우신호값을 갖는 비트셀의 수간의 차이를 의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질적으로 일정한 러닝 디지털 합값이란, 상기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저주파 영역에서의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신호도, DC 프리(free)신호라고 한다. 상기 신호에서 저주파 성분의 결핍은, 기록된 신호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계속적인 트랙킹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트랙에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매체로부터 신호를 판독하는 경우 아주 이롭다. 정보 기록은, 기록매체의 정보밀도를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상수를 갖는다. 도 1에서, 3개의 정보어(1)는, 각각의 워드값 "34", "138" 및 "34"를 갖는다. 이러한 3개의 정보어(1)의 시리즈는, 3개의 연속적인 n비트 코드어, 이 경우에는 4로 나타낸 16비트 코드어로 변환된다. 코드어(4)는, 논리적인 "0"값을 비트들과 논리적인 "1"값을 갖는 비트들로 이루어진 비트 스트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보어는, 상기 비트 스트링에서, 논리적인 "1"값을 갖는 2개의 비트 사이에 위치된 논리적인 "0"값을 갖는 비트들의 최소수가 d이고 최대수가 k이도록 변환하고, 이때 d는 2이고 k는 10이다. 이러한 비트 스트링은, 종종 dk 제약을 갖는 RLL 스트링(RLL=Run Length Limited)이라고 한다. 코드어의 개별 비트는, x1,...,x16이라고 할 것이고, 이때 x1은 통상 코드어의 최상위 비트라고 불리는 왼쪽에서 첫 번째 비트를 나타내고, x16은 코드어의 마지막 비트를 나타낸다.
코드어(4)로 형성된 비트 스트링은, 모듈로-2 적분동작에 의해 변조신호(7)로 변환된다. 이러한 변조신호는, 코드어(4)를 나타내는 3개의 정보 신호부분(8)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신호부분은, 하이신호값 H 또는 로우신호값 L을 갖는 비트셀들(11)을 포함한다. 정보 신호부분 당 비트셀들의 수는, 연관 코드어의 비트의 수이다. 논리적인 "1"값을 갖는 각 코드어 비트는, 상기 변조신호(7)에서 하이신호값을 갖는 비트셀로부터 로우신호값을 갖는 비트셀로의 천이 또는 이와는 반대로 하는 천이로 나타낸다. 논리적인 "0"값을 갖는 각 코드어 비트는, 상기 변조신호(7)에서 비트셀 천이에서 신호값의 변경이 없는 것을 나타낸다.
더욱이, 상기 변조신호(7)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필요한 것은, 실질적으로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변조신호(7)는 실질적으로 DC 프리이어야 한다.
이하, 상기 변조신호를 얻을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총 코드어의 세트는 다음과 같이 확립된다. 먼저, 코드어에 대해 그 코드어 내에 dk 제약이 만족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상기 dk 제약을 만족시키는 가능한 모든 코드어의 세트는, 적어도 제 1 형태의 그룹과 적어도 제 2 형태의 그룹으로 분할된다. 제 1 형태의 그룹 중 하나로부터 코드어를 전달하는 경우, 코딩상태 S1은 상기 전달된 코드어가 속하는 제 1 형태의 그룹에 배타적으로 의존하도록 확립된다. 제 2 형태의 그룹 중 코드어들중 하나를 전달하는 경우, 코딩상태는, 제 2 형태의 그룹과 상기 전달된 코드어로 나타낸 정보어에 의존하도록 확립된다. 일 실시예에서, G1이라고 하는 제 1 형태의 코드어의 그룹은, 논리적인 "0"값을 갖는 비트의 수 a로 끝나는 코드어를 포함하고, 이때 수 a는 0 또는 1인 정수, 또는 9이하 6이상의 정수이어도 된다.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는, 제 2 형태의 일 그룹일뿐이다. 이러한 그룹은, 논리적인 "0"값을 갖는 비트의 서로 다른 수 b로 끝나는 코드어를 포함하고, 이 수 b는 2이상 5이하의 정수이다. 이러한 그룹을 이후 그룹 G2라고 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예에서는, 코드어와 연관 정보어의 조합에 의해 2개의 코딩상태 즉, S2 및 S3를 확립할 수 있다.
정보어마다 코드어들로 이루어진 서브세트는, "0"비트로 끝나는 수의 각각에 대해, 다음 코드어가 사용가능하도록 확립되므로 그 결과의 시퀀스는 런길이 제약을 따른다. 따라서, 각 서브세트는, 시작점에서 0 또는 1개의 제로를 갖는 적어도 한 개의 코드어를 갖고, 또한, 시작점에서 적어도 2개의 제로를 갖는 적어도 한 개의 코드어를 갖는다. 또한, 상기 서브세트는, 상태 S2일 경우 적어도 한 개의 코드어를 갖고 상태 S3일 경우 적어도 한 개의 코드어를 갖고, 이 2개의 코드어는, 코드어로부터 전달될 수 있는 파라미터, 예를 들면 제로이거나 또는 적어도 한 개가 1인 2개의 비트의 위치의 값에 의거하여 구별가능하다. 따라서, 정보어마다, S2일 경우 적어도 한 개의 코드어와 S3일 경우 적어도 한 개의 코드어는, 사용가능하다. 추가 코드어는, 추가적인 기준, 예를 들면 신호의 저주파 성분에 따르도록 사용될 수 있는 서브세트에 부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추가 코드어는, DC 성분이 높은 코드어를 갖는 서브세트에 대해 첨가되고, 이 추가된 코드어는 반대의 DC 성분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저주파 성분은, 런길이 제약을 따르는, 즉, 연결된 코드어의 변조신호가 필요한 dk 범위 내의 런길이만을 갖는 모든 코드어를 사용하여 코드어로 이루어진 서브세트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세트로부터의 코드어 선택을 사용하여 저밀도의 추가 정보, 예를 들면 워터마크 또는 저작권 정보를 인코딩한다. 이러한 인코딩도, 상기 변조신호 내의 저주파 성분의 감소와 관련되기도 하고, 그 경우 그 감소는, 추가적인 기준이 저주파 성분만일 경우보다 명백히 약간 작을 것이다.
이때, (제 2 형태의 상태일 경우만 필요한) 상태에서 필요한 파라미터 값과 dk 제약을 따르는 코드어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것, 즉 상기 상태와 상기 런길이 요구사항을 따르는 서브세트로부터 코드어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처럼, 상태 머신 방법에 의거하고, 예를 들면 DVD용 EFM+ 코드에서 사용된 종래의 코딩계보다 더욱 유연하다. EFM+에 비교하여 상기 동적인 선택에 의한 LF성분의 추가적인 감소분은 약 3dB이다.
도 2는 일례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120)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상기 기록매체는,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형태 중 하나이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자기적으로 판독가능한 형태의 다른 형태이어도 된다. 기록매체는, 트랙(121)에 배치된 정보패턴을 구비한다.
도 3은 트랙(121) 중 하나의 크게 확대된 부분(122)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트랙부분(121)의 정보패턴은, 예를 들면,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마크 형태의 제 1 부분(section)(123)과, 예를 들면 그 마크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영역인 제 2 부분(12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은, 트랙(125) 방향으로 교대로 되어 있다. 제 1 부분(123)은, 제 1 검출가능한 특성을 나타내고, 제 2 부분(124)은 상기 제 1 검출가능한 특성과 구별가능한 제 2 특성을 나타낸다. 제 1 부분(123)은, 일 신호레벨, 예를 들면 로우신호레벨 L을 갖는 상기 변조된 2진신호(7)의 비트셀(12)을 나타낸다. 제 2 부분(124)은, 다른 신호레벨, 예를 들면 하이신호레벨 H를 갖는 비트셀(11)을 나타낸다. 기록매체(12)는, 먼저 변조신호를 발생한 후 그 기록매체에 정보패턴을 제공하여 얻어지기도 한다. 기록매체가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형태이면, 그 기록매체는 상기 변조신호(7)에 의거하여 공지된 마스터 링 및 복제기술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도 4는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코딩장치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코딩장치(140)를 사용한다. 기록장치에서는, 상기 변조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을, 기록가능한 형태의 기록매체(143)를 따라 움직이며 기록헤드(142)를 위해 제어회로(141)에 연결한다. 상기 기록헤드(142)는, 기록매체(143)의 검출가능한 변경을 갖는 마크들을 도입할 수 있는 통상의 형태이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141)는, 상기 제어회로(141)에 인가된 변조신호에 따라 기록헤드용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통상의 형태이어도 되므로, 상기 기록헤드(142)는, 상기 변조신호에 해당하는 마크들로 이루어진 패턴을 도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장치로, 예를 들면, 아래에 설명된 것과 같은 디코딩장치(153)를 사용한 판독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판독장치는, 기록매체가 변조신호에 해당하는 정보패턴을 반송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를 판독하기 위한 통상의 형태를 갖는 판독헤드를 구비한다. 그래서, 이 판독헤드(150)는, 그 판독헤드(150)에 의해 판독된 정보패턴에 따라 변조된 아날로그 판독신호를 생성한다. 검출회로(152)는, 통상의 형태의 이러한 판독신호를 디코딩회로(153)에 인가된 2진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디코딩장치(153)의 일 실시예는, 코딩기능의 역을 수행하는 논리적 어레이로 이루어진다. 이 디코딩장치(153)는, 디코더로서 ROM 메모리, 및/또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정보어마다 코드어로 이루어진 서브세트를 저장하는 게이트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수신된 코드어는, 상기 저장된 코드어와 비교되어, 상기 수신 된 코드어를 포함하는 서브세트에 대응하는 정보어가 출력으로 송신된다. 코드어가 2개의 서브세트의 일부인 경우에, 상기 각각의 서브세트는, 다가오는 코드어의 제 1 비트와 제 13 비트를 관찰하여 선택되고, 이러한 비트는, 제 2 형태 S2 또는 S3의 그 다가오는 코드어의 코딩상태를 나타낸다. 서브세트 내의 코드어마다, 다음 코딩상태값도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저장된다. 응용가능한 서브세트는, 상기 저장된 상태와 상기 검출된 코딩상태를 비교하여 결정된다.
도 6은 상술한 코딩을 실행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코딩장치(140)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코딩장치는, m비트 정보어(1)를 n비트 코드어(4)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서로 다른 코딩상태의 수는 s비트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코딩장치는, (m+s+x) 2진 입력신호를 (n+s+t)이진 출력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60)를 구비한다. 상기 변환기의 입력으로부터, m개의 입력은, m비트 정보어를 수신하는 버스(61)에 연결된다. 상기 변환기의 출력으로부터, n개의 출력은, n비트 코드어를 전달하는 버스(62)에 연결된다. 더욱이, s입력은 현재의 코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어를 수신하기 위한 s비트 버스(63)에 연결된다. 상술한 코딩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딩상태는 값 S1, S2 또는 S3를 가질 수 있다. 상태어는, 예를 들면, 플립플롭형 버퍼 메모리(64)에 의해 상기 s비트 버스(63)를 통해 전달된다. 상기 버퍼 메모리(64)는, 버스(58)에 연결되어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태어를 수신하는 s 입력을 갖는다.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태어를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변환기(60)는, 버스(58)에 연결된 s출력을 갖는다. 상기 변환기(60)는, 도 7에 도시된 코드어 테이블이 저장된 ROM 메모리를 구비한다. ROM에 있는 어드레스는, 상기 변환기의 입력에 인가된 상태어와 정보어의 조합으로 결정되고, 또한 선택신호(77)에 따라 상기 메모리 위치의 어드레스가 선택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태어는, 게이트회로에 의해 얻어진다.
첫 번째 동작에서, 상기 변환기(60)는, 버스(61) 상에서 현재의 정보어에 해당하는 코드어로 이루어진 서브세트를 선택한다. 둘째로, 서브세트의 워드는, s비트 버스(63) 상의 상태와 소정의 기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조신호에 대한 런길이 제약 dk를 따르는 것이 선택된다. 코딩상태가 제 1 형태인 경우, 상기 서브세트의 모든 코드어를 선택하지만, 코딩상태가 S2 또는 S3와 같은 제 2 형태인 경우, 필요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상기 상태에 대해 위치 x1 및 x13의 비트값을 따르는 코드어만을 선택한다. 또한, 런길이 제약을 따르는 코드어만은, 선행 코드어와 현재의 코드어 사이의 경계에서 코드어의 시퀀스에서 일어나는 런길이를 계산함으로써 선택된다. 상기 선택 후, 한 개 이상의 코드어는, 현재의 정보어를 인코딩하는데 사용가능하다. 상기 변환기는, 상기 서브세트내의 모든 선택 코드어의 정보를 버스(75)에 인가한다. 이 버스(75)는, 선택회로(76)에 연결되어 추가적인 기준을 상기 서브세트로부터의 코드어 선택에 적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파라미터는, 저주파 성분이다. 그리고, 선택회로(76)에서 평가된 파라미터는, 상기 선택된 코드어의 각각에 대해 그 코드어에 의한 디지털 합값의 변경을 나타낸다. 상기 선택회로(76)는, 변조신호의 일부를 위한 러닝 DSV를 계산한다. 이러한 부분은, 지나간 임의의 점 또는 동기어에서 시작하여도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DSV도, 그 이상의 부분에 대해 계산되어도 되지만, 그 경우에 메모리는 가능한 코드어의 시퀀스를 임시로 저장하는데 필요하다. 이러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선택회로(76)는, 현재의 정보어의 서브세트로부터 선택된 코드어 중 하나가 버스(62)에 공급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x비트의 선택신호를 전달한다. 이러한 선택신호는, 선택신호선(77) 상의 변환기(60)에 인가된다.
이때, 동기패턴은, 규칙적으로 변조신호에 첨가될 수 있다. 유일하고 신뢰성 있는 패턴의 정의는, DVD계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동기패턴 또는, US 5,696,505에 기재된 코딩계에서의 동기패턴일 수 있다.
끝으로, 버스(62)는, 상기 버스(62) 상에서 수신된 코드어(4)를, 상기 비트 스트링을 신호선 70 상에서 전달되는 변조신호(7)로 변환하는 변조회로(68)에 신호선 67 상에서 공급되는 직렬 비트 스트링으로 변환하는 병렬 직렬 변환기(66)의 병렬 입력에 연결된다. 상기 변조회로(68)는, 통상의 형태 중 하나, 예를 들면 모듈로 2 적분기이어도 된다.
실시예에서, 도 5로 나타낸 것처럼 디코딩장치(153)는, 코드어의 선택에서 인코딩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복조기를 구비한다. 상기 복조기는, 코딩장치(140)에서 선택회로(76)와 유사한 선택회로를 구비한다. 이 선택회로는, 상기 검색된 정보어에 의거하여 코드어의 시퀀스를 재구성한다. 이 복조기는, 코드어의 시퀀스를 수신된 시퀀스와 재구성된 시퀀스와 비교한다. 그 차이로부터 추가 정보는 디코딩된다. 이 추가 정보는, 워터마크 또는 저작권 정보이어도 된다.
도 7은 도 7a-도 7i에서 부분들로 세분된 본 발명에 따른 코딩 테이블을 나타낸다. "Data"로 마크된 제 1 열에서, 정보어 0-255가 열거되어 있다. 5개의 가능한 코드어까지 짝수열의 각 데이터 행에는 열거되어 있고, 그 행에서 정보어에 대한 코드어의 서브세트로 구성된다. 제 2, 제 6 및 제 10 열은, "S2"로 마크되어 있고, 코딩상태가 S2일 경우 사용가능한 코드어를 포함한다. 코드어는, 이 상태, 즉 비트 위치 x1 및 x13의 제로 값을 갖는 파라미터 값을 따른다. 제 4, 제 8 및 제 12 열은, "S3"로 마크되어 있고 코딩상태가 S3일 경우 사용가능한 코드어를 포함한다. 코드어는, 이 상태, 즉 비트 위치 x1 또는 x13의 논제로 값을 갖는 파라미터 값을 따른다. "NS"로 마크된 홀수 열에서, 다음 상태는, 그 값의 왼쪽에 주어진 대응 코드어에 대해 나타내어진다. 다음 상태 2는 S2로 마크된 열로부터 다음 코드어를 취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다음 상태 3은 S3로 마크된 열로부터 다음 코드어를 취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 상태 x는 제 1 형태 S1의 코딩상태를 나타내고, x는 상기 열들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다음의 코드어를 취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술한 것처럼, 코드어의 시퀀스도 소정의 기준, 즉 제로의 최소수 d=2와 제로의 최대수 k=10의 런길이 제약을 따라야 한다. 따라서, 코드어만은, 조합된 경우 상기와 같이 단지 허용된 런길이를 갖는 시퀀스로 이루어진 것이 선택된다. 또한, 코드어의 최종 선택은, 추가적인 기준, 즉 저주파 성분 또는 저주파 성분의 추가 변조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거한다.
도 8은 US 5,790,056에 전체적으로 기재된 것처럼, 종래의 EFM+ 코드에 대한 코딩 테이블의 일부를 나타낸다. 그 레이트는, 8/16이어서, m=8 및 n=16이고, dk 제약은 d=2, k=10이다. 주요 테이블 및 대체 테이블이 사용되고, 도 8a는 주요 코딩 테이블의 제 1 부분을 나타내고, 도 8b는 정보어 0-87에 대한 대체 테이블의 제 1 부분을 나타낸다. 코드어는, 아래에 설명된 것처럼 종래의 상태 머신 방법에 의거하여 선택된다. 대체 테이블의 코드어는, DC 제어를 위해 선택되어도 된다. 상기 정보어를 코드어로 변환하는 경우, 코드어로 이루어진 세트에 속하는 코드어는, 코딩상태 S1, S2, DS3 중 하나에 의존하거나 변환되는 정보어를 참조한다. 상기 코딩상태 S1, S2, S3 및 S4에 속하는 코드어로 이루어진 세트는, 이후 각각 V1, V2, V3 및 V4이라고 한다. 상기 세트 내의 코드어는, 코딩상태를 확립한 그룹으로부터의 코드어와, 이 코딩상태에 의해 확립된 세트로부터의 임의의 코드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각 비트 스트링이, dk 제약을 만족하도록 선택된다. 상기 코딩상태 S4가 이전에 전달된 코드어의 전달에 의해 확립되고, 이와 같은 코딩상태가, 상기 이전의 코드어가 6이상 및 9이하의 논리적인 "0"값을 갖는 비트 스트링으로 끝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코딩상태 S4에 의해 확립된 코드어 세트 V4는, 논리적인 "0"값을 갖는 1비트의 최대치에서 시작하는 코드어를 포함하도록 허용될뿐이다. 이때, 논리적인 "0"값을 갖는 다수의 비트에서 시작하는 코드어는 이전에 전달된 코드어와 전달되는 코드어 사이의 천이영역이 될 것이고, 그 영역에서 논리적인 "0"값을 갖는 연속적인 비트의 수는 항상 10이하는 아닐 것이어서 그 dk 제약을 만족하지 않는다. 비슷한 이유로, 세트 V1은, 2이상 9이하인 논리적인 "0"값을 갖는 다수의 비트에서 시작하는 코드어만을 포함한다.
코딩상태 S2 및 S3에 속하는 코드어의 세트 V2 및 V3는, 0이상 5이하인 논리적인 "0"값을 갖는 다수의 비트에서 시작하는 코드어만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코드어는, 2개의 세트 V2 및 V3상에 분포하므로, 세트 V2 및 V3는 어떠한 공통 코드어도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 세트 V2 및 V3는 이하에서 분리된 세트라고 한다. 세트 V2 및 V3 상에서 코드어의 분포는, p비트의 제한된 수의 논리적인 값에 의거하여 무슨 세트가 코드어에 속하는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예에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비트 조합 x1,x13을 사용한다. 세트 V2로부터의 코드어는, 비트 조합 x1·x13=0.0으로부터 인식가능하다. 그리고, 세트 V3으로부터의 코드어는, 0.0이 아닌 비트 조합 x1·x13으로부터 인식가능하다. 전달시 코딩상태 S1를 확립하는 코드어(그룹 G11)와, 전달시 코딩상태 S2 또는 S3을 확립하는 코드어(그룹 G2)와, 전달시 코딩상태 S4를 확립하는 코드어(그룹 G12)를 구별한다. 세트 V1은, 그룹 G11으로부터의 138개의 코드어, 그룹 G2로부터의 96개의 코드어 및 그룹 G12로부터의 22개의 코드어를 포함한다. 세트 V1에서의 서로 다른 코드어의 수는, 서로 다른 8비트 정보어의 수보다 작은 것이 명백할 것이다.
그룹 G2로부터의 코드어가 세트 V2로부터의 코드어 또는 세트 V3로부터의 코드어 뒤에 항상 오고, 또한 그룹 G2로부터의 코드어에 뒤따라오는 코드어에 의거하여 무슨 세트가 이러한 코드에 속하는지를 확립하기도 하므로, 세트 V2로부터의 코드어 뒤에 오는 그룹 G2로부터의 코드어는, 그룹 G2로부터의 동일한 코드어와 명백하게 구분될 수 있지만, 세트 V3로부터의 코드어 뒤에 온다. 달리 말하면, 정보어에 코드어를 할당하는 경우, 그룹 G2로부터의 각 코드어를 2번 사용할 수 있다. 세트 V2로부터의 랜덤 코드어와 함께 그룹 G2로부터의 각 코드어는, 동일한 세트 V3로부터의 동일한 코드어와 랜덤 코드어로 구성된 비트 조합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유일한 비트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그룹 G11으로부터 138개의 유일한 비트 조합(코드어)은, 세트 V1에 대해, 그룹 G12로부터의 22개의 유일한 비트 조합(코드어)과 그룹 G2로부터의 2*96개의 유일한 비트 조합(후속의 코드어와 조합된 그룹 G2로부터의 코드어)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가능한 유일한 비트 조합의 전체 수는 352가 된다. 세트 V2, V3 및 V4로부터의 코드어로 구성된 유일한 비트 조합의 수는, 각각 352, 351 및 415이다.
본 발명은 EFM+ 코드로부터의 코드어를 사용한 실시예들로 설명하였지만, 코드어 및 런길이 제약의 임의의 다른 적절한 세트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기록매체에 대해 광 디스크를 설명하였지만, 자기 디스크 또는 테이프와 같은 다른 매체를 사용하여도 된다. 이때, 본 문서에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들 이외의 다른 소자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고 소자 앞의 단어 'a' 또는 "an"은 상기와 같은 복수의 소자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고, 임의의 참조부호는 청구범위를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두에 의해 행해져도 되고, 일부의 "수단"은 하드웨어의 동일한 항목으로 나타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각 신규특징 및 모든 신규특징 또는 상술한 특징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Claims (18)

  1. m(m은 정수) 비트 정보어(1)의 시리즈를 변조신호(7)로 변환하는 방법으로서, n(n은 m을 초과하는 정수) 비트 코드어(4)를 수신된 정보어(1)마다 전달하고, 상기 전달된 코드어(4)를 변조신호(7)로 변조하고, 상기 대응한 변조신호(7)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도록 상기 정보어의 시리즈를 코드어의 시리즈로 변환하고,
    제 1 형태의 그룹(G11,G12)에 속하는 코드어의 전달이 제 1 그룹에 의해 결정된 제 1 형태의 코딩상태(S1)를 확립하고, 제 2 형태의 그룹(G2)에 속하는 코드어의 전달이 제 2 그룹과 상기 전달된 코드어(4)에 연관된 상기 정보어(1)에 의해 결정된 제 2 형태의 r개의 코딩상태(S2,S3) 중 하나를 확립하면서, 상기 코드어(4)가 적어도 제 1 형태의 그룹(G11,G12) 및 적어도 제 2 형태의 그룹(G2)에 분포되고,
    상기 제 2 형태의 그룹이 다음 코드어의 소정의 파라미터를 평가하여 각각의 정보어를 구별할 수 있는 최대 r개의 정보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한 개의 코드어를 포함하는 변환방법에 있어서,
    각 정보어가 소정의 파라미터의 값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적어도 r개의 코드어를 포함한 코드어들의 연관된 서브 세트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된 코드어는 상기 소정의 기준을 따르지 않는 모든 코드어를 배제한 코드어의 서브 세트로부터의 추가적인 기준에 의거하여 선택되고, 선행 코드어에 의해 상기 제 2 형태의 코딩상태가 확립된 경우에, 상기 제 2 형태의 확립된 코딩 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의 값을 갖는 모든 코드어를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기준은, 상기 변조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러닝 디지털 합값은, 상기 저주파 성분에 대한 측정값으로서 확립되고, 이 값은, 변조신호(7)의 부분에 대하여 결정되고 이 부분에 대해 상기 코드어의 선택이 상기 디지털 합값을 제약하면서, 제 1 신호 값을 갖는 비트셀들의 수와 제 2 신호값을 갖는 비트셀들의 수간의 차이의 현재 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의 값은, p개의 소정의 비트의 논리적인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p개의 소정의 비트는, 제 1 및 제 13 비트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기준은, 추가 인코딩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신호는, 소정의 기준으로서 동일한 신호 값을 갖는 연속적인 비트셀들의 각 수가 최소 d+1 및 최대 k+1인 것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d는 2이고, k는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9.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은 8이고, n은 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기록매체(120)는, 기판에 상기 변조신호(7)를 나타내는 정보패턴(123,124)을 제공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11. m비트 정보어를 n비트 코드어로 변환하는 m 대 n 비트 변환기(60)와, 상기 n비트 코드어를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변조신호로 변조하는 수단(66,68)과, 상기 변환기에 의한 코드어의 전달시에, 제 1 그룹에 의해 결정된 제 1 형태의 그룹(G11,G12)에 속하는 전달된 코드어의 각각에 대해 제 1 형태의 코딩상태(S1)와, 제 2 그룹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전달된 코드어에 연관된 정보어에 의해 결정된 제 2 형태의 그룹(G2)에 속하는 상기 전달된 코드어의 각각에 대해 제 2 형태의 r개의 코딩상태(S2,S3) 중 하나를 확립하는 상태 확립수단(64)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형태의 그룹이 다음 코드어의 소정의 파라미터를 평가하여 각각의 정보어를 구별가능한 최대 r개의 정보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한 개의 코드어를 포함한 코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m 대 n 비트 변환기(60)는,
    소정의 방식으로 서로 다른 코드어의 적어도 r개의 제 2 형태를 포함한 코드어의 연관된 서브세트를 정보어마다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소정의 기준을 따르지 않는 모든 코드어를 배제하는 코드어의 서브세트로부터 추가적인 기준에 의거하여 코드어를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선행 코드어에 의해 상기 제 2 형태의 코딩상태가 확립된 경우에, 상기 제 2 형태의 상기 확립된 코딩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소정의 파라미터의 값을 갖는 모든 코드어를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변조신호를 나타내는 정보패턴을 기록하여 기록매체(143)에 정보를 기록하는 수단(141,14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정보어에 각각 대응하는 연속적인 신호부분(8)으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포함하고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신호가, 정보패턴(123,124)이 신호부분(8)을 나타내는 트랙(121)에 제공된 기록매체로서, 상기 신호부분(8)의 각각은 제 1 또는 제 2 신호 값을 갖는 n비트 셀들과, 정보어를 유일하게 나타내는 신호부분의 제 1 형태의 그룹(G11,G12)에 속하는 신호부분과, 유일한 정보어를 나타내는 연속적인 신호부분과 결합하여 신호부분의 제 2 형태의 그룹(G2)에 속하는 신호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형태의 그룹 중 적어도 한 개의 신호부분은 연속적인 신호부분의 소정의 파라미터를 평가하여 각각의 정보어를 구별가능한 최대 r개의 정보어와 연관되는 신호로서, 상기 신호는 상기 소정의 기준을 따르지 않는 모든 신호부분를 배제하는 신호부분의 서브 세트로부터 추가적인 기준에 의거하여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신호부분을 구비하고, 선행 신호부분이 상기 제 2 형태의 그룹에 속하는 경우에, 각각의 정보어와 연관되지 않는 소정의 파라미터의 값을 갖는 모든 신호부분을 배제하고, 상기 서브 세트는 정보어에 연관되고 소정의 파라미터의 값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적어도 r개의 신호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패턴이 상기 트랙 방향으로 교대해가는 제 1 및 제 2 부분(123,124)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이 검출가능한 제 1 특성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부분이 상기 제 1 특성과 구별가능한 제 2 특성을 나타내며, 상기 제 1 특성을 갖는 부분들이 상기 제 1 신호값을 갖는 비트셀들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특성을 갖는 부분들이 상기 제 2 신호값을 갖는 비트셀들을 나타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7. 기록매체의 트랙(9)으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렌더링 장치로서, 상기 트랙을 주사하는 수단과 상기 트랙에 형성되어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신호의 신호부분(8)으로부터 코드어를 검색하는 복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호부분(8)의 각각은 제 1 또는 제 2 신호 값을 갖는 n비트 셀, 정보어를 유일하게 나타내는 신호부분의 제 1 형태의 그룹(G11,G12)에 속하는 신호부분, 및 유일한 정보어를 나타내는 연속적인 신호부분과 협력하여 신호부분의 제 2 형태의 그룹(G2)에 속하는 신호부분을 포함하며, 코드어를 정보어로 변환하되 다음 코드어의 소정의 파라미터를 평가하여 각각의 정보어를 구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변환기를 더 구비한 렌더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는, 코드어의 서브 세트로부터 선택된 코드어를 변환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서브 세트는 정보어와 연관되고 소정의 파라미터 값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적어도 r개의 코드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더링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는, 상기 서브 세트로부터 상기 코드어의 선택에 의해 추가적인 기준을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더링 장치.
KR1020047011301A 2002-01-23 2002-12-18 정보어의 신호로의 변환 시스템 KR100945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75275 2002-01-23
EP02075275.4 2002-01-23
PCT/IB2002/005604 WO2003063358A2 (en) 2002-01-23 2002-12-18 System of converting information words to a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947A KR20040075947A (ko) 2004-08-30
KR100945183B1 true KR100945183B1 (ko) 2010-03-03

Family

ID=2758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301A KR100945183B1 (ko) 2002-01-23 2002-12-18 정보어의 신호로의 변환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72376B2 (ko)
EP (1) EP1472792A2 (ko)
JP (1) JP4156523B2 (ko)
KR (1) KR100945183B1 (ko)
CN (1) CN100477529C (ko)
TW (1) TWI303806B (ko)
WO (1) WO200306335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64200B (zh) * 2006-11-21 2010-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线性码扩展编码及解码方法以及数据传输方法及装置
KR102417980B1 (ko) * 2017-11-07 2022-07-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범용 비동기 송수신 부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및 메모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2392A (ja) * 1994-02-15 1997-12-09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ネ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mビット情報語の系列を変調信号に変換する方法、記録担体を製造する方法、符号化装置、復号装置、記録装置、読取装置、信号及び記録担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789910E (pt) * 1995-09-01 2001-11-3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odo para converter uma serie de palavras de informacao de m-bit num sinal modulado, metodo de producao de um transportador de registos, um dispositivo de codificacao, um dispositivo de gravacao, um sinal, assim como um transportador de registos
CN1183682C (zh) * 1997-10-29 2005-01-05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把n比特源字编码成为相应的m比特信道字的装置和把m比特信道字译码成为相应的n比特源字的装置
JP3985173B2 (ja) * 1998-05-29 2007-10-03 ソニー株式会社 変調装置および方法、復調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ータ格納媒体
EE200200569A (et) * 2001-02-02 2004-04-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etod m-bitise infosõnade seeria viimiseks moduleeritud signaali koosseisu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2392A (ja) * 1994-02-15 1997-12-09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ネ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mビット情報語の系列を変調信号に変換する方法、記録担体を製造する方法、符号化装置、復号装置、記録装置、読取装置、信号及び記録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56523B2 (ja) 2008-09-24
CN100477529C (zh) 2009-04-08
WO2003063358A2 (en) 2003-07-31
TWI303806B (en) 2008-12-01
US20060235916A1 (en) 2006-10-19
JP2005516333A (ja) 2005-06-02
CN1615589A (zh) 2005-05-11
TW200304122A (en) 2003-09-16
US7372376B2 (en) 2008-05-13
KR20040075947A (ko) 2004-08-30
EP1472792A2 (en) 2004-11-03
WO2003063358A3 (en) 200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4080B2 (ja) mビットの情報語の系列を変調信号に変換する方法、コード装置及び記録装置
KR100778885B1 (ko) 이진 정보신호의 데이터 비트의 스트림을 제약을 받는 이진 채널신호의 데이터 비트의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방법, 인코딩 장치, 기록매체와, 디코딩장치
US6606038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verting a series of data words into modulated signals
JP3722331B2 (ja) 変調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72951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inform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coded inform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recording medium, the recording medium and modulated signal
US6486804B2 (en) Method of converting a stream of databits of a binary information signal into a stream of databits of a constrained binary channel signal, device for encoding, signal comprising a stream of databits of a constrained binary channel signal, record carrier, method for decoding, device for decoding
US6559779B2 (en) Data encoding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6778105B2 (en) Method of modulating series of data words into constrained sequence
US6768432B2 (en) Method of converting a series of m-bit information words into a modulated signal
JP3916055B2 (ja) 変調方法、変調装置、記録媒体、復調方法および復調装置
KR100945183B1 (ko) 정보어의 신호로의 변환 시스템
US66395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inform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coded inform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recording medium, the recording medium and modulated signal
KR100470026B1 (ko) 정보를 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JP4095440B2 (ja) 情報の符号化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その符号化された情報を復号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変調信号及び記録媒体の製造方法
KR100575638B1 (ko) 정보 코딩을 위한 장치 및 방법과, 그 코딩된 정보를디코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변조 신호 및 기록 매체제조방법
KR100752880B1 (ko) 정보를 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AU2001231700A1 (en) Method of converting a series of M-bit information words into a modulated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