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0357A - 정보를 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를 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0357A
KR20030010357A KR1020010045264A KR20010045264A KR20030010357A KR 20030010357 A KR20030010357 A KR 20030010357A KR 1020010045264 A KR1020010045264 A KR 1020010045264A KR 20010045264 A KR20010045264 A KR 20010045264A KR 20030010357 A KR20030010357 A KR 20030010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codeword
coding
codewords
information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2880B1 (ko
Inventor
안성근
서상운
김진용
키이스에이슈하머 임민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5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880B1/ko
Publication of KR20030010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8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88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ree lev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7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0787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parameters, e.g. for decoding or en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이나 전송을 위해 변환을 해야하는 데이터가 향상된 정보밀도를 가지면서 변환데이터에 직류성분이 억제되게 하는 정보 코딩을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정보워드들이 변환될 n-비트 코드워드들은, 세가지 유형(type)과, 세가지 종류(kind)에 속하는 코딩 상태(state)로 나뉘어지는 데, 서로 다른 코딩 상태에 속하는 코드워드 세트는 공통된 코드워드를 갖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나뉘어진 조건하에서, 하나의 m-비트 정보워드는, 이전 m-비트 정보워드가 제 1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었다면, 제 1, 제 2 또는 제 3종류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고, 이전 m-비트 정보워드가 제 2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었다면, 제 1 또는 제 3종류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고, 이전 m-비트 정보워드가 제 3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었다면, 제 1종류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된다. 그리고, 직류성분의 억제를 위해서는, 각 코딩 상태에 속하는 코드워드를, 코드워드의 수가 허용하는 한 패러티 보존(Parity Preserve)되는 코드워드를 사용하며, 패러티 보존 코드를 쓸 수없는 코드워드에 의해 직류성분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최소한의 비트수를 소정갯수의 정보워드들에 추가하여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한다.

Description

정보를 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decod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정보 코딩(coding)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향상된 정보밀도를 갖고 직류성분을 억제하는 정보 코딩을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코딩된 정보로부터 변조된 신호를 만들어내는 것과, 기록매체가 상기와 같이 코딩된 정보를 갖게 하는 것과, 그 기록매체 자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변조된 신호 및/또는 기록매체로부터의 코딩된 정보를 디코딩(decoding)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가 전송로를 통해 전송될 때 또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에 기록될 때, 데이터는 전송 또는 기록전에 전송로 또는 기록매체에 정합되는 코드로 변조된다.
일반적으로 (d,k) 코드로 표시되는 런 랭스(Run Length) 제한 코드는, 오늘날의 자기(Magnetic) 및 광학 기록시스템에 광범위하고 성공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코드들과, 상기 코드들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들은, 대량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위한 코드들(Codes for Mass Data Storage Systems)" (ISBN 90-74249-23-X, 1999)이라는 제목의 책에서 K.A. Schouhamer Immink에 의해 상세히 설명되고 있다.
상기 런랭스 제한 코드는, 초기의 NRZ(non return to zero) 코드의 연장으로서, 이진으로 기록된 0(Zeros)들은 기록 매체에서 어떠한 (자속) 변화도 없음을 나타내는 것인 반면, 이진의 1(Ones)들은 기록매체에서 자속이 어느 한 방향에서 반대 방향으로 천이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d,k) 코드에서는, 상기의 기록 규정외에, 연속된 데이터 '1' 사이에 적어도 '0'이 d 개 만큼 부가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연속된 데이터 '1' 사이에 '0'이 k 개는 초과하지 않아야 하는 추가적인 조건을 갖는다. 첫 번째 조건은, 일련의 '1'이 연속적으로 기록되는 경우, 재생되는 펄스 군에 의해 발생되는 심볼간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고, 두 번째 조건은, PLL(Phase Lock Loop)을 재생신호의 천이에 로킹시킴으로써 재생데이터로부터 클럭을 회복시키기 위한 것이다.
만일, '1'이 간삽되지 않은 연속되는 '0'의 스트링이 너무 길면, 상기 클럭 재현 PLL의 동기가 틀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2,7) 코드는, 기록된 '1'들 사이에 적어도 2 개의 '0'이 존재하고, 기록된 '1'들 사이에 연속적인 '0'이 7 개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일련의 엔코딩된 비트열은, 모듈로 2 적분 동작(modulo-2 intergration)을 통해, 하이 또는 로우 신호 값을 갖는 비트 셀(Bit Cell)로 구성된 변조신호로 변환되는 데, 상기 변환된 변조신호에서, 비트 '1'은 하이(High)에서 로우(Low), 또는 그 반대의 변화를 나타내며, 비트 '0'은, 변조신호의 변화가 없음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코드의 정보전달 효율은 정보워드(information word)의 비트수(m)의 코드워드(code word)의 비트수(n)에 대한 비율, 즉 m/n으로 나타난다.d와 k의 값이 주어졌을 때, 얻을 수 있는 이론적인 최대 코드율을 샤논 용량(Shannon capacity)이라고 한다. 도 1은 d=2일 때, k값에 따른 샤논 용량 C(d,k)를 도표화한 것이다. (2,7)코드 세트에 대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샤논 용량 C(2,7)은 0.5174의 값을 갖는다. 이 값의 의미는 (2,7)코드세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0.5174보다 큰 코드율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적으로 코드의 구현에서는 코드율이 유리수인 분수로 나타나게 된다. 지금까지 공지된 (2,7) 코드는 1/2의 코드율을 갖는다. 1/2의 코드율은 0.5174인 샤논 용량보다 극히 작을 뿐이며, 따라서 (2,7)코드는 상당히 효율적인 코드이다. 1/2의 코드율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1비트의 비부합 데이터가 2비트의 조건부합 비트로 변환된다.
코드율 1/2인 (2,7)코드와 이와 관련된 엔코더와 디코더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이, 가변길이와 고정 레이트(rate)의 데이터 코드들에 대한 순차적인 엔코딩과 디코딩이라는 제목의 미국특허 제 4,115,768호에 알려져 있다. 이 특허는 'Eggenberger'와 'Hodges'를 발명자로 하여 특허되었으며, 출력 시퀀스가 부과된 런렝스(runlength) 제한조건을 만족시키는 엔코더를 게시하고 있다.
하지만, 훨씬 더 효율적인 코드, 즉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또는 전송로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의 밀도가 향상될 수 있는 코드에 대한 요구는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데이터가 전송 선로를 통해 전송되거나,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경우, 그 데이터는 전송 또는 기록전에, 전송 선로 또는 기록매체에 적합한 코드 시퀀스로 변조된다. 그런데, 만일 상기 변조된 코드 시퀀스에 직류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 디스크 드라이버의 서보 제어에서 발생되는 트랙킹 에러와 같은 다양한 에러신호들이 편이되거나 또는 지터(Jitter)가 쉽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직류성분이 없는 신호를 사용하여야 하는 데, 그 첫 번째 이유는, 기록 채널들이 저주파 성분에는 통상적으로 응답하지 않기 때문이다, 신호에서 저주파 성분을 억제하는 것은, 신호가 트랙에 기록되는 광학적 기록 매체로부터 신호를 읽어낼 때 매우 유리하게 작용하는 데, 이는 연속되는 트래킹 제어가 기록 신호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저주파 성분을 충분히 억제시키면, 가청 노이즈가 감소되는 개선된 트랙킹을 수행케 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변조된 시퀀스가 가능한한 직류 성분을 포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변조된 시퀀스에 직류성분이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DSV(Digital Sum Value) 제어 방법이 이미 제안된 바 있다. DSV는, 비트열에 이 비트열은 채널 비트열의 NRZI 변조의 결과이다 그 값이 1이면 +1을, 0이면 -1을 할당한 상태에서, 가산함으로써 얻어진 총 값으로서, 하나의 시퀀스 열에 포함된 직류 성분을 나타내는 지시자(Indicator)가 된다.
DSV를 계산하고 있는 값이 사실상 상수가 되면 이는,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에 저주파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 된다. DSV 제어는 일반적으로 표준 (d,k) 코드에 의해 발생된 시퀀스에는 적용되어 있지 않다. 표준 (d,k) 코드를 위한 DSV 제어는, 설정된 시간동안 변조된 이후의 엔코드 비트 열의DSV를 계산하고, 사전에 설정된 수의 DSV 제어 비트를, 상기 엔코드 비트열에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코드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DSV 제어 비트의 수가 가능한한 가장 작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기록에 있어서도, 독출 및 기록 속도의 증가에 대한 꾸준한 요청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록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트랙킹 메카니즘의 높은 서보 밴드 폭이 요구되며, 이는 곧 기록 신호에서 저주파성분이 제한되어야 하는 좀 더 엄격한 제한사항의 만족을 요구하게 된다.
이외에도, 저주파성분을 억제하는 것에 대한 개선은, 트랙킹 메커니즘으로부터의 가청 노이즈 발생을 줄여주는 장점을 또한 가진다.
따라서, 변조 신호가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정보의 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되는 새로운 코드의 경우에도 반드시 풀어야할 과제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m-비트의 정보 워드가 1/2보다 높은 비율로 n-비트의 코드워드로 변환되도록하여 결과적으로, 같은 양의 정보가 보다 더 작은 공간에 기록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정보 밀도가 향상되게 하는 정보의 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보의 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보워드의 n-비트의 코드워드로의 변환방법에 있어서, 변환되는 코드워드들의 직류성분이 억제되도록 하는 정보의 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d=2일 때, k값에 따른 샤논 용량 C(d,k)를 도표화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다양한 서브그룹(subgroup)의 코드워드가 어떻게 다양한 상태로 할당되는 지를 보여주는 예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딩장치의 실시예이고,
도 4a 및 4b는, 6비트 정보워드를 11비트 코드워드로 변환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완전한 변환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도 4a및 4b의 변환표를 사용하여 일련의 정보워드를 일련의 코드워드로 변환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고,
도 6a및 6b는, 도 4a및 4b의 변환표에 있는 코드워드를 선정하는 조건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패러티 보존이 되도록 코드워드를 각 정보워드에 새로이 할당한 완전한 변환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4개의 6비트 정보워드마다1비트의 직류성분 제어비트를 추가하여 11비트의 코드워드로 변환하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도 6a및 6b의 코드변환표를 사용하고, 직류성분 제어비트를 삽입하는코딩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와 변조신호를 예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송장치를 예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장치를 예시한 것이고,
도 13은 도 8의 코딩장치에 의해 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장치를 예시한 것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를 예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DSV 제어기42, 54, 109: 버퍼 메모리
50: 변환기56: 병렬-직렬 변환기
58: 변조회로100: 디코더
102, 104: 검색기(Look-up Table)108: 비트 제거기
122: 광픽업(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 )123: 기록 제어회로
124, 224: 코딩장치125: 검출회로
150: 송신기 160: 수신기
200: 디코딩 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n-비트 코드워드들이 세가지 유형(type)으로 나뉘어지고, 또한 세가지 종류(kind)에 속하는 각 코딩 상태(state)로 나뉘어진다. 이와 같이 나뉘어진 조건하에서, 하나의 m-비트 정보워드는, 이전 m-비트 정보워드가 제 1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었다면, 제 1, 제 2또는 제 3종류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고, 이전 m-비트 정보워드가 제 2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었다면, 제 1또는 제 3종류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고, 이전 m-비트 정보워드가 제 3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었다면, 제 1종류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된다.
또한, 서로 다른 코딩 상태에 속하는 코드워드 세트는 공통된 코드워드를 갖지 않는다.
그리고, 변환되는 n-비트 코드워드의 직류성분의 억제를 위해서는, 각 코딩 상태에 속하는 코드워드를, 코드워드의 수가 허용하는 한 패러티 보존(Parity Preserve)되는 코드워드를 사용하며, 코드워드의 수의 제한으로 인해 패러티 보존 코드를 쓸수 없는 코드워드에 의해 직류성분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최소한의 비트수를 소정갯수의 정보워드들에 추가하여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가지 실시예에서, 제 1유형(type)의 n-비트 코드워드는 00으로 끝나고, 제 2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는 10으로 끝나며, 제 3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는 01로 끝난다. 그리고 제 1종류(kind)의 n-비트 코드워드는 00으로 시작하고, 제 2종류의 n-비트 코드워드는 00, 01, 또는 10으로 시작하며, 제 3종류의 n-비트 코드워드는 00 또는 01로 시작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n-비트 코드워드들은, 연속된 '1'사이에 최소 2개에서 최대 k개의 '0'이 삽입되는 (2,k)인 dk 조건을 만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코딩 방법 및 장치가 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고,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를 만들기 위해 채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코딩 방법 및 장치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채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 방법 및 장치에서는, 상기 코딩 방법과 장치에 의해 생성된 n-비트 코드워드가 m-비트 정보워드로 디코딩된다. 상기 디코딩은, 다음 n-비트 코드워드의 코딩상태를 결정하는 과정을 가지며, 그 상태 결정에 근거하여 현재의 n-비트 코드워드가 m-비트 정보워드로 변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 방법과 장치가 기록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 채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 방법과 장치가 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채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코딩 방법에 대해, 이 코딩방법의 특정한 일 실시예부터 설명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디코딩 방법이 그 실시예와관련해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장치들도 그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코딩장치, 기록장치, 전송장치, 디코딩 장치, 재생장치, 그리고 수신장치들이 설명될 것이다.
코딩방법
본 발명에 따라, m-비트 정보워드는, 코드율 m/n이 1/2보다 크도록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된다. 상기 코드워드는, 00으로 끝나는 코드워드를 포함하는 제 1유형, 10으로 끝나는 코드워드를 포함하는 제 2유형, 그리고 01로 끝나는 코드워드를 포함하는 제 3유형의 세가지 유형(type)으로 나뉘어진다. 따라서, 제 1유형의 코드워드는 세개의 서브그룹 E0000, E1000, 그리고 E0100으로 구분되고, 제 2유형의 코드워드는 세개의 서브그룹 E0010, E1010, 그리고 E0110으로 구분되며, 제 3유형의 코드워드는, 세개의 서브그룹 E0001, E1001, 그리고 E0101로 구분된다.
코드워드 서브그룹 E0000은 00으로 시작하고 00으로 끝나는 코드워드를 가지고, 코드워드 서브그룹 E0100은 01로 시작하고 00으로 끝나는 코드워드를 가지며, 코드워드 서브그룹 E0010은 00으로 시작하고 10으로 끝나는 코드워드를 가지고, 코드워드 서브그룹 E1010은 10으로 시작하고 10으로 끝나는 코드워드를 가지며, 코드워드 서브그룹 E0110은 01로 시작하고 10으로 끝나는 코드워드를 가지고, 코드워드 서브그룹 E0001은 00으로 시작하고 01로 끝나는 코드워드를 가지며, 코드워드 서브그룹 E1001은 10으로 시작하고 01로 끝나는 코드워드를 가지고, 코드워드 서브그룹 E0101은 01로 시작하고 01로 끝나는 코드워드를 가진다.
상기 코드워드들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1종류(kind)의 상태(state)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종류의 상태와, 적어도 하나의 제 3종류의 상태로 나뉘어진다. 제 1종류에 속하는 상태는 단지 00으로 시작하는 코드워드들을 가지고, 제 2종류의 상태는 00, 01, 그리고 10 중 하나로 시작하는 코드워드들을 가지며, 제 3종류의 상태는 00 또는 01로 시작하는 코드워드들을 가진다.
또한, 다른 코딩 상태에 속하는 코드워드 세트간에는 어떤 공통된 코드워드도 갖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다른 상태는 동일한 코드워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방법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6비트 정보워드는 11비트의 코드워드로 변환된다. 코드워드는 (2,k)의 조건을 만족하며, 제 1종류(kind)의 4개(r1)의 상태와, 제 2종류의 3개(r2)의 상태와, 제 3종류의 2개(r3)의 상태로 나뉘어진다. 그래서 전체는 9개(r=r1+r2+r3)의 상태를 갖게 된다. k-제한조건을 완화하기 위해서, 0000000000000와 같은 코드워드는 변환표에서 금지된다.
엔코딩을 수행하기 위해, 각 상태에 있는 각 11비트 코드워드는 코딩 상태 방향과 관련지어진다. 상태방향은, 00으로 끝나는 코드워드 (즉, 서브그룹 E0000, E1000, 그리고 E0100의 코드워드)가 r(=9)개의 상태 중 임의의 하나를 가리키는 상태방향과 관련되도록 하고, 반면에 10으로 끝나는 코드워드 (즉, 서브그룹 E0010, E1010, 그리고 E0110의 코드워드)가 제 1종류 또는 제 3종류의 상태중 하나를 가리키는 상태방향과 관련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코드워드에 할당된다. 그리고, 01로 끝나는 코드워드(즉, 서브그룹 E0001, E1001, 그리고 E0101의 코드워드)는 제 1종류의 상태 중 하나를 가리키는 상태방향과 관련지어진다. 이것은 d=2의 제한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이다.
또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코드워드가 동일 상태내에서는 다른 정보워드에 할당될 수 있지만, 다른 상태간에는 동일한 코드워드를 포함할 수 없다. 특히, 서브그룹 E0000, E1000, 그리고 E0100내의 코드워드들은 하나의 상태내에서 다른 정보워드에 9번 할당될 수 있고, 서브그룹 E0010, E1010, 그리고 E0110내의 코드워드들은 하나의 상태내에서 다른 정보워드에 6번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서브그룹 E0001, E1001, 그리고 E0101의 코드워드들은 하나의 상태내에서 다른 정보워드에 4번 할당될 수 있다.
제 1유형(type)의 코드워드에 대해서, 서브그룹 E0000에 18개, 서브그룹 E1000에 13개, 서브그룹 E0100에 9개의 코드워드가 있으므로, 360 (=9*(18+13+9))개의 '코드워드-상태방향'의 조합이 생기고, 제 2유형의 코드워드에 대해서는, 서브그룹 E0010에 9개, 서브그룹 E1010에 6개, 서브그룹 E0110에 4개의 코드워드가 있으므로, 114 (=6*(9+6+4))개의 '코드워드-상태방향'의 조합이 생기며, 제 3유형의 코드워드에 대해서는, 서브그룹 E0001에 11개, 서브그룹 E1001에 9개, 서브그룹 E0101에 6개의 코드워드가 있으므로, 104 (=4*(11+9+6))개의 '코드워드-상태방향'의 조합이 생긴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578(=360+114+104)개의 '코드워드-상태방향'의 조합이 존재하게 된다.
m-비트 정보워드에 대해서, 2m개의 정보워드가 존재한다. 따라서, 6비트의 정보워드에 대해서, 64(=26)개의 정보워드가 존재한다. 상기 엔코딩 실시예에서 9개의 상태가 있으므로, 576(=64x9)개의 '코드워드-상태방향'의 조합이 필요한 데, 상기와 같은 얻은 '코드워드-상태방향'의 조합은 총 578개이므로 2(=578-576)개의 여유가 있게 된다.
다양한 서브그룹내의 이용가능한 코드워드들은, 전술한 제한조건들에 부합되게 제 1, 제 2 그리고 제 3 종류(kind)내의 각 상태로 분배된다. 도 2는 이 실시예에서, 다양한 서브그룹(subgroup)의 코드워드가 어떻게 다양한 상태로 할당되는 지를 보여주는 예이다.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상태 1, 2, 3, 그리고 4가 제 1종류(kind)에 속하는 상태이고, 상태 5, 6, 그리고 7이 제 2종류에 속하는 상태이며, 상태 8과 9가 제 3종류에 속하는 상태이다. 18개를 갖는 서브그룹 E0000을 예로 들면, 상태 1에 6개의 코드, 상태 2, 3, 그리고 4에 각 4개의 코드워드를 가진다. 그리고, 상태 1을 예로 들면, 상태 1에서, '코드워드-상태방향'의 조합수는 64(=9x6+6x1+4x1)개가 되는 데, 이는 곧 6비트의 정보워드가 할당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1유형(type)의 각 코드워드는 상태방향으로서 9개의 다른 상태 중 어떤 상태로도 할당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상태내에서 9번 사용될 수 있고, 제 2유형의 각 코드워드는, d=2인 제한조건으로 인해, 상태방향으로서 제 1종류와 제 3종류의 6개 상태 중 하나로 할당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상태내에서 6번 사용될 수 있다.또한, 제 3유형의 각 코드워드는 d=2인 제한조건으로 인해, 상태방향으로서 제 1종류의 4개 상태 중 하나로 할당될 수 있으므로, 단일 상태내에서 4번 사용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r(=9)개의 코딩 상태 중, 어떤 것도, 6비트의 정보워드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64개의 정보워드에 할당할 수 있는 코드워드를 가지는 것을 입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방식대로, 6비트 정보워드의 어떠한 랜덤 시리즈(series)도 그에 대응되는 유일한 일련의 코드 워드들로 변환될 수 있다.
도 4a 및 4b는, 6비트 정보워드를 11비트 코드워드로 변환하기 위한 이 실시예에 따른 완전한 변환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4a 및 4b의 변환표에는 각 코드워드에 할당된 상태 방향이 표기되어 있다. 특히, 도 4a 및 4b에서, 제 1 열은 정보워드의 10진표기를, 제 2, 4, 6, 8, 10, 12, 14, 16, 그리고 18열은, 상태 1, 2, 3, 4, 5, 6, 7, 8, 그리고 9 에서 정보워드에 할당된 코드워드(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채널비트'라고도 한다 )를 나타낸다. 제 3, 5, 7, 9, 11, 13, 15, 17 그리고 19열은, 1, 2, 3, 4, 5, 6, 7, 8 그리고 9의 각 숫자로써, 제 2, 4, 6, 8, 10, 12, 14, 16, 그리고 18열의 코드워드에 연관된 상태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일련의 정보워드의 일련의 코드워드로의 변환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설명한다. 도 5의 제 1열은 위에서 아래로, 일련의 연속적인 정보워드를 나타낸 것이고, 제 2열은 이러한 정보워드들의 십진수 값을 괄호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제 3열은 정보워드의 변환을 위해 사용될 코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상태는 이전 코딩워드가 결정되었을 때 전달되는 것이며, 곧 이전 코드워드의 상태방향이다. 제 4열은 도 4a및 4b의 변환표에 따라 정보워드에 할당되는 코드워드를 나타낸 것이고, 제 5열은 제 4열의 코드워드와 관련된 상태방향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 역시 도 4a및 4b의 변환표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도 5의 제 1열에 보여진 일련의 정보워드들로부터의 첫번째 워드는 십진수 표기로 1의 워드값을 갖는다. 일련의 정보워드에 대한 변환이 시작되었을 때의 코딩상태는 상태1(S1)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첫번째 워드는, 변환표의 상태1의 코드워드 세트에 따라 코드워드 00000000100로 변환된다. 동시에, 다음 상태는 상태2(S2)가 된다. 왜냐하면, 상태 1의 십진수 1에 대한 코드워드 00000000100에 할당되어 있는 상태방향이 상태2이기 때문이다. 이는 다음 정보워드 (십진수 3)가 상태2의 코드워드를 사용하여 변환될 것임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십진수 3인 다음 정보워드는 코드워드 00001000100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십진수 5, 12, 19의 정보워드들도 차례대로 변환된다.
상기와 같은 코딩에 있어서, 직류성분을 억제하여 코딩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직류성분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도 4a 및 4b와 같이 선정된 코드워드들을, 대응되는 정보워드와 패러티가 보존(preserve)되도록 배치하게 된다. 패러티 보존 코드는 국제출원 번호 PCT/IB99/00948호의 발명에서 도입된 것으로서, 정보워드와 코드워드간의 패러티가 상호 동일하거나 또는 반대가 되도록 정보워드에 코드워드를 할당한 것이다.
도 6a및 6b는, 도 4a및 4b의 변환표에 있는 코드워드를 선정하는 조건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패러티 보존이 되도록 코드워드를 각 정보워드에 새로이 할당한변환표이다. 상기 변환표에서 각 코드워드는 정보워드와 반대되는 패러티를 갖고 있다. 즉, 정보워드의 1의 개수가 홀수개면, 코드워드의 1의 개수는 짝수개고, 정보워드의 1의 개수가 짝수개면, 코드워드의 1의 개수는 홀수개가 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각 상태에 할당한 코드워드의 패러티가 정확히 반반으로 나뉘어지지 않는다. 예를들어, 상태1에 할당한 코드워드의 종류가, 00001000100, 00000000100, 00000010010, 00000010000, 00000001001, 00000001000, 00000010001, 00000000010, 00000100001, 그리고 00001000001 로서 10개인데, 이 중, 짝수 패러티를 갖는 코드는 00001000100, 00000010010, 00000001001, 00000010001, 00000100001, 00001000001이고, 홀수 패러티를 갖는 코드는 00000000100, 00000010000, 00000001000, 00000000010이다. 짝수 패러티를 갖는 코드워드로 사용할 수 있는 '코드워드-상태방향'의 조합수는 00001000100에 대해서 9개, 00000010010에 대해서 6개, 00000001001, 00000010001, 00000100001, 그리고 00001000001에 대해서 각각 4개, 따라서 31(=9+6+4x4)개가 된다. 반대로, 홀수 패러티를 갖는 코드워드로 사용할 수 있는 '코드워드-상태방향'의 조합수는 00000000100, 00000010000, 그리고 00000001000에 대해 각 9개, 그리고 00000000010에 대해 6개, 그래서 33(=3x9+6)개가 된다.
6비트의 정보워드는 홀수 패러티와 짝수 패러티가 각각 32개이므로, 짝수 패러티의 정보워드에 할당할 수 있는 '코드워드-상태방향'의 조합수가 하나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정보워드와 코드워드의 패러티를 서로 반대되게 할당하는 이 실시예에서는, 홀수 패러티의 정보워드중 하나에 패러티 보존되는 코드워드를 할당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할당되지 못한 코드워드의 예는 도 6b에서, 정보워드 십진수 61(=111101)이다. 이 정보워드의 패러티가 홀수인데, 코드워드의 패러티도 홀수인 00000010000이 할당되어 있다.
상태9의 코드워드의 경우에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면, 홀수 패러티의 '코드워드-상태방향'의 조합수가 9x2+6x1+4x3으로서 36개가 되고, 반면에 짝수 패러티의 '코드워드-상태방향'의 조합수는 9x2+6x1+4x1로서 28개가 된다. 따라서, 4개의 홀수 패러티의 정보워드에 패러티 보존되는 코드워드가 할당되지 못한다. 도 6b에서, 십진수 값이 56, 59, 61, 62인 정보워드에 대해 할당된 코드워드가 이에 해당한다.
도 6b의 후반 변환표에서 채색된 '코드워드-상태방향'의 조합항목이 패러티가 보존되지 않는, 즉 정보워드와 할당된 코드워드의 패러티가 상반되지 않고 일치하는 코드워드이다. 도 6a및 6b의 실시예에서 패러티가 보존되지 않는 채색된 코드워드 항목수는 총 39개로서, 전체 '코드워드-상태방향'의 조합에서 약 6.8%{=39/(64x9)}가 된다. 이는, 정보워드에 대해 패러티 보존되는 코드워드가 할당되는 확률은 93.2%가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6a및 6b의 실시예에서는, 10%미만의 코드워드가 패러티 비보존에 의해 DSV제어가 되지 않으므로, 10개보다 적은 정보워드마다 한번씩 DSV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코드워드의 DSV제어가 가능함을 확률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패러티 보존되지 못하는 코드워드가 최대한 작게 되도록 하기위해서는, 정보워드의 크기가 m비트인 경우, 각 상태에 '코드워드-상태방향'의 조합수가 반드시 2m개 이상이 되도록 코드워드의 세트를 분산시키되, 가능한 상태방향의 수만큼 곱해진 홀수 패러티와 짝수 패러티의 각 코드워드의 수가 최대한 균등하게, 즉 각 패러티의 '코드워드-상태방향'의 조합수가 2m-1에 최대한 근접 또는 이상이 되도록 각 상태에 코드워드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a 및 6b에서와 같이 선정된 코드워드 변환표에서, 패러티 보존이 되지 않는 코드워드들에 의해 m-비트의 정보워드를 n-비트의 코드워드로 변환할 때 직류성분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n-비트의 코드워드로 변환될, 1이상인 P개의 m-비트 정보워드 블럭을 미리 검사하여 그 블럭에 대해서 1이상인 c-비트의 직류성분 제어비트 를 선두, 중간 또는 후미의 정해진 위치에 삽입한다. 이 때 삽입되는 c비트의 값은 P개의 m-비트 정보워드의 비트들의 DSV가 일정한 값, 예를 들어 0이 유지되는 방향의 값으로 결정된다. 즉, c가 1비트이면 P개의 정보워드에 대해 계산된 DSV가 양의 값을 가지면 0의 값으로, 음의 값이면 1의 값으로 제어비트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직류성분 제어비트 c가 P개의 m-비트 정보워드 블록마다 삽입되어 있는 비트열을 다시 m-비트씩 슬라이스(slice)시키고, 각 슬라이스된 m-비트의 워드에 대해, 도 6a및 6b의 변환표를 참조하여 n-비트 코드워드로 각각 변환시키게 된다.
도 7은 P가 4, c가 1, m이 6, 그리고 n이 11인 경우에 대해, 상기와 같이 정보워드가 코딩되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직류성분 제어비트를 부가하는 정보워드의 단위를 크게 설정하면, 즉 P값이 크면 상기 제어비트 c를 1비트 대신 2비트 이상으로 크게 할당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디코딩 방법
이제부터는, 기록매체로부터 수신한 n-비트 코드워드( 이 실시예에서는, 11비트 워드 )를 디코딩하는 방법이, 도 4a및 4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를 들어 기록매체로부터 수신되는 일련의 연속되는 코드워드의 워드 값들이 00000001000, 00010010000, 10000100100이라고 가정한다. 도 4a및 4b의 변환표로부터, 첫번째 코드워드 00000001000이, 정보워드 9, 10, 11, 12, 13, 14, 15, 16, 그리고 17에 할당되어 있으며, 대응되는 각 상태 방향은 1, 2, 3, 4, 5, 6, 7, 8, 그리고 9임을 알 수 있다. 다음 코드워드 값이 00010010000이고, 이 값은 상태 3의 코드워드 세트에 속한다. 이 것은 첫번째 코드워드 00000001000가 상태방향 3이었음을 의미한다. 상태방향 3을 갖는 첫번째 코드워드 00000001000은 십진수 11을 갖는 정보워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첫번째 코드워드 00000001000은 십진수 11을 갖는 정보워드를 표현한 것으로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세번째 코드워드 10000100100은 상태 6의 요소이다. 따라서, 상기와 동일한 방식에 의해 두번째 코드워드 00010010000은 십진수 14를 갖는 정보워드를 표현한 것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다른 코드워드들이 디코딩될 수있다. 현재의 코드워드를 유일한 정보워드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코드워드와 다음의 코드워드가 확인되어야 함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편, 코딩과정에서 직류성분의 억제를 위해서 도 6a및 6b의 패러티 보존 코드변환표를 사용한 경우에는 직류성분 억제를 위해 삽입된 비트 c를 제거하여 순수한 정보워드를 출력해야 한다. 따라서, 최초에 (P+1)개의 코드워드가 디코딩되어 (P+1)개의 정보워드로 변환되면, 정해진 위치에 있는 c비트, 예를 들어 1비트를 제거한 다음, P개의 m-비트 정보워드로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나머지 (m-1)비트는, 다음 P개의 정보워드가 얻어지면, 차례대로 {Pxm+(m-1)} 비트를 구성한다. 그리고는 앞에서부터 (Pxm+1)의 비트블럭에서 정해진 위치에 있는 1비트를 제거하고, 차례대로 P개의 m-비트 정보워드로서 출력한다. 잔여 (m-2)비트는 다시 다음의 디코딩된 워드가 얻어지면 위와 같은 방식으로 m-비트의 정보워드로서 출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6a및 6b의 변환표와 c-비트의 직류성분 제어비트를 사용하여 코딩된 코드워드로부터 순수한 정보워드를 구할 수가 있다.
도 6a및 6b의 변환표로부터, c-비트의 직류성분 제어비트가 삽입되어 있는 정보워드로 변환하는 과정은, 도 4a및 4b의 변환표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방식과 완전히 동일하다.
코딩장치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딩장치(124)를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코딩장치(124)는 m-비트 정보워드를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한다. 여기서, 서로 다른 코딩상태 r의 개수는 s비트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코딩상태 r의 수가 9개인 경우에, s는 4가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딩장치(124)는 (m+s)의 이진 입력신호를 (n+s)의 이진 출력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기(50)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변환기(50)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표를 저장하고 있는 읽기전용 메모리(ROM)와 m+s 이진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변환표를 어드레싱(addressing)하는 주소회로를 포함한다. 하지만, 읽기전용 메모리대신에, 상기 변환기(50)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변환표에서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하는 조합 논리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기(50)의 입력단에서는, m 입력이, m비트 입력워드를 수신하기 위한 제 1버스(51)에 연결되고, 상기 변환기(50)의 출력단에서는, n 출력이 n비트 코드워드를 전달하기 위한 제 2버스(52)에 연결된다. 그리고, s 입력은, 순간의 코딩상태를 가리키는 상태워드를 수신하기 위한 제 3버스(53)에 연결된다. 상기 상태워드는, 예를 들어 s개의 플립플롭을 포함하는 버퍼 메모리(54)로부터 전달된다. 상기 버퍼 메모리(54)는, 상태워드로서 자신으로 로드(load)될 상태 방향을 수신하기 위한 제4버스(55)에 연결된 s 개의 입력을 갖는다. 상기 버퍼 메모리(54)로 로드될 상태방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변환기(50)의 s 출력이 사용된다.
상기 제 2버스(52)는 병렬-직렬 변환기(56)의 병렬입력단으로 연결된다.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56)는 상기 제 2버스(52)를 통해 수신한 코드워드를 직렬비트 스트링(string)으로 변환한다. 신호선(57)은 상기 직렬비트 스트링을 변조회로(58)에 인가한다. 상기 변조회로(58)는 상기 비트 스트링을 변조신호로 변환한다. 상기변조신호는 신호선(60)을 통해 전달된다. 상기 변조회로(58)는 이진 데이터를 변조신호로 변환하는, 모듈라(modula)-2 적분기와 같은 어떠한 공지된 회로라도 무방하다.
상기 코딩장치의 동작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코딩장치는, 예를 들어,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58)의 타이밍과, 상기 버퍼 메모리(54)의 로딩을 제어하기 위한 클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통상적인 유형의 클럭생성기(미도시)를 포함한다.
동작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50)는 m-비트의 정보워드와 s-비트의 상태워드를 상기 제 1버스(51)와 제 3버스(53)으로부터 각각 수신한다. 상기 s-비트 상태워드는 m-비트 정보워드를 변환할 때 사용하는 변환표에서의 상태를 가리킨다. 따라서, m-비트 정보워드의 값에 근거하여, n-비트 코드워드가 s-비트 상태워드에 의해 확인되는 상태에 있는 코드워드로부터 결정된다.
또한, n-비트 코드워드와 연관되어 있는 상태방향도 결정된다. 상태방향, 즉 그 것의 값은 s-비트 이진 워드로 변환된다. 다르게는, 상태방향이 변환표에 s-비트 이진워드로 저장되어 있다. 상기 변환기(50)는 n-비트 코드워드를 제 2버스(52)로, s-비트 상태방향은 제 4버스(55)로 각각 출력한다. 상기 버퍼 메모리(54)는 상기 s-비트 상태방향을 상태워드로 저장하고, 상기 s-비트 상태워드를 제 3버스(53)를 통해, 상기 변환기(50)의 다음 m-비트 정보워드의 수신시점에 동기시켜 상기 변환기(50)에 인가한다. 이러한 시점동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잘 알려진 방식 중 하나의 방식에 의한 클럭신호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제 2버스(52)상의 n-비트 코드워드는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56)에 의해 직렬데이터로 변환되고, 변환된 직렬 데이터는 상기 변조기(58)에 의해 변조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변조신호는 기록 또는 전송을 위해 그 다음의 처리과정을 겪게 된다.
도 8은, 코드워드의 직류성분을 억제하기 위해, 도 6a및 6b의 코드변환표를 사용하고, c-비트의 직류성분 제어비트를 삽입하는 코딩장치(224)를 예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딩장치(224)는 도 3의 코딩장치(124)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코딩장치(124)에 정보워드를 인가하기 전에, 입력되는 m-비트 정보워드를 P개수단위로 DSV를 계산해서, c비트, 예를 들어 1비트의 직류성분 제어비트를 삽입하는 DSV 제어기(41)를 포함한다. 그리고, 입력되는 정보워드를 P개씩 DSV를 계산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도 3의 코딩장치로 전달하기 위해 임시저장하는 버퍼 메모리(42)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DSV제어기(41)는 정보워드가 입력되면 이를 순차적으로 상기 버퍼 메모리(42)에 저장한다. 저장되는 정보워드가 정해진 P개가 되면, 이들의 DSV를 계산하여 DSV가 일정한 값이 되도록 하는 1 비트의 직류성분 제어비트의 값을 결정하여 상기 P개의 정보워드의 선두, 중간 또는 후미에 삽입한다. 그리고는 m-비트씩 슬라이스시켜 중간워드(intermediate word)로 만든 다음, 이를 상기 코딩장치(124)의 제 1버스(51)에 실어서 상기 변환기(50)에 차례대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DSV제어기(41)는 입력데이터가 Pxm비트일 때, 출력해야할 비트는 (Pxm+c)이므로, 이 비율만큼의 빠른 클럭속도로 데이터를 상기 변환기(50)에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초기에, 다음 P개의 정보워드의 DSV산출을 위해 다음 P개의 정보워드가 입력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동안 최초의 P개의 중간워드(제어비트 c가 삽입된 워드들)가 전송완료되어 언더런(underrun)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어도 2P개의 정보워드들에 대한 수신후에 상기 변환기(50)로의 중간워드의 전송이 시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P개의 m-비트 정보워드에 대한 직류성분을 확인하는 대신, (Pxm-c)개의 비트열에 대해 직류성분을 검사하여 이에 대한 제어비트를 c비트 추가하여 Pxm비트를 만든 다음, 상기 변환기(50)에 P개의 m-비트 중간워드를 m비트씩 차례대로 인가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상기 변환기(50)는 인가되는 m-비트의 중간워드들을, 도 6a및 6b의 변환표를 사용하여 전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코드워드로 각각 변환하게 된다.
기록장치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 또는 8의 코딩장치(124 또는 224)를 포함하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m-비트 정보는 상기 코딩장치(124 또는 224)를 통해 변조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코딩장치(124 또는 224)에 의해 생성된 변조신호는 기록 제어회로(123)로 전달된다. 상기 기록 제어회로(123)는 광픽업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122)를, 상기 변조신호에 상응하는 마크(mark) 패턴이 기록매체(110)에 새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신에게 인가되는 변조신호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일반적인 제어회로 중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110)를 예로써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상기 기록매체(110)는 읽기전용 타입의 광디스크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110)는 읽기전용 타입의 광 디스크에 한정되지 않고, 1회 기록가능 광디스크, 재기록 가능 광디스크 등과 같이 어떠한 형태의 광디스크일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기록매체(110)는 광디스크로도 제한되지 않고, 자기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메모리 카드,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어떠한 형태의 기록매체일 수가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록매체(110)는 트랙(111)에 정렬된 정보패턴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도 10은 상기 트랙(111)의 일방향(114)을 따라 확대된 트랙(111)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랙(111)은 피트(pit) 영역(112)과 비피트(non-pit) 영역(113)을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트와 비피트 영역(112,113)은 변조 신호(115)의 일정한 신호 구간( 코드워드에서 0 )을 나타내고, 피트와 비피트 영역사이의 천이는 변조신호(115)에서의 논리상태의 변화( 코드워드에서 1 )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록메체(110)는, 먼저 변조신호를 생성하고, 그 다음 변조신호를 기록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다르게는, 기록매체가 광디스크이면, 상기 기록매체(110)는 또한 공지된 마스터링과 복제 기술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전송장치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 또는 8의 코딩장치(124 또는 224)를 포함하는,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비트 정보워드는 상기 코딩 장치(124 또는 224)에 의해 변조신호로 변환된다. 송신기(150)는 상기 변조신호를, 자신이 속하는 통신시스템에 좌우되는 전송을 위한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한 처리과정을 수행하게 되고, 그런 다음 상기 변환된 변조신호를, 공기( 또는 공간 ), 광섬유, 케이블, 도체 등과 같은 통신매체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
디코딩 장치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코더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디코더(100)는 도 3의 변환기(50)의 역과정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 따른 n-비트 코드워드를 m-비트 정보워드로 변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코더(100)는 제 1검색기(LUT:Look Up Table)(102)와 제 2검색기(104)를 갖고 있다. 상기 제 1및 2 검색기(102,104)는 디코딩되는 n-비트 코드워드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 변환표를 저장하고 있다. 도면에서 K는 시간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제 1검색기(102)는 (K+1)번째 n-비트 코드워드를 수신하고, 동일 시점에 상기 제 2 검색기(104)는 상기 제 1검색기(102)의 출력과 K번째 코드워드를 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디코더(100)는 슬라이딩 블록(sliding block) 디코더와 같이 작용한다. 매 블록 시간 순간에, 상기 디코더(100)는 하나의 n-비트 코드워드를 하나의 m-비트 정보워드로 디코딩하고, 직렬 데이터인 다음 n-비트 코드워드( '채널 비트 스트림'으로도 불리어진다 )로 진행한다.
동작에 있어서, 상기 제 1검색기(102)는 (K+1)번째 코드워드의 상태를, 저장되어 있는 변환표로부터 결정하여 그 결정된 상태를 상기 제 2검색기(104)로 출력한다. 상기 제 1검색기(102)의 출력은 1부터 r (r은 변환표에 있는 상태의 수를 표기한 것이다 )까지의 변화범위를 갖는 이진 숫자이다. 상기 제 2 검색기(104)는, K번째 코드워드와 연관된 가능한 m-비트 정보워드를, 저장되어 있는 변환표를 사용하여 결정하고, 그런 다음, n-비트 코드워드에 의해 표현되는 가능한 m-비트 정보워드중 특정한 하나를, 상기 제 1검색기(102)로부터의 상태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변환표를 사용하여 선택하게 된다.
단지 설명의 보충만을 위해, n-비트 코드워드가 도 4a및 4b의 변환표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11-비트 코드워드라고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여, (K+1)번째 11-비트 코드워드가 00001000100이면, 상기 제 1검색기(102)는 그 코드워드의 상태를 상태2로 판단한다. 또한, K번째 11-비트 코드워드가 00000000100이면, 상기 제 2검색기(104)는 K번째 11-비트 코드워드가 십진수 0, 1, 2, 3, 4, 5, 6, 7, 또는 8의 값을 갖는 6비트 정보워드 중 하나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상태 2인 다음 상태 또는 상태방향이 상기 제 1 검색기(102)로부터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제 2검색기(104)는, 상태방향 2와 연관된 11비트 코드워드 00000000100가 십진수 1의 값을 나타내는 6비트 정보워드를 가리키고 있음에 근거하여, K번째 11-비트 코드워드는 십진수 1의 값을 나타내는 6비트 정보워드라고 판단한다.
도 13은 코드워드의 직류성분을 억제하기 위해, 도 6a및 6b의 코드변환표를 사용하고, c-비트의 직류성분 제어비트를 삽입하는 코딩장치(224)에 의해 코딩된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딩 장치(200)를 예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코딩 장치(200)는 도 12의 디코더(100)를 포함한다. 장치(200)내의 상기 디코더(100)는 도 6a및 6b의 변환표를 사용하여 입력되는 코드워드들을 중간워드들( c-비트의 직류성분 제어비트가 삽입되어 있는 워드들 )로 변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코딩 장치(200)는 상기 디코더(100)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워드들을 임시저장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109)와, 상기 버퍼 메모리(109)에 임시저장되는 중간워드들을 확인하여, 그 비트가 미리 정해져 있는 (Pxm+c)보다 큰 비트블럭이 되면, 앞에서부터 (Pxm+c)의 비트열의 미리 정해진 위치, 선두, 중간 또는 후미의 c비트를 제거한 다음, (Pxm)개의 비트열을 상기 버퍼 메모리(109)에서 읽어내어 출력버스(106)의 비트수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비트 제거기(10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비트 제거기(108)의 상기와 같은 출력동작중에도 상기 디코더(100)가 출력하는 중간워드들은 이전 저장된 비트들의 후단에 계속하여 추가 저장된다.
상기 (Pxm)개의 비트 출력후, 상기 버퍼 메모리(109)에 저장되어 있는 잔여 데이터와 상기 디코딩동작에 의해 추가되는 데이터의 비트가 다시 (Pxm+c)이 되면, 정해진 위치의 c비트의 제어비트를 제거하여 상기 출력버스(106)로 차례대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Pxm+c)의 비트에 대해서 제어비트를 제거하는 동작대신, 상기 버퍼 메모리(109)에 저장된 비트가 (Pxm)이 되면 이중 c비트를 제거하고 (P-1)개의 m-비트 정보워드를 출력하는 비트 제거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는 전적으로 전술한 코딩장치(224)가 c-비트의 직류성분 제어비트를 삽입하는 정보워드의 비트수에 따라 좌우된다.
재생장치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2의 디코더(100) 또는 도 13의 디코딩 장치(200)를 포함하는 재생장치를 예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생장치는, 본 발명에 따라 기록매체(110)를 읽어내는 공지된 형태의 광픽업(12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록매체(110)는 앞서 논의된 것과 같은 기록매체의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상기 광픽업(122)은 기록매체(110)상의 정보패턴에 따라 변조된 아날로그 독출신호를 만들어낸다. 검출회로(125)는 상기 독출신호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상기 디코더(100) 또는 상기 디코딩 장치(200)가 수신할 수 있는 형태의 이진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디코더(100) 또는 상기 디코딩 장치(200)는, m-비트 정보워드를 얻기 위해 상기 이진신호를 디코딩한다.
수신장치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2의 디코더(100) 또는 도 13의 디코딩 장치(200)를 포함하고 있는 수신장치를 예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장치는, 공기( 또는 공간 ), 광섬유, 케이블, 도체 등과 같은 매체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1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신기(160)는 수신신호를 상기 디코더(100)가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이진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디코더(100) 또는 상기 디코딩 장치(200)는, m-비트 정보워드를 얻기 위해 상기 이진신호를 디코딩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를 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는, 기록매체나 전송데이터가 향상된 정보밀도를 갖도록 함과 동시에 기록 또는 전송되는 코딩 데이터의 직류성분을 억제한다. 따라서, 기록매체의 대용량화가 가능하고 정보의 전송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지는 잇점이 있다. 더욱이 직류성분 억제로 인해 기록 또는 수신된 코드의 복원시에 에러 발생율을 현저히 낮출 수가 있다.
본 발명은, 그 것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특별히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효과를 가져오는 변형과 수정이 될 수 있다.

Claims (39)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Q 비트들에 대한 직류성분 값을 계산하여 절대적 의미에서 그 값이 작아지게 하는 c-비트의 제어비트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비트가 삽입된 데이터를 m-비트( m은 정수 ) 정보워드 단위로 n-비트( n은 m보다 큰 정수 ) 코드워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n-비트 코드워드는, 세가지 유형(type)과, 세가지 종류(kind)에 속하는 코딩 상태(state)로 나뉘어지고, 다른 코딩상태에 속하는 코드워드 세트는 어떠한 공통된 코드워드도 포함하지 않으며, 각 코딩상태에 속하는 코드워드들의 다수는, 상기 m-비트 정보워드의 가능한 각 값들과 패러티가 보존되게 각 m-비트 정보워드들에 할당되어 있고, 그리고 하나의 m-비트 정보워드를, 이전 m-비트 정보워드가 제 1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었다면, 제 1, 제 2또는 제 3종류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하고, 이전 m-비트 정보워드가 제 2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었다면, 제 1또는 제 3종류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하며, 이전 m-비트 정보워드가 제 3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었다면, 제 1종류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단계는, 상기 m-비트 정보워드를, dk 제한조건을 만족하는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하되, d는 상기 n-비트 코드워드내의 연속된 1 사이에 있는 최소 0의 수이고, k는 상기 n-비트 코드워드내의 연속된 1사이에 있는 최대 0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 코드워드는 상기 제 1종류의 r1개의 코딩상태와, 상기 제 2종류의 r3개의 코딩상태와, 상기 제 3종류의 r3개의 코딩상태로 나뉘어지되, 상기 r1, r2, 그리고 r3는 1보다 같거나 큰 정수이고, 상기 r1, r2, 그리고 r3개의 코딩 상태 각각은 다른 r1, r2, 그리고 r3개의 코딩상태에 있는 n-비트 코드워드와는 상이한 n-비트 코드워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m/n은 1/2보다 크고, d=2이며, r1+r2+r3=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임의의 n-비트 코드워드에 대하여 다음에 올 수 있는 코딩상태의 경우와 그 n-비트 코드워드의 조합의 수가 반드시 각 코딩상태에 대해 2m개 이상이 되도록 n-비트 코드워드의 세트를 분산시키되, 다음 코딩상태의 경우 수만큼 곱해진 홀수 패러티와 짝수 패러티의 각 코드워드의 수가 최대한 2m-1에 근접 또는 이상이 되도록 각 코딩상태에 코드워드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Q는 P x m 이고 ( P는 1이상인 정수 ), c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Q= P x m1 이고 ( P는 1이상인 정수 ), c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형(type)의 n-비트 코드워드는 00으로 끝나고, 상기 제 2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는 10으로 끝나며, 상기 제 3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는 01로 끝나고, 상기 제 1종류(kind)내의 코딩상태에 있는 n-비트 코드워드는 00으로 시작하고, 상기 제 2종류의 코딩상태에 있는 n-비트 코드워드는 00, 01 또는 10으로 시작하며, 상기 제 3종류의 코딩상태에 있는 n-비트 코드워드는 00 또는 01로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m은 6이고 n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 코드워드로부터 변조신호를 생성하여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 코드워드로부터 변조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12.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수신된 데이터의 Q 비트들에 대한 직류성분 값을 계산하여 절대적 의미에서 그 값이 작아지게 하는 c-비트의 제어비트를 삽입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비트가 삽입된 데이터를 m-비트( m은 정수 ) 정보워드 단위로 n-비트( n은 m보다 큰 정수 ) 코드워드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n-비트 코드워드는, 세가지 유형(type)과, 세가지 종류(kind)에 속하는 코딩 상태(state)로 나뉘어지고, 다른 코딩상태에 속하는 코드워드 세트는 어떠한 공통된 코드워드도 포함하지 않으며, 각 코딩상태에 속하는 코드워드들의 다수는, 상기 m-비트 정보워드의 가능한 각 값들과 패러티가 보존되게 각 m-비트 정보워드들에 할당되어 있고, 그리고 하나의 m-비트 정보워드를, 이전 m-비트 정보워드가 제 1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었다면, 제 1, 제 2또는 제 3종류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하고, 이전 m-비트 정보워드가 제 2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었다면, 제 1또는 제 3종류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하며, 이전 m-비트 정보워드가 제 3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었다면, 제 1종류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는 각 m-비트 정보워드와 함께 코딩상태를 수신하고 상기 코딩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m-비트 정보워드를 상기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에 상기 코딩상태를 공급하는 버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변환기는 상기 변환과정의 일부분으로서 다음 m-비트 정보워드를 위한 코딩상태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코딩상태를 상기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장치.
  15. 제 14항애 있어서, 상기 n-비트 코드워드로부터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변조기와, 상기 변조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 코드워드로부터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변조기와, 상기 변조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Q는 P x m 이고 ( P는 1이상인 정수 ), c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장치.
  18. 제 12항에 있어서, Q는 P x m-1 이고 ( P는 1이상인 정수 ), c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장치.
  19. 하나 이상의 n-비트( n은 정수 ) 코드워드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각 n-비트 코드워드마다 m-비트( m은 n보다 작은 정수 ) 정보워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하나 이상의 정보워드내의 Q+c( Q+c 는 m이상이고, Q와 c는 Q>c인 정수 )비트들에서 기지정된 위치에 있는 c비트를 제거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하나의 m-비트 정보워드가, 이전 m-비트 정보워드가 제 1유형(type)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었다면, 제 1, 제 2 또는 제 3종류(kind)의 n-비트 코드워드로, 이전 m-비트 정보워드가 제 2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었다면, 제 1또는 제 3종류의 n-비트 코드워드로, 이전 m-비트 정보워드가 제 3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었다면, 제 1종류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도록,상기 n-비트 코드워드가 세가지 유형과, 세가지 종류에 속하는 코딩 상태(state)로 나뉘어지고, 다른 코딩상태에 속하는 코드워드 세트는 어떠한 공통된 코드워드도 포함하지 않으며, 각 코딩상태에 속하는 코드워드들의 다수는, 상기 m-비트 정보워드의 가능한 각 값들과 패러티가 보존되게 각 m-비트 정보워드들에 할당되어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 코드워드는 상기 제 1종류의 r1개의 코딩상태와, 상기 제 2종류의 r3개의 코딩상태와, 상기 제 3종류의 r3개의 코딩상태로 나뉘어지되, 상기 r1, r2, 그리고 r3는 1보다 같거나 큰 정수이고, 상기 r1, r2, 그리고 r3개의 코딩 상태 각각은 다른 r1, r2, 그리고 r3개의 코딩상태에 있는 n-비트 코드워드와는 상이한 n-비트 코드워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단계는, 다음 n-비트 코드워드가 r1, r2, 그리고 r3 상태들 중 어떤 상태에 속하는 가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코딩상태에 근거하여 현재의 n-비트 코드워드를 m-비트 정보워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그리고 r3 코딩 상태들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동일한 n-비트 코드워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동일한 n-비트 코드워드의 각각은 각기 다른 연관된 상태방향을 갖고 있고, 각 상태방향은, 상기 m-비트 정보워드가 상기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될 때, 다음의 n-비트 코드워드를 얻기 위한, 상기 r1, r2, 그리고 r3 코딩상태중 다음의 상태 하나를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 코드워드는 dk 제한조건을 만족하되, d는 상기 n-비트 코드워드내의 연속된 1 사이에 있는 최소 0의 수이고, k는 상기 n-비트 코드워드내의 연속된 1사이에 있는 최대 0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m/n은 1/2보다 크고, d=2이며, r1+r2+r3=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25. 제 22항에 있어서, n-비트 코드워드와 각 상태방향과의 조합의 수가 반드시 각 코딩상태에 대해 2m개 이상이 되도록 n-비트 코드워드의 세트를 분산시키되, 다음 코딩상태의 경우 수만큼 곱해진 홀수 패러티와 짝수 패러티의 각 코드워드의 수가 최대한 2m-1에 근접 또는 이상이 되도록 각 코딩상태에 코드워드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26.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형(type)의 n-비트 코드워드는 00으로 끝나고, 상기 제 2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는 10으로 끝나며, 상기 제 3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는 01로 끝나고, 그리고 상기 제 1종류(kind)내의 코딩상태에 있는 n-비트 코드워드는 00으로 시작하고, 상기 제 2종류의 코딩상태에 있는 n-비트 코드워드는 00, 01 또는 10으로 시작하며, 상기 제 3종류의 코딩상태에 있는 n-비트 코드워드는 00 또는 01로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27. 제 19항에 있어서, 변조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변조신호를 적어도 상기 n-비트 코드워드로 복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코딩 방법.
  28. 제 19항에 있어서, 기록매체로부터 변조신호를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변조신호를 적어도 상기 n-비트 코드워드로 복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29. 제 19항에 있어서, c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30. 하나 이상의 n-비트( n은 정수 ) 코드워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각 n-비트 코드워드마다 m-비트( m은 n보다 작은 정수 ) 정보워드로 변환하는 변환기; 및
    상기 변환된 하나 이상의 정보워드내의 Q+c( Q+c 는 m이상이고, Q와 c는 Q>c인 정수 )비트들에서 기지정된 위치에 있는 c비트를 제거하는 비트 제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n-비트 코드워드는, 하나의 m-비트 정보워드가, 이전 m-비트 정보워드가 제 1유형(type)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었다면, 제 1, 제 2또는 제 3종류(kind)의 n-비트 코드워드로, 이전 m-비트 정보워드가 제 2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었다면, 제 1또는 제 3종류의 n-비트 코드워드로, 이전 m-비트 정보워드가 제 3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었다면, 제 1종류의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되도록 세가지 유형과, 세가지 종류에 속하는 코딩 상태(state)로 나뉘어져 있고, 다른 코딩상태에 속하는 코드워드 세트는 어떠한 공통된 코드워드도 포함하지 않게 되어 있으며, 각 코딩상태에 속하는 코드워드들의 다수는, 상기 m-비트 정보워드의 가능한 각 값들과 패러티가 보존되게 각 m-비트 정보워드들에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 코드워드는 상기 제 1종류의 r1개의 코딩상태와, 상기 제 2종류의 r3개의 코딩상태와, 상기 제 3종류의 r3개의 코딩상태로 나뉘어져 있되, 상기 r1, r2, 그리고 r3는 1보다 같거나 큰 정수이고, 상기 r1, r2, 그리고 r3개의 코딩 상태 각각은 다른 r1, r2, 그리고 r3개의 코딩상태에 있는 n-비트 코드워드와는 상이한 n-비트 코드워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는, 다음 n-비트 코드워드가 r1, r2, 그리고 r3 상태들 중 어떤 상태에 속하는 가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코딩상태에 근거하여 현재의 n-비트 코드워드를 m-비트 정보워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그리고 r3 코딩 상태들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동일한 n-비트 코드워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동일한 n-비트 코드워드의 각각은 각기 다른 연관된 상태방향을 갖고 있고, 각 상태방향은, 상기 m-비트 정보워드가 상기 n-비트 코드워드로 변환될 때, 다음의 n-비트 코드워드를 얻기 위한, 상기 r1, r2, 그리고 r3 코딩상태중 다음의 상태 하나를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 코드워드는 dk 제한조건을 만족하되, d는 상기 n-비트 코드워드내의 연속된 1 사이에 있는 최소 0의 수이고, k는 상기 n-비트 코드워드내의 연속된 1사이에 있는 최대 0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35. 제 34항에 있어서, m/n은 1/2보다 크고, d=2이며, r1+r2+r3=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36.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형(type)의 n-비트 코드워드는 00으로 끝나고, 상기 제 2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는 10으로 끝나며, 상기 제 3유형의 n-비트 코드워드는 01로 끝나고, 그리고 상기 제 1종류(kind)내의 코딩상태에 있는 n-비트 코드워드는 00으로 시작하고, 상기 제 2종류의 코딩상태에 있는 n-비트 코드워드는 00, 01 또는 10으로 시작하며, 상기 제 3종류의 코딩상태에 있는 n-비트 코드워드는 00 또는 01로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37. 제 30항에 있어서, 변조신호를 수신하여 그 변조신호를 적어도 상기 n-비트 코드워드로 복조하는 복조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38. 제 30항에 있어서, 기록매체로부터 변조신호를 재생하여 그 변조신호를 적어도 상기 n-비트 코드워드로 복조하는 재생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39. 제 30항에 있어서, c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KR1020010045264A 2001-07-26 2001-07-26 정보를 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52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264A KR100752880B1 (ko) 2001-07-26 2001-07-26 정보를 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264A KR100752880B1 (ko) 2001-07-26 2001-07-26 정보를 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357A true KR20030010357A (ko) 2003-02-05
KR100752880B1 KR100752880B1 (ko) 2007-08-28

Family

ID=2771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264A KR100752880B1 (ko) 2001-07-26 2001-07-26 정보를 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88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599B1 (ko) * 2000-09-06 2006-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된 dc 억압 능력을 갖는 rll 코드 변복조 방법
KR100294893B1 (ko) * 1999-03-09 2001-07-12 윤종용 개선된 dc 억압 능력을 갖는 rll 코드 생성 방법 과 생성된 rll 코드 변복조 방법
KR100421004B1 (ko) * 2001-04-20 2004-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코드 생성 및 배치 방법
KR100470026B1 (ko) * 2001-07-05 2005-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를 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880B1 (ko) 2007-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966B1 (ko) 연속 최소 런 길이 제한이 있는 변조/복조 장치 및 방법
US47603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 run length limited code
KR100424482B1 (ko) 일련의 데이터 워드를 변조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
JPH07118657B2 (ja) 2進デ−タ符号化及び復号化方式
KR100354632B1 (ko) 디지탈 변조 방법, 디지탈 변조 회로, 디지탈 복조 방법 및 디지탈 복조 회로
JP2002527924A (ja) ランレングス制限デジタル情報信号の生成装置及び方法
AU8881698A (en) Device for encoding/decoding n-bit source words into corresponding m-bit channel words, and vice versa
JP2002280907A (ja) 変調方法、変調装置、復調方法、復調装置、情報記録媒体、情報伝送方法および情報伝送装置
KR0183722B1 (ko) 디지탈 신호 변조부호기 및 복호기
JP3848163B2 (ja) 情報をコーディング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そのコーディングされせた情報をデコーディング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記録媒体への変調信号の記録方法、記録媒体並びに変調信号の変換方法
KR100752880B1 (ko) 정보를 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20038709A (ko) 이진 소스신호의 복수의 데이터 비트의 스트림을 이진채널신호의 복수의 데이터 비트의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장치, 메모리장치, 정보 기록장치, 기록매체, 코딩장치와,재생장치
KR100470026B1 (ko) 정보를 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JP4095440B2 (ja) 情報の符号化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その符号化された情報を復号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変調信号及び記録媒体の製造方法
KR100575638B1 (ko) 정보 코딩을 위한 장치 및 방법과, 그 코딩된 정보를디코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변조 신호 및 기록 매체제조방법
KR100575658B1 (ko) 정보 코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45183B1 (ko) 정보어의 신호로의 변환 시스템
KR20010041155A (ko) 엔-비트 소스어를 대응하는 엠-비트 채널어로 인코딩하고, 엠-비트 채널어를 대응하는 엔-비트 소스어로 디코딩하는 장치
US20040263362A1 (en) Coding method and device
JPS60114053A (ja) 符号変換方式
JP2004220766A (ja) 変調方法、変調装置、復調方法、復調装置、情報記録媒体、情報伝送方法および情報伝送装置
JP2002216435A (ja) 変調方法、変調装置、復調方法、復調装置、情報記録媒体、情報伝送方法および情報伝送装置
JP2006129506A (ja) 情報の符号化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その符号化された情報を復号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変調信号及び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2004220765A (ja) 変調方法、変調装置、復調方法、復調装置、情報記録媒体、情報伝送方法および情報伝送装置
JP2004220767A (ja) 変調方法、変調装置、復調方法、復調装置、情報記録媒体、情報伝送方法および情報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