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4180A - 정보 신호가 앞서는 데이터를 다운로딩 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신호가 앞서는 데이터를 다운로딩 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4180A
KR20020074180A KR1020027008316A KR20027008316A KR20020074180A KR 20020074180 A KR20020074180 A KR 20020074180A KR 1020027008316 A KR1020027008316 A KR 1020027008316A KR 20027008316 A KR20027008316 A KR 20027008316A KR 20020074180 A KR20020074180 A KR 20020074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date
decoder
data
termina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8142B1 (ko
Inventor
에릭 고띠에르
로랑 레스네
프란스와 루디에르
나당 빠뜨리
루이스-자비에르 까르봉넬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9916746A external-priority patent/FR2809838A1/fr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020074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1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91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provid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updates, e.g. updating software modules, stored at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25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digital non-picture data, e.g. of text during the active part of a televis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 H04N21/637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directed to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3Acknowled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04N21/8402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involving a version number, e.g. version number of EP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데이팅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및 업데이팅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업데이팅 데이터가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센터에 의해 단말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하여 단말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의 업데이팅 상황을 센터에 알려준다. 센터는 업데이트 된 단말의 수에 기초하여 캠페인을 재개하거나 현재 캠페인을 중지시킨다. 일단 캠페인이 중지되면, 단말은 양방향 링크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 신호와 업데이팅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센터 및 정보 신호와 업데이팅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기 위한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보 신호가 앞서는 데이터를 다운로딩 하는 방법{METHOD FOR DOWNLOADING DATA PRECEDED BY INFORMATION SIGNALS}
이하에서 보다 간단히 "디코더"라고 지칭될 이들 어플라이언스는 위성이나 무선 네트워크 또는 광 케이블(동축 케이블이나 광 케이블)에 의해 방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방송 네트워크에 의한 송신 모드는 단방향이다. 방송되는 신호는 텔레비전으로 향하는 화상과 음향 및 디코더를 향하는 디지털 정보를 나타낸다. 방송 네트워크는 몇몇 방송 채널로 이루어져 있다. 채널은 통신 수단을 통해 연속적으로 정보를 얻는 수단이다. 아날로그 텔레비전에서, 채널은 국(station)의 방송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이다. 이 경우에, 디지털 정보는 프레임 플라이백(frame flyback) 또는 "VBI" 동안 방송된다.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채널은 동일 프로그램 식별자를 가지는 데이터 흐름이며, 제 2 식별 레벨은 디지털 정보와 오디오-비주얼 데이터를구별 가능하게 해준다. 이 정보는 대화식 서비스, 텔레텍스트, 또는 디코더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팅 하기 위한 그 밖의 데이터 등을 구성한다.
디코더는 읽기-전용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프로그래밍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중앙 유닛을 포함한다. 디코더에는 보다 일상적으로 "회귀 경로(return path)"라고 칭하는 양방향 다이알로그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일반적으로 구비되어 있는데, 이 인터페이스는 통신 센터와의 특정 링크를 구현하게 해준다. 이 인터페이스는 전형적으로 교환 네트워크(switched network)와 링크된 모뎀이다.
방송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는 특히 업데이트 데이터인데, 이 업데이트 데이터는 디코더의 기능성을 업그레이드 하게 한다. 이 기능은 프로그래밍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된다. 업데이트 캠페인(campaign) 동안 수행되는 업데이트 데이터의 자동적인 다운로딩은 유저가 디코더에 수동으로 개입할 필요성을 회피하게 해준다. 이들 데이터는 세션 동안 반복적으로 송신된다.
디코더의 주 기능은 유저에게 화상과 대화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업데이트 데이터의 다운로딩은, 부수적이어서 우선권이 없는 작업이다. 디코더의 자원은 반드시 대화식 서비스와 업데이트 데이터의 다운로딩을 모두 처리가능해야 할 필요가 없다. 그리하여 유저의 불편을 가능한 한 적게 하면서 다운로딩을 수행하게 하는 해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회귀 경로를 통한 데이터의 조직적인 다운로딩은, 일반적으로 방송 네트워크의 대역폭보다 훨씬 제한된 대역폭을 가지며 임대된 라인의 사용 비용이 들기 때문에 생각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저의 불편을가능한 한 적게 하기 위하여 디코더의 자원을 잘 맞춤(tailoring))하여 업데이트 데이터를 다운로딩하는 적응성 있는 방식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업데이팅 어플라이언스를 위해 의도된, 통신 센터에 의해 발송되는 데이터를 다운로딩하거나 어플라이언스에 새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더 특별히 본 발명은 전형적으로 텔레비전 비디오 디코더 수신기인 어플라이언스의 메모리로 다운로딩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송신에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텔레비전 디코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모드에 따라 통지 신호의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센터에 의해 발송된 신호의 연대순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발송된 발송을 중지시키기 위한 표시자의 사용에 따라 센터에 의해 발송된 신호의 연대순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코더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의 콘텐츠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f은 업데이트 캠페인 동안 두 디코더 그룹의 버전의 진행을 도시하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c은 두 디코더 그룹에 대한 업데이트 캠페인 동안 통지 신호의 콘텐츠의 진행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변형에 따른 통지 신호의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두 번째 모드에 따라 센터와 디코더 사이에 교환되는 신호의 연대순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센터와 디코더 사이에 교환되는 신호의 연대순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변형에 따른 통지 신호의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변형에 따른 몇몇 통지 신호로 구성된 표의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통신 센터에 의해 업데이트 데이터를 복수의 단말로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 업데이트 데이터의 발송인 업데이트 캠페인 방송(broadcasting) 단계와,
- 센터와 적어도 몇몇 단말 사이에 양방향 통신을 형성(formulating)하는 단계와, 여기서 각 단말은 각 단말의 업데이트 상태의 표시를 센터에 송신하며,
- 실제로 업데이트 된 단말의 수의 센터의 레벨에서 업데이트된 단말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와,
- 업데이트된 단말의 수의 함수로서, 새 업데이트 캠페인을 정지하거나 트리거 하는 단계와,
- 이 단말에 의해 업데이트 표시의 부재를 발송한 이후 센터로부터 단말로 업데이트 데이터의 점대점 링크(point-to-point link)에 의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식으로, 센터는 실제로 업데이트된 단말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수가 충분하다면, 센터는 현재의 업데이트 캠페인을 중지할 수 있고, 또는 반대로, 현재 캠페인이 완료시에, 이 수가 불충분하다면, 센터는 새 캠페인을 시작할 수 있다. 만약 연속적인 업데이트 캠페인에 이어, 업데이트되지 않은 단말이 작은 수만 남아 있다면, 그 작은 수의 업데이트되지 않은 단말이 작은 수만 남아 있는 경우는점대점 링크의 도움으로 특정 통신 과정에서 그렇게 될 수 있다. 이것은 작은 수의 단말로 향하는 데이터를 발송하기 위해 대역폭의 연속된 사용을 회피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는 통신 센터에 의해 단말로 발송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센터는 몇몇 단말이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과정에서 업데이트 캠페인을 방송하는 업데이트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실제 업데이트 후에, 적절한 동작 실행 신호를 수신기로부터 센터로 송신하는 단계와, 이 단말에 의해 업데이트 표시의 부재를 발송한 이후에, 센터로부터 단말로 업데이트 데이터의 점대점 링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식으로, 단말은 단말의 저장 업데이트의 상태를 센터에 통지하며, 점대점 링크를 통해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는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고자 설계된 통신 센터와 수신기 단말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과 이점은 본 발명의 특정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의 그림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통신 시스템의 요소를 도시한다.디코더(1a, 1b, 1c)는 예를 들어 파라볼라 안테나(3)의 도움으로 비디오 신호를 픽업한다. 이들 비디오 신호는 위성(4)이나 무선 릴레이(hertzian relays)에 의해 송신된다. 이들 신호는 케이블이나 비트 속도가 충분히 큰 임의의 다른 통신 수단의 도움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이 신호는 또한 텔레비전(2)에 의해 수신된다.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정보는 중앙 유닛(6)이 구비된 통신 센터(5)에서 유래한다. 오디오-비디오 신호의 정보는 텔레비전으로 향하는 화상과, 대화식 서비스, 텔레텍스트 또는 디코더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데이터와 같은, 디코더로 향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정보의 삽입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에 의해 그 자체가 이미 알려져 있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텔레비전의 영역에서, 이 정보는 화상 신호들 사이의 "VBI" 또는 프레임 플라이백(frame flyback) 동안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송신된다. 디코더는 "회귀 경로(return path)" 또는 VR이라고 부르는 교환 전화 네트워크(switched telephone network)(7)와 양방향 경로에 의해 일반적으로 링크된다. 또한 이 경로는 위에서 설명된 케이블이나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이 이용가능한 임의의 다른 수단, 예컨대 RF 링크의 도움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센터의 중앙 유닛(6)은 또한 경로(7)에 연결된다. 통신 센터는 각 디코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8)를 소유한다.
도 2의 그림은 본 발명에 따른 디코더(1)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다. 디코더(1)는 내부 통신 버스(21)에 의해 다른 요소에 연결된, 중앙 유닛(20),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특수 회로(specialized circuit)를 포함한다. 버스에 연결된 주 요소에는, 특히 파워업(power-up)시에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읽기 전용 메모리(22), RAM 타입 작업 메모리(23), 데이터(예컨대 다운로딩된 스크린 페이지) 및/또는 실행가능한 코드(예컨대, 업데이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24), 텔레비전과 통신하기 위한 SCART 소켓(25)과 같은 컨넥터, 안테나(3)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기 위한 단방향 통신 인터페이스(26), 회귀 경로에 링크된 양방향 통신 인터페이스(27)(전형적으로 전화 네트워크에 링크된 모뎀), 및 원격 제어기로부터 알려진 방식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기(28)가 있다. 디코더는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딩된 데이터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는 클록(29)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코더는 텔레비전 내에 통합되어, 텔레비전으로 하여금 원격 제어기와 함께 적외선 수신기(28) 및/또는 튜너와 같은, 이미 존재하는 특정 모듈을 사용가능하게 한다.
여러 제조사로부터 유래하는 디코더는 여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을 가지며 그리고 서로 다른 성능을 가진다. 이것이 디코더가 두 개의 필드를 포함하는 식별자의 도움으로 식별되는 이유이다. 이 식별자는 예컨대 ROM 타입의 쓰기-금지된 메모리(write-prohibited memory) 내에 있다. 제 1 필드는 디코더의 메이커에 관한 기재 사항(reference)을 포함한다. 제 2 필드는 디코더의 타입을 포함한다. 이들 두 개의 필드는 디코더의 프로그램 읽기 전용 메모리 내에 위치된다.
방송 네트워크 상에서 발송되는 업데이트 데이터는 특정 모델의 디코더로 향해 가는데, 이것이 이들 데이터가 디코더 식별자 또는 디코더의 모델의 식별자와 연관되는 이유이다.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되고 있는 업데이트 데이터의 획득을 수행하기 전에, 디코더는 이 데이터가 자기 자신에게로 가는 것인지를 미리 검증하여야 한다. 이것을 하기 위해, 디코더는, 디코더의 버전 식별자와 메이커 식별자가 업데이트 데이터에 위치된 것과 동일한 값(또는 적어도 호환가능한 값)을 가지는지를 체크하여야 한다. 칩 카드와 같은 탈착 가능한 매체 내에 식별자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식별자는 가입자 번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새 업데이트 데이터의 송신을 디코더에 통지하기 위하여, 통신 센터는 먼저 통지 신호를 발송하고 그후 업데이트 데이터를 발송한다. 정확하게 수신된 통지 신호를 가지는 디코더만이 자기 자신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시적인 통지 신호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통지 신호는
- 디코더의 식별자나 목표로 된 디코더의 모델의 식별자(이 예에서는 TA)와,
- 버전 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식별자(이 예에서는 V3)와,
-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발송 타임 간격, 또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발송 순간(이 예에서는 TD1A, TF1A)과,
- 업데이트 데이터를 정확히 위치지정(pinpointing) 하기 위한 정보(이 예에서는 RZ3)와,
- 방송 네트워크 상에서 캠페인의 상태의 표시자(이 예에서는 값 "ON"을 가짐)를
적어도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으로 구성된다.
데이터 위치지정 정보(data pinpointing information)는 디코더로 하여금 업데이트 데이터를 찾게 해주는 수단을 지정한다. 만약 이 수단이 방송 네트워크라면, 통지 신호는 채널 번호가 후속하는 심볼 "RZ"를 포함한다. 이 수단은 또한 전화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이때 신호는 10-디지트 전화 번호가 후속하는 전화 번호(심볼 "TEL")를 포함한다. 이 수단은 또한 예컨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일 수 있으며, 이때 신호는 서버의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문자 열이 후속하는 심볼 "IP"를 지정한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 데이터가 원격 서버의 베이스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대화식 서비스를 구성한다면, 위치지정 정보는 약어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나타냄)로 알려진 데이터 아이템일 수 있으며, 이 URL은 데이터가 서버 내에 위치된 어드레스를 구성한다. 통지 신호는 텍스트, 네트워크에 억세스하기 위한 인용문(HTML), 또는 심지어 대화식 서비스와 같은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발송 타임 간격은 최초 데이터 발송 타임(시-분-초)과 최종 데이터 발송 타임에 의해 정의된다. 만약 최초 통지 신호 발송과 최종 업데이트 데이터 발송이 24시간을 초과하는 시간으로 떨어져 있다면, 일자(일과 월)가 추가되어야 한다. 만약 위치지정 정보가 회귀 경로를 지정하면, 통지 신호는 임의의 발송 타임 간격을 포함하지 않는다. 센터는 사실상 회귀 경로에 의해 언제라도 호출될 수 있다. 유리하게도, 센터는 디코더가 일반적으로 보다 덜 자주 사용되는 순간에 업데이트 데이터의 발송을 위한 타임 간격을 결정한다. 이리하여 업데이트 데이터의 발송이 밤에 수행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일 변형은 세션의 발송의 타임 간격이 아닌 각 세션의 발송의 시작 순간을지정하는 것에 있다. 이 변형은 디코더가 정확한 순간에 동기화(lock onto)할 수 있기 때문에 디코더의 정밀 프로그래밍(fine programming)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발송 순간이 많지 않을 때에 특히 고려해 볼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통지 신호의 사이즈가 너무 클 것이다.
"방송 네트워크 상에 캠페인의 상태의 표시자(indicator)" 또는 좀더 간단히 "캠페인 표시자"라고 부르는 제 5 필드는 통지되는 데이터가 방송되었는지 여부와 이들이 최종 방송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이다. 센터는 대화식 서비스의 발송과 같은 예정하지 않은 이벤트에 의해 방해받을 수 있으며 갑자기 더 이상 예정된 데이터를 발송할 수 없을 수 있다. 표시자는 데이터의 방송 중지를 디코더에게 알리고 이 디코더에게 캠페인의 그 다음 종료를 미리 통고받을 수 있게 해준다. 이 표시자는 3개의 값:
- "STB" ("0"로 코드됨), 통지된 데이터가 더 이상 방송되지 않는다.
- "ON" ("1"로 코드됨), 통지된 데이터가 방송된다.
- "END" ("2"로 코드됨), 통지된 데이터가 최종 방송된 데이터이다.
"STB" 상태의 표시자를 갖는 통지 신호는 발송 간격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그러는 동안 "ON" 상태의 표시자를 갖는 통지 신호가 방송되었다면, 디코더로 하여금 지정된 간격 동안 다운로딩할 준비를 할 수 있게 해준다.
통지 신호의 데이터와 업데이트 데이터의 발송은 사용되는 신호의 연대순 배열과 송신 수단의 함수에 따라 4가지의 서로다른 시나리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1. - 통지 신호와 업데이트 데이터가 방송 네트워크의 동일 채널 상에서 발송된다. 업데이트는 바로 또는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2. - 통지 신호는 몇몇 방송 채널 상에서 발송되며 업데이트 데이터는 단일 채널 상에서 발송된다. 업데이트는 바로 또는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3. - 통지 신호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방송 채널 상에서 발송되며 업데이트 데이터는 회귀 경로 상에서 발송된다. 이 경우는 예를 들어, 디코더가 유저에 의해 항상 동작되었을 때 또는 플러그 연결이 빠졌을 때 일어난다. 디코더는 이때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업데이트 데이터를 다운로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디코더는 센터와의 연결되는 경우에, 일단 통지 신호가 수신되면, 회귀 경로를 통해 데이터의 다운로딩을 요청할 수 있다.
4. - 통지 신호와 업데이트 데이터는 회귀 경로 상에서 발송된다. 이 경우는 예를 들어 통신 센터가 임의의 대역폭을 방송 네트워크 상의 통지 신호에 할당하지 않도록 결정할 때 일어난다. 그래서, 회귀 경로를 통해 센터와의 연결되는 경우에, 센터는 통지 신호를 이 연결된 디코더에 송신한다.
처음의 두 시나리오는 대다수의 디코더를 업데이트 가능하게 해주며, 나중의 두 시나리오는 보다 소수의 디코더에 관련된다. 4개의 시나리오는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4의 그림은 제 1 시나리오에 따라 방송 네트워크의 지정 채널 상에서 센터에 의해 발송된 신호의 연대순 배열을 도시한다. 모든 통지 신호에서의 캠페인 표시자(campaign indicator)는 "ON" 상태에 있다.
처음 - 타임(T1)에서, 캠페인은 "활성(active)"이라고 부른다. 업데이트 데이터는, 첫 번째 통지 신호에 지정된 타임 간격에 속하는 순간(M1, M2, 및 M3)에서 방송 네트워크 상에서 발송된다. 도 4에서, 통지 신호는 화살표 라인으로 표시되고 데이터는 두꺼운 라인으로 표시된다. 첫 번째 신호는 순간(M1, M2, 및 M3)에서 그 다음 데이터 세션 발송을 지정한다. 순간(M1)에서, 첫 번째 데이터 세션이 방송된다. 세션은 몇 개의 두꺼운 라인으로 표시되며, 이리하여 업데이트 데이터 전체를 한번 이상 표시하는, 몇 개의 데이터 패킷의 연속적인 발송(데이터의 순환 방송)을 도시한다. 이후 두 번째 통지 신호가 발송되며, 순간(M2 및 M3)에서 그 다음 세션 발송을 통지하며, 이와 같이 계속된다. 통지 신호는 하나 그리고 동일한 세션의 두 패킷 사이를 제외하고는 임의의 순간에 발송될 수 있다.
이후, 통지 신호만이 방송되며, 여기서 통지 신호는 그 다음 업데이트 데이터(M1', M2', M3') 발송에 해당하는 타임 간격을 지정한다. 캠페인은 "현재(current)"라고 부른다. 이러한 두 번째 타임은 다른 데이터 흐름에 대역폭을 할당가능하게 한다. 이후에도 여전히, 캠페인은 다시 활성으로 된다.
도 5의 그림은 캠페인의 과정에서 표시자의 값의 변화의 영향을 도시한다. 발송된 첫 번째 통지 신호(SG1)와 이 신호 뒤에 오는 신호는 "ON" 상태의 캠페인 표시자를 소유한다. 캠페인은 먼저 현재이고 이후 활성이다(업데이트 데이터가 방송된다). 특정 순간에, 센터는 더 이상 다른 데이터 세션을 발송하지 않는데, 그래서, 센터는 "STB" 상태의 표시자를 갖는 통지 신호(SG2)를 송신한다. 이 순간부터 앞으로, 송신되었어야 하는 업데이트 데이터는 도 5에서 속이 빈 라인(empty line)으로 표시된다. 이들 순간에는, 다른 정보가 방송된다. 동일 값의 표시자를 갖는몇몇 통지 신호는 SG2 동안 청취하지 못했을 수 있는 특정 디코더에게 미리 통지하도록 송신된다. 마지막으로, 통지 신호(SG3)의 앞으로, 모든 신호는 "ON" 상태의 캠페인 표시자를 소유한다. 이후 디코더는 업데이트 캠페인의 재개가 미리 통고 받고, 그리고 지정된 타임 간격의 시작시에 데이터의 수신을 시작할 수 있다.
이제 우리는 디코더의 거동을 설명하고자 한다. 디코더가 스위치 온 될 때, 디코더는 방송 채널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를 연속적으로 분석한다. 이 분석은 트랜스포트 소프트웨어 계층(transport software layer)에 의해 수행된다. 이 계층은 통지 신호, 업데이트 데이터, 및 다른 메시지를 검출한다.
센터에 의해 발송된 통지 신호는 데이터 패킷으로 병합된다. 디코더는 패킷을 수신하며 트랜스포트 계층은 이전에 기술된 5개의 데이터 아이템으로 구성된 통지 신호를 검출한다. 이 디코더는 송신된 디코더의 식별자(메이커의 기재 사항과 디코더의 타입)와 디코더의 메모리에 기록된 식별자를 비교한다. 만약 이 식별자가 서로 다르면, 통지 신호는 무시된다. 만약 이 식별자가 동일하면, 디코더는 통지 신호의 데이터와 이와 연관된 업데이트 데이터의 사실상 수신자(addressee)가 된다.
이 경우에, 디코더는 데이터의 식별자를 분석하고 이 식별자로부터 버전 번호를 추출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버전 번호와 비교한다. 만약 버전 번호가 동일하면, 디코더는 업데이트 데이터의 이러한 버전이 이미 설치되어 있어, 새로이 다운로딩을 할 필요성이 없다. 이 번호가 서로 다르면, 디코더는 통지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통지 신호 영역(announcement signals area)"이라고 부르는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가장 최근의 통지 신호의 데이터는 이미 수신된 신호의 데이터를 덮어써서, 그 결과 단 하나의 통지 신호만이 메모리에 존재한다.
디코더의 비휘발성 메모리는 도 6에 표시된 영역을 적어도 포함한다.
디코더의 실제 업데이팅은 디코더의 공칭 동작을 방해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리하여 이 업데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유저가 디코더의 대화식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그리고 일반적으로 디코더가 유저에 의해 동작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일어난다. 가장 유리한 순간은 통상 밤이다. 디코더가 사용되는 것을 중지할 때마다. 디코더는 통지 신호 영역의 콘텐츠를 판독한다. 이 영역이 비어있으면, 마지막 업데이트 이후, 신호는 수신되지 않고, 그 다음 단계는 실행되지 않으며, 프로그램은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통지 신호 영역이 비어있지 않으면, 디코더는 통지 신호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신호가 지정 타임 간격 내에 있는지를 결정한다. 이것을 하기 위해, 디코더는 발송 시작 타임과 발송 종료 타임을 현재 타임과 비교한다. 발송 종료 타임이 경과되면, 업데이트를 수행하기에는 너무 늦게 된다. 만약 발송 시작 타임이 도달하지 않았다면, 디코더는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코더는 대기 모드에도 있을 수 있고 시작 타임 전 몇몇 순간에 웨이크업(wake-up)을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현재 타임이 그 간격 내에 있으면, 디코더는 통지 신호에 지정된 수단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먼저 그 경우를 조사해 보자 그렇지 않으면 신호가 방송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가 이용가능한지를 나타낸다. 양방향 링크에 관련된 경우는 본 상세한 설명에서 더 조사된다.
통지 신호에 지정된 타임 간격의 과정에서, 디코더는 단방향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통해, 지정된 방송 채널을 청취하기 시작한다. 거의 전체 자원이 다운로드에 전용되므로, 디코더의 유저측의 실현성(possibilities)이 크게 감소된다. 이리하여, 모든 대화가능성은 특정 모델을 위한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금지된다. 디코더는 각 패킷을 분석하고 이 업데이트 데이터에 해당하는 것을 판독하고 추출한다. 디코더는 이후 통지 신호 영역에 저장된 것과 이 수신된 데이터 식별자를 비교한다. 이들 신호가 동일하면, 데이터가 사실상 통지된 것이 된다. 디코더는 이후 비휘발성 프로그래밍 가능한 메모리에 데이터의 콘텐츠를 기록한다.
업데이트가 수행되었을 때, 디코더는 자신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포함된 버전 번호를 업데이트 한다. 이러한 새 버전 번호는 디코더가 동일 버전과 그리하여 동일 데이터이므로 업데이트를 수행할 필요성을 회피시켜 준다. 이후, 디코더는 또한 통지 영역을 제로로 설정한다. 이리하여 이 영역은 그 다음 파워업 시에 비어 있는 것으로 선언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디코더는 적절한 업데이트 동작 실행 신호를 통신 센터에 송신한다. 이 신호는 회귀 경로를 통해 송신된다. 만약 업데이트 데이터가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발송될 때, 디코더가 적절한 업데이트 실행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점대점(point-to-point)"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바로 수행하거나 이 신호를 저장하고 회귀 경로를 통해 이후 연결시에 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유리하게, 이 신호는 디코더의 실제 업데이트의 타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리하여 센터는 디코더가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자기 자신을 업데이트 하는 순간에관한 통계를 생성할 수 있다.
업데이트 데이터는 한번 이상 발송될 수 있다. 만약 이 데이터가 수 회 발송되면, 이 데이터가 이용가능한 순간에 디코더에 도달하는 기회가 증가되며, 이것은 최대 개수의 디코더를 업데이트 가능하게 한다.
업데이트 캠페인의 실행의 일례가 이제 제공된다. 자기 고유의 식별자 값을 각각 가지고 있는, 두 가지 모델의 디코더, 즉 디코더 A 및 디코더 B를 생각해 보자. 모델 A의 디코더 그룹은 업데이트 데이터 버전 번호 2 ("V2")를 가지며 모델 B의 디코더 그룹은 업데이트 데이터 버전 번호 5 ("V5")를 가진다. 캠페인의 목적은 두 그룹의 업데이팅을 수행하는 것인데, 디코더 A는 버전 3 ("V3")을 수신하며 디코더 B는 버전 6 ("V6")을 수신한다.
디코더의 집합은 도 7a의 그림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업데이트 캠페인은 통지 신호의 송신으로 시작한다. 도 8a에 표시된 통지 신호는 두 데이터 그룹을 포함하는 블록이며, 첫 번째 데이터 그룹은 타입 A의 디코더에 관한 것이고 두 번째 데이터 그룹은 타입 B의 디코더에 관한 것이다. 이리하여 두 가지 개별 통지 신호를 발송하는 것이 가능한데, 첫 번째 개별 통지 신호는 디코더 A에 해당하며, 두 번째 개별 통지 신호는 디코더 B에 해당한다. 도 8a에 나타나 있는 값은 디코더 A로 가는 버전 3에 해당하는 업데이트 데이터가 방송 채널 번호 3에 대한 타임 간격[TD1A, TF1A]의 과정에서 이용가능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코더 B로 가는 버전 6에 해당하는 업데이트 데이터는 방송 채널 번호 5에 대한 타임 간격[TD1B,TF1B]의 과정에서 이용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 통지 신호는 특정 횟수만큼 동일하게 반복된다. 디코더의 메모리에, 디코더 A는 방송 네트워크의 채널 3에서, 버전 번호(V3), 발송 타임 간격[TD1A, TF1A], 및 업데이트 데이터 억세스 수단을 기록한다. 디코더의 메모리에, 디코더 B는 방송 네트워크의 채널 5에서, 버전 번호(V6), 발송 타임 간격[TD1B, TF1B]과 업데이트 데이터 억세스 수단을 기록한다. 이후 디코더는 디코더 A에 대한 첫 발송 타임(TD1A)과 디코더 B에 대한 첫 발송 타임(TD1B)을 기다린다.
디코더에 중앙 유닛을 깨울 수 있는 클록이 비치되지 않으면, 중앙 유닛은 방송 네트워크를 모니터하고 업데이트 메시지의 도착을 볼 수 있다. 이 타임 동안, 디코더의 미사용 부분은 저소비 모드(예컨대 디스플레이)에 있을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디코더는 통지 신호에 지정된 타임 간격의 시작하기 짧은 타임 전에 웨이크업을 트리거하기 위한 클록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으며, 이후 전체 디코더는 대기 모드로 갈 수 있다. 만약 통지 신호가 타임 간격을 포함하지 않고 발송 순간을 포함하고 있다면, 디코더는 연대순으로 첫 번째 발송 순간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업데이트 데이터는 반복 세션 동안 송신된다. 예에서, 디코더 A로 가는 데이터는 순간(MA1, MA2, 및 MA3)에서 3회 타이(ties)로 발송되며, 디코더 B로 가는 데이터는 순간(MB1, MB2, MB3, MB4)에서 4회 발송된다. 아래에서 보는 바와 같이, VR에의해 센터와의 연결이 디코더의 적절한 업데이팅을 표시하게 요청될 수 있기 때문에, 단말 A 및 B에 대한 신호의 발송을 교번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 A 및 B에 대한 발송이 교번되면, 상당히 빨리 디코더 A 및 B가 자기 자신을 업데이트 하게 되며 VR을 통해 연결되고자 하게 된다. 이것은 센터의 레벨에서 통신을 과부하시킬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단말 B에 대한 캠페인을 시작하기 전에 최대 개수의 단말 A를 업데이트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코더 A로 가는 데이터의 첫 번째 발송 이후(이 예에서, 순간 MA1 이후)에, 디코더의 상태가 도 7b에 표시된 것이라고 가정해 보자. 절반의 디코더보다 약간 더 적은 수가 업데이트 되었다. 순간(MA2)의 데이터의 발송 이후, 구 버전(V2)을 갖는 디코더 보다 새 버전(V3)을 갖는 디코더(A)가 더 많다. 디코더의 상태는 도 7c에 도시된다. 마지막 업데이트 데이터의 방송 이전의 몇몇 타임에, 센터는 "END" 상태의 표시자의 값을 갖는 통지 신호를 발송한다. 디코더는 이리하여 마지막 업데이트 데이터가 발송될 것을 알게 된다. 각 디코더는 텔레비전 스크린 위에 또는 디코더의 디스플레이 위에 또는 임의의 다른 디스플레이 수단 위에 메시지를 통해 이 사실을 유저에게 알려준다. 유저는 이리하여 디코더가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자기 자신을 업데이트 하도록 자기의 디코더의 사용을 정지시키는 가능성(possibility)을 갖는다. 디코더 A로 가는 데이터의 마지막 발송 이후, 매우 적은 수의 업데이트 되지 않은 디코더만이 남아 있으며, 이 디코더의 상태는 도 7d에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 B의 첫 발송 이후(이 예에서, 순간 MB1 이후)에, 디코더의 상태는 도7e에 도시된다. 디코더 B로 가는 데이터의 마지막 발송 이후(이 예에서, 순간 MB4 이후)에,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개수의 업데이트되지 않은 디코더가 여전히 남아 있다.
정확히 수행된 업데이트 이후에, 각 디코더는 적절한 동작 실행 신호를 통신 센터로 송신한다는 것이 이미 설명되었다. 이 신호는 회귀 경로를 통해 송신된다. 통신 센터는 이들 신호를 저장하며 처리한다. 이 통신 센터는, 응답 관성을 가지고, 구 버전과 새 버전이 구비된 디코더의 양을 대략 결정한다.
이후 통신 센터는 수행되는 캠페인의 효과를 분석하고 아직도 업데이트되어야 하는 디코더의 수를 결정한다. 디코더 A에서, 이 수는 적으며, 그 업데이트는 센터에 의해 야기된 통신 동안 또는 유저에 의해 야기된 이후의 통신 동안 회귀 경로를 통해 수행된다. 디코더 B에서, 그 수는 회귀 경로를 통해 개개 업데이트를 수행하기에 너무 크며, 이후 센터는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새 업데이트 캠페인을 수행하고자 결정한다. 이러한 새 캠페인은 도 8b에 표시된 데이터를 갖는 통지 신호의 송신으로 시작한다. 새 타임 간격[TD2B, TF2B]의 과정에서, 디코더 B에 대한 업데이트 일자는 방송 네트워크 상에서 이용가능하다.
이러한 새 캠페인의 종료시에, 아직 업데이트되어야 하는 디코더의 수는 적으며 그리하여 회귀 경로를 통한 업데이팅이 가능하다. 이후 센터는 방송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의 발송의 종료를 나타내는 도 8c에 표시된 통지 신호를 송신한다. 아직 최신이지 않은 단말은 회귀 경로의 도움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귀 경로를 통한 데이터의 다운로딩은 제 3 시나리오로 기술된다.
일 변형으로서, 만약 캠페인 과정에서, 통신 센터가 대다수의 디코더가 업데이트된 것과 나머지 디코더가 회귀 경로를 통해 그렇게 될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하하면, 업데이트 데이터의 발송의 조기 종료를 나타내는 신호는 초기에 예정된 발송의 마지막 타임 이전에 송신될 수 있다. 이 신호는 지정될 수 있으며 통지 신호의 포맷을 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 통지 신호는 이전의 타임 간격보다 더 짧은 타임 간격을 포함하여, 초기에 예정된 마지막 업데이트를 제거하게 된다. 이 변형은 겨우 몇 개의 디코더에게만 유용한 데이터가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될 필요성을 회피되게 해준다.
유리하게, 통지 신호와 업데이트 데이터의 발송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예컨대 통지 신호와 업데이트 데이터 세션의 발송을 방송 네트워크 상에서 교번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신 문제(예컨대, 데이터의 손상 문제)를 제외하고는, 단일 데이터 세션의 방송의 바로 이어 단일 통지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실, 통지 신호의 연속적인 방송은 최대 개수의 디코더가 그 다음 데이터 발송을 미리 알게 된다. 통지 신호가 세션의 발송 순간(M1, M2, M3) 사이에 발송된다는 것을 도 4에서 볼 수 있다. 업데이트 데이터의 발송 사이의 통지 신호의 삽입은 신호에 나타나 있는 첫 번째 순간으로부터 바로 이용가능한 디코더를 업데이트 하는 이점을 가지며, 이 업데이트 데이터의 발송이 통지 신호에 바로 따라간다.
일 변형의 실시예는 메모리 내에 몇몇 통지 신호를 저장하는 것에 있다. 경과된 창을 소유하거나 모든 발송 순간이 경과된 통지 신호는 자동적으로 소거된다.본 순간 이후에 발송 순간을 가지는 통지 신호만이 고려된다.
제 1 시나리오의 개선점은 몇몇 방송 채널 상의 통지 신호를 발송하는 것에 있다. 이것은 제 2 시나리오이며, 거의 대역폭을 요구하지 않는 통지 신호가 발송되는 채널의 성능을 거의 저하시키지 않기 때문에, 지정 채널 상으로 업데이트 데이터가 발송된다는 것을 최대 개수의 디코더에 알려주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9에 표시된 통지 신호는 채널 1, 채널 2, 및 채널 5 상에서 동일하게 발송된다. 이 통지 신호는 업데이트 데이터의 버전 3이 타임 간격[TDi, TFi]으로 채널 4 상에서 이용가능할 것을 지정한다.
채널 1, 채널 2, 및 채널 5를 수신하는 디코더(Ti)는 이 통지 신호를 처리한다. 디코더가 버전 3을 요구하면, 디코더는 순간(TDi및 TFi) 사이의 채널 번호 4를 모니터링 하며 데이터를 포착한다. 채널의 변경은 디코더가 유저에 의해 사용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순간(M1)에서, 디코더가 채널의 변화를 수행함으로써, 유저에 다운로드를 제안한다. 유저는 다운로드를 허용하거나 거절할 수 있다. 거절하는 경우, 디코더는 순간(M2)에서 다시 다운로드하는 것을 제안한다.
일 변형에 따라, 만약 이것이 캠페인의 종료가 아니면(캠페인 표시자는 값 "END"를 가지지 않는다), 디코더는 유저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으며 다운로드로 진행하기 위하여 자기가 디코더를 사용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대기한다. 다운로드 결정은 이후 디코더에 의해 단독으로 이루어지고, 유저는 이것을 알지 못할 수 있다.다른 한편으로, 통지 신호가 캠페인의 종료를 나타내면, 다운로드는 예컨대 자기가 디코더를 실행하지 않으면, 업데이트가 회귀 경로를 통해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자기에게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제안되어야 한다.
제 1 시나리오에서와 같이, 다운로드의 종료시에, 디코더는 동작의 종료시에 적절한 실행 신호를 발송한다.
디코더가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발송된 데이터를 다운로딩할 수 없는 모든 경우에, 디코더가 유저에 의해 항상 동작되거나 플러그 뽑혀 있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제 3 시나리오는 디코더로 하여금 회귀 경로를 통해 다운로드를 수행하게 해준다. 디코더는 그리하여 회귀 경로를 통해 센터와 연결되는 것으로부터 이익이 있다. 이 연결 동안, 예컨대 유저에 의해 요청되는 대화식 서비스의 실행일 수 있는 이유로, 디코더는 업데이트 데이터의 송신을 요청하는 신호를 발송한다.
도 10의 그림은 제 3 시나리오에 따라 디코더와 센터 사이에 교환되는 신호의 연대순 배열을 도시한다. 초기-타임 T1에, 업데이트 데이터는 방송 네트워크 상에 억세스 가능하다. 특정 디코더는 이 타임의 완료시에 자기 자신을 업데이트 할 수 없다. 그후 타임 T2 과정에서, 업데이트 데이터의 발송은 방송 네트워크 상에서 중지되며 통지 신호는 그리하여 데이터가 양방향 회귀 경로를 통해 또한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타임 T3의 시작시에, 디코더는 센터까지 연결한다. 디코더는 업데이트의 다운로딩을 하기 위해 단독으로 그렇게 할 수 있으며 또는 유저의 주도로, 대화식 서비스를 요청하고 종료시에 다운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두 경우에, 연결의 과정에서, 디코더는 업데이트를 요구하는 요청을 발송한다. 이후 센터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송신한다. 다운로드의 종료시에, 적절한 실행 신호가 디코더에 의해 송신되어, 이리하여 디코더의 업데이터를 센터에 알려준다.
대역폭이 업데이트 데이터와 통지 신호보다 더 높은 우선권을 갖는 다른 신호에 의해 매우 과밀(congested)된 것과 이 타입의 정보에 할당될 임의의 대역폭이 더 이상 없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디코더는 통지 신호를 방송하는 채널에 연결되지 않는 것과 연결되는 경우에 디코더는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는 것을 파악하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디코더는 이후 양방향 경로를 통해 통지 신호를 디코더에 송신하도록 센터에 요청할 수 잇다. 본 발명의 개선이 되는 제 4 시나리오에 따라, 디코더는 통지 신호와 업데이트 데이터 모두를 발송하도록 회귀 경로를 사용한다.
도 11의 도면은 이러한 제 4 시나리오에 따라 디코더와 센터 사이에 교환되는 신호의 연대순 배열을 도시한다. 유저의 주도로, 디코더는 예컨대 대화식 서비스를 요청하도록 통신 센터에까지 연결한다. 센터는 통지 신호와 요청된 서비스를 송신함으로써 응답한다. 디코더는 통지 신호의 송신을 인식하며 디코더가 업데이트를 필요로 하는지 체크한다. 만약 필요한 경우라면, 디코더가 진행중인 업데이트를 유저에게 미리 알려준다. 유저는 대화식 서비스의 실행의 종료 때까지 업데이트를 허용하거나 연기할 수 있다. 디코더가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된 때, 디코더는 센터에 요청을 송신한다. 센터는 이후 업데이트 데이터를 발송한다. 데이터가 수신되고 정확히 메모리에 기록되면, 디코더는 적절한 동작 실행 신호를 송신하며 통신 단절한다. 센터는 이 디코더가 데이터의 새 버전과 함께 방금 업데이트되었다는 것을 표시함으로써 메모리를 업데이트 한다.
이러한 제 4 시나리오의 이점은 업데이트될 디코더가 완전히 목표로 정해진 것이라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센터는, 적절한 실행 신호의 송신의 관성이 주어진다면, 각 디코더의 메모리에 포함된 버전을 대략 알고 있다는 것은 이미 설명되었다. 회귀 경로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에, 센터는 이 디코더가 새 버전을 요구하는지를 검증한다. 만약 요구한다면, 디코더가 자기 자신을 업데이트 한다는 것을 디코더에게 암시하는 통지 신호를 발송한다. 디코더는 발송되는 버전 번호와 메모리에 있는 번호를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센터는 적절한 실행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였을 수도 있고, 이 요청을 잘못되게 할 수 있다. 만약 디코더가 업데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 디코더는 자신의 메모리를 이후 업데이트 하는 센터에 이것을 표시한다. 만약 디코더가 업데이트를 원하면, 디코더는 센터에 이미 기술된 시나리오를 수행하도록 요구한다.
본 발명의 개선이 제 5 시나리오로 표시된다. 제 5 시나리오는 디코더의 유저에 의해 대부분 동작되고 통지 신호를 포착할 가능성이 없는 디코더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에, 디코더의 주도로 센터와 연결되는 경우, 센터는 업데이트 데이터가 방송 네트워크 상에서 현재 방송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 신호를 송신한다. 디코더는 이후 발송을 알게 되고 유저에게 자기가 자기 디코더를 업데이트 할 수 있음을 알게 된다. 유저는 이후 동작 타임 동안 자기 디코더의 사용을 중지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의 일 변형은 해독 키를 가지지 않는 어느 누군가는 이용가능하지 않은 오디오-비주얼 정보를 제공하는 암호화된 성분을 가지는 네트워크 상에서방송된 데이터에 있다. 이 키는 이 키를 소유하는 디코더로 하여금 업데이트 데이터를 해독하게 하며 이 데이터가 사용가능하게 해준다. 통지 신호가 지정 연결을 통해 각 디코더에 개별적으로 송신되면, 이 신호는 해독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유저는 예컨대 합계 금액을 지불하여 이 키를 수신할 권리를 획득하도록 주의 하였다.
일 변형은 메모리에 다운로딩된 데이터의 손상을 고려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데이터가 더 이상 사용가능하지 않으면, 새 데이터가 다운로딩되어야 하며, 이것은 "백업 재-업데이트(backup re-update)"이다. 문제의 디코더는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발송된 정보를 분석하고 자기의 모델에 따라 통지 신호를 수신한다. 이리하여 디코더는 신호가 요구하는 소프트웨어 버전 뿐만 아니라, 신호를 포착하는 수단과, 어느 순간에 디코더가 다운로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만약 캠페인이 활성이라면, 디코더는 데이터를 바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만약 캠페인이 현재라면, 제 3 시나리오와 유사한 방식으로, 디코더는 센터와 연결을 수행하며 회귀 경로를 통해 업데이트 데이터를 다운로드 한다. 백업 업데이트를 트리거하는 인자(factor)는 빈 메모리를 소유하는 새 디코더의 유저의 기술 사항(premises)에서의 수신일 수도 있다.
이 변형에 따라, 통지 신호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추가 필드를 소유한다. 이 필드는 양방향 링크(전화 네트워크,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어드레스, 등)를 통해 데이터를 다운로드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지정한다. 도 12의 예시적인 통지 신호에 따른 데이터는 (채널 RZ3 상의)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발송되고, 백업의경우에, 디코더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TEL"로 표시된 번호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은 통지 신호 내의 유효일 및/또는 유효 종료일을 포함하는 것이다. 유효일은 유저가 지정일 앞으로만 다운로딩된 데이터에 억세스 허여 가능하게 한다. 유효 종료일은 다운로딩된 데이터에 대한 유저의 억세스를 제거가능하게 한다. 다운로딩된 데이터는 이리하여 메모리로부터 소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얼마의 공간이 비게 된다. 유리하게, 만약 디코더가 유효 종료일이 이미 지나간 유효 신호를 수신하면, 디코더는 이 통지 신호를 무시한다. 일 변형에 따라, 만약 몇몇 통지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요소가 동일하면, 헤더에 구비된 표 내의 것을 함께 그룹짓는 것도 가능하다. 이 헤더는 이 표의 모든 통지 신호에 공통인 값을 포함한다. 도 13은 1, 2, 및 3이라고 번호 매겨진 3개의 데이터 그룹을 발송하는 것에 따라 3개의 통지 신호를 포함하는 표를 도시한다. 위치지정 정보(RZ3)와 유효 일(DATE-V)은 3개의 데이터 그룹에 대해 동일하며 헤더에 함께 그룹지어져 있다. 유효 종료일(DATE-F1, DATE-F2, DATE-F3)과 같은 서로다른 값이 각 통지 신호에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텔레비전의 영역과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역 내에 동등하게 잘 적용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업데이팅 어플라이언스를 위해 의도된, 통신 센터에 의해 발송되는 데이터를 다운로딩하거나 어플라이언스에 새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에 이용가능하며, 좀더 특별히 본 발명은 전형적으로 텔레비전 비디오 디코더 수신기인 어플라이언스의 메모리로 다운로딩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송신에 적용된다.

Claims (15)

  1. 통신 센터에 의해 복수의 단말로 업데이트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 업데이트 데이터를 발송하는 것인 업데이트 캠페인을 방송하는 단계와,
    - 상기 센터와 상기 단말 중 적어도 일부 사이와의 양방향 통신을 형성하는 단계와, 여기서 각 단말은 각 단말의 업데이트 상태의 표시를 상기 센터에 송신하며,
    - 실제 업데이트된 단말의 번호를 상기 센터의 레벨에서 결정하는 단계와,
    - 업데이트 된 단말의 수의 함수로서, 새 업데이트 캠페인을 중지하거나 트리거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 데이터 송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통신은 상기 업데이트 캠페인 동안 상기 단말을 실제 업데이트 한 이후에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 데이터 송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통신은 상기 업데이트 캠페인 외부에 단말의 시작시에 일어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센터의 요청시에 업데이트 표시의 부재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 데이터 송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표시의 부재의 송신 이후에 상기 센터로부터 상기 단말로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 데이터 송신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는 단말의 타입에 따라 다르며, 상기 센터의 레벨에서 업데이트된 단말의 수의 결정은 각 단말의 타입의 함수로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 데이터 송신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새 업데이트 캠페인은 상기 업데이트된 단말의 수와 업데이트되지 않은 단말의 수 사이의 비율의 함수로서 트리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 데이터 송신 방법.
  7. 통신 센터에 의해 단말로 발송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센터는 일부 단말이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며 저장하는 과정에서 업데이트 캠페인을 방송하는, 업데이트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실제 업데이팅 이후에, 적절한 동작 실행 신호를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센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 데이터 수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는 단말의 유형의 표시를 포함하며, 단말의 업데이트는 만약 상기 표시가 상기 단말의 타입에 해당하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 데이터 수신 방법.
  9. 업데이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6), 지정 기간 동안 업데이트 데이터를 방송하는 수단(4)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로 가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발송하기 위한 통신 센터(5)에 있어서,
    각 단말로부터 업데이트 수행된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단말 중 적어도 일부와의 양방향 통신 수단(7)과, 수신된 신호의 수를 결정하기 위한 카운터(6)와, 상기 카운터의 값이 지정 수보다 더 작을 때 다시 한번 상기 데이터를 방송하기 위하여 방송 수단을 트리거 하는 비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센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통신 수단(7)을 통해 통신하는 단말에 이용가능한 업데이트 데이터 통지 신호의 발송기(dispatcher)와, 상기 단말로부터 유래하는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단말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센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메모리(6) 내에, 데이터 블록을 처리할 수 있는 단말의 타입에 해당하는 데이터 블록과, 각 단말 타입에 해당하는 카운터(6)를 포함하며, 상기 각 카운터는 단말의 타입에 해당하는 각 단말에 대해 업데이트 수행된 신호의 수를 결정하며, 상기 비교기는 상기 카운터의 타입에 해당하는 타입을 갖는 데이터 블록의 방송을 트리거 하는, 통신 센터.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업데이트된 단말의 수와 업데이트되지 않은 단말의 수 사이의 비율을 고려하는, 통신 센터.
  13. 업데이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6), 지정 기간 동안 업데이트 데이터를 발송하는 수단(4)을 포함하며, 복수의 단말로 가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발송하기 위한 통신 센터(5)에 있어서,
    각 단말로부터 업데이트 수행된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단말 중 적어도 일부와의 양방향 통신 수단(7)과, 수신된 신호의 수를 결정하기 위한 카운터(6)와, 상기 카운터의 값이 지정된 수보다 더 클 때 상기 방송 수단을 비활성화하는 비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센터.
  14. 방송 네트워크(4)를 통해 통신 센터로부터 유래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메모리(24)와, 상기 센터와 양방향 통신 수단(7)이 구비된 단말(1)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통신 수단은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 저장 이후에 활성화되고 상기 센터로 가는 업데이트 수행된 신호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센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24)는 단말의 타입의 값을 포함하며, 양방향 통신 수단은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 저장 이후에 상기 값을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센터.
KR1020027008316A 1999-12-30 2000-12-29 통신 센터에 의해 복수의 단말로 업데이트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통신 센터에 의해 단말로 발송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통신 센터 KR100768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16746A FR2809838A1 (fr) 1999-12-30 1999-12-30 Procede de telechargement de donnees precedees par des signaux d'annonce
FR99/16746 1999-12-30
FR00/02257 2000-02-23
FR0002257A FR2809839A1 (fr) 1999-12-30 2000-02-23 Procede de telechargement de donnees procedees par des signaux d'anno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180A true KR20020074180A (ko) 2002-09-28
KR100768142B1 KR100768142B1 (ko) 2007-10-18

Family

ID=2621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316A KR100768142B1 (ko) 1999-12-30 2000-12-29 통신 센터에 의해 복수의 단말로 업데이트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통신 센터에 의해 단말로 발송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통신 센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8918830B2 (ko)
EP (3) EP1245116B1 (ko)
JP (1) JP4901044B2 (ko)
KR (1) KR100768142B1 (ko)
CN (1) CN1271839C (ko)
AT (1) ATE491306T1 (ko)
AU (1) AU3030901A (ko)
DE (1) DE60045346D1 (ko)
FR (1) FR2809839A1 (ko)
MX (1) MXPA02006505A (ko)
WO (1) WO20010507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160B1 (ko) * 2000-08-22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텔레비젼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업데이트 방법
KR101223133B1 (ko) * 2005-10-26 2013-01-21 톰슨 라이센싱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의 이용가능성을 통고하기 위한시스템과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04120D0 (en) * 2001-02-20 2001-04-11 Pace Micro Tech Plc Remote control
US7075899B2 (en) * 2002-05-21 2006-07-11 Actv,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ivate in-band data to digital set-top boxes in a broadcast environment
GB0214215D0 (en) * 2002-06-20 2002-07-3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Improved inter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of a home entertainment system
JP4308546B2 (ja) * 2003-02-20 2009-08-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プログラム
WO2004091207A1 (ja) * 2003-04-02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データ再生装置、映像表示装置、それらを用いたソフトウェア更新システムおよび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
GB0313720D0 (en) * 2003-06-13 2003-07-16 Electra Guide Ltd England An improved television system
GB2424811B (en) * 2003-06-17 2006-12-06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distributing data to a set of network devices
US7005979B2 (en) * 2003-06-25 2006-02-28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mote control transmissions
US7583955B2 (en) * 2003-07-24 2009-09-01 Lg Electronics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reproducing multimedia content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05048604A1 (en) 2003-11-17 2005-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updating software of a target device using an extended identifier in digital broadcasting
KR100999107B1 (ko) * 2003-11-17 2010-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에서 확장된 식별자를 이용한 목적 수신장치의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US7542757B2 (en) * 2003-11-20 2009-06-02 Agere Systems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over-the-air download to satellite radio
US7853609B2 (en) 2004-03-12 2010-12-14 Microsoft Corporation Update distribution system architecture and method for distributing software
US7653018B2 (en) * 2004-07-27 2010-01-26 Microsoft Corporation Differential update for data broadcasting
JP2007034750A (ja) * 2005-07-27 2007-02-08 Toshiba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719022B1 (ko) * 2005-08-18 200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시스템 및 디지털 방송시스템의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방법과, 디지털tv 및 디지털tv 의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방법
EP2245769A2 (en) * 2008-02-15 2010-11-03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notification message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8477A (ja) 1988-02-03 1989-08-10 Nec Yamaguchi Ltd 減圧気相成長装置
JPH05219056A (ja) 1992-02-04 1993-08-27 Nec Corp 同報通信方式
US5440632A (en) * 1992-12-02 1995-08-08 Scientific-Atlanta, Inc. Reprogrammable subscriber terminal
US5768539A (en) * 1994-05-27 1998-06-16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Downloading applications software through a broadcast channel
US5734589A (en) * 1995-01-31 1998-03-31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Digital entertainment terminal with channel mapping
US5758257A (en) * 1994-11-29 1998-05-26 Herz; Frederick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broadcast of and access to video programs and other data using customer profiles
US5553083B1 (en) * 1995-01-19 2000-05-16 Starburst Comm Corp Method for quickly and reliably transmitting frames of data over communications links
US5764992A (en) * 1995-06-06 1998-06-09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oftware replacement
US5845077A (en) * 1995-11-27 1998-12-0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d obtaining computer software from a remote computer
US5951639A (en) * 1996-02-14 1999-09-14 Powertv, Inc. Multicast downloading of software and data modules and their compatibility requirements
JPH09319572A (ja) * 1996-05-29 1997-12-12 Hokkaido Nippon Denki Software Kk ソフトウェアの使用を管理するための装置
US6151643A (en) * 1996-06-07 2000-11-21 Networks Associates, Inc. Automatic updating of diverse software products on multiple client computer systems by downloading scanning application to client computer and generating software list on client computer
US6074434A (en) * 1996-06-07 2000-06-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on of code updates, data updates or new data for client
US20020016963A1 (en) * 1996-08-08 2002-02-07 Hideki Inoue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JP3722921B2 (ja) 1996-09-17 2005-11-30 株式会社リコー ソフトウェア更新システム
JP3929553B2 (ja) * 1997-06-11 2007-06-13 株式会社フィリップス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 データ放送受信機の受信制御方法
JP3567696B2 (ja) * 1997-09-24 2004-09-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ソフトウェア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
JPH11134238A (ja) * 1997-10-30 1999-05-21 Ricoh Co Ltd ソフトウェア分散開発環境におけるソフトウェア更新管理方式
JPH11194943A (ja) * 1997-12-26 1999-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6990680B1 (en) * 1998-01-05 2006-01-24 Gateway Inc. System for scheduled caching of in-band data services
JPH11272453A (ja) * 1998-03-19 1999-10-08 Nec Corp ソフトウェア更新制御方法およびソフトウェア更新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記録媒体
US7003546B1 (en) * 1998-10-13 2006-02-21 Chris Cheah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ed distribution of contact information over a network
US6522342B1 (en) * 1999-01-27 2003-02-18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Graphical tuning bar for a multi-program data stream
US6532495B1 (en) * 1999-04-27 2003-03-11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rnet download enhancement system
US6834110B1 (en) * 1999-12-09 2004-1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tier digital TV programming for content distribution
US7020893B2 (en) * 2001-06-15 2006-03-2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and opportunistically driving an optimal broadcast schedule based on most recent client demand feedback from a distributed set of broadcast cli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160B1 (ko) * 2000-08-22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텔레비젼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업데이트 방법
KR101223133B1 (ko) * 2005-10-26 2013-01-21 톰슨 라이센싱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의 이용가능성을 통고하기 위한시스템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45116B1 (fr) 2010-12-08
EP2293565A2 (fr) 2011-03-09
MXPA02006505A (es) 2002-12-09
JP4901044B2 (ja) 2012-03-21
KR100768142B1 (ko) 2007-10-18
FR2809839A1 (fr) 2001-12-07
US20030041335A1 (en) 2003-02-27
AU3030901A (en) 2001-07-16
US8528038B2 (en) 2013-09-03
JP2003534676A (ja) 2003-11-18
CN1271839C (zh) 2006-08-23
EP2293565A3 (fr) 2011-06-22
US20120140912A1 (en) 2012-06-07
US8918830B2 (en) 2014-12-23
WO2001050762A1 (fr) 2001-07-12
EP1746837A3 (fr) 2007-06-27
DE60045346D1 (de) 2011-01-20
EP1245116A1 (fr) 2002-10-02
EP1746837A2 (fr) 2007-01-24
ATE491306T1 (de) 2010-12-15
CN1415170A (zh) 200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038B2 (en) Process for downloading data preceded by announcement signals
EP0594353B1 (en) Method of initializing terminals in a signal distribution system
US6484318B1 (en) CATV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internet connection
US4361851A (en)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and data transmission over non-dedicated telephone lines
KR100456162B1 (ko) 디지털 케이블 티비 제한수신시스템에서 키 업데이트 방법
US7577703B2 (en) Store and forward architecture
US6219355B1 (en) Video and data communication system
CA2270739C (en) Response capacity management in interactive broadcast systems by periodic reconfiguration of response priorities
US20020065929A1 (en) Protocol extensions to increase reliability of bulk data transmissions
US200401178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ckage service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WO2002017523B1 (en) System and method relating to broadcast bandwidth
US7069571B1 (en) Automated retirement of interactive applications using retirement instructions for events and program states
JP2001504308A (ja) インターネットの接続へのアクセスを行うユーザへデジタルデータをマルチキャストする方法およびip内容の分配のシステム
US20090133056A1 (en)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emergency alert message
CN101909199B (zh) 广播接收终端装置
US6175378B1 (en) Process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flow within an interactive network
EP1596598A2 (en) System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radio or television data
US57013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providing repeat message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3348632A (zh) 用于访问家庭中的多媒体的方法
US6993784B1 (en) Information signal transmission device
USRE43594E1 (en)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delivery system using telephone network idle time
KR100744285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의 시청 이력 전송 방법및 장치
JP3620277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JPH10210072A (ja) 電子メールシステム
JP3114660B2 (ja) データ伝送確認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