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2718A -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 Google Patents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2718A
KR20020072718A KR1020010012702A KR20010012702A KR20020072718A KR 20020072718 A KR20020072718 A KR 20020072718A KR 1020010012702 A KR1020010012702 A KR 1020010012702A KR 20010012702 A KR20010012702 A KR 20010012702A KR 20020072718 A KR20020072718 A KR 20020072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ion
communication
cable
communicatio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수원
Original Assignee
서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수원 filed Critical 서수원
Priority to KR1020010012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2718A/ko
Publication of KR20020072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71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와 건물내부의 통신기기와 통신케이블을 통해 연결시키는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단자판에 설치되면서 통신케이블이 연결되는 단자핀과, 단자판에 통신케이블을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단자핀 양단은 접속너트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길이방향으로 케이블접속홈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통신케이블을 접속시킴으로써, 접속능률을 향상시키고 접속 및 해체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통신케이블의 탈피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A COMMUNICATION TERMINAL-BOX}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자핀 양단에 나사산과 길이방향으로 케이블접속홈을 형성하여, 이 접속홈에 케이블심선을 대고 나사결합시켜 접속하는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은 외부로부터 건물, 즉 일반가정이나 사무실 등으로 인입되는 복수의 통신케이블을 입력단자에 각각 연결시키고, 출력단자에 해당하는 통신기기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단자함은 수 내지 수백 가닥이상의 통신케이블을 건물내로 분기시키기 위하여 건물내의 통신기기와 교신을 위한 중간 매개체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연결되는 통신케이블의 수에 따라 연결단자핀의 수도 많아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재질로 되어 있으면서 커버(1)를 구비한 단자판(2)과, 이 단자판(2)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단자핀(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단자판(2) 양쪽으로 노출된 단자핀(3) 일단은 국선단자부(3a)로서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인입케이블(4a)이 여러 회수로 권취되고, 타단은 내선단자부(3b)로서 출력케이블(4b)이 여러 회수로 권취되어 인입케이블(4a)과 출력케이블(4b)이 접속되므로써 해당 통신기기와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단자핀(3)에 통신케이블(4a,4b)을 접속할 때 권취된 케이블(4a,4b)이 단자핀(3)으로부터 벗겨지거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자핀(3)을 사각단면형상으로 하여 케이블(4a,4b)을 권취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단자핀(3)과 권취된 케이블(4a,4b)의 접촉면적이 작아 접속상태가 불량하게 되고 이에 따라 통신품질을 크게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그래서, 권취회수를 증가시켜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있으나, 이 경우 케이블(4a,4b) 피복의 탈피량이 그 만큼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탈피작업시간이 증가되며 권취작업시 단선도 많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접속작업시 케이블(4a,4b) 피복을 일일이 벗겨 심선을 노출시킨 다음 단자핀(3)에 권취하여야 하므로 접속작업능률이 떨어지고, 또한 피복이 완전히 벗겨지지 않아 접속상태가 불량하게 되며, 단선 등 권취작업이 잘못되었을 경우 권취된 케이블을 풀어서 다시 권취하는 작업이 번거롭다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단자핀(3)은 습기나 우수 등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니켈(Ni)도금을 하여 안정적인 통신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나, 니켈(Ni)은 전도성이 불량하기 때문에 통신품질을 저하시키는 결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자핀 양단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길이방향으로 케이블접속홈을 가공한 다음 접속너트를 나사결합시켜 접속능률을 향상시키고 간단하게 접속 및 해체작업을 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탈피량을 줄임과 더불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에 통신케이블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에서 단자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에 통신케이블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단자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단자핀을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단자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단자핀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단자핀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단자핀에 결합되는 접속너트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단자핀에 접속너트가 결합된 단자핀의 부분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단자핀이 통신 케이블 단자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자판 20 : 커버
31 : 인입케이블 32 : 출력케이블
40 : 단자핀 41 : 면접부
42 : 국선단자부 43 : 내선단자부
44 : 케이블접속홈 50 : 접속너트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커버가 구비된 단자판과, 상기 단자판에 설치되면서 통신케이블이 연결되는 다수 개의 단자핀 및, 상기 단자판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통신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자핀 양단은 상기 접속너트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길이방향으로 케이블접속홈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시 상기 케이블이 끼워져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핀 표면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전도성이 양호한 금(Au)이나 은(Ag)으로 도금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에 통신케이블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단자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종단면도이며, 도 7a는 본 발명에서 단자핀을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자함은, 본체를 이루면서 절연재질로 되어 있는 단자판(10)에 외부로부터 우수나 불순물 등의 침입을 차단하여 통신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단자판(10)에 통신케이블(31,32)이 연결되는 다수 개의 단자핀(40)이 설치되어 있으며, 단자핀(40)에 접속너트(50)가 나사결합되어 통신케이블(31,32)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단자핀(40)은 단자판(10)에 면접촉하여 결합되는 면접부(41)와, 면접부(41)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단자판(10)의 양쪽으로 돌출된 국선단자부(42) 및 내선단자부(43)로 이루어져 있다.
면접부(41)는 나사결합시 단자핀(40)이 단자판(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유격이 발생하거나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자부(42,43)와 연결부위에 플랜지나 돌기부를 형성하고 외주연을 비원형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단자부(42,43)중에서 국선단자부(42)는 외부로부터 인입케이블(31)이 연결되고, 내선단자부(43)는 해당 통신기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출력케이블(32)이 연결되어 외부와 통신기기 사이에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단자부(42,43)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길이방향으로 케이블접속홈(44)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접속홈(44)은 단자부(42,43)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통신케이블(31,32)의 심선이 압입되어 끼워지는 부분으로, 케이블접속홈(44)의 내경은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통신케이블(31,32)직경보다는 작고 피복이 벗겨진 심선의 직경보다는 동일 혹은 약간 크게 하여 억지끼움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접속너트(50)는 단자부(42,43)와 나사결합되어 통신케이블(31,32)의 피복을 벗겨줌과 동시에 케이블접속홈(44)에 통신케이블(31,32)의 심선을 압입시키는 것으로, 접속너트(50)의 나사산은 단자부(42,43)의 나사산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접속너트(50)의 높이는 단자부(42,43) 길이와 동일하게 하거나 약간작게 하여 피복이 벗겨진 케이블(31,32)의 심선을 완전히 덮어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단자핀(40)은 그 표면에 전도성이 양호하면서 내부식성이 강한 금(Au)이나 은(Ag)으로 도금하여, 통신케이블(31,32)과 연결되는 부분에 우수나 습기의 침투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양호한 접속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단자함에 케이블(31,32)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통신케이블(31,32) 가닥을 단자핀(40)의 케이블접속홈(44)에 가지런하게 정렬하여 댄 상태에서 접속너트(50)를 조여 나사결합시킨다.
단자핀(40)에 접속너트(50)를 나사결합시킴에 따라 통신케이블(31,32)은 그 피복이 벗겨지면서 심선이 노출되고, 노출된 심선은 단자핀(40)의 케이블접속홈(44)에 압입되면서 끼워져 간단하게 전기적 접속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접속된 통신케이블(31,32)의 분리작업은 단자핀(40)에 나사결합된 접속너트(50)를 푼 다음 케이블접속홈(44)에 끼워진 통신케이블(31,32)을 잡아당겨 분리하기만 하면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단자핀(40)은 수 ∼ 수백 개 이상이므로 접속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바, 전용지그를 사용하여 접속너트(50)를 단자핀에 나사결합 혹은 해체작업을 하면 그 접속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일례로 도 7b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접속너트(50)를 그 일단이 막혀진 상태 즉 캡상으로 제작하여, 단자부(42,43)에 결합되는 케이블(31,32)의 심선이 단자부(42,43)측방에서 인입되어 선단부쪽으로 접속되는 경우 심선선단이 접속너트(5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다른 통신케이블(31,32)과 접촉에 의한 혼선이나 잡음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유효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에 따르면, 단자핀에 케이블을 권취하지 않고 케이블접속홈에 직선상으로 심선을 압입시켜 연결하기 때문에 단선도 줄어들게 되고, 또한 접속상태가 양호하며 이에 따라 통신품질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속작업시 통신케이블 피복을 일일이 벗겨 낼 필요없이 단자핀에 접속너트를 체결시키기만 하면 피복이 벗겨지면서 간단하게 접속이 이루어지므로 접속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선 등 접속작업이 잘못되었을 경우에도 접속너트를 해체하기만 하면 되므로 교체정비작업이 간편하다.
그리고, 단자핀은 금(Au)이나 은(Ag)으로 도금되어 있으므로 양호한 전도성을 유지하면서도 우수 등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통신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외부와 통신기기의 통신케이블(31,32)이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도록 된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에 있어서,
    커버(20)가 구비된 단자판(10);
    상기 단자판(10)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통신케이블(31,32)이 연결되는 다수 개의 단자핀(40); 및
    상기 단자판(1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통신케이블(31,32)을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너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핀(40) 양단은 상기 접속너트(50)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케이블접속홈(44)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시 상기 통신케이블(31,32)이 끼워져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너트(50)는 일단이 막혀져 캡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핀(40) 표면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금으로 도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핀(40) 표면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은으로 도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KR1020010012702A 2001-03-12 2001-03-12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KR20020072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702A KR20020072718A (ko) 2001-03-12 2001-03-12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702A KR20020072718A (ko) 2001-03-12 2001-03-12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718A true KR20020072718A (ko) 2002-09-18

Family

ID=27697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702A KR20020072718A (ko) 2001-03-12 2001-03-12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271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9799A (en) * 1983-05-06 1987-06-02 Magnetic Controls Company Connector panel
KR920001502U (ko) * 1990-06-25 1992-01-28 정의두 전화선 단자반
KR200212962Y1 (ko) * 2000-08-29 2001-02-15 이처술 통신용 단자핀의 집적유니트
KR20020031223A (ko) * 2000-10-23 2002-05-01 이처술 통신단자 집적유니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9799A (en) * 1983-05-06 1987-06-02 Magnetic Controls Company Connector panel
KR920001502U (ko) * 1990-06-25 1992-01-28 정의두 전화선 단자반
KR200212962Y1 (ko) * 2000-08-29 2001-02-15 이처술 통신용 단자핀의 집적유니트
KR20020031223A (ko) * 2000-10-23 2002-05-01 이처술 통신단자 집적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8664B2 (en) Shielded cable-grounding structure
US6840804B2 (en) Fitting structure of waterproof plug
US4659164A (en) Diode connector
KR20020072718A (ko)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US11217911B2 (en) Wire jo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20072714A (ko)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US2226733A (en) Multiconductor telephone cord and connector
US11411331B2 (en) Hybrid type wire-to-wire connector structure and power suppl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20072716A (ko)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KR200155470Y1 (ko)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
KR200274864Y1 (ko) 유선 텔레비젼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KR0122235Y1 (ko) 모터의 마그네틱 와이어와 터미널 단자의 접속구조
CN213546688U (zh) 一种防止连接不良的端子连接线
CN219106528U (zh) 铜铝过渡端子及光伏用铜铝过渡组件
CN219892428U (zh) 一种锁紧机构及免压接端子
JP3094810U (ja) 電磁波防止金属ケーブルコネクタ
CN216624635U (zh) 一种电路保护装置接线端子结构
JP3342005B2 (ja) コネクタ構造体
KR200249751Y1 (ko) 전화선로 접속용 단자판
KR200398014Y1 (ko) 누전차단기용 터미널러그
KR100482861B1 (ko) 동축케이블용 소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KR0123011Y1 (ko) 영상음향기기용 코드 잭
KR200300212Y1 (ko) 전선 컨넥터
KR200183927Y1 (ko) 전선 고정캡
KR20040088479A (ko) 극 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