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8479A - 극 단자 - Google Patents

극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8479A
KR20040088479A KR10-2004-7009240A KR20047009240A KR20040088479A KR 20040088479 A KR20040088479 A KR 20040088479A KR 20047009240 A KR20047009240 A KR 20047009240A KR 20040088479 A KR20040088479 A KR 20040088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insulator
pole terminal
tension nu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볼프강 베 퇴르너
Original Assignee
볼프강 베 퇴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프강 베 퇴르너 filed Critical 볼프강 베 퇴르너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02/014752 external-priority patent/WO2003067719A1/de
Publication of KR20040088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47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1/00One pole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라인 접속을 만들기 위한 극 단자에 관한 것으로, 상기 극 단자는 전기 장치의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는 절연체에 의해 둘러싸인 금속 전도체(1)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체 상에는 인장 너트(26)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인장 너트는 전기 콘택을 형성하는 동시에 연결될 전기 도체를 상기 전도체에 대해 조여준다. 본 발명의 과제는, 예컨대 구리 또는 은과 같이 매우 높은 전도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상기 전도체가 제작될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은 유형의 극 단자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전도체(1)가 비절삭 변형에 의해 최고의 전도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상기 전도체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절연체(2)와 결합하여 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전도체(1)는 바람직하게 휨 기술적 변형에 의해 가공되는 천공부로서 형성된다.

Description

극 단자{POLE TERMINAL}
상기와 같은 유형의 극 단자는 라인 및 특히 스피커를 증폭기에 연결하기 위해 전자 오락기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상기 극 단자는 수동적인(manual) 결합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극 단자의 라인 횡단면 및 콘택 횡단면은 짧은 출력 임펄스, 예컨대 스피커 신호의 출력 임펄스가 불필요하게 감쇠되지 않도록 재료의 전도성에 상응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공지된 극 단자의 경우 전도체는 통상적으로 소정의 재료로 이루어진 회전부로서 제작되는데, 상기 재료는 한편으로는 절삭 가공에 적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도성을 갖는다. 단점은, 절삭 가공에 적합한 재료가 예를 들어 연결될 도체의 도전 재료보다 낮은 전도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실로 인해, 품질을 저하시키는 출력 임펄스의 감쇠를 저지하기 위해서는 보다 큰 라인 횡단면 및 콘택횡단면이 필요하게 된다. 그와 달리 구리 및 은과 같이 전도성이 높은 재료들은 연결될 도체와 유사한 라인 횡단면 및 콘택 횡단면을 가능케 한다. 하지만 상기 재료들은 절삭 제조 방식에는 적합치 않다. 상기 재료들은 찌꺼기를 형성하지 않고 오히려 윤활 기능을 한다.
또 다른 단점은, 회전부로서 기능하는 공지된 극 단자의 전도체가 복잡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도체의 제조 비용이 높다는 것이다. 또한 연결될 외부 전도체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보어가 제공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외부 도체를 조이기 위한 부품, 극 단자를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 또는 안전 장치용 절연체를 수용하기 위한 부품을 외부 콘택에 대해 나사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나사선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실시예 및 추가의 구조적인 실시예들은 별도의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다.
본 발명은 전기 라인 접속을 만들기 위한 극 단자에 관한 것으로, 상기 극 단자는 전기 장치의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는 절연체에 의해 둘러싸인 금속 전도체(conductive body)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체 상에는 인장 너트(tensioning nut)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인장 너트는 전기 콘택을 형성하는 동시에 연결될 전기 도체(electrical conductor)를 상기 전도체에 대해 조여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극 단자의 분해도이며,
도 2는 전도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예컨대 구리 또는 은의 전도성과 같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도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전도체가 제작될 수 있도록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극 단자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전도체가 덜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도 줄어든다. 또한 간단한 구성은 이용자에게도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문에 언급한 유형의 극 단자로부터 출발하여, 전도체가 비절삭 변형에 의해 최고의 전도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상기 전도체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절연체와 결합하여 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극단자의 경우에는, 전도체가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은과 같은 최고의 전도성을 갖는 금속 평탄 재료로로부터 천공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도체는 휨 기술에 의해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만한 형상을 갖는다. 좁은 단극의 플러그(banana plug)의 콘택핀을 수용하기 위해서 하우징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는 상기 전도체의 단부가 휨 기술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도체는 종축에 대해 동축으로 링 형태의 콘택면을 형성한다. 극 단자의 종축에 대해 가로로 연결될 외부 도체와의 전기 콘택을 위해, 상기 전도체는 휨 기술에 의해서 종축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구부러진 콘택면을 얻게 되며, 그 다음에 상기 구부러진 콘택면은 재차 종축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다. 따라서, 콘택은 외부 도체에 대해 종방향으로 뿐만 아니라 가로 방향으로도 제조된다.
바람직한 것은, 예컨대 구리 또는 은과 같이 전도체용으로 사용되는 재료의 우수한 전도성으로 인해 재료의 두께가 선행 기술에 비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 그에 상응하게 전기적 감쇠도 훨씬 더 작다.
전도체는 본 발명에 따라 둘레를 감싸는 절연체에 의해서 극 단자를 위해 필요한 기계적 안정성을 얻는다. 전도체 및 절연체는 하나의 복합체로 결합된다. 전도체와 절연체 사이에서 형태 결합적인 고정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전도체는 리세스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 내부로 절연체가 삽입된다. 절연체를 둘러싸는 안장 형태의 방사 형상은 전도체와 절연체 사이의 회전 운동으로부터 야기되는 토크(torque)에 대해서 추가의 보호 기능을 한다.
절연체는 사출 성형 기술에 의해서 전도체 상에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전도체의 콘택면은 비어있다. 상기 콘택면에는 좁은 단극의 플러그의 콘택핀을 수용하기 위한 링형 콘택면을 갖는 관형 개구, 외부 전기 도체를 수용하기 위해 종축에 대해 가로로 진행하는 콘택면 및 납땜용 돌출부로서 형성되어 절연체 외부에 있는 콘택이 속한다. 상기 콘택면 영역에서는 절연체가 외부 전기 도체를 수용하기 위해 추가로 하나의 개구를 포함한다.
하우징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고 있는 절연체의 단부는 톱니 나사선을 통해 인장 너트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인장 너트의 동작은 축방향으로, 절연체의 둘레에 있는 주변 돌출부를 통해서 그리고 인장 너트 내부에 있는 돌출부를 통해서, 외부 전기 도체의 삽입 및 조임만을 허용하는 정도로 제한된다. 이와 같은 자동적인 나사 안전 조치는 또한 나사가 다시 풀어지는 것을 저지해준다.
상기 인장 너트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인장 너트 캡은 금속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성은 촉각적 효과뿐만 아니라 시각적 효과도 결정적으로 개선시킨다. 인장 너트와 상기 너트를 둘러싸는 인장 너트 캡 사이에는, 드러스트 칼라(thrust collar)가 상기 인장 너트의 외부 둘레를 감싸는 돌출부 및 상기 드러스트 칼라 내에 있는 링형 쇼울더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드러스트 칼라는 인장 너트에 의해 축을 따라 움직인다. 따라서, 전도체 내부로 삽입되는 외부 도체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져 하우징에 인접하는 캡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절연캡 내부에는 시각적 기능만을 갖는 금속 링이 삽입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시된 극 단자는 실제로 금속 전도체(1)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도체는 자신을 둘러싸는 절연체(2)와 함께 복합체(1, 2)를 형성한다.
도시되지 않은 좁은 단극의 플러그를 연결시키기 위해, 전도체(1)는 자신의 종축에 대해 평행하게 휨 기술적으로 제작된 링형 콘택면(3)을 갖는다. 상기 콘택면은 종축에 대해 가로로 천공되어 연결되는 링을 구비한 바아로서 형성된다.
계속해서 진행하는 전도체(1)는, 휨 기술적으로 제조되어 종축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할 뿐만 아니라 가로로도 진행하는 콘택면(4)을 가지며, 상기 콘택면은 도시되지 않은 외부 전기 도체용이다. 절연체(2) 내에 있는 하나의 개구(5)는 외부 도체용 콘택면(4)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콘택면(4)은 종축에 대해 가로로 확대되고, 슬롯 형태의 리세스(6)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 내부에 절연체(2)의 평평한 레그(7)가 결합된다. 전도체(1)가 처음에는 평행하다가 그 다음에는 극 단자의 종축의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상기 전도체(1)는 상기 콘택면 다음에서 안장(saddle) 형태의 부분(8)을 형성한다. 상기 안장 형태의 부분(8)은 절연체(2) 내에 고정되고, 전도체(1)와 절연체(2) 사이에서의 방사형 회전 운동에 의해 야기되는 토크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전도체(1)는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전자 오락기 하우징(9) 내부로의 삽입을 위해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전도체는, 납땜용 돌출부로서 형성되고 절연체(2)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으며 도시되지 않은 라인을 접속시키기 위한 부재(10)에서 종료된다.
절연체(2)의 하우징 측에는 나사선(11)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절연체(2)는 하우징(9) 내부에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너트(12)에 의해 팬형 로크 와셔(13)(fan type lock washer)를 통해 덧테쇠(14)(grommet) 및 하우징(9)을 향해 압착된다. 2단 디스크(15)(double stages)를 통해서는 상기 복합체(1, 2)가 하우징(9)에 대해 외부로부터 절연되고, 나사 결합을 위해 고정된다. 이 목적을 위해, 절연체(2) 상에서 둘레를 감싸고 있는 돌출부(16, 17)의 계단식 형성부(16)는 상기 2단 디스크(15)의 외부 단(18) 내부에 형태 결합 방식으로 삽입되는 한편, 추가의 계단식 형성부(17)는 상기 2단 디스크(15)에 인접한다. 투명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캡(19)은 복합체(1, 2)의 종축에 대해 가로로 제공될 외부 도체를 위해서 하우징(9)과 콘택면(4) 사이의 간격을 제한한다. 상기 캡은 내부를 둘러싸고 있는 돌출부(20)에 의해 절연체(2)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홈(21) 내부에 결합된다. 시각적인 이유에서 상기 캡(19) 내부에는 금속링(22)이 삽입되어 있다.
하우징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고 있는 캡(19)의 에지(23)는 동시에 외부 도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드러스트 칼라(24)용 대응부(counter part)로서 이용된다. 상기 드러스트 칼라(24)는 내부를 둘러싸는 홈(25)을 갖는다. 인장 너트(26)를 외부에서 둘러싸는 돌출부(27)가 상기 홈 내부에 결합된다. 그럼으로써, 드러스트 칼라(24)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인장 너트(26)를 통해 축방향으로 및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인장 너트의 회전 동작과 무관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인장 너트(26)는 톱니 나사선(28)을 통해 절연체(2) 외부에서 상기 절연체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인장 너트(26)의 내부 및 절연체(2)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돌출부(29 및 30)를 통해서는, 절연체(2)의 개구(5) 내부로 외부 도체를 삽입하기 위한 간격만이 허용되어 나사 결합된 인장 너트(26)가 다시 풀어지지 않도록, 인장 너트(26)의 축방향 동작이 최종적으로 정해진다.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인장 너트(26) 상에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인장 너트 캡(31)이 올려진다. 인장 너트(26)는 자신의 외부 둘레에 그리고 인장 너트 캡(31)은 자신의 내부 둘레에 표면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형성부에 의해 가변 토크가 인장 너트 캡(31)으로부터 형태 결합 방식으로 인장 너트(26)로 전달된다. 인장 너트(26) 및 인장 너트 캡(31)은 도시되지 않은 좁은 단극의 플러그의 콘택핀을 복합체(1, 2)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개구(34, 35)를 정면에 포함한다.

Claims (13)

  1. 전기 장치의 하우징(9)에 고정될 수 있는 절연체(2)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금속 전도체(1)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체 상에 인장 너트(26)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인장 너트는 전기 콘택을 형성하는 동시에 연결될 전기 도체를 상기 전도체(1)에 대해 조여주는 기능을 하는, 전기 라인 접속을 만들기 위한 극 단자로서,
    상기 전도체(1)가 비절삭 변형에 의해 최고의 전도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상기 전도체는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절연체(2)와 결합하여 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1)가 연결될 외부 전기 도체의 전도성과 등가의 전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1)가 천공부로서 형성되며, 상기 천공부는 휨 기술적 변형에 의해서 한편으로는 좁은 단극의 플러그의 콘택핀을 수용하기 위해 극 단자의 종축에 대해 동축으로 진행하는 링형 콘택면(3)을 갖고,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될 전기 도체를 위해 극 단자의 종축에 대해 가로로 진행하는 콘택면(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단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1)가 천공부로서 형성되며, 리세스(6) 및 안장 형태의 방사형 리세스(8)를 통해 둘레를 감싸고 있는 절연체(2)와 형태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단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2)가 사출 성형 기술에 의해 전도체(1) 상에 제공되어 상기 전도체와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전도체(1)의 전도성 표면(3, 4) 및 하우징(9) 내에 있는 콘택면(10)은 상기 절연체(2)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단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2)가 연결될 전기 도체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단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2)를 둘러싸는 인장 너트(26)용 나사선(28)이 톱니 나사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단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2)에 대한 인장 너트(26)의 가로 이동이 상기 절연체를 외부에서 둘러싸는 돌출부(29)에 의해서 및 상기 돌출부에 맞물리는 돌출부(30)에 의해서 제한되어 상기 인장 너트(26)를 나사 풀림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며, 상기 돌출부(30)는 인장 너트(26)의 내부 둘레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단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2)가 하우징(9) 외부에 링형 홈(21)을 포함하고, 상기 홈 내부로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캡(19)의 링형 돌출부가 그 내부에 삽입된 커버(22)와 함께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단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2)가 하우징 측에 나사선(11)을 포함하고, 절연 디스크(14, 15) 및 팬형 로크 와셔(13)의 중간층을 통해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너트(12)에 의해서 하우징(9)에 대해 조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단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너트(26)가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금속 인장 너트 캡(31)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단자.
  12. 제 1 항에 있어서,
    드러스트 칼라(24)가 상기 인장 너트(26)의 회전 동작과 무관하게 상기 금속 전도체(1) 내에 삽입된 전기 도체에 고정력을 가하도록, 상기 인장 너트(26)와 상기 너트를 둘러싸는 인장 너트 캡(31) 사이에 상기 드러스트 칼라(24)가 상기 인장 너트(26)를 둘러싸는 돌출부(27)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단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전도체(1)가 하우징(9) 내부에 있는 콘택면에서는 납땜용 돌출부로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단자.
KR10-2004-7009240A 2002-02-02 2002-12-24 극 단자 KR200400884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4373.6 2002-02-02
DE10204373 2002-02-02
DE10217082A DE10217082A1 (de) 2002-02-02 2002-04-17 Polklemme
DE10217082.7 2002-04-17
PCT/EP2002/014752 WO2003067719A1 (de) 2002-02-02 2002-12-24 Polklem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479A true KR20040088479A (ko) 2004-10-16

Family

ID=27588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9240A KR20040088479A (ko) 2002-02-02 2002-12-24 극 단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0088479A (ko)
DE (2) DE102170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0002633U1 (de) 2010-02-22 2010-06-17 THÖRNER, Wolfgang B. Lagervorrichtung für eine Polklemme
DE102011007940B4 (de) 2011-01-03 2019-02-21 Wolfgang B. Thörner Polklem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6999A (en) * 1956-07-19 1957-09-17 Johnson Co E F Binding post structure
DE2350299A1 (de) * 1973-10-06 1975-04-10 Bueschel Kontaktbau Bumiller Z Steckbuchse fuer einen elektrischen kurzschlusstecker
US4764127A (en) * 1987-05-28 1988-08-16 Edison Price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level audio signals
US4915647A (en) * 1989-01-09 1990-04-10 Molex Incorporated Wire trap speaker terminal
JP2585911B2 (ja) * 1989-12-23 1997-02-26 ベー テルナー,ヴォルフガング シンチプラ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17082A1 (de) 2003-08-14
DE50203433D1 (de) 200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3527B2 (ja) シールド電線接続用端子
US6929507B2 (en) Coaxial connector structure
JP2005517276A (ja) ポールターミナル
US5536185A (en) Metallic connector housing
CA2365067A1 (en) Connector with fuse
US5490789A (en) Molded connector with internal grounding
KR20040088479A (ko) 극 단자
US6095858A (en) Coaxial cable connector
US7008273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683265A (en) Barrel plug having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s
US6149461A (en) Solderless coaxial cable termination mounting device
KR200237241Y1 (ko) 전기 계량기용 도선의 터미널
KR200378171Y1 (ko) 전선 연결용 볼트형 터미널
KR200198555Y1 (ko) 케이블 접속용 터미널
JP2746137B2 (ja) 分岐型同軸コネクタ
JPH0113340Y2 (ko)
JPH07163041A (ja) ケーブル接続部
JPS6230289Y2 (ko)
JPH0314838Y2 (ko)
KR910003863Y1 (ko) 텔레비젼 안테나 연결용 단자
KR200196195Y1 (ko) 전선연결구
KR880000766Y1 (ko) 동축 콘넥터의 접속자(同軸 Connecter 接續子)
JP4336819B2 (ja) 3重同軸ケーブル圧着構造
JPS647579Y2 (ko)
KR100440463B1 (ko) 쉴드선 처리용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