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2716A -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 Google Patents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2716A
KR20020072716A KR1020010012700A KR20010012700A KR20020072716A KR 20020072716 A KR20020072716 A KR 20020072716A KR 1020010012700 A KR1020010012700 A KR 1020010012700A KR 20010012700 A KR20010012700 A KR 20010012700A KR 20020072716 A KR20020072716 A KR 20020072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erminal
terminal pin
communicatio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수원
Original Assignee
서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수원 filed Critical 서수원
Priority to KR1020010012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2716A/ko
Publication of KR20020072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71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와 통신기기의 케이블이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도록 된 통신 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커버가 구비된 단자판, 상기 단자판에 다수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는 중공의 단자핀, 및 일단엔 피복을 절단하는 피복전달홈이 형성되고 타단에 압력을 가하는 머리가 형성되어, 상기 머리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단자핀의 양단 내측으로 진입하면서 상기 피복절단홈이 상기 케이블의 피복을 절단하여 상기 케이블의 심선과 단자핀의 내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몸체로 이루어져, 양호한 접속상태로 통신품질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시간도 단축할 수 있으며, 접속시 적은 길이의 케이블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도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 교체 작업에 있어서도 단순히 분리하기만 하면 되므로 간편하고, 단자핀이 금(Au)이나 은(Ag)으로 도금되어 있으므로 양호한 전도성을 유지하면서도 우수 등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통신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통신 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신 케이블 연결용 단자함{A COMMUNICATION TERMINAL-BOX}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접속몸체의 일단에 피복절단홈을 형성시키고, 이 피복절단홈에 케이블을 위치시켜 단자핀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압력을 가하면 케이블의 피복이 벗겨지면서 케이블의 심선이 단자핀의 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되는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은 외부로부터 건물, 즉 일반가정이나 사무실 등으로 인입되는 복수의 통신케이블을 입력단자에 각각 연결시키고, 출력단자에 해당하는 통신기기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단자함은 수 내지 수백 가닥이상의 통신케이블을 건물내로 분기시키기 위하여 건물내의 통신기기와 교신을 위한 중간 매개체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연결되는 통신케이블의 수에 따라 연결단자핀의 수도 많아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은,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재질로 되어 있으면서 커버(1)를 구비한 단자판(2)과, 이 단자판(2)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단자핀(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단자판(2) 양쪽으로 노출된 단자핀(3) 일단은 국선단자부(3a)로서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인입케이블(4a)이 여러 회수로 권취되고, 타단은 내선단자부(3b)로서 출력케이블(4b)이 여러 회수로 권취되어 인입케이블(4a)과 출력케이블(4b)이 접속되므로써 해당 통신기기와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단자핀(3)에 통신케이블(4a, 4b)을 접속할 때 권취된 케이블(4a, 4b)이 단자핀(3)으로부터 벗겨지거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자핀(3)을 사각단면형상으로 하여 케이블(4a, 4b)을 권취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단자핀(3)과 권취된 케이블(4a, 4b)의 접촉면적이 작아 접속상태가 불량하게 되고 이에 따라 통신품질을 크게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그래서, 권취회수를 증가시켜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있으나, 이 경우 케이블(4a, 4b) 피복의 탈피량이 그 만큼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탈피작업시간이 증가되며 권취작업시 단선도 많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속작업시 케이블(4a, 4b) 피복을 일일이 벗겨 심선을 노출시킨 다음 단자핀(3)에 권취하여야 하므로 접속작업능률이 떨어지고, 또한 피복이 완전히 벗겨지지 않아 접속상태가 불량하게 되며, 단선 등 권취작업이 잘못되었을 경우 권취 케이블을 풀어서 다시 권취하는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단자핀(3)은 습기나 우수 등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니켈(Ni)은 전도성이 불량하기 때문에 통신품질을 저하시키는 결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접속몸체의 일단에 피복절단홈을 형성시키고 이 피복절단홈에 케이블을 위치시켜 압력을 가하면, 단자핀으로 진입하면서 케이블의 피복이 벗겨져 단자핀의 내측과 심선이 접속하게 하므로써, 단자핀과 접속몸체의 머리에 강한 압력으로 인해 케이블이 단자핀으로부터 빠져나가거나 벗겨지지 않고,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채로 케이블을접속시키고 또한 케이블을 일일이 권취할 필요도 없는 향상된 접속작업능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속에 필요한 만큼의 적은 심선으로 접속시켜 짧은 케이블 길이를 이용하여 접속함으로써, 접속시 사용되는 케이블 길이를 줄여 적은 비용으로 접속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에 통신케이블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에서 단자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핀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몸체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핀에 접속몸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부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커버 2 : 단자판
3 : 단자핀 3a : 국선단자부
3b : 내선단자부 31 : 단자핀
32 : 접속몸체 32a: 머리
32b: 피복절단홈 33 : 케이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와 통신기기의 케이블이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도록 된 통신 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에 있어서, 단자판을 관통하면서, 외부와 통신기기의 케이블이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도록 된 통신 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에 있어서, 커버가 구비된 단자판, 단자판에 다수 설치됨과 더불어 케이블이 연결되는 중공의 단자핀, 및 일단엔 피복을 절단하는 피복전달홈이 형성되고 타단에 압력을 가하는 머리가 형성되어, 머리에 압력을 가하면 단자핀의 양단 내측으로 진입하면서 피복절단홈이 케이블의 피복을 절단하여 케이블의 심선과 단자핀의 내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몸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피복절단홈의 너비와 깊이는 케이블의 전체 두께보다 적고, 심선의 두께보다 크도록 하여, 케이블의 피복이 벗겨질 수 있도록 하며, 단자핀과 접속몸체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이 금 이나 은으로 도금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핀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몸체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핀에 접속몸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부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으로써, 본체를 이루면서 절연재질로 되어 있는 단자판(10)에 외부로부터 우수나 불순물 등의 침입을 차단하여 통신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단자판(10)에 케이블이 연결되는 다수 개의 단자핀이 설치되어 있으며, 단자핀에 접속몸체(32)를 결합하여 상기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핀(31)은 원통형으로서, 내부에 상기 접속몸체(32)가 진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단자핀(31)과 상기 접속몸체(32b) 사이에 케이블(33)이 낀 형태의 접속이 상기 단자핀과 접속몸체의 연결후에는 쉽게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으로 분리되지 않을 정도가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단자핀(31)이 반드시 원통형일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핀(31)이 통신 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에 내장시 단자판(10)에서 수형으로 유격이 발생하거나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접속몸체(32)와의 연결부위에 플랜지나 돌기부를 형성하고 외주연을 원형으로 제작함과 더불어 상기 단자핀(31) 표면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전도성이 양호한 금(Au)이나 은(Ag)으로 도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도시된 상기 접속몸체(32)는 일단은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있는 머리(32a), 및 상기 접속몸체(32)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33)이 위치하는 피복절단홈(32b)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접속몸체(32)는 상기 단자핀(31)의 외주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으로 한다.
상기 피복절단홈(32b)의 너비와 깊이는 케이블(33)의 두께보다는 적게하고, 상기 케이블(33)의 심선보다는 최소한 동일하거나 크게 하여, 압력을 가할 때, 피복이 벗겨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상기 단자핀(31)과 접속몸체(32)의 연결을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핀에 접속몸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단면도로서, 접속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케이블(33)의 단부를 상기 단자핀(31)의 원통형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의 바람직한 길이로 상기 단자핀(31)의 일단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접속몸체(32)의 피복절단홈(32b)에 상기 케이블(33)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접속몸체(32)의 머리(32a)을 강하게 누르게 되면, 이러한 힘에 의해 상기 접속몸체(32)가 단자핀(31)의 양단 내측으로 진입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33)을 상기 접속몸체(32)의 피복절단홈(32b)에 먼저 위치시킨 후에 연결을 하더라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남은 당연하다.
반면에, 전술한 접속과정에서 케이블(33)과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데, 상기 피복절단홈(32b)에 위치시킨 케이블(33)은 상기 접속몸체(32)가 상기 단자핀(31)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머리(32a)를 통해서 힘이 가해지면 상기 피복절단홈(32b)에 위치한 지점의 케이블 피복이 벗겨지면서 상기 접속몸체(32)가 상기 단자핀(31)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한 만큼, 상기 케이블(33)의 피복이 벗겨지게 된다.
이는 전술한 상기 피복절단홈(32b)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그 깊이 및 너비가 상기 케이블(33)의 두께보다 적음으로 인해, 접속몸체(32)의 머리(32a)에 가해진 압력과 동시에 케이블(33)의 피복이 상기 피복절단홈(32b)에 강하게 끼게 되고, 점점 접속몸체(32)가 양단 내측으로 진입하면서 케이블(33)의 피복이 피복절단홈(32b)과 접속한 지점에서부터 벗겨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단자핀(32)의 내부와 상기 접속몸체(32) 사이에 케이블(33)의 심선이 끼게 되고, 이로 인해 전기적 접속과 동시에 상기 단자핀(31)과 접속몸체(32)가 외부의 충격으로 쉽게 분리되지 않을 정도로 강하게 끼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단자핀(31)과 접속몸체(32)의 분리는 양단부를 잡아당기면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부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자핀(31)의 외주연을 원형으로 하였으나 이는 단자함에 내장되는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으며, 또한피복절단홈(32b)에 있어서도 그 너비를 케이블의 너비에 따라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에 따르면, 단자핀에 케이블을 권취하지 않고 케이블 단부의 소정길이만을 필요로 하므로 단선도 줄어들게 되고, 또한 접속상태가 양호하며 이에 따라 통신품질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피복을 일일이 벗겨낼 필요도 없기 때문에 작업시간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접속시 적은 길이의 케이블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도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 교체 작업에 있어서도 단순히 분리하기만 하면 되므로 간편하고, 단자핀이 금(Au)이나 은(Ag)으로 도금되어 있으므로 양호한 전도성을 유지하면서도 우수 등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통신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4)

  1. 단자판을 관통하면서, 외부와 통신기기의 케이블이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도록 된 통신 케이블 연결용 단자함에 있어서,
    커버가 구비된 단자판;
    상기 단자판에 다수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는 중공의 단자핀; 및
    일단엔 상기 케이블의 피복을 절단하는 피복전달홈이 형성되고 타단에 압력을 가하는 머리가 형성되어, 상기 머리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단자핀의 양단 내측으로 진입하면서 상기 피복절단홈이 상기 케이블의 피복을 절단하여 상기 케이블의 심선과 단자핀의 내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절단홈의 너비와 깊이는 상기 케이블의 전체 두께보다 적고, 심선의 두께보다 크도록 하여, 상기 케이블의 피복이 벗겨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핀과 접속몸체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이 금으로 도금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핀과 접속몸체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이 은으로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KR1020010012700A 2001-03-12 2001-03-12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KR20020072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700A KR20020072716A (ko) 2001-03-12 2001-03-12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700A KR20020072716A (ko) 2001-03-12 2001-03-12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716A true KR20020072716A (ko) 2002-09-18

Family

ID=27697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700A KR20020072716A (ko) 2001-03-12 2001-03-12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2716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6059A (en) * 1981-12-18 1983-11-22 Magnetic Controls Company Wire insertion tool
JPH06231812A (ja) * 1993-01-12 1994-08-19 Whitaker Corp:The 組立式電気コンタクト及びそれを使用する電気コネク タ
JPH07201390A (ja) * 1993-12-28 1995-08-04 Kenji Uchida 電線接続端子台
JPH09161904A (ja) * 1995-12-04 1997-06-20 Iwabuchi Kk 引込み用同軸ケーブルのコネクター
US6186839B1 (en) * 2000-02-25 2001-02-13 W. T. Storey Inc.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6059A (en) * 1981-12-18 1983-11-22 Magnetic Controls Company Wire insertion tool
JPH06231812A (ja) * 1993-01-12 1994-08-19 Whitaker Corp:The 組立式電気コンタクト及びそれを使用する電気コネク タ
JPH07201390A (ja) * 1993-12-28 1995-08-04 Kenji Uchida 電線接続端子台
JPH09161904A (ja) * 1995-12-04 1997-06-20 Iwabuchi Kk 引込み用同軸ケーブルのコネクター
US6186839B1 (en) * 2000-02-25 2001-02-13 W. T. Storey Inc. Electrical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1222C (zh) 电连接装置
CA1153049A (en) Electrode terminals for electric motor winding
US11217911B2 (en) Wire jo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40222012A1 (en) Small-gauge signal cable and its method of use
KR20020072716A (ko)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JPH10189350A (ja) チョークコイル
JP4557744B2 (ja) ケーブルの分岐接続構造
KR20020072718A (ko)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KR20020072714A (ko) 통신케이블 연결용 단자함
JP2605508Y2 (ja) 電線接続構造
KR200155470Y1 (ko)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
CN214336975U (zh) 一种导电及锁线一体化的导电连接头
JPS6037816Y2 (ja) 同軸線
KR100911084B1 (ko) 방수 커넥터
JP2785610B2 (ja) 端末バラケ防止リッツ線
JPH11283685A (ja) 圧接端子および該圧接端子を使用したケーブル分岐部
JPS6347229B2 (ko)
JP3337973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9382Y2 (ja) スピーカーコード
KR20020072717A (ko)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
JPH1051936A (ja) ケーブル端末部
KR100840903B1 (ko) 접지선 연결장치
KR960004822Y1 (ko) 전선 접속구
JPH0660248U (ja) ケーブル端末部
JPS612242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