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470Y1 -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470Y1
KR200155470Y1 KR2019970010939U KR19970010939U KR200155470Y1 KR 200155470 Y1 KR200155470 Y1 KR 200155470Y1 KR 2019970010939 U KR2019970010939 U KR 2019970010939U KR 19970010939 U KR19970010939 U KR 19970010939U KR 200155470 Y1 KR200155470 Y1 KR 200155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ground
copper
groun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514U (ko
Inventor
김홍규
Original Assignee
김홍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규 filed Critical 김홍규
Priority to KR2019970010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47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65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5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4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6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한쪽 부분에 접지단자(3)가 구비된 접지케이블(1)의 다른 쪽 부분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동관(7)에 접지접속되는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동관(7)을 감싸면서 동관(7)과 접촉되는 동판(9)과, 이 동판(9)의 양측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절곡편(11)의 관통구멍(13)을 통과하면서 상기 동관(7)을 감싸도록 상기 동판(9)의 타측에 형성된 밴드(15) 및, 상기 동판(9)의 하측부에서 상기 동판(9)과 단차를 이루며 경사지게 절곡형성된 연결판(17)을 매개로 상기 접지케이블(1)에 압착접속되는 압착판(19)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케이블의 접지부위에 보다 용이하게 접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접지접속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
본 고안은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블의 접지부위에 보다 용이하게 접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철탑 등과 같은 설치물에는 낙뢰에 대비하여 피뢰침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 피뢰침은 통신철탑 주변에 떨어지는 낙뢰에 대해 충분히 그 역할을 하지 못해 통신철탑에 장착된 여러 가지 구조물 등을 보호하지는 못한다.
즉, 통신철탑에 설치된 안테나 및 통신케이블 등과 같은 구조물은 낙뢰의 잔류에 대해 무방비로 공중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 안테나 주변에 낙뢰의 잔류가 떨어질 경우, 안테나에 연결된 통신케이블은 잔류의 전달체 역할을 함으로써, 이 통신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장치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통신장치를 보호하기 위해서 통신케이블을 통해 흐르는 잔류를 다른곳으로 분기시켜 없앨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흔히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 통신케이블을 접지시키는 것이다.
즉, 철탑에 설치된 통신케이블에 접지케이블을 접속시키고, 이 접지케이블을 다시 통신철탑에 설치된 다시 접지브래킷에 연결시키는 한편, 이 접지브래킷에 접지와이어를 길게 연결시키고, 이 접지와이어의 끝부분을 땅속으로 매설시키면 된다.
따라서, 이와같이 이루어진 기술구성에 의해, 낙뢰에 의해 발생된 잔류가 통신케이블을 흐르게 되면, 이 잔류는 접지케이블로 분기되어 접지브래킷와 접지와이어를 통해 흐르면서 없어지게 되고, 결국 통신장치를 낙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접지케이블은, 일측부가 통신케이블에 접속되어 있고, 타측부가 접지단자를 매개로 접지브래킷에 접속되어 있는 바, 통신케이블과의 접속을 위해 접지케이블의 일측부에 부착설치된 접지연결부재는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 접지연결부재로 통신케이블에 접속하는 작업을 할 때 용이하게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면, 도 4에는 종래의 접지연결부재가 도시되어 있는 바, 접지케이블(50)의 내측에 있는 여러가닥의 구리선(51)에 압착접속된 러그(52)와, 통신케이블(53)을 감싸면서 상기 러그(52)에 보울트(54) 체결되는 클램프(55)로 이루어진 연결부재가 통신케이블(53)에 접속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즉, 이와같은 종래의 연결부재는, 러그(52)를 비롯하여 클램프(55) 및 보울트(54) 등과 같은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러그(52)를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구리선(51)에 압착접속시키는 작업과, 클램프(55)와 러그(52)를 보울트(54) 및 너트(56)로 체결 조립하는 작업 등 여러 단계의 조립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연결부재를 이용한 통신케이블(53)의 접지접속 작업은, 통신케이블(53)의 피복을 벗겨 외부에 일부 노출시킨 접지용 동관(53a)을 상기 클램프(55)로 감싼 다음, 최종적으로 클램프(55)와 접지케이블(50)의 러그(52)를 보울트 (54)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이러한 접지접속작업은, 클램핑된 부위를 절연테이프(미도시함) 등으로 감아 절연시킴으로써 마무리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클램프(55)로 케이블의 동관(53a)을 감싸고 러그(52)와 클램프(55)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52a,55a)을 보울트(54)로 통과시킨 다음 너트(56)와 체결시키는 등 그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속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무리 작업으로서, 클램핑된 부위를 절연테이프로 감고자 할 경우, 클램프(55)의 보울트체결부(55b)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절연테이프가 이 돌출부위의 선단부에 닿아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보울트체결부(55b)에 의해 접지케이블(50)과 통신케이블(53)은 그 사이가 서로 떨어지게 되는데, 접지케이블(50)과 통신케이블(53)을 절연테이프로 견고하게 감기 위해서는, 먼저 통신케이블(53)의 피복을 절연테이프로 수회 감아 케이블간의 간격을 최대한 줄이고 난 다음, 다시 절연테이프로 접지케이블(50)과 통신케이블(53)을 함께 감는 이중작업을 하여야 되므로, 마무리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이루어지고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블에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접지시킬 수 있도록 한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한쪽 부분에 접지단자가 구비된 접지케이블의 다른 쪽 부분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동관에 접지접속되는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동관을 감싸면서 동관과 접촉되는 동판과, 이 동판의 양측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절곡편의 관통구멍을 통과하면서 상기 동관을 감싸도록 상기 동판의 타측에 형성된 밴드 및, 상기 동판의 하측부에서 상기 동판과 단차를 이루며 경사지게 절곡형성된 연결판을 매개로 상기 접지케이블에 압착접속되는 압착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한 기술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져, 케이블의 동관에 동판으로 감싸고 밴드를 감으며 압착시키면 케이블의 접지접속작업이 간단하게 끝나므로, 접속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가 접지케이블에 압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가 케이블에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가 케이블에 접속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기술 구성에 따른 연결부재가 케이블에 접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지케이블 3 : 접지단자
5 : 통신케이블 7 : 동관
9 : 동판 11 : 절곡편
13 : 관통구멍 15 : 밴드
17 : 연결판 19 : 압착판
21 : 볼록판 23 : 날개편
25 : 고정봉 27 : 안착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를 도시한 것으로서, 접지케이블(1)의 한 쪽 부분에 접지단자(3)가 접속되어 있고, 그 다른 쪽 부분에 본 고안인 연결부재가 접속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는, 통신케이블(5)의 피복을 벗기고 난 후 노출된 동관(7)을 감싸는 동판(9)과, 이 동판(9)의 양측 어느 일측에 형성된 절곡편(11)의 관통구멍(13)을 통과하면서 상기 동관(7)을 감싸도록 상기 동판(9)의 타측에 형성된 밴드(15) 및, 상기 동판(9)의 하측부에 절곡형성된 연결판(17)을 매개로 상기 접지케이블(1)에 압착접속되는 압착판(19)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접지케이블(1)로는 다수개의 구리선을 피복으로 감싸 제작한 통상의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가느다란 와이어를 직조하여 신축가능하게 제작한 편조선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판(9)과 상기 밴드(15)의 연결부위에는 U 자형으로 만곡된 볼록판(21)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부분을 마무리 접속작업시 플라이어 등으로 집어 압착시키면 상기 동판(9)과 밴드(15)는 상기 동관(7)에 더욱 압착접속된다.
또한, 상기 연결판(17)은 경사지게 절곡형성되어 상기 접지케이블(1)의 동관(7)과 피복부위의 경계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동판(9)이 상기 접지케이블(1)의 동관(7)에 접촉되는 동시에 , 상기 압착판(19)이 접지케이블(1)의 피복에 접촉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압착판(19)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판(17)의 하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날개편(23)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날개편(23)은 상기 접지케이블(1)의 양측부위를 감싸면서 절곡되어 접지케이블(1)의 일측면에 압착된다.
그리고, 이 날개편(23)에 압착된 접지케이블(1)의 끝부위를 상기 연결판(17)에 납땜접속시키면, 접지케이블(1)과 연결부재의 접속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에 의해 통신케이블(5)을 접지하는 작업을 도 3a 및 도 3b에 의해 설명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통신케이블(5)의 피복을 벗기고 노출된 동관(7)을 일단 동판(9)으로 감싼 다음, 상기 밴드(15)를 상기 관통구멍(13)에 통과시킨다.
그리고, 이 밴드(15)의 끝부분을 도시된 고정봉(25)의 측부홈(25a)에 끼워 넣고, 고정봉(25)의 머리부분에 형성된 홈(25b)을 이용하여 드라이버로 고정봉(25)을 돌리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5)가 말리면서 동판(9)을 상기 동관(7)에 압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블록판(21)을 플라이어 등으로 집어 압착시키면 상기한 압착상태는 더욱 견고해지게 된다.
이와같이 연결부재를 통신케이블(5)에 접지접속시키는 작업이 끝나면, 마무리 작업으로 상기 연결부재 전체를 절연테이프(미도시함) 등으로 감는 마무리 작업을 하게 되는바, 상기 밴드(15)에 감긴 고정봉(25)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편(11)과 동판(9)의 사이에 형성된 안착홈(27)에 안착되어지고, 상기 압착판(19) 및 접지케이블(1)은 상기 통신케이블(5)의 피복 위에 밀접하게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절연테이프로 상기 연결부재 전체를 용이하게 감을 수 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에 의하면, 연결부재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구성된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케이블에서의 접지 접속 작업과 그 마무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 데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한쪽 부분에 접지단자(3)가 구비된 접지케이블(1)의 다른 쪽 부분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동관(7)에 접지접속되는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동관(7)을 감싸면서 동관(7)과 접촉되는 동판(9)과, 이 동판(9)의 양측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절곡편(11)의 관통구멍(13)을 통과하면서 상기 동관(7)을 감싸도록 상기 동판(9)의 타측에 형성된 밴드(15) 및, 상기 동판(9)의 하측부에서 상기 동판(9)과 단차를 이루며 경사지게 절곡형성된 연결판(17)을 매개로 상기 접지케이블(1)에 압착접속되는 압착판(1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
KR2019970010939U 1997-05-16 1997-05-16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 KR200155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939U KR200155470Y1 (ko) 1997-05-16 1997-05-16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939U KR200155470Y1 (ko) 1997-05-16 1997-05-16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514U KR19980066514U (ko) 1998-12-05
KR200155470Y1 true KR200155470Y1 (ko) 1999-09-01

Family

ID=19501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939U KR200155470Y1 (ko) 1997-05-16 1997-05-16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4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907B1 (ko) 2020-02-13 2020-07-16 조중광 탈착식 접지 장치 및 접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211B1 (ko) * 2007-05-08 2008-09-10 주식회사 케이티 밴드형 접지장치
KR101146384B1 (ko) * 2010-07-14 2012-05-18 대한전선 주식회사 초고압 케이블 접속시 사용되는 초고압 케이블용 접지 슬리브
KR102621387B1 (ko) * 2021-12-14 2024-01-08 한국전력공사 송전철탑의 매설지선용 접지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907B1 (ko) 2020-02-13 2020-07-16 조중광 탈착식 접지 장치 및 접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514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1246B2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
US6302740B1 (en) Shielded cable and connector assembly
US5725387A (en) System for terminating the shield of a high speed cable
JPH04233171A (ja) 接地コネクタ
US5768771A (en) System for terminating the shield of a high speed cable
US5646370A (en) Permanent attachment of grounding wire
KR200155470Y1 (ko) 케이블 접지용 연결부재
JP3122313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605508Y2 (ja) 電線接続構造
US20010023148A1 (en) Method for assembling a controlled impedance connector
JPH07142100A (ja) 変形自在形スプライスパイプ及びこのスプライスパイプを用いた導線の接続方法
JPH04215212A (ja) シールド型ツイストケーブルの接続装置
CN218385782U (zh) 一种高压线束接地结构
JP3215623B2 (ja) 金車通過型短尺引留クランプ
JP2003109707A (ja) 簡易電磁波シールド構造およびその組立治具
CN211236375U (zh) 一种新型opgw接地线
JPS6037816Y2 (ja) 同軸線
JP3056940B2 (ja) 同軸ケーブル用接地端子
JPH0121493Y2 (ko)
JP3226798B2 (ja) ケーブル終端・接続部の防食処理部
JPH0415592B2 (ko)
JP4339105B2 (ja) ループアンテナ
JPH01249275A (ja) 溶接用ケーブルの保護網
JPS603627Y2 (ja) 多分岐導体
JPH0773948A (ja) シールド電線のアース方法と、それに用いるアース用接続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