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2717A -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 - Google Patents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2717A
KR20020072717A KR1020010012701A KR20010012701A KR20020072717A KR 20020072717 A KR20020072717 A KR 20020072717A KR 1020010012701 A KR1020010012701 A KR 1020010012701A KR 20010012701 A KR20010012701 A KR 20010012701A KR 20020072717 A KR20020072717 A KR 20020072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essing
communication
cable
c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수원
Original Assignee
서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수원 filed Critical 서수원
Priority to KR1020010012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2717A/ko
Publication of KR20020072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7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판에 결합된 접속단자를 매개하여 통신케이블을 접속하여 외부와 해당 통신기기간에 통신할 수 있도록 된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에 관한 것으로, 접속단자가 상기 단자판의 베이스에 끼워져 결합되는 채널부와, 상기 채널부에 연결되어 수직상방으로 절곡성형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바깥쪽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하향 절곡된 누름부 및, 절개된 상기 채널부 상면이 상기 누름부쪽으로 절곡된 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케이블 피복을 일일이 벗기지 않고서도 누름부와 걸림편사이에 통신케이블을 삽입하여 누름부를 누르기만 하면 통신케이블의 접속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A communication terminal-block}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용 단자함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케이블과 내부의 케이블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에는 통신선로를 연결시켜 주는 단자함이 마련되며, 이러한 단자함 내부에는 외부의 케이블을 내부의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터미널블록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터미널블록은 수 ∼ 수백 가닥이상의 통신케이블을 건물내로 분기시키기 위하여 건물내의 통신기기와 교신을 위한 중간 매개체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능을 하는 종래의 터미널블록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재질로 되어 있는 단자판(2)과, 이 단자판(2)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단자핀(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단자판(2) 양쪽으로 노출된 단자핀(3) 일단은 국선단자부(3a)로서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인입케이블(4a)이 여러 회수로 권취되고, 타단은 내선단자부(3b)로서 출력케이블(4b)이 여러 회수로 권취되어 인입케이블(4a)과 출력케이블(4b)이 접속되므로써 해당 통신기기와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단자핀(3)에 통신케이블(4a,4b)을 접속할 때 케이블(4a,4b) 피복을일일이 벗겨 심선을 노출시킨 다음 단자핀(3)에 권취하여야 하므로 접속작업능률이 떨어지고, 또한 피복이 완전히 벗겨지지 않아 접속상태가 불량하게 되며, 단선 등 권취작업이 잘못되었을 경우 권취된 케이블을 풀어서 다시 권취하는 작업이 번거롭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케이블 피복을 일일이 벗기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접속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접속된 케이블의 분리해체작업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에 통신케이블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에서 단자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접속단자의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자판 11 : 베이스
12 : 가이드돌기 20 : 접속단자
21 : 채널부 22 : 지지부
23 : 누름부 24 : 걸림편
11a,21a : 록킹해제홀 31 : 인입케이블
32 : 출력케이블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미널블록은, 단자판에 결합된 접속단자를 매개하여 통신케이블을 접속하여 외부와 해당 통신기기간에 통신할 수 있도록 된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단자판의 베이스에 끼워져 결합되는 채널부와, 상기 채널부에 연결되어 수직상방으로 절곡성형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바깥쪽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하향 절곡된 누름부 및, 절개된 상기 채널부 상면이 상기 누름부쪽으로 절곡된 걸림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누름부와 걸림편사이에 통신케이블을 삽입하여 누름부를 누르기만 하면 상기 통신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에 대향되는 채널부 저면에 누름부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해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서 접속단자의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미널블록은, 플라스틱과 같은 전기적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단자판(10)과, 상기 단자판(10)에 끼워져 결합되는 접속단자(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단자판(10)은 일정 길이의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 상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돌기(1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20)는 전도성이 양호한 구리(Cu)와 같은 금속재질로 되어 있으며, 접속단자(20)의 양단 중 일단에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인입케이블(31)이 접속되고 타단에는 해당 통신기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는 출력케이블(32)이 접속되는 것으로, 상기 단자판(10)에 끼워져 결합되는 채널부(21)와, 상기 채널부(21)에 연결되어 수직상방으로 절곡성형된 지지부(22)와, 상기 지지부(22)에 연결되어 형성되면서 바깥쪽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하향 절곡된 누름부(23) 및, 상기 채널부(21) 상면으로부터 절개되어 상기 누름부(23)쪽으로 절곡된 걸림편(24)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채널부(21)는 상기 단자판(10)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11)면의 형상에 면접되어 결합될 수 있게 절곡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2)는 상기 채널부(21)와 연결된 것으로 한 쌍으로 되어있고, 이 한 쌍의 지지부(22)는 상기 가이드돌기(12) 폭만큼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대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지지부(22)는 대향면사이에 가이드돌기(12)가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절연재질로 된 가이드돌기(12)에 의해 대향면간의 접촉이 방지되므로써 전기적 절연을 이룰 수 있음과 더불어 통신혼선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접속단자(20)는 일정한 탄성력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23)는 상기 지지부(22)에 연결되면서 지지부(22)와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바깥쪽으로 하향 절곡되어 클립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걸림편(24)에 걸리어 록킹될 때 통신케이블(31,32)의 피복을 벗겨 케이블(31,32)의 심선을 접속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걸림편(24)은 상기 채널부(21) 상면에 형성된 것으로 채널부(21) 일부분을 절개하여 상기 누름부(23)쪽으로 절곡시켜 상기 누름부(23)를 록킹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걸림편(24)의 절곡각도는 채널부(21) 상면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하지 않고 90°이하로 절곡하여 상기 누름부(23)가 자동적으로 록킹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편(24)에 대응되는 단자판(10)의 베이스(11)와 채널부(21) 저면에 록킹해제홀(11a,21a)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편(24)에 의해 록킹된 누름부(23)와 접속된 통신케이블(31,32)을 록킹해제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터미널블록에 케이블을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상태의 통신케이블(31,32) 가닥을 상기 누름판과 걸림편(24)사이에 끼운 다음, 누름부(23)를 걸림편(24) 쪽으로 힘을 가하여 누르면 걸림편(24)과 누름부(23)가 탄성력에 의해 휘어지면서 누름부(23)선단이 걸림편(24) 선단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이 이동하는 누름부(23)선단의 누르는 힘과 걸림편(24) 선단의 반력에 의해 케이블(31,32)의 피복은 벗겨지게 된다.
이어서 누름부(23)선단을 더욱 누르면 누름부(23)와 걸림편(24)은 더욱 휘어지면서 누름부(23) 선단이 걸림편(24) 안쪽으로 삽입되고, 삽입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누름부(23)와 걸림편(24)의 휘어진 부분이 탄성복원되어 걸림편(24)에 록킹되게 되며, 록킹된 누름부(23)와 걸림편(24)사이에는 피복이 벗겨진 케이블(31,32)의 심선이 끼워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누름부(23)와 걸림편(24)사이에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상태의 케이블(31,32)을 끼운 다음, 누름부(23)를 누르기만 하면 케이블(31,32)은 피복이 벗겨지면서 간단하게 접속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누름부(23)와 걸림편(24)이 록킹시 접촉되는 만큼 케이블(31,32)의 피복을 탈피하여 접속하면,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상태에서 누름부(23)에 가하는 힘보다 적은 힘으로도 간단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한편, 누름부(23)와 걸림편(24)에 의해 접속된 통신케이블(31,32)의 분리작업은, 단자판(10)의 베이스(11)와 채널부(21) 저면에 형성된 록킹해제홀(21a)에 핀 등을 끼운 다음 케이블(31,32)과 누름부(23)에 접속할 때와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걸림편(24)에 걸리어진 누름부(23)가 록킹해제되며 접속된 통신케이블(31,32)도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에 따르면, 접속작업시 통신케이블 피복을 일일이 벗기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접속시킬 수 있고, 또한 접속된 케이블의 분리해체작업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단자판(10)에 결합된 접속단자(20)를 매개하여 통신케이블(31,32)을 접속하여 외부와 해당 통신기기 간에 통신할 수 있도록 된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20)는 상기 단자판(10)의 베이스(11)에 끼워져 결합되는 채널부(21); 와
    상기 채널부(21)에 연결되어 수직상방으로 절곡성형된 지지부(22);
    상기 지지부(22)에 연결되어 바깥쪽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하향 절곡된 누름부(23); 및
    절개된 상기 채널부(21) 상면이 상기 누름부(23)쪽으로 절곡된 걸림편(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누름부(23)와 걸림편(24)에 의해 상기 통신케이블(31,32)을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24)에 대향되는 채널부(21) 저면에 록킹해제홀(2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
KR1020010012701A 2001-03-12 2001-03-12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 KR20020072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701A KR20020072717A (ko) 2001-03-12 2001-03-12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701A KR20020072717A (ko) 2001-03-12 2001-03-12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717A true KR20020072717A (ko) 2002-09-18

Family

ID=27697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701A KR20020072717A (ko) 2001-03-12 2001-03-12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271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59665A2 (de) * 1986-09-06 1988-03-16 Blaupunkt-Werke GmbH Verbinder für elektrisch leitende Kabel
JPH09283246A (ja) * 1996-04-12 1997-10-31 Yazaki Corp ウェッジベースランプ用コネクタ
JPH09320657A (ja) * 1996-06-03 1997-12-12 Fuji Electric Co Ltd 端子台
KR20000019177U (ko) * 1999-04-06 2000-11-06 오병남 단자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59665A2 (de) * 1986-09-06 1988-03-16 Blaupunkt-Werke GmbH Verbinder für elektrisch leitende Kabel
JPH09283246A (ja) * 1996-04-12 1997-10-31 Yazaki Corp ウェッジベースランプ用コネクタ
JPH09320657A (ja) * 1996-06-03 1997-12-12 Fuji Electric Co Ltd 端子台
KR20000019177U (ko) * 1999-04-06 2000-11-06 오병남 단자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1222C (zh) 电连接装置
US4148540A (en) Electrical coupling devices
US4066317A (en) Electrical conductor terminating system
JP2004528692A (ja) フラット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コネクタの使用方法及び装置
JPH10134857A (ja) 連結部材
CA1088173A (en) Connector adapter assembly for modular telephone interconnection system
US20020031937A1 (en) Cable connector
US6089902A (en) Miniature connector assembly, a miniature connector retrofit kit and a method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6056584A (en) Dual side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block
US5961342A (en) Dual side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terminal strip
KR20020072717A (ko) 통신케이블 연결용 터미널블록
US6315599B1 (en) Strain relief mechanism for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6102731A (en) Connector security mechanism
KR100889833B1 (ko) 전선 커플링장치
KR100549788B1 (ko)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KR200192555Y1 (ko) 아이디씨형 국선 및 사선단자블록의 증설구조
KR200168341Y1 (ko)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
JPS60182671A (ja) 多重ワイヤ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KR200167086Y1 (ko) 단자 블록
TW201041252A (en) Modular jack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302269Y1 (ko) 전선 정리구가 부설된 전기통신용 컨넥터
JPH0743955Y2 (ja) 集中結線コネクタ
KR200209880Y1 (ko) 패치 플러그
KR200302213Y1 (ko) 통신용 모듈러 잭
KR200373936Y1 (ko) Idc 연결 방식을 이용한 스플리터와 보호기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