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341Y1 -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341Y1
KR200168341Y1 KR2019990016960U KR19990016960U KR200168341Y1 KR 200168341 Y1 KR200168341 Y1 KR 200168341Y1 KR 2019990016960 U KR2019990016960 U KR 2019990016960U KR 19990016960 U KR19990016960 U KR 19990016960U KR 200168341 Y1 KR200168341 Y1 KR 200168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s
cable
communication cable
pin
terminal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진
Original Assignee
태양정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양정밀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양정밀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6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3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3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국선측 케이블과 내선측 케이블을 접속시키는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제1, 제2케이블 각각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통상의 가입자 보호기를 실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수직되게 일체로 연장되는 실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케이블의 삽입시 상기 제1,제2케이블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끼워지는 형태로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되는 단자핀과, 상기 제1, 제2케이블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실장부는 외부에 돌출되도록 상기 단자핀을 끼워 넣는 형태로 수용할 수 있는 요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핀에 삽입되는 제1, 제2케이블 각각이 그 외측에 고정되도록 상기 단자핀이 수용되는 최외측을 따라 상기 제1, 제2케이블 각각을 억지끼움시킬 수 있는 억지끼움부가 형성되는 패키지 및 상기 단자핀이 수용되는 패키지 두 개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도록 구성시키고, 상기 세트로 구성시킨 패키지들을 연속적으로 나열시킨 형태로 고정시키는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Connecting apparatus of cable in communication}
본 고안은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국선측 케이블과 내선측 케이블을 접속시키는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용 케이블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측(1)의 국선측 케이블(10)과 상기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측(2)의 내선측 케이블(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국선측 케이블(10)과 내선측 케이블(20)의 접속은 주로 IDC(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구내단자반 등과 같은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3)를 이용하고 있다.
즉, 빌딩 등과 같은 사무용 건축물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주거용 건축물 내의 사용자측에 다양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국선측 케이블과 이에 대응하는 내선측 케이블 각각을 상기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접속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를 이용한 국선측 케이블과 내선측 케이블의 접속은 주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것으로, 국선측 케이블과 내선측 케이블 각각의 피복을 벗겨낸 후, 이를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에 구비되는 각각의 단자핀에 작업자가 하나 하나 감아서 접속시키거나, 나사를 걸림턱으로 하여 상기 나사체결로 접속을 시켰다.
이와 같이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는 수작업으로 국선측 케이블과 내선측 케이블을 접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음성 중심의 저속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래의 통신서비스 환경에서는 별다른 문제점이 지적되지 않았다.
그러나 문자 또는 영상 등과 같은 데이터 중심의 고속의 통신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소망하는 최근의 통신서비스 환경에서는 상기와 같이 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에 대한 문제점이 빈번하게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국선측 케이블과 내선측 케이블의 접속시 피복이 벗겨지는 부분에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접촉부분이 산화되는 상황 또는 국선측 케이블과 내선측 케이블이 외부에 노출되었기 때문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산화는 통신서비스의 제공시 노이즈(Noise) 등을 발생시켰기 때문에 최근의 통신서비스 환경에서는 통신속도의 저하 등과 같은 통신서비스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작업환경은 통신용 케이블의 접속에 따른 신뢰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기에 충분하였고, 그리고 유지보수 또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항상 내포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문자 또는 영상 등과 같은 데이터 중심의 고속의 통신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소망하는 최근의 통신서비스 환경에 적용시키기 위한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통신용 케이블의 일반적인 접속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의 단자핀과 패키지의 결합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제공자측 2 : 사용자측
3 :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 10 : 국선측 케이블
20 : 내선측 케이블 30 : 단자핀
31 : 삽입부 33 : 연장부
35 : 실장부 40 : 패키지
41 : 요홈 43 : 억지끼움부
50 : 플레이트 51 : 고정부
60 : 접지핀 61 : 접지핀실장부
63 : 접지핀연장부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는, 국선측 케이블인 제1케이블과 내선측 케이블인 제2케이블을 접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제2케이블 각각이 삽입되는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케이블 각각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통상의 가입자 보호기를 실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수직되게 일체로 연장되는 실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케이블의 삽입시 상기 제1,제2케이블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끼워지는 형태로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되는 단자핀과, 상기 제1, 제2케이블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실장부는 외부에 돌출되도록 상기 단자핀을 끼워 넣는 형태로 수용할 수 있는 요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핀에 삽입되는 제1, 제2케이블 각각이 그 외측에 고정되도록 상기 단자핀이 수용되는 최외측을 따라 상기 제1, 제2케이블 각각을 억지끼움시킬 수 있는 억지끼움부가 형성되는 패키지 및 상기 단자핀이 수용되는 패키지 두 개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도록 구성시키고, 상기 세트로 구성시킨 패키지들을 연속적으로 나열시킨 형태로 고정시키는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상의 가입자보호기를 실장시킬 수 있는 접지핀실장부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접지핀실장부를 일체로 연결시키면서 상기 플레이트에 접촉되도록 접지핀연장부가 형성되는 접지핀 및 상기 접지핀 양측 각각이 외부에 돌출되도록 상기 접지핀을 끼워 넣는 형태로 수용할 수 있는 요홈이 더 형성되는 패키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플레이트를 접착시킬 수 있는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더 구비시켜 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를 소망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자핀이 수용되는 패키지 두 개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는 30회선의 제1, 제2케이블을 접속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세트화시킬 수 있는 패키지를 10회선 또는 20회선 등으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의 단자핀과 패키지의 결합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은 단자핀(30)과 이를 수용하는 패키지(40) 및 단자핀(30)이 수용되는 패키지(40) 두 개를 하나의 세트로 구성시키고, 이를 연속적으로 나열하여 고정시키는 플레이트(50)로 이루어지는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3)가 구비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단자핀(30)은 국선측 케이블인 제1케이블과 내선측 케이블인 제2케이블 각각이 삽입되는 삽입부(31)가 형성되고, 삽입부(31)의 하단부에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부(33)가 형성되며, 또한 연장부(33)에 수직되게 일체로 연장되는 실장부(3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단자핀(30)은 '??'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국선측 케이블과 내선측 케이블의 구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의 일측이 국선측으로 설정되면, 다른 일측이 내선측으로 설정되는데, 이러한 국선측과 내선측의 구분은 기 설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용 케이블의 접속시 작업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단자핀(30)의 실장부(35)는 통상의 가입자보호기(도시되지 않음)를 실장시키기 위하여 형성시킨다. 그리고 본 고안에 적용되는 통상의 가입자보호기는 규격품이라고 언급할 수 있는 것으로써, 이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측(대한믹국에서는 '한국통신'임)이 지정한 가입자보호기를 본 고안의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3)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단자핀(30)에는 제1, 제2케이블의 삽입시 상기 제1, 제2케이블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끼워지는 형태로 접촉하는 접촉부(도시되지 않음)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접촉부는 단자핀(30)의 삽입부(31)를 따라 형성되는 홈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단자핀(30)은 고탄력을 가지는 인청동의 재질 및 니켈 도금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단자핀(30)이 패키지(4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제2케이블이 접속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케이블의 피복이 벗겨지는 부분이 단자핀(30)의 상기 접촉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접촉됨으로써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1, 제2케이블의 접속에서는 통상의 접속공구를 이용하여 단자핀(30)에 제1, 제2케이블을 삽입시킨 후, 이를 원터치로 가압시키면 제1, 제2케이블의 피복이 벗겨지면서 상기 접촉부에 끼워져서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단자핀(30)은 연장부(33)의 길이 장단(長短)에 따라 장형의 단자핀과 단형의 단자핀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패키지(40)는 제1, 제2케이블을 삽입시킬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단자핀(30)의 실장부(35)가 패키지(40)에서 돌출되도록 단자핀(30)을 끼워 넣는 형태로 수용할 수 있는 요홈(41)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단자핀(30)에 삽입되는 제1, 제2케이블 각각이 그 외측에 고정되도록 단자핀(30)이 수용되는 최외측을 따라 제1, 제2케이블 각각을 억지끼움시킬 수 있는 억지끼움부(43)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억지끼움부(4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케이블이 삽입되는 위치에서 제1, 제2케이블을 1차적으로 억지끼워 고정시킬 수 있고 그리고 1차적으로 억지끼워지는 제1, 제2케이블을 그 하부의 위치에서 2차적으로 억지끼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자핀(30)의 실장부(35)가 돌출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은 통상의 가입자보호기를 실장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장형의 단자핀 및 단형의 단자핀이 패키지(40)의 요홈들 각각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단자핀(30)의 길이 및 이를 수용하는 패키지(40)를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적절한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패키지(40)의 국선측과 내선측 각각에 2개의 케이블 각각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고, 따라서 패키지를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세트로 고려할 경우에는 국선측과 내선측 각각에 4개의 케이블 각각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전술한 바를 토대로 하여 제1, 제2케이블 각각이 삽입되는 단자핀(30)들이 배치되는 형태 등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하나의 세트를 이루도록 단자핀(30)을 수용하는 패키지(40)들을 연속적으로 나열시킨 형태로 고정시키는 플레이트(50)를 구비시킨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3)는 30회선의 제1, 제2케이블을 접속시킬 수 있도록 플레이트(50)를 구비시켜 이에 전술한 패키지(40)들을 연속적으로 나열시킬 수 있는 것으로, 10회선 또는 20회선 등과 같이 통신용 케이블 회선의 증감을 용이하게 응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단자핀(30)의 실장부(35)와 더불어 통상의 가입자보호기를 실장시킬 수 있는 접지핀실장부(61)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고, 이를 일체로 연결시키면서 플레이트(50)에 접촉되도록 접지핀연장부(63)가 형성되는 접지핀(60)을 구비시킨다.
이에 따라 단자핀(30)과 더불어 접지핀(6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패키지(40)를 구비시키는데, 접지핀(60)의 접지핀실장부(61) 또한 단자핀(30)의 실장부(35)와 마찬가지로 외부에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트화시킨 패키지(40)를 기준하여 보면, 일측의 패키지(40)에는 단자핀(30) 뿐만 아니라 접지핀(60)이 더 수용되는 것으로써, 본 고안에서는 통상이 가입자보호기를 실장하는 실장부 및 접지핀실장부는 모두 5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측이 지정한 가입자보호기를 본 고안에서는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접지핀(60)을 구비시킴으로써 낙뢰 등과 같은 외부환경의 변화시 접지핀(60)의 접지핀연장부(63)가 플레이트(50)와 접촉하여 접지역활을 할 수 있도록 구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플레이트(50) 저부에 테이프(양면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51)를 구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3)를 소망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고, 이러한 고정은 상기 테이프의 강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반복적으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3)의 고정시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3)가 면접하는 부분이 굴곡이 지거나 이물질 등의 인하여 상기 테이프의 접촉이 곤란한 경우나 또는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3)의 더욱 안정적인 고정을 소망할 경우에는 플레이트(50) 저부의 양단부를 나사박음시킬 수 있도록 구비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3)를 이용한 작업은 그 대부분이 통신서비스를 중단시키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데, 본 고안은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고정부(51)를 이용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통신서비스를 중단시키는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 (3)는 제1, 제2케이블의 접속이 접속공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인하여 단자핀(30)과의 접촉부분이 산화되는 상황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부분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접촉부분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등을 제거시켜 통신속도 등을 현안 과제로 여기는 최근의 통신서비스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단자핀(30)을 고탄력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시킴으로써 제1, 제2케이블의 반복적으로 접속이 가능하여 유지보수 등에 따른 신뢰도의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1, 제2케이블의 접속시 억지끼움부(43)를 이용함으로써 제1, 제2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제1, 제2케이블의 탈락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50)의 저부에 고정부를 구비시킴으로써 소망하는 위치에 적절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30회선의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3)를 기준으로 구비시키고, 이를 10회선 또는 20회선 등으로 적절하게 구성시켜, 통신용 케이블의 회선 증감 등에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통상의 가입자보호기를 실장시킬 수 있도록 구비시킴으로써, 사용자측이 권장하는 사항을 준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의 가입자보호기의 단가가 저가인 관계로 인하여 경제적인 이득까지도 얻을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접지핀(60)을 구비시킴으로써 낙뢰 등과 같은 외부환경에 따른 변화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는 고속의 통신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소망하는 최근의 통신서비스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국선측 케이블인 제1케이블과 내선측 케이블인 제2케이블을 접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제2케이블 각각이 삽입되는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케이블 각각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통상의 가입자 보호기를 실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수직되게 일체로 연장되는 실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케이블의 삽입시 상기 제1,제2케이블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끼워지는 형태로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되는 단자핀;
    상기 제1, 제2케이블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실장부는 외부에 돌출되도록 상기 단자핀을 끼워 넣는 형태로 수용할 수 있는 요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핀에 삽입되는 제1, 제2케이블 각각이 그 외측에 고정되도록 상기 단자핀이 수용되는 최외측을 따라 상기 제1, 제2케이블 각각을 억지끼움시킬 수 있는 억지끼움부가 형성되는 패키지; 및
    상기 단자핀이 수용되는 패키지 두 개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도록 구성시키고, 상기 세트로 구성시킨 패키지들을 연속적으로 나열시킨 형태로 고정시키는 플레이트;
    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케이블의 접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의 가입자보호기를 실장시킬 수 있는 접지핀실장부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접지핀실장부를 일체로 연결시키면서 상기 플레이트에 접촉되도록 접지핀연장부가 형성되는 접지핀; 및
    상기 접지핀 양측 각각이 외부에 돌출되도록 상기 접지핀을 끼워 넣는 형태로 수용할 수 있는 요홈이 더 형성되는 패키지;
    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상기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플레이트를 접착시킬 수 있는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고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핀이 수용되는 패키지 두 개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는 상기 세트로 이루어지는 패키지를 나열시키는 형태로 30회선의 제1, 제2케이블을 접속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
KR2019990016960U 1999-08-17 1999-08-17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 KR200168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960U KR200168341Y1 (ko) 1999-08-17 1999-08-17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960U KR200168341Y1 (ko) 1999-08-17 1999-08-17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341Y1 true KR200168341Y1 (ko) 2000-02-15

Family

ID=1958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960U KR200168341Y1 (ko) 1999-08-17 1999-08-17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3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622B1 (ko) * 2000-10-04 2003-05-27 이처술 통신단자 집적유니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622B1 (ko) * 2000-10-04 2003-05-27 이처술 통신단자 집적유니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0829A (en) Cross connect terminal block
EP1538715A3 (en) Enhanced performance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US4099819A (en) Modular termination system for telecommunication devices
US5004433A (en) Interconnection device
US6729914B2 (en) Low-current female socket of the modular jack type
KR200168341Y1 (ko)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
US20060025006A1 (en) Cable retaining system
CA1054690A (en) Hood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nector
CA2216679A1 (en) Transition adapter for conductor cable
US5961342A (en) Dual side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terminal strip
JP2003059552A (ja) プラグコネクタ
KR200168340Y1 (ko) 통신용 케이블 접속장치
US6252941B1 (en) Network interface unit
KR100280759B1 (ko) 전기 핀 필드
AU2005222996B2 (en) Termination block
JP2001068227A (ja) モジュラジャック
US20110207364A1 (en) Termination tool,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idc) block and metho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electrical conductor to an idc block
JP4302310B2 (ja) 情報コンセントおよびブランクアダプタ
JP2006521764A (ja) 通信モジュール、および少なくとも1つの通信モジュールを含む組み合わせ
JPH029588Y2 (ko)
KR100537997B1 (ko) 먼지차단 도어를 구비한 모듈러 잭
KR970004248Y1 (ko) 단자함용 전화선 클립
KR200233283Y1 (ko) 단자함 커넥터 보호캡
KR200232272Y1 (ko) 모듈러 콘센트
JPH10302918A (ja) パッ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