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1036A - 아실페로센의 개선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아실페로센의 개선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1036A
KR20020071036A KR1020007014522A KR20007014522A KR20020071036A KR 20020071036 A KR20020071036 A KR 20020071036A KR 1020007014522 A KR1020007014522 A KR 1020007014522A KR 20007014522 A KR20007014522 A KR 20007014522A KR 20020071036 A KR20020071036 A KR 20020071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tmorillonite
ferrocene
catalyst
anhydride
crud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6289B1 (ko
Inventor
코우다리보야파티마노란잔
레디코나탐사이디
칸탐만네팔리락시미
라가반콘다프람비자야
Original Assignee
카운슬 오브 사이언티픽 앤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운슬 오브 사이언티픽 앤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filed Critical 카운슬 오브 사이언티픽 앤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Publication of KR20020071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2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7/00Metallocenes
    • C07F17/02Metallocenes of metals of Groups 8, 9 or 10 of the Periodic Syste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talys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 80 내지 165 ℃ 범위의 온도에서 3 내지 8 시간 동안 용매 중에서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금속 이온 교환된 K10 몬모릴로나이트 점토 촉매의 존재 하에 페로센을 탄소수 2 내지 7의 산 무수물 아실화제와 반응시키는 단계, 및 아실페로센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실페로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실페로센의 개선된 제조 방법{An improv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cylferrocenes}
아실페로센은 다양한 작용성 물질들, 예를 들어 작용성 중합체, 계면활성제, 전하 전달 복합체, 이온 센서, 마스킹제, 커플링제, 키랄 촉매, 추진제용 연소 촉매 등의 제조에 중요한 중간체이다. 아실페로센은 또한 철결핍증 증상 및 철결핍성 빈혈증(반복된 방혈로 인해 야기된 빈혈증)의 치료를 위한 약제로서 사용된다.
페로센을 아실 할로겐화물로 프리델-크라프츠 아실화시키면 아실페로센이 형성된다. 페로센은 아실화에서 벤젠보다 106배 이상 반응성이다. 아실페로센은 일반적으로 페로센을 염화 알루미늄 또는 인산의 존재 하에서 아세트산 무수물/아실 염화물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아실페로센 및 디아실페로센은 모두 페로센, 산 염화물의 비율, 및 또한 첨가 방식을 변화시킴으로써 만족할만한 수율로 제조될 수 있다. 모노아실페로센은 산 염화물, 염화 알루미늄 착화합물을 페로센 용액에 적가하여 제조하며, 이때 상기 산 클로라이드, 촉매 및 페로센을 동몰량으로 사용한다. 디아실페로센은 페로센 용액을 상기 착화합물에 가하여 제조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상기 산 염화물 및 염화 알루미늄 대 페로센의 몰비는 2:1 이상이다.
문헌[Rosenblum and Woodward, J. Am. Chem. Soc., 80, 5443, 1958]에 공개된 방법을 참고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에서는 페로센을 화학량론적 양의 염화 알루미늄의 존재 하에서 염화 아세틸과 반응시켜 아실페로센을 제조한다. 문헌[Vogel's Textbook of Practical Organic Chemistry, 5th Edition, p. 1014, 1989]을 참고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문헌에서는 아실페로센을 85% 인산의 존재 하에서 페로센과 아세트산 무수물을 반응시켜 제조한다.
영국 특허 제 869504, 819108 호를 참고로 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아실페로센의 제조를 위해서 페로센을 이황화 탄소, 에테르, 니트로메탄 또는 염화 에틸렌과 같은 용매 중에서 루이스 산, 예를 들어 염화 알루미늄, 삼불화 붕소, 불화수소 또는 폴리인산 존재 하의 프리델-크라프츠 조건하에서 적합한 산 염화물 또는 무수물과 반응시킨다. 상기 방법들의 단점은 염화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경우, 디아실 화합물이 우선적으로 얻어지며, 반면에 불화 수소 또는 폴리인산의 존재하에서는 모노아실 화합물이 생성된다는 것이다. 다른 단점들로는 화학량론적 양의 위험한 염화 알루미늄/인산과 지루한 후처리 공정이 사용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아실페로센의 제조를 위해서 상이한 접근법들이 명백히 사용되어 왔으며, 종래의 루이스 산 촉매는 상기와 관련하여, 부식성 시약의 사용, 분리 문제 및 재사용성의 결여와 같은 고유의 문제점들로 인해 별로 유리하지 않다.
종래 기술의 방법들에서 상기 및 다른 단점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들은 아실페로센의 신규한 제조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페로센으로 부터 아실페로센을 제조하기 위한, 아실화제로서 산 무수물 및 촉매로서 몬모릴로나이트 점토를 사용하는 개선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아실페로센의 제조를 위해서 저렴하고 풍부하게 입수할 수 있는 몬모릴로나이트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다.
더욱 또 다른 목적은 아실페로센의 제조에 재사용가능하고,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고체 산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다.
여전히 또 다른 목적은 촉매로서 K10 몬모릴로나이트/금속 이온 교환된 K10 몬모릴로나이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아실화를 수행하기 위해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몬모릴로나이트 및 다양한 금속 이온 교환된 산 촉매를 사용하는 아실페로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실화제로서 탄소수 2 내지 7의 산 무수물을 사용하여 페로센을 아실화시키기 위해서 고체 산 촉매로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K10 몬모릴로나이트 및 다양한 금속 이온 교환된 K10 몬모릴로나이트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탁월한 수율, 모노아실 페로센에 대한 보다 큰 선택도, 및 거의 무시할만한 정도의 폐기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점들은 시약으로서 다량의 고체 폐기물을 발생시키는 위험한 무수 염화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기존의 방법과 비교할 때 매우 인상적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방법은 기술적으로 편리하며, 경제적으로 존속될 수 있고 환경적으로 친화적이다.
본 발명은 아실화제로서 C2 내지 C7 산 무수물, 및 촉매로서 몬모릴로나이트 점토를 사용하여 페로센으로부터 아실페로센을 제조하는 개선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아실화제로서의 아실 염화물과 프리델-크라프츠 시약으로서의 부식성 및 독성 염화 알루미늄, 폴리인산, 삼불화붕소 및 불화 수소의 사용을 배제한, 산 무수물 아실화제와 몬모릴로나이트 점토 촉매를 사용하는, 페로센으로부터의 아실페로센의 환경 친화적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중화 공정의 결과로 형성된 염들의 폐기 문제를 전적으로 제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약 80 내지 165 ℃ 범위의 온도에서 3 내지 8 시간 동안 용매 중에서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금속 이온 교환된 K10 몬모릴로나이트 점토 촉매의 존재 하에 페로센을 탄소수 2 내지 7의 산 무수물 아실화제와 반응시키는 단계, 및 아실페로센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실페로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태양(embodiment)에서, 아실화제는 탄소수 2 내지 7의 산 무수물 그룹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아실화제는 아세트산 무수물 내지 헵탄산 무수물을 포함하는 탄소수 2 내지 7의 산 무수물 그룹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치환된 탄화수소 용매는 클로로벤젠이다.
더욱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몬모릴로나이트/금속 이온 교환된 K10 몬모릴로나이트 점토 촉매는 Co2+, Zn2+, Al3+, Ce3+, La3+또는 Zr4+-몬모릴로나이트 중에서 선택된다.
여전히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사용되는 촉매의 양은 충전된 기질에 대해서 5 내지 50 중량%이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용매는 자기 용매로서 작용하는 치환된 탄화수소 또는 무수물 중에서 선택된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반응을 120 내지 165 ℃ 범위의 온도에서 3 내지 8 시간 동안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출원인들은 처음으로 아실화제로서 탄소수 2 내지 7의 산 무수물(아세트산 무수물 내지 헵탄산 무수물)을 사용하는 페로센의 아실화를 위해서 고체 산 촉매로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K10 몬모릴로나이트 및 다양한 금속 이온 교환된 K10 몬모릴로나이트를 사용하였다.
산 처리된 몬모릴로나이트인 K10에서, 천연 몬모릴로나이트의 적층된 층들의 붕괴로부터 생성된 분쇄된 테두리 수의 증가로 인해 브론스테드 산성 부위의 밀도가 증가하는 반면에, 루이스 산도는 산 처리 도중에 천연 몬모릴로나이트중에 고유하게 존재하는 금속 이온의 탈착으로 인해 감소한다. 따라서 매우 높은 브론스테드 산도를 갖는 K10 몬모릴로나이트는 상기 예시된 바와 같은 아실화를 유도한다. 교환 공정에 의한 몬모릴로나이트 K10 내로의 전이 금속의 도입은 상기 물질의 루이스 산도를 증가시키며, 동시에 브론스테드 산도는 감소시킨다. 다양하게 개질된 몬모릴로나이트의 효능은 페로센의 아실화에서 제올라이트 < Cu+2몬모릴로나이트 < Fe+3몬모릴로나이트 < Zn+2몬모릴로나이트 < FePILC-K10 < K10 몬모릴로나이트의 순이다. 상기 결과는 산성 부위, 즉 K10 몬모릴로나이트에서 브론스테드 부위 또는 FePILC-K10에서 루이스 부위의 보다 높은 밀도가 페로센의 아실화를 유도함을 나타낸다.
모든 금속 이온-교환된 K10 몬모릴로나이트 촉매를 실시예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으며, 실시예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아실화제로서 산 무수물을 사용하는 페로센의 아실화에 사용하였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예시를 위해서 제공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일련의 촉매들을 하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다양한 촉매들에 의한 아세트산 무수물과의 페로센의 아실화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2는 다양한아실화제들을 사용한 전환율%을 상세히 나타낸다.
A) K10 몬모릴로나이트(엠에스 플루카, 시그마 알드리치 컴퍼니(M/s. Fluka, a Sigma Aldrich Company, Switzerland)로부터 수득함)를 그 자체로서 사용하였다.
B) 금속 교환된 몬모릴로나이트:
Fe3+교환된 몬모릴로나이트: K10 몬모릴로나이트(엠에스 플루카, 시그마 알드리치 컴퍼니로부터 수득함) 80 g을 교반하에 1 ℓ의 FeCl3(1.0 M) 수용액에 가하였다. K10 몬모릴로나이트의 교환 용량을 포화시키기 위해서 16 내지 30 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점토 현탁액을 원심분리시키고 상등액은 버렸다. 폐기된 물로부터 Cl-이온이 사라질때까지 세척 주기를 반복하였다. 점토를 120 ℃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키고 최종적으로 막자사발에서 분쇄시켰다.
다른 금속 교환된 점토들, 예를 들어 Cu2+, Co2+, Zn2+, Al3+, Ce3+, La3+또는 Zr4+-몬모릴로나이트 촉매를 상응하는 금속 염을 용해시킴으로써 유사한 공정으로 제조하였다.
C) K10 몬모릴로나이트로부터의 FePILC(FePILC-K10=철이 주석인 점토)
Na-몬모릴로나이트를, 상업적인 K10 몬모릴로나이트를 과잉량의 염화 나트륨 수용액중에서 24 시간 동안 현탁 및 교반시켜 제조하였다. 상기 Na-몬모릴로나이트를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시키고 탈이온수에 의해 세척하여 염화 이온을 제거하고 공기 건조시켰다. 상기 공기-건조된 점토의 양이온 교환 용량은 0.8 에퀴이다. 삼핵 아세테이토 하이드록시-철(III) 니트레이트: Fe3(OCOCH3)7OH.2H2ONO3를 상기 Na-몬모릴로나이트와의 교환을 위한 양이온 공급원으로서 사용하였다. 상기는 Fe(NO3)3.5H2O 80.8 g을 에틸 알콜 50 ㎖에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이를 아세트산 무수물 140 ㎖과 반응시켜 열이 방출되었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빙 욕에서 냉각시키고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시키고 추가의 정제없이 필라링(pillaring) 공정에 사용하였다.
양이온 교환: 물 700 ㎖중의 삼핵 아세테이토 하이드록시-철(III) 니트레이트(19.48 g) 수용액 0.04 몰/ℓ를 교반된 1% Na-몬모릴로나이트 수성 현탁액(물 800 ㎖중의 Na-몬모릴로나이트 8g)에 가하였다. 혼합물을 40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고,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시키고 물로 여러 번 세척하여 과잉의 철 이온을 제거하고 공기중에서 건조시켜 FePILC-K10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페로센(1 밀리몰, 0.186 g), 아세트산 무수물(1 ㎖, 10 밀리몰) 및 클로로벤젠(10 ㎖)을 K10 몬모릴로나이트 촉매(0.200 g)의 존재 하에 R.B 플라스크(50 ㎖)에서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 종료(TLC에 의해)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회전증발기상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아실화된 생성물(0.193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페로센(1 밀리몰, 0.186 g), 아세트산 무수물(1 ㎖, 10 밀리몰) 및 클로로벤젠(10 ㎖)을 Fe3+교환된 몬모릴로나이트 촉매(0.200 g)의 존재 하에 R.B 플라스크(50 ㎖)에서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 종료(TLC에 의해)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회전증발기상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아실화된 생성물(0.134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페로센(1 밀리몰, 0.186 g), 아세트산 무수물(1 ㎖, 10 밀리몰) 및 클로로벤젠(10 ㎖)을 Zn2+몬모릴로나이트 촉매(0.200 g)의 존재 하에 R.B 플라스크(50 ㎖)에서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 종료(TLC에 의해)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회전증발기상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아실화된 생성물(0.134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페로센(1 밀리몰, 0.186 g), 아세트산 무수물(1 ㎖, 10 밀리몰) 및 클로로벤젠(10 ㎖)을 Cu2+몬모릴로나이트 촉매(0.200 g)의 존재 하에 R.B 플라스크(50 ㎖)에서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 종료(TLC에 의해)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회전증발기상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플래시크로마토그래피시켜 순수한 생성물(0.114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
페로센(1 밀리몰, 0.186 g), 아세트산 무수물(1 ㎖, 10 밀리몰) 및 클로로벤젠(10 ㎖)을 Fe가 주석인 K10 몬모릴로나이트 촉매(0.200 g)의 존재 하에 R.B 플라스크(50 ㎖)에서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 종료(TLC에 의해)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회전증발기상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아실화된 생성물(0.162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7
페로센(1 밀리몰, 0.186 g), 아세트산 무수물(1 ㎖, 10 밀리몰) 및 클로로벤젠(10 ㎖)을 제올라이트 촉매(0.200 g)의 존재 하에 R.B 플라스크(50 ㎖)에서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 종료(TLC에 의해)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회전증발기상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아실화된 생성물(0.112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8
페로센(1 밀리몰, 0.186 g), 아세트산 무수물(2 밀리몰) 및 클로로벤젠(3 ㎖)을 K10 몬모릴로나이트 촉매(0.093 g)의 존재 하에 슐렌크 플라스크(5 ㎖)에서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 종료(TLC에 의해)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회전증발기상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아실화된 생성물(0.134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9
페로센(1 밀리몰, 0.186 g), 프로피온산 무수물(2 밀리몰) 및 클로로벤젠(3 ㎖)을 K10 몬모릴로나이트 촉매(0.093 g)의 존재 하에 슐렌크 플라스크(5 ㎖)에서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 종료(TLC에 의해)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회전증발기상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순수한 생성물(0.194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0
페로센(1 밀리몰, 0.186 g), 부티르산 무수물(2 밀리몰) 및 클로로벤젠(3 ㎖)을 K10 몬모릴로나이트 촉매(0.093 g)의 존재 하에 슐렌크 플라스크(5 ㎖)에서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 종료(TLC에 의해)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회전증발기상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순수한 생성물(0.204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1
페로센(1 밀리몰, 0.186 g), 발레르산 무수물(2 밀리몰) 및 클로로벤젠(3 ㎖)을 K10 몬모릴로나이트 촉매(0.093 g)의 존재 하에 슐렌크 플라스크(5 ㎖)에서가열 환류시켰다. 반응 종료(TLC에 의해)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회전증발기상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아실화된 생성물(0.217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2
페로센(1 밀리몰, 0.186 g), 헥사노산 무수물(2 밀리몰) 및 클로로벤젠(3 ㎖)을 K10 몬모릴로나이트 촉매(0.093 g)의 존재 하에 슐렌크 플라스크(5 ㎖)에서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 종료(TLC에 의해)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회전증발기상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아실화된 생성물(0.220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3
페로센(1 밀리몰, 0.186 g) 및 아세트산 무수물(2.5 ㎖)을 K10 몬모릴로나이트 촉매(0.047 g)의 존재 하에 슐렌크 플라스크(5 ㎖)에서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 종료(TLC에 의해)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과잉의 무수물을 증류에 의해 회수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아실화된 생성물(0.207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4
페로센(1 밀리몰, 0.186 g) 및 프로피온산 무수물(2.5 ㎖)을 K10 몬모릴로나이트 촉매(0.047 g)의 존재 하에 슐렌크 플라스크(5 ㎖)에서 165 ℃의 오일 욕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TLC에 의해)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과잉의 무수물을 증류에 의해 회수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아실화된 생성물(0.210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5
페로센(1 밀리몰, 0.186 g) 및 부티르산 무수물(2.5 ㎖)을 K10 몬모릴로나이트 촉매(0.047 g)의 존재 하에 슐렌크 플라스크(5 ㎖)에서 165 ℃의 오일 욕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TLC에 의해)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과잉의 무수물을 증류에 의해 회수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아실화된 생성물(0.230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6
페로센(1 밀리몰, 0.186 g) 및 발레르산 무수물(2.5 ㎖)을 K10 몬모릴로나이트 촉매(0.047 g)의 존재 하에 슐렌크 플라스크(5 ㎖)에서 165 ℃의 오일 욕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TLC에 의해)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과잉의 무수물을 증류에 의해 회수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아실화된 생성물(0.240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7
페로센(1 밀리몰, 0.186 g) 및 헥사노산 무수물(2.5 ㎖)을 K10 몬모릴로나이트 촉매(0.047 g)의 존재 하에 슐렌크 플라스크(5 ㎖)에서 165 ℃의 오일 욕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TLC에 의해)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과잉의 무수물을 증류에 의해 회수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아실화된 생성물(0.250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8
페로센(10 밀리몰, 1.86 g) 및 아세트산 무수물(25 ㎖)을 K10 몬모릴로나이트 촉매(0.470 g)의 존재 하에 슐렌크 플라스크(50 ㎖)에서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 종료(TLC에 의해)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과잉의 무수물을 증류에 의해 회수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아실화된 생성물(2.00 g)을 수득하였다.
다양한 촉매들에 의한 페로센의 아세트산 무수물과의 아실화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2는 다양한 아실화제들을 사용한 페로센의 아실화 전환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약 80 내지 165 ℃ 범위의 온도에서 3 내지 8 시간 동안 용매 중에서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금속 이온 교환된 K10 몬모릴로나이트 점토 촉매의 존재 하에 페로센을 탄소수 2 내지 7의 산 무수물 아실화제와 반응시키는 단계, 및 아실페로센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실페로센의 제조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 본 발명의 방법은 아실페로센의 제조를 위한 신규하고 환경 친화적인 방법이다.
2. 본 발명의 방법은 부식성 염화 알루미늄의 사용을 배제한다.
3. 점토를 부식성 염화 알루미늄 및 인산 대신에 처음으로 페로센의 아실화에 대한 촉매로서 사용한다.
4. 촉매로서 또는 촉매의 지지체로서 사용된 점토는 저렴하고 자연에서 풍부하게 얻을 수 있다.
5. 반응 및 수율의 선택도가 정량적이다.
6. 본 발명은 탁월한 수율, 모노아실 페로센에 대한 보다 큰 선택도 및 거의 무시할 만한 폐기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점은 시약으로서 다량의 고체 폐기물을 발생시키는 위험한 무수 염화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기존의 방법과 비교할 때 매우 인상적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방법은 기술적으로 편리하며, 경제적으로 존속될 수 있고 환경적으로 친화적이다.
7. 본 발명의 반응들은 보다 짧은 지속 기간을 갖는 간단한 반응들이며, 간단한 후처리 공정은 본 발명의 방법을 경제적으로 만든다.
8. 본 발명의 방법은 촉매를 여러 주기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폐기물 문제에 직면해있지 않다. 촉매를 일정한 활성으로 4 회 재사용 하였다.
9. 본 발명의 방법은 폐기물 문제가 없기 때문에 환경적으로 안전하다.

Claims (8)

  1. 약 80 내지 165 ℃ 범위의 온도에서 3 내지 8 시간 동안 용매 중에서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금속 이온 교환된 K10 몬모릴로나이트 점토 촉매의 존재 하에 페로센을 탄소수 2 내지 7의 산 무수물 아실화제와 반응시키는 단계, 및 아실페로센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실페로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실화제가 탄소수 2 내지 7의 산 무수물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실화제가 아세트산 무수물 내지 헵탄산 무수물을 포함하는 산 무수물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몬모릴로나이트/금속 이온 교환된 K10 몬모릴로나이트 점토 촉매가 Co2+, Zn2+, Al3+, Ce3+, La3+또는 Zr4+-몬모릴로나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촉매의 양이 충전된 기질에 대해서 5 내지 50 중량%인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자기 용매(self solvents)로서 작용하는 치환된 탄화수소 또는 무수물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치환된 탄화수소 용매가 클로로벤젠인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을 120 내지 165 ℃ 범위의 온도에서 3 내지 8 시간 동안 수행하는 방법.
KR10-2000-7014522A 2000-03-31 2000-03-31 아실페로센의 개선된 제조 방법 KR100406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N2000/000041 WO2001074832A1 (en) 2000-03-31 2000-03-31 An improv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cylferroce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036A true KR20020071036A (ko) 2002-09-12
KR100406289B1 KR100406289B1 (ko) 2003-11-17

Family

ID=11076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522A KR100406289B1 (ko) 2000-03-31 2000-03-31 아실페로센의 개선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268501B1 (ko)
JP (1) JP3574805B2 (ko)
KR (1) KR100406289B1 (ko)
CN (1) CN1166674C (ko)
AU (1) AU2000258438A1 (ko)
DE (1) DE60012372T2 (ko)
WO (1) WO20010748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48324B (zh) * 2005-10-11 2010-08-11 上海化学试剂研究所 乙酰基二茂铁的制备方法
CN100443492C (zh) * 2005-12-06 2008-12-17 三峡大学 合成乙酰基二茂铁的方法
CN111377980B (zh) * 2018-12-30 2022-09-16 徐州邦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中间体双乙酰基二茂铁的合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5566B2 (ja) * 1984-05-28 1994-06-15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シルフエノ−ル類の製造法
JPH0794718B2 (ja) * 1987-08-28 1995-10-11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薄膜の製造方法
FR2667600B1 (fr) * 1990-10-03 1993-07-23 Poudres & Explosifs Ste Nale Procede de synthese de monohalogenoalcanoylferrocenes.
DE59308382D1 (de) * 1992-11-29 1998-05-14 Clariant Gmbh Neue asymmetrische, halogenierte Benzophenon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FR2721028B1 (fr) * 1994-06-14 1996-07-12 Poudres & Explosifs Ste Nale Procédé de synthèse d'halogénoalkylferrocènes.
JP3859882B2 (ja) * 1998-09-14 2006-12-20 株式会社リコー 新規なオリゴフェロセニレン誘導体及び電気化学的に活性なクラスター薄膜の製造方法
JP2001288166A (ja) * 2000-03-31 2001-10-16 Council Scient Ind Res 金属イオン交換クレーを用いてヘテロ芳香族化合物からアシルヘテロ芳香族化合物を調製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0258438A1 (en) 2001-10-15
EP1268501B1 (en) 2004-07-21
JP2003513094A (ja) 2003-04-08
DE60012372D1 (de) 2004-08-26
CN1166674C (zh) 2004-09-15
WO2001074832A1 (en) 2001-10-11
EP1268501A1 (en) 2003-01-02
CN1345326A (zh) 2002-04-17
JP3574805B2 (ja) 2004-10-06
DE60012372T2 (de) 2005-07-28
KR100406289B1 (ko) 2003-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A reusable FeCl 3· 6H 2 O/cationic 2, 2′-bipyridyl catalytic system for the coupling of aryl iodides with thiols in water under aerobic conditions
JP4488544B2 (ja) エステル類の調製法
Bennazha et al. Na2CaP2O7, a new catalyst for Knoevenagel reaction
US3288860A (en) Alkali metal salts of sulfinyl carbanions and alkali metal alkanesulfenate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reactions thereof with alkyl halides
KR100406289B1 (ko) 아실페로센의 개선된 제조 방법
JP2004527577A5 (ko)
JP2001500834A (ja) LiPF▲下6▼製造方法
Tewari Novel oxidative coupling of 2-naphthols to 1, 1′-bi-2-naphthols catalysed by solid Lewis acids using atmospheric oxygen as oxidant
US6239302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cylferrocenes
Hu et al. Novel solid acid catalyst, bentonite-supported polytrifluoromethanesulfosiloxane for Friedel–Crafts acylation of ferrocene
JP2009233653A (ja) 表面銀固定化ハイドロキシアパタイト
JPH02184693A (ja) 弗素化ホスホンスルホン酸及びその製法
WO1996036587A1 (en) Catalytic nitration
CN111875523A (zh) α-氟乙烯基硫醚衍生物的合成方法
EP0009267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nitroso-diphenylhydroxylamines
Zolfigol et al. Silica Chloride/NaNO 2 as a Novel Heterogeneous System for Production of Thionitrites and Disulfides Under Mild Conditions
JPH078816B2 (ja) ジベンゾイルメタンの製造法
US4094902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phosphoric acid-tris-(dimethylamide)
JP4210091B2 (ja) 金属カチオン交換モンモリロナイト触媒
JP2001288166A (ja) 金属イオン交換クレーを用いてヘテロ芳香族化合物からアシルヘテロ芳香族化合物を調製する方法
EP0163506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pyridil-propanoic acid
CN111205187A (zh) 一种4-氯-3,5-二硝基三氟甲苯的制备方法
RU2119916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замещенных 1,10-фенантролинов
CN114606520A (zh) 一种芳基磷酸酯的合成方法
IL38256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10-amino-10,11-dihydro-dibenzo(b,f)azepines and intermediates for use ther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