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9629A -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9629A
KR20020069629A KR1020010009916A KR20010009916A KR20020069629A KR 20020069629 A KR20020069629 A KR 20020069629A KR 1020010009916 A KR1020010009916 A KR 1020010009916A KR 20010009916 A KR20010009916 A KR 20010009916A KR 20020069629 A KR20020069629 A KR 20020069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eed additive
additive composition
yeast
fermented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넬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넬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넬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10009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9629A/ko
Priority to CNB021051755A priority patent/CN1243482C/zh
Publication of KR20020069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62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4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e.g. magnes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30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미강 또는 소맥피 1,000g에 대하여, 5~10g의 분쇄 가공효모, 0.05~0.15g의 마그네슘화합물(염화마그네슘(MgCl2) 또는 황산마그네슘(MgSO4)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 0.05~0.15g의 망간화합물(염화망간(MnCl2) 또는 황산망간(MnSO4)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 0.01~0.05g의 아연화합물 (산화아연(ZnO) 또는 황산아연(ZnSO4)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 0.05~0.15g의 칼슘화합물(탄산칼슘(CaCO3), 염화칼슘(CaCl2) 또는 황산칼슘(CaSO4)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 및 10~50g의 발효성 당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어서, 혼합 조성물의 수분함량을 25∼35중량%로 조절하면서 산화환원전위값을 -100∼150㎷로 유지하면서 30∼45℃에서 3~5일간 중온발효 및 55∼75℃에서 3~5일간 고온발효를 실시한 다음, 50~300g의100~300의 분쇄 효모 및 50~150g의 100~350 메쉬의 분말 가공석(질석, 세리사이트 또는 버뮤큐라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을 추가로 혼합, 숙성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별도의 약품첨가 없이 면역력 증가 및 항피로·항스트레스의 생리활성 기능을 증진시키므로 사료첨가제 또는 어류 양식용 사료첨가제로서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Physiologically Active Feedstuff Additiv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리활성 물질은 생명체의 건강을 근본적으로 좌우하는 인자이다. 생체의 항상성 유지에도, 그 변조의 결과로 나타나는 발병도 있고 또 질병으로부터의 회복에도 반드시 섭취한 사료 등이 관여한다. 이같이 매우 중요한 인자임에도 불구하고 그 가치의 규명은 충분히 되어있지 않다. 사료의 가치는 양(量)보다 질(質이)라 생각된다. 단, 우리가 여기에서 문제로 하는 '질'은 보통 화학분석에 의해 구해지는 성분함량, 성분조성만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어느 2개의 시료 분석 수치의 비교에서는 같더라도 섭취 후 생체 내에 나타나는 기능을 지표로 비교하면 서로 완전히 다르게 거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그 원인은 성분의 존재상황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성분분자가 단순한 물질로서 존재하지만 유효한 기능체로 존재하는가에 차이가 있다.
사료은 기능면에서 3가지 기능을 가지게 되는데, 1차기능이란 사료중의 영양소가 생체에 대해 수행하는 기능으로 생명을 유지하는데 기본적으로 중요한 것으로정의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제3차 기능이란 생체 리듬의 조정, 신경의 자극과 진정, 면역계의 조절등에 관한 기능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료에 기인하는 병능(病態)의 발현과 그 조절, 병능으로부터의 회복과 건강유지는 3차 기능에서 유래된다.
이제 사료는 단순히 영양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는 측면을 지나 다양화 추세에 접어들고 있다.
본 발명은 기능성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값비싼 정제된 약리 물질을 첨가하지 않고도 생명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면역력, 항스트레스 및 항피로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생명체의 생존율을 향상시키고 각종 질병에 대해 항병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별도의 항균제 및 항생제를 추가로 필요하지 않으므로 보다 환경 친화적이고 안전성 있는 축산물을 생산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국내외 축산산업에 있어서 안전한 기능성을 갖는 축산물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외 양돈, 양계 및 축산업계의 문제점은 가축의 질병으로 인한 폐사, 생산성 감소 등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능성 가축용 사료가 게시되어 있는데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 95-009944호(겐타마이신과 린코마이신 또는 클린다마이신의 항생제 혼합물을 함유한 동물사료 및 이에 첨가제 또는 음료)에는 전염병의 예방 및 치료, 육용동물(fattening animals)의 체중증가를 증진시키고 사료의 효율인자를 높이기 위해 겐타마이신과 린코마이신 또는 클린다마이신와 같은 항생제 혼합물을 함유한 동물 사료 첨가제가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4-701670호에는 버지니아마이신과 글리코텝타이드 항생제유도체와의 배합물을 동물에 경구투여시킴을 특징으로하여, 동물의 사료효율을 향상시키고 동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1995-009945호는 돼지의 이질 및 대장균증을 예방 및 치료하고, 지방병성 폐렴을 예방하여 돼지의 체중증가를 도모할 수 있고, 새끼 돼지의 사망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음료수 또는 동물사료에 첨가제로서 겐타마이신과 린코마이신의 항생제 혼합물을 함유하는 수유제제가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73053호(등록공고 제1999-173053호)에는 클로로테트라사이클린 또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생산균주를 배양한 발효액을 균체가 포함된 상태에서 산성화시킨 후, 금속이온 또는 암모늄이온으로 클로로테트라사이클린 또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을 염화(salting)시킨 다음, 건조시켜 제조한 염화된 클로로테트라사이클린 또는 염화된 옥시테트라사이클린, 균체, 및 발효액건조물이 포함된 사료용 항생제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에 기술된 종래의 사료첨가제들은 대부분 약제 및 성장 호르몬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지나친 급이시 사육가축들이 약품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여 약제 남용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육된 가축물에는 상기 유해물질들이 축적되어 축산물 섭취시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유해물질을 간접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식품의 안전성 면에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에 가격 경제력과 품질향상에 필요한 경제성 제고 및 식품위생상의 품질안정성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축산산업도서 점차적으로 대형화 추세로 변화하고 있으며, 경제성을 고려한 한정된 공간에서 밀집사육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밀집사육에 의해 가축들의 가축질병에 대한 대책과 생산성 향상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실정이다. 생산성 저하는 영양상태의 불균형, 영양효율 불균형, 사육환경 조건 등과 같은 사육 조건 등의 여러 요인들로 의해서 더욱 문제시 될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의 식품위생에 문제가 되는 약제의 사용은 점차적으로 사용을 감소하여야 하며, 궁국적으로는 안전한 대체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오랜 기간 연구를 거듭한 결과 안전하게 자연면역력을 증강시켜 질병 방어력을 향상시키고, 여러 가지 사육에 의한 스트레스 감소 및 피로회복을 촉진하여 생산성을 향상하도록 원활하게 작용해 줌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사료조성물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공지의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은 살균된 미강 등에 배양된 미생물 제제를 일정량 접종하여 조절된 조건에서 일정기간동안 발효시키는 미생물 발효사료 제조방법에 국한되어 있다. 이러한 발효사료의 제조방법은 접종된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배양하여야 하고 순수배양을 위한 살균공정의 필요성 등으로 인한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기능성 발효 첨가제로서의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살균되지 않은 미강 등을 근간으로 하여 살균공정이 별도로 필요없는 발효조건과 발효 미생물의 수적 증가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해지게 되었다.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의 사료첨가제들은 대부분 약제 및 성장 호르몬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적정량 이상을 급이시 약품에 대한 사육가축들의 내성이 증가하여 약제의 과다 남용을 야기할 수 있다. 이는 사육되는 가축물에 상기 유해물질들이 축적되어 축산물 섭취시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유해물질을 간접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식품의 안전성 면에서 커다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질병 예방으로써 약제를 투여하는 대신 면역력을 증강시켜 방어력을 향상시켜 사료의 섭취 역할과 섭취된 사료의 영양분이 최대한 흡수, 촉진되도록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도와줌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연구개발에 착수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자는 생체내에서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마그네슘화합물, 망간화합물, 아연화합물 및 칼슘화합물을 미네랄의 성분으로 하는 생리활성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여 실험한 결과, 가축의 질병에 대한 면역력 증가, 영양성분 흡수촉진, 항피로 및 항스트레스의 생체활성을 갖는 기능성 발효첨가제 조성물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값비싼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지 않고도 가축들의 자가 면역력을 증진시키고 항스트레스 및 항피로 효과를 극대화시켜 생존율을 향상시키고, 각종 질병에 대해 자가 면역력을 극대화시켜 축산농가에 생산성 증가 및 경제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데 되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예의연구를 거듭한 결과 미강 또는 소맥피 등에 분쇄 가공효모, 마그네슘화합물, 망간화합물, 칼슘화합물, 아연화합물과 발효성 당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미호기성 발효 후, 추가적으로 분쇄 가공효모 및 미세한 가공 분말석을 첨가, 혼합하여 숙성시켜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개발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미강 또는 소맥피 1,000g에 대하여, 5~10g의 분쇄 가공효모, 0.05~0.15g의 마그네슘화합물, 0.05~0.15g의 망간화합물, 0.05~0.15g의 칼슘화합물, 0.01~0.05g의 아연화합물, 10~50g의 발효성 당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미호기적 조건하에서 30∼45℃에서 중온발효 및 55∼75℃에서 고온발효를 행한 다음, 추가로 150~290g의 분쇄 가공효모 및 50~150g의 분말 가공석을 첨가하여 숙성시켜서 제조된다.
상기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공정중, 중온발효 및 고온 발효는 성술한 바와 같이 미강 또는 소맥피 1,000g에 대하여, 조성물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수분함량을 25∼35%가 되도록 혼합 조절하면서 미호기적 조건하에 1차 중온 및 2차 고온 발효를 실시하는 것으로, 6일~10일간 실시되며, 이어서, 혼합 발효 조성물에 분쇄 가공효모 및 분말 가공석을 추가로 첨가 혼합하여 숙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이 제조된다. 상기의 미호기적 조건이란 산화환원전위 값이 -100∼150㎷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말하며, 발효는 1차 중온발효와 2차 고온발효로 이루어지는데, 1차 중온발효는 30∼45℃에서 3~5일간, 2차 고온발효는 55∼75℃에서 3~5일간 실시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하기의 제조단계로 구성된다.
(a) 미강 또는 소맥피 1,000g에 대하여, 5~10g의 분쇄 가공효모, 0.05~0.15g의 마그네슘화합물, 0.05~0.15g의 망간화합물, 0.01~0.05g의 아연화합물, 0.05~0.15g의 칼슘화합물 및 10~50g의 발효성 당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얻은 혼합조성물의 수분함량을 25∼35 중량%로 조절하면서 산화환원전위값을 -100∼150㎷로 유지하면서 30∼45℃에서 3~5일 동안 1차 중온발효 및 55∼75℃에서 3~5일간의 2차 고온발효를 실시하는 단계; 및
(c) 50~300g의 분쇄 가공효모 및 50~150g의 분말 가공석을 첨가하여 숙성하는 단계.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마그네슘화합물은 염화마그네슘 (MgCl2) 또는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다. 사료 첨가제 성분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1종 이상의 성분을 함께 사용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문제가 없다..
상기 망간화합물은 염화망간(MnCl2) 또는 황산망간(MnSO4)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칼슘화합물은 탄산칼슘(CaCO3), 염화칼슘 (CaCl2) 또는 황산칼슘(CaSO4)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연화합물은 산화아연(ZnO) 또는 황산아연(ZnSO4)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다.
상기 가공효모는 불활성 효모인 양조효모 또는 빵 효모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입도는 100~300 메쉬로 분말 가공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성 당으로는 포도당 또는 이의 동량의 부산물, 수크로오즈 (Sucrose) 및 이의 동량의 당밀, 프럭토오스(Fructose) 또는 이의 동량의 부산물, 말토오즈(Maltose) 또는 이의 동량의 부산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분말 가공석은 질석(zeolite), 세리사이트(sericite) 또는 버뮤큐라이트 (vermuculite)로 구성되는 군으로부 1종 이상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분말 가공석의 입자크기는 100~350 메쉬 크기로 1,000℃ 이상의 온도에서 소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합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한 성분만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두 성분 이상을 함께 사용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각각 사용되는 성분은 동량의 몰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 일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들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은 해당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생리활성 기능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미강 1,000g에 대하여 7.5g의 분쇄 분활성 가공효모, 0.1g의 염화마그네슘(MgCl2), 0.1g의 황산망간(MnSO4), 0.03g의 산화아연(ZnO), 0.1g의 탄산칼슘(CaCO3) 30g의 슈크로오즈(Sucrose)의 조성물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수분함량이 30%가 되도록 조절하여 혼합한 후 - 100∼100㎷의 조건에서 30∼40℃에서 3일간의 1차 중온발효와 65∼75℃에서 3일간의 2차 고온발효를 한 후, 추가적으로 220g의 분쇄 불활성 가공효모 및 75g의 분말 가공석을 추가로 혼합하고 숙성하여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1)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일반 첨가제인 조성물의 제조
미강 1,000g을 수분함량이 30%가 되도록 조절한 후 - 100∼100㎷의 조건에서 30∼40℃에서 3일간의 1차 중온발효와 65∼75℃에서 3일간의 2차 고온발효를 실시하여 첨가제(2)를 수득하였다.
[시험예 1] 장관면역 활성
소장 점악에 위치한 페이어스 패치(Peyer's patch)에서 활성화된 면역세포들은 IL-6 및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와 같은 세포가 만들어 내는 cytokine류를 생산하게 됨으로서 골수세포 뿐만 아니라 leukocyte나 다른 조혈계 세포들의 성장, 이동, 분화 등을 조절하여 면역반응이나 염증반응을 조절한다. 본 장관면역 활성 측정을 위해 실험동물은 C3H/HeJ 마우스(6~8주령,대한실험동물)을 사용하였으며 패취방법(Peyer's patch Method)에 의하여 시험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C3H/HeJ 마우스의 소장으로부터 페이어스 패치 조직을 적출하고 시험구 및 대조구 1) 및 2)에서 준비된 시료와 페이어스 패치 세포와의 반응 배양한 후, C3H/HeJ 마우스의 정강이뼈로부터 골수세포우셀(bone marrow cell)를 회수하여 재차 반응시켜 배양하면서 알라마 블루(Alamar Blue) 측정법에 의한 골수세포 증식도을 분광광도계에 의하여 측정한 값을 비교함으로 시료에의한 장관면역의 활성도을 측정하는 생화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은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급이한 것을 시험구로 하였으며, 비교예에서 얻은 첨가제를 급이한 것을 대조구 1)로, 분쇄 가공 불활성 효모 만을 급이한 것을 대조구 2)로 하였다. 장관면역활성은 LPS(LipoPolySaccharide)을 양성 콘트롤(positive control)로 하여 시험구를 대조구 1) 및 2)와 비교, 측정하였다.
상기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험예의 경우, 양성 콘트롤 (Positive Control)이 6,900의 장관면역 활성을 보여 인 보다 다소 높은 7,000의활성을 보인 반면에, 대조구 1) 및 대조구2)에서는 각각 5,700 및 5,900의 장관면역 활성을 보였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가 대조구에 비해 비교적 높은 장관면역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미 장관면역활성이 보고된 LPS와 동일한 수준의 장관면역활성을 지님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마크로파지(Macrophage) 활성
면역계에서 마크로파지는 고유성(innate)와 적응성 면역(adaptive immunity)의 두 면역계 모두에 관여하는 면역세포로 체내로 유입된 외부물질의 소화와 연속적인 분해 및 가공은 임파구에로의 항원제공, 전체 면역계를 조절해 줄 수 있는 특정물질의 분비, 그리고 다른 세포와 조직들을 죽일 수 있는 능력을 지닌 물질들의 생성과 같은 기전을 통해서 면역계를 활성화시키는 세포성 면역계에서 중요한 면역세포이다. 마크로파지(Macrophage) 활성 측정에는 실험동물은 ICR계 마우스(5~8주령, 대한실험동물)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료를 제조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마크로 파지 활성 측정방법은 마우스로부터 복막 삼출물 세포 (peritoneal exudate cell) 일정한 조건에서 배양하여 마크로파지 단일층(monolayer)을 얻어서 준비한다음, 시료와 반응하여 마크로파지를 활성화시켜, 마크로파지의 라이조조말 효소(macrophage lysosomal enzyme)을 엘리자(ELISA)측정기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상대적인 활성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에서는 시험구의 마크로파지(macrophage) 활성은 양성콘트롤인인 LPS 보다 다소 낮은 170의 상대활성을 보였으나 유의적 차이(P<0.05)는 없었다. 그러나 대조구1 및 2는 각각 123과 126의 낮은 상대활성을 보였다. 이는 본 발명의 발효 첨가제가 마크로파지 활성이 보고된 LPS와 동일한 수준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첨가제가 생명체의 장관면역 활성 및 마크로파지의 활성을 크게 높여 주어 항병력을 높이고, 이를 사료의 첨가제롤 적용시는 항생제을 투여하지 않고도 질병을 방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항스트레스 효과
항스트레스 효과의 측정은 Brekhman and Dardymov에 의한 부동(구속) 스트레스 분석(stress assay) 방법을 응용하여 5주령의 Sprague-Dawley 랫트(♂, 180g 전후)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본 시험에 사용한 시험구 및 대조구의 시료 및 제조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각 시료는 체중 1kg당 1g를 매일 1회 8일간 연속하여 경구투여하였다. 각 시료에 대한 rat은 3-4 마리를 사용하였으며 시료투여 6일후 부터 랫트를 폭5cm 길이 12cm의 원통의 고정틀에 넣은 후, 45oC의 경사로에 고정시켜 48시간 동안 스트레스를 유발시켰다. 최종시료 투여후 3시간만에 랫트를 에테르로 가볍게 마취시키고 혈액, 부신, 흉선, 비장 및 갑상선을 적출하여 그 중량을 측정한 후 비교예와 비교하였다.
스트레스가 유발되면 부신피질호르몬 분비에 변동을 초래하며 이에 대항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장기중 간장, 흉선세포, 신장,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미쳐 부신, 흉선, 비장 및 갑상선 중량에 변동을 초래한다는 것이 Brekhman & Dardymov에 의해서 보고된 바 있다.
상기 표에서 보는바와 같이 스트레스를 가함으로서 스트레스 호르몬생산과 면역계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장기들이 정상군(non-stress control)에 비하여 현저한 변동을 초래하여 비장, 흉선, 갑상선 등의 현저한 감소 및 부신의 증가가 관찰되어 본 실험에서 이용한 부동 스트레스 방법이 아주 효과적이라고 생각되어진다.
각 시료를 8일간 경구투여(1g/kg 체중/day)하고 부동 스트레스를 가하여 각 장기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한 결과, 모든 시료에 있어서 비장, 흉선과 갑상선에서 현저한 중량의 증가효과를 보여 정상수준으로 회복됨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항피로 효과에서 나타난 결과와 매우 부합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시험구2의 경우는 비장, 갑상선과 흉선에서 뚜렷한 항스트레스 효과를 보였으며, 대조구3 (대조구 2의 분말 불활성 가공효모)의 경우에는 부신, 비장과 갑상선에서 항스트레스 효과를 보였으며, 대조구 4(대조구 1의 발효미강인 첨가제)은 비장, 흉선과 갑상선에서 유의성 있는 회복효과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시험구2와 대조구 2의 경우가 스트레스에 대한 회복 효과가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대조구 3의 순서로 회복 효과를 보였다.
이는 본 발명의 첨가제가 동물의 항스트레스의 예방 및 회복에 개선하는 결과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시험예 4] 항피로 효과
항 피로효과측정은 5주령의 ICR 마우스(♂, 25 g 전후) 사용하여 마우스의 강제유영운동능력 측정방법을 이용하였다. 유영운동능력 측정시 마우스의 신체적 활동도와 실험 데이터의 편차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서 모든 운동능력 측정시각은 동일한 조건에서 실시하였으며, 수온이 34oC로 유지된 마우스 전용 유수(流水)운동능력측정장치(Matsumoto 등, 1996)를 이용하여 유속 8 L/min의 운동강도 하에서 2번의 유영운동시간을 측정하여 각 그룹(4-5마리 마우스)의 평균 유영시간이 같도록 한 후 15일간 각 시료(1g/kg 체중)를 매일 경구투여하면서 3-4일 간격으로 4번에 걸쳐 최대 신체적 한계치까지의 유영운동시간를 측정하였다. 이때 유영운동시간의 한계치는 마우스가 더 이상 수영을 못하는 시점까지로 정했으며, 이는 마우스가 물속에 빠져 7초가 경과할 때까지 물 표면으로 올라오지 못하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수영시작 후 이 시점까지를 유영운동시간으로 설정하였다.
각 시료(1g/kg 체중)를 1일 1회 15일간 연속하여 경구투여하면서 3-4일 간격으로 마우스 전용 유수(流水)운동능력측정장치(Matsumoto 등, 1996)를 이용하여 유속 8 L/min의 운동강도 하에서 4번 강제유영운동능력을 측정한 결과를 보면 시험구 3 및 대조구 5, 6의 섭취를 하지 않은 일반기준의 경우는 거의 운동시간에 있어서 현저한 증가현상을 보이지 않았지만 시험구 3 및 대조구 5 ,6의 시료를 투여한 그룹에서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투여 일주일이후부터는 일반기준에 비하여 현저한 증가현상을 나타내었고, 15일 투여시, 각 시료에서 항피로 효과가 있었다. 특히 시험구 3은 대조구 5 및 6의 경우보다 투여 일주일 후부터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강제유영에 대하여 견디는 힘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다는 것은 스트레스에 대한 억제효과를 암시 할 뿐 아니라 면역력 증강효과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인정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미강 또는 소맥피에 분쇄 가공효모, 마그네슘화합물, 망간화합물, 아연화합물, 칼슘화합물 및 발효성 당을 주요 성분으로 하여 발효 및 숙성공정을 거쳐서 제조되는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가축의 질병에 대한 면역력 증가, 영양성분 흡수촉진, 항스트레스 및 항피로의 생체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11)

  1. 미강 또는 소맥피 1,000g에 대하여, 5~10g의 분쇄 가공효모, 0.05~0.15g의 마그네슘화합물, 0.05~0.15g의 망간화합물, 0.05~0.15g의 칼슘화합물, 0.01~0.05g의 아연화합물, 10~50g의 발효성 당을 혼합하여 30∼45℃에서 중온발효 및 55∼75℃에서 고온발효를 행한 다음 50~300g의 분쇄 가공효모 및 50~150g의 분말 가공석을 첨가하여 숙성시켜서 제조된 발효사료 첨가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화합물은 염화마그네슘(MgCl2) 또는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사료 첨가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간화합물은 염화망간(MnCl2) 또는 황산망간(MnSO4)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사료 첨가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화합물은 탄산칼슘(CaCO3), 염화칼슘(CaCl2) 또는 황산칼슘(CaSO4)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발효사료 첨가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화합물은 산화아연(ZnO) 또는 황산아연(ZnSO4)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사료 첨가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효모는 불활성 효모인 양조효모 또는 빵 효모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사료 첨가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효모의 입도는 100~300 메쉬로 분말 가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사료 첨가제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성 당으로는 포도당 및 이의 동량의 부산물, 수크로오즈(Sucrose) 및 이의 동량의 당밀, 프럭토오스(Fructose) 및 이의 동량의 부산물 또는 말토오즈(Maltose) 및 이의 동량의 부산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사료 첨가제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가공석은 질석, 버뮤큐라이트 또는 세리사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사료 첨가제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가공석은 100~350 메쉬 크기로 1,000℃ 이상에서 소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사료 첨가제 조성물.
  11. 하기 단계 (a) 내지 (c)를 포함하는 발효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a) 미강 또는 소맥피 1,000g에 대하여, 5~10g의 분쇄 가공효모, 0.05~0.15g의 마그네슘화합물, 0.05~0.15g의 망간화합물, 0.01~0.05g의 아연화합물, 0.05~0.15g의 칼슘화합물 및 10~50g의 발효성 당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얻은 혼합조성물의 수분함량을 25∼35 중량%로 조절하면서 산화환원 전위값을 -100∼150㎷로 유지하면서 30∼45℃에서 3~5일 동안 1차 중온발효 및 55∼75℃에서 3~5일간의 2차 고온발효를 실시하는 단계; 및
    (c) 50~300g의 분쇄 가공효모 및 50~150g의 분말 가공석을 첨가하여 숙성하는 단계.
KR1020010009916A 2001-02-27 2001-02-27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0069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916A KR20020069629A (ko) 2001-02-27 2001-02-27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B021051755A CN1243482C (zh) 2001-02-27 2002-02-25 生理活性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916A KR20020069629A (ko) 2001-02-27 2001-02-27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629A true KR20020069629A (ko) 2002-09-05

Family

ID=3609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916A KR20020069629A (ko) 2001-02-27 2001-02-27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0069629A (ko)
CN (1) CN124348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214B1 (ko) * 2005-07-20 2006-02-24 노영빈 허브초탄을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사육된 동물성 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4913A (zh) * 2014-07-10 2014-09-24 烟台铭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酵母菌发酵液生产高能海洋生物菌的制备方法
CN106560054B (zh) * 2015-09-30 2021-01-15 中创云牧(内蒙古)科技咨询有限公司 一种奶牛浓缩料及其用途和使用方法
CN108208325A (zh) * 2018-01-19 2018-06-29 深圳市帝之道科技贸易有限公司 一种益生菌复合矿物质添加剂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214B1 (ko) * 2005-07-20 2006-02-24 노영빈 허브초탄을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사육된 동물성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3482C (zh) 2006-03-01
CN1381187A (zh) 200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06052B (zh) 一种蚯蚓抗菌肽水解液及含有该抗菌肽水解液的饲料
JPH11506012A (ja) 反芻動物用飼料添加物
EP2371226B1 (en) Bile salt adjuvant for animals for improving fat utilization efficiency in the bodies of animals
CN104206789B (zh) 一种用于预防奶牛乳房炎和布鲁氏菌病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01936620B1 (ko) 발효공법을 이용한 아로니아 함유 기능성 복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CN112314780A (zh) 一种调控畜禽肠道健康的增强剂及其制备方法
CN103734499A (zh) 一种水产生物饲料
CN105494920A (zh) 中草药复合酶制剂及用其制备秸秆饲料的方法
Eggum et al. The effect of protein quality and fibre level in the diet and microbial activity in the digestive tract on protein utilization and energy digestibility in rats
CN101961330A (zh) 水产动物用抗应激剂
CN109221606A (zh) 一种无抗虾蟹桑叶液态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1961482A (zh) 水产动物用免疫增强剂
CN104304169A (zh) 有机富硒肉猪的养殖方法
KR20020069629A (ko)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91470A (zh) 动物饲料
CN101972469A (zh) 水产动物用免疫制剂
CN108477407A (zh) 一种复合微生态制剂及其在生猪养殖中的应用方法
KR100937552B1 (ko) 쑥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9329583A (zh) 一种肉鸡饲料
CN105981916A (zh) 一种用于秸秆饲料的生物制剂
WO2021235850A1 (ko) 친환경 생육 보조제 및 그 제조방법
RU2739401C1 (ru) Фитосинбиотическая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для телят
CN1623412A (zh) 一种蚯蚓活性肽抗菌饲料原料及其生产方法
Sambhu et al. Dietary supplementation of testosterone propionate on growth performance of whiteprawn, Penaeus indicus (M. Edwards)
CN111000045A (zh) 一种生物质基饲料营养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