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6802A - 피부첩부용 시트 - Google Patents

피부첩부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6802A
KR20020066802A KR1020010007175A KR20010007175A KR20020066802A KR 20020066802 A KR20020066802 A KR 20020066802A KR 1020010007175 A KR1020010007175 A KR 1020010007175A KR 20010007175 A KR20010007175 A KR 20010007175A KR 20020066802 A KR20020066802 A KR 20020066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impregnated
skin
packaging material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케다타케시
김봉조
Original Assignee
한웅코텍 주식회사
화인메디카루 가부시키가이샤
김봉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웅코텍 주식회사, 화인메디카루 가부시키가이샤, 김봉조 filed Critical 한웅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7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6802A/ko
Publication of KR20020066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80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의 소정 부위에 붙이는 화장품, 의약품, 의약부외품 등으로 사용되는 피부첩부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화장품으로 사용할 때에는 유효성분의 흡수가 양호하면서 보습효과가 우수하고, 의약품으로 사용할 때에는 경피흡수효과가 우수한, 그러면서도 기재의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피부첩부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화장성분이나 약제를 함유하는 액상물을 함침시킨 함침시트(2)가 상측시트(4)와 하측시트(5)로 이루어지는 포장재(3)로 밀봉되고, 상기 함침시트(2)를 밀봉한 포장재(3)가 기재(1) 위에 놓여지고, 상기 상측시트(4)가 하측시트(5)로부터 박리되어 포장재(3)가 개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첩부용 시트{Adhesive Sheet applied to Skin}
본 발명은 피부첩부용 시트,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의 소정 부위에 붙이는 화장품, 의약품, 의약부외품 등으로 사용되는 피부첩부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피부첩부용 시트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테이프상의 기재에 부직포가 놓이고, 부직포 위에 이형재가 놓이는 구성을 취한다.
이러한 피부첩부용 시트는 부직포에 겔상의 물질이나 연고기제가 도포되는데 그 겔상의 물질이나 연고기제는 이를테면, 화장품인 경우에는 화장용으로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의약품이나 의약부외품인 경우에는 약제 등의 유효성분을 함유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피부첩부용 시트는 부직포에 도포된 겔상의 물질이나 연고기제가 피부와 닿기 때문에 그 부분에 끈적거리는 감이 생겨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또한, 상기 겔상의 물질이나 연고기제는 어느 정도의 습윤효과를 갖기는 하나 겔상의 물질이나 연고기제의 사용목적이 시트를 피부에 부착시키는 것인 만큼 피부습윤 및 약제의 경피흡수 효과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피부가 각질화가 진행되면 겔상의 물질이나 연고기제를 피부에 접촉시키는 것만으로는 습윤효과나 경피흡수효과가 반드시 얻어진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화장품의 경우에는 피부에 대한 충분한 보습효과가, 의약품의 경우에는 약제의 유효성분의 충분한 경피흡수효과가 얻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하여, 겔상의 물질 등을 대신하여 액상물질을 부직포에 함침시키는 것도 생각되었으나 처음부터 이러한 피부첩부용 시트는 피부에 붙이는 것이기 때문에 기재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부직포에 액상물질을 함침시키면 그 액상물질이 기재쪽으로 스며 나오고, 그 결과 기재의 점착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실제로는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액상물질을 부직포에 함침시킨 것과 같은 피부첩부용 시트는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화장품으로 사용할 때에는 유효성분의 흡수가 양호하면서 보습효과가 우수하고, 의약품으로 사용할 때에는 경피흡수효과가 우수한, 그러면서도 기재의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피부첩부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 제시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이며 도 2에서 도 6은 도 1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이형재를 박리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포장재를 드러나게 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상측시트를 박리하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함침시트를 드러나게 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기재2: 함침시트
3: 포장재4: 상측시트
5: 하측시트6: 손잡이
7: 이형재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결수단은 액상물을 함침시킨 함침시트(2)가 상측시트(4)와 하측시트(5)로 이루어지는 포장재(3)로 밀봉되고, 상기 함침시트(2)를 밀봉한 포장재(3)가 기재(1) 위에 놓여지고, 상기 상측시트(4)가 하측시트(5)로부터 박리되어 포장재(3)가 개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부첩부용 시트는 먼저 상측시트(4)를 하측시트(5)로부터 박리하고 포장재(3)를 개봉하여 함침시트(2)를 드러나게 하고, 드러난 함침시트(2) 부분을 붙이고자 하는 피부의 소정 부위에 접하도록 하여 기재(1)를 피부에 붙이는 방법에 의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하여 기재(1)가 피부에 붙으면 함침시트(2)의 액상물이 피부에 흡수되게 된다.
이 경우, 함침시트(2)에 함침되어 있는 것은 액상물이지만 피부첩부용 시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함침시트(2)가 포장재(3)로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함침시트(2)에 함침된 액상물이 포장재(3) 밖으로 스며나와 기재(1) 쪽으로 스며나오지 않기 때문에 기재(1)의 점착제의 점착력이 저하되는 일이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1은 우레탄 테이프제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평면장방형의 기재이고, 표면에는 피부에 점착되도록 점착제(미도시)가 도포되어 있다.
기재의 표면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평면장방형의 통기성 시트(2)를 밀봉한 포장재(3)가 놓여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측시트(4)와 하측시트(5)로 포장재(3)가 구성되는데 상측시트(4)와 하측시트(5)의 주변부는 박리가능하게 열접착되는 것에 의해 함침시트(2)가 포장재(3)에 밀봉되어 있다.
이 상측시트(4)와 하측시트(5)는 평면장방형의 통기성을 갖는 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함침시트(2)에는 액상물이 함침되어 있다. 이 액상물에는 스쿠알렌, 알로에 엑기스 등이나 각질제거 성분인 과일산을 함유하고 있다.
6은 상측시트(4)를 하측시트(5)로부터 박리할 때 파지부분이 되는 손잡이이고, 상측시트(4)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7, 7은 포장재(3)의 윗면을 덮도록 놓여진 기재(1)의 이형재이고, 한쪽 부분은 기재(1)에 붙어있고 다른 한쪽 부분은 서로 겹쳐져 있다.
그리하여, 상기 구성을 가지는 피부첩부용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재(7, 7)를 기재(1)로부터 박리한다.
이에 의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3)가 드러나게 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를 잡고 상측시트(4)를 박리하고, 하측시트(5)로부터 제거한다.
이에 의하여 함침시트(2)가 드러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피부의 소정 부위에 함침시트(2)가 오도록 하여 기재(1)를 피부네 붙인다.
이렇게 하면 함침시트(2)에 함침된 액상물이 피부에 침투하게 된다.
이 경우, 함침시트(2)에 함침되어 있는 것이 겔상물질이나 연고가 아닌 액상물이기 때문에 끈적거리는 감 없이 잘 흡수되어 화장품으로서 유효한 보습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또, 불사용시 즉, 포장재(3)을 개봉하기 정에는 액상물이 함침된 함침시트(2)가 포장재(3)로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함침시트(2)에 함침된 액상물이 포장재(3) 밖으로 스며나와 기재(1) 쪽으로 스며나오지 않기 때문에 기재(1)의 점착제의 점착력이 저하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액상물에 화장성분으로 스쿠알렌, 알로에 엑기스, 과일산을 함유시켰지만 함유되는 유효성분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화장품용 유효성분을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함침시트(2)에 화장품의 유효성분으로서 액상물을 함침시키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함침시트(2)에 함침되는 액상물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의약품이나 의약부외품으로 사용되는 액상물을 함침시킬 수도 있다.
또한, 그 밖의 액상물을 함침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그 액상물의 종류나 배합되는 유효성분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액상물의 성상도 유효성분을 용해시킨 수용액에 한정되지 않고, 유효성분을 분산질로 한 에멀젼이나 서스펜젼 등의 분산액이어도 좋고, 겔상의 물질을 물에 용해시킨 것도 좋다.
즉, 본 발명에서 액상물이라 함은 함침시트(2)에 함침시킨 상태에서 함침시트(2)로부터 기재(1) 쪽으로 스며 나오는 정도의 점성이 낮은 것을 말한다.
또한,함침시트(2)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주로 부직포로 이루어지나 부직포 이외의 소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요는, 액상물을 함침시킬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상측시트(4)와 하측시트(5)가 통기성이 있는 우레탄 필름을 사용한 것으로 하였으나 상측시트(4)와 하측시트(5)의 재질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재(1)가 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졌으나 이 기재(1)의 재질도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재(1), 포장재(3), 함침시트(2)가 모두 평면장방형이었으나 이들 기재(1), 포장재(3), 함침시트(2)의 형상도 상기 실시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재(1)에 대한 이형재(7, 7)가 2장으로 이루어졌으나 1장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피부첩부용 시트를 붙이는 부위도 말할 것도 없이 손, 발, 기타 인체의 어느 부위에도 붙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첩부용 시트는 액상물을 함침시킨 함침시트가 상측시트와 하측시트로 이루어지는 포장재로 밀봉되고, 상기 함침시트를 밀봉한 포장재가 기재 위에 놓여지고, 상기 상측시트가 하측시트로부터 박리되어 포장재가 개봉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시트를 박리하여 함침시트를 드러나게 하고, 그 상태에서 함침시트가 피부의 소정부위에 오도록 하여 기재를 피부에 붙이면 함침시트에 함침된 액상물이 피부에 흡수되게 된다.
여기에서, 함침시트에 함침되는 것이 종래와 같이 겔상의 물질이나 연고가 아닌 액상물이기 때문에 겔이나 연고 등과 같이 끈적거리는 감이 없이 피부에 빨리 침투된다.
따라서, 액상물이 화장품 성분인 경우에는 피부에 대해 보습효과가 우수하고, 액상물이 의약품 성분인 경우에는 약제의 경피흡수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겔이나 연고가 아닌 액상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피부가 각질화되어 있어도 피부가 어느 정도 습윤되어 보습효과와 경피흡수효과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함침시트는 상측시트와 하측시트로 밀봉되기 때문에 포장재를 개봉하지 않은 불사용시에는 함침시트가 포장재에 싸여있는 상태가 되어 함침시트에 함침된 액상물이 포장재의 밖으로 스며나오지 않게 되므로 기재에 도포된 점착제에 액상물이 혼합되어 그 결과로서 점착력이 저하되는 일이 없다.
또한, 함침시트가 포장재로 포장되어 있어서 불사용시에는 함침시트에 함침된 액상물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액상물은 부직포 등의 함침시트로부터 점착제가 도포된 기재 쪽으로 스며나오기 때문에 종래에는 액상물을 함유시킬 수 없었으나 본 발명과 같이 개봉 가능한 포장재로 포장하는 것에 의해 불사용시에는 잘 밀봉되어 액상물이 기재 쪽으로 스며 나오는 것이 방지되고, 사용시에는 상측시트를 박리하여 함침시트를 드러나게 한 상태에서 소정 부위에 붙일 수 있기 때문에 그 결과, 액상물을 피부의 소정 부위에 부착시킬 있는 것 같은 종래에는 없었던 피부첩부용 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2)

  1. 화장성분이나 약제를 함유하는 액상물을 함침시킨 함침시트(2)가 상측시트(4)와 하측시트(5)로 이루어지는 포장재(3)로 밀봉되고, 상기 함침시트(2)를 밀봉한 포장재(3)가 기재(1) 위에 놓여지고, 상기 상측시트(4)가 하측시트(5)로부터 박리되어 포장재(3)가 개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첩부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포장재(3)를 커버하도록 기재(1)에 이형재(7)가 점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첩부용 시트.
KR1020010007175A 2001-02-14 2001-02-14 피부첩부용 시트 KR200200668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175A KR20020066802A (ko) 2001-02-14 2001-02-14 피부첩부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175A KR20020066802A (ko) 2001-02-14 2001-02-14 피부첩부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802A true KR20020066802A (ko) 2002-08-21

Family

ID=2769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175A KR20020066802A (ko) 2001-02-14 2001-02-14 피부첩부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68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9497A1 (ko) * 2010-04-14 2011-10-20 Kim Bong Jo 접착성 함수 겔시트
KR20180055873A (ko) 2015-11-17 2018-05-25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공작 기계 및 공작 기계에 의한 가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0611A (en) * 1986-09-02 1988-03-15 Absorbent Cotton Company Medical dressing device
KR100248893B1 (ko) * 1997-12-24 2000-03-15 김승용 외상치료용 카본 섬유 거즈 및 그 제조방법
KR100289258B1 (ko) * 1999-04-27 2001-05-02 이케다 다케시 온천수가 부착된 보습팩제 및 보습타월
KR100290537B1 (ko) * 1998-06-17 2001-09-17 차동천 시트형화장용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0611A (en) * 1986-09-02 1988-03-15 Absorbent Cotton Company Medical dressing device
KR100248893B1 (ko) * 1997-12-24 2000-03-15 김승용 외상치료용 카본 섬유 거즈 및 그 제조방법
KR100290537B1 (ko) * 1998-06-17 2001-09-17 차동천 시트형화장용팩
KR100289258B1 (ko) * 1999-04-27 2001-05-02 이케다 다케시 온천수가 부착된 보습팩제 및 보습타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9497A1 (ko) * 2010-04-14 2011-10-20 Kim Bong Jo 접착성 함수 겔시트
KR20180055873A (ko) 2015-11-17 2018-05-25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공작 기계 및 공작 기계에 의한 가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1773B2 (en) Peelable pouch for transdermal patch and method for packaging
JP3023989B2 (ja) 局所包帯剤、局所包帯剤の製造法および局所包帯剤の使用
US4822617A (en) Drug delivery device
MXPA02005006A (es) Banda adhesiva.
WO2006053223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warts
JPS6324959A (ja) 仕切られた経皮デリバリ−システム
KR20000062348A (ko) 더멀 또는 트랜스더멀 작용을 지닌 고 가요성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66802A (ko) 피부첩부용 시트
JPH0320216A (ja) 絆創膏
JP3973420B2 (ja) 創傷被覆材の製造方法
JP3809504B2 (ja) 皮膚貼着用シート
AU2009315210B2 (en) Simple device for treating trichophytosis unguium
JPH0136519Y2 (ko)
WO2007048171A1 (en) A medicated dressing for wound healing
JP3742621B2 (ja) ウェット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3206228A (ja) 皮膚貼着用シート
CN215193939U (zh) 一种外敷药贴
KR101933980B1 (ko) 리프팅용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7020830A (ja) 貼付剤、貼付剤包装体、及び貼付剤の貼付方法
JP4628717B2 (ja) 薬液剤含浸押圧シート体
KR102004901B1 (ko) 미용성분 공급 및 피부노폐물 흡착의 이중 작용을 하는 건조 후 박리형 미용조성물을 이용한 미용시트세트
JPH0956745A (ja) 皮膚貼着用ドレッシング製品
RU7378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окализованного трансдермального введения активного вещества
JP2024520063A (ja) 皮膚パッチおよび皮膚パッチの使用方法
KR20230026018A (ko) 피부 미용 강화형 마이크로 니들 패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