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6527A - 로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로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6527A
KR20020066527A KR1020010006766A KR20010006766A KR20020066527A KR 20020066527 A KR20020066527 A KR 20020066527A KR 1020010006766 A KR1020010006766 A KR 1020010006766A KR 20010006766 A KR20010006766 A KR 20010006766A KR 20020066527 A KR20020066527 A KR 20020066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roller
fixed
twist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3172B1 (ko
Inventor
박석용
Original Assignee
박석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석용 filed Critical 박석용
Priority to KR10-2001-0006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172B1/ko
Publication of KR20020066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1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3/00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D07B3/02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in which the supply reels rotate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or in which a guide member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to guide the component strands away from the supply reels in fixed posi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16Auxiliary apparatus
    • D07B7/169Auxiliary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two cable or rope ends, e.g. by splicing or sew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7/00Rope or cable making machines
    • D07B2207/40Machine components
    • D07B2207/4018Rope twis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7/00Rope or cable making machines
    • D07B2207/40Machine components
    • D07B2207/409Drives

Landscapes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사기와 합사기가 나란히 설치되어 줄이 진행하는 동안 연사 및 합사가 동시에 연달아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로프 제조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측에 인입되는 원사를 로울러로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로울러를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비틀림 정회전시킴으로써 개별 로프로 연사하는 복수개의 연사기와, 상기 1차 연사기에 연달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측에 인입되는 상기 개별 로프를 로울러로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로울러를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비틀림 역회전시킴으로써 통합 로프로 합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합사기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연사기와 합사기를 각각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연사작업과 합사작업이 연달아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라인화하여 장치의 제작비용과 필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작업공수를 줄여서 생산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줄의 진행방향에 수직한 로울러만을 장착하여 연사기 및 합사기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가공할 줄을 굵기에 따라 로울러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생산품의 불량을 방지하며, 다양한 굵기의 줄을 연사 및 합사할 수 있어 적용범위를 넓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로프 제조장치{Th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rope}
본 발명은 로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사기와 합사기가 나란히 설치되어 줄이 진행하는 동안 연사 및 합사가 동시에 연달아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 줄의 원사를 꼬아 개별로프로 제작하는 장치를 연사기라 하고, 상기 연사기에서 연사된 개별로프 다수 줄을 다시 꼬아 합사하여 최종 통합로프로 제작하는 장치를 합사기라 한다.
이러한 종래의 연사기 및 합사기는 각각 서로 별개의 장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사롤에 감긴 원사를 풀어 연사기에 투입하면 연사기는 이를 꼬아서 개별로프로 만든 후, 상기 개별로프가 풀어지지 않도록 상기 개별로프를 개별로프롤에 말아 임시 보관한다.
이어서, 다시 개별로프롤에 감긴 개별로프를 풀어 합사기에 투입하면 합사기는 이를 꼬아서 통합로프로 만든 후, 단위별 판매를 위해 상기 통합로프를 통합로프롤에 말아 보관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로프 제조장치는, 상기 연사작업과 합사작업이 별도의 장소에서 이루어지고, 프레임이나 연사기 및 합사기를 구동하는 구동모터가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장치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필요한 작업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다수개의 상기 개별로프롤을 합사기까지 운반하고, 이를 위치에 맞게 설치하여야 하는 등 작업공수가 늘어나서 매우 번거로웠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연사기 및 합사기는 그 내부에 각종 도르래 장치와 타래 등이 장착되어 매우 복잡한 구조였고, 단일한 직경의 줄에 맞추어 제작되었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것은 물론, 줄이 얽히거나 끊어지는 등 동작불량이 많았으며, 다양한 굵기의 줄에 적용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사작업과 합사작업이 연달아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라인화하여 장치의 제작비용과 필요 공간을 줄일 수 있게 하는 로프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공수를 줄여서 생산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로프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줄의 진행방향에 수직한 로울러만을 장착하여 연사기 및 합사기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가공할 줄을 굵기에 따라 로울러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생산품의 불량을 방지하고, 다양한 굵기의 줄을 연사 및 합사할 수 있어 적용범위를 넓게 하는 로프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 제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연사기(또는 합사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연사기(또는 합사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로프 제조장치는, 로프 제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측에 인입되는 원사를 로울러로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로울러를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비틀림 정회전시킴으로써 개별 로프로 연사하는 복수개의 연사기와; 상기 1차 연사기에 연달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측에 인입되는 상기 개별 로프를 로울러로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로울러를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비틀림 역회전시킴으로써 통합 로프로 합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합사기;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연사기와 합사기를 각각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사기는, 상기 원사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연사기가 수평을 이루어 서로 평행하도록 등각 배치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연사기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어링축 지지대와; 상기 베어링축 지지대에 의해 회전자유로 지지되고, 전방 및 후방에 인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고정되고, 상기 인입구를 통과한 원사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고정 로울러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고정되고, 상기 고정 로울러를 기준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며, 상기 인입구를 통과한 원사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가동 로울러와; 상기 가동 로울러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 로울러가 고정 로울러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복원력이 형성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합사기는, 상기 개별 로프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사기와 평행하도록 상기 연사기 후방에 각각의 연사기와 동일 거리를 두고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어링축 지지대와; 상기 베어링축 지지대에 의해 회전자유로 지지되고, 전방 및 후방에 인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고정되고, 상기 인입구를 통과한 원사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고정 로울러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고정되고, 상기 고정 로울러를 기준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며, 상기 인입구를 통과한 원사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가동 로울러; 및 상기 가동 로울러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 로울러가 고정 로울러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복원력이 형성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연사기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정회전 풀리 벨트 조합과; 상기 합사기와 연결되는 한 쌍의 역회전 풀리 벨트 조합; 및 상기 정회전 풀리 벨트 조합과 역회전 풀리 벨트 조합에 동시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풀리 벨트 조합의 구동풀리가 동일축 선상에 설치되도록 연장된 회전축을갖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로프 제조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 제조장치는, 크게 프레임(10)과, 연사기(20)와, 합사기(30) 및 회전장치(4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연사기(20)와 합사기(30) 및 회전장치(40)가 설치되는 틀로서, 이러한 프레임(10)에 상기 연사기(20)와 합사기(30)는 연달아 나란히 설치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바람직한 일례로서, 3개의 연사기(20)가 삼각 배치되고, 줄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사기(20)의 후방에 상기 연사기(20)와 동일한 거리에 합사기(30)가 배치되어 상기 연사기(20)를 통과한 줄이 그대로 상기 합사기(30)를 통과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연사기(20)와 합사기(30)의 하방으로 상기 연사기(20)와 합사기(30)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키는 회전장치(4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연사기(20), 합사기(30), 회전장치(40) 이외에도 상기 연사기(20)의 전방에는 원사(2)가 풀릴 수 있도록 다수개의 원사롤(1)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합사기(30) 후방에 통합로프(4)가 권사될 수 있도록 통합로프롤(5)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사기(20)는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일측에 인입되는 원사(2)를 로울러(28)(29)로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로울러(28)(29)를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비틀림 정회전시킴으로써 개별로프(3)로 연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연사기(20)는, 상기 원사(2)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연사기(20)가 수평을 이루어 서로 평행하도록 등각 배치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는 3각 배치되는 연사기(20)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이러한 상기 연사기(20)는 반드시 3개가 3각 배치되는 구성만이 아니라 통상 30개의 원사가 통합되어 하나의 30합의 로프로 이루어지도록 다수개 연사기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나란히 연달아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원사롤(1)에 감긴 다수 줄의 원사(2)가 풀리면서 상기 연사기(20)로 인입되고, 이를 상기 다수개의 연사기(20)가 개별로프(3)로 가공하면, 상기 연사기(20)를 통과한 다수개의 개별로프(3)는 상기 합사기(30)로 인입되며, 이를 상기 합사기(30)가 통합로프(4)로 가공하고, 상기 합사기(30)를 통과한 통합로프(4)는 통합로프롤(5)에 감겨 단위 보관되는 것으로서, 모든 로프 제작과정이 로프의 끊어짐 없이 이어지는 라인화가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통합로프롤(5)은 별도의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기 원사를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각의 연사기(2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는 베어링축 지지대(24)와, 상기 베어링축 지지대(24)에 고정된 베어링(22)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전방 및 후방에 인입구(20a)와 배출구(20b)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장치(40)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형 케이스(26)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26)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고정되고, 상기 인입구(20a)를 통과한 원사(2)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고정 로울러(28)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26)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고정되고, 상기 고정 로울러(28)를 기준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며, 상기 인입구(20a)를 통과한 원사(2)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가동 로울러(29) 및 상기 가동 로울러(29)와 케이스(26)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 로울러(29)가 고정 로울러(28)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복원력이 형성되는 복귀스프링(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합사기(30)는 상기 연사기(20)에 연달아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일측에 인입되는 상기 개별로프(3)를 로울러(28)(29)로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로울러(28)(29)를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비틀림 역회전시킴으로써 최종 통합로프(4)로 합사하는 것이다.
즉, 상기 합사기(30)는, 상기 개별로프(3)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사기(20)와 평행하도록 상기 연사기(20) 후방에 각각의 연사기(20)와 동일 거리를 두고 위치하여 상기 연사기(20)를 통과한 개별로프(3)가 곧 바로 상기 합사기(30)로 인입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합사기(30)는,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는 베어링축 지지대(24)와, 상기 베어링축 지지대(24)에 설치된 베어링(22)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전방 및 후방에 인입구(20a)와 배출구(20b)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장치(40)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형 케이스(26)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26)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고정되고, 상기 인입구(20a)를 통과한 원사(2)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고정 로울러(28)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26)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고정되고, 상기 고정 로울러(28)를 기준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며, 상기 인입구(20a)를 통과한 원사(2)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가동 로울러(29) 및 상기 가동 로울러(29)와 케이스(26)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 로울러(29)가 고정 로울러(28)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복원력이 형성되는 복귀스프링(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연사기(20) 또는 합사기(30)의 가동 로울러(29)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서, 상기 케이스(26)에 형성된 관통홀(26a)을 관통하고, 상기 관통홀(26a)을 기준으로 승하강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며, 일측에 렌찌홈이나 나사홈이 형성된 나사머리(291)가 형성되고, 타측에 수나사(292)가 형성되는 나사봉(293)과, 상기 나사봉(293)의 수나사(292)에 관통되어 상기 나사봉(293)의 나사회전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도록 나사결합되는 "ㄷ"형상의 지지대(294) 및 상기 지지대(294)에 의해 양단이 회전 지지되고, 상기 원사(2) 또는 개별로프(3)의 진행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롤(29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사기(20) 또는 합사기(30)의 고정 로울러(28)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서, 상기 케이스(26)에 고정되는 지지대(281) 및 상기 지지대(281)에 의해 양단이 회전 지지되고, 상기 원사(2) 또는 개별로프(3)의 진행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롤(28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연사기(20) 또는 합사기(30)의 인입구(20a)를 통과한 원사(2) 또는 개별로프(3)는 상기 배출구(20b)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가동 로울러(29)의 회전롤(295)과 상기 고정 로울러(28)의 회전롤(282) 사이에 물려서 상기연사기(20) 또는 합사기(30)가 회전하면 비틀려지게 되고, 이러한 비틀림으로 인하여 상기 원사(2)가 개별로프(3)로, 또는 개별로프(3)가 통합로프(4)로 꼬여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사(2) 또는 개별로프(3)는 상기 복귀스프링(27)에 의해 가압을 받아 고정 로울러(28)의 회전롤(282) 방향으로 복귀력이 작용하는 가동 로울러(29)의 회전롤(295)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원사(2) 또는 개별로프(3)의 굵기에 따라 상기 나사봉(293)의 나사머리(291)를 렌찌나 드라이버 등으로 회전시켜서 나사 전후진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로울러(29)의 회전롤(295) 위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굵기의 원사(2) 또는 개별로프(3)를 최적의 압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4는 굵기가 얇은 원사(2)가 회전롤(282)(295)들 사이에 물린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상기 나사봉(293)이 나사 후진하여 굵기가 굵은 개별로프(3)가 회전롤(282)(295)들 사이에 물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상기 회전장치(40)는,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상기 연사기(20)와 합사기(30)를 각각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연사기(20)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정회전 풀리 벨트 조합과, 상기 합사기(30)와 연결되는 한 쌍의 역회전 풀리 벨트 조합 및 상기 정회전 풀리 벨트 조합과 역회전 풀리 벨트 조합에 동시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풀리 벨트 조합의 구동풀리(46)(49)가 동일축 선상에 설치되도록 연장된 회전축(48)을 갖는 구동모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48)에는 일측에 상기 연사기(20)와 연결된종동풀리(42)를 정회전시키도록 "11"형 벨트(44)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풀리(46)가 설치되고, 타측에 상기 합사기(30)와 연결된 종동풀리(42)를 역회전시키도록 "X"형 벨트(45)(엇걸기형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풀리(49)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50)에 의해 회전축(48)이 회전하면, 상기 연사기(20)는 정회전을, 상기 합사기(30)는 역회전을 하게 되어 상기 개별로프(3)의 회전방향과 통합로프(4)의 회전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합사된 통합로프(4)가 풀어지지 않게 꼬아지는 것이다.
여기서, 이러한 풀리 벨트 조합을 갖는 회전장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회전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기어조합을 갖는 회전장치가 가능하고, 이러한 회전장치에는 회전수를 조절하기 위한 트랜스미션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로프 제조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원사(2)가 상기 통합로프롤(5) 방향으로 끌어 당겨져서 상기 연사기(20)를 통과하면, 상기 연사기(20)는 상기 회전장치(40)에 의해 정회전하면서, 상기 다수개의 원사(2)를 하나의 개별로프(3)로 연사한다.
이어서, 상기 다수개(도면에서는 3개)의 개별로프(3)가 상기 합사기(30)를 통과하면, 상기 합사기(30)는 상기 회전장치(40)에 의해 역회전하면서, 상기 다수개의 개별로프(3)를 하나의 통합로프(4)로 합사하고, 합사된 통합로프(4)는 통합로프롤(5)에 말려 단위 보관된다.
이때, 상기 연사기(20)는 상기 통합로프(4)가 원하는 합수(예를 들면, 30합)로 제작될 때까지 1차 연사기, 2차 연사기 등 다수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연사기(20)와 합사기(30)를 통과하는 원사(2)는 중간에 한 번의 끊김 없이 연결되어 연속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나사봉(293)을 나사 전후진시킴으로써 회전롤(282)(295)의 가압력과 적용되는 로프의 굵기를 조절할 수 있고, 회전롤(282)(295)의 회전이 자유롭기 때문에 중간에 원사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아 빠른 연사 및 합사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연사기와 1개의 합사기만을 도시하였으나 다수개의 1차 및 다차 연사기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회전장치는 풀리 벨트 이외의 다양한 회전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로프 제조장치에 의하면, 연사작업과 합사작업이 연달아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라인화하여 장치의 제작비용과 필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작업공수를 줄여서 생산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줄의 진행방향에 수직한 로울러만을 장착하여 연사기 및 합사기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가공할 줄을 굵기에 따라 로울러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생산품의 불량을 방지하며, 다양한 굵기의 줄을 연사 및 합사할 수 있어 적용범위를 넓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5)

  1. 로프 제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측에 인입되는 원사를 로울러로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로울러를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비틀림 정회전시킴으로써 개별 로프로 연사하는 복수개의 연사기;
    상기 1차 연사기에 연달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측에 인입되는 상기 개별 로프를 로울러로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로울러를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비틀림 역회전시킴으로써 통합 로프로 합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합사기;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연사기와 합사기를 각각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사기는, 상기 원사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연사기가 수평을 이루어 서로 평행하도록 등각 배치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연사기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어링축 지지대;
    상기 베어링축 지지대에 의해 회전자유로 지지되고, 전방 및 후방에 인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형 케이스;
    상기 원통형 케이스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고정되고, 상기 인입구를 통과한 원사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고정 로울러;
    상기 원통형 케이스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고정되고, 상기 고정 로울러를 기준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며, 상기 인입구를 통과한 원사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가동 로울러;
    상기 가동 로울러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 로울러가 고정 로울러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복원력이 형성되는 복귀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사기는, 상기 개별 로프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사기와 평행하도록 상기 연사기 후방에 각각의 연사기와 동일 거리를 두고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어링축 지지대;
    상기 베어링축 지지대에 의해 회전자유로 지지되고, 전방 및 후방에 인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형 케이스;
    상기 원통형 케이스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고정되고, 상기 인입구를 통과한 원사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고정 로울러;
    상기 원통형 케이스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고정되고, 상기 고정 로울러를 기준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며, 상기 인입구를 통과한 원사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가동로울러; 및
    상기 가동 로울러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 로울러가 고정 로울러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복원력이 형성되는 복귀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제조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로울러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관통홀을 기준으로 승하강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며, 일측에 나사홈이 형성된 나사머리가 형성되고, 타측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의 수나사에 관통되어 상기 나사봉의 나사회전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도록 나사결합되는 "ㄷ"형상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의해 양단이 회전 지지되고, 상기 원사 또는 통합로프의 진행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롤;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연사기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정회전 풀리 벨트 조합;
    상기 합사기와 연결되는 한 쌍의 역회전 풀리 벨트 조합; 및
    상기 정회전 풀리 벨트 조합과 역회전 풀리 벨트 조합에 동시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풀리 벨트 조합의 구동풀리가 동일축 선상에 설치되도록 연장된 회전축을 갖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제조장치.
KR10-2001-0006766A 2001-02-12 2001-02-12 로프 제조장치 KR100403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766A KR100403172B1 (ko) 2001-02-12 2001-02-12 로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766A KR100403172B1 (ko) 2001-02-12 2001-02-12 로프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527A true KR20020066527A (ko) 2002-08-19
KR100403172B1 KR100403172B1 (ko) 2003-10-30

Family

ID=2769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766A KR100403172B1 (ko) 2001-02-12 2001-02-12 로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317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709A (ko) * 2015-04-03 2016-10-12 선진조선주식회사 로프 자동 꼬임 장치
KR20160118710A (ko) * 2015-04-03 2016-10-12 선진조선주식회사 로프 꼬임 장치
CN112281528A (zh) * 2020-10-27 2021-01-29 安徽安庆市沙氏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胶条生产用合股机
CN114892433A (zh) * 2022-06-10 2022-08-12 金冠(山东)防护用品有限公司 一种防腐型加强防护网及防护网生产装置
KR20230134937A (ko) 2022-03-15 2023-09-22 유한회사 와이디 로프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276B1 (ko) 2012-05-11 2012-11-07 (주)대정 로프 자켓 작업 전처리 장치 및 전 처리된 자켓 작업용 로프
KR102033608B1 (ko) 2018-10-01 2019-10-18 유한회사 와이디 로프 제조장치
KR102033609B1 (ko) 2018-10-01 2019-10-18 유한회사 와이디 처짐 방지기능을 갖는 로프 제조장치
KR102193051B1 (ko) 2020-06-22 2020-12-18 김기섭 로프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967U (en) * 1982-08-27 1983-11-25 Jae Jeong Shim Making apparatus for ropes
JPH07181355A (ja) * 1993-12-22 1995-07-21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縦型集合装置
JPH07189151A (ja) * 1993-12-27 1995-07-25 Bridgestone Metarufua Kk スチ−ルコ−ドの製造方法
KR100241856B1 (ko) * 1994-09-29 2000-02-01 아끼구사 나오유끼 위상 변화에 의한 신호의 타이밍 또는 지연시간 제어용의 타이밍 제어기 및 제어지연회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709A (ko) * 2015-04-03 2016-10-12 선진조선주식회사 로프 자동 꼬임 장치
KR20160118710A (ko) * 2015-04-03 2016-10-12 선진조선주식회사 로프 꼬임 장치
CN112281528A (zh) * 2020-10-27 2021-01-29 安徽安庆市沙氏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胶条生产用合股机
CN112281528B (zh) * 2020-10-27 2021-10-08 安徽安庆市沙氏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胶条生产用合股机
KR20230134937A (ko) 2022-03-15 2023-09-22 유한회사 와이디 로프 제조장치
CN114892433A (zh) * 2022-06-10 2022-08-12 金冠(山东)防护用品有限公司 一种防腐型加强防护网及防护网生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3172B1 (ko) 200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72655A (en) Wire feeder
CN112185627B (zh) 一种智能调节电缆成缆机
KR100403172B1 (ko) 로프 제조장치
EP2562113B1 (de) Textilmaschine mit einer Vielzahl von Arbeitsstellen
DE896842C (de) Walzenwerk
DE2522595B2 (de) Vorrichtung zum verseilen von verseilelementen fuer nachrichtenkabel
JPH09105031A (ja) 合撚システム
CN113148766A (zh) 一种纺织纱线张紧调节输送一体化系统
US3828538A (en) High-speed double twist twisting apparatus mainly adapted to twist steel wires
US3823536A (en) Method of twisting elements to form an electrical cable having a twist whose direction alternates from section to section
CN212315194U (zh) 一种纤维加捻收卷装置
US2941348A (en) Manufacture of wire strands, bunches, and cables
US4014489A (en) Variable yarn feed device
JPH10244339A (ja) 撚線製造装置
US2834178A (en) Strand handling machine
US3345810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a wire rope
US2079873A (en) Wire rope manufacture
CN208856670U (zh) 一种纱线合卷装置的导纱机构
US3942310A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garlands
JPS58216206A (ja) 線引機用蓄線装置
US2684694A (en) Machine for making wire fabric
CN216655804U (zh) 一种金属拉丝机的金属线牵引装置
CN220846414U (zh) 纱线多股并捻机构
JP2982146B2 (ja) 撚線方法および撚線装置
US1934025A (en) Manufacture of flexible shaf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