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319A - 수송설비를 갖는 선박의 보수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송설비를 갖는 선박의 보수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319A
KR20020065319A KR1020010048949A KR20010048949A KR20020065319A KR 20020065319 A KR20020065319 A KR 20020065319A KR 1020010048949 A KR1020010048949 A KR 1020010048949A KR 20010048949 A KR20010048949 A KR 20010048949A KR 20020065319 A KR20020065319 A KR 20020065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maintenance
data
facilit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9843B1 (ko
Inventor
다카하시쇼켄
이노우에도시오
나카모토노리오
Original Assignee
히다찌 플랜트 겐세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플랜트 겐세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플랜트 겐세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5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63B27/25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for fluidised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4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vessels, e.g. monitoring their speed, routing or maintenance sche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선하양륙(船荷揚陸)ㆍ선적(船積)처리의 정지를 일으키는 공기수송설비기기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육상의 보수관리회사측에서 정확한 보수지시를 각 선박에 내릴 수 있게 한다.
벌크선박(bulk carrier)의 수송설비의 보수관리시스템은, 선박에 설치된 컴퓨터가 최소한 선박에 탑재된 공기수송설비의 취급하물 및 사용횟수 등의 가동정보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이 데이터정보는 무선공중회선에 의해, 상기 컴퓨터로부터 선박회사에 설치된 데이터베이스보관부에 무선전송된다. 선박회사에 설치된 데이터베이스보관부와 컴퓨터에 의해 데이터정보와 설정된 임계치가 비교되어, 판정된 결과가 선박단위로송신표시시켜 보수관리지시를 부여할 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 보수부품을 추출한다.

Description

수송설비를 갖는 선박의 보수관리시스템{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FOR A SHIP PROVIDED WITH A TRANSPORTATION FACILITY}
본 발명은 공기수송설비를 구비한 선박의 보수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시멘트ㆍ석회석 등을 공기수송설비에 의해 적재ㆍ양륙하는 벌크선박이 원격의 복수 장소에서 점재(點在)하면서 가동하고 있는 경우에도, 장비(裝備)된 공기수송설비의 보수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보수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시멘트ㆍ석회석 등을 수송하는 벌크선박은 일본 각지나 세계 각지를 항해하여 기항하고, 벌크하물의 적재 또는 적하를 하고 있다.
이 기항 장소 또는 적재ㆍ적하의 종류 및 선하양륙ㆍ선적시의 가동데이터를 배마다 탑재된 퍼스털컴퓨터에 보존하고 있다.
이 시멘트ㆍ석회석 등을 수송하는 벌크선박에는, 공기수송설비를 탑재한 것이 있다. 이 벌크선박의 공기수송설비는 선창내에 분말입자형태로 수납되어있는 시멘트 등을 양륙할 때에 고압공기로 압송하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연(連)의 압력용기(10A)(용기 A층), 용기(10B)(용기 B층)를 설치하고, 각 용기로부터의 출구통로를 합류시키도록 하였는데, 합류점에는 토출전환밸브(20)를 개재(介在)하여 출구합류관이 번갈아 한 쪽의 압력용기측만 접속되도록 해둔다.
그리고, 한 쪽의 압력용기를 선창으로부터의 수송물의 수납을 하게 하고, 다른 쪽의 압력용기를 압기(壓氣)에 의해 적재수송작업에 종사시키도록 하고, 이들을 번갈아 교체시키면서 연속적으로 벌크하물을 공기수송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공기수송설비에서는, 제어반(制御盤)에 의해 운전처리를 하고 있지만, 시퀀스의 일종인 프로그래머블 로직콘트롤러(이하 PLC 라고 함)에 의해 설정된 로직에 따라서, 처리를 진행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처리된 데이터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선하양륙ㆍ선적시의 가동데이터가 보존되는 동시에, 이 가동데이터는 필요에 따라서 FAX 나 우편으로 보수관리회사에 보내진다.
상기한 가동데이터는, 예를 들면 일시, 선명(船名), 예상양륙ㆍ선적예상량, 1배치당 양륙ㆍ선적량, 양륙ㆍ선적시각 또는 용기 A층 및 B층의 압송횟수, 수조(受槽)시간(S), 대기시간, 가압시간, 압송시간, 전환시간, 최대압, 적재량, 토털카운트, 수죠량, 압송량 등을 보존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공기수송설비에 있어서, 설비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어반의 PLC의 신호에 의한 제어처리가 계속하여 행해지지 않는 경우를 검출하여, 이와 같은 제어처리를 정지시키는 사태가 발생한 경우에는 고장으로서 고장표시를 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공기수송설비의 토출전환밸브(20)의 전환처리가 정지한 경우 등에는, 밸브가 전환동작에 의해 원래라면 리미트스위치를 ON-OFF시키지만, 고장때문에 리미트스위치가 작동하지 않아, 다음 스텝(공기수송의 압기공급스텝)으로 진행하지 않는 것을 타이머 등으로 검지함으로써, 승선한 기관원이「전환밸브가 고장임」이라는 판정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그 고장표시는 운전제어반의 표시등에 토출전환밸브가 고장났다는 취지의 예를 들면「토출전환밸브 개(開)이상」등이라고 점등표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배마다의 상기의 가동데이터가, 예를 들면 1척(隻)의 배마다 A4 크기의 용지로 2일에 1회, 20매 정도 저장되므로, 방대한 데이터량으로 되어 관리가 곤란하며, 관리는 사실상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 과거의 축적된 가동데이터로부터 고장의 경향이나 예측을 하는 것은 데이터베이스가 없으므로 할 수 없다.
또, 각 선박마다 가동데이터를 보존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동급(同級)의 배에 있어서의 선하양륙ㆍ선적시간의 비교, 각 배에 사용한 제품성능의 불균일 등 배마다의 상호비교를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취급하물종류와 설비의 내용(耐用) 년수와의 관계 등, 데이터를 사용한 설계의 표준화에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 시스템에서는 고장이 발생하고 나서 단순한 에러표시만을 하는 구성이므로, 그 대책을 나타내거나 고장부품을 특정하거나 하는 것을 할 수 없는 것이었다. 공기수송설비의 종사자는 에러표시가 있던 경우에는 방대한 매뉴얼을 검색하여 에러대책을 하지만, 종사자의 숙련도에도 의존하므로, 급속하고 또한 정확한 판단이 곤란한 경우가 많았다.
또, 고장부품이 특정된 후에 보수부품을 수배하여 제조해도 그 수배 및 제조 기간에는 수송설비의 가동을 정지해야 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보수부품을 준비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지만, 부품개수가 많고, 또 부품코스트가 높으므로 미리 보수부품을 준비하는 것도 재고코스트가 크게 들어 많은 경비가 필요해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선박에 탑재된벌크하물의 선하양륙ㆍ선적용 공기수송설비의 보수관리가 선박 단위가 아니라, 각 선박의 가동데이터를 집중적으로 수집하여, 과거 데이터와의 비교에 의해 숙련도에 의존하지 않고 신속 정확하게 판단하면서, 그 판단결과를 각 선박에서의 공기수송설비의 제어반 그래픽터미널에 표시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선하양륙ㆍ선적처리의 정지를 일으키는 공기수송설비기기의 고장이 생긴 경우에도, 미리 보수부품을 준비할 수 있고, 또 동급의 선박간을 비교할 수 있어서, 수송부품의 불균일 또는 수송작업의 양부(良否) 등을 보수관리회사로부터 보수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공기수송설비를 갖는 선박의 보수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특히 본 발명은 벌크선박에 탑재한 공기수송기에 있어서, 공기수송기용 각 설비기기의 적재과 내용년수와의 관계 등의 표준화에 사용할 수 있고, 후에 개발하는 설계에 이용할 수 있는 동시에, 재고유지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벌크선박의 수송설비의 보수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공기수송설비를 갖는 선박의 보수관리시스템은, 선박에 탑재된 공기수송설비의 가동정보데이터를 무선공중회선에 의해 송신이 가능하도록 한 송신수단과, 상기 무선공중회선을 통하여 선박마다 보내오는 상기 가동정보데이터를 누적 기록하는 보수기록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기지측의 컴퓨터시스템을 갖고, 해당 컴퓨터시스템에는 각 선박마다의 수집데이터를 과거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상의 가능성을 추정 판별하는 판정처리수단을 형성하고, 해당 판정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공중회선을 통하여 대상 선박의 제어반그래픽터미널에 보수관리대책을 표시가 가능하게 한 기지측 송신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송신수단은 설비의 운전정보, 설비이상의 유무, 소모품주문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자메일송신수단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판정처리수단은 과거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상판정을 단계적으로 설정한 복수의 임계치와의 비교에 의해 하며, 단계적으로 경보처리가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판정처리수단으로부터 무선공중회선을 통하여 그래픽터미널에 송신되는 데책데이터는, 미리 기억되어 있는 고장대책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미 알고 있는 대책을 선택하고, 이미 알고 있지 않은 경우에 고장대책시트를 선택하여 송신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선박에 탑재된 공기수송설비의 가동정보데이터를 수집하는 선박에 설치된 컴퓨터로부터 데이터정보를 무선전송으로 받아 비교하여, 필요해지는보수부품을 이미 준비할 수 있도록 감시하여 추출하는 보수관리회사에 설치된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공기수송설비를 갖는 선박의 보수관리시스템은, 선박에 탑재된 공기수송설비의 가동정보데이터를 수집하는 선박에 설치된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정보를 무선전송하는 무선공중회선과, 선박제조회사에 설치되어 무선공중회선으로부터의 데이터정보를 보관하는 데이터베이스보관부와, 선박제조회사에 설치되어 데이터정보와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여 필요해지는 보수부품을 추출하는 보수관리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선박에 탑재된 공기수송설비의 개개의 부품마다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정보를 분류하여 보관하는 데이터베이스보관부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 동급의 선박마다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정보를 분류하여 보관하는 데이터베이스보관부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보수관리회사에 설치된 데이터베이스보관부에 접속되어, 자사 선박의 정보를 수집하는 해운회사에 설치된 컴퓨터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된다. 이에 더하여, 무선전송으로 복수의 선박으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는 보수관리회사에 설치된 컴퓨터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각 선박의 가동데이터는 기지측에 선박 단위로 예를 들면 전자메일에 의해 송신되고, 수집되어 데이터베이스가 된다.
기지에서의 판정처리수단은 축적되어 있는 과거 데이터와 현재 데이터와의 비교작업을 하는 동시에, 기존의 설계데이터와, 보수매뉴얼에 따라 작성되어 있는 예를 들면 자동판별식에 의한 판정처리를 하여, 보수정보를 필요로 하고 있는 선박의 그래픽터미널에 판정결과를 송신하고, 표시시킬 수 있다.
판정결과로서는 고장부위와 그 상황 및 대책이다. 또는 보수매뉴얼로서 고장대책으로서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정결과에 대응하는 기지(旣知)의 대책을 선택하여, 이것을 선박측에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 선박에 설치된 컴퓨터는 선하양륙ㆍ선적시의 가동데이터정보를 수집하고, 이 가동데이터정보를 무선통신으로 보수관리회사에 전송한다.
보수관리회사에서는 회사내에 설치된 컴퓨터가 이 가동데이터정보를 받아서 임계치와 비교하고, 필요해지는 보수부품을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감시하여 추출하고 있다.
또, 이 가동데이터정보는 데이터보관부에, 배마다, 부품마다 또는 적하(積荷)에 대하여 동급의 배를 일괄(一括)하여 수집하여 보관하고 있으며, 수시 검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종래 인쇄되어 출력된 배마다의 가동데이터가,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보관부에 보관되어 있으므로 불필요해지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수시로 선박제조회사 컴퓨터의 보수관리제어부에서 목적하는 항목별로 검색할 수 있다.
그 때, 데이터베이스보관부에 보관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는 상기와 같이 부품마다, 선박마다 또는 동급의 선박마다 분류되어 보관되어 있으므로, 과거의 축적된 데이터로부터 고장의 경향이나 예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 동급의 선박의 성능 및 작업성, 예를 들면 선하양륙시간 등의 비교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공기수송설비의 개개의 부품마다 또는 동급의 선박마다 보관되어 있으므로, 취급 하물종류과 설비의 내용년수와의 관계 등, 데이터를 사용하여 설계의 표준화를 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 미리 고장이 예상되는 공기수송설비의 개개의 부품을 제조하고, 준비하고 있으므로, 수송설비의 가동을 정지할 필요가 없어지는 동시에 미리 보수부품을준비해둘 필요도 없어진다.
도 1은 벌크선박(bulk carrier)에 탑재된 선박의 수송설비의 보수관리시스템을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 2는 벌크선박에 탑재한 공기수송설비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단면 설명도.
도 3은 벌크선박에 탑재한 공기수송설비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동정보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보수지시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공기수송설비의 성능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종래의 가동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벌크선박의 수송설비의 보수관리시스템 5 : 수송설비
7 : 수송설비보수관리부 9 : 무선통신부
10A, 10B : 탱크 12 : 수송물입구
14 : 수입밸브 16 : 배출구
18A, 18B : 수송관 20 : 토출전환밸브
22 : 공기관 24 : 급기노즐
26 : 급기밸브 28 : 압력스위치
30 : 선박용 퍼스널컴퓨터
32 : 프로그래머블 로직콘트롤러 36 : 무선공중회선
38 : 전용선 40 : 무선모뎀
46 : 운전제어부
48 : 선박용 그래픽터미널 50 : 워치도그타이머
54 : 보수관리회사용 퍼스널컴퓨터
56 : 데이터베이스보관부 58 : 보수관리제어부
Ka : 이상데이터 Kd : 가동정보데이터
Km : 보수기록데이터베이스 Ke : 보수지시
Ks : 보수데이터 Co : 보수관리회사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공기수송설비를 갖는 선박의 보수관리시스템의 구체적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는 시멘트ㆍ석탄회ㆍ석회석의 벌크선박에 탑재된 공기수송설비를 보수관리하는 시스템에 적용한 것이다.
도 1에서 벌크선박의 수송설비의 보수관리시스템(1)은, 벌크선박(3)으로 운반하는 벌크하물을 수납하는 수송설비(5)와, 수송설비(5)를 지상에 있는 보수관리회사(Co)내에서 관리하는 수송설비보수관리부(7)와, 벌크선박(3)과 수송설비보수관리부(7)와의 통신을 하는 무선통신부(9)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수송설비(5)인 공기수송설비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따라서 실시형태의 시스템이 적용되는 공기수송설비를 설명한다. 이 수송설비는 2개의 탱크(10A),(10B)를 갖고, 한쪽을 벌크하물수입(受入)탱크로 하고, 다른 쪽을 수송탱크로서 사용하며, 번갈아 역할을 교체함으로써 연속적인 선하양륙ㆍ선적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양 탱크는 수송물을 수납하는 수송물 입구(12)에 수입밸브(12)를 설치하고, 탱크하부에 배출구(16)를 설치하고 있다.
2개의 탱크(10A),(10B)의 배출구(16)에는 수송관(18A),(18B)이 접속되어, 이들은 토출전환밸브(20)를 통하여 합류하고 있다.
탱크내부에는 압축공기의 공급원에 접속된 공기관(22)이 도입되어, 이것에 개구시킨 급기노즐(24)을 통하여 탱크내의 수송물을 공기에 의해 유동화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먼저 한쪽의 탱크(10A)의 수입밸브(14)를 열고, 수송물의 규정량의 수입작업을 레벨계(15)로 검지하기까지 하고, 그 후 수입밸브(14)를 닫히도록 조작한다.
이 수입작업을 하는 동안, 다른 쪽의 탱크(10B)에서는 압축공기관로에 설치한 흡기밸브(26)를 열어 압축공기를 급기노즐(24)에서 탱크(10B)내에 흡입하여, 탱크(10B)내에 규정량 수입된 수송물을 유동화하여 공기와 함께 수송관(18B)에 유입함으로써 수송한다.
이 때, 토출전환밸브(20)은 탱크(10A),(10B)측에 통하도록 전환되어 있다. 탱크(10B)내의 수송물이 없어지면, 탱크(10B)내 압력이 규정치까지 내려가므로, 그것을 압력스위치(28)에서 검지하여 급기밸브(26)를 닫고, 토출전환밸브(20)를 탱크(10A)측에 연락하도록 전환하여 탱크(10A)를 수송탱크로서 이용하고, 이번에는 탱크(10B)를 수입탱크로서 사용하도록 수입밸브(14)를 열어, 수송물의 수입을 개시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탱크(10A)를 수송탱크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다음에, 도 1에 있어서, 벌크선박의 공기수송설비의 보수관리시스템(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벌크선박의 공기수송설비의 보수관리시스템(1)은 복수의 벌크선박의 각각에 탑재되어 있는 공기수송설비의 가동데이터송신부와, 육상기지측에서 각 선박으로부터 보내오는 가동데이터를 수집하여, 과거 데이터와 판정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보수관리정보를 발신하는 보수관리부와, 이들을 연락통신가능하도록 하는 무선통신부(9)로 구성되어 있다.
즉, 선박측에 있어서 벌크선박(3)에 탑재된 공기수송설비(5)를 작동시키는 제어반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것에는 프로그래머블로직콘트롤러(32)(이하, PLC(32)라고 함)와, 그래픽터미널(48)이 장비되는 동시에, 선박용 퍼스널컴퓨터 (30)(이하, 선박용 PC(30)라고 함)를 부대(附帶)하고, 무선모뎀(40)을 통하여 무선공중회선(36)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벌크선박의 공기수송설비(5)의 가동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육상기지로서 상기 무선공중회선(36)에 루터(34)를 통하여 전용선(38)으로 접속되어, 무선공중회선(36)을 통하여 벌크선박과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는 보수관리회사(Co)에 설치된 수송설비보수관리부 (7)로 구성되어 있다.
선박용PC(30)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검출장치 예를 들면 GPS장치에서 벌크선박(3)의 위치데이터정보, 하물을 양륙 또는 선적하는 장소의 적재지 정보 또는 운반하는 벌크하물이 시멘트, 석탄회, 석회석 등의 어느 하나인가의 제품 정보가 입력되는 동시에, 접속되는 무선모뎀(40)에 출력하고 있다.
PLC(32)는 설정된 로직에 따라서 공기수송설비(5)의 운전처리를 진행시키도록 하고 있다. PLC(32)는 공기수송설비를 운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탑재한 CPU 등의 운전제어부(46)가 설치되고, 정해진 일정한 순서로 각 기기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PLC(32)에 부대하여 선박용 그래픽터미널(48)(이하, 선박용 GT(48)라고 함)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는 워치도그타이머(50)가 구비되어 PLC(32)의 작동을 체크하고 있다.
워치도그타이머(50)는 제어 인터페이스형의 안전장치로서, 특정한 조건일 때에 시스템전체 또는 그 일부를 정지시키는 것이다. 또, PLC(32)은 예를 들면 RS232C 등의 시리얼인터페이스에 의해 선박용PC(30)에 접속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도 3 또는 도 4의 가동정보데이터(Kd)로서, 예를 들면 일시, 선명(船名), 예상양륙량, 1배치양륙량, 선적항장소, 선하양륙항장소 또는 양륙시각, 용기 A층 및 B층의 압송횟수, 수조(受槽)시간(S로 표시), 대기시간, 가압시간, 압송시간, 전환시간, 최대압, 선하양륙량(평균), 수조량, 토털카운터(사용횟수), 수조량, 압송량 등을 선박용PC(30)에 보존하고 있다.
또, 가동정보데이터(Kd)에는 이상 발생시의 발생시간, 발생장소, 복귀시간 등의 이상데이터(Ka) 또는 수복한 보수내용, 보수항목 등의 보수데이터(Ks)가 기재되어 있다.
이 가동정보데이터(Kd)는 상기 선박용PC(30)에 입력된 위치데이터, 양륙지정보, 제품정보 등과 함께 접속되는 무선모뎀(40)에 출력하고 있다.
TPC/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에 의해 무선모뎀(40)은 선박용PC(30)에 접속되고, 선박용PC(30)로부터의 신호를 무선전파로 하여 무선공중회선(50)의 루터(34)에 송신하고 있다.
루터(34)는 무선공중회선(50)을 통하여 복수의 벌크선박(3a),(3b),(3c…)에접속되어, 각 벌크선박(3a),(3b),(3c…)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다.
루터(34)는 전용선(38)으로 접속되는 보수관리회사용 루터(52)를 통하여 수송설비보수관리부(7)에 접속되어 있다.
보수관리회사(Co)에 설치되어 있는 수송설비보수관리부(7)는, 전용선(38)으로 접속되는 보수관리회사용 루터(52)와, 가동정보데이터(Kd)를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하는 보수관리회사용 퍼스널컴퓨터(54)(이하, 보수관리용 회사용 PC(54)라고 함)의 데이터베이스보관부(56) 및 보수관리제어부(58)로 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보관부(56)는 도 4에 나타낸 가동정보데이터(Kd)를 각 벌크선박 (3a),(3b),(3c…)에서 보내오는 운전, 보수정보를 선박마다, 보수부품마다 및 동급의 선박마다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수기록데이터베이스(Km)로서 보존하고 있다.
보수관리제어부(58)는 데이터베이스보관부(56)에 보존되어 있는 데이터를 선박마다 보수부품마다 또는 동급의 선박마다의 보수기록데이터로 분류하고, 보수기록데이터베이스(Km)에 송신하여 보관시키는 동시에, 정해진 임계치와 비교하여 보수부품마다의 수명 또는 동급의 선박마다의 성능비교 등을 하여, 필요에 따라서 모니터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보수관리회사용 PC(54)는 공기수송설비(5)에 사용되고 있는 예를 들면, 도 3 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밸브, 체크밸브, 릴리프밸브 등의 수명까지 사용된 보수부품의 보수상황을 보수지시(Ke)로서 표시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B조 토출밸브의 밸브시트교환시의 토털카운터치를「전회」로 하고, B조 토출밸브의 밸브시트사용횟수 토털카운터치를「현재」로 하고, 차분(「현재」-「전회」)을 구하여, 임계치(예를 들면 51000)와의 비교식에 의해, 예를 들면「B조 토출밸브의 밸브시트를 교환하십시오」라는 보수지시를 선박측에 송신하여, GT(48)에 표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 공기수송설비(5)는 보수관리회사(Co)내에 설치되어 있는 보수관리회사용 그래픽터미널(62)(이하, 보수관리회사용 GT(62)라고 함)에 의해 항상 감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수관리회사용 GT(62)에는 보수관리회사(Co)내에 설치되어, 공기수송설비 (5)의 감시 설비를 전환하는 감시용 스위치(64)가 설치되어 있다. 감시용 스위치 (64)는 인터넷(68), 프로바이더(70) 및 무선공중회선(50)을 통하여 벌크선박(3)에 설치되어 있는 감시용 무선모뎀(72)에 접속되어 있다.
감시용 무선모뎀(72)은 감시용 TPC/IP, WWW서버 및 RS232C 등의 시리얼인터페이스에 의해 PLC(32)에 접속되어, PLC(32)측의 신호를 이용하여 보수관리회사용 GT(62)측에서 기기이상의 판별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벌크선박(3a)이, 예를 들면 소정의 항만에 기항하여 적재하고 있는 벌크하물을 양륙하는 동시에, 항만에 있는 벌크하물을 선적하는 것이다.
벌크선박(3a)은 기항하여 벌크하물을 양륙하기 위해 벌크선박(3a)의 공기수송설비(5)의 수송관을 육상 설비에 접속한다.
다음에, 공기수송설비(5)가 상기한 바와 같이 벌크선박(3a)에 탑재된 PLC(32)의 설정된 로직에 따라서 공기수송설비(5)의 운전처리를 진행하여, 벌크하물은 2개의 탱크(10A),(10B)중 어느 한 쪽에서 수입밸브(14), 배출구(16), 수송관(18A) ,(18B) 및 토출전환밸브(20)를 경유하여 벌크선박(3a)의 공기수송설비(5)의 수송관에 의해 육상설비에 양륙되고 있다.
이때, 탱크내부에는 압축공기의 공급원에 접속된 공기관(22)이 도입되어, 이것에 개구시킨 급기노즐(24)을 통하여 탱크내의 수송물을 공기에 의해 유동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2개의 탱크(10A),(10B)중 어느 한 쪽에서는, 압축공기관로에 설치한 흡기밸브(26)를 열고, 압축공기를 급기노즐(24)로부터 탱크(10B)내에 분사하여, 탱크(10B)내에 규정량 수입된 수송물을 유동화하여, 공기와 함께 수송관(18B)에 유입시킴으로써 수송한다. 이 때, 토출전환밸브(20)는 탱크(10B)측에 통하도록 전환되고 있다.
이 PLC(32) 및 선박용 PC(30)의 가동에 의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동정보데이터(Kd)가 작성된다.
선박용 PC(30)는 일시, 선명(船名), 예상양륙량, 1배치양륙량, 선적항장소, 양륙항장소 또는 양륙시각, 용기 A층 및 B층의 압송횟수, 수조(受槽)시간(S로 표시), 대기시간, 가압시간, 압송시간, 전환시간, 최대압, 양륙량(평균), 수조량, 토털카운터(사용횟수), 수조량, 압송량 등과, 또한 이상 발생시의 발생시간, 발생장소, 복귀시간 등의 이상데이터(Ka) 또는 수복한 보수내용, 보수항목 등의 보수데이터 (kS)를 보존하고 있다.
또, 이 이상데이터(Ka)는 부품마다 수집되어 보수의 기록으로서 보수기록데이터베이스(Km)에 보관된다.
이 가동정보데이터(Kd)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기보수 및 긴급보수가 필요해지는 대상설비, 기기(5a)가 미리 PLC(32) 및 선박용 PC(30)에 입력되어 있다.
이 감시 대상이 되는 대상설비, 기기(5a)는 정기보수 및 긴급보수정보데이터가 선박용 PC(30)에 기억되어 보존되는 동시에, A1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E메일로 송신되어, 보수관리회사용 PC(54)의 데이터베이스보관부(56)에 보존된다.
이 때, A1부의 E메일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 공기수송설비(5)의 운전상태, 설비이상, 설비의 운전기록 및 소모품주문정보, 사용상황, 위치데이터, 양륙지정보, 제품정보를 수송설비보수관리부(7)에 송신하고 있다.
이 E메일로 송신된 가동정보데이터(Kd)는, 보수관리회사(Co)내의 수송설비보수관리부(7)의 데이터베이스보관부(56)에, 도 3의 보수기록데이터베이스(Km)와 같이 분류되어 보관된다.
또, 가동정보데이터(Kd)는 데이터베이스보관부(56)로부터 보수관리회사용 PC(54)의 소프트인 보수지시검색엔진(7a)에 출력되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감시대상이 되는 대상설비, 기기(5a)의 임계치와 비교되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한도에 도달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검출이 행해지고 있다.
도 5에 있어서의 비교예는, B조에 사용되고 있는 토출전환밸브(20)의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현재의 사용횟수가 51016회이며, 평균밸브시트수명까지 임계치(Qn)인 사용횟수 51000회를 넘고 있으며, 사용한도에 달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한도에 달하고 있을 때에는 보수지시로서,「보수지시(긴급도 : 500회 이내, 30일 이내) ; B조 토출전환밸브(20)의 밸브시트를 교환하십시오」 와 같이 표시되어, 데이터베이스보관부(56)에 보존되는 동시에, 선박용 PC(30)의 보수관리제어부(58)에 전송되어, CRT에 표시된다.
이 때, 사용한도의 임계치는 과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상의 가능성을 추측하고, 예를 들면 16단계로 임계치를 설정하여 경고하는 등, 단계적으로 경고를 출력하도록 하면 된다.
이 때, 가동정보데이터(Kd)의 이상정보는 보수지시로서 보수관리회사용 PC (54)인 소프트로서 작성되어 있는 보수지시검색엔진(7a)로부터 출력된다.
이 보수지시에 의해, 벌크선박(3a)의 보수원은 지시된 정보에 따라서, 해운회사(Lt)에 교환대상부품의 수배를 의뢰한다. 또, 보수관리회사(Co)는 보수부품의 긴급도에 맞춰서, 교환대상부품의 제조를 개시할 수 있다.
이로써, 벌크선박(3a)은 고장이 예상되는 대상부품을 고장나기 전에 준비함으로써, 공기수송설비(5)를 정지하는 기간을 없앨 수 있다. 또, 상기 벌크선박 (3a)의 가동정보데이터(Kd)는 동급의 다른 벌크선박(3b),(3c…)과 비교함으로써, 각 공기수송설비(5)에 사용된 각 부품의 성능 불균일 또는 조작방법의 불균일 등의 관리를 할 수 있다.
도 6은 수송횟수(회)와 수송능력(ton/h)의 평균량을 도시한 일 예이며, 이것을 동급의 다른 벌크선박(3b),(3c…)과 비교함으로써, 용이하게 벌크선박(3a)의 능력 또는 작업성을 알 수 있다.
또, 이 데이터의 불균일이 많을 때 또는 임계치(Qc)이하로 된 경우에는, 그 불균일의 원인을 조사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보수관리회사 (Co)에서는 각 부품의 내구성을 파악할 수 있어, 설계의 표준화에 피드백할 수 있다.
긴급이상에 대한 대처로서는, 선박용 GT(48)상에 해당하는 고장상황과 대책을 표시하여, 그 처치를 한다.
또한, 고장대책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미 알고 있는 대책을 선택하여 행한다. 또한, 이미 알고 있지 않을 때에는 고장대책시트를 선택하여 그 처치를 함으로써, 고장을 수리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벌크선박(3)의 경우에서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선실이 구획된 오일탱커선과 같은 선박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벌크선박의 수송설비의 보수관리시스템은, 선박에 탑재된 공기수송설비의 가동정보데이터를 수집하는 선박에 설치된 컴퓨터에서 데이터정보를 무선전송으로 받아 과거 데이터와 비교하여, 적절한 보수지시를 전문가의 입장에서 각 선박앞으로 발신 표시하고, 선박상의 작업자는 숙련도에 의존하지 않고, 정확한 보수관리작업을 공기수송설비(5)에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교환이 필요해지는 보수부품을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감시하여 추출하는 컴퓨터시스템으로 되어 있으므로, 선하양륙ㆍ선적처리의 정지를 일으키는 공기수송설비기기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미리 보수부품을 준비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동급의 선박간을 비교할 수 있어, 수송부품의 불균일 또는 수송작업의 적부(適否) 등을 보수관리회사로부터 보수관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에 탑재된 공기수송설비의 가동정보데이터를 무선공중회선에 의해 송신이 가능하도록 한 송신수단과, 상기 무선공중회선을 통하여 선박마다 보내오는 상기 가동정보데이터를 누적 기록하는 보수기록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기지측의 컴퓨터시스템을 갖고, 해당 컴퓨터시스템에는 각 선박마다의 수집데이터를 과거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상의 가능성을 추정 판별하는 판정처리수단을 설치하고, 해당 판정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공중회선을 통하여 대상 선박의 제어반그래픽터미널에 보수관리대책을 표시 가능하게 한 기지측 송신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종래와 같이 배마다의 양륙데이터, 보수데이터의 인쇄가 불필요하여, 유지비가 저가로 되는 동시에, 수시로 필요한 항목이 컴퓨터로 볼 수 있어 보수관리가 용이해진다.
데이터베이스는 배마다, 공기수송설비의 개개의 부품마다 또는 동급의 선박마다에 보관되어 있으므로, 과거의 축적된 데이터로부터 고장의 경향이나 예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동급 선박을 비교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선박마다, 공기수송설비의 개개의 부품마다 또는 동급의 선막마다에 데이터가 보관되어 있으므로, 취급하물종류와 설비의 내용(耐用) 년수와의 관계 등, 설계의 표준화에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어, 설계가 확실하고 용이해진다.
고장이 예상되는 공기수송설비의 개개의 부품은 고장 이전에 수배되어 제조되어 있으므로, 수송설비는 정지하지 않고 끊임없이 가동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보수부품의 준비가 불필요해져 재고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Claims (4)

  1. 선박에 탑재된 공기수송설비의 가동정보데이터를 무선공중회선에 의해 송신이 가능하도록 한 송신수단과, 상기 무선공중회선을 통하여 선박마다 보내오는 상기 가동정보데이터를 누적 기록하는 보수기록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기지측의 컴퓨터시스템을 갖고, 해당 컴퓨터시스템에는 각 선박마다의 수집데이터를 과거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상의 가능성을 추정 판별하는 판정처리수단을 설치하고, 해당 판정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공중회선을 통하여 대상 선박의 제어반(制御盤)그래픽터미널에 보수관리대책을 표시 가능하게 한 기지측 송신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설비를 갖는 선박의 보수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송신수단은 설비의 운전정보, 설비이상의 유무, 소모품주문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자메일송신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설비를 갖는 선박의 보수관리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처리수단은 과거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상판정을 단계적으로 설정한 복수의 임계치와의 비교에 의해 하고, 단계적으로 경보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설비를 갖는 선박의 보수관리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처리수단으로부터 무선공중회선을 통하여 그래픽터미널에 송신되는 대책데이터는, 미리 기억되어 있는 고장대책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미 알고 있는 대책을 선택하고, 이미 알고 있지 않은 경우에 고장대책시트를 선택하여 송신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설비를 갖는 선박의 보수관리시스템.
KR1020010048949A 2001-02-06 2001-08-14 수송설비를 갖는 선박의 보수관리시스템 KR100829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30009 2001-02-06
JP2001030009A JP2002234483A (ja) 2001-02-06 2001-02-06 空気輸送設備を有する船舶の保守管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319A true KR20020065319A (ko) 2002-08-13
KR100829843B1 KR100829843B1 (ko) 2008-05-16

Family

ID=18894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949A KR100829843B1 (ko) 2001-02-06 2001-08-14 수송설비를 갖는 선박의 보수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234483A (ko)
KR (1) KR100829843B1 (ko)
SE (1) SE518841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4151A (zh) * 2018-12-27 2019-04-16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自动调整船舶声学状态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71565A (zh) * 2003-10-30 2006-11-29 诺信公司 热熔性粘合剂系统的远程监视
JP5431841B2 (ja) * 2009-09-07 2014-03-05 三井造船株式会社 ポリマーペレットの水上輸送方法
KR100936931B1 (ko) * 2009-09-11 2010-01-13 한장섭 선박 항로별 최적 선박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9507343B2 (en) 2013-06-05 2016-11-29 Furuno Electric Co., Ltd.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of notifying service life of component
CH712516B1 (de) 2015-04-14 2020-09-30 Nippon Yusen Kk Server, Computerprogrammprodukt und Speichermedium zum Bestimmen eines Zeitpunktes der Instandhaltungsarbeit für ein an einem Schiff montiertes Gerä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428B1 (ko) * 1998-07-28 2006-03-27 한국해양연구원 인공지능형해난경보시스템
KR100374777B1 (ko) * 1999-12-20 2003-03-04 한국해양연구원 무인 선박 운항 시스템
JP2002221076A (ja) * 2001-01-24 2002-08-09 Mitsubishi Heavy Ind Ltd ディーゼル主機関診断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4151A (zh) * 2018-12-27 2019-04-16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自动调整船舶声学状态的方法
CN109634151B (zh) * 2018-12-27 2024-03-22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自动调整船舶声学状态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34483A (ja) 2002-08-20
SE518841C2 (sv) 2002-11-26
SE0102757D0 (sv) 2001-08-17
SE0102757L (sv) 2002-08-07
KR100829843B1 (ko) 200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5899B2 (ja) 船荷のリアルタイム監視
US20060109106A1 (en) Shipping container monitoring and tracking system
KR100829843B1 (ko) 수송설비를 갖는 선박의 보수관리시스템
US20200167726A1 (en) System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unloading and loading plans using cloud service
CN110147069A (zh) 一种基于数字孪生的港口实时监控系统及其工作方法
CN108549307A (zh) 一种铁路冷链全过程状态监控系统
CN105389989A (zh) 一种运输安全在线监控系统
KR101245646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CN112349072A (zh) 集装箱货物的监控方法、装置及监控终端
CN109879006B (zh) 斗式提升机防积料联锁控制系统及方法
EP3798943A1 (en) Improving the real-time operation of an industrial facility using a machine learning based self-adaptive system
JP2002222011A (ja) 移動体監視制御システム
CN212375416U (zh) 电镀系统
Khafid et al. A concept to reduce idle time on stevedoring activities in a container terminal
JP2023531143A (ja) コンテナ船上のコンテナの位置を決定するための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1441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material flows
JP2003312798A (ja) メンテナンス管理システム
KR20180101308A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
JP2001354300A (ja) 輸送業務における方法、輸送対象物の出荷、輸送及び貯蔵のための手段並びに輸送システム
Asimakopoulos et al. METATRO: A real time RFID enabled haulage monitoring system for perishable comestibles
Asimakopoulos et al. A real time RFID enhanced haulage monitoring system
CN117049114A (zh) 一种港口冷链自动化连续传输系统
CN117333095A (zh) 一种物流货运车辆运输监管系统及方法
JP2002163019A (ja) 故障診断表示システム
JP5876756B2 (ja) タンクローリ車の荷卸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