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646B1 -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646B1
KR101245646B1 KR1020120064495A KR20120064495A KR101245646B1 KR 101245646 B1 KR101245646 B1 KR 101245646B1 KR 1020120064495 A KR1020120064495 A KR 1020120064495A KR 20120064495 A KR20120064495 A KR 20120064495A KR 101245646 B1 KR101245646 B1 KR 101245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intenance
floating structure
repai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5223A (ko
Inventor
장다혜
한성환
소승욱
김훈주
문호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4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646B1/ko
Publication of KR20120085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646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관리를 자동화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 상선 분야에서 유지보수를 위해 부유식 구조물의 정보를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 서버와 부유식 구조물 외부의 중앙 서버와 연계해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 관리를 자동화하기 위한 유지 보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부유식 구조물 각각에 구비된 모니터링 장치 및 내부 서버와, 상기 내부 서버로부터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리업체 선정 및 상기 수리 업체의 선정시 상기 사용자가 중요시하는 부분을 반영가능한 육상의 중앙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Automate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for Floationg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관리를 자동화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 상선 분야에서 유지보수를 위해 부유식 구조물의 정보를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 서버와 부유식 구조물 외부의 중앙 서버와 연계해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부유식 구조물 유지보수시장은 규모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고, 부유식 구조물의 건조보다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관리에 따라 이 비용의 차이가 커지기 때문에 선주들은 최적의 유지보수관리 방법을 찾아 운영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을 부유식 구조물 운영의 목표로 삼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선주들의 최대의 목표인 유지보수관리 비용 최소화를 도모하고, 이에 능동적으로(Pro-active) 대응하기 위해 제공된다.
종래의 기술은 일부 해양 제품에 있어서만, 장비의 유지보수를 통합관리 하였고, 상선의 경우 SMS(Ship Management System)을 통해 일부 장비에 대해 관리하였다. 해양 제품의 경우에도 선체, 의장 별도의 시스템만이 부분적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부유식 구조물 유지보수를 위한 통합 서비스 체계는 없는 상태이고, 부유식 구조물의 관리를 예방위주가 아니라 상태에 따라 부유식 구조물을 관리하여 수동적으로(Re-active) 부유식 구조물을 관리하고 있었다. 부유식 구조물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보수하는 서비스 체계는 없었고, 선사마다 독립적인 방법으로 관리하고 있었다.
종래의 기술은 모니터링 장치(예를 들어, Alarm Monitoring System)를 위한 데이터 베이스, USN(Ubiquitous sensor network)를 위한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별개로 구축하여 별개로 관리하였다. 이러한 경우, 서로 다른 기종간의 연동을 위한 추가적인 자원이 투입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위와 같은 이유로, 모든 데이터 베이스를 일원적으로 관리하는 종합적인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련된 선행 기술로는 한국특허등록번호 0936931(한장섭, 선박 항로별 최적 부유식 구조물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한국특허공개번호 2003-0012274(토스코 주식회사, 선박 관리시스템)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데이터 베이스의 일원적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자동화된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서 부유식 구조물 내에서 자동화된 유지보수를 기대하기 어려웠고, 인력이 더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유식 구조물의 설비 등의 문제를 예방하는 것이 아니고 사후관리를 염두해 둔 기술이었다. 따라서 부유식 구조물의 관리를 능동적으로(Pro-active) 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양, 상선 분야에서 유지보수를 위해 부유식 구조물의 정보를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 서버와 부유식 구조물 외부의 중앙 서버와 연계해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 관리를 자동화하기 위한 유지 보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부유식 구조물 각각에 구비된 모니터링 장치 및 내부 서버와, 상기 내부 서버로부터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리업체 선정 및 상기 수리 업체의 선정시 상기 사용자가 중요시하는 부분을 반영가능한 육상의 중앙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부유식 구조물내에 위치한 장치, 기구, 기계 및 부품에 구비되어, 이상 여부, 수리 여부 및 사용자가 설정한 상황인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된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내부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내부 서버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연결되도록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제공된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집계하여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는 복수의 수리업체로부터 수리업체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수리업체정보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복수의 부유식 구조물 중 유지 보수가 필요한 부유식 구조물의 상기 내부 서버로부터 전송된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 중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항로, 종류, 수리업체의 위치, 수리 비용 및 재고 여부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최적의 수리업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수리업체로부터 수리가능하다는 통지를 수신하면 상기 내부 서버에 상기 선정된 최적의 수리업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내부 서버는 사용자에게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시 상기 선정된 수리업체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내부 서버 또는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부품의 가격, 부품의 품질 및 수리 여부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는 유지보수정보의 가공 및 분석을 통해 유지 보수에 필요한 부품정보를 지역별 및 부유식 구조물별로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유식 구조물은 벌크 화물선, 컨테이너선, 여객선과 같은 선박 또는 해상의 일 지점에 계류된 해상 플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는 상기 내부 서버로부터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가 발생, 변경, 소멸되거나 또는 정정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기본정보와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해당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를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부유식 구조물 각각에 구비된 모니터링 장치 및 내부 서버와, 상기 내부 서버로부터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리업체 선정 및 상기 수리 업체의 선정시 상기 사용자가 중요시하는 부분을 반영가능한 육상의 중앙 서버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 관리를 자동화하기 위한 유지 보수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해당 부유식 구조물내에 위치한 장치, 기구, 기계 및 부품의 이상 여부, 수리 여부 및 사용자가 설정한 상황인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된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내부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 서버에 의해,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제공된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집계하여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에 의해, 복수의 수리업체로부터 수리업체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수리업체정보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복수의 부유식 구조물 중 유지 보수가 필요한 부유식 구조물의 상기 내부 서버로부터 전송된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 중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항로, 종류, 수리업체의 위치, 수리 비용 및 재고 여부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최적의 수리업체를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에 의해, 상기 선정된 수리업체로부터 수리가능하다는 통지를 수신하면 상기 내부 서버에 상기 선정된 최적의 수리업체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 관리 시스템의 유지보수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요청시 상기 선정된 수리업체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부품의 가격, 부품의 품질 및 수리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 서버로부터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가 발생, 변경, 소멸되거나 또는 정정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기본정보와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해당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 서버로 집계된 정보를 육상의 중앙 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 후 통합 관리하며, 정보를 분석, 가공, 판매할 수 있다. 또한, 항로별, 부유식 구조물별로 가장 효율적인 유지 보수 관리 방법 및 정보를 판매할 수 있고, 비용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선주, 수리 조선소, 수리업체를 연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유지보수정보 가공, 분석 사업을 통해 유지 보수에 필요한 부품정보를 지역별, 부유식 구조물별로 통합해서 구매오더(POR)을 대행할 수 있다. 또한 구매업무 대행 사업 수행이 가능하고, 유지보수자재에 대한 SCM(Supply Chain Management) 사업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엔지니어를 셔틀(Shuttle) 방식으로 직접 지원하는 방식의 사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부유식 구조물 사용자의 측면에서 약 20년간 운항되는 부유식 구조물의 총 비용를 절감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며, 부유식 구조물의 가용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부유식 구조물 제조업자의 측면에서는 수명 주기 전반에서 고객이 필요한 정보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부유식 구조물 건조가 가능하고, 부유식 구조물 제작과 유지보수를 고려한 부유식 구조물 건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모니터링 장치와 부유식 구조물 내부 서버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 내부 서버와 중앙서버 간의 관계에서 본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의 플로우 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리 업체와 중앙서버 간의 관계에서 본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의 플로우 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기 위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의 플로우 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리업체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기 위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의 플로우 차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의도로 예시된 것에 불과하므로, 첨부된 도면들 및 설명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도면을 통해서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용어를 개략적으로 정리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부유식 구조물이란, 벌크화물선, 컨테이너선, 여객선 등과 같은 각종 선박을 비롯하여, 평상시에는 해상의 일 지점에 계류된 채 사용되는 오일 FPSO 등의 해상 플랜트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정보란 부유식 구조물의 이벤트 정보, 상태 정보, 설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벤트 정보란, 부유식 구조물의 장치, 기구, 기계, 각종설비 또는 부품등에 결함이 생긴 경우, 또는 결함이 예상되는 경우, 그러한 결함의 크기, 위치, 해결방법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말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란, 현재 부유식 구조물의 장치, 기구, 기계, 각종설비 또는 부품등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여기서 설계 정보란, 최초 부유식 구조물의 장치, 기구, 기계, 각종 설비 또는 부품등의 설계시 기본 상태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이를 상태정보와 비교하여 선박의 보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한다는 것은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이벤트 정보, 상태 정보, 설계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로 일원적으로 관리한다는 것을 말하고, 일원적으로 관리한다는 것은 단지 하나의 서버를 통해서 관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솔루션으로 부유식 구조물 내 설비관리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란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이벤트 정보,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부유식 구조물에 사용되는 모든 부품에 대해 각 부품의 고유번호, 도면, 크기, 수명, 가격 등 부유식 구조물의 부품정보와, 부유식 구조물의 설계도, 선사정보, 선급정보, 부품정보, 수리내역정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정보를 포함하는 현 상태에서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앙 서버란 부유식 구조물의 외부에 위치하여, 각각의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 서버에서 처리된 정보들을 수집하여, 수리업체 정보와 연계하여,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가 비용적, 시간적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종적으로 하나의 부유식 구조물과 하나의 수리업체를 연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 서버는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에 위치하여, 모니터링 장치에서 수집된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를 집계하여, 주기적으로 혹은 실시간으로 중앙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리업체 정보는 부유식 구조물 수리업체의 명칭,장소,수리가능부품, 부품재고 여부, 수리가능시기를 포함하는 수리업체에 관한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란, 서버에 등록된, 선주, 선사, 선급등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관리에 관하여 서버에서 허가를 얻은 자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기란, PDA, PC, 휴대폰 기타 유무선으로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모니터링 장치란, AMS(Alarm Monitoring System)등을 포괄하는 것으로, 부유식 구조물의 각종 설비에 부착되거나 위치하여, 부유식 구조물의 모든 상태를 점검하여 부유식 구조물의 주기적 혹은 실시간 이벤트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주기적이란, 물리적으로 정확히 일정한 시간 간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또는 그 밖에 설비 관리를 하는 사람이, 정한 일정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벤트 정보 발생시 혹은 실시간으로 파악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진술한 용어의 정의는 명칭에 구애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개념을 의미하고, 용어에 의해서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도면 및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상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 내부 서버(200)가 이벤트 정보를 받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최초에 부유식 구조물의 모니터링 장치(220)에서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이벤트 정보)의 발생을 감지하면, 이를 부유식 구조물 내부 서버(200)에 알려주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부유식 구조물 내부 서버(200)에서 요청시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 이루어 지게 된다. 이렇게 획득한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혹은 중앙서버의 요청시 중앙서버로 전송한다. 이러한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는 이벤트 정보일 수도 있고, 부유식 구조물 내부 서버에 의하여 갱신된 부유식 구조물 정보일 수도 있다. 갱신된 정보는 초기 부유식 구조물의 제조시에 저장된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정보 이외에 추후 부유식 구조물에 관해 저장된 정보를 말하고, 갱신 과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1에서 부유식 구조물 내부 서버(200)를 2개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부유식 구조물 내부 서버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중앙서버(100)는 여러 부유식 구조물 내부 서버에서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일원적으로 관리한다. 이렇게 일원적으로 관리된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는 부유식 구조물의 항로, 종류, 수리업체의 위치, 수리비용, 재고 여부 등을 토대로, 해당 부유식 구조물이 어느 수리 업체에서 수리를 하는 경우, 최소의 비용과 최소의 시간으로 수리가 가능한지 여부가 중앙서버(100)에서 작성된다. 이를 위하여 수리 업체는 주기적으로 수리업체의 정보를 중앙서버에 업데이트하고, 갱신된 수리 업체 정보는 주기적 혹은 실시간으로 중앙서버에 업데이트 된다. 이러한 갱신과정은 도 6에 도시된다. 또한 사용자의 요청시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 서버 또는 중앙서버 또는 수리업체의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400)에게 정보를 제공을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400)의 선택에 따라서 상황을 처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중앙서버는 수리업체의 선정을 할 수 있고, 수리업체 선정시 사용자가 중요시하는 부분을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수리업체는 부품의 가격, 부품의 품질, 수리 여부 등을 정할 수 있다. 도 1에서 수리업체를 2개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수리업체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모니터링 장치(220)와 부유식 구조물 내부 서버(200)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부유식 구조물의 각종 설비, 장치, 기구, 기계, 혹은 이러한 것들의 부품 등에는 모니터링 장치(220)가 구비되어, 이상 여부, 수리 요부, 기타 사용자가 설정한 상황인지 여부 등을 모니터링 하고, 주기적 혹은 실시간으로 이를 부유식 구조물 내부 서버(200)에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부유식 구조물의 모니터링 장치(220)는 예를 들어, 알람 모니터링 시스템(Alarm Monitoring System, AMS)일 수 있고, 그 밖의 부유식 구조물의 설비등의 상태를 관찰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부유식 구조물의 모니터링 장치(220)는 부유식 구조물의 각종 설비, 장치, 기구, 기계 혹은 이러한 것들의 부품들의 측정값이 일정 수치 이상인 경우, 혹은 이하인 경우, 이를 부유식 구조물 내부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제공은 사용자(400)에게도 동시에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 내부 서버와 중앙서버 간의 관계에서 본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의 플로우 차트이다.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가 발생하면(S310),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 서버(200)는 발생된 정보를 파악하고 중앙서버(100)에 전송한다(S320). 중앙서버(100)는 부유식 구조의 내부 서버(200)로 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수리업체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요청사항을 반영하여, 해당 부유식 구조물이 어느 수리업체에서 수리를 받아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리 업체간 비교분석을 한다(S330). 비교 분석의 결과로 최적의 수리여건을 결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와 수리 업체를 연결시킨다(S340). 최종적으로 확정된 최적의 수리 연건을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 서버에 통지한다(S35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리 업체와 중앙서버 간의 관계에서 본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의 플로우 차트이다.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S410),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 서버(200)에서 파악된 정보를 중앙서버(100)로 전송한다. 중앙서버는 전송된 정보와 수리업체의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수리업체를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선택가능한 사항을 통지하고, 최적의 수리업체를 정할 수 있다(S420). 최적의 수리업체를 선택하여 선택되었다는 것을 수리업체에 통지하고, 수리업체가 수리가능하다는 통지를 하면(S430),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 서버에 이를 통지한다(S44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기 위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의 플로우 차트이다. 시스템에는 미리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그 후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가 발생, 변경, 소멸 되거나, 정정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기본정보와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가 갱신된다. 이러한 갱신사항은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 서버를 거쳐, 중앙서버에 전송후 정보가 갱신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리업체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기 위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의 플로우 차트이다. 시스템에는 미리 수리업체의 기본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그 후 수리업체에 관한 정보가 발생, 변경, 소멸 되거나, 정정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수리업체에 관한 정보가 갱신되는데, 이러한 갱신사항은 중앙서버에 전송하여 정보가 갱신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급 정보의 링크를 통하여 사용자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관리를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예측되는 외부환경변화에 따라서 관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엔진 가열등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냉각시설에 대한 유지보수관리를 가능하도록 수리업체에서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능동적인(Pro-active) 한 설비관리는 수명 주기 전반에 걸쳐 필요한 부유식 구조물 제작과 관련된 도면정보를 온라인(On-Line)으로 제공할 수 있어 선주등 사용자는 보다 쉽게 유지보수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하기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중앙서버 : 100
부유식 구조물 내부 서버 : 200, 200A, 200B
수리업체 : 300, 300A, 300B
사용자 : 400
부유식 구조물의 모니터링 장치 :220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 10

Claims (8)

  1.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 관리를 자동화하기 위한 유지 보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부유식 구조물 각각에 구비된 모니터링 장치 및 내부 서버와,
    상기 내부 서버로부터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 중 부품의 고유번호, 도면, 크기, 수명 및 가격을 포함하는 부품정보와 해당 부유식 구조물의 설계도, 선사정보, 선급정보, 부품정보 및 수리내역정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정보를 토대로 수리업체의 명칭, 장소, 수리 가능 부품, 부품 재고 여부 및 수리가능시기를 포함하는 수리업체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해당 부유식 구조물이 어느 수리업체에서 수리를 받아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육상의 중앙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부유식 구조물내에 위치한 장치, 기구, 기계 및 부품에 구비되어, 이상 여부, 수리 여부 및 사용자가 설정한 상황인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된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내부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내부 서버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연결되도록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제공된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집계하여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는 복수의 수리업체로부터 수리업체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수리업체정보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결정된 수리업체로부터 수리가능하다는 통지를 수신하면 상기 내부 서버에 상기 결정된 수리업체를 통지하며,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는 상기 내부 서버로부터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가 발생, 변경, 소멸되거나 또는 정정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기본정보와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해당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는 상기 결정된 수리업체에 관한 수리업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내부 서버 또는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부품의 가격, 부품의 품질 및 수리 여부를 수신하며,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반영하여 해당 부유식 구조물을 수리할 수리업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는 유지보수정보의 가공 및 분석을 통해 유지 보수에 필요한 부품정보를 지역별 및 부유식 구조물별로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구조물은 벌크 화물선, 컨테이너선, 여객선과 같은 선박 또는 해상의 일 지점에 계류된 해상 플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 관리 시스템.
  5. 삭제
  6. 복수의 부유식 구조물 각각에 구비된 모니터링 장치 및 내부 서버와, 상기 내부 서버로부터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수리업체를 결정하는 육상의 중앙 서버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 관리를 자동화하기 위한 유지 보수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해당 부유식 구조물내에 위치한 장치, 기구, 기계 및 부품의 이상 여부, 수리 여부 및 사용자가 설정한 상황인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된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내부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 서버에 의해,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제공된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집계하여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에 의해, 복수의 수리업체로부터 수리업체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수리업체정보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복수의 부유식 구조물 중 유지 보수가 필요한 부유식 구조물의 상기 내부 서버로부터 전송된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 중 부품의 고유번호, 도면, 크기, 수명 및 가격을 포함하는 부품정보와 해당 부유식 구조물의 설계도, 선사정보, 선급정보, 부품정보 및 수리내역정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정보를 토대로 수리업체의 명칭, 장소, 수리 가능 부품, 부품 재고 여부 및 수리가능시기를 포함하는 수리업체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해당 부유식 구조물이 어느 수리업체에서 수리를 받아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에 의해, 상기 결정된 수리업체로부터 수리가능하다는 통지를 수신하면 상기 내부 서버에 상기 결정된 수리업체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에 의해, 상기 내부 서버로부터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가 발생, 변경, 소멸되거나 또는 정정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기본정보와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해당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관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 관리 시스템의 유지보수 관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 서버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에 의해, 상기 결정된 수리업체에 관한 수리업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부품의 가격, 부품의 품질 및 수리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육상의 중앙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반영하여 해당 부유식 구조물을 수리할 수리업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보수 관리 시스템의 유지보수 관리 방법.
  8. 삭제
KR1020120064495A 2012-06-15 2012-06-15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KR101245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495A KR101245646B1 (ko) 2012-06-15 2012-06-15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495A KR101245646B1 (ko) 2012-06-15 2012-06-15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824A Division KR20110129278A (ko) 2010-05-25 2010-05-25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223A KR20120085223A (ko) 2012-07-31
KR101245646B1 true KR101245646B1 (ko) 2013-03-20

Family

ID=46715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495A KR101245646B1 (ko) 2012-06-15 2012-06-15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6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720B1 (ko) 2015-02-15 2015-05-08 (주)부품디비 해양자원 생산장비의 예지보전을 위한 고장유형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615945B1 (ko) 2015-05-26 2016-04-28 사단법인 한국선급 3차원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를 이용한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KR101853480B1 (ko) * 2017-03-31 2018-04-30 (주)부품디비 해양플랜트 예지보전 시스템
KR102404527B1 (ko) * 2017-04-13 2022-06-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53485B1 (ko) * 2017-04-13 2018-04-30 (주)부품디비 부유식 천연가스 생산저장설비 예지보전 시스템
KR102185017B1 (ko) 2020-07-14 2020-12-01 (주)부품디비 가스공급시설 정보관리 및 예지보전 통합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2677A (ko) * 1995-10-10 1997-05-30 조지 더블유. 하우스웨어트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관리 이벤트를 발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70085870A (ko) * 2004-11-08 2007-08-27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액화천연가스 부유식 저장 재기화 설비
KR20080004257A (ko) * 2006-07-05 2008-01-09 Stx조선주식회사 선박에 관한 클레임 관리 시스템 구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2677A (ko) * 1995-10-10 1997-05-30 조지 더블유. 하우스웨어트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관리 이벤트를 발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70085870A (ko) * 2004-11-08 2007-08-27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액화천연가스 부유식 저장 재기화 설비
KR20080004257A (ko) * 2006-07-05 2008-01-09 Stx조선주식회사 선박에 관한 클레임 관리 시스템 구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223A (ko)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646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KR101210918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US116753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equipment in an industrial automation environment
US7496475B2 (en) Maintenance management of a machine
KR102408228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uarte et al. Maintenance database
CA30523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diagnostics and monitoring of heavy equipment
WO2011058076A1 (en) A platform for aircraft maintenance services and asset management
US113734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non-approved parts in a vehicle
KR20190040529A (ko) 선박의 기자재 관리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N111144841A (zh) 一种化工产品生产线中输送及保存设备的巡检方法及系统平台
JP2019011012A (ja) 船舶管理装置、船舶管理システム、船舶管理方法
KR102408232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50027487A1 (en) Product defect analysis and resolution system
JP7362853B2 (ja) 情報出力装置、情報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04527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29278A (ko)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KR101720730B1 (ko) 해양 플랜트 기자재인증 지원 시스템
CN101794407A (zh) 管理设备、管理系统和管理方法
KR100486452B1 (ko) 부품 제공방법
KR20230049125A (ko) 보수 지원 시스템
KR20210071219A (ko)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
JP7019090B1 (ja) 情報出力装置、情報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59405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61802B1 (ko) 제조이력에 의한 불량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