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6452B1 - 부품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부품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6452B1
KR100486452B1 KR10-2002-0076935A KR20020076935A KR100486452B1 KR 100486452 B1 KR100486452 B1 KR 100486452B1 KR 20020076935 A KR20020076935 A KR 20020076935A KR 100486452 B1 KR100486452 B1 KR 100486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customer
spare
repair
spar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765A (ko
Inventor
고지마도오루
요시다유키히코
곤다마사타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7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4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고객으로의 부품의 제공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부품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부품 제공방법은 플랜트 설비를 보유하는 고객(2),(3)에게 플랜트 설비의 부품을 제공하는 부품 제공방법에서, 고객(2),(3)에게 부품을 제공할 때까지의 허용기간을 설정해 두고, 고객(2),(3)으로부터 부품의 수리요구를 받았을 때에 그 부품에 대한 허용기간을 검색해서 허용기간내에 부품의 수리가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불가능한 경우에는 재고정보를 보유하는 데이터베이스(45)로부터 대신에 제공해야 할 대체품을 추출해서 이 대체품을 고객(2),(3)에게 제공하도록 촉진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부품 제공방법{METHOD OF SUPPLYING A PRODUCT}
본 발명은 플랜트 설비를 보유하는 고객에게 플랜트 설비의 부품을 제공하는 부품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랜트 설비 메이커(이하, 메이커라 함)는 고객에게 플랜트 설비나 그 부품을 판매하고 있고, 고객은 메이커로부터 플랜트 설비나 그 부품을 구입해서 플랜트의 운전을 하고 있다. 또, 고객은 플랜트의 운전에 따라 플랜트 설비를 구성하는 부품에 문제가 생기거나 소정기간 사용한 부품을 교환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 부품의 예비품을 미리 보유하고 있고, 고장시나 교환시에는 이 예비품과 대체하도록 하고 있다.
도 10은 이와 같은 종래의 플랜트 설비의 부품 제공방법을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1은 플랜트 설비 메이커, 2, 3은 메이커(1)의 고객이다.
메이커(1)는 판매 업무부문(11), 생산 업무부문(12), 수리 업무부문(13)을 소유하고, 제품을 보관하는 제품 재고(14), 제품 재고정보를 관리하는 제품 재고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또, 고객(2),(3)은 재고관리 업무부문(21),(31), 설비의 정기점검 업무부문 (22),(32), 설비의 고장복구 업무부문(23),(33), 부품(예비품)의 구입 업무부문 (24),(34), 고장품 송부 업무부문(25),(35)을 갖는 동시에 플랜트 설비(26),(36), 예비품을 보관하는 예비품 재고(27),(37), 예비품 재고정보를 관리하는 예비품 재고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면중 점선의 화살표는 정보의 흐름을 표시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이커(1)는 생산 업무부문(12)에서 제품을 생산해서 제품 재고 (14)에 보관하고, 그 내용을 제품 재고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고 있다. 또, 주문된 제품의 판매를 판매 업무부문(11)에서 실시하고, 수리 업무부문(13)에서 반품된 제품을 수리해서 납품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플랜트 설비(26)를 보유하는 고객 A는 재고관리 업무부문 (21)에서 플랜트 설비(26)의 유지 또는 보수용 예비품을 예비품 재고(27)에 보관하고, 그 내용을 예비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해서 관리하고 있다. 또, 정기점검 업무부문(22)에서 정기점검을 실시하는 동시에 고장난 부품이나 경년(經年) 열화품 (劣化品) 탑재의 부품을 예비품과 교환하고,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고장복구 업무부문(23)에서 예비품을 사용하도록 해서 설비의 조기 복구를 하도록 하고 있다.
또, 이같은 정기점검이나 고장복구 등에 의해 예비품이 사용되므로 구입 업무부문(24)에서는 부족한 예비품을 보완하기 위해 메이커(1)에 주문을 해서 제품을 구입한다. 또, 구입 업무부문(24)에서는 고장난 제품 또는 경년 열화 탑재의 부품을 정비 목적으로 플랜트 설비 메이커(1)에 대해 반품하도록 하고 있다. 이들로 인해 예비품 재고(27)에 보관되는 예비품을 유지하고 있다. 또, 고객 B도 같다.
종래의 부품 제공방법은 상기와 같이 되어 있으므로 고객의 설비가 고장나서 대량으로 부품이 필요한 경우 등, 예비품 재고에 보관되어 있는 수 이상의 예비품이 필요한 경우에는 새로이 부품을 구입하거나 고장난 부품을 수리할 필요가 있고, 주문에서 판매 또는 수리 의뢰에서 완성품의 납품까지의 사이에서는 예비품이 부족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고장난 부품을 수리하는 경우에는 근년의 설비 플랜트에 복잡한 제어회로가 조립되어 있는 관계도 있고, 플랜트 설비 메이커에서 고장난 부위를 특정하는데 시간이 걸리고 고객에게 수리품을 반환하는데 대단히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근년 플랜트 설비에 사용되는 제품은 그 라이프 사이클이 짧아지고 있고, 구입일로부터 긴 기간 경과한 제품에서는 새로운 부품의 조달이 안되거나 수리 대응이 곤란해진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플랜트 설비 메이커가 그 고객으로부터의 주문에 대해 무진장으로 제품을 생산, 판매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고장ㆍ불필요하게 된 제품은 폐기하는 한 방향의 대응결과가 되어 지구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고객에게의 부품의 제공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부품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수리한 부품을 다시 사용함으로서, 지구에 온화한 환경을 만들 수가 있는 부품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부품 제공방법은 플랜트 설비를 보유하는 고객에게 플랜트 설비의 부품을 제공하는 부품 제공방법에서, 고객에게 부품을 제공할 때까지의 허용기간을 설정해 두고, 상기 고객으로부터 부품의 수리요구를 받았을 때에 그 부품에 대한 허용기간을 검색해서 상기 허용기간내에 상기 부품의 수리가 가능한가를 판단하고, 불가능한 경우에는 재고정보를 보유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신에 제공해야 할 대체품을 추출해서 이 대체품을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도록 촉진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부품 제공방법은 플랜트 설비를 보유하는 고객에게 플랜트 설비의 부품을 제공하는 부품 제공방법에서, 고객으로부터 부품의 수리요구를 받았을 때에 재고정보를 보유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신에 제공해야 할 대체품을 추출해서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도록 촉진하고, 상기 부품의 수리가 완료된 후 수리가 완료된 부품과 상기 대체품을 대체하도록 촉진하는 것이다.
또, 부품의 수리가 곤란한 경우는 고객에게 부품의 구입을 촉진하도록 해도 된다.
또, 데이터베이스에는 수리가 완료된 플랜트 설비의 부품이 대체품으로 등록되어 있어도 된다.
또, 데이터베이스에 다수의 다른 보관장소에 보관되어 있는 부품을 등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신에 제공해야 할 대체품을 추출할 때에는 부품이 어느 보관장소에 보관되어 있는가에 따라 대신에 제공할 대체품을 추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 고객이 보유하는 예비품의 재고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고객측 예비품 데이터베이스를 감시하고, 통상시에 적어도 소정수의 예비품을 고객이 보유하도록 관리해도 된다.
또, 데이터베이스의 재고정보에 따라 공급가능한 부품이 소정수가 되도록 관리해도 된다.
또, 미리 다수의 고객과 개발비 부담의 계약을 설정해 두고, 제조가 되어 있지 않은 부품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개발비에 따라 제공해야 할 부품의 개발을 실시하도록 촉진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이 실시의 형태 1의 부품(예비품) 제공시스템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15는 예비품을 보관하는 예비품 재고, 16은 예비품 재고(15)에 보관되어 있는 예비품(대체품)을 고객에게 발송하는 대체품 발송 업무부문, 17은 고객(2), (3)과의 계약업무를 하는 계약 업무부문이다. 또, 28, 38은 메이커(1)와의 계약업무를 하는 계약 업무부문이다. 또, 도면중 점선의 화살표는 정보의 흐름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 메이커(1)는 도 10에 표시한 것과 같이 플랜트 설비 또는 그것을 구성하는 제품을 제조하는 생산 업무부문(12)을 소유하고, 이 생산 업무부문(12)에서 제조된 제품이 제품 재고(14)에 보관되고, 판매되도록 되어 있다. 또, 고장제품을 수리하는 수리 업무부문(13)을 소유하고, 이 수리 업무부문(13)에서 수리된 제품이 예비품 재고(15)에 보관되고, 재이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메이커(1)의 고객 (2),(3)은 도 10에 표시한 것과 같이 플랜트 설비(26),(36)를 소유하고, 그 플랜트 설비(26),(36)의 제품의 예비품을 예비품 재고(27),(37)에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
이같은 계약, 수리, 예비품 관리, 대체품 발송업무, 생산, 제품관리 등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서 각 단말과 접속된 서버 컴퓨터로 관리되어 있고, 이하에 설명하는 수법으로 메이커(1)에서 고객(2),(3)에게 부품의 제공이 된다. 또, 특히 서버 컴퓨터에서의 관리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각 단말에서 각각 처리를 하도록 해도 된다.
도 2는 도 1에 표시한 부품(예비품) 제공시스템의 요부를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4는 메이커(1)가 보유하는 서버 컴퓨터, 5, 6은 메이커(1)의 고객 (2),(3)이 보유하는 컴퓨터로, 각 컴퓨터(5),(6)와 서버 컴퓨터(4)는 통신매체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41은 서버 컴퓨터(4)의 입출력처리를 하는 입출력부, 42는 데이터처리 등을 실시하는 처리부, 43은 처리부(42)에서 처리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기억부, 44는 판매용으로 제조된 플랜트 설비 부품의 재고상태나 제조된 플랜트 설비의 정보가 저장된 재고 데이터베이스(이하, 재고 DB라 한다), 45는 고장제품을 수리하였으나 재고상태나 그 수리품의 정보가 저장된 예비품 데이터베이스(이하, 예비품 DB라 한다), 46은 고객(2),(3)과의 계약정보(계약내용 등)가 저장된 계약 데이터베이스(이하, 계약 DB라 한다)이다.
51은 컴퓨터(5)의 입출력처리를 하는 입출력부, 52는 데이터처리 등을 하는 처리부, 53은 메이커(1)와의 계약정보(계약내용 등)와 처리부(52)에서 처리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기억부, 54는 고객(2)이 보유하는 플랜트 설비(26)의 예비품의 재고상태나 보관되어 있는 예비품의 정보가 저장된 예비품 데이터베이스(이하, 예비품 DB라 한다)이다. 또, 컴퓨터(6)도 컴퓨터(5)와 같이 입출력부(61), 처리부 (62), 기억부(63), 예비품 DB(64)를 가지고 있다.
도 3은 도 2에 표시한 컴퓨터(4)의 재고 DB(44)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재고 DB(44)에는 메이커(1)가 제조한 제품정보(기종명 등), 제조된 기종의 수, 현재 제조되고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도 4는 도 2에 표시한 컴퓨터(4)의 예비품 DB(45)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수리품의 제품정보(기종명 등), 수리가 완료된 제품의 수, 수리중(수리전)의 제품의 수, 현재 수리품이 메이커(또는 다른 제조 메이커)에서 제조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도 5는 도 2에 표시한 컴퓨터(4)의 계약 DB(46)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계약을 맺은 고객의 고객명, 고객을 식별하는 고객 식별정보, 그리고, 계약을 맺은 고객과의 계약내용, 예를 들면, 계약기간, 보충대상(공급대상)이 되는 플랜트 설비의 제품정보(기종명 등), 고객에게 예비품을 제공할 때까지의 제공기한(허용기간), 고장제품에 대해 고장해석보고서의 제출이 필요한지의 여부 등이 저장되어 있다.
다음, 이 실시의 형태 1의 부품(예비품)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이 실시의 형태 1의 부품(예비품) 제공방법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메이커(1)와 고객(2),(3)과의 사이에서 부품(예비품) 제공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고, 이 계약사항, 예를 들면, 취급하는 예비품의 품목, 계약기간, 지불방법(계약품목수에 따라 연회비를 지불하는 등), 예비품의 제공기한(허용기간),고장수리품의 고장해석보고서 제시의 유무 등을 계약 DB(46)에 저장한다(Step11, Step21).
여기서, 예비품 제공기한(허용기간)은 고객보다 수리요구(예비품 보충요구)를 받고서 예비품을 제공할 때까지의 허용기간에서, 예를 들면, 고객의 설비 사용품목의 고장이 발생한 후 고객으로부터의 고장발생 연락시점에서 고객에게 수리대처품 또는 동작 정상품의 대체품을 공급할 때까지의 기간이다.
또, 이 계약시에는 예비품 서비스를 받는 품목수와 계약기간의 길이에 따른 계약금을 고객이 메이커에 지불하도록 하고, 고객이 보충할 때마다 지불을 해야 한다는 번거러움을 없이 하여도 된다. 또, 고장에 대한 수리보고서는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원칙 발행하지 않도록 하고, 고객이 지불하는 비용을 삭감해도 된다.
또, 고객(2)측에서는 고객(2)이 보유하는 플랜트 설비(26)의 고장시나 정기 교환시와 같이 플랜트 설비(26)의 예비품이 필요한 경우에는 고객(2)은 각 제품의 고장표시 등에 의해 고장부위를 특정하거나 해서 수리나 교환이 필요한 부품을 추출하고, 그 부품에 관한 정보(품목 등)를 입출력부(51)를 통해서 입력한다. 그리고, 그 고객(2)이 보유하는 예비품 DB(54)를 검색하고, 필요한 예비품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tep22).
필요한 예비품이 예비품 재고(27)에 있는 경우에는 예비품 재고(27)의 예비품을 사용하는 동시에 금후를 위해 예비품 재고(27)에 예비품을 보충할 필요가 있는지 결정하고(Step23), 보충의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예비품에 대한 예비품 보충의 요구를 메이커(1)에 연락한다.
또, Step22에서 필요한 예비품이 없는 경우에는 그 필요한 예비품에 대한 예비품 보충의 요구를 메이커(1)에 연락한다. 또, 이 예비품 보충의 요구와 평행해서 고객(2)은 고장난 제품 또는 교환된 부품을 수리요구와 동시에 메이커(1)에 송부한다(Step24).
한편, 메이커(1)측에서는 입출력부(41)를 통해서 고객으로부터 예비품 보충의 요구 및 예비품의 수리요구를 받으면(STEP12), 계약 DB(46)의 고객명 및 고객 식별정보를 사용해서 그 고객이 계약하고 있는 고객인가의 식별을 한다(Step13). 계약한 고객인 경우에는 예비품 보충의 요구를 받은 예비품이 그 고객이 계약하고 있는 제품에 포함되는가를 판단하고,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를 중지한다.
포함되는 경우에는 메이커(1)측에서는 고객(2)으로부터 송부된 수리부품의 수리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tep14), 수리가 가능한 경우에는 그 수리기간을 산정하는 동시에(Step15), 계약 DB(46)에 따라 계약시에 설정한 그 예비품의 제공기한을 검색한다(Step16). 또, 동시에 수리 업무부문(13)에서 수리품의 수리도 실시한다.
그리고, 이 산정한 수리기간이 계약 DB(46)에서 검색한 예비품의 제공기한보다 긴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tep17). 또, 수리기간의 산정은 필요한 정보를 입출력부(41)에서 입력하고, 이들의 정보에 따라 처리부(42)에서 산출하면 된다.
수리기간이 제공기한보다 짧은 경우에는 제공기한내에 수리를 완료해서 수리품을 납부할 수 있으므로 수리품을 납부하는 내용의 정보를 출력한다. 이 시점에서 고객(2)에 그 뜻을 연락해도 되고, 이 시점에서는 고객(2)에게의 연락은 하지 않고 수리품의 완료후에 고객에게 연락하고, 아울러 수리품을 납부하도록 해도 된다 (Step18).
역으로, 수리기간이 제공기한보다 긴 경우에는 제공기간내에 수리를 완료할 수가 없고, 수리품의 납부는 불가능하므로 필요한 예비품의 대체품을 재고 DB(44), 예비품 DB(45)에서 검색해서 제공해야 할 대체품을 결정하고, 그 대체품을 제공하는 내용의 출력을 한다. 그리고, 고객(2)에 대해서도 대체품을 제공하는 뜻의 출력을 하고, 아울러 대체품을 납부한다(Step19).
또, 먼저 수리를 하고, 제공기한일이 다가와 수리품을 납부하던가 대체품을 납부하는가를 판단해도 된다. 이 경우 제공기한 가까이 되어도 수리품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는 수리대체품 발송지령을 자동적으로 출력시키도록 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공 1일전에 발송부문에 발송주의 MAIL 등을 자동 발효하도록 하면 된다.
또, 제공기한내에 수리가 불가능한 부품에 대해서도 수리를 하고, 수리완료품을 예비품 재고(15)에 보관해서 그 관리정보 등을 예비품 DB(45)에 입력해서 관리한다. 예비품 재고(15)에 보관하는 예비품은 고객으로부터 수리의뢰가 있었던 것에 한하지 않고, 별도 수리한 것이나 판매시로부터 소정기간 경과한 제품 등, 중고품을 포함해서 재이용가능한 것이면 된다.
이와 같이 해서 메이커(1)에서 보충된 예비품은 고객(2)측의 예비품 재고 (27)에 수납되고, 또는 필요하면 다시 이용된다.
또, 메이커(1)는 고장 등의 원인구명을 실시하고, 필요하면 그 결과를 고객에게 전달하도록 해도 되고, 또, 재고상황을 관리하고 있는 재고 DB(44), 예비품 DB(45)를 근원으로 재고품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는 보수재고용 제품수배의 기동을 발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대체품을 고객에게 제공하도록 하고 있으나, 고장품의 수리가 완료되면, 이 완료된 수리품과 먼저 제공한 대체품을 교환하는 것을 촉진하는 출력을 컴퓨터에 시켜 수리완료후에 대체품과 수리품을 교환하도록 해도 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고객에게 부품을 제공할 때까지의 허용기간을 설정해 두고, 고객으로부터 부품의 수리요구를 받았을 때에 그 부품에 대한 허용기간을 검색해서 허용기간내에 부품의 수리가 가능한가를 판단하고, 불가능한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신에 제공해야 할 대체품을 추출해서 이 대체품을 고객에게 제공하도록 촉진하고 있으므로 고객에게 요망하는 기한(허용기간)내에 반드시 필요한 부품(수리품이나 대체품)을 제공할 수가 있고, 신속하게 부품(예비품)의 보충이 실현된다.
또, 예비품 데이터베이스에 수리가 완료된 플랜트 설비의 부품을 대체품으로 등록시켜 이 등록된 수리완료부품을 대체품으로 함으로서, 신규 제품을 제작하는 것은 아니고, 한번 이용된 부품을 재이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유한한 자원을 유효하게 활용하고, 지구환경에 좋은 부품 제공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 생산 계속이 곤란해진 제품이라도 재이용에 의해 제공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실시의 형태 1에서는 메이커가 제공기한(허용기간)내에 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 대체품을 고객에게 제공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 실시의 형태 2에서는 고객으로부터 예비품의 수리요구(예비품 보충의 요구)를 받았을 때에 예비품의 대체품을 고객에게 제공하도록 촉진하고, 예비품의 수리가 완료된 후 수리가 완료된 예비품을 그 대체품과 대체하도록 촉진하는 것이다.
또, 부품(예비품) 제공시스템에 관해서는 실시의 형태 1과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이 실시의 형태 2에서는 메이커의 예비품 DB의 제공기한(허용기간)의 정보는 특히 필요하지 않다.
다음, 이 실시의 형태 2의 부품(예비품)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이 실시의 형태 2의 부품(예비품) 제공방법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해서 Step11, Step21 ~ Step24, Step12, Step13의 처리가 된다.
단, 실시의 형태 1과는 달리 Step11, Step21에서의 계약처리시에는 제공기한의 설정은 하지 않고, 그 대신에 메이커(1)가 고객(2),(3)에게 수리품의 완료까지의 사이 대출품을 제공하는 것의 계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이렇게 해서, 메이커(1)측에서 고객(2),(3)측으로부터의 예비품 보충요구 및 수리의뢰를 접수하고, 그 고객의 식별처리가 되면, 메이커(1)측의 예비품 DB(45)에 따라 제공해야 할 예비품을 추출한다(Step31). 그리고, 이 추출된 예비품을 고객에게 제공하도록 출력하고, 고객에게 연락하는 동시에 이 예비품을 대체품으로서 고객에게 대출한다(Step32).
이에 따라 메이커(1)측에서는 수리 업무부문(13)에서 고객으로부터 송부된 고장품의 원인조사를 하는 동시에 수리를 한다. 그리고, 수리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서(Step33), 완료된 경우에는 그 수리품을 고객에게 반환하고 먼저 대출한 대체품과 대체하는 내용의 출력을 한다. 그리고, 이것을 고객에게 연락하는 동시에 고객에게 수리품을 반환한다(Step34).
한편, 고객측에서는 메이커(1)에서 수리품을 수취한 후 대체품의 반환수속을 하고, 대체품을 메이커(1)에 반환한다(Step41).
고객측에서 대체품이 반환되면, 메이커(1)측에서는 반환된 대체품을 예비품 재고(15)에 보관하는 동시에 그 정보를 예비품 DB(45)에 등록하고 예비품 DB(45)의 갱신을 한다. 이와 같이 대체품의 상황을 예비품 DB(45)로 관리하고 있으므로 재고상황이 확인된다. 또, 수리불가품 증가 등에 의해 재고품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는 보수재고용 제품수배의 기동을 발행하고, 예비품의 보충 등을 해서 그 개수를 제어한다. 이로써, 다음 번의 고객으로부터의 요망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 메이커(1)측에서 고장품의 수리대응후 고장부위의 규모 또는 손상정도로부터 재생품으로 부적당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고객에게 부품(예비품)의 구입을 촉진하는 내용의 출력을 하고, 그 취지를 고객에게 연락하고, 고장 해당품의 신품 구입을 의뢰한다. 이 신품이 고객에게 공급된 시점에서 메이커(1)로부터의 대체품을 반환한다. 이 경우의 신품 구입은 별도 비용을 청구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고객으로부터 부품의 수리요구(부품의 보충요구)를 받았을 때에 재고정보를 보유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신에 제공해야 할 대체품을 추출해서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도록 촉진하고, 부품의 수리가 완료된 후 수리가 완료된 부품과 대체품을 대체하도록 촉진하고 있으므로 부품(예비품)의 보충을 신속하게 실현할 수가 있다.
또, 실시의 형태 1의 경우와 다르고, 수리블능인 경우를 빼고 고장제품이 반드시 고객에게 반환되므로 부정 중고품(어느 고객에게서 어떤 고장으로 이전 트래블이 생겼는지 불명한 중고품)이 아닌 것이 공급되므로 고객에게 안심감을 줄 수가 있다.
또, 예비품 데이터베이스에 수리가 완료된 플랜트 설비의 부품을 대체품으로 등록시켜 이 등록된 수리완료 부품을 대체품으로 함으로서, 신규 제품을 제작하는 것은 아니고, 한번 이용된 부품을 다시 이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한계가 있는 자원을 유효하게 활용하고, 지구환경에 좋은 부품 제공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 생산 계속이 곤란해진 제품이라도 재이용에 의해 제공할 수가 있다.
또, 부품(예비품)의 수리가 곤란한 경우에는 고객에게 부품(예비품)의 구입을 촉진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부품이 수리불능의 경우라도 부정 중고품이 고객에게 제공되는 일이 없게 된다.
실시의 형태 3.
실시의 형태 1, 2에서는 메이커의 예비품 DB에 등록되는 예비품은 메이커가 보유하는 예비품 재고에 저장된 것이나,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예비품 DB에는 다수의 다른 보관장소에 보관되어 있는 부품을 등록하도록 하고, 대체품을 추출할 때에는 부품이 어느 보관장소에 보관되어 있는가도 고려해서 대체품을 추출하도록 한 것이다. 또, 기타는 실시의 형태 1, 2와 같다.
도 8은 이 실시의 형태 3의 부품(예비품) 제공시스템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7, 8은 메이커(1)의 시설과는 다른 장소에 설치된 예비품 보관 재고장소 (이하, 새털라이트(Satellite)라 한다)에서, 이 새털라이트(7),(8)에는 예비품을 보관하는 예비품 재고(71),(81)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 예비품 재고(71),(81)는 이 예비품 재고(71),(81)의 재고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예비품 데이터베이스(도시 않음)를 갖는 단말에 의해 관리되어 있다. 이 단말과 메이커(1)가 갖는 컴퓨터(4)와는 통신매체(Web이나 전화회선 등)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 기타는 도 1에 표시한 것과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메이커(1), 고객(2),(3)은 실시의 형태 1, 2와 같이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은 각 컴퓨터 (4),(5),(6)를 각각 갖는다.
도 9는 메이커(1)의 컴퓨터(4)가 갖는 예비품 DB(45)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의 형태 3의 예비품 DB(45)에서는 도 4에 표시한 것에 더해서 그 예비품이 보관된 재고장소가 각 예비품에 대해 등록되어 있다. 또, 재고장소의 위치정보나 재고정보는 별도 기억되어 있고, 메이커(1)의 서버 컴퓨터(4)에서 판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기타는 도 4에 표시한 것과 같다.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메이커(1)가 고객(2),(3)에게 제공하는 예비품을 결정할 때에 제공하는 고객의 위치(시설의 위치) 등을 고려해서 어느 예비품 보관 재고에 보관되어 있는 예비품을 제공하는 것이 좋은가를 판단해서 제공하는 예비품을 결정하도록 한다.
예비품의 결정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고객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예비품 재고의 예비품으로 결정하거나, 고객에게 가장 빨리 예비품을 공급할 수 있는 예비품 재고의 예비품으로 결정하면 된다. 또, 예비품 재고에 저장되어 있는 예비품의 개수에 따라 결정해도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해서 결정된 예비품을 고객에게 제공하도록 각 새털라이트에 지시하고, 이 새털라이트의 예비품 재고에서 예비품을 고객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또, 기타는 실시의 형태 1, 2와 같게 하면 된다.
또, 메이커(1)는 새털라이트(7),(8)의 예비품 보관 재고관리를 철저하게 실시하고, 고객에 대해 새털라이트로부터 대체품을 송부했을 때는 새털라이트(7),(8)측으로부터 메이커(1)측에 대해 수리 대체품 출하를 통지하고, 보충요구를 내도록 한다. 메이커(1)는 이 타이밍에서 해당품을 새털라이트에 보충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다음의 고객에서의 고장발생에 대비할 수가 있다.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재고 데이터베이스(예비품 DB)에 다수의 다른 보관장소에 보관되어 있는 예비품을 등록하고, 고객으로부터 예비품 보충의 요구를 받았을 때에 어느 보관장소에 보관되어 있는 부품을 고객에게 제공하는가 결정하고, 그 보관장소에 보관되어 있는 부품을 고객에게 제공하도록 촉진시키고 있으므로 다수의 보관장소에 보관되어 있는 부품(예비품)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가 있다. 이 결과, 지리적인 문제에서 메이커로부터 곧바로 소정시간내에 공급할 수 없는 경우에도 새털라이트 장소의 예비품 보수 재고로부터 해당하는 수리 대체품을 공급할 수가 있고, 즉시 부품(예비품)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가 있다.
또, 고객에 의해 빨리 부품(예비품)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2시간 정도의 짧은 시간으로 고객에게 부품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결과, 고객측에서는 즉시 부품(예비품)의 공급을 받을 수 있으므로 고객측에서 예비품을 많이 보관해둘 필요가 없고, 또, 예비품의 품목에 의하면 특히 고객측에서 보관해둘 필요가 없게 된다.
실시의 형태 4.
실시의 형태 1 ~ 3에서는 고객측에서 예비품을 보관해두거나 안하거나는 임의였으나, 이 실시의 형태 4에서는 통상시에는 고객측에서 적어도 소정수의 예비품을 보관해 두도록 한 것이다.
실시의 형태 1 ~ 3에서의 메이커와 고객과의 계약설정처리시에 고객이 적어도 소정수의 예비품을 보관해두는 것을 계약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고객과 메이커간을 Web 또는 전화회선 등의 통신매체로 접속하고, 고객 보관 재고내용을 메이커측에서 확인하도록 하고, 고객측에서 메이커측과의 계약에 따라 적어도 소정수, 예를 들면, 1개 또는 2개의 예비품을 통상시에는 항상 보관하도록 하고, 이 재고상황을 관리하고 있는 고객의 예비품 DB를 메이커측에서 관리함으로서, 적어도 소정개수의 예비품이 고객측에 존재하도록 한다.
이 실시의 형태 4에서는 통상시에는 고객측에서 항상 소정수의 예비품을 보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메이커측에서 고객에게 예비품이 제공되기까지의 사이, 고객측에 보관되어 있는 예비품을 이용할 수가 있고, 설비의 운전을 계속시킬 수가 있다. 또는 중지기간을 극력 적게 할 수가 있다.
또, 각 고객이 적어도 소정수의 예비품을 가짐으로서, 메이커측의 예비품 보충요구가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메이커측의 예비품의 재고량을 일정하게 보존할 수가 있고, 고객에게 안심감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 각 고객이 각각 적어도 소정수의 예비품을 가지고 있으므로 메이커측에서의 생산종료제품에 대한 예비품 보수 또는 경제적 이유 등에 의해 지금 바로 시스템의 갱신이 곤란하고, 생산종료기종 시스템에 의한 시스템 갱신까지의 설비의 안정조업을 검토하고 있는 고객에 대해서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5.
이 실시의 형태 5는 실시의 형태 1 ~ 4의 부품(예비품) 제공방법에서, 메이커측이 예비품 재고의 재고관리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그 재고수를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메이커는 대체품(대출품)의 재고관리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수리불가 등에 의한 수량 감소에 대해 보충을 실시하고, 예비품 DB를 갱신한다. 또, 예비품 DB의 재고수에 따라 예비품 보충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적시 보충한다.
보충대응시 생산중지부품 등의 이유에서 대체품(대출품)의 제작이 곤란한 경우에는 신속하게 제품유지 개발에 대처한다. (이 경우는 개발비용은 계약체결 고객으로부터의 「연계약금」으로부터 충당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품목의 이용상황을 포함하여 대단히 특수한 품목에 관해서는 계약체결 고객에 대해 사정설명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 개발비의 징수를 실시한다.)
또, 미리 다수의 고객과 개발비 부담의 계약을 맺어 두고, 수리불가 등에 의해 예비품 재고내의 어느 예비품이 고갈하고, 그 생산중지부품 때문에 제작불가가 되는 등 제조되어 있지 않은 부품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에는 먼저의 계약에 의해 다수의 고객으로부터의 개발비에 따라 필요한 부품의 개발을 하는 것을 출력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재고 데이터베이스의 재고정보에 따라 공급가능한 예비품이 소정수가 되도록 상기 예비품을 관리함으로서, 고객으로부터 언제 보충요구가 있어도 바로 대체품을 공급할 수가 있다.
또, 생산중지부품 때문에 제작불가가 된 예비품에 대해 필요에 따라 계약 연회비로부터 개발비를 추출하는 것을 계약사항으로 해서 설정함으로서, 실제로 개발이 필요한 경우에는 계약 연회비에 의해 필요한 예비품을 개발해서 공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부품 제공방법은 플랜트 설비를 보유하는 고객에게 플랜트 설비의 부품을 제공하는 부품 제공방법에서, 고객에게 부품을 제공할 때까지의 허용기간을 설정해 두고, 상기 고객으로부터 부품의 수리요구를 받았을 때에 그 부품에 대한 상기 허용기간을 검색해서 상기 허용기간내에 상기 부품의 수리가 가능한가를 판단하고, 불가능한 경우에는 재고정보를 보유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신에 제공해야 할 대체품을 추출해서 이 대체품을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도록 촉진하므로 신속하게 필요한 부품의 보충을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부품 제공방법은 플랜트 설비를 보유하는 고객에게 플랜트 설비의 부품을 제공하는 부품 제공방법에서, 고객으로부터 부품의 수리요구를 받았을 때에 재고정보를 보유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신에 제공해야 할 대체품을 추출해서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도록 촉진하고, 상기 부품의 수리가 완료된 후 수리가 완료된 부품과 상기 대체품을 대체하도록 촉진하므로 신속하게 필요한 부품의 보충을 할 수가 있다.
또, 부품의 수리가 곤란한 경우에는 고객에게 부품의 구입을 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수리가 곤란한 경우라도 부정 중고품이 고객에게 제공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 데이터베이스에 수리가 완료된 플랜트 설비의 부품이 대체품으로서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리한 부품을 다시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데이터베이스에 다수의 다른 보관장소에 보관되어 있는 부품을 등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신에 제공해야 할 대체품을 추출할 때는 부품이 어느 보관장소에 보관되어 있는가에 따라 대신에 제공해야 할 대체품을 추출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보관장소에 보관되어 있는 예비품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가 있다.
또, 고객이 보유하는 예비품의 재고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고객측 예비품 데이터베이스를 감시하고, 통상시에 적어도 소정수의 예비품을 고객이 보유하도록 관리하는 경우에는 고객에게 예비품이 제공될 때까지의 사이, 고객측에 보관되어 있는 예비품을 이용할 수가 있고, 설비의 운전을 계속시킬 수가 있다. 또는 중지기간을 극력 적게 할 수가 있다.
또, 데이터베이스의 재고정보에 따라 공급가능한 부품이 소정수가 되도록 관리하는 경우에는 고객으로부터 언제 보충요구가 있어도 바로 대체품을 공급할 수가 있다.
또, 미리 다수의 고객과 개발비 부담의 계약을 설정해 두고, 제조가 되고 있지 않은 부품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개발비에 따라 제공해야 할 부품의 개발을 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한번 생산중지가 된 부품을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부품 제공시스템을 표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표시한 부품 제공시스템의 요부를 표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표시한 컴퓨터(4)의 재고 DB(44)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2에 표시한 컴퓨터(4)의 예비품 DB(45)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2에 표시한 컴퓨터(4)의 계약 DB(46)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예비품 제공방법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예비품 제공방법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부품 제공시스템을 표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8에 표시한 예비품 DB(45)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10은 종래의 플랜트 설비의 부품 제공방법을 표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랜트 설비 메이커, 2, 3 : 고객,
4 : 서버 컴퓨터, 5, 6 : 컴퓨터,
7, 8 : 예비품 보관 재고장소, 11 : 판매 업무부문,
12 : 생산 업무부문, 13 : 수리 업무부문,
14 : 제품 재고, 15 : 예비품 재고,
16 : 대체품 발송 업무부문, 17 : 계약 업무부문,
21, 31 : 재고관리 업무부문, 22, 32 : 정기점검 업무부문,
23, 33 : 고장복구 업무부문, 24, 34 : 구입 업무부문,
25, 35 : 고장품 송부 업무부문, 26, 36 : 플랜트 설비,
27, 37 : 예비품 재고, 28, 38 : 계약 업무부문,
41 : 입출력부, 42 : 처리부,
43 : 기억부, 44 : 재고 데이터베이스,
45 : 예비품 데이터베이스, 46 : 계약 데이터베이스,
51, 61 : 입출력부, 52, 62 : 처리부,
53, 63 : 기억부, 54, 64 : 예비품 데이터베이스,
71, 81 : 예비품 재고.

Claims (3)

  1. 컴퓨터 장치를 이용하여 플랜트 설비를 보유하는 고객에게 플랜트 설비의 부품을 제공하는 시스템에서의 부품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으로부터 부품의 수리요구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부품에 대해 미리 설정된 허용기간을 검색하고, 상기 부품의 수리기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허용기간과 상기 수리기간을 비교하여, 상기 허용기간 내에 상기 부품의 수리가 가능한지를 결정하는 단계;
    수리가 가능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부품의 수리의 지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수리가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되면, 재고정보를 보유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신에 제공해야 할 대체품을 검색하여 추출하고, 상기 대체품을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지시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제공방법.
  2. 컴퓨터 장치를 이용하여 플랜트 설비를 보유하는 고객에게 플랜트 설비의 부품을 제공하는 시스템에서의 부품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으로부터 부품의 수리요구를 입력받는 단계;
    재고정보를 보유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부품 대신에 제공해야 할 대체품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고객에게 상기 대체품을 제공하도록 하는 지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부품의 수리의 완료통지가 입력되면, 수리가 완료된 상기 부품과 상기 대체품을 교체하도록 하는 지시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제공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다수의 다른 보관장소에 보관되어 있는 부품이 등록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신에 제공해야 할 대체품을 추출할 때에는 부품이 어느 보관장소에 보관되어 있는가에 따라 상기 대체품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제공방법.
KR10-2002-0076935A 2001-12-11 2002-12-05 부품 제공방법 KR100486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77247A JP2003178152A (ja) 2001-12-11 2001-12-11 部品提供方法
JPJP-P-2001-00377247 2001-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765A KR20030047765A (ko) 2003-06-18
KR100486452B1 true KR100486452B1 (ko) 2005-04-29

Family

ID=19185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935A KR100486452B1 (ko) 2001-12-11 2002-12-05 부품 제공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178152A (ko)
KR (1) KR100486452B1 (ko)
CN (1) CN143295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1920A (ja) * 2005-07-04 2007-01-18 Alaxala Networks Corp 保守部品の配送管理
US7266518B2 (en) * 2005-12-29 2007-09-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pare parts inventory management
JP5708100B2 (ja) * 2011-03-18 2015-04-30 富士通株式会社 服購入支援装置、服購入支援方法および服購入支援プログラム
JP5872954B2 (ja) * 2012-04-26 2016-03-0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業務支援システムおよび業務支援システム
JP2020191025A (ja) * 2019-05-24 2020-1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予約権契約システムおよび予約権契約方法
CN111292478A (zh) * 2019-09-26 2020-06-16 付小龙 煤矿灯房自动值班式储物柜
JP7314384B1 (ja) 2022-12-12 2023-07-25 SOMPO Light Vortex株式会社 建物に関連する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そ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おいて実行され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2913A (ja) * 1993-05-18 1994-12-02 Sanyo Electric Co Ltd 部品検索システム
JPH09265490A (ja) * 1996-03-29 1997-10-07 Nec Corp 部品検索システム
JP2000181957A (ja) * 1998-12-15 2000-06-30 Pfu Ltd 予防保全システム
JP2001229189A (ja) * 2000-02-15 2001-08-24 Canon Inc 部品情報提供システム、部品情報提供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1265889A (ja) * 2000-03-17 2001-09-28 Toshiba Tec Corp 修理依頼対処方法及び修理依頼対処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2913A (ja) * 1993-05-18 1994-12-02 Sanyo Electric Co Ltd 部品検索システム
JPH09265490A (ja) * 1996-03-29 1997-10-07 Nec Corp 部品検索システム
JP2000181957A (ja) * 1998-12-15 2000-06-30 Pfu Ltd 予防保全システム
JP2001229189A (ja) * 2000-02-15 2001-08-24 Canon Inc 部品情報提供システム、部品情報提供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1265889A (ja) * 2000-03-17 2001-09-28 Toshiba Tec Corp 修理依頼対処方法及び修理依頼対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178152A (ja) 2003-06-27
CN1432957A (zh) 2003-07-30
KR20030047765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2863B2 (ja) 予備部品の在庫管理
AU2006315349B2 (en) Centralized management of maintenance and materials for commercial aircraft fleets with access to real-time information
Fortuin et al. Control of service parts
JP4503634B2 (ja) 整備、修理、又は解体検査環境における構成部品の準備又は配給
CN1924914B (zh) 在联盟组织中的组织之间追踪资产
US20050015273A1 (en) Warranty management and analysis system
AU2006315357B2 (en) Integrated materials management for commercial aircraft fleets including access to real-time on-board systems information
US20060085296A1 (en) Inventory modeling and management
Angel et al. Designing reverse logistics network in an omnichannel environment in Asia
KR100486452B1 (ko) 부품 제공방법
US200702997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lenishing rotable inventory
US20160328411A1 (en) Asset Intelligence Network
US20090112739A1 (en) Produ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JP7040270B2 (ja) 在庫管理装置、在庫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00205071A1 (en) Methods and systems of maintaining and monitoring vehicle tracking device inventories
JP2010134750A (ja) 在庫管理システム
US20050060243A1 (en) Method for managing tools in a power plant service environment
JP6894274B2 (ja) 予備品融通支援システム、予備品融通支援装置および予備品融通支援方法
US8285609B2 (en) Systems and methods to outsource service and support operations
KR102613362B1 (ko) 차량 부품 유통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030074270A1 (en) Computerize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regarding an order of goods
JP2015207086A (ja) 連結バリューチェーン支援システム及び連結バリューチェーン支援方法
JP2005196484A (ja) 生産管理システム
Diallo et al. Integrated spare parts management
JP2021033901A (ja) 部品手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