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308A -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308A
KR20180101308A KR1020180105409A KR20180105409A KR20180101308A KR 20180101308 A KR20180101308 A KR 20180101308A KR 1020180105409 A KR1020180105409 A KR 1020180105409A KR 20180105409 A KR20180105409 A KR 20180105409A KR 20180101308 A KR20180101308 A KR 20180101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
unloading
loading
cloud service
sid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
Original Assignee
(주)토탈소프트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탈소프트뱅크 filed Critical (주)토탈소프트뱅크
Publication of KR20180101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으로서, 선사측 단말기(110), 일등항해사측 단말기(120), 검수사측 단말기(130), 운영사 플래너측 단말기(140), 하역담당자측 단말기(150), 장비기사측 단말기(160) 및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170)로 구성된 적하계획을 수행하는 제 1 적하계획 수행 그룹(101); 상기 제 1 적하계획 수행 그룹(10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복수개의 적하계획 수행 그룹(102 ~ 105); 및 상기 제 1 적하계획 수행 그룹(101) 및 복수개의 적하계획 수행 그룹(102 ~ 105)으로부터 전달되는 적하계획을 취합 및 관리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하여, 각 항구별로 수행된 적하작업 계획 및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상호 공유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integratively loading plan using cloud service}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컨테이너 하역을 위해 필요한 적하계획 목록을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상호 공유하여, 컨테이너의 적하와 관련된 사용자측 단말기들이 소정의 적하계획을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사 소속의 선박은 여러 항구를 경유하는 항로를 기준으로 운항하여 컨테이너를 이송하고, 경유지 항구별로 소정의 주기로 운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선박을 선대로 구성하여 컨테이너 이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하나의 컨테이너 선박을 대상으로 하여, 선박이 경유하는 항구별로 컨테이너에 대한 선적예약, 입항신고, 선적계획, 화물신고, 검수, 하역 계획 및 실행 및 운송 등의 관련 서비스들이 제공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선사는 컨테이너 선박 대상으로 각 항구별 하역작업을 고려하여 적하계획을 수립하고, 검수사는 하역 계획 및 하역 작업에 대한 검수 활동을 수행하며, 운영사는 컨테이너 선박 대상에 대한 하역 작업계획을 수립한 후 하역 장비를 이용하여 해당 적하작업을 수행 및 관리하고, 하역된 컨테이너는 하주의 요청에 따라 운송사를 통해 배송된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 터미널을 이용하는 선사 및 운영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운영되는 별도의 시스템을 구성하여 적하계획을 운영하고, 검수사는 별도의 시스템을 운영하거나 선사 또는 운영사 시스템을 통해 출력한 문서를 기준으로 적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선사 소속의 '플래너'를 통해 각 항구별 수출입 화물을 고려하여 적하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정보를 일등항해사 및 운영사에게 전달한다.
'일등항해사'는 선박의 안전을 고려한 화물의 적.양하계획을 수립한다.
검수사의 '수석검수원'은 작업 전 선박회사가 세관에 신고한 목록과 본선 적부도와 상호 대조하여 상이한 경우 선박회사에 연락조치하고, 특수 화물에 대한 조치 계획을 수립하여 일등항해사의 검토를 통해 작업 계획을 확정한다.
해당 결과가 운영사 소속의 플래너에게 전달되고, 운영사/플래너가 하역장비 배정 및 하역작업 실행 순서를 계획한다.
해당 계획은 운영사소속의 하역 담당자 및 장비기사와 검수사 소속의 검수원에게 전달되어 하역 작업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는 운영사 및 검수사 담당자를 통해 작업 결과가 선사 및 관련 기관에 보고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적하계획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선사, 검수사 및 운영사가 각각 개별적으로 적하계획 시스템을 구성하고, 개별적으로 정보 생성 및 관리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상호 간에는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전자문서교환) 또는 기록매체를 적하계획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으로서, 각 적하계획 시스템 상호간 데이터 교환 및 작업중 계획변경과 같은 예외상황 발생시에는 실시간으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됨과 동시에 적하계획에 대한 작업의 지연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5707호(2008.07.0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9271호(2009.06.1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4331호(2009.08.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선박의 컨테이너 하역을 위해 필요한 적하계획 목록을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선사, 검수사 및 운영사측 단말기가 상호 공유하게 하여, 컨테이너의 적하와 관련된 사용자측 단말기들이 소정의 적하계획을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 및 다른 추가적인 목적들이,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들에게 명백히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은, 선사측 단말기(110), 일등항해사측 단말기(120), 검수사측 단말기(130), 운영사 플래너측 단말기(140), 하역담당자측 단말기(150), 장비기사측 단말기(160) 및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170)로 구성된 적하계획을 수행하는 제 1 적하계획 수행 그룹(101); 상기 제 1 적하계획 수행 그룹(10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복수개의 적하계획 수행 그룹(102 ~ 105); 및 상기 제 1 적하계획 수행 그룹(101) 및 복수개의 적하계획 수행 그룹(102 ~ 105)으로부터 전달되는 적하계획을 취합하고, 컨테이너의 적하와 관련된 소정의 적하계획을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각 항구별로 수행된 적하작업 계획 및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상호 공유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하는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으로서, (a) 선사측 단말기(110)로부터 선사 플래너가 컨테이너 운반 예약을 토대로 수립한 ‘하역계획’을 상기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에 등록받는 단계(S1); (b) 검수사측 단말기(130)으로부터 수석 검수원의 상기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에서의 하역 대상 특수 화물에 대한 검토, 수정을 입력받는 단계(S2); (c) 일등항해사측 단말기(120)로부터, 상기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에서 선박의 운항 안정성 및 선적 위치 검토, 일등 항해사의 검토 결과를 입력받는 단계(S3); (f) 수석 검수원에 의해 확정된 ‘하역계획’을 상기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에 등록하는 단계(S6); (g) 상기 (f) 단계 이후, 운영사 플래너측 단말기(140)로부터 터미널 플래너에 의한 상기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 내 ‘하역계획’으로부터, ‘하역작업계획’을 수립하고 등록하는 단계(S7); (h) 하역담당자측 단말기(150)에 대해, 하역 담당자들과 장비 기사들로 하여금 터미널운영시스템(TOS)을 이용하여 ‘하역작업계획’을 기준으로 하역 작업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8); (i)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170)로 하여금, 검수원들에 의해 하역되는 개별 컨테이너에 대해 검수 활동 수행, 개별 ‘하역작업결과’를 상기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에 등록하도록 지원하고, 이를 상기 검수사측 단말기(130)로 통보하는 단계(S9); 및 (j)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170)에 대해, 수석 검수원에 의한 ‘하역작업결과’를 취합, 정리한 결과를 상기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에 등록하도록 지원하고, 이를 상기 일등항해사측 단말기(120) 및 선사측 단말기(110)에게 통보하는 단계(S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에 따르면, 선박의 컨테이너 하역을 위해 필요한 적하계획 목록을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선사, 검수사 및 운영사측 단말기가 상호 공유하게 하여, 컨테이너의 적하와 관련된 사용자측 단말기들이 소정의 적하계획을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하계획 수행에 따른 작업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히 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컨테이너 터미널의 적하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상기 도 1의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에 따른 적하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에 따른 하역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의 통합 운영에 대한 일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기존 시스템과 본 발명의 시스템의 차이점을 대비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면들 중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며,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실시 형태들은 예시로서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상세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및 동등물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로 변경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에 따른 적하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에 따른 하역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의 통합 운영에 대한 일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기존 시스템과 본 발명의 시스템의 차이점을 대비하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은, 선사측 단말기(110), 일등항해사측 단말기(120), 검수사측 단말기(130), 운영사 플래너측 단말기(140), 하역담당자측 단말기(150), 장비기사측 단말기(160),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170) 및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사측 단말기(110)는 선사 소속의 플래너를 통해 각 항구별 수출입 화물을 고려하여 적하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정보를 일등항해사측 단말기(120) 및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에 전달한다.
상기 일등항해사측 단말기(120)는 선박의 안전을 고려한 화물의 양적하 계획을 수립하여 검수사측 단말기(130) 및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에 전달한다.
상기 검수사측 단말기(130)는 양적하 작업 전 선박회사가 세관에 신고한 목록과 본선 적부도와 상호 대조하여 상이한 경우 선박회사에 연락조치하고, 특수 화물에 대한 작업 계획을 수립하여 운영사 플래너측 단말기(140) 및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에 전달한다.
상기 운영사 플래너측 단말기(140)는 하역장비 배정 및 하역작업 실행 순서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여 하역담당자측 단말기(150) 및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에 전달한다.
상기 하역담당자측 단말기(150)는 상기 운영사 플래너측 단말기(140)로부터 전달되는 계획에 따라 적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적하 작업 수행에 따른 정보를 장비기사측 단말기(160) 및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에 전달한다.
상기 장비기사측 단말기(160)는 상기 하역담당자측 단말기(150)로부터 전달되는 적하작업을 수행하고, 그 수행 결과를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170) 및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에 전달한다.
상기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170)는 상기 장비기사측 단말기(160)로부터 전달되는 적하작업의 일치 여부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고, 수행된 검사 결과를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에 전달하여, 선사 및 관련 기관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는 상술한 선사측 단말기(110), 일등항해사측 단말기(120), 검수사측 단말기(130), 운영사 플래너측 단말기(140), 하역담당자측 단말기(150), 장비기사측 단말기(160) 및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170)로부터 전달되는 적하계획을 취합하고, 컨테이너의 적하와 관련된 단말기들이 소정의 적하계획을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각 항구별로 수행된 적하작업 계획 및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상호 공유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선사측 단말기(110), 일등항해사측 단말기(120), 검수사측 단말기(130), 운영사 플래너측 단말기(140), 하역담당자측 단말기(150), 장비기사측 단말기(160) 및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170)를 제 1 적하계획 수행 그룹(101)으로 구성하면, 상기 제 1 적하계획 수행 그룹(101)과 동일한 적하작업 계획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다른 적하계획 수행 그룹(102, 103, 104, 105)을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가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술한 선사측 단말기(110), 일등항해사측 단말기(120), 검수사측 단말기(130), 운영사 플래너측 단말기(140), 하역담당자측 단말기(150), 장비기사측 단말기(160) 및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170)가 각각, 선사 플래너, 일등항해사, 수석 검수원, 터미널 플래너, 하역담당자, 장비기사 및 검수원과 동일한 의미로 혼용되어 사용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을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기존의 터미널운영시스템(TOS)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하역계획시스템(SPS)을 확대발전시킨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를 이용한 ‘하역계획' 작성/검토로부터 ‘하역작업계획’ 작성/이행/보고 절차까지를 설명하면,
1. 선사 플래너가 ‘하역계획’을 수립하고, SPCS에 등록(저장)한다.
2. 수석 검수원이 SPCS로부터 ‘하역계획’ 확인하여, 특수 화물에 대한 검토 및 수정 보완을 행하며,
3. 수석 검수원이, 일등 항해사로부터 온라인 상으로, ‘하역계획‘ 검토를 받고, 이를 확정한다.
4. 수석 검수원이 확정된 ‘하역계획’을 등록(저장) 한다.
5. 터미널 플래너가 ‘하역계획’을 토대로 ‘하역작업계획’을 수립하고 SPCS에 등록(저장) 한다.
6. ‘하역작업계획’을 기준으로 하역 담당자들과 장비 기사들이 하역작업(양하, 적하, 환적, 이적, 등)을 수행하고, 검수원들이 검수 활동을 이행 (단, 터미널 내 자체 보고, 등 설명 생략) 한다.
7. 개별 검수원들이 현장에서 확인한 ‘하역작업결과’를 등록(저장)을 통해 수석 검수원에게 보고(통지) 하고,
8. 수석 검수원은 ‘하역작업결과’를 취합하여 등록(저장), 일등 항해사 및 선사 플래너에게 보고(통지) 한다.
그리고, 위 작업은 선박이 입항하는 항구(예: 오사카항 - 부산항 - 카우슝항 - …, 등)에서 입항 전부터 출항 후까지 반복 수행되는 활동이다.
계속해서, 도 3c를 참조하면, 이러한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를 이용한 ‘하역계획‘ 작성, 검토, 검수 및 보고 절차를 다시 설명하면,
1. 선사 플래너가 컨테이너 운반 예약을 토대로 수립한 ‘하역계획’을 SPCS에 등록(저장)하여 두었을 때(S1), 이를 토대로,
2. 수석 검수원으로부터, SPCS에서의 하역 대상 특수 화물에 대한 검토, 수정을 입력받고(S2),
3. 일등 항해사로부터, SPCS에서 선박의 운항 안정성 및 선적 위치 검토, 일등 항해사의 검토 결과를 입력받아(S3), 이에 따라, 적재 위치 조정, 선적 취소, 등의 조치를 취하는바,
먼저, 적재 위치 조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검토하여(S4),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S2 단계로 리턴하며, 그렇지 않다고 판단되면, 선적 불가 화물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5),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S1 단계로 리턴하며, 그렇지 않다고 판단되면,
4. 수석 검수원에 의해 확정된 ‘하역계획’을 SPCS에 등록(저장) 한다(S6).
5. 이후, 터미널 플래너에 의한 SPCS 내 ‘하역계획’으로 부터, ‘하역작업계획’을 수립하고 등록(저장)하고(S7),
6. 하역 담당자들과 장비 기사들로 하여금, TOS를 이용하여 ‘하역작업계획’을 기준으로 하역 작업 수행하도록 지원한다(S8).
7. 이때, 검수원들에 의해, 하역되는 개별 컨테이너에 대해 검수 활동 수행, 개별 ‘하역작업결과’를 SPCS에 등록(저장) 하게 되며(S9),
8. 수석 검수원에 의해, ‘하역작업결과’를 취합, 정리한 결과를 SPCS에 등록(저장) 하게 된다(S10).
물론, 위 작업 역시, 선박이 입항하는 항구(예: 오사카항-부산항-카우슝항- …, 등)에서 입항 전부터 출항 후까지 반복 수행되는 활동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의 특징을 기존의 방식과 대비하여 설명한다.
기존 방식은 선사, 검수사 및 운영사 개별적으로 시스템이 구성되어 개별적으로 정보 생성 및 관리 활동이 이뤄 졌고, 상호 간에는 EDI 또는 기록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였는바, 상호간 데이터 교환 및 작업 중 계획 변경과 같은 예외사항 발생 시 즉각적으로 조치되지 않고 작업 지연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으나,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개별 시스템을 단일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각 항구의 하역작업에 초점을 두고 관련 시스템을 구성하며, 또한, 각 항구별로 필요한 시스템을 통합하여 글로벌 서비스로 구성하여 각 항구별로 수행하여 하역작업 계획 및 수행에 따른 경험을 상호 공유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역계획 수립 과정에 있어서, 1) 종래 시스템은, 경유지마다 플래너들이 별도 하역 작업 계획 수립하여야 하나, 본 발명은, 공통적인 작업 계획 활용 및 특수한 계획만 수립하면 된다. 2) 실시간 정보 공유에 있어서는, 종래기술은 EDI, 메일 형태로 전달되나, 본 발명은, 선박 구조 정보, 하역작업 계획 정보 등을 공유한다. 3) 서비스 형태에 있어서, 종래기술은, Stand alone 솔루션 방식이나.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비스 + 솔루션 방식이다. 4) 더욱이, 본 발명은, 정보 전달 행위가 없어지면서, 실시간 정보 갱신 및 공유가 가능하게 되고, 계획수립 경험의 공유 및 일괄적인 작업 품질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개별 선사, 운영사, 검수사가 필요한 적하계획 시스템 통합 서비스를 통해 작업 효율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상호간 데이터 교환 및 작업 중 계획 변경과 같은 예외사항 발생시 즉각적으로 조치가 용이하고, 각 항구 별로 필요한 시스템을 통합하여 글로벌 서비스로 구성하고, 각 항구별로 수행하여 하역작업 계획 및 수행에 따른 경험을 상호 공유함에 의해, 선박의 입항 직전 항구에서 하역작업 수행 중 발생된 예외사항에 대해서 확인하고 사전에 대응할 수 있어 작업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 선박 대상 "입항신고, 선적계획, 화물신고, 검수, 하역 계획"을 단일 플랫폼으로 구성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이 용이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나오는 용어에 대하여 간략히 정리해 보면, '본선적부도(Stowage Plan)'란, 본선의 선창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을 말하며, '적하목록(cargo manifest)'이란, 선박 또는 항공기에 적재한 화물의 목록을 말한다.
한편, '선사/플래너'란, 선박 운항사 소속의 하역계획 담당자이다.
'선박 항해사'란, '항해사' 및 '일등 항해사'를 포함하는바, '항해사'는, 선박의 안전을 고려한 화물의 적·양하 계획을 수립하고 충분한 복원력 및 선체강도의 확보를 고려한 적·양하 작업 및 이와 관련한 밸러스트(ballast: 배의 중심(重心)을 낮추어 복원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배 밑에 싣는 돌, 모래, 해수 등)작업을 감독하고, 화물의 고정상태를 점검한다. 유조선의 경우 오일기록부의 기록을 하기도 한다. 아울러, '일등 항해사'(Chief officer, C/O)는 갑판부의 책임자로 항해사 및 갑판부원의 지휘, 감독 및 선장을 보좌하고, 선장 부재시 그 직무를 대행하고, 선박에 승선한 선원 가운데 선장 다음으로 높은 지위의 간부선원. 선장을 보좌하고 선장의 명을 받아 선원을 지휘·통솔하며 갑판의 모든 업무를 관장하는 책임을 지며, 특히 화물의 인수·적재·보관 및 관리 등의 책임자인바, ⑴ 선박의 안전과 규율 및 위생관리 업무, ⑵ 화물의 적재계획 작성 및 하역감독, 화물의 안전 관리, ⑶ 갑판부원의 일과 지시 및 인사관리, ⑷ 선체 각부의 보존 정비 및 관리 감독, ⑸ 갑판부 서류의 작성 관리, ⑹ 식수, 밸러스트, 빌지의 운용 및 관리, ⑺ 출.입항시 선수부 작업 담당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수석 검수원'은, 컨테이너검사반장을 말하는바, '컨테이너 검사 반장 (수석 검수원)'은, 본선작업(선박을 접안시킨 상태에서 선박으로부터 직접 화물을 내리거나, 선박에 싣는 작업)을 위해 본선적부도(Stowage Plan : 본선의 선창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와 적하목록(Cargo Manifest, 積荷目錄 : 선박 또는 항공기가 적재하고 있는 화물의 목록)을 대조·확인하고, 작업일지를 작성하고 검수원들에게 검수작업을 지시하며, 컨테이너검수원이 작성한 검수표와 적하목록을 대조하여, 상이할 경우 하선·적재결과 이상보고서를 작성하고, 검사결과 이상보고서를 세관 및 선사에 송부하며, 컨테이너 파손보고서(Container Damage Report)를 작성하여 항해사와 협의하여 서명을 받는다. 혹은, 냉동컨테이너의 리스트를 작성하기도 한다.
'운영사 플래너'는 '양적화 플래너' 또는 '컨테이너플래너' 를 말하는바, 먼저, '양적화 플래너'는, "양화 및 적화 정보를 화주나 선사로부터 메일 또는 전자문서교환 등으로 접수, 양화 및 적화 프로파일을 검토하여 선사나 화주와 일정을 협의 조정, 양적화 컨테이너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 양화플래닝시스템에서 본선작업의 양화플래닝을 실시, 양화순서를 확인하고 특별사항이 있는지 확인 후 수정, 양하순서 내역을 출력하여 냉동, 특수화물, 위험물, 환적화물, 라인별 컨테이너 개수 등을 검토하여 수정, 양화 베이플랜을 작성, 최종 검토 확인된 양화 베이플랜, 작업순서, 작업내역을 출력, 양화작업서류를 정리하여 통제센터의 터미널운영요원에게 전달, 적화플래닝시스템에서 본선작업의 적화플래닝을 실시, 적화순서를 확인하고 특별사항이 있는지 확인후 수정, 적화순서 내역을 출력하여 냉동, 특수화물, 위험물, 환적화물의 개수 등을 검토하여 수정, 적화 베이플랜을 작성, 최종 검토 확인된 적화 베이플랜, 작업순서, 작업내역을 출력, 적하작업서류를 정리하여 통제센터의 터미널운영요원에게 전달, 및 본선작업이 시행되고 작업현장에서 병목현상이나 작업애로 등이 나타나면 선사 등과 협의하여 베이플랜을 수정후 통제센터의 터미널운영요원에게 다시 전달"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아울러, '컨테이너 플래너'는, "크레인 가동상황 등을 파악하여 선적 배정표를 작성, 선석을 배정하고 컨테이너기중기 배정시간을 조정, 선박의 입항시간 또는 작업예정물량의 변동 등이 발생되면 선석 배정 스케줄을 재조정, 양·적하작업계획을 수립, 모선 입항계획을 확인하고 선석이 확정된 선박에 대하여 선석 예정 물량표를 작성. 야드 상황을 감안한 본선하역작업이 될 수 있도록 모선별 세부장치계획을 수립, 및 선박점유율 및 체선 관련자료에 대한 통계를 관리"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하역담당자'는, '포맨', '언더맨', '신호수', '컨테이너장비배차원', '컨테이너부두상황실통제원', 등이 포함되는바, '포맨 (Fore man)'은, "화물의 양·적하 서류 내용을 검토하고 컨테이너화물 및 각종 특수화물에 대한 작업계획을 수립, 사고 예방을 위하여 언더맨 및 장비조작원에 대한 안전사항을 확인·교육, 해당 모선의 작업상태를 파악하고 본선 선체 및 각종 선상설비, 특수화물의 손상여부를 확인, 본선작업 설정에 맞도록 인원을 배치하여 작업을 진행·통제하고 관련 종사자들의 작업을 총괄 지휘"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작업 중에 발생하는 사고에 대하여 조치를 취한다.
'언더맨 (Under man)'은, "본선 작업내용을 검토·확인한 후 작업장의 안전사항을 점검, 화물을 일반화물, 특수화물을 분류하여 양·적하하도록 장비조작원들에게 작업을 지시, 손상된 화물은 조치를 취한 후 작업을 진행, 해당 장비조작원 및 터미널상황실통제원과 무선으로 연락을 취하며 작업상황을 주고받으며 작업, 포맨에게 작업상황에 대해 보고하고, 작업 종료 후 작업내용을 확인하고 작업일지를 작성" 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장비기사'는, '갠트리크레인조종원' 또는 '컨테이너기중기조작원'을 말하는바, '갠트리크레인조종원 (장비 기사)'은, "선적·하역할 컨테이너의 수량 및 규격을 확인,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기 위해 갠트리크레인의 조종장치를 조작, 신호수의 신호에 따라 기중기의 조정레버와 스위치를 조작하여 컨테이너를 선박에 선적하거나 차량에 적재, 사고예방을 위해 크레인을 점검하고 정비'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컨테이너기중기조작원'은, 선적·하역할 컨테이너의 수량 및 규격을 확인하고 조정장치를 조작하여 기중기를 선박의 갑판이나 차량 위로 내리고, "조정레버와 패널을 조작하여 선박으로부터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갑판 위나 차량으로 운반하고, 신호원의 신호에 따라 선적·하역할 장소에 기중기를 내리고 조정장치를 조작하여 컨테이너를 선박에 선적하거나 차량에 적재하며, 컨테이너를 부두에서 야적장으로 이동하는 차량인 리치스태커(Reach stacker)를 운전하기도 한다.
'검수원'은, '컨테이너검수원' 및 '본선컨테이너관리원'이 있으며, '컨테이너 검수원'은, "본선적부도(Stowage Plan)를 가지고 실제 컨테이너 적양하 위치를 확인, 양화 화물 위에 타 화물 적재 유무를 확인, 냉동화물에 플러그가 꽂혀 있는지 확인하고 온도측정기를 확인, 적부도상의 화물이 틀릴 경우 수석 검수원에게 보고, 육상의 야드 근무 시에는 컨테이너 번호, 봉인번호를 확인하여 검수표에 기록, 미봉인 발견 시 터미널과 화주 등에 보고하여 세관직원 입회 하에 재 봉인, 컨테이너 파손상태를 확인, 수입화물의 경우 적화목록에 따라 하역회사 입회 하에 봉인을 개봉하고 확인 절차에 따라 화물 상태의 이상 유무를 파악하여 검수표를 작성하며 손상이나 수량부족 등 이상이 있을 경우 세관과 선박회사에 보고, 수출화물의 경우 수출화물의 수량과 포장상태 및 이상 유무 또는 혼적화물을 파악하여 보고하고 사실증명을 검수표로 작성하여 보관"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본선 컨테이너 관리원 (하역 담당자)'은, 모선별 작업내용을 검토하고 운영계획원으로부터 각종 본선적부도(Stowage Plan : 본선의 선창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와 작업지시서 등 양하서류를 접수하고 서류의 내용을 검토하고 복사하여 배부, 작업 서류 내용과 실작업 컨테이너 수를 확인, 화물의 본선 위치변경, 규격 등 작업 내용이 상이한 사항을 정정, 양·적하된 컨테이너 수, 규격, 내용을 점검하고 위치를 전산입력, 추가 또는 선적 취소를 전산처리, 작업 상황 보고서 및 컨테이너 리스트를 작성, 선사와 작업 변경 및 선박스케줄 변경 등 필요사항을 협의, 작업종료 후 언더맨이 제출하는 서류 및 작업 수량의 내용을 확인하고 작업현황보고서를 작성"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이외에도, '신호수', '컨테이너장비배차원', '컨테이너부두상황실통제원' 등이 있는바, '신호수'는, 작업지시서 및 현장 공정(물류)을 숙지하여 작업순서 목록을 만들고, 이동할 화물의 종류와 무게, 위치, 이동경로, 이동 간 장애물의 유무를 확인, 화물의 구속을 확인하고, 장비와 화물의 종류에 따라 각종 장비운전원(언더맨, 신호수, 포맨, 컨테이너크레인 기사, 야드트랙터 기사)에게 무전과 깃발신호를 전달하여 화물의 이동을 돕기도 하며, 컨테이너크레인 주행시 레일선상의 장애물을 확인하여 주행신호를 보내고, 컨테이너크레인 밑의 차량정리를 하고 속도를 제한하기도 하며, 야드트랙터 기사에게 상하차 위치를 지정하고 출발신호를 전달하기도 한다.
'컨테이너장비배차원'은, 갠트리크레인, 트랜스퍼크레인, 리치스태커, 야드트랙터, 엠티핸들러 등의 컨테이너터미널 장비의 사용 요청에 따른 계획을 수립, 배차지시서를 작성하고 운전기록부를 관리, 장비의 사용 현황을 정리하고 장비 점검 및 예방 정비, 장비 배차 및 작업 통계를 유지하고, 장비 조작원의 업무상황을 파악, 장비조작원의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컨테이너부두상황실통제원(C/C:Control Center)'은, 당일 작업해야 할 작업량을 파악하고 반입컨테이너의 목록을 접수, 야드의 상황에 따라 운송업자, 선사와 협의하여 게이트 반출입을 통제, 컨테이너 작업현황을 컴퓨터를 통해 모니터링, 계획된 업무의 수행여부를 파악하고 차질이 있을 경우 대안을 마련, 포맨, 언더맨, 게이트관리원과 유·무선으로 연락하며 작업을 지시하고 상황을 전달, 장비 배차를 의뢰하고 작업변동 상황을 확인하여 장치위치를 수정"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01 ~ 105 : 제 1 ~ 제 5 적하계획 수행 그룹
110 : 선사측 단말기 120 : 일등항해사측 단말기
130 : 검수사측 단말기 140 : 운영사 플래너측 단말기
150 : 하역담당자측 단말기 160 : 장비기사측 단말기
170 :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 200 :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

Claims (1)

  1. 선사측 단말기(110), 일등항해사측 단말기(120), 검수사측 단말기(130), 운영사 플래너측 단말기(140), 하역담당자측 단말기(150), 장비기사측 단말기(160) 및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170)로 구성된 적하계획을 수행하는 제 1 적하계획 수행 그룹(101); 상기 제 1 적하계획 수행 그룹(10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복수개의 적하계획 수행 그룹(102 ~ 105); 및 상기 제 1 적하계획 수행 그룹(101) 및 복수개의 적하계획 수행 그룹(102 ~ 105)으로부터 전달되는 적하계획을 취합하고, 컨테이너의 적하와 관련된 소정의 적하계획을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각 항구별로 수행된 적하작업 계획 및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상호 공유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하는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으로서,
    (a) 선사측 단말기(110)로부터 선사 플래너가 컨테이너 운반 예약을 토대로 수립한 ‘하역계획’을 상기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에 등록받는 단계(S1);
    (b) 검수사측 단말기(130)으로부터 수석 검수원의 상기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에서의 하역 대상 특수 화물에 대한 검토, 수정을 입력받는 단계(S2);
    (c) 일등항해사측 단말기(120)로부터, 상기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에서 선박의 운항 안정성 및 선적 위치 검토, 일등 항해사의 검토 결과를 입력받는 단계(S3);
    (f) 수석 검수원에 의해 확정된 ‘하역계획’을 상기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에 등록하는 단계(S6);
    (g) 상기 (f) 단계 이후, 운영사 플래너측 단말기(140)로부터 터미널 플래너에 의한 상기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 내 ‘하역계획’으로부터, ‘하역작업계획’을 수립하고 등록하는 단계(S7);
    (h) 하역담당자측 단말기(150)에 대해, 하역 담당자들과 장비 기사들로 하여금 터미널운영시스템(TOS)을 이용하여 ‘하역작업계획’을 기준으로 하역 작업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8);
    (i)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170)로 하여금, 검수원들에 의해 하역되는 개별 컨테이너에 대해 검수 활동 수행, 개별 ‘하역작업결과’를 상기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에 등록하도록 지원하고, 이를 상기 검수사측 단말기(130)로 통보하는 단계(S9); 및
    (j)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170)에 대해, 수석 검수원에 의한 ‘하역작업결과’를 취합, 정리한 결과를 상기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에 등록하도록 지원하고, 이를 상기 일등항해사측 단말기(120) 및 선사측 단말기(110)에게 통보하는 단계(S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
KR1020180105409A 2014-12-19 2018-09-04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 KR201801013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255 2014-12-19
KR20140184255 2014-12-1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857A Division KR102061788B1 (ko) 2014-12-19 2015-12-17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308A true KR20180101308A (ko) 2018-09-12

Family

ID=563658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857A KR102061788B1 (ko) 2014-12-19 2015-12-17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
KR1020180105409A KR20180101308A (ko) 2014-12-19 2018-09-04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857A KR102061788B1 (ko) 2014-12-19 2015-12-17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0617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63800B (zh) * 2023-04-17 2024-02-23 天云融创数据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任务船舶确定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707B1 (ko) 2007-12-21 2008-07-10 주식회사 케이엘넷 컨테이너 터미널의 다중분산 작업계획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다중분산 작업계획 방법
KR20090059271A (ko) 2007-12-06 2009-06-11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해상화물 인도인수 전자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84331A (ko) 2008-02-01 2009-08-05 이찬호 택배사의 소요자재 거래 운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거래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9271A (ko) 2007-12-06 2009-06-11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해상화물 인도인수 전자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45707B1 (ko) 2007-12-21 2008-07-10 주식회사 케이엘넷 컨테이너 터미널의 다중분산 작업계획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다중분산 작업계획 방법
KR20090084331A (ko) 2008-02-01 2009-08-05 이찬호 택배사의 소요자재 거래 운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거래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355A (ko) 2016-06-29
KR102061788B1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832B1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
CN110598987A (zh) 一种基于无人驾驶的港口调度系统及方法
US11416794B2 (en) Equipment control system
Ottjes et al. Simulation of a multiterminal system for container handling
US20140278704A1 (en) System and method of shipping scheduling involving parallel port operations using prepositioned vessels
Gelareh et al. Scheduling of intelligent and autonomous vehicles under pairing/unpairing collaboration strategy in container terminals
CN109242379B (zh) 铁水联运铁路港湾站集装箱卸车和装车运输系统及方法
US20060251498A1 (en) System and process for improving container flow in a port facility
US201802299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automobiles at a distribution site
WO2017105069A1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및 적하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1523153A (ja) 車両の作業指示の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80101308A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
Merz et al. A gap analysis for automated cargo handling operations with geared vessels frequenting small sized ports
Hoff-Hoffmeyer-Zlotnik et al. Interactive planning and control for finished vehicle logistics
Van Vianen Simulation-integrated design of dry bulk terminals
KR20210083889A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및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
CN112631234B (zh) 一种基于空轨调度的自动化码头查验系统
Koloay et al. Implementation of Loading and Unloading Service Policy at Bitung Port
Edfors et al. Potential improvements in a container terminal through information sharing
Mudiyanto et al. The Influence Loading, Discharging Cargo And Ship Documents On The Agency Performance
Zhao et al. Management of Vessel Loading Operations in the Container Terminal
Rathi et al. Enhancing port performance: A case of Jawaharlal Nehru port trust
Kozyreva et al. Smart railway solutions for trans-asian railway network in the times of COVID-19 pandemic
Oya Abajo Analysis of ICT solutions integration for tracking purposes in container terminal management and operation
JP2002063449A (ja) コンビナートにおける設備利用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