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032A - 인쇄가 용이한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카드 - Google Patents

인쇄가 용이한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032A
KR20020065032A KR1020010005364A KR20010005364A KR20020065032A KR 20020065032 A KR20020065032 A KR 20020065032A KR 1020010005364 A KR1020010005364 A KR 1020010005364A KR 20010005364 A KR20010005364 A KR 20010005364A KR 20020065032 A KR20020065032 A KR 20020065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heet
polypropylene
polypropylene sheet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건석
김상근
Original Assignee
최건석
김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건석, 김상근 filed Critical 최건석
Priority to KR1020010005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5032A/ko
Publication of KR20020065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03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23Treatment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가 용이한 폴리프로필렌 시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에 관한 것으로 프로필렌에 시트 제조 공정과 인쇄시에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전방지제와 강직도를 높이고 광택도를 주기 위하여, 핵제, 그리고 시트끼리 붙는 성질을 줄여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하게 하기 위해 안티 블록킹 첨가제, 백색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티아이오투(TiO2)를 첨가하여 앞출부(A), 코로나 처리부(B), 권치부(C), 절단부(D), 적재부(E)의 공정을 통하여 제작되는 것이다.
압출부의 압출 다이스는 정밀 온도 감지기 및 히터를 이용하여 일정온도를 유지하고 용융된 폴리 프로필렌 수지를 일정 두께로 계속적으로 방류하며, 성형부의 성형롤 및 금속판 형태의 벨트는 압출 다이스에서 방류되어진 용융수지를 고체상태로 변화 시켜가면서 균일한 결정화 및 시트의 안정화를 이루고 시트 표면의 균일한 조도 및 두께를 유지하도록 성형 시키며, 코로나 처리부는 시트의 인쇄성, 코팅성, 합지성능 2차 가공 특성을 주기 위하여 전기 에너지를 이용한 고주파 방전으로 처리하며, 절단부는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일정 형태의 시트 가공 할 때 일정 규격으로 절단하도록 하며, 적재부는 일정규격, 형태로 절단된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일정한 매수로 적재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원료배합과 제조 공정을 통하여 환경에 무해하고 표면이 고르며 인쇄의 품질을 월등히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제조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쇄가 용이한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Manufacturing Method of Easily Printable Polypropylene sheet and Card using the sheet}
본 발명은 전화카드와 같은 박판에 인쇄가 용이하며,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부드러운 광택면을 갖도록 하는 인쇄가 용이한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제조 방법 및이를 이용한 카드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알려진 바와 같이 굴곡 강도 및 인장 강도는 골판지 종이보다 우수하나, 저배율의 얇은 모양이 되면 인장 강도가 저하하는 성질이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특성은 열전도율이 종이나 기타 플라스틱에 비해 아주 낮으므로 단열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섭씨 106-190도까지 변화가 없으므로 열성형에 적합하며, 내약품성과 내용제성이 강하며, 내압축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가격이 저렴하고 재생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가장 중요한 잇점은 폐기시에 다른 수지와는 달리 유해한 성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환경 친화적이라는 점이다.
현재 폴리스티렌(PS) 수지나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를 이용한 인쇄용 시트는 폴리프로필렌(PP) 수지에 비해 비중이 높으며 특히 폐기시에 발생하는 유해성분으로 인하여 환경 규제의 대상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 곳이 많다.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한 인쇄용 시트는 표면이 거칠고 은폐력(비치는 성질)이 좋지 않으며, 광택도가 나빠서 고품질의 인쇄에 적합하지 않아서 인쇄용으로 널리 이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호모 또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인쇄용 시트로서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참가제들을 첨가한 새로운가공방법을 통하여 인쇄가 용이한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고품질 인쇄용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제조 공정 블록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고품질 인쇄용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제조 공정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인쇄 공정도
<도면의 부호 설명>
A; 압출부 B; 성형부
C: 코로나처리부 D: 권치부
E: 절단부F; 절단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과 각종 첨가제를 혼합시키는 혼합과정과 원재료 및 부재료가 녹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수지를 스크류로 실린더를 통과시키면서 용해시키고 방류하는 압출공정, 방류되어진 용융상태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균일한 두께, 표면조도를 유지하면서 고체상태의 시트를 제조하는 성형공정, 인쇄성과 코팅성, 합지성능등을 주기 위한 코로나방전공정, 롤형태로 권치시 사용되는 권치공정, 용도에 맞게 크기를 절단하는 절단공정과 포장 공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은 SK회사 제품을 사용하며, 첨가제로 프로필렌에 시트 제조 공정과 인쇄시에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전방지제와 강직도를 높이고 광택도를 주기 위하여 핵제, 그리고 시트끼리 붙는 성질을 줄여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하게 하기위해 안티 블록킹 첨가제, 백색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티아이오투(TiO2)를 첨가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폴리프로필렌의 첨가제 및 첨가제 혼합비의 최적 조건을 찾아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인쇄성을 개선하였으며 압출공정 처리후 스틸 벨트 방식을 경유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시트에 강직도와 광택도를 주고 대량 생산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코로나방전공정에서는 인쇄성과 코팅성 그리고 2차 가공 특성을 주기위하여 전기 에너지를 이용한 고주파 방전으로 폴리프로필렌 시트 표면을 물리적 화학적 개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 고품질 인쇄용 폴리프로필렌 시트 제조 공정은 배합된 원료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앞출부(A), 코로나 처리부(B), 권치부(C), 절단부(D), 적재부(E)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다.
실시예 1
제 1공정 원료배합공정
호모 폴리프로필렌 사용시 원료 배합
호모폴리프로필렌((MI 2.0 ~ 4.0)을 (93.2 ~ 82.0 중량%), 마스터뱃치 15중량%인 대전방지제(0.3 ~ 1.5 중량%), 마스터벳치 5중량%인 핵제(0.5 ~ 1.5중량%), 마스터벳치 5중량%인 브로킹 방지제(1.0 ~ 5.0 중량%), 마스터벳치 50중량%인 티아이오투(TiO2)(5.0 ~ 10.0중량%)의 중량비율로 사용한다.
제 2 공정 압출공정
압출부는 원료공급부의 실린더 온도 170 ~ 190℃, 혼련부의 실린더 온도 210-240℃, 이물질 제거용 철망의 온도 220 ~ 250℃, 오리피스 노즐 온도 220 ~ 250℃로 유지하고 용융상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압출 다이스를 통하여 0.3 ~ 1.5㎜의 균일한 두께로 압출하여 방류한다.
상기 압출 다이스는 정밀 온도 감지기 및 히터를 이용하여 일정 온도를 유지하고 용융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일정 두께로 계속적으로 방류한다.
제 3 공정 성형공정
티형 다이스에서 균일한 두께로 방류되어진 용융상태의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성형부의 압착 성형롤과 성형용 금속판에서 균일한 두께, 균일한 표면 조도를 유지하면서 서서히 폴리프로필렌 결정이 성형되면서 고체상태의 0.12 ~ 0.5㎜ 시트가 제조 된다.
성형부의 성형롤 및 금속판 형태의 벨트는 압출 다이스에서 방류되어지는 용융수지를 고체상태로 변화시켜 가면서 균일한 결정화 및 시트의 안정화를 이루고 시트 표면의 균일한 조도 및 두께를 유지하도록 성형시킨다.
제 4 공정 코로나 처리공정
고형화된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코로나 처리부에서 시트의 인쇄성, 코팅성, 합지성능 2차 가공특성을 주기 위하여 전기 에너지를 이용한 고주파 방전으로 표면 에너지 36 dyne/cm ~ 42 dyne/cm을 유지하도록 폴리프로필렌 시트 표면을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물리적 화학적 개질 작용을 한다.
제 5 공정 권취공정
0.12 ~ 0.5 ㎜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롤 형태로 권취시 사용되며 일정텐션과 테퍼 텐션을 유지한다.
제 6 공정 절단공정
일정 두께로 생산되어진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일정 규격으로 절단하기 위하여 다시 모터 혹은 서브 모터를 사용하며 절단 방식은 로타리 커팅방식, 겔로틴 방식을 적용한다.
절단된 시트를 흔들림없이 원하는 일정 매수로 적재하는 장치로 적재부가 상하 자동, 수동 조정이 가능하고 시트의 가장자리부를 가지런히 적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가 부착되어야 한다.
제 7 공정 인쇄공정
먼저 인쇄할 수 있도록 PS판을 소부하고 다량 인쇄시 인쇄망점이 까지지 않도록 열처리를 한다. 다음으로 UV용 잉크로 인쇄하며 표면에 코팅액을 도포하여 원하는 모양의 목형을 제작하여 재단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시트 인쇄물을 얻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원료배합을 달리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2
제 1공정 원료배합공정
랜덤폴리프로필렌 사용시 원료배합
랜덤 폴리프로필렌(MI 3.0 ~ 6.0)을 (93.4 ~ 82.5 중량%), 마스터벳치 15중량%인 대전방지제(0.3 ~ 1.5중량%), 마스터벳치 중량%인 핵제(0.3 ~ 1.0중량%), 마스터벳치 5중량% 브로킹 방지제(1.0 ~ 5.0중량%), 마스터벳치 50중량%인 티아이오투(TiO2) (5.0 ~ 10.0중량%)의 중량 비율로 사용한다.
제 2 공정 압출공정
압출부는 원료공급부의 실린더 온도 170 ~ 190℃, 혼련부의 실린더 온도 210-240℃, 이물질 제거용 철망의 온도 220 ~ 250℃, 오리피스 노즐 온도 220 ~ 250℃로 유지하고 용융상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압출 다이스를 통하여 0.3 ~ 1.5㎜의 균일한 두께로 압출하여 방류한다.
상기 압출 다이스는 정밀 온도 감지기 및 히터를 이용하여 일정 온도를 유지하고 용융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일정 두께로 계속적으로 방류한다.
제 3 공정 성형공정
티형 다이스에서 균일한 두께로 방류되어진 용융상태의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성형부의 압착 성형롤과 성형용 금속판에서 균일한 두께, 균일한 표면 조도를 유지하면서 서서히 폴리프로필렌 결정이 성형되면서 고체상태의 0.12 ~ 0.5㎜ 시트가 제조 된다.
성형부의 성형롤 및 금속판 형태의 벨트는 압출 다이스에서 방류되어지는 용융수지를 고체상태로 변화시켜 가면서 균일한 결정화 및 시트의 안정화를 이루고 시트 표면의 균일한 조도 및 두께를 유지하도록 성형시킨다.
제 4 공정 코로나 처리공정
고형화된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코로나 처리부에서 시트의 인쇄성, 코팅성, 합지성능 2차 가공특성을 주기 위하여 전기 에너지를 이용한 고주파 방전으로 표면 에너지 36 dyne/cm ~ 42 dyne/cm을 유지하도록 폴리프로필렌 시트 표면을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물리적 화학적 개질 작용을 한다.
제 5 공정 권취공정
0.12 ~ 0.5 ㎜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롤 형태로 권취시 사용되며 일정텐션과 테퍼 텐션을 유지한다.
제 6 공정 절단공정
일정 두께로 생산되어진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일정 규격으로 절단하기 위하여 다시 모터 혹은 서브 모터를 사용하며 절단 방식은 로타리 커팅방식, 겔로틴 방식을 적용한다.
절단된 시트를 흔들림없이 원하는 일정 매수로 적재하는 장치로 적재부가 상하 자동, 수동 조정이 가능하고 시트의 가장자리부를 가지런히 적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가 부착되어야 한다.
제 7 공정 인쇄공정
먼저 인쇄할 수 있도록 PS판을 소부하고 다량 인쇄시 인쇄망점이 깨지지 않도록 열처리를 한다. 다음으로 UV용 잉크로 인쇄하며 표면에 코팅액을 도포하여 원하는 모양의 목형을 제작하여 재단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시트 인쇄물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시트는 무공해성의 다양한 제품에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는 공중전화카드와 같은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원료배합비와 제조공정을 적합하게 구성함으로써 고품질의 인쇄성을 가진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제조하는 것으로서 인쇄성 뿐만 아니라 표면이 고르고 투명성이 우수하며 상업 생산 중인 프라스틱물질 중에서 비중이 가장 낮아서 물류비, 경제성면에서도 강점이 있다. 아울러 폴리프로필렌 시트는 안정성 면에서 인체에 무해하며 환경 친화적인 물질로 이차 처리시 유해 물질 발생이 없으므로 기존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또는 폴리스티렌(PS) 수지를 대체 가능하다.

Claims (3)

  1. 호모폴리프로필렌(MI2.0 ~ 4.0)을 (93.2 ~ 82.0 중량%), 마스터뱃치 15중량%인 대전방지제(0.3 ~ 1.5 중량%), 마스터벳치 5중량%인 핵제(0.5 ~ 1.5중량%), 마스터벳치 5중량%인 브로킹 방지제(1.0 ~ 5.0 중량%), 마스터벳치 50중량%인 티아이오투(TiO2)(5.0 ~10.0중량%)의 중량비율로 하는 원료배합공정;
    상기 원료배합공정에서 호모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압출기 원료공급부의 실린더 온도 170 ~ 190℃, 혼련부의 실린더 온도 210 ~ 240℃, 이물질 제거용 철망의 온도 220 ~ 250℃, 오리피스 노즐 온도 220 ~ 250℃로 유지하고 용융상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티형 다이스에서 0.3 ~ 1.5㎜의 균일한 두께로 압출하여 방류하는 압출공정;
    상기 압출공정의 티형 다이스에서 균일한 두께로 방류되어진 용융상태의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압착 성형롤과 성형용 금속판에서 균일한 두께, 균일한 표면 조도를 유지하면서 서서히 폴리프로필렌 결정이 성형되면서 고체상태의 0.12 ~ 0.5㎜ 시트로 성형하는 성형공정;
    고형화된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코로나 처리부에서 시트의 인쇄성, 코팅성, 합지성 등 2차 가공특성을 주기 위하여 전기 에너지를 이용한 고주파 방전으로 표면 에너지 36 dyne/cm ~ 42 dyne/cm을 유지하도록 폴리프로필렌 시트 표면을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물리적 화학적 개질 작용을 하도록 하는 코로나 처리공정;
    코로나 처리공정을 통한 0.12 ~ 0.5 ㎜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롤 형태로 권취시 일정텐션과 테퍼 텐션을 유지하여 권취하는 권취공정으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가 용이한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배합공정의 원료조성은 랜덤 폴리프로필렌(MI 3.0 ~ 6.0)을 (93.4 ~ 82.5 중량%), 마스터벳치 15중량%인 대전방지제(0.3 ~ 1.5중량%), 마스터벳치 중량%인 핵제(0.3 ~ 1.0중량%), 마스터벳치 5중량% 브로킹 방지제(1.0 ~ 5.0중량%), 마스터벳치 50중량%인 티아이오투(TiO2) (5.0 ~ 10.0중량%)의 중량비율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가 용이한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제조 방법.
  3. 상기 청구항 제 1항 또는 제 2항의 공정에 의해 제조된 시트에 인쇄하여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가 용이한 폴리프로필렌 시트로 제작된 카드.
KR1020010005364A 2001-02-05 2001-02-05 인쇄가 용이한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카드 KR200200650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364A KR20020065032A (ko) 2001-02-05 2001-02-05 인쇄가 용이한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364A KR20020065032A (ko) 2001-02-05 2001-02-05 인쇄가 용이한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032A true KR20020065032A (ko) 2002-08-13

Family

ID=2769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364A KR20020065032A (ko) 2001-02-05 2001-02-05 인쇄가 용이한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50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784B1 (ko) * 2001-12-10 2004-07-27 엘지전선 주식회사 전선 인쇄장치 및 방법
KR101321752B1 (ko) * 2012-02-16 2013-10-28 (주)동해플라스틱 냉장고 후판용 폴리프로필렌 시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784B1 (ko) * 2001-12-10 2004-07-27 엘지전선 주식회사 전선 인쇄장치 및 방법
KR101321752B1 (ko) * 2012-02-16 2013-10-28 (주)동해플라스틱 냉장고 후판용 폴리프로필렌 시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67948B (en) Label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EP1118452A1 (en) A process for producing a three layers co-extrusio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synthetic paper of thickness 25-250 My m
CN109715714B (zh) 薄片的制造方法
CN105566721B (zh) 一种耐高温xpe泡棉及其制备方法
JP2006130814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発泡シートおよびその成形体
CN114228094B (zh) 一种代替纸质标签的双向拉伸聚丙烯发泡薄膜制备方法
US20150147507A1 (en) Article comprising foamed polylactic acid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US4680157A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crystalline thermoplastic resin sheet
KR20020073307A (ko) 수지의 필름상 물질 제조방법 및 수지의 필름상 물질
KR20020065032A (ko) 인쇄가 용이한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카드
SE442207B (sv) Forfarande for framstellning av en polystyrencellplastskiva
EP1537991B1 (en) 5-layer co-extruded biaxial-oriented polypropylene synthetic paper and its production process
JP4300968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発泡シート及びその成形体
CN1131611A (zh) 聚丙烯合成纸及其生产方法
CN105415694A (zh) 一种bopp合成包装纸制造工艺
CN109624456B (zh) 一种轻量化、低收缩的白色聚酯膜
JP2000103893A (ja) 氷で作られたように見える発泡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628072A (zh) 一种聚乳酸微孔发泡材料和制作方法以及拼图玩具
JP2004331722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および成形体
JP2004099701A (ja) 氷で作られたように見える発泡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56557B1 (ko) 제전성 및 은폐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JP2000190376A (ja) 微細な気泡を有する発泡ポリエステルシ―トとその成形方法
JPH0957744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KR200201929Y1 (ko) 폴리프로필렌 입체시트
JP2002086646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発泡シート及び成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