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4646A - 사이버 대학 강의 컨텐츠 제작을 위한 실시간 편집 시스템및 스튜디오 - Google Patents

사이버 대학 강의 컨텐츠 제작을 위한 실시간 편집 시스템및 스튜디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4646A
KR20020064646A KR1020010081974A KR20010081974A KR20020064646A KR 20020064646 A KR20020064646 A KR 20020064646A KR 1020010081974 A KR1020010081974 A KR 1020010081974A KR 20010081974 A KR20010081974 A KR 20010081974A KR 20020064646 A KR20020064646 A KR 20020064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editing
studio
information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1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태호
Original Assignee
유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호 filed Critical 유태호
Priority to KR1020010081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4646A/ko
Publication of KR20020064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646A/ko

Links

Landscapes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사이버 대학 강의 시스템 및 강의 컨텐츠 제작용 스튜디오가 개시된다. 그러한 사이버 대학 강의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강자 PC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강자 PC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며, 수강자가 접속하는 경우 수강자를 확인하고 저장된 강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미디어 서버와, 상기 서버에 연결되며, 수강자 인적사항 및 강의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와, 강의 모습을 담은 동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얻는 스튜디오와, 상기 스튜디오로부터 제공된 동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처리하는 편집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이버 대학 강의 컨텐츠 제작을 위한 실시간 편집 시스템 및 스튜디오 {SYSTEM FOR REAL-TIME EDITING LECTURE CONTENTS FOR USE IN CYBER UNIVERSITY AND STUDIO}
본 발명은 네트워크(Net Work) 상에서 구현되는 사이버 대학 시스템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의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하여 강의용 스튜디오를 구비하고, 제작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편집하여 수강생들에게 제공하고, 또한 강의 컨텐츠를 녹화하여 CD 등으로도 공급할 수 있는 네트워크상에서 구현되는 사이버 대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교육의 다양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교육 관련한 IT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산업의 발달에 따라 교육 관련한 IT 산업이 더욱 다양화 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 관련한 IT 산업은 주로 학교와 학생을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함으로써 학교라는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네트워크상에서 서로 강의 및 수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
특히, 최근에는 대학의 개방화 추세에 맞추어 대학생의 신분이 아닌 일반인들도 네트워크상에 개설된 사이버 대학에 등록을 하여 수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대학 강의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의 강의 시스템은 사전에 제작된 강의 컨텐츠를 수강생들이 서버에 접속하여 강의 컨텐츠를 다운받아 사용하게 된다. 즉, 강의 컨텐츠를 미리 제작하고 이러한 컨텐츠를 서버에 데이터 베이스화함으로써 수강생이 필요한 때에 서버에 접속하여 강의 컨텐츠를 다운받아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또는 CD 등의 기록저장매체에 강의 컨텐츠를 저장하여 수강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강의 시스템은 강의자가 일방적으로 강의를 진행함으로써 수강자의 반응 등을 살필 수가 없음으로 강의 효율이 떨어지며 또한 강의 컨텐츠가미리 제작됨으로 현실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강의 모습을 담은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강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제작된 강의 컨텐츠가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관계로 편집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짧은 시간에 여러 영상 중 적당한 영상을 선택하여 제공하게 됨으로 강의 컨텐츠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버 대학의 강의 계획도 일반 오프라인상의 대학강의와 마찬가지로 학기단위로 진행됨으로, 제한된 기간내에 정해진 분량을 전부 강의하게 된다. 따라서, 강의 컨텐츠를 편집하여 제공한다면 제작시간이 오래 걸리게 됨으로 한 학기 내에 정해진 강의 분량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의 컨텐츠가 실시간으로 제작되어 수강자들에게 제공됨으로 강의 중 발생할 수 있는 실수 등을 예방할 수 없다.
그리고, 종래의 사이버 대학용 강의 컨텐츠는 전용 스튜디오가 아닌 일반 스튜디오에서 제작됨으로 강의 컨텐츠 제작 스케쥴과 기타 다른 촬영 스케쥴이 서로 겹치는 경우 강의 컨텐츠를 일정에 맞추어 제작할 수 없게 되어 강의 진행에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강의 내용을 담은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실시간으로 편집하여 제공함으로써 제한된 시간내에 품질이 향상된 강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사이버대학 강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이들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다양한 영상정보를 적절하게 편집함으로써 화면전환시 발생할 수 있는 화면끊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사이버 대학 강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이버 대학 강의를 위한 전용 스튜디오를 구비하여 강의 컨텐츠를 제작함으로써 다른 촬영 스케쥴에 관계없이 학사일정에 따라 강의를 진행할 수 있는 사이버 대학 강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대학 강의 컨텐츠 제작을 위한 실시간 편집 시스템 및 스튜디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이버 대학 강의 컨텐츠 제작을 위한 실시간 편집 시스템 및 스튜디오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튜디오 및 편집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대학 강의 컨텐츠 제작을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편집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관리자의 초기 작업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7은 수강자의 작업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강자 PC;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강자 PC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며, 수강자가 접속하는 경우 수강자를 확인하고 저장된 강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미디어 서버; 상기 서버에 연결되며, 수강자 인적사항 및 강의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 강의 모습을 담은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얻는 스튜디오; 그리고 상기 스튜디오로부터 제공된 동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처리하는 편집실을 포함하는 사이버 대학 강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용 스튜디오 내에서 강의를 준비하고 진행하는 제1 단계와; 스튜디오 내부에서 진행되는 강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촬영장치 및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촬영 및 청취하는 제2 단계와; 편집실에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얻어진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믹싱하고 1차로 실시간 편집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얻어진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분배하고 엔코딩하는 제4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4 단계들로부터 얻어진 강의 컨텐츠를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수강자들에게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버 대학 강의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대학용 강의 컨텐츠 제작을 위한 편집 시스템 및 스튜디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사이버 대학 강의 시스템은 강의 컨텐츠를 제작하는 스튜디오(Studio;70)와, 상기 스튜디오(70)로부터 제공된 영상 및 음성정보를 편집하는 편집실(80)과, 편집된 강의 컨텐츠를 저장, 관리하는 미디어 서버(Media Server;50)와, 수강자 신상자료 및 강의 컨텐츠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Data Base;60)와, 상기 미디어 서버(50)와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연결되는 수강자 PC(Clint PC;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이버 대학 강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한 강의 컨텐츠는 별도로 구비된 강의 전용 스튜디오(70)에서 제작된다. 상기 스튜디오(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면적을 갖는 내부 공간에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스튜디오(70)는 그 내부에 조명시스템을 장착하고, 편집실에 구비된 딤머 컨트롤러(Dimmer Controler)를 사용하여 조명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튜디오(70) 내부의 스테이지 근처에는 모니터를 구비함으로써 편집실로부터 공급되는 PGM에 의하여 강의자가 자신이 촬영되는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스튜디오(70)는 상기에서는 1개로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2개 이상으로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한 스튜디오(70)는 대담전문 스튜디오로 활용되며, 다른 스튜디오는 강의 전용 스튜디로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튜디오(70)는 그 내부 일측면에 강의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71)이 구비된다. 이 디스플레이 수단(71)은 칠판(전자칠판 포함), 전자 스크린, 디브이디(Digital Vidio Displayer;DVD)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강의자는 필요에 따라 칠판에 강의 내용을 판서할 수 있고, 또한 스크린을 통해서 적절한 배경화면 혹은 문자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튜디오(7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3 대의 영상 촬영장치(72)를 배치한다. 상기 영상 촬영장치(72)는 촬영 대상물을 촬영하는 디지털 캠코더(Digital Camcorder)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영상 촬영장치(72)는 기존에 발생하였던 화질의 열화, 변화, 노이즈의 증가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영상매체를 선택한다.
이러한 영상 촬영장치(72)는 스튜디오(70)의 내부에 적절하게 분산 배치되어, 강의자 및 스튜디오 내부를 여러 각도로 촬영하여 다양한 영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촬영장치(72)에 팬틸터(Pan Tilter)를 장착하고 편집실에서 원격제어장치를 통하여 상기 팬틸터를 조작함으로써 영상 촬영장치를 좌우상하로 이동시켜 촬영방향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튜디오(70)의 내부에는 마이크로폰(Micro Phone;73), 무선 마이크로폰, 앰프(Amp), 스피커(Speaker) 등이 구비되어 음향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튜디오(70)로부터 얻어진 영상 및 음향정보는 패치 패널 (Patch panel)을 통하여 편집실(80)로 전송되어 강의에 적합하도록 편집된다.
상기 편집실(8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브이디(DVD;81), 오디오 믹서(Audio Mixer;82), 비디오 믹서(Vidio Mixer;83), 엔코더(Encoder;84), 편집기 (85), 분배기(86), 디브이/브이에이치에스 레코더(DV/VHS Recorder;87), 디브이디/시디 레코더(DVD/CD Recorder;88)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오디오 믹서(82)는 마이크폰을 통하여 얻어진 강의자의 음성신호 및 효과 음향신호 등을 입력받아 서로 믹싱(Mixing)하게 된다. 물론, 마이크로폰 이외에도 스피커, 앰프 등을 오디오 믹서(82)에 연결하여 음성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강의자의 음성의 고,저,장,단 및 음향신호를 적절하게 편집함으로써 수강자가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디오 믹서(83)는 상기 스튜디오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 및 후술하는 편집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의하여 강의 컨텐츠를 1차로 실시간 편집한다.
이러한 비디오 믹서(83)는 다수의 입력채널을 구비하여 상기 스튜디오로부터 촬영된 영상소스를 입력받는다. 입력채널이 다수로 구성됨으로 다수의 영상촬영장치와 각각 연결되어 동시에 여러 영상소스가 입력가능하다. 그리고, 입력된 영상소스를 각각 디코딩, 저역통과 필터링, 간축한 후 하나의 화면으로 합하여 부호화하고 이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비디오 믹서(83)의 다른 채널에는 DVD 플레이어를 연결함으로써영상소스의 편집에 활용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비디오 믹서(83)는 영상소스 및 음성신호를 서로 믹싱하고, 편집기와 연결함으로써 강의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1차 편집을 할 수 있다. 이때, 편집자는 하나의 영상 촬영장치를 통하여 강의자의 강의 하는 동영상을 입력받고, 다른 영상 촬영장치를 통하여 강의자 외의 자막(71)에 디스플레이 되는 동영상 등을 입력받아 이를 서로 강의 내용에 맞도록 실시간으로 편집하게 된다. 따라서, 화면전환시 끊어짐이 없이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스튜디오(70) 외부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추가할 수도 있고, 또한 별도로 마련된 영상 데이터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1차 편집과정에서, 편집자는 비디오 믹서를 통하여 화면을 임으로 편집한다. 즉, 화면을 커트(Cut), 믹스(Mix), 와이프(Wipe), 슈퍼(Super), 변환 (Transition) 함으로써 영상을 전환 할 수 있다. 또한, 크로마(Croma), 알파 (Alpha), 루미넌스(Ruminance), 페인팅(Painting), 이펙트(Effect), 스토로브 (Strobe), 피아피(PIP;Picture-IN-Picture) 와 같은 특수효과의 삽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믹서(83)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는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각각 독립해서 처리하는 컴포넌트 신호(Component Signal)이다. 따라서, 영상 편집시 발생할 수 있는 열화, 정보량의 감소, 및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편집기는 1차로 편집된 강의 컨텐츠를 2 차로 편집하는 경우 사용된다. 즉, 1차로 편집된 강의 컨텐츠에 특수효과 삽입, 영상 삽입, 영상 재편집등 세부적으로 편집하는 경우 혹은 보강편집이 요구되는 경우에 편집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편집기는(85)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압축/해제하는 엔진과, 압축/해제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비디오 및 오디오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편집부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압축해제 엔진은 다양한 데이터 소스, 즉, 영상 촬영장치, VCR, CD 등으로 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JPEG, MPEG, 또는 웨이브렛 기술을 이용하여 고속 데이터로 압축 및 압축해제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매체는 많은 데이터량을 처리하기 위하여 고용량의 저장매체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CD-ROM과, DVD, VHS, MIDI(musicalinstrument digital interface)를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장치는 상기 압축/해제 엔진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디지타이즈하여 DV 포맷, 혹은 복합 NTSC 또는 PAL 포맷으로 저장하며, S-VHS 해상도를 갖도록 한다. 물론, VHS, DVD, WEB 등의 포맷도 저장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저장장치에 저장된 디지타이즈된 미디어 데이터는 편집부에 의하여 로딩, 엑세스되어 임의의 순서로 처리된다.
이러한 편집부는 스위처와, 화상처리부와, 음성처리부, 제어부로 이루어지며, 저장매체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를 그래피칼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GUI)를 사용하여 편집하게 된다.
상기 스위처는 편집시 영상데이터를 적절하게 절취 혹은 믹싱하는 장치이며,또한 문자 등을 화면에 합성하기 위하여 DSK(Down Stream Keyer)나, 크로마 키어, 루미넌스 키어 등의 기능을 갖을 수도 있다.
그리고, 스위처에 의한 편집은, GUI를 이용하여 진행되며, 작업자는 GUI에 의하여 미디어 데이터의 미디어 부분 또는 클립을 선택적으로 캡쳐하고, 재생할 수 있다. 이때, 클립은 GUI 상에서 아이콘으로 나타나며 작업자는 이 아이콘을 조작함으로써 스위처에 의하여 영상을 맞춤, 절취, 페이드(fades), 와이프(wife), 디졸부(Dissolves) 또는 에니메이트(Animated) 처리 등의 편집작업을 실행한다.
이때, 상기 편집기(85)는 미디어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즉, 제1, 제2, 제3, 제4 프레임 등과 같은 순서로 저장하며, 알파 프레임을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프레임들에 있어서 선택된 프레임, 예를 들면,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간의 트랜지션(transition)을 수행하기 위하여 미디어 버퍼로부터 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인출하여 프레임 제어기에 저장한다.
그리고, 이 편집기(85)는 별도의 입력수단으로서 전용 컨트롤러를 추가로 구비하여 편집을 위한 제어 커맨드를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3차원 영상기를 연결함으로써 강의 컨텐츠를 3차원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집기(85)는 별도의 보조저장장치를 구비하여, 해당 편집 기에 의해서 편집 처리한 프로그램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저장한다. 따라서, 강의 컨텐츠의 데이터 백업이 가능하다.
이러한, 편집기(85)는 입출력 수단으로서 컴포지트(Composite)단자 및 컴포넌트(Component)단자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컴포넌트 단자는 RGB, YRB, YUV 형식을 모두 포함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입출력 수단을 갖는 편집기는 기타 다른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편집기(85)는 스피커에 연결됨으로써, 편집기(85)에 의해서 편집된 오디오 신호를 해당 스피커로부터 송출하여 오디오에 관한 편집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편집기(85)는 사전검토 전용의 모니터를 구비함으로써 편집기치(85)에 의해서 편집된 비디오 신호를 해당 모니터에 표시하여 비디오에 관한 편집결과를 이 모니터에 의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작업자는 강의 내용에 적합한 강의 컨텐츠를 제작하게 된다.
그리고, 제작된 강의 컨텐츠는 분배기(86)에 의하여 엔코더(84), DV/VHS Recorder(87),DVD/CD Recorder(88) 에 분배된다.
상기 엔코더(84)는 상기 분배기(86)로부터 전송된 강의 컨텐츠를 스트리밍 파일(Streamimg File) 형식, 즉, WMR,Asf,rm,MPEG 파일 등으로 변환하여 미디어 서버와 데이터 베이스로 전송한다. 이때, 강의 컨텐츠를 56k, 100k, 200k, 300k 등의 멀티 대역폭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엔코더(84)에 의하여 제작된 강의 컨텐츠는 미디어 서버(50)로 송출됨으로써 수강자에게 제공된다. 즉, 제작된 강의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하고 동시에 미디어 서버(50)로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수강자는 각각의 수강자 PC(20)를 통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50)에 실시간으로 접속함으로써원하는 과목을 수강할 수 있다. 물론, 저장된 강의 컨텐츠를 VOD(Vidio On Demand) 형식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강의 컨텐츠는 상기 분배기(86)로부터 각각의 저장매체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강의 컨텐츠가 DV/VHS Recorder로 전송됨으로써 DV 테잎이나 VHS 테잎으로 저장된다. 혹은 DVD/CD Recorder로 전송됨으로써 DVD 혹은 CD 형태로 저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강의 컨텐츠를 CD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하여 오프라인상에서 수강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대량으로 복제하는 경우에는 DLT(Digital Linear Tape)로 저장하고, 소량이라면 DVD Recorder 혹은 VHS Recorder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디어 서버(50)는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강자의 회원등록여부를 검증하는 인증처리 모듈(Module;51)과, 각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입력정보처리모듈(52)과, 각 수강자 PC(20)에 웹페이지 (Web Page)를 표시하여 주고 해당 결과를 출력하여 주는 디스플레이 모듈(53)을 포함한다.
상기 인증처리 모듈(51)은 각 수강자가 서버(50)에 접속하는 경우, 회원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즉, 수강자가 ID와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입력된 ID와 로그인 정보를 기존의 저장된 ID 및 로그인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입력처리모듈(52)은 각 수강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각각 분류하여 해당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즉, 입력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60)에 저장하거나 호출하며, 또한 다른 모듈에 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작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수강자가 인적사항을 입력하게 되면 입력된 정보를 해당 데이터 베이스(60)에 저장하며 호출시 필요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모듈(53)은 각 수강자가 미디어 서버(50)에 접속하는 경우 홈페이지가 각 수강자의 PC(20)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수강자가 요청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즉, 강의 컨텐츠를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안내문등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각 수강자는 PC(20) 상에서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고, 또한 출력된 결과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다수개의 모듈들은 각 데이터 베이스(60)와 연계되어 해당 정보를 저장하거나 호출하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60)는 각 수강자의 인적사항 및 ID, PASS WORD 등을 저장하는 수강자 데이터베이스(61)와, 강의 내용을 저장한 강의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62)를 포함한다.
상기 수강자 데이터베이스(61)는 수강자의 성명, 나이, 주소, 성별 등 인적사항을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강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62)는 스튜디오 및 편집실에서 제작된 강의 컨텐츠가 저장된다. 따라서, 수강자가 로그인 함으로써 해당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열람하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한, 수강자는 수강 중 질의사항 등이 있으면 PC(20)를 통하여 질의사항을입력할 수도 있다.
도1과, 도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러한 사이버 대학용 강의 컨텐츠를 제작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버 대학의 강의 과정은 전용 스튜디오 내에서 강의를 준비하고 진행하는 제1 단계(S10)와, 스튜디오(70)의 내부에서 진행되는 강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촬영장치(72) 및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촬영 및 청취하는 제2 단계(S20)와, 편집실에서 상기 제2 단계(S20)에서 얻어진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믹싱하고 1차로 실시간 편집하는 제3 단계(S30,S40)와, 상기 제3 단계(S30,S40)에서 얻어진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분배하고 엔코딩하는 제4 단계(S70,S80)와, 그리고 상기 제4 단계(S70,S80)들로부터 얻어진 강의 컨텐츠를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수강자들에게 제공하는 제5 단계(S90,S9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S10)에서는 강의자가 강의에 필요한 자료를 미리 준비하고, 배경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미리 선정하며, 또한 자막에 표시될 문자정보 등을 선정하게 된다. 그리고, 강의 시간에 맞추어 해당 과목의 강의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제2 단계(S20)에서는 스튜디오 내에 배치된 다수의 영상 촬영장치(72)를 통하여 강의 모습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얻게 되며, 또한 마이크로폰(73)을 통하여 음성정보도 얻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자막에 표시되는 영상 및 문자정보를 촬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폰(73)을 통해서는 강의자의 음성 뿐만 아니라 효과음 등의 음향신호도 녹취하게 된다.
상기 제3 단계(S30,S40)에서는 상기 제2 단계(S20)에서 얻어진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믹서(82) 및 비디오 믹서(83)를 이용하여 믹싱하고 실시간으로 1차 편집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디오 믹서(82)는 마이크폰(73)을 통하여 얻어진 강의자의 음성신호 및 효과 음향신호 등을 입력받아 서로 믹싱(Mixing)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강의자의 음성의 고,저,장,단 및 음향신호를 적절하게 편집함으로써 수강자가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믹서(83)는 다수의 영상 촬영장치(72)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서로 믹싱하게 된다.
믹싱된 영상신호를, 편집기(85)와 연결함으로써 강의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1차 편집을 할 수 있다. 이때, 편집자는 하나의 영상 촬영장치를 통하여 강의자의 강의 하는 동영상을 입력받고, 다른 영상 촬영장치를 통하여 강의자 외의 자막(71)에 디스플레이 되는 동영상 등을 입력받아 이를 서로 강의 내용에 맞도록 편집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스튜디오(70) 외부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추가할 수도 있고, 또한 별도로 마련된 영상 데이터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1차 편집과정에서, 편집자는 비디오 믹서(83)를 통하여 화면을 임으로 편집한다. 즉, 화면을 커트(Cut), 믹스(Mix), 와이프(Wipe), 슈퍼(Super), 변환(Transition) 함으로써 영상을 전환 할 수 있다. 또한, 크로마(Croma), 알파 (Alpha), 루미넌스(Ruminance), 페인팅(Painting), 이펙트(Effect), 스토로브 (Strobe), 피아피(PIP;Picture-IN-Picture) 와 같은 특수효과의 삽입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편집함으로써 강의 컨텐츠를수강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1차 편집 후, 선택적으로 편집기(85)를 이용하여 강의 컨텐츠를 2차로 편집하는 제6 단계(S60)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제6 단계(S60)에서는 1차로 편집된 강의 컨텐츠에 특수효과 삽입, 영상 삽입, 영상 재편집 등 세부적으로 편집하거나, 혹은 보강편집을 하게 된다.
이러한 편집과정을 도 5에 의하여 설명하면, 상기 편집과정은 우선, 비디오 신호를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매체에 디지털화하여 저장하는 비디오 캡쳐단계가 진행된다(S71). 그리고, 상기 단계 후, 화면컷 편집단계가 진행된다(S72). 즉, 모니터상에는 이벤트를 생성하는 뷰어 화면과, 이벤트의 클립화면을 표시하는 로그 윈도우 화면과, 이 편집장치에서 수행하는 편집 처리 내용을 지정하는 동시에, 지정된 편집 처리 내용을 그래픽 표시를 사용하여 표시하는 프로그램 윈도우의 화면이나, 그 외 제어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 버튼 등이 디스플레이 된다.
작업자는 이 모니터에 표시되는 소정의 제어 커맨드 버튼을 마우스를 사용하여 버튼이나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편집소재가 기억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지시하는 동시에, 그 소재의 재생을 지시한다. 이로써 그 지시된 소재의 비디오 신호가 편집 처리 장치를 통하여 컴퓨터에 공급되며, 그 소재의 영상이 모니터에 표시된다. 작업자는 모니터를 통하여 그 소재의 영상을 보면서 인/아웃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적절하게 컷하여 편집한다. 그리고, 영상 클립을 재편성하여 순서를 재배열한다(S73).
상기 단계 후(S73), 자막 및 장면전환 삽입단계가 진행된다(S74). 이 단계에서는 화면에 들어갈 자막, 장면전환, 효과 화면, 그리고 에니메이션 효과등의 작업을 진행한다.
즉, 화면상에 표시되는 GUI를 이용하여 미디어 데이터의 미디어 부분 또는 클립을 선택적으로 캡쳐하고, 재생한다. 이때, 클립은 GUI 상에서 아이콘으로 나타나며 작업자는 이 아이콘을 조작함으로써 스위처에 의하여 영상을 맞춤, 절취, 페이드(fades), 와이프(wife), 디졸부(Dissolves) 또는 에니메이트(Animated) 처리 등의 편집작업을 실행한다.
또한, 모니터상에 문자를 표시하거나, 혹은 화면을 전환하여 다른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또한, 플러그 인(Plug-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차원 및 3차원 효과를 나타내는 에니메이션 작업도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배경음악 및 멘트 삽입단계가 진행한다(S75). 이 단계에서는 오디오 신호를 비디오 신호와 믹싱하게 된다. 즉, 오디오 믹서를 통하여 처리된 음성, 효과음, 현장음 등을 비디오 신호와 믹싱함으로써 강의 컨텐츠를 제작하게 된다.
다시, 도1 및 도4 를 참조하면, 상기 제4 단계(S70,S80)에서는 제작된 강의 컨텐츠를 분배기(86)에 의하여 분배하고 또한, 엔코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엔코더(84)로 공급되지 않는 강의 컨텐츠는 DV/VHS Recorder (87),DVD/CD Recorder(88)로 전송하여 CD, DVD, VHS, S-VHS, HI 등에 적절하게 엔코딩하여 저장한다.
상기 제5 단계(S90,S95)에서는 엔코딩 한 강의 컨텐츠를 미디어 서버(50)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방송을 하게 된다. 따라서, 수강자들은 이 미디어 서버(50)에접속하여 원하는 수강과목을 실시간으로 수강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강의 컨테츠를 다운로드 받아서 수강할 수도 있다.
도 6에는 이러한 미디어 서버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상태에서는 서버(50)를 가동하고 데이터 베이스(60)를 초기화한다 (S100). 그리고, 서버(50)에 홈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서 다수의 수강자가 용이하게 강의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S110).
그리고, 수강자의 접속신호가 있었는가를 확인하고, 접속신호가 있는 경우 수강자가 선택한 강의 컨텐츠를 수강할 수 있게 한다(S120).
또한, 수강자가 서버(50)에 접속하여 강의 컨텐츠를 수강하는 과정을 도1 및 도7 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강자가 강의를 수강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50)에 접속하게 된다(S400).
수강자가 서버(50)에 접속하면, 서버(50)의 인증처리모듈은 회원여부를 묻게 된다(S410). 따라서, 각 수강자는 해당 아이디(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인증처리모듈은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확인하고 강의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S416).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가입 신청서를 작성하도록 하고 회비를 납부하게 되면, 수강자격을 부여한다(S412,S414).
강의 시스템에 접근한 수강자는 홈페이지에서 해당 강의 컨텐츠를 선택함으로써 강의를 수강하게 된다(S416).
그리고, 강의 중 질문사항이 있는 경우 개인의 PC를 통하여 서버(50)에 질문사항을 전송하게 되면, 강의자는 강의중이나 혹은 별도의 시간에 적절한 답변을 할 수도 있다. 즉,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대학의 강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사이버 대학에 적합한 시설 및 규모를 갖춘 스튜디오를 구비함으로써 경제적, 기술적으로 효율적인 사이버 대학을 운영할 수 있다.
둘째, 여러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강의모습을 촬영함으로써, 여러 동영상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편집하여 화면전화시 발생할 수 있는 끊어짐 현상 혹은 부자연스러운 전환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제작된 강의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편집함으로써 편집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임으로서 정해진 학사 일정에 따라 많은 수강자에게 강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Claims (9)

  1.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강자 PC;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강자 PC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며, 수강자가 접속하는 경우 수강자를 확인하고 강의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편집하여 제공하는 미디어 서버;
    상기 서버에 연결되며, 수강자 인적사항 및 강의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
    강의 모습을 담은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얻는 스튜디오; 그리고
    상기 스튜디오로부터 제공된 동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실시간으로 편집처리하는 편집실을 포함하는 사이버 대학 강의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각 수강자의 회원등록여부를 검증하는 인증처리 모듈과,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입력정보처리모듈과, 각 수강자 PC에 웹페이지를 표시하여 주고 해당 결과를 출력하여 주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사이버 대학 강의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튜디오는 적당한 내부공간을 가지며, 공간 일측면에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되고, 강의 모습을 촬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촬영장치와, 음성을 녹취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사이버 대학 강의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칠판, 전자 칠판, DVD, 스크린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사이버 대학 강의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실은 동영상정보를 믹싱하여 1차 편집을 하는 비디오 믹서와, 음성정보를 처리하는 오디오 믹서와, 상기 동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2차 편집하는 편집장치와, 상기 비디오 믹서와 편집장치로부터 편집된 강의 컨텐츠를 분배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로부터 제공된 강의 컨텐츠를 엔코딩하는 엔코더와, 상기 엔코더로부터 전송된 동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저장/방송하는 미디어서버를 포함하는 사이버 대학 강의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로부터 제공되는 강의 컨텐츠를 DV/VHS Recorder,DVD/CD Recorder에 송출함으로써 DVD 혹은 CD에 녹화하는 사이버 대학 강의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얻어진 동영상정보를 각각 편집함으로서 화면 전환시 끊어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사이버 대학 강의 시스템.
  8. 전용 스튜디오 내에서 강의를 준비하고 진행하는 제1 단계와;
    스튜디오 내부에서 진행되는 강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촬영장치 및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촬영 및 청취하는 제2 단계와;
    편집실에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얻어진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믹싱하고 1차로 실시간 편집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얻어진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분배하고 엔코딩하는 제4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4 단계들로부터 얻어진 강의 컨텐츠를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수강자들에게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버 대학 강의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후, 1 차 편집된 강의 컨텐츠를 편집장치에 의하여 2차로 편집처리하는 사이버 대학 강의 방법.
KR1020010081974A 2001-12-20 2001-12-20 사이버 대학 강의 컨텐츠 제작을 위한 실시간 편집 시스템및 스튜디오 KR20020064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974A KR20020064646A (ko) 2001-12-20 2001-12-20 사이버 대학 강의 컨텐츠 제작을 위한 실시간 편집 시스템및 스튜디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974A KR20020064646A (ko) 2001-12-20 2001-12-20 사이버 대학 강의 컨텐츠 제작을 위한 실시간 편집 시스템및 스튜디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646A true KR20020064646A (ko) 2002-08-09

Family

ID=27725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1974A KR20020064646A (ko) 2001-12-20 2001-12-20 사이버 대학 강의 컨텐츠 제작을 위한 실시간 편집 시스템및 스튜디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464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98B1 (ko) * 2006-07-13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저장 매체
KR100835234B1 (ko) * 2007-01-03 2008-06-10 토자이홀딩스 주식회사 온라인 학습 제공 방법 및 온라인 학습 제공 시스템
KR200449768Y1 (ko) * 2008-06-16 2010-08-09 해태제과식품주식회사 포장용기
KR101483434B1 (ko) * 2014-08-05 2015-01-28 주식회사 이베스트 강의 영상 녹화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2826A (ja) * 1998-03-31 1999-10-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電子教育システム
KR20000072263A (ko) * 2000-08-23 2000-12-05 남정기 비디오 편집/제작 장치 및 그 편집/제작 방법
KR20010096010A (ko) * 2000-04-15 2001-11-07 박순배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강의 시스템 및 인터넷 서비스
KR20010097625A (ko) * 2000-04-25 2001-11-08 김교현 사이버 교육 장치 및 방법
KR20010100586A (ko) * 2000-05-04 2001-11-14 류재화 인터넷을 통한 교육자료 제공 시스템
JP2001338079A (ja) * 2001-02-06 2001-12-07 Enos:Kk Web上の操作代行を伴った遠隔教育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2826A (ja) * 1998-03-31 1999-10-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電子教育システム
KR20010096010A (ko) * 2000-04-15 2001-11-07 박순배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강의 시스템 및 인터넷 서비스
KR20010097625A (ko) * 2000-04-25 2001-11-08 김교현 사이버 교육 장치 및 방법
KR20010100586A (ko) * 2000-05-04 2001-11-14 류재화 인터넷을 통한 교육자료 제공 시스템
KR20000072263A (ko) * 2000-08-23 2000-12-05 남정기 비디오 편집/제작 장치 및 그 편집/제작 방법
JP2001338079A (ja) * 2001-02-06 2001-12-07 Enos:Kk Web上の操作代行を伴った遠隔教育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98B1 (ko) * 2006-07-13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저장 매체
KR100835234B1 (ko) * 2007-01-03 2008-06-10 토자이홀딩스 주식회사 온라인 학습 제공 방법 및 온라인 학습 제공 시스템
KR200449768Y1 (ko) * 2008-06-16 2010-08-09 해태제과식품주식회사 포장용기
KR101483434B1 (ko) * 2014-08-05 2015-01-28 주식회사 이베스트 강의 영상 녹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0044B2 (ja) 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再生システムと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再生方法
KR101270780B1 (ko) 가상 강의실 강의 방법 및 장치
US77333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dio/video capturing, streaming, recording and playback
US20050110803A1 (en) Image mixing method, and mixed image data generation device
US7006154B2 (en) Portable system for live television signal editing
JP2002202941A (ja) マルチメディア電子学習システムおよび学習方法
KR101351085B1 (ko) 실물화상기
USRE40688E1 (en) System for producing personalized video recordings
WO2005013618A1 (ja) ライブストリーミング放送方法、ライブストリーミング放送装置、ライブストリーミング放送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放送方法及び放送装置
EP046985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recording, editing and playing back presentations on a computer system
US20020188772A1 (en) Media production methods and systems
Foust et al. Video production: Disciplines and techniques
US82494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JP4565232B2 (ja) 講義ビデオ作成システム
KR20020064646A (ko) 사이버 대학 강의 컨텐츠 제작을 위한 실시간 편집 시스템및 스튜디오
JPH06169456A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会議システム
JP3507767B2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及び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再生方法
KR101307974B1 (ko) 일체형 디지털 통합 방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Rowe et al. Capturing conference presentations
JP3757229B2 (ja) 学術会議等の講演、講義等の編集システム、及び知識内容配信システム
JPH10257463A (ja) 電子会議情報の記録方法、記録媒体、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再生装置及び電子会議システム
CN113965706A (zh) 一种互动教学的多功能远程录播教学系统
Sachdeva et al. Digital Video Editing
Lam et al. Practical Streaming Video On The Internet For Engineering Courses On And Off Campus
KR20050092540A (ko) 디지털미디어의 실시간 제작 및 관리를 위한 자동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