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768Y1 -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768Y1
KR200449768Y1 KR2020080008014U KR20080008014U KR200449768Y1 KR 200449768 Y1 KR200449768 Y1 KR 200449768Y1 KR 2020080008014 U KR2020080008014 U KR 2020080008014U KR 20080008014 U KR20080008014 U KR 20080008014U KR 200449768 Y1 KR200449768 Y1 KR 200449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opening
packaging container
cover
extens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984U (ko
Inventor
윤영달
Original Assignee
해태제과식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태제과식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태제과식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8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768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9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7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Abstract

본 고안은 알갱이 형태로 제작된 내용물이 포장된 포장용기로부터 내용물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포장용기는 상단의 개봉부에 의해 내부의 공간부가 개폐되고, 상기 상단 양측부에는 상기 개봉부와는 별도로 각각의 보조 덮개부가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진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공간부를 덮는 메인 덮개부와, 상기 메인 덮개부에서 연장되는 연장편 및 상기 연장편에서 연장되는 걸림턱부재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간부에 충진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부재 부재는 상기 개봉부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개봉 시 상기 배출공이 외부로 노출되면 상기 보조 덮개부에 걸려서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개봉부가 완전히 개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보조 덮개부의 접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접히는 접힘선에 따라 접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포장용기의 내용물 배출 시 개봉부가 케이스로부터 완전히 개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내용물을 섭취하기 위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할 수 있다.
포장용기

Description

포장용기{packaging container}
본 고안은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알갱이 형태로 제작된 내용물이 포장된 포장용기로부터 내용물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자나 껌은 대부분이 반고형체 또는 비스켓과 같은 고형체로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과자나 껌은 보관 및 운송이나 미관을 고려하여 포장지 또는 케이스 등에 담아 시판하게 된다.
특히, 고형체 과자나 껌은 다양한 크기로 제조하게 되며, 어린이가 케이스로부터 한 번에 한 두개를 꺼내 먹을 수 있도록 알갱이 형태로도 제작하여 케이스에 담아 시판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성 껌들이 출시되고 있는데, 입냄새 제거는 물론 기분을 상쾌하게 하거나 운전 중 졸음 방지 기능 껌 등이 출시되고 있다.
이때, 케이스는 종이나 플라스틱 등을 이용하여 박스형태로 많이 제작하게 되며, 이 케이스의 윗면에는 밀거나 젖혀서 케이스 몸체로부터 출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덮개가 구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포장 용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포장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포장 용기의 열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포장 용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11)와, 케이스(11) 상단에 케이스(11)를 덮기위해 케이스(11)의 외측으로 연장된 덮개부(12)와 덮개부(12)에서 연장되는 연장편(13) 및 케이스(11)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보조 덮개부(1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덮개부(12)와 연장편(13)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부(12)를 일측으로 젖힘에 따라 열리게 되게, 열린 부분을 통해 과자나 껌 등의 내용물이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포장용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포장 용기의 케이스는 케이스몸체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나 다른 한 손으로 덮개를 개폐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둘째, 덮개부의 특성상 내용물을 꺼내는 양의 조절이 쉽지 않았고, 특히 과 자를 선호하는 계층이 어린이인 경우가 많아 한 번에 많은 양을 쏟기도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셋째, 내용물이 껌인 경우 다양한 기능성 껌을 어른들도 이용하게 되는데 어른들이라 하여도 한 번에 여러 개가 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은 여전히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알갱이 형태로 제작된 내용물이 포장된 포장용기로부터 내용물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별도의 절취편을 통해 덮개부의 개봉 역시 용이하도록 한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포장용기는, 상단의 개봉부에 의해 내부의 공간부가 개폐되고, 상기 상단 양측부에는 상기 개봉부와는 별도로 각각의 보조 덮개부가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진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공간부를 덮는 메인 덮개부와, 상기 메인 덮개부에서 연장되는 연장편 및 상기 연장편에서 연장되는 걸림턱부재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간부에 충진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부재 부재는 상기 개봉부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개봉 시 상기 배출공이 외부로 노출되면 상기 보조 덮개부에 걸려서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개봉부가 완전히 개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보조 덮개부의 접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접히는 접힘선에 따라 접히도록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부재(124)는 상기 각각의 보조 덮개부(140)에 각각 걸리도록 상기 연장편(122)외부 양측 각각에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봉부의 덮개부와 연장편 사이의 접히는 부분 중앙에는 상기 개봉부를 케이스로부터 개봉시킬 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절취편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절취편은 상기 덮개부와 연장편 사이의 접히는 부분 일부를 절개하되, 접힘 선이 없도록 하여 상기 개봉부가 상기 케이스내부의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부로 접힘 삽입될 때 상기 절취편이 자연스럽게 노출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포장용기에 내용물을 넣은 후 개봉부를 덮을 때 개봉부에 형성된 접힘 선을 통해 덮음으로써 개봉부 개봉 시 개봉부가 케이스로부터 완전히 개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포장 용기의 덮개부 일측에 절취편을 구성하여 개봉부를 케이스로부터 개봉시킬 때 절취편을 이용하여 개봉시킬 수 있으므로 포장용기의 개봉부 개봉이 용이하다.
셋째, 개봉부에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을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내용물을 꺼낼때 꺼내는 양을 조절하기 쉽고, 특히 과자를 선호하는 계층인 어린이인 경우에도 꺼내는 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넷째, 개봉부에 배출공이 구성되어 어른들도 그 개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개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불필요한 내용물을 다시 집어 넣을 필요가 없어 어린이와 어른 모두의 편의를 향상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여,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고안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가 완전히 개봉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의 덮개부를 덮기 전 덮개부의 접힘 걸림턱부재 점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포장용기의 접힘 상태를 측면에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나타낸 포장용기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에 나타낸 포장용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나타낸 포장용기의 배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3에 나타낸 포장용기를 전개한 전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단의 개봉부(120)에 의해 내부의 공간부(130)가 개폐되고, 상단 양측부에는 개봉부(120)와는 별도로 두 개의 보조 덮개부(140)가 각각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케이스(110)로 이루어진 포장용기(100)에 관한 것으로, 개봉부(120)는 케이스(1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케이스의 공간부(130)를 덮는 덮개부(121)와, 덮개부(121)에서 연장되는 연장편(122)이 형성되며, 연장편(122)에는 상기 케이스(110) 내부의 공간부(130)에 충진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123)이 형성되고, 연장편(122)의 종단에는 케이스(110)의 상단 양측부에 형성된 보조 덮개부(140)에 각각 걸려서 개봉부(120)가 케이스(110)로부터 완전히 개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부재(124)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포장용기(100)의 덮개부(121)와 연장편(122)에는 제 1 접힘선(126)이 형성된다.
또한, 연장편(122)과 걸림터부재(124) 사이에는 제 2 접힘선(127)이 형성된다. 이때 개봉부(120)가 공간부(130)를 덮을 때,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접힘선(127)을 보조 덮개부(124)와는 수직한 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 덮도록 함으로써 도 7에서와 같이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개봉부(120) 개봉 시 보조 덮개부(140)에 의해 걸림턱부재(124)가 보조 덮개부(140)에 걸리면서 완전히 개봉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보조 덮개부(140) 종단 중 일부분은 걸림턱부재(124)가 공간부(130)에 삽입 시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개봉부(120) 개봉 시 개봉부(120)가 케이스(110)로부터 완전히 개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개봉부(120)의 덮개부(121)와 연장편(122) 사이의 접히는 부분 중앙에는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봉부(120)를 케이스(110)로부터 개봉시킬 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절취편(12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절취편(125)은 별도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덮개부(121)와 연장편(122) 사이의 접히는 부분 일부를 절개하되, 접힘 선(126)이 없도록 하여 개봉부(120)가 케이스(110)내부의 내용 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공간부(130)로 접힘 삽입될 때 절취편(125)이 자연스럽게 노출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포장용기의 내용물 섭취를 위한 개봉 시 절취편(125)에 의해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한편 걸림턱부재(124)과 보조 덮개부(140)에 의해 배출공(123)이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서 내용물이 배출공(123)을 통해 하나씩 배출시켜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스(110)의 상단에 형성된 절개홈(111)에 의해 사용자가 절취편(125)을 이용해 개봉부(120)를 개봉 시 보다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 9는 도 3에 나타낸 포장용기를 전개한 전개도로서 이와 같은 전개도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 중의 하나를 나타낸 것으로, 당업자라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러한 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포장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포장 용기의 열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가 완전히 개봉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의 덮개부를 덮기 전 덮개부의 접힘 걸림턱부재 점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포장용기의 접힘 상태를 측면에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나타낸 포장용기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에 나타낸 포장용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나타낸 포장용기의 배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3에 나타낸 포장용기를 전개한 전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포장용기 110 : 케이스(case)
111 : 절개 홈 120 : 개봉부
121 : 덮개부 122 : 연장편
123 : 배출공 124 : 걸림턱부재
125 : 절취편 126, 127 : 접힘 선
130 : 공간부 140 : 보조 덮개부

Claims (4)

  1. 상단의 개봉부(120)에 의해 내부의 공간부(130)가 개폐되고, 상기 상단 양측부에는 상기 개봉부(120)와는 별도로 각각의 보조 덮개부(140)가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케이스(110)로 이루어진 포장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120)는 상기 케이스(1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공간부(130)를 덮는 메인 덮개부(121)와;
    상기 메인 덮개부(121)에서 연장되는 연장편(122)과;
    상기 연장편(122)에 상기 케이스(110) 내부의 공간부(130)에 충진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 형성된 배출공(123)과;
    연장편(122)에서 외부 양측으로 돌출 연장형성되되, 상기 개봉부(120)가 상기 케이스(110)로부터 개봉 시 상기 배출공(123)이 외부로 노출되면 상기 보조 덮개부(140)에 걸려서 상기 케이스(110)로부터 상기 개봉부(120)가 완전히 개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보조 덮개부(140)의 접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접히는 접힘선(127)에 따라 접히도록 구비된 걸림턱부재(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120)의 덮개부(121)와 연장편(122) 사이의 접히는 부분 중앙에는 상기 개봉부(120)를 케이스(110)로부터 개봉시킬 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절취편(1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편(125)은 상기 덮개부(121)와 연장편(122) 사이의 접히는 부분 일부를 절개하되 절취편(125) 형성면에서는 접히는 접힘 선(126)이 없도록 하여 상기 개봉부(120)가 상기 케이스(110)내부의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부(130)로 접힘 삽입될 때 상기 절취편(125)이 자연스럽게 노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KR2020080008014U 2008-06-16 2008-06-16 포장용기 KR200449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014U KR200449768Y1 (ko) 2008-06-16 2008-06-16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014U KR200449768Y1 (ko) 2008-06-16 2008-06-16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984U KR20090012984U (ko) 2009-12-24
KR200449768Y1 true KR200449768Y1 (ko) 2010-08-09

Family

ID=4424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014U KR200449768Y1 (ko) 2008-06-16 2008-06-16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768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1367A (ja) * 1994-04-28 1995-11-07 Kokoro:Kk 電子レンジ調理用食品包装容器
KR200159285Y1 (ko) * 1997-06-17 1999-10-15 김종인 물품포장용 상자
KR200192343Y1 (ko) * 2000-03-22 2000-08-16 주식회사인포웍스 포장상자의 조립구조
KR20010092343A (ko) * 2000-03-17 2001-10-24 마틴 비에리, 다니엘 파래태 특히, 시계와 같은 휴대품으로부터 데이터를 로딩하거나추출하기 위한 장치
KR200264646Y1 (ko) * 2001-11-28 2002-02-16 강병윤 포장용 상자
KR20020064646A (ko) * 2001-12-20 2002-08-09 유태호 사이버 대학 강의 컨텐츠 제작을 위한 실시간 편집 시스템및 스튜디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1367A (ja) * 1994-04-28 1995-11-07 Kokoro:Kk 電子レンジ調理用食品包装容器
KR200159285Y1 (ko) * 1997-06-17 1999-10-15 김종인 물품포장용 상자
KR20010092343A (ko) * 2000-03-17 2001-10-24 마틴 비에리, 다니엘 파래태 특히, 시계와 같은 휴대품으로부터 데이터를 로딩하거나추출하기 위한 장치
KR200192343Y1 (ko) * 2000-03-22 2000-08-16 주식회사인포웍스 포장상자의 조립구조
KR200264646Y1 (ko) * 2001-11-28 2002-02-16 강병윤 포장용 상자
KR20020064646A (ko) * 2001-12-20 2002-08-09 유태호 사이버 대학 강의 컨텐츠 제작을 위한 실시간 편집 시스템및 스튜디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984U (ko)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10929T3 (es) Contenedor con tapa articulada con envoltura externa
ES2420686T3 (es) Dispensador deslizante
ES2358535T3 (es) Caja que contiene material suelto que se puede fumar.
US7377385B2 (en) Rigid carton of packets of cigarettes including finger hole
ES2414535T3 (es) Envase de tapa articulada con acción deslizante
JP2009023730A (ja) 再使用可能硬質箱を含むシガレットのソフトパケットのカートン
JP2008545596A5 (ko)
KR101928267B1 (ko) 물체용 어린이 안전 박스 및 블랭크
JP2022519028A (ja) 2つのヒンジ式蓋を有した喫煙物品用硬質パッケージ、及び、そのような喫煙物品用硬質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ためのブランク
ES2444579T3 (es) Envase con tapa de lengüeta
ES2592512T3 (es) Embalaje de envoltura con lengüeta de apertura
KR101144439B1 (ko) 복수 개폐구조를 갖는 방수 방습 껌통
KR200449768Y1 (ko) 포장용기
JP2009520646A (ja) シガレットパック
WO2006075231A1 (en) A pocket-size packet of confectionery products
KR200475085Y1 (ko) 레토르트 파우치 홀더
WO2009040384A1 (en) Smoking article pack
JP2009292513A (ja) 包装容器
JP4946322B2 (ja) 包装箱
EP2487116B1 (en) Packaging container
RU61254U1 (ru) Упаковка и пакуемые емкости
CN108883873B (zh) 带有多层图形商标的可重新闭合的多物品糖果产品包装和方法
KR200328139Y1 (ko) 포장 케이스
KR200410688Y1 (ko) 남은 과자 보관용 상자
KR200414218Y1 (ko) 포장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