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343Y1 - 포장상자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포장상자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343Y1
KR200192343Y1 KR2020000008106U KR20000008106U KR200192343Y1 KR 200192343 Y1 KR200192343 Y1 KR 200192343Y1 KR 2020000008106 U KR2020000008106 U KR 2020000008106U KR 20000008106 U KR20000008106 U KR 20000008106U KR 200192343 Y1 KR200192343 Y1 KR 200192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ackaging box
coupled
assembly structure
botto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인포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인포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인포웍스
Priority to KR2020000008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3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3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상자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밀기기 등의 제품을 보관 및 유통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체로 형성하여서 접음만으로 내부에 제품을 고정, 지지할 수 있는 포장상자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내용물을 담아서 되는 바닥부(10)와, 바닥부(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입설되어져 일정 높이를 갖는 측판(22)으로 형성된 측판부(20)와, 상기 측판부(20)의 일측끝부분에 연장되어져 바닥부(10)와 대응되어지는 넓이를 갖고 열거나 닫도록 하는 뚜껑(53)을 구비한 개봉부(50)와, 상기 측판부(20)의 타측끝부분에 연장되어져 내부에 구비되는 내용물을 고정하여서 되는 고정덮개부(40)를 일체로 형성시켜 접음지기로 하여서 되는 포장상자(10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는 포장상자의 조립구조는 포장상자의 제조공정에서 생성되어지는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이 절감되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내부에 구비되어지는 보호판 및 제품이 이탈하거나 유동되어져 충격에 약한 전자기기나 정밀제품 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가가 있는 것이다.
결국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포장상자의 조립 및 분해와 내부에 구비되어지는 제품의 고정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 포장상자의 조립구조이다.

Description

포장상자의 조립구조{Assembly structure of packing box}
본 고안은 포장상자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밀기기 등의 제품을 보관 및 유통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체로 형성하여서 접음만으로 내부에 제품을 고정, 지지할 수 있는 포장상자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먼저, 일반적인 포장상자를 ‘도5’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품을 담도록 하는 바닥부(300)의 각 측면을 내접시켜 높이를 갖도록 하는 측판(400)과, 측판(400)의 일측부에 연장되어져 바닥부(300)와 대응되어지게 덮음 하여서 되는 상판(500)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바닥부(300)의 각 측면에 입설 되어있는 측판(400)을 고정하기 위해 본딩 또는 결합부재(410)를 사용하거나 상판(50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판(500)의 일측에 연장되어져 측판(400)의 내부로 접음하여서 끼움으로 고정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제품 등을 고정 및 지지하여서 되는 보호판(600)을 포장상자(200)의 내부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끼움하여서 되는 구성을 하고 있으며, 이는 상부면에 형성된 통공(610)에 의해 내부에 구비되어지는 제품을 고정, 지지하여 보호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장상자(200)는 상판(500)을 제외한 측판(400)의 둘레면을 본딩이나 결합부재(410) 등에 의하여 결합함으로서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의 상승으로 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분해 및 재활용 시에 결합부재(410) 등을 분해하기 위한 공정을 추가 설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내부에 구비되어지는 보호판(600)은 고정이 용이하지 못함으로 인해 제품이 이탈하거나 유동되어져 충격에 약한 전자기기나 정밀제품 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유통과 보관 시 자주 발생되어지는 충격 및 유동에 의해 소비자에게 본래의 제품을 공급하지 못하고 불량의 제품이 전달되어져 소비자에게 제품의 신뢰성과 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결국, 포장상자(200)의 조립공정이 복잡함으로 인해 제조공정 및 판매비용의 상승과 더불어 상기 포장상자(200)의 내부에 보관 및 유통되어지는 제품의 파손 및 불량률이 상승되어지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포장상자의 제조공정에서 조립과정 중 생성되는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이 절감되어지는 포장상자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내부에 구비되어지는 보호판 및 제품이 이탈하거나 유동되어져 충격에 약한 전자기기나 정밀제품 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포장상자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체로 형성된 포장상자를 펼친상태의 전개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판부를 일부 접음하여서 된 조립상태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판부와 고정덮개부를 결합한 상태의 조립상태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개봉부를 일부 잠금하는 상태를 보인 조립상태사시도.
도 5는 종래고안의 일부 분해 되어있는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바닥부 11-고정공 20-측판부
21-절개부 22-측판 30-보강측판
31-고정공 32-결합편 40-고정덮개부
41-단부 42-결합편 43-통공
50-개봉부 51-보강판 52-잠금편
53-뚜껑 100-포장상자
따라서,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는 포장상자의 조립구조를 ‘도3’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용물을 담아서 되는 바닥부(10)와, 바닥부(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입설되어져 일정 높이를 갖는 측판(22)으로 형성된 측판부(20)와, 상기 측판부(20)의 일측끝부분에 연장되어져 바닥부(10)와 대응되어지는 넓이를 갖고 열거나 닫도록 하는 뚜껑(53)을 구비한 개봉부(50)와, 상기 측판부(20)의 타측끝부분에 연장되어져 내부에 구비되는 내용물을 고정하여서 되는 고정덮개부(40)를 일체로 형성시켜 접음지기로 하여서 되는 포장상자(10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바닥부(10)와 측판부(20)와 개봉부(50) 그리고, 고정덮개부(40)로 크게 나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측판부(2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측판부(20)는 바닥부(10)의 일측과 타측에 연장되어져 입설하는 측판(22)의 양측선단부를 바닥부(10)의 양측끝부분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져 결합하도록 되는 수단을 갖으며, 상기 수단은 일측선단부에 타측선단부가 끼움하여 결합하도록 절취시킨 절개부(21)를 일측과 타측에 대응되어지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10)의 양측에 연장되어져 측판부(20)의 결합수단을 보강하고 상기 고정덮개부(40)를 고정, 지지하는 구조를 더 마련하였으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바닥부(10)의 양측끝부분에 일정높이를 갖고 결합되어지는 측판부(20)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이중내접을 하여서 되는 보강측판(30)을 바닥부(10)의 양측끝부분에 연장하여서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덮개부(40)의 구조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덮개부(40)는 바닥(10)부에 대해서 일정높이를 갖는 길이로 내접하고, 제품의 외형에 따라서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접음하여서 되는 단부(41)을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고정덮개부(40)의 끝부분에는 상기 고정덮개부(40)가 내부에서 끼움에 의해 결합하여서 되는 결합편(42)을 다수개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덮개부(40)의 상부면에는 내부에 마련된 제품을 보아서 되거나 상기 고정덮개부(40)를 열도록 하여서 되는 통공(43)을 구비하였다.
이때, 상기 고정덮개부(40)와 보강측판(30)은 고정하여서 조립되어지는 구조를 마련하였으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보강측판(30)의 끝부분에는 결합하여서 되는 결합편(32)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편(32)과 대응되어지는 위치의 바닥부(10)에는 상기 결합편(32)이 결합하여서 되는 고정공(11)을 다수개 더 마련하며, 상기 고정덮개부(40)의 결합편(42)과 대응되어지게 결합하여서 되는 고정공(31)을 보강측판(30)의 측면에 다수개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봉부(50)는 유통 시 열림을 방지하는 구조를 더 마련하였으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뚜껑(53)의 일측끝부분은 측판부(20)와 동일한 길이를 내접하여서 되는 보강판(51)과, 상기 보강판(51)의 양측으로 더 연장되어진 길이를 상기 보강측판(30)의 접음되어진 일측내부로 결합하여서 되는 반구형의 잠금편(52)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포장상자가 조립되어지는 과정에 대해서 ‘도1’,‘도2’,‘도3’,‘도4’그리고, ‘도5’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측판부(20)를 내접하여서 일측과 타측에 연장되어진 절개부(21)를 서로 결합하여서 측판(20)으로 구성된 측판부(20)를 세움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보강측판(30)을 이중내접을 하여서 연장되어진 측판(22)를 내측에 마련하도록 접음지기하며, 이때 상기 바닥부(10)에 형성된 고정공(11)에는 보강측판(3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편(32)을 끼움하여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바닥부(10)에 보관 및 유통하고자 하는 제품을 놓인 후 상기 단부(41)에 의해 고정 및 지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고정덮개부(40)에 형성된 결합편(42)을 상기 보강측판(30)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공(31)에 끼움으로 결합하여서 내부에 구비된 제품이 유통 중 유동됨 등을 방지하여서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위치되어진 고정덮개부(40)의 상부면에도 제품 등을 얹어 놓을 수 있는 것이며, 이후 개봉부(50)를 접음에 의해 덮개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봉부(50)의 일측에 연장되어진 보강측판(30)을 상기 측판부(20)의 외부로 내접한 후 양측에 형성된 잠금편(52)을 상기 보강측판(30)의 접음사이의 내부에 끼움하여서 결합 및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따르는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측판(22)는 접음 및 절개부(21)에 의해 끼움만을 함으로서 쉽고 간단하게 측판부(20)를 입설 하여서 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측판(30)은 측판(22)의 강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내접한 후 고정공(11)에 결합편(32)을 끼움만으로 하여서 고정 및 조립할 수 있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덮개부(40) 역시 일측면이 측판(22)과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부는 결합편(42)과 고정공(31) 의해 쉽게 고정하여서 내부에 구비되는 제품의 유동을 방지하여서 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봉부(50)는 일측에 형성된 잠금편(52)을 상기 보강측판(30)의 내접사이로 결합함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개, 폐가 용이하고 잠금 및 고정할 수 있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포장상자(100)의 조립 및 분해와 내부에 구비되어지는 제품의 고정이 용이한 작용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는 포장상자의 조립구조는 포장상자의 제조공정에서 생성되어지는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이 절감되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내부에 구비되어지는 보호판 및 제품이 이탈하거나 유동되어져 충격에 약한 전자기기나 정밀제품 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가가 있는 것이다.
결국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포장상자의 조립 및 분해와 내부에 구비되어지는 제품의 고정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 포장상자의 조립구조이다.

Claims (3)

  1. 내용물을 담아서 되는 바닥부(10)와, 바닥부(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입설되어져 일정 높이를 갖는 측판(22)으로 형성된 측판부(20)와, 상기 측판부(20)의 일측끝부분에 연장되어져 바닥부(10)와 대응되어지는 넓이를 갖고 열거나 닫도록 하는 뚜껑(53)을 구비한 개봉부(50)와, 상기 측판부(20)의 타측끝부분에 연장되어져 내부에 구비되는 내용물을 고정하여서 되는 고정덮개부(40)를 일체로 형성시켜 접음지기로 하여서 되는 포장상자(10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의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20)는 바닥부(10)의 일측과 타측에 연장되어져 입설하는 측판(22)의 양측선단부를 바닥부(10)의 양측끝부분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져 결합하도록 되는 수단을 갖으며, 상기 수단은 일측선단부에 타측선단부가 끼움하여 결합하도록 절취시킨 절개부(21)를 일측과 타측에 대응되어지게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10)의 양측끝부분에 일정높이를 갖고 결합되어지는 측판부(20)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이중내접을 하여서 되는 보강측판(30)을 바닥부(10)의 양측끝부분에 연장하여서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덮개부(40)는 바닥(10)부에 대해서 일정높이를 갖는 길이로 내접하고, 제품의 외형에 따라서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접음하여서 되는 단부(41)을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고정덮개부(40)의 끝부분에는 상기 고정덮개부(40)가 내부에서 끼움에 의해 결합하여서 되는 결합편(42)을 다수개 더 구비하고,
    상기 뚜껑(53)의 일측끝부분은 측판부(20)와 동일한 길이를 내접하여서 되는 보강판(51)과, 상기 보강판(51)의 양측으로 더 연장되어진 길이를 상기 보강측판(30)의 접음되어진 일측내부로 결합하여서 되는 반구형의 잠금편(52)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의 조립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측판(30)의 끝부분에는 결합하여서 되는 결합편(32)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편(32)과 대응되어지는 위치의 바닥부(10)에는 상기 결합편(32)이 결합하여서 되는 고정공(11)을 다수개 더 마련하며, 상기 고정덮개부(40)의 결합편(42)과 대응되어지게 결합하여서 되는 고정공(31)을 보강측판(30)의 측면에 다수개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의 조립구조.
KR2020000008106U 2000-03-22 2000-03-22 포장상자의 조립구조 KR200192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106U KR200192343Y1 (ko) 2000-03-22 2000-03-22 포장상자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106U KR200192343Y1 (ko) 2000-03-22 2000-03-22 포장상자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343Y1 true KR200192343Y1 (ko) 2000-08-16

Family

ID=1964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106U KR200192343Y1 (ko) 2000-03-22 2000-03-22 포장상자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34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880A (ko) * 2001-09-08 2003-03-15 김응종 수납실이 일체로 형성된 비접착식 다중포장 판지상자
KR200449768Y1 (ko) * 2008-06-16 2010-08-09 해태제과식품주식회사 포장용기
KR101552132B1 (ko) * 2014-11-27 2015-09-10 주식회사 미르 포장 상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880A (ko) * 2001-09-08 2003-03-15 김응종 수납실이 일체로 형성된 비접착식 다중포장 판지상자
KR200449768Y1 (ko) * 2008-06-16 2010-08-09 해태제과식품주식회사 포장용기
KR101552132B1 (ko) * 2014-11-27 2015-09-10 주식회사 미르 포장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5704A (en) Hinge-lid pack, especially for cigarettes
AU628046B2 (en) Appliance shipping container with integral corner posts
US5295580A (en) Container with overlapping flap closure and nesting spacer
KR100246474B1 (ko) 액정표시모듈용 패킹 장치
US5353982A (en) Fluent container
KR0159820B1 (ko) 전자제품용 포장상자
KR200192343Y1 (ko) 포장상자의 조립구조
AU2005201406A1 (en) Chainsaw carrying case
WO2007031805A1 (en) Double-wall container
KR101393207B1 (ko)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KR0133823B1 (ko) 띠형 인렛을 이용한 포장용 종이상자
JP2007001623A (ja) 贈答箱
KR100527906B1 (ko) 판지를 이용한 란 포장 용기
KR200363603Y1 (ko) 접철식 포장 박스
JP2008127050A (ja) 梱包箱
KR200403081Y1 (ko) 소량 배달용 계란 포장 박스
CA2613633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es integrated with product containers
KR20070007362A (ko) 평평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패키징하는 방법과 이런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패키지
JP4271510B2 (ja) 包装箱
KR100545627B1 (ko) 개량형 포장상자
KR200201133Y1 (ko) 앰프와 기타의 포장박스
JP2001240141A (ja) ダンボール梱包の緩衝材構造
KR200236871Y1 (ko) 포장박스
FI99201C (fi) Kannettava kuluttajapakkaus
JPH0624436A (ja) 中仕切付き組立式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