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627B1 - 개량형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개량형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627B1
KR100545627B1 KR1020020016510A KR20020016510A KR100545627B1 KR 100545627 B1 KR100545627 B1 KR 100545627B1 KR 1020020016510 A KR1020020016510 A KR 1020020016510A KR 20020016510 A KR20020016510 A KR 20020016510A KR 100545627 B1 KR100545627 B1 KR 100545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member
folding
folded
hole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8908A (ko
Inventor
박명욱
Original Assignee
박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2165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4562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욱 filed Critical 박명욱
Publication of KR20030058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 B65D5/2009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all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65D5/6608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self-locking integral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 채소 등의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적재된 내용물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상자를 완전 개봉하지 않고도 내용물의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전개도로 나타낼 수 있으며, 바닥부재가 하나의 판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재를 중심으로 양측의 날개면이 조립 완성시 이중으로된 일측면과 상측 커버의 일부 및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재를 중심으로 상하의 날개편이 조립시 다른 일측면 및 상측 커버의 일부를 이룬다. 상기 상자는 조립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여러가지 연결부를 구비한다. 또한, 바닥부재가 단일 면으로 구성됨으로써 자중에 의해 내용물이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립시 복수의 파지부 및 이중의 측벽을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을 보호하고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날개편에 위치한 개방공을 통하여 내용물의 상태를 수시로 파악할 수 있다.
바닥부재, 날개편, 측벽, 개방공, 파지부.

Description

개량형 포장상자 {improved package box}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전개도.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상자의 측벽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내측벽 연결부가 하나인 경우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2c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내측벽 연결부가 두개인 경우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조립 과정중 제2날개편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모든 접힘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5a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에 있어, 커버부재를 더 부착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부재 부착위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5b는 상기 실시예의 커버부재를 부착하여 조립한 경우의 제1측벽을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가 완전 조립된 경우의 바닥부재와 하측면 파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에 있어서 그물망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의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8a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에 있어서 진열시 상면을 개방할 수 있도록 제2날개편에 절단선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
도8b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절단선을 포함한 실시예에 있어서, 진열을 위해 상면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8c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절단선을 포함한 실시예에 있어서, 진열중 상면을 제2날개편으로 덮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부재 2 : 제1날개편
3 : 제2날개편 4 : 제1연결돌기
5 : 제2연결돌기 6 : 제3연결돌기
7 : 개방공 8 : 파지부
9 : 하측면 파지부 10 : 그물망 접속홈
11 : 그물망 연결공 12 : 절취부
13 : 커버부재 14 : 그물망
15 : 그물망 연결돌기
본 발명은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적재된 내용물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포장상자를 완전히 개봉하지 않고도 소비자가 내용물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하측면을 단일면으로 형성하여 내용물의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지부를 형성하여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상자 측면이 개방되도록 하여 하역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의 환경 또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물건은 포장상자에 수납되어 밀폐된 상태로 시판되고 있으나, 이러한 내용물 포장상자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예를 들면, 과일 등과 같은 물건을 수납하는 포장상자의 경우 하측면은 여러개의 면이 중첩되어 형성되며, 하부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테이프 등으로 밀봉하기 때문에 포장 과정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포장상자에 수납된 내용물의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포장상자의 밀봉 상태를 해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포장상자는 상부면이나 하부면만 개방하여 내용물의 포장을 확인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양심적인 상인들에 의해 상부 내용물과 하부 내용물의 품질이 다르게 된 상태로 내용물의 품질에 대한 불신을 조장할 수 있으며, 상기 테이프를 떼어낼 때, 포장상자가 파손되는 경우에는 그 내용물이 만족스럽지 못하더라도 구매해야 하는 부담을 가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장상자의 손잡이가 없어서 운반이나 하역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납된 내용물을 보호함과 동시에 밀봉상태를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소비자가 내용물의 품질을 판단하도록 할 수 있고, 포장, 운반 및 하역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포장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판지를 포장상자로 전개함으로써, 별도의 테이프로 밀봉하지 않고도 포장기능을 할 수 있는 포장상자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각형의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제1측벽을 형성하는 제1날개편; 및 상기 바닥부재의 다른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서 제2측벽을 형성하는 제2날개편을 포함하되, 상기 바닥부재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날개편은, 상기 바닥부재의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며, 중간부가 소정크기로 절개되고, 양측에 제1연결공이 형성되며, 상측에 손잡이를 형성하도록 내부에 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공 주위를 3부분으로 절개하여 형성함으로써 접어서 수직으로 돌출될 수 있게 상측 파지부가 형성되는 제1접힘부재와, 상기 제1접힘부재에서 연장되며, 내측으로 접혀질 수 있는 제2접힘부재와, 상기 제2접힘부재에서 연장되며 조립되는 경우 상기 바닥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제1접힘부재와 제2접힘부재의 의해 형성된 제1측벽을 지지하는 제3접힘부재와, 상기 제1접힘부재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제2측벽과 제1측벽을 연결하도록 제2측벽 내부에 위치되는 제4접힘부재, 및 상기 제1접힘부와 제2접힘부 사이에 제2연결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2날개편은, 바닥부재에서 전개도상 좌우측으로 연장되며 제2측벽을 이루는 제7접힘부재와, 상기 제7접힘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날개편과 함께 상면의 일부를 이루며 그 소정위치에 내용물 확인을 위한 제1개방공을 갖는 제8접힘부재와, 상기 제8접힘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공에 끼워지는 제2연결돌기와, 상기 제8접힘부재에서 연장되는 제9접힘부재와, 상기 제9접힘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8접힘부재 상에 위치되며 조립후 상기 제1 날개편의 제1연결공에 끼워지는 제1연결돌기, 및 상기 제9접힘부재에서 연장되어 그에 중첩되게 접혀지되 상기 제1개방공과 겹쳐져 연통되는 제2개방공이 형성되며 상측면의 일부를 이중으로 형성하기 위한 제10접힘부재를 구비하는 포장상자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포장상자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후술되는 각 접힘부재는, 바닥부재를 중심으로 대칭 형태로 각 한쌍씩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상자는 포장부를 뜯지 않고도 전체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으며, 운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포장상자는 도1의 전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재(1), 제1날개편(2, 2') 및 제2날개편(3, 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재(1)는 양측 소정위치에 일부가 절개되어 작업자가 운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측면 파지부(9)를 구비한다.
상기 바닥부재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1날개편(2, 2')은 그 중간부가 소정크기로 절개되어 송부면의 손잡이를 형성하기 위한 제1접힘부재(2a)와; 상기 제1접힘부재에서 연장되며, 내부측으로 접혀지기 위한 제2접힘부재(2b)와; 상기 제2접힘부재에서 연장되며, 바닥면에 지지되는 제3접힘부재(2c)와; 상기 제1접힘부재(2a)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측면내부에 위치되는 제4접힘부재(2d)와; 상기 제2접힘부재(2b)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제4접힘부재(2d)와 중첩되는 제5접힘부재(2e)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접힘부재(2a)는 내부에 파지공(8a)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 주위를 3부분으로 절개하여 형성됨으로써, 접어서 수직으로 돌출될 수 있게 상측 파지부(8)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파지부(8)의 양측에 형성된 제1연결공(4a)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접힘부재에서 상측 파지부(8)를 쉽게 분리시키기 위해 절결된 절취부(12)가 제1접힘부재(2a)와 상측 파지부(8)의 경계부에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절취부는 조립시 약간의 힘을 가하여 절삭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접힘부재(2b)는 그의 접힘 경계부에 후술할 제2날개편과 결합하기 연한 제2연결공(5a)을 구비한다. 제3접힘부재(2c)는 제2접힘부재(2b)에서 연장된다. 제4접힘부재(2d)는 그의 일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그물망 접속홈(10)을 구비한다. 제5접힘부재(2e)는 상기 제2접힘부재(2b)에서 연장되며,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연결돌기(6)가 구비되고, 일측면에 대응하는 타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연결공(6a)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돌기 및 연결공을 2 개 형성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바닥부재(1)에서 좌우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2날개편(3, 3')은 바닥부재에서 연장된 제7접힘부재(3a), 상기 제7접힘부재(3a)에서 연장되는 제8접힘부재(3b), 상기 제8접힘부재(3b)에서 연장되며 중첩되게 접히는 제9접힘부재(3c) 및 제10접힘부재(3d)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7접힘부재(3a)는 그의 접힘부 양측에 화살표 형상의 그물망 연결공(11)을 구비한다. 상기 제8접힘부재(3b)는 내용물 확인을 위한 다수의 제1개방공(7)을 구비한다. 제9접힘부재(3c)는 제8접힘부재(3b)와의 접힘부를 향하여 절결되어 상기 제1접힘부재(2a)의 제1연결공이 끼워지기 위한, 제1연결돌기(4)를 구비한다. 상기 제1연결돌기(4)는 상기 제1접힘부재(2a)와 마찬가지로 제8접힘부재(3c)와 절취부(12)로 연결되며, 상기 절취부(12)는 조립시 절삭된다. 제10접힘부재(3d)는 제9접힘부재에서 연장되며, 제1개방공(7)과 연통하는 제2개방공(7a)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조립과정은 도2a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날개편(2, 2')으로 상자의 제1측벽을 형성한다. 바닥부재(1)를 기준으로 제1접힘부재(2a)를 직교하게 접는다. 이후 제2접힘부재(2b)를 상자의 내측으로 접어서 제2연결공(4a)이 상측을 향하게 하며 제3접힘부재(2c)를 접어 바닥부재(1)에 접촉시켜 이후 조립시 파지부(8)가 제1접힘부재(2a)로부터 절삭될 때 형성되는 바닥부재(1)와 제1접힘부재(2a)상의 구멍을 덮는다.
제2측벽은 제4접힘부재(2d) 및 제5접힘부재(2e)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4접힘부재(2d)는 도2a와 같이 측벽이 형성된 후, 제3연결돌기(6) 및 제3연결공(6a)이 도2c와 같이 연결되면 이에 의해 연결되어 제2측벽 내부를 형성한다. 도2b는 제3연결 돌기 및 연결공이 하나일 경우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다.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분에서 휘어져, 상측으로 뜨기 쉽다.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연결부(6),(6a)가 2 이상 복수개일 때는 연결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다. 제5접힘부재(2e)는 상기 제4접힘부재(2d)를 2중으로 덮는다. 상기한 과정으로 형성된 제2측벽은 상기 제1측벽보다 소정 높이만큼 낮아서. 이하 설명될 제2날개편의 조립 과정에서 제10 접힘부재(3d)가 위치할 공간을 형성한다.
측벽을 형성한 후 제2날개편의 제7접힘부재(3a)를 접어서 제2측벽의 외측을 형성한다. 도2a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접힘부재(3b), 제9접힘부재(3c) 및 제10접힘부재(3d)는 'ㄷ'형으로 접혀서 상측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때, 제9접힘부재(3c)는 접혀지면서 제1연결돌기(4)가 상측을 향하게 한다. 상기 제8접힘부재(3b)의 제1개방공(7)과 제10접힘부재(3d)의 제2개방공(7a)은 서로 연통되어, 상기 개방공(7), (7a)을 통해 상자의 포장을 해제하지 않고도 내용물의 상태를 수시로 점검할 수 있게 한다.
도3은 제2날개편이 접힌 후의 포장상자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돌기(5)는 접혀서, 제2접힘부재(2b)에 위치한 제2연결공(5a)에 삽입되어 상측면과 제1측벽을 연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측벽은 제1측벽보다 소정높이 만큼 낮아서 제10접힘부재(3d)가 완전히 접혀졌을 때 위치할 공간을 형성한다.
도4는 각 날개편들이 완전히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힘부재(2a)의 파지부(8)는 제8접힘부재(3b)위로 접혀서 상측면을 형성한다. 이 때, 제9접힘부재(3c)에서 연장되어 제8접힘부재(3b) 상에 위치하는 제1연결돌기(4)는 파지부(8)의 대응하는 제1연결공(4a)에 삽입되어 상측면을 연결한다. 파지부(8)는 상측으로 접혀서 파지공(8a)을 통하여 상자를 한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힘부재(2a) 및 바닥부재(1)에 생긴 파지부(8)가 떨어져 나간 구멍은 외관상 좋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커버부재를 더 부착 할 수 있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13)는 전개도상에서 바닥부재(1), 제1접힘부재(2a), 제2접힘부재(2b)의 내측에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의 조립과정을 거치면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재(1) 및 제1접힘부재에 형성된 상측 파지부(8)가 떨어져 나간 구멍이 덮이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13)에는 미적 도안을 넣을 수도 있다.
상자 포장 후 운반과정에서 임의로 상자를 세워 들어야 하는 경우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재(1)에 포함된 하측면 파지부(9)를 내측으로 젖혀서 운반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하측면 파지부(9)는 상기 개방공(7), (7a)와 조합하여 상자를 한손으로 세워 들 수 있다.
도 7은 포장상자의 상측면에 그물망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자의 내용물이 포도, 딸기 등과 같이 크기가 작아서 유출 될 수 있는 경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에 그물망(14)을 부착할 수 있다. 그물망은 손잡이에 의해 형성된 상측면 상의 구멍 또는 상측면이 연결되며 생기는 틈을 통해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그물망 연결돌기(15)를 구비한다. 상기 그물망 연결돌기(15)는 제2측벽에 있는 그물망 연결공(11)을 통해 삽입되어 그물망 접속홈(10)에 고정되어 상측면과 견고하게 연결된다.
도8a 내지 도8c는 상품 진열시 내용물의 상태를 잘 확인할 수 있도록 상측면이 개방되는 포장상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상자의 전체에서 제품의 상태가 양호한 지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7접힘부재 및 제8접힘부재는, 제품을 진열하는 경우 상측을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8, 9, 10접힘부재를 상자의 하측면으로 접히도록, 제7접힘부재의 양측 중간 지점에, 상자 높이의 가운데 부근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절개되고, 계속하여 제8접힘부재(3b)상에 제9접힘부재(3c)의 끝부분을 향해 절개되어 형성된 절단선(20)과 상기 제7접힘부재(3a)의 절단선과 제8접힘부재(3b)의 절단선을 연결하는 절취부(12)를 구비하여, 제품을 진열시 제1접힘부재(2a)를 제1측벽 및 하측으로 접어서 상부를 개방한 후, 상기 절취부(12)를 절개하여 연결된 절단선(20)을 형성하고, 상기 절단선(20)에 의해 형성된 접힘선을 기준으로 제8접힘부재 내지 제10접힘부재(3b, 3c, 3d)를 하측면(1) 아래로 접으면,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이 개방된 채로 제품을 진열할 수 있다. 또한, 모서리 부분은 제2연결돌기(5) 및 제2연결공(5a)에 의해 연결된 제7접힘부재 및 제8접힘부재(3a, 3b)의 양 끝단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측면의 접힘부재들이 펼쳐 지더라도 상자가 해체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8 내지 제10접힘부재를 펼쳐서 상측면을 덮을 수 있어서, 제품을 오래 진열하더라도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8접힘부재(3b)의 끝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8접힘부재(3b)와 수직하게 접히도록 형성되는 제4연결돌기(21)가 구비되어, 상기 제1날개편(2, 2')에 의해 형성되는 제1측벽의 상부 중간 지점 부근에 형성된 제4연결공(21a)에 삽입되어 상자의 상측면을 제1측벽에 고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포장상자는, 복수개의 연결부를 구비하도록 전개하여 별도의 포장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자 형태를 이룸으로써 상자의 포장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고, 기존의 포장상자들이 가졌던 내용물이 하부로 유출되는 문제를 제거할 수 있고, 포장상자에 개방공을 형성하여 소비자가 내용물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진열시 상부가 완전히 개방되어 제품의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어서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파지부를 구비하여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 및 개방을 용이하게 하여 운반 및 하역작업의 번거로움을 제거하는 한편, 커버부재를 부착하여 외관을 장식할 수 있으며, 그물망을 이용하여, 내용물 유출을 방지하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사각형의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제1측벽을 형성하는 제1날개편; 및 상기 바닥부재의 다른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서 제2측벽을 형성하는 제2날개편을 포함하되,
    상기 바닥부재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날개편은
    상기 바닥부재의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며 중간부가 소정크기로 절개되고 양측에 제1연결공이 형성되며 상측에 손잡이를 형성하도록 내부에 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공 주위를 3부분으로 절개하여 형성함으로써 접어서 수직으로 돌출될 수 있게 상측 파지부가 형성되는 제1접힘부재와, 상기 제1접힘부재에서 연장되며 내측으로 접혀질 수 있는 제2접힘부재와, 상기 제2접힘부재에서 연장되며 조립되는 경우 상기 바닥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제1접힘부재와 제2접힘부재의 의해 형성된 제1측벽을 지지하는 제3접힘부재와, 상기 제1접힘부재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제2측벽과 제1측벽을 연결하도록 제2측벽 내부에 위치되는 제4접힘부재, 및 상기 제1접힘부재와 제2접힘부재 사이에 제2연결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2날개편은
    바닥부재에서 전개도상 좌우측으로 연장되며 제2측벽을 이루는 제7접힘부재와, 상기 제7접힘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날개편과 함께 상면의 일부를 이루며 그 소정위치에 내용물 확인을 위한 제1개방공을 갖는 제8접힘부재와, 상기 제8접힘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공에 끼워지는 제2연결돌기와, 상기 제8접힘부재에서 연장되는 제9접힘부재와, 상기 제9접힘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8접힘부재 상에 위치되며 조립후 상기 제1날개편의 제1연결공에 끼워지는 제1연결돌기, 및 상기 제9접힘부재에서 연장되어 그에 중첩되게 접혀지되 상기 제1개방공과 겹쳐져 연통되는 제2개방공이 형성되며 상측면의 일부를 이중으로 형성하기 위한 제10접힘부재를 구비하는
    포장상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힘부재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제4접힘부재와 중첩되며, 그 중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제3연결돌기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도록 하나 이상의 제3연결공이 형성된 제5접힘부재를 더 포함하는
    포장상자.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힘부재에 생긴 상측 파지부가 떨어져 나간 구멍을 커버하기 위해 바닥부재, 제1접힘부재 및 제2접힘부재의 내측에 부착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포장상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편을 이루는 제4접힘부재의 일단부에 그물망 접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날개편을 이루는 제7접힘부재의 접힘부위에 그물망 연결공이 형성되고;
    각 접힘부재가 접혀져 조립된 후,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제4접힘부재의 그물망 접속홈을 통해 제7접힘부재의 그물망 연결공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그들에 대응하는 부위에 연결돌기가 구비된 그물망을 더 포함하는
    포장상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힘부재는 조립전 바닥부재에 연결되게 하는 절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연결돌기는 조립전 제8접힘부재에 연결되게 하는 절취부를 구비하는
    포장상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7접힘부재 및 제8접힘부재는, 제품을 진열하는 경우 상측을 개방할 수 있게, 상기 제8, 9, 10접힘부재를 상자의 하측면으로 접히도록, 상기 제7접힘부재의 너비방향의 양측 중간지점으로부터 제9접힘부재의 양 끝단까지 연결되는 두 절단선을 구비하는
    포장상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7접힘부재의 절단선과 제8접힘부재의 절단선은 절취부로 연결되는
    포장상자.
KR1020020016510A 2001-12-31 2002-03-26 개량형 포장상자 KR100545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9187 2001-12-31
KR20010089187 2001-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908A KR20030058908A (ko) 2003-07-07
KR100545627B1 true KR100545627B1 (ko) 2006-01-24

Family

ID=32216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510A KR100545627B1 (ko) 2001-12-31 2002-03-26 개량형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6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222B1 (ko) * 2011-08-12 2014-04-14 박인식 손잡이가 내장된 포장상자 및 그 사용방법
JP6576260B2 (ja) * 2016-02-08 2019-09-1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容器のロック構造
KR102283525B1 (ko) * 2020-12-31 2021-08-09 이근유 사용 편의성을 갖는 딸기 포장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4549A1 (de) * 1989-04-27 1990-10-31 GÜNTER HOFFMANN GMBH & CO. KG KARTONAGENFABRIK Obst- oder Gemüsekiste
KR19980060480U (ko) * 1997-03-12 1998-11-05 정정일 포장박스
JPH10338232A (ja) * 1997-06-04 1998-12-22 Natl Fedelation Of Agricult Coop Assoc 紙 箱
KR200247886Y1 (ko) * 2001-07-05 2001-10-26 손진현 포장 상자
KR200264621Y1 (ko) * 2001-11-10 2002-02-16 정갑성 포장용 상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4549A1 (de) * 1989-04-27 1990-10-31 GÜNTER HOFFMANN GMBH & CO. KG KARTONAGENFABRIK Obst- oder Gemüsekiste
KR19980060480U (ko) * 1997-03-12 1998-11-05 정정일 포장박스
JPH10338232A (ja) * 1997-06-04 1998-12-22 Natl Fedelation Of Agricult Coop Assoc 紙 箱
KR200247886Y1 (ko) * 2001-07-05 2001-10-26 손진현 포장 상자
KR200264621Y1 (ko) * 2001-11-10 2002-02-16 정갑성 포장용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908A (ko) 200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934B1 (ko)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KR100545627B1 (ko) 개량형 포장상자
KR20090011014U (ko) 포장박스
KR102183320B1 (ko) 계란 포장상자
JP3431739B2 (ja) 収容箱
KR200381612Y1 (ko) 칸막이용 운반 손잡이를 구비한 상자
JP7339405B2 (ja) 梱包箱
KR100773990B1 (ko) 포장용 상자
KR19980067913U (ko) 포장용 종이 상자체
JP7118636B2 (ja) 梱包箱
KR20000006250U (ko) 통풍공이 형성된 포장용 상자체
KR200159285Y1 (ko) 물품포장용 상자
KR200496433Y1 (ko) 전면 개폐가 가능한 포장용 상자
JP2005289490A (ja) 段ボール製梱包箱装置
JP3490556B2 (ja) 収容箱
KR0122997Y1 (ko) 포장박스
KR200319543Y1 (ko) 포장용 종이상자
JP2021041964A (ja) 梱包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た包装材
KR200250369Y1 (ko) 포장용상자
KR200261162Y1 (ko) 피자 포장박스
KR200469979Y1 (ko) 용기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JPH11334737A (ja) 包装装置
KR200216520Y1 (ko) 측면 개방구조를 갖는 포장용 상자
KR200298193Y1 (ko) 절첩식 상자
KR20230068862A (ko) 논테이핑 포장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