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320B1 - 계란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계란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320B1
KR102183320B1 KR1020200078265A KR20200078265A KR102183320B1 KR 102183320 B1 KR102183320 B1 KR 102183320B1 KR 1020200078265 A KR1020200078265 A KR 1020200078265A KR 20200078265 A KR20200078265 A KR 20200078265A KR 102183320 B1 KR102183320 B1 KR 102183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plate
support plate
packaging box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혜미
Original Assignee
손혜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혜미 filed Critical 손혜미
Priority to KR1020200078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eggs
    • B65D85/327Containers with compartment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of two or more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8Means facilitating suspending, lifting, handling, or the like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계란을 파손 없이 안전하게 유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계란 판매장에서 소비자가 계란을 구입하고 집으로 이송할 때도 간편하고 용이하며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계란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계란의 하부 일부를 끼워 결합하는 복수 개의 계란수용 홀이 종횡 방향을 따라 적어도 1열 이상 형성된 하부계란판과, 계란의 상부 일부를 끼워 결합하는 복수 개의 계란수용 홀이 종횡 방향을 따라 적어도 1열 이상 형성된 상부계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계란판 상부계란판은 상호 마주보며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계란 포장상자{Egg Package Box}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계란을 파손 없이 안전하게 유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계란 판매장에서 소비자가 계란을 구입하고 집으로 이송할 때도 간편하고 용이하며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계란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란은 앙계장에서 생산되어 규격화된 계란판(난좌)에 정량 포장되고 그 포장된 상태를 유지하여 운송수단에 다단으로 적재되어 운반되며, 매장에서는 소비자가 계란판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구입하게 된다.
한편, 기존의 계란판은 소비자가 이를 가정으로 운반하기 위해 계란판 위에 덮개를 씌우고 끈이나 테이프로 결속하여 손으로 들고 가게 되는데, 계란판을 수평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들어야 했으므로 팔을 몸에서 이격시킨 상태가 되어 운반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운반도중 손에 들고 있는 계란판이 다리에 걸리 적거리게 되며, 이를 세울 경우 계란판에 안치된 계란이 흐트러지게 되거나 밖으로 빠져나올 우려가 있었다.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 내지 4가 개시되어 있는데, 특허문헌 1은 계란포장용기(난좌)가 별도의 박스형 보호대에 의해 감싸여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 중 일어날 수 있는 외부의 충격이나 부딪힘 등에도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어 내용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히 난좌를 박스형 보호대로 재포장하는 형태로만 이루어져 이의 운반 즉, 소비자가 계란 1판을 구입하여 들고 갈 때 별도의 끈으로 묶어주거나 두 손으로 수평이 되도록 들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남아 있었다.
특허문헌 2의 다용도 포장용기도 계란 등을 안치하는 난좌의 외부를 감싸는 양측이 개방된 통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적층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 또한 개별 운반시에 별도의 손잡이 기능이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3의 포장계란 캐리어는 계란판과 커버로 이루어진 계란케이스의 외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캐리어가 감싸지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계란판과 커버로 이루어진 계란케이스와 이 계란케이스를 다시 감싸는 캐리어로 이루어져 있어 포장비용이 상당히 비싸지게 되는 것은 물론, 양계장에서 계란케이스에 계란을 담을 때 계란케이스에 커버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어 커버를 벌린 상태에서 계란을 담아주어야 했었으므로 계란케이스의 부피가 불필요하게 크며, 커버로 인해 포장에 간섭을 일으키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계란을 담는 작업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캐리어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도 접히지 않고 돌출되어 있음으로, 이를 포장 박스에 다단으로 적층 포장할 경우 측부로 돌출된 박스로 인해 박스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물류비가 상승하게 되는 단점도 있었다.
특허문헌 4에는 손잡이가 삽입된 판형 계란판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소비자가 계란 1판을 한 손으로 가방을 들 듯이 운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계란판 자체에 커버(덮개)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어 상술한 특허문헌 3에서와같이 양계장에서 계란을 담을 때 커버의 간섭으로 인해 계란의 포장 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1377호(2000.11.13.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4470호(2006.08.14.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2414호(2011.02.17.등록)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5715호(2011.06.10.공개)
본 발명의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계란을 유통하는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해도 파손 없이 안전하게 유통할 수 있고, 또 계란 판매장에서 소비자가 계란을 구입하고 집으로 이송할 때도 간편하고 용이하며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계란 포장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계란(E)의 하부 일부를 끼워 결합하는 복수 개의 계란수용 홀(111)이 종횡 방향을 따라 적어도 1열 이상 형성된 상부지지판(110)이 마련되고, 그 상부지지판(110) 하부에는 상기 계란수용 홀(111)에 끼워진 계란의 하단부가 닫지 않도록 상기 상부지지판(110)과 일정간격 유지하는 하부지지판(120)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지지판(110,120)의 양측 단부는 상/하부지지판(110,120)을 일체로 연결하는 측벽(130)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지지판(110,120)의 중앙부에는 하부중앙 벽(14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중앙 벽(140)에는 상기 상부지지판의 표면 외부로 노출되는 하부간격유지구(150)을 형성시켜 된 하부계란판(100);
계란(E)의 상부 일부를 끼워 결합하는 복수 개의 계란수용 홀(211)이 종횡 방향을 따라 적어도 1열 이상 형성된 하부지지판(210)이 마련되고, 그 하부지지판 (210)의 상부에는 상기 계란수용 홀(211)에 끼워진 계란의 상단부가 닫지 않도록 상기 하부지지판(210)과 일정간격 유지하는 상부지지판(220)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지지판(210,220)의 양측 단부는 상/하부지지판(210,220)을 일체로 연결하는 측벽(230)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지지판(210,220)의 중앙부에는 상부중앙 벽(240)이 상호 마주보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여 하부지지판(210)의 중앙부 표면과 1열의 계란 상부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부(260)가 일측단에서 타측단에 이르기까지 형성되며, 상기 상부중앙 벽(240)에는 하부지지판의 표면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간격유지구(250)을 형성시켜 된 상부계란판(200); 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계란 포장상자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계란을 유통하는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해도 파손 없이 안전하게 유통할 수 있고, 또 계란 판매장에서 소비자가 계란을 구입하고 집으로 이송할 때도 간편하고 용이하며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계란 포장상자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계란 포장상자에서 하부계란판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계란 포장상자에서 상부계란판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계란 포장상자에 계란이 안착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계란 포장상자에 손잡이가 설치된 상태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계란 포장상자에 손잡이가 설치된 상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계란 포장상자를 복수 층으로 적층 한 상태에서 그 적층 된 계란 포장상자들이 임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 상태의 실시 예도.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계란을 파손 없이 안전하게 유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계란 판매장에서 소비자가 계란을 구입하고 집으로 이송할 때도 간편하고 용이하며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계란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계란 포장상자는, 계란(E)의 하부 일부를 끼워 결합하는 복수 개의 계란수용 홀(111)이 종횡 방향을 따라 적어도 1열 이상 형성된 상부지지판(110)이 마련되고, 그 상부지지판(110) 하부에는 상기 계란수용 홀(111)에 끼워진 계란의 하단부가 닫지 않도록 상기 상부지지판(110)과 일정간격 유지하는 하부지지판(120)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지지판(110,120)의 양측 단부는 상/하부지지판(110,120)을 일체로 연결하는 측벽(130)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지지판(110,120)의 중앙부에는 하부중앙 벽(14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중앙 벽(140)에는 상기 상부지지판의 표면 외부로 노출되는 하부간격유지구(150)을 형성시켜 된 하부계란판(100);
계란(E)의 상부 일부를 끼워 결합하는 복수 개의 계란수용 홀(211)이 종횡 방향을 따라 적어도 1열 이상 형성된 하부지지판(210)이 마련되고, 그 하부지지판 (210)의 상부에는 상기 계란수용 홀(211)에 끼워진 계란의 상단부가 닫지 않도록 상기 하부지지판(210)과 일정간격 유지하는 상부지지판(220)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지지판(210,220)의 양측 단부는 상/하부지지판(210,220)을 일체로 연결하는 측벽(230)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지지판(210,220)의 중앙부에는 상부중앙 벽(240)이 상호 마주보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여 하부지지판(210)의 중앙부 표면과 1열의 계란 상부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부(260)가 일측단에서 타측단에 이르기까지 형성되며, 상기 상부중앙 벽(240)에는 하부지지판의 표면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간격유지구(250)을 형성시켜 된 상부계란판(200); 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상기의 구성에서 하부계란판(100)은, 본 발명의 계란 포장상자에서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계란판(200)은 상부에 위치하며, 이와 같은 하부계란판(100)과 상부계란판(200)은 각 계란수용 홀(111,211)에 계란의 상/하부 일부가 끼워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한다.
상기 하부계란판(100)은, 계란(E)의 하부 일부를 끼워 결합하는 복수 개의 계란수용 홀(111)이 종횡 방향을 따라 적어도 1열 이상 형성된 상부지지판(110)이 마련되고, 그 상부지지판(110) 하부에는 상기 계란수용 홀(111)에 끼워진 계란의 하단부가 닫지 않도록 상기 상부지지판(110)과 일정간격 유지하는 하부지지판(120)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지지판(110,120)의 양측 단부는 상/하부지지판(110,120)을 일체로 연결하는 측벽(130)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지지판(110,120)의 중앙부에는 하부중앙 벽(14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중앙 벽(140)의 선단부에는 상기 상부지지판(120)의 표면 외부로 노출되는 하부간격유지구(150)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하부계란판(100) 구성에서 계란수용 홀(11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지지판(110)의 종횡 방향을 따라 적어도 1열 이상 형성되는 것으로, 계란수용 홀(111)의 크기는, 계란수용 홀(111)에 계란의 하부 일부가 끼워 결합된 상태에서 계란(E)의 하단이 하부지지판(120)에 접촉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계란의 1/3 미만 끼워 결합 될 수 있는 크기가 좋다.
또 상기 하부계란판(100) 구성에서 하부지지판(120)은, 상기 상부지지판(110)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지지판(110)과 하부지지판(120)간의 이격 간격은, 상기 계란수용 홀(111)에 끼워 결합된 계란의 단부가 하부지지판(120)에 접촉되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을 유지하면 된다.
그 이유는, 본 발명의 계란 포장상자에 계란을 안착시킨 후 유통 또는 이송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해도 그 충격이 계란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계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지지판(110)과 하부지지판(120) 간의 이격 간격을 결정하는 것은, 상/하부지지판(110,120)을 일체로 연결하는 측벽(130)과 하부중앙 벽(140)의 높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고, 상기 측벽(130)과 하부중앙 벽(140)은 상기에서 설명한 상/하부지지판(110,120) 간의 이격 간격을 결정함과 동시에 하부계란판(100)을 견고하게 지탱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 상기 하부중앙 벽(140)의 선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상부계란판(200)의 상부간격유지구(250)와 결합되어 하부계란판(100)과 상부계란판(200) 간의 간격으로 유지시키며 지지하는 하부간격유지구(15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상기 하부계란판(100)은, 직사각형의 골판지를 접어 형성시킨 것으로, 그 하부계란판(100)을 형성하는 일실시 예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계란판(100)은, 직사각형의 골판지를 접어 형성시킨 것으로, 길이방향 양측 단에 하부간격유지구(150)을 형성하는 끼움 홀(152)이 형성된 돌출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양 돌출부(151)의 내측으로는 상기 하부중앙 벽(140)을 형성하는 하부중앙벽부(141)가 접이 선(142)을 따라 접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양 접이 선(142)의 내측으로는 하부지지판(120)을 형성하는 하부지지판부(121)가 접이 선(122)을 따라 접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양 접이 선(122)의 내측으로는 측벽(130)을 형성하는 측벽부(131)가 접이 선(132)를 따라 접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양 접이 선(132)의 내측으로는 계란(E)의 하부 일부를 끼워 결합하는 복수 개의 계란수용 홀(111)이 천공된 상부지지판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판부(112)에는 상기 돌출부(151)가 긴밀하게 끼워 결합되는 상부결합 홀(113)을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단 상기 하부간격유지구(150)을 형성하는 돌출부(151)는 하부지지판(120)의 선단부 중앙에 형성시키거나, 또는 하부지지판(120)의 선단부 양측에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와 같이 돌출부(151)가 하부지지판(120)의 선단부 중앙 또는 양측에 형성될 경우에는 상부지지판부(112)에 형성되는 상부결합 홀(113)도 상부지지판부(112)의 중앙 또는 양측에 형성시켜 돌출부(151)가 상부결합 홀(113)에 긴밀하게 끼워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하부지지판(120)은, 양측의 각 접이 선(132)을 접어 중앙부에서 각 측벽(140)이 중첩되게 하는 것이고, 상기 돌출부(151)에 형성된 끼움 홀(152)은, 적어도 1개 이상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벽(130)의 높이와 하부중앙 벽(140)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하부계란판(100)을 접는 방법은,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골판지가 펼쳐진 상태에서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지지판부(112)의 양측에 형성된 접이 선(132)를 하부로 접고 또 양 측벽부(131)의 양측에 형성된 접이 선(122) 및 하부지지판부(121)의 양측에 형성된 접이 선(142)를 순차적으로 접고 하부간격유지구(150)를 상부결합 홀(113)에 끼워 결합하면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계란판(100)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계란판(200)은, 계란(E)의 상부 일부를 끼워 결합하는 복수 개의 계란수용 홀(211)이 종횡 방향을 따라 적어도 1열 이상 형성된 하부지지판(210)이 마련되고, 그 하부지지판(210) 상부에는 상기 계란수용 홀(211)에 끼워진 계란의 상단부가 닫지 않도록 상기 하부지지판(210)과 일정간격 유지하는 상부지지판(220)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지지판(210,220)의 양측 단부는 상/하부지지판(210,220)을 일체로 연결하는 측벽(230)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지지판(210,220)의 중앙부에는 하부중앙 벽(24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중앙 벽(240)의 선단부에는 상기 하부지지판(210)의 표면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간격유지구(250)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상부계란판(200) 구성에서 계란수용 홀(21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지지판(210)의 종횡 방향을 따라 적어도 1열 이상 형성되는 것으로, 계란수용 홀(211)의 크기는, 상기에서 설명한 하부계란판(100)의 계란수용 홀(111)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상부계란판(200) 구성에서 상부지지판(220)은, 상기 하부지지판(210)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지지판(210)과 상부지지판(220)간의 이격 간격은, 상기 계란수용 홀(211)에 끼워 결합된 계란의 단부가 상부지지판(220)에 접촉되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본 발명의 계란 포장상자에 계란을 안착시킨 후 유통 또는 이송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해도 그 충격이 계란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계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지지판(210)과 상부지지판(220) 간의 이격 간격을 결정하는 것은, 상/하부지지판(210,220)을 일체로 연결하는 측벽(230)과 상부중앙 벽(240)의 높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고, 상기 측벽(230)과 상부중앙 벽(240)은 상기에서 설명한 상/하부지지판(210,220) 간의 이격 간격을 결정함과 동시에 상부계란판(200)을 견고하게 지탱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 상기 상부중앙 벽(240)의 선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하부계란판(100)의 하부간격유지구(150)와 결합되어 하부계란판(100)과 상부계란판(200) 간의 간격으로 유지시키며 지지하는 상부간격유지구(25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상기 상부계란판(200)은, 직사각형의 골판지를 접어 형성시킨 것으로, 그 상부계란판(200)을 형성하는 일실시 예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 양측 단에 상부간격유지구(250)을 형성하는 끼움 홀(252)이 형성된 돌출부(251)가 형성되고, 상기 양 돌출부(251)의 내측으로는 상기 상부중앙 벽(240)을 형성하는 상부중앙벽부(241)가 접이 선(242)을 따라 접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양 접이 선(242)의 내측으로는 상부지지판(220)을 형성하는 상부지지판부(221)가 접이 선(222)을 따라 접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양 접이 선(222)의 내측으로는 측벽(230)을 형성하는 측벽부(231)가 접이 선(232)를 따라 접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양 접이 선(232)의 내측으로는 계란(E)의 상부 일부를 끼워 결합하는 복수 개의 계란수용 홀(211)이 천공된 하부지지판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판부(212)의 중앙부에는 상기 돌출부(251)가 긴밀하게 끼워 결합되는 상부결합 홀(213)을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단 상기 상부간격유지구(250)을 형성하는 돌출부(251)는 상부지지판(220)의 선단부 중앙에 형성시키거나, 또는 상부지지판(220)의 선단부 양측에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와 같이 돌출부(251)가 상부지지판(220)의 선단부 중앙 또는 양측에 형성될 경우에는 하부지지판부(212)에 형성되는 상부결합 홀(213)도 하부지지판부(212)의 중앙 또는 양측에 형성시켜 돌출부(251)가 상부결합 홀(213)에 긴밀하게 끼워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상부지지판(220)은, 양측의 각 접이 선(232)을 접어 중앙부에서 각 측벽(240)이 중첩되게 하는 것이고, 상기 돌출부(251)에 형성된 끼움 홀(252)은, 적어도 1개 이상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벽(230)의 높이와 상부중앙 벽(240)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각각의 돌출부(151,251) 높이는, 상/하부중앙 벽(140,24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각 돌출부(151,251)에 형성된 끼움 홀(152,252)의 깊이는, 상기 돌출부(151,251) 높이의 1/2 깊이를 갖도록 형성시켜 상기 돌출부(151,251)가 끼움 홀(152,252)에 끼워 결합 되었을 때 각 돌출부(151,251)의 단부가 상/하부계란판(100,200)의 상호 마주보는 표면에 접촉되어 상/하부계란판(100,200)의 이격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하부계란판(100,200)의 유동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각 돌출부(151,251)의 상호 결합은 "+"자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부계란판(100)을 접는 방법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골판지가 펼쳐진 상태에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지지판부(212)의 양측에 형성된 접이 선(332)을 상부로 접고 또 양 측벽(231)의 양측에 형성된 접이 선(222) 및 상부지지판부(221)의 양측에 형성된 접이 선(242)를 순차적으로 접고, 상부간격유지구(250)를 하부결합 홀(213)에 끼워 결합하면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계란판(200)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계란판(200)은, 상부중앙 벽(240)이 상호 마주보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여 하부지지판(210)의 중앙부 표면과 1열의 계란 상부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부(260)를 상기 상부계란판(200)의 일측단에서 타측단에 이르기까지 형성시킬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소비자가 계란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개방부(260)의 위치는 중앙부에 형성시킬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양측에 각각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하부계란판(100)과 상부계란판(200)의 4방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동일선상에 구멍이 천공되고, 그 천공된 구멍에는 손잡이(300)를 형성하는 끈이 관통되게 설치하되, 그 끈의 끝단은 상기 구멍으로 빠지지 않도록 매듭을 형성하여 하부계란판(100)과 상부계란판(200)으로 구성되는 계란 포장상자를 용이하게 들고 이송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방부(260)를 중심으로 양 상부지지판(220) 간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300)를 연결 설치하여 본 발명의 계란 포장상자를 용이하게 들고 운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300)가 개방부(260)를 중심으로 양 상부지지판(220) 간에 설치될 때에는 상부계란판(200)이 분리되지 않도록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계란판(100)의 측벽(130) 중앙부분의 연결부(160)를 상부계란판(200)의 상부중앙 벽(240)에 끼워 결합하여 하부계란판(100)과 상부계란판(200)이 일체가 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부계란판(200)의 측벽(230) 중앙부분의 연결부(270)를 하부계란판(100)의 상부중앙 벽(140)에 끼워 결합하여 상기 하부계란판(100)과 상부계란판(200)이 일체가 되도록 하거나,
상기 각 측벽(130,230) 중앙부분의 각 연결부(160,270)를 상부계란판(200)의 상부중앙 벽(240)과 하부계란판(100)의 상부중앙 벽(140)에 끼워 결합하여 사용해야 한다.
상기 측벽(130) 중앙부분의 연결부(160)를 상부계란판(200)의 상부중앙 벽(240)에 끼워 결합하는 구성은, 상기 하부계란판(100)의 측벽(130) 중앙부분은,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절취되는 절취선(161)을 형성하여 연결부(160)를 마련하고, 그 연결부(160)의 상부에는 접이 선(162)을 따라 접어지는 결합부(163)를 형성하며 그 결합부(163)에는 결합 홀(164)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 홀(164)이 상부계란판(200)의 상부중앙 벽(240)에 끼워 결합되게 하여 상기 하부계란판(100)과 상부계란판(200)이 일체가 되도록 한다.
또 상기 측벽(230) 중앙부분의 연결부(270)를 하부계란판(100)의 상부중앙 벽(140)에 끼워 결합하는 구성은, 상기 상부계란판(200)의 측벽(230) 중앙부분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절취되는 절취선(271)을 형성하여 연결부(270)를 마련하고, 그 연결부(270)의 상부에는 접이 선(272)을 따라 접어지는 결합부(273)를 형성하며 그 결합부(273)에는 결합 홀(274)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 홀(274)이 하부계란판(100)의 상부중앙 벽(140)에 끼워 결합되게 하여 상기 하부계란판(100)과 상부계란판(200)이 일체가 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계란 포장상자는 손잡이(300)가 없는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300)가 없는 계란 포장상자에 계란을 안착시키고 유통할 때에는 본 발명의 계란 포장상자가 수용되는 포장박스에 복수 개의 계란 포장상자를 적층하여 포장박스를 포장 후 유통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의 계란 포장상자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층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유통하거나 또는 매장에서 판매할 때에 충격 또는 불균형으로 인하여 상기 복수 층으로 적층된 계란 포장상자 중 일부가 추락하여 계란이 파손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상기의 추락으로 인한 계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계란 포장상자의 4방에 형성된 구멍이 일치되도록 계란 포장상자를 복수 층으로 적층하고 그 적층된 계란 포장상자의 일치된 구멍(H)으로 고정수단(400)인 고정 핀 또는 고정끈을 관통하여 고정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계란 포장상자는 복수 층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유통하거나 또는 매장에서 판매할 때에 충격 또는 불균형으로 인하여 상기 복수 층으로 적층된 계란 포장상자들이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상호 의지하며 위치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계란 포장상자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계란을 유통하는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해도 파손 없이 안전하게 유통할 수 있고, 또 계란 판매장에서 소비자가 계란을 구입하고 집으로 이송할 때도 간편하고 용이하며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하부계란판 110 : 상부지지판
111 : 계란수용 홀 112 : 상부지지판부
113 : 상부결합 홀 120 : 하부지지판
121 : 하부지지판부 122 : 접이 선
130 : 측벽 131 : 측벽부
132 : 접이 선 140 : 하부중앙 벽
141 : 하부중앙벽부 142 : 접이 선
150 : 하부간격유지구 151 : 돌출부
152 : 끼움 홀 160 : 연결부
161 : 절취선 162 : 접이 선
163 : 결합부 164 : 결합 홀
200 : 상부계란판 210 : 하부지지판
211 : 계란수용 홀 212 : 하부지지판부
213 : 하부결합 홀 210 : 하부지지판
220 : 상부지지판 221 : 상부지지판부
222 : 접이 선 230 : 측벽
231 : 측벽부 232 : 접이 선
240 : 상부중앙 벽 241 : 상부중앙벽부
242 : 접이 선 250 : 상부간격유지구
251 : 돌출부 252 : 끼움 홀
260 : 개방부 270 : 연결부
271 : 절취선 272 : 접이 선
273 : 결합부 274 : 결합 홀
300 : 손잡이 400 : 고정수단
E : 계란 H : 구멍

Claims (11)

  1. 계란(E)의 하부 일부를 끼워 결합하는 복수 개의 계란수용 홀(111)이 종횡 방향을 따라 적어도 1열 이상 형성된 상부지지판(110)이 마련되고, 그 상부지지판(110) 하부에는 상기 계란수용 홀(111)에 끼워진 계란의 하단부가 닫지 않도록 상기 상부지지판(110)과 일정간격 유지하는 하부지지판(120)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지지판(110,120)의 양측 단부는 상/하부지지판(110,120)을 일체로 연결하는 측벽(130)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지지판(110,120)의 중앙부에는 하부중앙 벽(14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중앙 벽(140)에는 상기 상부지지판의 표면 외부로 노출되는 하부간격유지구(150)을 형성시켜 된 하부계란판(100);
    계란(E)의 상부 일부를 끼워 결합하는 복수 개의 계란수용 홀(211)이 종횡 방향을 따라 적어도 1열 이상 형성된 하부지지판(210)이 마련되고, 그 하부지지판 (210)의 상부에는 상기 계란수용 홀(211)에 끼워진 계란의 상단부가 닫지 않도록 상기 하부지지판(210)과 일정간격 유지하는 상부지지판(220)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지지판(210,220)의 양측 단부는 상/하부지지판(210,220)을 일체로 연결하는 측벽(230)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지지판(210,220)의 중앙부에는 상부중앙 벽(240)이 상호 마주보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여 하부지지판(210)의 중앙부 표면과 1열의 계란 상부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부(260)가 일측단에서 타측단에 이르기까지 형성되며, 상기 상부중앙 벽(240)에는 하부지지판의 표면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간격유지구(250)을 형성시켜 된 상부계란판(200); 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계란판(100)은, 직사각형의 골판지를 접어 형성시킨 것으로,
    길이방향 양측 단에 하부간격유지구(150)을 형성하는 끼움 홀(152)이 형성된 돌출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51)의 내측으로는 상기 하부중앙 벽(140)을 형성하는 하부중앙벽부(141)가 접이 선(142)을 따라 접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접이 선(142)의 내측으로는 하부지지판(120)을 형성하는 하부지지판부(121)가 접이 선(122)을 따라 접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접이 선(122)의 내측으로는 측벽(130)을 형성하는 측벽부(131)가 접이 선(132)를 따라 접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접이 선(132)의 내측으로는 계란(E)의 하부 일부를 끼워 결합하는 복수 개의 계란수용 홀(111)이 천공된 상부지지판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판부(112)에는 상기 돌출부(151)가 긴밀하게 끼워 결합되는 상부결합 홀(113)을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계란판(200)은, 직사각형의 골판지를 접어 형성시킨 것으로,
    길이방향 양측 단에 상부간격유지구(250)을 형성하는 끼움 홀(252)이 형성된 돌출부(25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51)의 내측으로는 상기 상부중앙 벽(240)을 형성하는 상부중앙벽부(241)가 접이 선(242)을 따라 접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접이 선(242)의 내측으로는 상부지지판(220)을 형성하는 상부지지판부(221)가 접이 선(222)을 따라 접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접이 선(222)의 내측으로는 측벽(230)을 형성하는 측벽부(231)가 접이 선(232)을 따라 접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접이 선(232)의 내측으로는 계란(E)의 상부 일부를 끼워 결합하는 복수 개의 계란수용 홀(211)이 천공된 하부지지판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판부(212)에는 상기 돌출부(251)가 긴밀하게 끼워 결합되는 하부결합 홀(213)을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상자.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돌출부(151,251) 높이는, 상/하부중앙 벽(140,24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51,251)에 형성된 각 끼움 홀(152,252)의 깊이는, 상기 돌출부(151,251) 높이의 1/2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51,251)가 끼움 홀(152,252)에 끼워 결합 되었을 때 돌출부(151,251)의 단부가 상/하부계란판(100,200)의 상호 마주보는 표면에 접촉되어 상/하부계란판(100,200)의 이격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하부계란판(100,20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상자.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260)를 중심으로 양 상부지지판(220) 간에는 손잡이(300)를 연결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상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계란판(100)과 상부계란판(200)의 4방에는 수직 동일선상에 구멍이 천공되고, 그 천공된 구멍에는 손잡이(300)를 형성하는 끈이 관통되게 설치하되, 그 끈의 끝단은 상기 구멍으로 빠지지 않도록 매듭을 형성하여 하부계란판(100)과 상부계란판(200)으로 구성되는 계란 포장상자를 용이하게 들고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상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계란판(200)의 중앙부에 손잡이(300)를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상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계란판(100)의 측벽(130) 중앙부분은,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절취되는 절취선(161)을 형성하여 연결부(160)를 마련하고, 그 연결부(160)에는 접이 선(162)을 따라 접어지는 결합부(163)를 형성하며 그 결합부(163)에는 결합 홀(164)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 홀(164)이 상부계란판(200)의 상부중앙 벽(240)에 끼워 결합되게 하여 상기 하부계란판(100)과 상부계란판(200)이 일체가 되도록 구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상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계란판(200)의 측벽(230) 중앙부분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절취되는 절취선(271)을 형성하여 연결부(270)를 마련하고, 그 연결부(270)에는 접이 선(272)을 따라 접어지는 결합부(273)를 형성하며 그 결합부(273)에는 결합 홀(274)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 홀(274)이 하부계란판(100)의 상부중앙 벽(140)에 끼워 결합되게 하여 상기 하부계란판(100)과 상부계란판(200)이 일체가 되도록 구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상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간격유지구(150)는, 하부중앙 벽(140)의 선단 중앙부 또는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간격유지구(250)는, 상부중앙 벽(240)의 선단 중앙부 또는 양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상자.
KR1020200078265A 2020-06-26 2020-06-26 계란 포장상자 KR102183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265A KR102183320B1 (ko) 2020-06-26 2020-06-26 계란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265A KR102183320B1 (ko) 2020-06-26 2020-06-26 계란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320B1 true KR102183320B1 (ko) 2020-11-26

Family

ID=7367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265A KR102183320B1 (ko) 2020-06-26 2020-06-26 계란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978B1 (ko) * 2022-09-13 2023-03-20 도재문 개량형 계란판 구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377Y1 (ko) 2000-07-01 2001-01-15 현용욱 계란 포장용기 보호대
KR200400831Y1 (ko) * 2005-08-22 2005-11-09 노승연 계란 포장용 상자
KR200424470Y1 (ko) 2006-06-09 2006-08-22 안영각 다용도 포장용기
KR200452414Y1 (ko) 2010-06-11 2011-02-25 박성철 포장계란 캐리어
KR20110005715U (ko) 2009-12-02 2011-06-10 김영란 손잡이가 삽입된 판형 계란판
KR101251606B1 (ko) * 2012-12-12 2013-04-08 해성태프론 주식회사 카트리지 포장박스
KR20170137499A (ko) * 2016-06-03 2017-12-13 이명미 계란 포장 용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377Y1 (ko) 2000-07-01 2001-01-15 현용욱 계란 포장용기 보호대
KR200400831Y1 (ko) * 2005-08-22 2005-11-09 노승연 계란 포장용 상자
KR200424470Y1 (ko) 2006-06-09 2006-08-22 안영각 다용도 포장용기
KR20110005715U (ko) 2009-12-02 2011-06-10 김영란 손잡이가 삽입된 판형 계란판
KR200452414Y1 (ko) 2010-06-11 2011-02-25 박성철 포장계란 캐리어
KR101251606B1 (ko) * 2012-12-12 2013-04-08 해성태프론 주식회사 카트리지 포장박스
KR20170137499A (ko) * 2016-06-03 2017-12-13 이명미 계란 포장 용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978B1 (ko) * 2022-09-13 2023-03-20 도재문 개량형 계란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32349B2 (en) Folding crate for holding packages
US5538153A (en) Folding crate for holding packages
KR100430956B1 (ko) 줄기가 긴 화훼용 포장구
KR102183320B1 (ko) 계란 포장상자
JP2010111401A (ja) 運搬用容器
KR200424470Y1 (ko) 다용도 포장용기
US6270005B1 (en) Shipping carton with slotted flaps
KR200457917Y1 (ko) 포장박스
KR200381612Y1 (ko) 칸막이용 운반 손잡이를 구비한 상자
CN208560392U (zh) 一种运输及展示货箱
KR20110130879A (ko) 적층형 포장 상자
KR200470977Y1 (ko) 포장용 박스
JPH0451424B2 (ko)
JP2005289490A (ja) 段ボール製梱包箱装置
US1179845A (en) Crate.
KR102185223B1 (ko) 계란판포장용 받침대를 이용한 계란판포장방법
JP5643071B2 (ja) ガロンボトルの収納用コンテナ
KR20220035074A (ko) 공중에 떠있는 계란포장박스
KR20200000001U (ko) 계란 포장 운반구
JP3507351B2 (ja) 固定バンド
KR200184300Y1 (ko) 계란재치판과 골판지를 이용한 계란포장상자
KR0116455Y1 (ko) 포장용 상자
KR200424706Y1 (ko) 위치결정 홀이 구비된 계란트레이 포장갑
JPH0526071Y2 (ko)
JP6868339B2 (ja) 運搬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