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193Y1 - 절첩식 상자 - Google Patents

절첩식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193Y1
KR200298193Y1 KR2020020026685U KR20020026685U KR200298193Y1 KR 200298193 Y1 KR200298193 Y1 KR 200298193Y1 KR 2020020026685 U KR2020020026685 U KR 2020020026685U KR 20020026685 U KR20020026685 U KR 20020026685U KR 200298193 Y1 KR200298193 Y1 KR 200298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ttom plate
adhesive
side plates
fol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옥자
Original Assignee
하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옥자 filed Critical 하옥자
Priority to KR2020020026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1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193Y1/ko

Links

Landscapes

  • Cartons (AREA)

Abstract

전개 동작만으로 저부 구조가 형성되는 절첩식 상자를 개시한다. 개시된 절첩식 상자는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어 직사각틀 구조를 형성하는 4개의 제 1 내지 제 4 측판을 포함한다. 제 1 측판의 하단에 제 1 저판이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 1 저판은 4개의 측판이 형성하는 저부 구조의 면적과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다. 제 2 측판의 하단에는 제 2 저판이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 2 저판은 제 1 및 제 2 측판의 하단 연결점으로부터 45°각도를 이루며 연장된 제 1 경사면을 갖는다. 제 1 경사면에 접이선을 매개로 제 1 저면 접착부가 연결된다. 제 1 저면 접착부는 제 1 저판의 밑면에 접착된다. 제 3 측판의 하단에 제 3 저판이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 3 저판은 제 3 및 제 4 측판의 하단 연결점으로부터 45°각도를 이루며 연장된 제 2 경사면을 갖는다. 제 2 경사면에 접이선을 매개로 제 2 저면 접착부가 연결된다. 제 4 측판의 하단에 제 4 저판이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 4 저판의 밑면에 제 2 저면 접착부가 접착된다. 제 1 측판이 상자의 저부 구조 전체를 차지하게 되므로, 별도의 접착 테이프 부착 공정을 완전히 배제할 수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절첩식 상자{FOLDABLE BOX}
본 고안은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개시키는 동작만으로 장방형의 구조가 완성되는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골판지 재질의 포장 상자는 용도에 따라서 상부 개방형과 상부 밀폐형으로 대별된다. 상부 밀폐형 포장 상자는 포장물이 180°로 뒤집어져도 상관없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고, 상부 개방형 포장 상자는 포장물이 뒤집어지면 크게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물론, 각각의 포장 상자가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2가지 유형의 포장 상자간의 가장 큰 차이점은 포장 상자의 상부를 차폐하는 구조물의 존재 여부이다. 상부 밀폐형 포장 상자는 보통 4개의 골판지에 의해 상부가 차폐되는 형태인 반면에 상부 개방형 포장 상자는 상기와 같은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는 형태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각각의 포장 상자가 갖는 기본적인 구조는 대동소이하다. 이러한 점을 전제로, 상부 개방형 포장 상자가 갖는 가장 일반적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부 개방형 포장 상자는 접이선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 4개의 측판을 갖는다. 각 측판은 직사각틀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대향하는 어느 2개의 측판 각각의 하단에 제 1 하판 2개가 각기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또한, 다른 2개의 측판의 각 하단에는 제 2 하판 2개가 각각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각 하판들은 수평하게 접혀져서 포장 상자의 저부 구조를 이루게 되고, 각 하판들이 만나는 경계선을 따라 보통 접착 테이프를 붙임으로써, 각 하판들을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상부 개방형 포장 상자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은 상태에 있다가, 사용시에는 4개의 측판을 직사각틀 형태로 전개시킨 후, 각 하판들을 접어서 경계선을 따라 접착 테이프를 붙임으로써 장방형의 포장 상자 형태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접착 테이프를 붙이는 별도의 작업이 반드시 요구되기 때문에 작업자에게는 매우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측판들을 전개시키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저부 구조가 형성되는 새로운 구조의 상부 개방형 포장 상자가 제시되었고, 이러한 구조의 포장 상자 중 전형적인 한 예가 도 1에 전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로, 상부 개방형 포장 상자는 접이선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 4개의 제 1 내지 제 4 측판(1,2,3,4)을 갖는다. 특히, 제 4 측판(4)의 외측면에는 측면 접착부(4a)가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측면 접착부(4a)는 제 1 측판(1)에 접착되는 부분으로서, 측면 접착부(4a)는 제 1 측판(1)에 항시 접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한편, 각 측판(1,2,3,4)의 하단에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제 1 내지 제 4 저판(5,6,7,8)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저판(6)과 제 4 저판(8)의 빗변 부분에는 저면 접착부(6a,8a)가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 2 저판(6)의 저면 접착부(6a)는 제 3 저판(7)에 접착되고, 제 4 저판(8)의 저면 접착부(8a)는 제 1 저판(5)에 접착된다.
이러한 구조의 상부 개방형 포장 상자를 도 2와 같이 전개시키면, 각 측판(1,2,3,4)은 정사각틀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각 저면 접착부(6a,8a)가 제 3 및 제 1 저판(7,5)에 접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대략 사다리꼴 형태의 각 저판(5,6,7,8)들이 합쳐져서 저부 구조를 이루게 된다. 즉, 포장 상자의 저부에는 십자 형태의 선이 저판(5,6,7,8)들에 의해 형성된다.
그런데, 포장 상자의 저부 형상이 도 2와 같이 정사각형일 경우에는, 각 저판(5,6,7,8)들이 서로 만나서 십자형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각 저판(5,6,7,8)들의 경계면이 단순히 접촉하고 있는 부분이 거의 없게 되므로, 저부 구조의 강도에 별 문제가 없다.
그러나, 주지된 사실과 같이, 포장 상자의 형상은 정육면체보다는 직육면체인 경우가 훨씬 많다. 포장 상자의 형상이 직육면체인 경우에는 저부 구조의 강도에 상당한 문제가 발생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상자가 직육면체일 경우에는, 대향하는 제 1 및 제 3 측판(1,3)의 길이가 대향하는 제 2 및 제 4 측판(2,4)의 길이보다 길다.따라서, 포장 상자의 저부 구조는 십자형태를 이루지 못하고, 제 1 측판(1)과 제 3 측판(3)이 만나는 경계면이 단순히 서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인 긴 직선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긴 직선 형태의 경계면은 전혀 지지를 받지 못하게 되므로, 포장물이 경계면을 통해 밑으로 빠질 수밖에 없다. 결국, 기존과 같이 접착 테이프를 경계면을 따라 붙일 수밖에 없고, 결국 포장 상자의 형상이 직육면체일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저부 구조가 형성되어 별도의 테이프 부착 작업이 생략된다는 이점이 전혀 발휘될 수가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자 형상이 정육면체일 경우는 물론이고 직육면체일 경우에도 별도의 테이프 부착 작업 없이 전개 동작과 함께 자동적으로 저부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저부 구조의 강도도 자체적으로 강화된 절첩식 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정육면체 형태인 종래의 절첩식 상자를 나타낸 전개도.
도 2는 도 1의 상자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직육면체 형태인 종래 상자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상자의 전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상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절첩식 상자를 절반 정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7은 도 6의 절첩식 상자를 최종적으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라 절첩식 상자가 최종적으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저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 1 측판 20 : 제 2 측판
30 : 제 3 측판 31 : 걸림홈
40 : 제 4 측판 50 : 제 1 저판
51 : 걸림부 52 : 사선형 접이선
60 : 제 2 저판 61,62 : 경사면
70 : 제 3 저판 71 : 경사면
80 : 제 4 저판 82 : 경사면
90 : 제 1 저면 접착판 100 : 제 2 저면 접착판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상자는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어 직사각틀 구조를 형성하는 4개의 제 1 내지 제 4 측판을 포함한다. 서로 대향하는 제 1 측판과 제 3 측판이 장측면이 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 2 측판과 제 4 측판이 단측면이 된다. 제 1 측판의 외측면에 측면 접착부가 접이선을 매개로 형성된다. 측면 접착부가 제 4 측판에 접착되므로써, 4개의 측판들이 직사각틀 구조를 이루게 된다.
제 1 측판의 하단에 제 1 저판이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 1 저판은 4개의 측판이 형성하는 저부 구조의 면적과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다. 제 2 측판의 하단에는 제 2 저판이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 2 저판은 제 1 및 제 2 측판의 하단 연결점으로부터 45°각도를 이루며 연장된 제 1 경사면을 갖는다. 제 1 경사면에 접이선을 매개로 제 1 저면 접착부가 연결된다. 제 1 저면 접착부는 제 1 저판의 밑면에 접착된다. 제 3 측판의 하단에 제 3 저판이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 3 저판은 제 3 및 제 4 측판의 하단 연결점으로부터 45°각도를 이루며 연장된 제 2 경사면을 갖는다. 제 2 경사면에 접이선을 매개로 제 2 저면 접착부가 연결된다. 제 4 측판의 하단에 제 4 저판이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 4 저판의 밑면에 제 2 저면 접착부가 접착된다.
상기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4개의 측판이 전개되는 것과 동시에 제 1 저판이 4개의 측판이 형성하는 저부 구조를 완전히 차단하면서 제 1 및 제 2 저면 접착부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 제 2 내지 제 4 저판을 아래로 누르게 되어, 제 2 내지 제 4 저판도 제 1 저판과 같이 수평하게 전개되므로써, 별도의 접착 테이프 부착 공정을 완전히 배제할 수가 있게 되고 아울러 저부 구조가 여러 겹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상자의 저부 강도가 대폭 강화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를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상자의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상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도5에 도시된 절첩식 상자를 절반 정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절첩식 상자를 최종적으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라 절첩식 상자가 최종적으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저부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상자는 전부 골판지 재질로서, 접이선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 4개의 제 1 내지 제 4 측판(10,20,30,40)을 갖는다. 도 4를 기준으로 우측부터 순차적으로 제 1 내지 제 4 측판(10,20,30,40)이 된다.
특히, 제 1 측판(10)과 제 3 측판(30)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서 서로 마주보게 되고, 제 2 측판(20)과 제 4 측판(40)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서 서로 마주보게 된다. 또한, 제 1 및 제 3 측판(10,30)의 폭이 제 2 및 제 4 측판(20,40)의 폭보다 길어서 제 1 및 제 3 측판(10,30)이 장측면이 되고 제 2 및 제 4 측판(20,40)이 단측면이 된다. 따라서, 4개의 측판(10,20,30,40)이 직립으로 세워지면 직사각틀 형상을 갖추게 된다. 이러한 직사각틀 구조 형성을 위해, 제 1 측판(10)의 우측면에는 제 4 측판(40)에 접착되는 측면 접착부(11)가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또한, 제 1 측판(10)과 제 3 측판(30)의 중앙부 각각에는 손잡이부(12,32)가 형성된다. 손잡이부(12,32)는 긴 타원체 형상으로서, 중앙을 따라 횡으로 절개선이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가락이 진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타원체 형상의 상하단은 제 1 측판(10)과 제 3 측판(30)에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어서, 손가락 진입시 접이선을 기준으로 손잡이부(12,32)가 접혀지게 된다.
제 1 저판(50)이 제 1 측판(10)의 하단에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 1저판(50)은 4개의 측판(10,20,30,40)이 형성하는 저부 구조의 면적과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다. 즉, 제 1 저판(50)의 가로 길이는 제 1 측판(10)의 가로 길이와 동일하고, 세로 길이는 제 2 저판(20)의 가로 길이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저판(50)은 수평하게 놓여지면 4개의 측판(10,20,30,40)이 형성하는 직사각 형상을 완전히 덮게 된다.
또한, 제 1 저판(50)의 하단, 즉 제 1 저판(50)이 수평하게 놓여지면 제 3 측판(30)의 하단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걸림부(51)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제 3 측판(30)의 하단에는 각 걸림부(51)가 삽입되는 2개의 걸림홈(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저판(50)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제 1 저판(50)의 하단까지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사선형 접이선(52)이 형성된다. 이러한 사선형 접이선(52)은 제 1 저판(50)의 전개 동작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 2 저판(60)이 제 2 측판(20)의 하단에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 2 저판(60)은 내각이 45°인 이등변삼각형 형상이다. 즉, 제 2 저판(60)은 제 1 및 제 2 측판(10,20)이 만나는 하단 연결점으로부터 45°각도를 이루며 연장된 우측 경사면(61)과, 제 2 및 제 3 측판(20,30)이 만나는 하단 연결점으로부터 45°각도를 이루며 연장된 좌측 경사면(62)을 갖는다. 특히, 좌측 경사면(61)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상자의 전개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반드시 요구되면서 각도도 45°가 되어야 하는 반면에, 우측 경사면(62)은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전개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에 대한 설명도 후술한다.
제 1 저면 접착판(90)이 제 2 저판(60)의 우측 경사면(61)이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 1 저면 접착판(90)은 제 1 저판(50)의 밑면에 접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를 기준으로 제 1 저면 접착판(90)의 후면이 제 1 저판(50)의 후면에 접착된다. 접착력 강화를 위해, 제 1 저면 접착판(90)의 후면에 접착제를 수용하는 복수개의 수용선(9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저판(70)이 제 3 저판(30)의 하단에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 3 저판(70)은 제 3 및 제 4 측판(30,40)의 하단 연결점으로부터 45°각도를 이루며 연장된 경사면(71)을 갖는데, 이러한 경사면(71)도 제 2 저판(60)의 우측 경사면(61)과 동일한 기능을 하게 된다.
제 2 저면 접착판(100)이 제 3 저판(70)의 경사면(71)에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 2 저면 접착판(100)에도 제 1 저면 접착판(90)과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수용선(10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저판(80)이 제 4 측판(40)의 하단에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 4 저판(80)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서, 특히 좌측 상단으로부터 45°각도를 이루는 경사면(82)을 갖는다. 제 4 저판(80)의 경사면(82)은 제 2 저판(60)의 좌측 경사면(62)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 4 저판(80)에 경사면(82)이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가 조립되는 동작을 첨부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측면 접착부(11)를 제 4 측판(40)에 접착하여 4개의 측판(10,20,30,40)을 서로 연결시킨다. 그런 다음, 각 저판(50,60,70,80)을 각 측판(10,20,30,40)의 안쪽으로 접은 후, 제 1 저면 접착부(90)를 제 1 저판(50)에 접착하고, 또한 제 2 저면 접착부(100)를 제 4 저판(80)에 접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측판(10,20)을 연결하는 접이선과, 제 3 및 제 4 측판(30,40)을 연결하는 접이선을 접어서 각 측판(10,20,30,40)들이 서로 맞대어지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식 상자는 얇은 두께로 접혀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취급이 용이하고 운반시에도 간편하여, 특히 다수의 절첩식 상자를 일시에 이동시키거나 보관할 경우에 공간의 여유를 확보할 수 있으며 운반 작업도 수월해진다. 도 5에서, 제 1 저판(50)의 세로 길이가 각 측판(10,20,30,40)의 높이보다 길기 때문에, 제 1 저판(50)의 긴 부분이 각 측판(10,20,30,40)으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접혀진 양측 접이선을 안쪽으로 누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측판(10,20,30,40)이 각 접이선을 중심으로 마름모 형태로 펼쳐진다. 이때, 제 1 저판(50)과 제 2 저판(60)은 제 1 저면 접착판(90)을 매개로 연결된 상태이고, 제 3 저판(70)과 제 4 저판(80)은 제 2 저면 접착판(100)을 매개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각 저판(50,60,70,80)들은 안쪽으로 접어지게 된다. 특히, 제 2 저판(60)과 제 3 저판(70)이 갖는 각 경사면(61,71)이 전술된 바와 같이, 45°이어야만 각 저면 접착판(90,100)이 접착된 상태로 상기와 같은 펼쳐지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측판(10,20,30,40)의 양측 접이선을 안쪽으로 더욱 누르면, 도 6에서 먼저 제 3 저판(70)의 좌측부가 제 2 저판(60)의 하부로 진입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 1 저판(50)의 우측부가 제 4 저판(80)의 하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제 2 및 제 4 저판(60,80)이 갖는 경사면(62,82)이 제 1 및 제 3 저판(50,70)과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제 1 및 제 3 저판(50,70)의 진입을 용이하게 한다.
특히, 상기와 같은 동작은, 제 1 저판(50)의 좌측부는 제 2 측판(20)의 내측면에 접촉하면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저판(50)의 좌측부가 제 2 측판(20)의 내측면에 의해 전개 동작이 수월하게 일어나지 않을 수가 있지만, 전술된 바와 같이 제 1 저판(50)이 갖는 접이선(52)들에 의해 제 1 저판(50)의 좌측부가 전개 동작 중에 접어지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현상은 방지된다.
각 측판(10,20,30,40)이 완전히 펼쳐져서 직사각틀 형상을 이루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저판(50)은 상자의 저부 형상을 완전히 차폐하면서 위치하게 되고 아울러 다른 3개의 저판(60,70,80)이 제 1 저판(50)과 함께 일부분씩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각 저판(50,60,70,80)의 배치에 의해 상자의 저부 구조가 견고하게 완성된다.
따라서, 각 측판(10,20,30,40)이 이루는 저부 형상이 직사각형이어도 제 1 저판(50)이 상자의 저부 구조를 완전히 덮고 있으므로, 별도의 테이프 부착 공정을 하지 않고도 견고한 저부 구조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위치한 제 1 저판(50)의 각 걸림부(51)가 제 3 측판(30)의 각 걸림홈(31)에 삽입되므로써, 제 1 저판(50)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가 있다.
도 9는 상기와 같은 전개 동작에 의해 최종적으로 완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상자를 저부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자의 구현예로 상부 개방형 상자를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부 밀폐형 상자에도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자의 저부 구조가 직사각형을 이루는 경우에도, 제 1 저판이 상자의 저부 구조를 완전히 덮게 되고 제 1 및 제 2 저판과 제 3 및 제 4 저판이 서로 접착된 상태에서 전개 동작을 수행하게 되므로, 별도의 테이프 부착 공정을 배제하고 각 측판들을 펼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견고한 저부 구조를 갖는 상자의 조립이 실현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에 대해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접이선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직사각틀 형태로 배치되고, 장측면을 이루는 것이 홀수번째이고 단측면을 이루는 것이 짝수번째인 제 1 내지 제 4 측판;
    상기 각 측판의 하단에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 제 1 내지 제 4 저판; 및
    상기 장측면을 이루는 제 1 및 제 3 측판에 연결된 제 1 및 제 3 저판에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저면 접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저판은 상기 4개의 측판이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 2 측판에 연결된 제 2 저판은 제 1 및 제 2 측판의 하단 연결점으로부터 45°각도로 연장된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 2 측판의 경사면에 상기 제 1 저면 접착판이 연결되어, 상기 제 1 저면 접착판이 상기 제 1 저판의 밑면에 접착되며,
    상기 제 3 저판은 상기 제 3 및 제 4 측판의 하단 연결점으로부터 45°각도로 연장된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 3 저판의 경사면에 상기 제 2 저면 접착판이 연결되어, 상기 제 2 저면 접착판이 제 4 저판의 밑면에 접착된 절첩식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판에 제 2 측판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제 3 측판을 향하는 면까지 사선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접이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측판을 향하는 제 1 저판의 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상기 제 3 측판의 하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판의 형상은 이등변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판에 접착되는 상기 제 1 저면 접착판 부분에 접착제 수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저판에 접착되는 상기 제 2 저면 접착판 부분에 접착제 수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저판은 제 1 및 제 4 측판의 하단 연결점으로부터 연장된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측판 각각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KR2020020026685U 2002-09-06 2002-09-06 절첩식 상자 KR200298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685U KR200298193Y1 (ko) 2002-09-06 2002-09-06 절첩식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685U KR200298193Y1 (ko) 2002-09-06 2002-09-06 절첩식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193Y1 true KR200298193Y1 (ko) 2002-12-16

Family

ID=7312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685U KR200298193Y1 (ko) 2002-09-06 2002-09-06 절첩식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1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8193Y1 (ko) 절첩식 상자
US5360115A (en) Supporting panel for package and packing device
JP2010215286A (ja) 包装箱
JP3239027B2 (ja) 包装箱
JP2011207536A (ja) 角筒状包装用紙箱
JP2001139028A (ja) 包装箱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枠材
JP2008254813A (ja) 多角形包装箱
JP2000229622A (ja) 折畳式トレー
JP3146662U (ja) 角筒状包装用紙箱
JP3099415U (ja) 段ボール箱
KR101782111B1 (ko) 포장용 박스
JPH10167254A (ja) 組立箱
JPH09132226A (ja) 収容箱
CN212862210U (zh) 一种缓冲展销瓷盘手提包装结构
KR200304570Y1 (ko) 이중 구획형 포장박스
JPH0516089Y2 (ko)
KR200247886Y1 (ko) 포장 상자
JPH0635935Y2 (ja) 詰め合わせ用紙箱
JPH09110031A (ja) 包装箱
KR200261445Y1 (ko) 포장용상자
KR200486108Y1 (ko) 원터치 포장박스
JP2005015025A (ja) 包装箱
KR200362212Y1 (ko) 진열 포장용 상자
JP3010278U (ja) 包装箱
JPS6014665Y2 (ja) 連結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