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132B1 - 포장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132B1
KR101552132B1 KR1020140167109A KR20140167109A KR101552132B1 KR 101552132 B1 KR101552132 B1 KR 101552132B1 KR 1020140167109 A KR1020140167109 A KR 1020140167109A KR 20140167109 A KR20140167109 A KR 20140167109A KR 101552132 B1 KR101552132 B1 KR 101552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in body
lid
elastic
integr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구
박영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르
Priority to KR1020140167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내부에 수납된 물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의류와 같이 그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물품에 대한 유동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수납공간을 덮는 덮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덮개의 내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본체에 덮개를 덮었을 때 상기 본체와 덮개 사이에서 본체 내에 수납된 물품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유동방지부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장 상자{PACKING BOX}
본 발명은 포장 상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운반 과정에서 상자에 수납된 물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포장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 상자는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물품을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포장 상자는 상품이 수납되는 본체와, 본체를 개폐하도록 본체에 연결되거나 별도로 구비된 덮개를 구비한다. 포장 상자는 운반 과정에서 내부에 수용되는 물품의 유동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
전자제품과 같이 그 형태가 일정한 물품의 경우 본체 내부에 완충제 등을 채워 넣거나 본체와 물품 사이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 등을 설치하여 물품의 유동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의류와 같이 그 형태가 일정하지 않고 외부 충격에 파손가능성이 적은 물품의 경우에는, 통상 단순한 형태의 포장 상자를 사용하게 된다. 이에, 종래 의류 등을 운반하는 포장 상자의 경우, 운반 과정에서 물품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의류 등의 물품이 담긴 포장 상자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포장 상자 내부에서 물품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면서 의류가 구겨지는 등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최근 들어, 온라인을 통한 물품 구매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고 이에 따른 물품의 배송량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어, 운반 과정에서 물품이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 상자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내부에 수납된 물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포장 상자를 제공한다.
또한, 의류와 같이 그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물품에 대한 유동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된 포장 상자를 제공한다.
또한, 보다 간단한 구조로 제조가 용이한 포장 상자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포장 상자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수납공간을 덮는 덮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덮개의 내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본체에 덮개를 덮었을 때 상기 본체와 덮개 사이에서 본체 내에 수납된 물품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유동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본체에 일체로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덮개는 본체와 분리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판 또는 덮개의 내측 상판에 곡면형태로 탄력적으로 휘어져 설치되는 탄성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판의 양측 선단 사이의 길이는 상기 바닥판 또는 상판의 마주하는 양 선단 사이의 길이보다 커, 상기 탄성판은 탄력적으로 휘어져 상기 바닥판 또는 상판의 마주하는 양 선단 사이에 설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상판과 상판의 양 측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측판, 상기 상판의 전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전판, 상기 상판의 후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후판을 포함하고, 상기 후판은 외측 선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덮개 조립시 내측으로 접혀 덮개의 안쪽면을 이루는 후접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판은 상기 후판의 후접판에 일체로 연결되어 일측 선단은 이 후접판의 외측 선단에서 접혀져 후판과 상판 사이 모서리에 설치되고 타측 선단은 전판과 상판 사이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판과 상판 사이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판의 타측 선단을 고정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판은 외측 선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덮개 조립시 내측으로 접혀 덮개 안쪽면을 이루는 전접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전접판 외측 선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덮개 조립시 상기 탄성판의 타측 선단이 상기 상판과 고정편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판은 전체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접히는 접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철부는 탄성판의 양 선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철부는 탄성판의 일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된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의류와 같이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물품에 대한 고정력을 높여 상자 내에서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운반과정에서 물품이 한쪽으로 쏠려 구겨지거나 상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다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어, 포장상자의 제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 상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덮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덮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포장 상자의 덮개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 상자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덮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포장 상자(10)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개방된 수납공간을 덮는 덮개(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0)는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며, 덮개(30)는 본체(20)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본체(20)의 개방된 상단을 충분히 덮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20)와 이에 대응되는 덮개(30)의 형태와 크기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포장 상자(10)는 본체(20)와 덮개(30)가 서로 분리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 외에 본체에 덮개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덮개의 일면이 본체의 개방된 상단 일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이 연결선을 따라 덮개가 접혀져 본체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본체(20)나 덮개(30)는 골판지나 합성수지를 함침한 가공지 등 종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20)나 덮개(30)는 종이 외에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30)의 내면에는, 본체(20)에 덮개(30)를 결합하였을 때 본체(20) 내에 수납된 물품에 탄력적으로 밀착하여 물품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가 구비된다. 상기 유동방지부는 덮개(30)의 내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덮개(30)의 내면에서 외측으로 곡면형태로 탄력적으로 휘어져 설치되는 탄성판(50)을 포함한다.
이에, 본체(20)에 덮개(30)를 덮으면 덮개(30) 내면에 설치된 탄성판(50)이 본체(20)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본체(20) 내부에 수납된 물품의 상부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20) 내에 수납된 물품이 탄성판(50)과 본체(20) 바닥판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눌려져 유동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탄성판(50)은 덮개(3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판(50)은 덮개(30) 외에 본체(20)에 설치되거나 본체(20)와 덮개(30)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판(50)은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판(50)은 본체(20)나 덮개(30)와 동일하게 종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탄성판이 덮개에 설치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30)는 상판(31)과 상판(31)의 양 측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두 개의 측판(32), 상기 상판(31)의 전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전판(34), 상기 상판(31)의 후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후판(36)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31)은 본체(20)의 개방된 상단을 덮는 부분으로, 상판(31)의 전후좌우에 각각 전판(34), 후판(36) 및 양 측판(32)이 연결된다.
상기 두 개의 측판(32)은 도 2에서 z축 방향을 따라 상판(31)의 양 측단에 연결되어 상판(31)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되어 설치된다. 상기 전판(34)은 도 2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상판(31)의 앞쪽에 연결되어 상판(31)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되어 설치된다.
상기 두 측판(32)과 전판(34)은 상판(31)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전판(34)은 외측 선단에 전접판(35)이 일체로 연결 형성된다. 상기 전접판(35)은 전판(34)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접판(35)은 덮개(30) 조립시 내측으로 접혀 덮개(30) 안쪽면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두 측판(32)은 x축 방향을 따라 앞쪽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전판(34)과 전접판(35) 사이에 끼워지는 삽입판(38)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판(38)은 측판(32) 선단에만 연결되며, 상판(31)과는 분리된다.
이에, 덮개(30) 조립시 상판(31)에 대해 양 측판(32)을 수직으로 세우고 측판(32) 앞쪽 선단에 형성된 삽입판(38)을 상판(31) 전단쪽으로 절곡시킨다. 이 상태에서 전판(34)을 수직으로 세우고 전접판(35)을 상판(31) 내측으로 접어주게 되면 상기 삽입판(38)을 사이에 두고 전판(34)과 전접판(35)이 접혀지면서 삽입판(38)이 전판(34)과 전접판(35)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판(31)에 대해 측판(32) 펼침시, 삽입판(38)이 전판(34)과 전접판(35) 사이의 접혀진 부분에 걸려 측판(32)의 펴짐이 방지된다. 이에, 측판(32)과 전판(34)은 상판(31)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판(36)은 도 2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상판(31)의 뒤쪽에 연결되어 상판(31)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되어 설치된다. 상기 후판(36) 역시 측판(32)과 결합되어 상판(31)에 대한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후판(36)은 외측 선단에 후접판(37)이 일체로 연결 형성된다. 상기 후접판(37)은 후판(36)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접판(37)은 덮개(30) 조립시 내측으로 접혀 덮개(30)의 안쪽면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두 측판(32)은 x축 방향을 따라 뒤쪽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후판(36)과 후접판(37) 사이에 끼워지는 삽입판(39)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판(39)은 측판(32) 선단에만 연결되며, 상판(31)과는 분리된다.
이에, 덮개(30) 조립시 상판(31)에 대해 양 측판(32)을 수직으로 세우고 측판(32) 뒤쪽 선단에 형성된 삽입판(39)을 상판(31) 후단쪽으로 절곡시킨다. 이 상태에서 후판(36)을 수직으로 세우고 후접판(37)을 상판(31) 내측으로 접어주게 되면 상기 삽입판(39)을 사이에 두고 후판(36)과 후접판(37)이 접혀지면서 삽입판(39)이 후판(36)과 후접판(37)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판(31)에 대해 측판(32) 펼침시, 삽입판(39)이 전판(34)과 전접판(35) 사이의 접혀진 부분에 걸려, 측판(32)은 수직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한 구조의 덮개(30)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50)은 상기 후판(36)의 후접판(37)에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상기 탄성판(50)은 후접판(37)의 외측 선단에서 접혀지고 탄력적으로 만곡되어, 외측 자유단이 상기 전판(34)과 상판(31) 사이 모서리에 설치된다.
즉, 상기 탄성판(50)은 후접판(37)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일측 선단은 후판(36)과 상판(31) 사이 모서리에 위치하고 원호형태로 만곡되어 타측 선단이 전판(34)과 상판(31) 사이 모서리에 위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판(50)의 양측 선단 사이의 길이(L)는 상판(31)의 마주하는 전단과 후단 사이의 길이(D)보다 큰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상기 탄성판(50)의 양 선단이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31) 앞쪽과 뒤쪽의 모서리에 위치하게 되면, 탄성판(50)은 자체적으로 만곡되어 탄력적으로 휘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의 탄성판(50)은 덮개(30)와 일체로 형성되어 덮개(30) 조립시 탄력적으로 만곡되어 상판(31) 전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포장 상자(10)는 상기 탄성판(50)의 자유단 즉, 상판(31)의 전단과 전판(34) 사이 모서리로 연장되는 탄성판(50)의 선단을 모서리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편(52)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편(52)은 상기 전접판(35) 외측 선단에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0) 조립시 상기 탄성판(50)의 선단이 상기 상판(31)과 고정편(5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판(50)의 일측 선단은 후접판(37)에 연결되어 상판(31)의 뒤쪽 선단과 후판(36) 사이 모서리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고, 타측 선단은 상판(31)과 고정편(52) 사이에 끼워져 상판(31)의 앞쪽 선단과 전판(34) 사이 모서리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 상자(1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상자(10)는 본체(20) 내부 바닥에 의류 물품(P)을 수납하고 본체(20)의 개방된 상단에 덮개(30)를 덮어주는 것으로, 물품을 포장할 수 있다.
물폼(P)이 포장되면, 덮개(30)의 내측 상판(31)은 본체(20)의 바닥면 쪽을 향하게 되고, 덮개(30) 내측에 설치된 탄성판(50)이 본체(20) 내에서 바닥을 향하여 돌출된다. 탄성판(50)에 의해 본체(20) 내부 공간 즉, 실질적으로 물품이 수납되는 공간은 탄성판(50)과 본체(20) 바닥판 사이로 줄게 된다. 그리고 탄성판(50)은 물품의 윗면에 눌려지면서 자체적으로 탄성 변형되어 물품(P)의 윗면 전체를 고른 압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본체(20) 내에 수납된 물품(P)은 본체(20)의 바닥면과 위에서 탄력적으로 누르는 탄성판(50) 사이 좁아진 공간에서 움직이지 못하고 탄성판(50)에 의해 눌려진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포장 상자(10)가 운반 중에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수납된 물품은 반듯하게 놓여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게 된다.
한편, 도 5와 도 6은 포장 상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30)에 설치되는 탄성판(50)은 전체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접히는 접철부(54)를 더 포함한다. 접철부(54) 구조를 제외하고 포장 상자(10)의 다른 구성부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접철부(54)는 마치 아코디언(accordion)과 같이 탄성판(50)의 일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되어, 접히거나 펴지면서 탄성력을 발생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접철부(54)는 탄성판(50)의 양 선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철부(5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30)의 후접판(37)에 연결되는 탄성판(50)의 일측 선단부와 후접판(37)의 고정편(52)에 끼워지는 탄성판(50)의 타측 선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탄성판(50) 자체의 탄성력은 물론, 접철부(54)가 접혀지면서 탄성판(50)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탄성판(50)이 물품을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상자(10)의 본체(20) 내부 바닥에 의류 물품을 수납하고 본체(20)의 개방된 상단에 덮개(30)를 덮어 물품을 포장하게 되면, 탄성판(50)이 물품의 윗면에 눌려지게 된다.
탄성판(50)이 물품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탄성판(50)에 형성된 접철부(54)가 접혀지면서 탄성 변형되고, 접철부(54)의 탄성력을 인가받은 탄성판(50)은 물품의 윗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탄성판(50)은 자체의 탄성력과 접철부(54)의 변형에 의한 탄성력으로 물품의 윗면 전체를 고른 압력으로 눌러주게 된다. 따라서 본체(20) 내에 수납된 물품은 탄성판(50)에 의해 눌려진 상태로 고정되어 포장 상자(10) 운반 중에 물품의 상태를 반듯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철부(54)는 탄성판(50)과 같은 재질로 두께가 매우 얇아 최대한 접혀지는 경우 탄성판(50)은 덮개(30) 내측 상판(31)에 보다 근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판(50)이 덮개(30) 상판(31)쪽으로 최대한 이동되면 본체(20) 내부의 수납공간 즉, 탄성판(50)과 본체(20) 바닥면 사이 공간을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체(20) 내에 보다 큰 부피의 물품 수납이 가능하며, 큰 부피의 물품을 수납하더라도 접철부(54)가 접히면서 탄성판(50)이 물품의 윗면에 압력을 가해 물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포장상자 20 : 본체
30 : 덮개 31 : 상판
32 : 측판 34 : 전판
35 : 전접판 36 : 후판
37 : 후접판 38,39 : 삽입판
50 : 탄성판 52 : 고정편
54 : 접철부

Claims (8)

  1.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수납공간을 덮는 덮개, 및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덮개의 내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본체에 덮개를 덮었을 때 상기 본체와 덮개 사이에서 본체 내에 수납된 물품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유동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판 또는 덮개의 내측 상판에 곡면형태로 탄력적으로 휘어져 설치되는 탄성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판의 양측 선단 사이의 길이는 상기 바닥판 또는 상판의 마주하는 양 선단 사이의 길이보다 커, 상기 탄성판은 탄력적으로 휘어져 상기 바닥판 또는 상판의 마주하는 양 선단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덮개는 상판과 상판의 양 측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측판, 상기 상판의 전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전판, 상기 상판의 후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후판을 포함하고, 상기 후판은 외측 선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덮개 조립시 내측으로 접혀 덮개의 안쪽면을 이루는 후접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판은 상기 후판의 후접판에 일체로 연결되어, 일측 선단은 이 후접판의 외측 선단에서 접혀져 후판과 상판 사이 모서리에 설치되고, 탄력적으로 휘어져 타측 선단은 전판과 상판 사이 모서리에 설치된 구조의 포장 상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은 전체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접히는 접철부를 더 포함하는 포장 상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탄성판의 일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된 구조의 포장 상자.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판과 상판 사이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판의 타측 선단을 고정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포장 상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판은 외측 선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덮개 조립시 내측으로 접혀 덮개 안쪽면을 이루는 전접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전접판 외측 선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덮개 조립시 상기 탄성판의 타측 선단이 상기 상판과 고정편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포장 상자.
KR1020140167109A 2014-11-27 2014-11-27 포장 상자 KR101552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109A KR101552132B1 (ko) 2014-11-27 2014-11-27 포장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109A KR101552132B1 (ko) 2014-11-27 2014-11-27 포장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132B1 true KR101552132B1 (ko) 2015-09-10

Family

ID=5424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109A KR101552132B1 (ko) 2014-11-27 2014-11-27 포장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1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094Y1 (ko) * 2016-01-29 2017-04-03 오용훈 밀폐형 찬바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343Y1 (ko) * 2000-03-22 2000-08-16 주식회사인포웍스 포장상자의 조립구조
KR200319540Y1 (ko) * 2003-04-04 2003-07-12 주식회사 은하수미디어 교재용 카드 수납 가방
KR200440498Y1 (ko) 2007-05-30 2008-06-16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일체형 2단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343Y1 (ko) * 2000-03-22 2000-08-16 주식회사인포웍스 포장상자의 조립구조
KR200319540Y1 (ko) * 2003-04-04 2003-07-12 주식회사 은하수미디어 교재용 카드 수납 가방
KR200440498Y1 (ko) 2007-05-30 2008-06-16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일체형 2단 포장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094Y1 (ko) * 2016-01-29 2017-04-03 오용훈 밀폐형 찬바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35584B (zh) 捆包件
RU2657172C2 (ru) Упаковочно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упаковывания продуктов
US20120031807A1 (en) Shock Absorbing Member and Shock Absorbing Structure
KR101552132B1 (ko) 포장 상자
JPH01167084A (ja) 包装体
US9802747B2 (en) Package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KR200479788Y1 (ko) 내부 완충 포장상자
JP3831992B2 (ja) 包装箱
MX2020012384A (es) Dispositivo de apertura para envase adaptado para contener producto vertible y envase que comprende dispositivo de apertura.
US20190308790A1 (en) Cushioning packaging material
KR101411155B1 (ko) 포장용 내측 덮개
KR101882918B1 (ko) 재활용 분리 상자가 만들어지는 기능성 피자 포장상자
JP5632153B2 (ja) 包装用ケース
KR101558300B1 (ko) 포장용 박스
CN211686283U (zh) 一种治具及包装运输组件
WO2014203321A1 (ja) ワイプ収納体
KR20160001864A (ko) 밴드 고정식 포장박스
KR100825445B1 (ko) 일체형 포장용 종이 박스
JP3200758U (ja) 段ボール製一体型パレット
KR101918859B1 (ko) 접이식 구조를 통한 렌즈 안전 포장체
KR100548940B1 (ko) 포장용 완충재
JP4295055B2 (ja) 梱包材とそれを用いた梱包方法
KR200462914Y1 (ko) 포장용 상자
JP2005126124A (ja) 梱包箱
KR20090028888A (ko) 포장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