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4519A - 걸어맞춤 기능을 갖는 부직포 - Google Patents

걸어맞춤 기능을 갖는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4519A
KR20020064519A KR1020010005054A KR20010005054A KR20020064519A KR 20020064519 A KR20020064519 A KR 20020064519A KR 1020010005054 A KR1020010005054 A KR 1020010005054A KR 20010005054 A KR20010005054 A KR 20010005054A KR 20020064519 A KR20020064519 A KR 20020064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embossed
heat
area
is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토히로시
미야자키다다시
나기히사시
다케우치시게가즈
하다가쓰마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riority to KR1020010005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4519A/ko
Publication of KR20020064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51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5Poly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저융점 중합체성분을 섬유표면에 갖는 심초형 또는 사이드바이사이드형(side by side type)의 열융착성 복합단섬유로 된 열엠보스(emboss)처리된 부직포로서, 그 부직포의 표면에는 비엠보스영역이 표면쪽으로 돌출한 볼록한 형상의 다수의 섬영역으로서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분산해서 존재하고, 그 다수의 각 섬영역을 둘러싸는 엠보스영역이 바다영역으로서 존재하고, 볼록형상의 섬영역을 구성하는 비엠보스면 부분의 상기한 복합단섬유가 바다영역을 구성하는 엠보스면에서 압착열고정된 구조로 되어있는 걸어맞춤기능을 갖는 부직포에 관계한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얇고 유연하고 더구나 1회용 제품에 적합한 제조비용이 저감된 루프(loop)측 걸어맞춤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루프측 걸어맞춤부재로서 훅(hook)측 걸어맞춤소자에 의해 인장력이 작용해도 루프측 걸어맞춤소자로서의 섬유의 소자탈락이 없고, 영속적으로 고강도를 유지할수가 있다.

Description

걸어맞춤기능을 갖는 부직포{NON WOVEN FABRIC HAVING FASTENING FUNCTION}
본발명은 부직포에 관한것이며, 특히 훅측과 루프측의 각 걸어맞춤부재를 사용하는 면패스너의 자재(雌材)(이하 루프측 걸어맞춤부재라 한다)에 적합한 엠보스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면패스너는 전형적으로는 루프상 혹은 아치상의 걸어맞춤소자를 기초체로하는 포백(布帛)의 1면에 세워 형성한 루프측 부재와 그 걸어맞춤소자에 걸어맞추는 갈고리형상 또는 버섯형상의 훅측 걸어맞춤소자를, 마찬가지로 기초체가 되는 포백의 1면에 세워 형성한 훅측 패스너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양자를 면압접 하므로서양부재를 접합하고, 각 부재를 부착시킨 본체측 양단부를 일체적으로 접합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같은 면패스너는 부착이탈이 용이한 점에서 의료분야나 구두 가방등의 개폐부의 고정구로서 또 자동차, 열차, 비행기등을 대표예로 하는 좌석등의 시트커버의 부착기구로서, 침구 시트커버등의 부착기구로서 널리 이용되고있다.
그런데 면패스너의 적용분야의 새로운 분야로서 특히 사용하고 버리는 기저귀와같은 1회용 제품에의 적용분야가 확대되고 있으나 이 분야에서는 특히 루프측 걸어맞춤부재의 사용면적이 크고 제조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에 저가격으로 살에 닿는 촉감이 좋고, 얇고 또한 유연성이있는 루프측 걸어맞춤부재가 요망되고있다.
그러한 1회용제품에 사용되는 루프측 걸어맞춤부재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52-8180호 공보나 특개평 9-3755호공보에 제안되어 있으나, 이들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부착이탈을 반복하므로서 루프측 걸어맞춤부재에 있어서의 단섬유의 소자탈락이 생기기 쉽고, 그 결과 걸어맞춤성능에 내구성이 없고, 외관도 나빠진다고하는 과제를 갖고있다.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얇고 유연성 있고, 또한 1회용 제품에 적합한 제조비용이 저감된 루프측 걸어맞춤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하는것이다.
다시또 본발명은 루프측 걸어맞춤부재로서 훅측걸어맞춤소자에의해 인장력이 작용해도 루프측걸어맞춤소자로서의 섬유의 소자탈락이없고, 부착이탈을 반복해도양호한 걸어맞춤특성을 지속할 수 있는 부직포를 제공하려고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직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X-X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부직포 I. 섬영역
S. 바다영역 D. 평균직경
H. 비엠보스영역의 두께 T. 바다영역의 두께
즉 본발명의 제1의 형태는 권축(捲縮)을 갖는 열융착성복합단섬유를 적어도 1성분으로서 포함하고, 하기 (ⅰ)∼(ⅳ)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엠보스부직포 및 그 부직포로된 면패스너 재료이다.
(ⅰ) 부직포 표면의 비엠보스영역이 엠보스영역에 둘러싸이도록 섬형상으로 존재한다.
(ⅱ) 비엠보스영역의 부피밀도가 0.01∼0.10g/cm3이다.
(ⅲ) 비엠보스영역의 저면부는 원형 환산시 평균직경이 2∼8mm의 면적을 갖는다.
(ⅳ) 비엠보스영역이 부직포면의 100cm2당 80∼800개 존재한다.
적당한 실시형태의 발명으로서는 다음의 (1)∼(5)의 형태를 들수가 있다.
(1) 부직포가 권축을 갖는 열융착성 복합단섬유를 80%이상 포함할 것. 바람직하게는 그 단섬유 100%로된 부직포 일 것.
(2) 부직포의 단위무게가 20∼100g/m2일 것.
(3) 열융착성 복합단섬유의 권축수가 10∼20개/인치일 것.
(4) 엠보스영역면으로부터 비엠보스영역의 정상부에 이르는 높이가 0.3mm이상일 것.
(5) 인접하는 비엠보스영역간의 거리가 0.5∼5.0mm일 것.
다시또 본발명은 권축을 갖는 열융착성 복합단섬유를 80%이상 포함하는 웹(web)을 열엠보스 처리해서 부직포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부직포 표면에 형성되는 비엠보스영역이 엠보스영역에 둘러싸이도록 섬형상으로 존재하도록 엠보스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그 비엠보스영역의 최대 직경이 열융착성 복합단섬유의 섬유길이보다도 짧게 되도록 비엠보스영역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엠보스부직포의 제조방법이다.
[실시예]
본발명의 부직포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복합단섬유로서 표면에 열융착성분을 갖는 섬유를 사용하고, 이 단섬유로 된 웹을 엠보스롤의 볼록부의 깊이가 크게되는 깊은홈 엠보스롤로 열엠보스 처리하고 부직포 표면측에 돌출한 비엠보스영역 (이하 섬영역이라 칭한다)을 형성하는 개개의 복합단섬유가 엠보스영역(이하 바다영역이라 한다)이 되는 부분에 들어가서 열엠보스 처리시에 그 바다영역에 있어서, 복합단섬유가 열고정된 상태로 한 것이다.
따라서 루프측 걸어맞춤소자가 되는 섬영역의 섬유에 훅측 걸어맞춤소자가 걸려 걸어맞춘 상태로 박리력, 인장력등이 걸려도 그 섬영역의 섬유가 소자탈락 그 양자의 걸어맞춤이 용이하게 벗어지는 일 없이 바다영역에서 열고정되어있기 때문에 형태안전성이 양호하다.
더구나 이 부직포는 낮은 단위무게로 큰부피의 웹을 깊은 홈엠보스한 것만의 부직포이기 때문에 경량 및 부드러운 감촉, 얇고 또한 유연하고 또한 저비용으로 제조할수 있으며, 기저귀 같은 1회용 제품에 사용되는 소재로서 극히 우수하다.
도 1은 본발명의 부직포(1)의 1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발명의 부직포(1)는 상기한바와 같이, 권축을 갖는 열융착성 복합섬유로된 큰부피의 웹을 사용하고 이것을 특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열엠보스처리해서 얻어진다.
본발명의 부직포(1)는 도 1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비엠보스면으로 된 영역이 표면측으로 돌출한 볼록한형상 (예를들면 돔형상)의 다수의 섬영역(I)으로서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분산해서 존재하고, 그 다수의 각 섬영역(I)을 둘러싸는 엠보스영역이 바다영역(S)으로서 존재하도록 구성한것이다.
이와같은 구조는 상기한 섬영역이되는 부위를 롤러면상에서 깊은홈부로 한 엠보스롤러와 그 한쌍의 롤러를 사용해서 상기한 높은부피의 웹을 열엠보스 처리하므로서 얻어진다.
그때 특히 부직포(1)의 섬영역(I)으로서 분산해서 존재시키는 비엠보스면의 최대직경(D)(도 2)이 웹중에서의 단섬유의 외관길이보다도 짧게되도록 즉, 섬영역(I)을 구성하는 개개의 복합단섬유가 바다영역(S)으로 열고정되도록 웹중에서의 단섬유의 외관길이와 섬영역의 저면부의 최대직경을 제어하므로서 얻을수가 있는 것이다.
본발명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주체섬유로서는 루프측 걸어맞춤소자가 되는 섬영역의 섬유가 섬영역을 구성하는 섬유끼리가 상호 열융착해서 루프형상을 어느정도 고정화함과 동시에 그 루프를 형성하는 섬유가 인장력을 받아도, 섬영역에서의열융착에 의해 고정되어 소자탈락이 생기지않게 하도록해 강성 및 열융착성인 것이 요구된다.
이와같은 요구를 만족시키는 섬유로서는 예를들면 섬유를 구성하는 1성분을 강도유지 성분으로하고, 다른쪽을 열융착성분으로 하는 심초형 또는 사이드바이사이드형의 복합섬유가 적절히 사용된다.
그러한 열융착성 복합섬유에 있어서의 복합중합체 성분의 조합으로서는 예를들면, 심초형 복합섬유의 경우, 심성분/초성분으로 표기하면,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의 조합, 폴리프로필렌/변성폴리프로필렌의 조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아미드(나일론)의 조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의 조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프로필렌의 조합, 폴리아미드(나일론)/폴리에틸렌의 조합, 폴리아미드(나일론)/폴리프로필렌의 조합등을 들수가 있다.
이경우 심중합체의 융점은 150℃이상인 것이 제조 및 사용(가공)상 바람직하다.
초중합체의 융점이 120℃이하인 경우 융착후의 감각, 경화나 사용(가공)시의 내열성의 점에서 바람직하지않다.
이들 양중합체 성분의 조합은 심중합체와 초중합체에서 그 융점차가 30℃이상인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열엠보스시 섬유로서의 기계적특성을 유지하는 심성분의 특성을 잃지않게하기 위해서이다. 또 양중합체는 친화성을 갖는 조합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심초형 복합섬유의 경우에 대해서 기술했지만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섬유의 경우도 상기한 양중합체성분의 조합도 사용될수 있음이 명백하다.
본 부직포에 있어서는 이 열융착성 복합섬유를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전체의 80%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0% 사용해서 구성하는 것이 루프측걸어맞춤소자의 기계적강도 즉 박리력 또는 인장력이 결렸을때의 섬유의 소자탈락방지, 루프형태의 파괴방지라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그러한 점은 섬유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도 커버할 수 있고, 반드시 100%사용하는 것을 필수로 하는 것은 아니다.
열융착형 복합섬유의 단섬유섬도는 1∼10데니어(denier)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1데니어 미만에서는 루프측 걸어맞춤소자로서 요구되는 강도특성상 바람직하지않고 또 10데니어를 초과하면 살에 닿는 촉감 및 부직포의 접합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는 실질적으로 단일의 단섬유섬도를 갖는 열융착형복합섬유에 의해 형성해도되고, 또 1∼10데니어의 범위내의 다른 단섬유섬도를 갖는 열융착형복합섬유 혼합물에 의해 형성해도된다.
본발명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열융착성 복합섬유 이외의 섬유로서는 단섬유섬도가 1∼10데니어의 폴리프로필렌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폴리아미드섬유, 레이욘섬유, 비닐론섬유등의 단섬유 또는 장섬유를 들수가있다.
부직포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상기한 열융착성 복합섬유의 장섬유로된 부직포, 예를들면, 스팬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경우와 단섬유를 사용하여 통상의 카드방식에 의한 부직포를 구성하는 경우를 고려할수 있으나 루프측 걸어맞춤부재로서의 높고 미세한 무수의 루프 단위무게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후자의 단섬유사용의 부직포가 필요하며 본발명에서는 그것을 채용한다.
또한 본발명에 사용되는 단섬유의 길이는 30∼300mm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 웹에 있어서의 외관 단섬유길이는 15∼200mm가 된다.
그리고 이같은 섬유길이를 사용하므로서 이들 단섬유가 바다영역인 엠보스부에서 융착고정되고 섬유의 소자탈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수가 있다.
본발명의 부직포(1)(도 1참조)에 있어서, 표면측에 돌출한 다수의 볼록형 섬영역(I)은 훅측 걸어맞춤소자에 대해서 루프측 걸어맞춤소자로서 기능하는 부위이다.
섬영역(I)은 원형, 구형, 마름모형, 혹은 기타 임의의 저면형상을 갖는 돌출부가 바다영역(S)으로부터 올라간 볼록형상으로 되어있고, 이 부위가 열엠보스 처리로 비압착면(비엠보스면)으로 된 것이다.
여기서는 단섬유가 그 교차부에서 상호 열융착되어서 훅에 대한 루프눈을 구성하고 있다.
섬영역(I)을 둘러싸는 바다영역(S)은 웹의 열엠보스 처리로 압착면(엠보스면)으로 된것이며, 이 부위는 섬영역을 구성하여 루프눈을 형성하는 단섬유가 그 부위에 도달하여 여기서 열엠보스를 받아 단섬유의 소자탈락이 없도록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며 또 부직포의 형태를 주로 유지하는 것이다.
각 섬영역(I)은 규칙적으로 배치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치되어도 되고, 따라서 각 섬영역(I)을 둘러싸는 바다영역(S)도 그 배치형태에 따르지만 중요한 것은각 섬영역(I)을 바다영역이 둘러싸고, 섬영역의 루프눈을 형성하는 단섬유를 바다영역에서 열고정될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와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 바다영역(S)이 모두 연속해 있는 것이 필수는 아니다.
상기와같은 섬영역(I)으로서의 다수의 돌출부를 갖고 그 돌출부를 루프측의 걸어맞춤부로서 사용하고, 얇음이 안정된 형태의 루프측 걸어맞춤부재로서 구성하기위한 부직포의 단위무게는 20∼10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20g/m2미만의 단위무게로서는 기초포의 치수안정성이 부족(인장저항이 약함)한 점 및 0.3mm이상의 두께가 얻어지지 않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다른한편 100g/m2를 초과하는 단위무게에서는 반복적인 착탈에 의한 외관변화(보풀 형성) 및 제조비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않다.
섬영역(I)으로서의 돌출부는 훅측 걸어맞춤소자가 찌르거나 걸리기 쉬워야하며 때문에 부피가 큰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구나 부직포의 처짐 혹은 층간박리 등에 의한 형태변화가 적은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구에 대해 부직포의 비엠보스영역의 부피밀도가 0.01∼0.10g/cm3인 것이 중요하다. 0.01g/cm3미만의 부피밀도에서는 층간박리가 심해서 바람직하지않고, 0.10g/cm3를 초과하면 훅측 걸어맞춤소자의 섬영역(I)에의 침입성이 불량하게 되어 바람직하지않다.
또 이 부피가 큰 부직포를 얻기 위해서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열융착성 복합단섬유로서 권축을 갖는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권축수 및 권축율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권축수가 10∼20개/인치, 권축율이 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수 및 권축율이 10개/인치 미만 및 5%미만의 경우에는 소요의 부피높이가 얻어지지 않고 다른한편 권축수 및 권축율이 20개/인치 및 20%를 초과하는경우에는 훅측 걸어맞춤소자와 루프측 걸어맞춤부재의 걸어맞춤이 불충분하게 되고 또한 반복적인 박리에 의한 외관변화(보풀 형성)가 커져 바람직하지않다.
볼록형상의 각 섬영역(I)은 훅측 걸어맞춤소자가 걸리기 쉽도록 부직포 표면상에 돌출한 높이가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섬영역(I)은 각 섬영역(I)을 둘러싸는 바다영역(S)면으로부터 섬영역(I) 정상부에 이르는 높이(H)(도 2)가 0.3mm이상의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0.3mm 미만의 것에서는 훅상 걸어맞춤소자에 걸리는 것이 감소하여 바람직하지않다.
높이(H)는 제조상의 제약 훅측 걸어맞춤소자의 높이 (통상 2mm미만) 및 층간박리의 점으로부터 3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볼록형상의 섬영역(I)은 부직포의 열엠보스 처리로 비압착면(비엠보스면)으로 된 곳이며, 바다영역(S)으로부터 올라간 볼록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그 저면형상 즉 부직포표면 위쪽에서 본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않고, 임의형상으로 형성할수 있으나 원형환산으로 평균직경(D)이 2∼8mm정도의 면적을 갖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원형환산시의 평균직경(D)이 2mm 미만인 섬영역(I)에서는 상면부에서의 걸어맞춤 면적이 유효하게 확보되지않고 바람직하지않다.
또 평균직경(D)이 8mm를 초과한 것에서는 그 상면부를 구성하는 단섬유의 양단부가 바다영역에 이르지않고 편단부 밖에 바다영역에서 열고정되지 않는 섬유의 개수가 증가하고, 그 상면부에 훅측 걸어맞춤소자가 걸려서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그 단섬유의 소자탈락이 일어나기 쉽고, 루프가 파괴되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또 훅측걸어맞춤소자의 걸어맞춤력이 루프의 변형(어긋남)에 의해 저하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않다.
본발명에 있어서는 이 부위에서의 단섬유의 소자탈락을 저지하기위해 섬영역으로서 분산해서 존재시키는 상기한 돌출부의 저면의 최대직경이 웹을 구성하는 단섬유의 외관길이보다 짧게 되도록 즉 섬영역을 구성하는 복합단섬유의 적어도 일단 바람직하게는 양단이 바다영역에서 열고정되도록 그 구성단 섬유길이와 섬영역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이 긴요하다.
섬영역을 둘러싸는 바다영역은 상기와 같이 섬영역을 구성하여 루프눈을 형성하는 단섬유의 소자탈락이 없도록 고정하는 것이며 단섬유단이 열고정될 수 있는 면적이 있으면 된다.
바다영역의 면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부직포 전체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 위해서 바다영역은 0.5∼5.0mm정도 특히 0.5∼3mm정도의 간격으로 돌출하는 인접 섬영역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을 요약하면 원형환산으로 평균직경 (D)이 2∼8mm의 각 섬영역은 부직포면의 100cm2당 80∼800개 존재하고있는 것이 중요하며, 바람직하게는 200∼550개이다.
섬영역의 수가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평균직경이 지나치게 크게되는 때에 생기는 불합리함과 마찬가지의 과제가 생기고, 섬영역의 수가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상기한 평균직경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 생기는 불합리함과 같은 과제가 생긴다.
다음에 본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다시또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발명은 이 실시예에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섬유의 권축수, 권축율, 부직포의 두께, 비엠보스영역의 부피밀도 및 면패스너성능(인장전단력, 박리력)은 각각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1) 두께
얻어진 부직포에 12gf/cm2의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데도마틱 인디케이터 543-454B[(주) 데크록사제]를 사용해서 측정했다.
(2) 비엠보스영역의 부피밀도(g/cm3)
부직포 전체의 단위무게A(g/cm2)에 부직포전체에 있어서의 비엠보스영역의 면적비율 P(%)를 곱한값을 비엠보스영역의 두께 Hcm로 나누므로서 편의적으로 구했다.
(3) 전단력
높이 약 0.5mm의 갈고리형의 훅부가 1cm2당 약 340개 형성된 3cm×3cm각의훅측 걸어맞춤부재(베루크로사제)를 양면접착테이프를 사용해서 폭 3cm×길이 7.5cm의 필름의 단말에 고정시켰다.
한편 다음의 실시예 등에서 제작한 5cm×5cm각의 루프측 걸어맞춤부재도 양면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폭 5cm×길이 10cm의 지지판의 단말에 고정시킨다.
준비한 각각의 부재를 결합시켜서 700g의 롤러를 1왕복시켜서 결합시켜, 이어서 이것을 인스트론(주)사제의 5543형 인스트론을 사용해서 걸어맞추어지지 않은 부분의 훅측과 루프측의 상하를 잡는 간격 10cm로 잡고, 속도 10cm/분으로 인장하여 최대강도를 판독하여(반복회수 :4) 이것의 평균치를 걸어맞춤부의 면적으로 나눈값을 전단력(gf/cm2)으로했다.
(4) 박리력
상기한 전단력 측정과 같은 방법으로 훅부재와 루프부재를 준비하여 걸어맞춘다.
5543형 인스트론을 사용해서 각도 180도의 방향으로 나눈 걸어맞추어지지 않은 부분의 훅측과 루프측을 잡는 간격 10cm로 잡고, 속도 30cm/분으로 박리시켜 최대박리력을 측정하여 (반복회수:4)그 평균치를 시료폭(3cm)으로 나눈 값을 박리력(gf/cm폭) 으로했다.
(5)권축수, 권축율
부직포를 제조하기위한 원료섬유의 권축수 및 권축율은 JIS L1015-1992.7.12.에 따라 측정했다.
또 부직포에 있어서의 섬유의 권축수는 비엠보스영역을 현미경으로 확대해서 권축수를 계측하여 인치당의 개수로 환산해서 구했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융점 255℃)를 심성분, 폴리에틸렌(융점 130℃)을 초성분으로하는 심초형 복합섬유로 단섬유섬도 2데니어 및 섬유길이 51mm의 복합섬유와 단섬유섬도 6데니어 및 섬유길이 76mm의 복합섬유를 사용하여, 전자를 60중량%, 후자를 40중량%를 충분히 혼면한 단위무게 50g/m2의 카드웹을 제작했다.
2데니어 및 6데니어 각각의 권축수와 권축율은 15개/인치, 12%, 및 12개/인치 10%였다.
한편 직경이 5mm로서 깊이가 2mm의 원형구멍이 5.5mm간격으로 일렬로 나란히 그 원형구멍열에 대해서 다음의 원형구멍열이 갈짓자상으로 나란히 되도록 배열된 엠보스롤러와 플랫롤러를 준비했다.
상기한 카드웹을 상기한 엠보스롤러(온도 130℃)와 플랫롤러로된 엠보스장치에 도입하여 압력 30kgf/cm(선압)으로 열엠보스처리하여 도 1에 나타내는 것 같은 엠보스 압착면으로서의 바다영역(S)중에 엠보스 비압착면으로서의 다수의 섬영역(I)이 돌출한 엠보스 부직포(1)를 얻었다. 이 부직포(1)는 얇고, 형태변형이 없고 유연성이 있었다.
그 구체적 치수는 도 2에서 섬영역(I)의 높이(H)가 1mm, 바다영역(S)의 두께 (T)가 0.5mm였다.
또 섬영역의 평균직경은 약 5mm, 섬의 수는 100cm2당 300개, 부직포의 비엠보스영역의 부피밀도는 0.03g/cm3, 섬영역간의 거리는 0.5mm였다.
이 엠보스 부직포를 루프측 걸어맞춤부재로서 사용하고, 또 높이 0.5mm로된 갈고리형상 걸어맞춤소자를 구비한 훅측 걸어맞춤부재를 준비하여 그 양자에서의 걸어맞춤 특성을 조사했다.
이 양자의 박리력은 초회가 150gf/cm폭 이며, 걸어맞춤·박리의 반복조작 10회 후에서의 그것은 50gf/cm폭, 또 전단력은 초회가 450gf/cm2반복조작 10회 후의 그것은 200gf/cm2가 되고 어느것이나 실용상 충분한 특성이었다.
실시예 2
폴리프로필렌을 심성분(융점 163℃) 폴리에틸렌 혼성중합 폴리프로필렌(융점 130℃)을 초성분으로하는 권축수 및 권축율이 15개/인치, 15%로서 단섬유섬도가 2데니어, 섬유길이 51mm의 심초형 복합섬유를 사용하여 단위무게 50g/m2의 웹을 제작했다.
실시예1의 엠보스패턴으로 130℃, 압력 30kgf/cm로 열엠보스 처리하여 엠보스 압착면으로서의 바다영역중에 엠보스 비압착면으로서의 다수의 섬영역이 돌출한 엠보스 부직포를 얻었다. 이 부직포는 얇고 형태변형도 없고, 유연했다.
그 구체적 치수는 도 2에서 섬영역(I)의 높이(H)가 0.8mm, 바다영역(S)의 두께 (T)가 0.3mm였다.
또 섬영역의 평균직경은 약 5mm, 섬의 수는 100cm2당 300개, 부직포의 비엠보스영역의 부피밀도는 0.04g/cm3, 섬영역간의 거리는 0.5mm였다.
이 부직포의 걸어맞춤력을 측정한 결과, 박리력은 초회가 180gf/cm폭 이며, 걸어맞춤·박리의 반복조작 10회후의 그것은 60gf/cm폭 또 전단력은 초회가 500gf/cm2반복조작 10회후의 그것은 220gf/cm2가 되고 어느것이나 실용상 충분한 특성이었다.
실시예 3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융점 255℃)를 심성분, 폴리에틸렌(융점 130℃)를 초성분으로하는 권축수 및 권축율이 12개/인치, 10%로서 단섬유섬도가 6데니어, 섬유길이 102mm의 심초형 복합섬유를 사용하여 단위무게 50g/m2의 웹을 제작했다.
실시예 1의 엠보스패턴으로 125℃, 압력 30kgf/cm로 열엠보스 처리하여 엠보스 압착면으로서의 바다영역중에 엠보스 비압착면으로서 다수의 섬영역이 돌출한 엠보스 부직포를 얻었다. 이 부직포는 얇고 형태변형이 없고 유연했다.
그 구체적 치수는 도 2에서 섬영역(I)의 높이(H)가 1mm, 바다영역(S)의 두께 (T)가 0.5mm였다.
또 섬영역의 평균직경은 약 5mm, 섬의 수는 100cm2당 300개, 부직포의 비엠보스영역의 부피밀도는 0.03g/cm3, 섬영역간의 거리는 0.5mm였다.
이 부직포의 걸어맞춤력을 측정한 결과, 박리력은 초회가 280gf/cm폭 이며, 걸어맞춤·박리의 반복조작 10회후는 60gf/cm폭, 또 전단력은 초회가 400gf/cm2반복조작 10회 후는 210gf/cm2이고 실용상 충분한 특성이었다.
비교예 1
폴리프로필렌(융점 163℃)를 심성분, 폴리에틸렌(융점 130℃)을 초성분으로하는 권축수와 권축율이 15개/인치 및 15%로, 단섬유섬도가 3데니어, 섬유길이 51mm의 심초형 복합섬유 40중량%와 단섬유섬도가 3데니어, 섬유길이 29mm의 레이온 단섬유 60중량%를 사용하여, 단위무게 50g/m2의 웹을 제작했다.
이어서 상기한 카드웹을 일본국 특개소 52-8180호공보의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바와 같은 상기한 엠보스롤러(온도 130℃)와 플랫롤러로된 엠보스장치에 도입하여 압력 30kgf/cm(선압)으로 열엠보스 처리했다.
이 엠보스부직포를 루프측 걸어맞춤부재로서 사용하고, 또 높이 0.5mm의 갈고리형상 걸어맞춤소자를 구비한 훅측 걸어맞춤부재를 준비하여 그 양자에서의 걸어맞춤 특성을 조사했다.
양자의 박리력은 초회가 400gf/cm폭 이며, 걸어맞춤·박리의 반복조작 10회후는 40gf/cm폭 전단력은 초회가 150gf/cm2반복조작 10회 후는 80gf/cm2였다.
이 부직포는 전단력이 낮기 때문에 걸어맞춤·박리를 반복하므로서 부직포가 재료파괴를 일으켜서 걸어맞춤성능의 내구성이 불량이었다.
비교예 2
융점이 136℃의 에틸렌-프로필렌 랜덤혼성중합체로된 단섬유섬도가 2데니어 섬유길이 51mm의 단섬유를 사용하여 단위무게 10g/m2의 웹(A)을 제작했다.
또 에틸렌-프로필렌 랜덤혼성중합체(융점 136℃)를 초성분으로하고, 폴리프로필렌(융점 163℃)을 심성분으로하는 단섬유섬도가 2데니어 및 섬유길이 51mm의 심초형 복합섬유를 사용하여 단위무게 20g/m2의 웹(B)을 제작했다.
이어서 웹(A)상에 웹(B)을 적층하고 그 적층물을 정상면적이 0.79mm2의 원추대형의 소돌기가 1cm2당 25개, 규칙적으로 배치된 엠보스롤러(온도 125℃)와 그 아래쪽에 배치된 플랫롤러(온도 125℃)의 양 롤러간에 웹(A)이 엠보스롤러와 맞닿도록 도입하고, 선압 25kgf/cm로 열압착시킴과 동시에 웹(A)을 열수축시켰다.
이 엠보스부직포를 루프측 걸어맞춤부재로서 사용하고, 또 높이 0.5mm의 갈고리형상 걸어맞춤소자를 구비한 훅측 걸어맞춤부재를 준비하여 그 양자에서의 걸어맞춤특성을 조사했다.
이양자의 박리력은 초회가 300gf/cm폭 이며, 걸어맞춤·박리의 반복조작 10회후에서의 그것은 50gf/cm폭, 또 전단력은 초회가 200gf/cm2반복조작 10회후에서의 그것은 100gf/cm2였다.
이 부직포는 충분한 전단력을 갖지않기 때문에 반복되는 부착이탈에의해 A층및 B층간에서의 박리가생겨 걸어맞춤성능의 내구성이 만족할만한 것이 아니었다.
또 엠보스영역에 있어서, 단섬유가 소자탈락, 보풀형성 및 외관이 불량했다.
비교예 3
비교예 2에서 사용한 심성분/초성분이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랜덤혼성중합체의 심초형 복합섬유만을 사용해서 단위무게 30g/m2의 웹을 제작하여 비교예 2와 같이해서 엠보스처리를 행했다.
이 엠보스부직포를 루프측 걸어맞춤부재로서 사용하고, 또 높이 0.5mm의 갈고리형상 걸어맞춤소자를 구비한 훅측 걸어맞춤부재를 준비하여 그 양자에서의 걸어맞춤 특성을 조사했다.
이양자의 박리력은 초회가 100gf/cm폭 이며, 걸어맞춤·박리의 반복조작 10회후에서의 그것은 40gf/cm폭 또 전단력은 초회가 150gf/cm2반복조작 10회후에서의 그것은 100gf/cm2였다.
이 부직포는 박리력 및 전단력이 낮고, 걸어맞춤력 부족으로 훅이 벗겨지기쉽고, 면패스너 재료로서 실용성이 있는 것이 아니었다.
또 걸어맞춤·박리를 반복하므로서 비엠보스영역에서 단섬유가 소자탈락, 보풀형성 및 외관불량이 나타났다.
본 발명의 걸어맞춤 기능을 갖는 부직포는 얇고 유연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저비용으로 제조가능한 점에서 1회용 제품 예를 들면 기저귀의 루프측 걸어맞춤부재로서 극히 우수하다.

Claims (10)

  1. 권축을 갖는 열융착성 복합단섬유를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다음의 (ⅰ)∼(ⅳ)의 요건:
    (ⅰ) 부직포 표면의 비엠보스영역이 엠보스영역에 둘러싸이도록 섬형상으로 존재하고;
    (ⅱ) 비엠보스영역의 부피밀도가 0.01∼0.10g/cm3이고:
    (ⅲ) 비엠보스영역의 저면부는 원형환산으로 평균직경이 2∼8mm의 면적을 갖고 : 및
    (ⅳ) 비엠보스영역이 부직포면의 100cm2당 80∼800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엠보스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권축을 갖는 열융착성 복합단섬유를 80%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부직포.
  3. 제2항에 있어서,
    권축을 갖는 열융착성 복합단섬유 100%로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부직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위무게가 20∼100g/m2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부직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융착성 복합단섬유의 권축수가 10∼20개/인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부직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엠보스영역면으로부터 비엠보스영역의 정상부에 이르는 높이가 0.3m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부직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비엠보스영역간의 거리가 0.5∼5.0mm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부직포.
  8.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항에 기재된 부직포로 된 면패스너용 재료.
  9. 권축을 갖는 열융착성 복합단섬유를 80%이상 포함하는 웹을 열엠보스 처리해서 부직포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부직포 표면에 형성되는 비엠보스영역이 엠보스영역에 둘러싸인 섬형상으로 존재하도록 엠보스 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그 비엠보스영역의 최대 직경이 열융착성 복합단섬유의 섬유길이보다도 짧도록 비엠보스영역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엠보스 부직포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열융착성 복합단섬유의 권축수가 10∼20개/인치이고 권축율이 5∼20%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엠보스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20010005054A 2001-02-02 2001-02-02 걸어맞춤 기능을 갖는 부직포 KR20020064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054A KR20020064519A (ko) 2001-02-02 2001-02-02 걸어맞춤 기능을 갖는 부직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054A KR20020064519A (ko) 2001-02-02 2001-02-02 걸어맞춤 기능을 갖는 부직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519A true KR20020064519A (ko) 2002-08-09

Family

ID=3748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054A KR20020064519A (ko) 2001-02-02 2001-02-02 걸어맞춤 기능을 갖는 부직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451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377A (ko) * 2001-05-30 2002-12-06 주식회사 라크인더스트리 기저귀 허리밴드 고정용 루프부직포의 제조방법
KR20030059988A (ko) * 2002-01-05 2003-07-12 주식회사 라크인더스트리 흡수, 확산기능이 우수한 부직포 및 제조방법
KR20030059987A (ko) * 2002-01-05 2003-07-12 주식회사 라크인더스트리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루프 부직포 및 제조방법
KR100977384B1 (ko) * 2007-12-10 2010-08-2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결합용 루프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8584A (ko) * 2017-03-07 2019-10-18 가부시키가이샤 즈이코 부형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146056B1 (ko) * 2019-05-29 2020-08-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377A (ko) * 2001-05-30 2002-12-06 주식회사 라크인더스트리 기저귀 허리밴드 고정용 루프부직포의 제조방법
KR20030059988A (ko) * 2002-01-05 2003-07-12 주식회사 라크인더스트리 흡수, 확산기능이 우수한 부직포 및 제조방법
KR20030059987A (ko) * 2002-01-05 2003-07-12 주식회사 라크인더스트리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루프 부직포 및 제조방법
KR100977384B1 (ko) * 2007-12-10 2010-08-2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결합용 루프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8584A (ko) * 2017-03-07 2019-10-18 가부시키가이샤 즈이코 부형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146056B1 (ko) * 2019-05-29 2020-08-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5847B1 (en) Nonwoven fabric having engaging function
JP3255917B2 (ja) 再締結自在の締結装置用不織雌部品およびその製法
KR100263794B1 (ko) 재고착가능한 고착 장치용 다층 암형 부재 및 그의 제조 방법
JP3877842B2 (ja) 面ファスナー用雌材の製造方法
JP3181195B2 (ja) 表面に凹凸を有する不織布と面ファスナー雌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6332250B1 (en) Mechanical fastener
EP1184016B1 (en) Absorbent article employing surface layer with continuous filament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CN102008158B (zh) 用于紧固件包容元件的无纺网
US7981822B2 (en) Hook and loop fastener device
JP4988357B2 (ja) ループファブリック
MXPA02009208A (es) Material no tejido compuesto para sistemas mecanicos de cierre, metodo para su produccion y su uso.
KR100666255B1 (ko)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EP1181873A1 (en) Fastener and absorbing article using it
WO2002100207A9 (en) Loop materials for touch fastening
JP3408565B2 (ja) 吸水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64519A (ko) 걸어맞춤 기능을 갖는 부직포
JPH09158022A (ja) 嵩高性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面ファスナー雌材
JPH0446146B2 (ko)
JP2001008713A (ja) 面ファスナ雌材用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47440B2 (ja) 面ファスナー雌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846979B2 (ja) 剥離強力に優れた面ファスナー雌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10807A (ja) 面ファスナ雌材用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081254A (ja) 面ファスナー雌材
JPH1175912A (ja) 面ファスナー雌材
JPH09317A (ja) 面ファスナー雌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