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255B1 -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255B1
KR100666255B1 KR1020017016437A KR20017016437A KR100666255B1 KR 100666255 B1 KR100666255 B1 KR 100666255B1 KR 1020017016437 A KR1020017016437 A KR 1020017016437A KR 20017016437 A KR20017016437 A KR 20017016437A KR 100666255 B1 KR100666255 B1 KR 100666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loop
nonwoven fabric
long fiber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8908A (ko
Inventor
다카하시도루
Original Assignee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8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03Fastener constructions
    • A44B18/0011Female or loop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8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in combination with weld-bond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1/00Non-woven pile fabrics
    • D04H11/08Non-woven pile fabrics formed by creation of a pile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non-woven fabric without addition of pile-forming material, e.g. by needling, by differential shri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회용 수술복이나 1회용 기저귀 등의 1회용 물품에 사용하는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는 열가소성 장섬유(A)로 형성되고, 열가소성 장섬유(A) 상호간이 융착하여 이루어진 열융착부가 점형상으로 산재되어 이루어진 부직포 기체와 열가소성 장섬유(B)로 형성된 장섬유 웹이 적층 일체화되어 있고, 열가소성 장섬유(B)는 부직포 기체를 관통하여 부직포 기체 표면상에서 루프를 형성하고, 이 루프가 면 패스너 루프재의 걸어맞춤부가 되고, 루프가 형성되어 있는 루프면의 반대측의 비루프면에 있어서, 열가소성 장섬유(B) 상호간은 실질적으로 고착되어 있지 않아 유연성 및 통기성이 우수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NONWOVEN FABRIC FOR USE IN FEMALE MEMBER OF HOOK-AND-LOOP FASTE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하고 버리는 기저귀나 1회용 수술복 등의 1회용 물품에 사용하는 간편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면 패스너는 루프 또는 아치형의 걸어 맞춤부를 갖는 루프재와, 루프재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추는 버섯 형상 또는 갈고리 형상의 돌기물을 갖는 후크재로 형성되어, 의류, 일용품, 내장재, 산업자재를 비롯하여 여러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그 사용의 간편함으로부터 1회용 물품에도, 필요 충분한 패스너 특성을 갖는 면 패스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1회용 물품에 사용하는 면 패스너는, 수회의 걸어맞춤에 견딜 정도의 내구성이나 걸어 맞춤 강도를 가지면 좋고, 특히 면 패스너 루프재로서는 수술복, 기저귀 커버, 기저귀 등의 본체를 구성하는 직물을, 그대로 면 패스너 루프재로 하고 있다. 즉, 직물겸 면 패스너 후크재가 되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것으로서 이하와 같은 면 패스너 루프재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ⅰ) 주름부를 갖는 장섬유 부직포를 면 패스너 루프재로서 사용하고, 주름부를 걸어 맞춤부로 하는 것(일본 특개평6-33359호 공보), (ⅱ)섬유 웹을 니들 펀치하여 한쪽면에 다수의 루프를 형성시키고, 다른 면의 구성 섬유 상호간을 접착성 물질로 고정 부착시켜 이루어진 부직포를 면 패스너 루프재로서 사용하여, 루프를 걸어 맞춤부로 하는 것(일본 특개평7-171011호 공보), 또한 (ⅲ) 섬유웹을 니들 펀치하여 한쪽면에 다수의 루프를 형성시키고, 다른 면의 구성 섬유 상호간을 열융착에 의해 고정 부착시켜 이루어진 부직포를 면 패스너 루프재로서 사용하여, 루프를 걸어 맞춤부로 하는 것(일본 특개평9-317호 공보)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ⅰ)의 주름부를 걸어 맞춤부로 하는 면 패스너 루프재에서는 후크재와의 걸어 맞춤시에, 충분히 걸어 맞춤 강도를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ⅱ)나 (ⅲ)의 것은 루프를 걸어 맞춤부로 하는 것으로, 후크재와의 걸어 맞춤시에 충분한 걸어 맞춤 강도를 발휘하는 것이다. 그리고, 비루프면에 있어서, 구성섬유 상호간이 접착성 물질로 고정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열 융착에 의해 고정 부착되어 있으므로, 면 패스너 루프재를 수회 반복하여 사용해도 그 형태 안정성이 뛰어난 것이다. 그러나, 이 면 패스너 루프재를 직물 겸용으로 했을 때에는 면 패스너 루프재가 직접 피부에 닿는 경우가 많고, 비루프면에서의 고정 부착은 이하와 같은 결점을 야기한다. 즉, 면 패스너 루프재에 거칠고 딱딱한 감을 주어 피부 감촉이 나쁘고 피부를 상하게 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이 고정 부착에 의해 구성섬유 상호간의 틈이 막혀 통기성이 저하되므로, 피부 장해를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회용 물품에 사용했을 때 필요한 형태 안정성과 걸어 맞춤 강도를 갖고, 또한 직물겸용 면 패스너 루프재로서 사용했을 때에도 거칠고 딱딱한 감이 적고 통기성이 양호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구성 섬유 상호간을 열 융착하여 이루어진 열 융착부가 점 형상으로 산재되어 이루어진 부직포 기체(基體)와, 구성 섬유 상호간이 고정 부착되어 있지 않은 장섬유 웹을 교묘하게 조합함으로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열가소성 장섬유(A)로 구성되고,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A)의 연화 또는 용융에 의해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A) 상호간을 열융착하여 이루어진 열융착부가 점형상으로 산재되어 이루어진 부직포 기체와, 열가소성 장섬유(B)로 구성된 장섬유 웹이 적층 일체화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의 일부가, 상기 부직포 기체를 관통하여 상기 부직포 기체 표면상에서 루프를 형성하고 있는 루프면을 가짐과 동시에, 열가소성 장섬유(A)와 열가소성 장섬유(B)가 교락되어 있고, 상기 루프면의 반대측의 비루프면에서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 상호간은 실질적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외의 변형예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부직포 기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부직포 기 체는 열가소성 장섬유(A)로 구성되어 있다. 열가소성 장섬유(A)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폴리아미드계 장섬유, 폴리올레핀계 장섬유 등이 사용된다. 또한, 바람직한 것은 고융점 심(core)성분과 저융점 초(sheath)성분으로 이루어진 심초형 복합 장섬유가 사용된다. 이 경우, 심성분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초성분으로서는 심성분보다도 융점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열가소성 장섬유(A) 상호간은 그 자신의 연화 또는 용융에 의해 열융착되고 있다. 열가소성 장섬유(A)가 심초형 복합 장섬유인 경우에는 초성분의 연화 또는 용융에 의해 열융착되고, 열가소성 장섬유(A)가 단일 성분형 장섬유인 경우에는 장섬유 전체가 연화 또는 용융에 의해 열융착되고 있다. 전자의 쪽이, 열융착 후에도 심성분이 섬유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부직포 기체 자신의 인장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열융착부는 점형상으로 산재하고 있다. 점형상으로 산재하고 있는 태양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1 중, "1"은 부직포 기체이고 "2"는 열융착부이다. 열융착부 이외의 부분은, 열가소성 장섬유(A)는 열융착되어 있지 않고 장섬유(A)의 구속점인 열융착부 사이에서 어느 정도의 자유도로 움직일 수 있다.
열융착부의 하나하나의 면적은 0.04∼2㎟인 것이 바람직하고, 열융착부의 총면적율은 부직포 기체 전체의 면적에 대하여 2∼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융착부의 하나하나의 면적이 0.04㎟ 미만이고 총면적율이 2% 미만이면, 열 융착부를 갖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후크재와의 수회의 걸어 맞춤으로, 루프가 탈락하기 쉬우며 보풀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생긴다. 한편, 열융착부의 하나하나의 면적이 2㎟를 초과하고 총면적율이 50%를 초과하면, 부직포 기체의 강도가 커지므로 얻어지는 루프재의 형태 안정성은 충분한 것이 되지만 유연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부직포 기체의 눈금은 10∼1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눈금이 10g/㎡미만이 되면, 단위 면적당의 섬유량이 적어지고 부직포 기체를 관통한 루프를 누르는 효과가 저하되는 경향이 생긴다. 또한, 면 패스너 루프재의 형태 안정성도 저하되는 경향이 생긴다. 한편, 눈금이 130g/㎡을 초과하면 필연적으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 전체의 눈금이 증가하므로, 거칠고 딱딱한 감을 갖는 경향이 생기고 또한 비용이 높아진다.
부직포 기체의 두께는 4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400㎛를 초과하면 부직포 기체를 관통하여 부직포 기체 표면상에 형성되는 루프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후크재와의 걸어 맞춤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생긴다.
또한, 부직포 기체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장섬유(A)의 섬도는 임의이지만, 일반적으로 1∼15 데시텍스(이하, dtex라고 한다)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장섬유 웹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장섬유(B)보다도 가는 섬도인 것이 좋다. 그 편이 치밀한 부직포 기체를 얻기 쉬워지고, 부직포 기체를 관통한 루프를 누르는 효과가 한층 더 향상된다.
한편, 장섬유 웹은 열가소성 장섬유(B)가 단순히 집적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부직포 기체의 경우와 같이 열융착부를 갖지 않는 것이다. 열가소성 장섬유(B)로서는 열가소성 장섬유(A)의 경우와 동일하게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폴리아미드계 장섬유, 폴리올레핀계 장섬유 등이 사용된다. 또한, 바람직한 것은 고융점 심성분과 저융점 초성분으로 이루어진 심초형 복합장섬유가 사용된다. 이 경우, 심성분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초성분으로서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열가소성 장섬유(B)는 열가소성 장섬유(A)와 상용성인 것, 예를 들어 동종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용성의 것이면, 양자간에서 미끄러지기 어렵고 부직포 기체를 관통한 열가소성 장섬유(B)를 부직포 기체 중의 열가소성 장섬유(A)에 의해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루프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열가소성 장섬유(B)의 섬도는 1∼15dtex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것은 5∼10dtex이다. 섬도가 5dtex 미만인 경우, 후크재를 걸어 맞추는 루프가 되는 열가소성 장섬유(B)의 강도가 너무 약해지므로, 후크재를 루프재에 걸어 맞춘 후, 박리시에 루프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장섬유(B)가 용이하게 절단되어, 반복 사용에서의 내구성 및 걸어 맞춤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니들 펀치에 의해 루프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펀치바늘의 관입(貫入)에 의한 마찰 등에 의해 열가소성 장섬유(B)가 파단되기 쉽고, 루프재로서 충분한 걸어 맞춤 강도를 갖는 루프의 형성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발생한다. 한편, 15dtex를 초과하면 열가소성 장섬유(B)의 강도는 충분하지만 루프의 강성이 커지므로, 후크재와 걸어 맞추어지기 어려워져 걸어 맞춤력에 차이가 발생하는 고르지 못한 걸어 맞춤이라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장섬유 웹의 눈금은 1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g/㎡ 이상인 것이 보 다 바람직하다. 10g/㎡ 미만이면 후크재와 걸어 맞추는 루프의 수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생긴다. 눈금의 상한은 적절하게 선택하면 좋지만, 비용이나 유연성의 점으로부터 100g/㎡ 정도이면 좋다.
장섬유 웹 중의 열가소성 장섬유(B)의 일부는 부직포 기체를 관통하고 부직포 기체 표면상에서 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모식적으로 도시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장섬유 웹(3) 중의 열가소성 장섬유(B)가 부직포 기체(1)를 관통하여 부직포 기체(1) 표면상에서 루프(4)(루프(4)는 현실보다도 과장하여 크게 도시한 것이다.)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열가소성 장섬유(B)는 상대적으로 부직포 기체(1)의 열융착부(2)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많이 관통하고 열융착부(2)로부터는 관통하기 어렵다. 이것은 열융착부(2) 이외의 부분에서는 부직포 기체(1) 중의 열가소성 장섬유(A)가 어느 정도의 자유도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열가소성 장섬유(B)의 일부는 루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지만 그 밖에는 부직포 기체 중의 열가소성 장섬유(A)와 교락하고 있다. 이 교락도, 열융착부(2) 이외의 부분에서 열가소성 장섬유(A)가 어느 정도의 자유도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열가소성 장섬유(B)와 열가소성 장섬유(A)의 교락으로 부직포 기체(1)와 장섬유 웹(3)이 보다 강하게 일체화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루프(4)가 형성되어 있는 면을 루프면이라고 말하고, 루프면의 반대측에서 루프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 즉 장섬유 웹측의 면을 비루프면이라고 한다.
비루프면은 장섬유 웹을 구성하고 있는 열가소성 장섬유(B)로 이루어진 것이지만, 이 비루프면에서 열가소성 장섬유(B) 상호간은 실질적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 지 않는 것이다. 즉, 열가소성 장섬유(B) 상호간에 접착제가 부여되고 접착제에 의해 고정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열가소성 장섬유(B) 자체의 연화 또는 용융에 의해 고정 부착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비루프면에서 열가소성 장섬유(B) 상호간이 고정 부착되어 있으면 면 패스너 루프재에 거칠고 딱딱한 감이 생기고 통기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관한 면 패스너 후크재용 부직포는 열가소성 장섬유(A) 상호간을 열융착하여 이루어진 열융착부가 점형상으로 산재되어 이루어진 부직포 기체를 사용하고, 주로 열융착부 이외로부터 장섬유 웹 중의 열가소성 장섬유(B)를 관통시키고 루프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이 루프의 근원은 부직포 기체 중의 열가소성 장섬유(A)에 끼인 상태로 되어 있고, 이 열가소성 장섬유(A)는 적어도 열융착부에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루프는 어느 정도 고정되어 있고 1회용 물품의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로서는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는 부직포 기체로서 열 융착부를 가진 것을 사용하므로, 열융착부를 가지지 않은 기체에 비해 인장강도가 높다. 따라서,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비루프면에 접착제를 부여하거나 또는 구성섬유 상호간을 열융착하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거칠고 딱딱한 감이 적어지고, 통기성이 양호해지므로 직물겸용 면 패스너 루프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루프를 더욱 고정하기 위해, 또 부직포 기체와 장섬유 웹의 적층 일체화를 보다 강고하게 하기 위해, 부직포 기체와 장섬유 웹이 압착된 열압착 구역을 설치해도 좋다. 열압착 구역은 루프면측 및 비루프면측으로부터 억압가열 하고 열가소성 장섬유(A) 및 열가소성 장섬유(B)를 연화 또는 용융시킨 후 고화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따라서, 열압착 구역에서 루프는 연화 또는 용융에 의해 그 형태를 잃으므로, 전체를 열압착 구역으로 할 수는 없고, 반드시 압착되어 있지 않은 비열압착 구역을 남겨 두지 않으면 안된다. 도 3은 열압착 구역이 설치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5"가 열압착 구역이고 "6"이 비열압착 구역이다. 열압착 구역(5)에서는 이미 루프(4)는 존재하지 않고 비열압착 구역(6)에서 루프(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루프(4)는 현실 보다도 크게 도시되어 있는 것은 도 2의 경우와 동일하다.
비열압착 구역은 열압착 구역으로 둘러싸이고 또한 비열압착 구역은 복수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열압착 구역이 열압착 구역으로 둘러싸여 있는 편이 비열압착 구역에서의 루프가 탈락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가령 루프가 탈락하여 보풀 형상이 된 경우에도 이에 수반되는 열가소성 장섬유(B)의 탈락을 열압착 구역에서 멈출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비열압착 구역의 수는 하나는 아니고 복수이며, 가능한 작은 구획으로 분할되어 있는 편이 상기한 효과를 한층 더 현저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하나하나의 비열압착 구역의 면적은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5∼3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열압착 구역의 면적이 5㎟ 미만이면 하나하나의 루프면이 작아지는 점으로부터, 후크재와의 충분한 걸어 맞춤을 얻을 수 없는 경향이 생긴다. 반대로, 비열압착 구역의 면적이 350㎟를 초과하면 루프가 빠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생긴다. 또한, 비열압착 구역의 총면적은 전체면적에 대하여 4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열압착 구역의 총면적이 40% 미만이 되면, 루프면의 면적이 작아지고 후크재와의 걸어 맞춤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작아져 충분한 걸어 맞춤을 얻을 수 없는 경향이 된다. 한편, 비열압착 구역의 총면적이 90%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열압착 구역이 적어지고 열가소성 장섬유(B)의 고정이 불충분해져 루프가 빠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발생한다.
열압착 구역과 비열압착 구역의 형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도 4∼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도 4는 열압착 구역이 벌집(honeycomb)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예이다. 도 5는 열압착 구역이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예이다. 도 6은 종선과 횡선이 서로 다르게 배열된 직목(織目)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예이다. 도 7은 네변 형태의 열압착 구역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예이다. 도 4 및 도 5는 복수의 비열압착 구역이 연속된 열압착 구역으로 둘러싸인 것의 예이고, 도 6은 비열압착 구역이 열압착 구역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은 예이다. 또한, 도 7은 복수의 비열압착 구역이 열압착 구역으로 둘러싸인 것이지만, 열압착 구역이 연속되고 있지 않은 것의 예이다.
본 발명에 관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는 형태 안정성이나 루프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그 전체에 약간의 바인더 수지를 함침해도 좋다. 즉,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에 거칠고 딱딱한 감을 주지 않는 정도이고, 또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통기성을 저해하지 않는 정도의 바인더 수지를 전체에 함침해도 좋다. 따라서, 이 바인더 수지의 함침은 비루프면에 선택적으로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에 부여되는 것이다.
바인더 수지로서는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부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등의 모노머를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원하는 몰비로 공중합한 공중합체나 이 공중합체가 가교제에 의해 가교되어 있는 가교형 바인더 수지 등, 일반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면 좋다. 단, 기저귀 등과 같이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1회용 물품에,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사용용도에 맞춘 선택이 필요하다.
바인더 수지의 부착량으로서는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질량에 대해서 1∼15질량%가 바람직하고, 특히 1∼1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바인더 수지의 역할은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형태 안정성 향상과 루프의 빠짐 방지이므로, 부착량이 1질량% 미만이면 거의 효과가 없다. 한편, 15질량%를 초과하면,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가 거칠고 딱딱한 것이 되거나, 통기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눈금은 20∼15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눈금이 20g/㎡ 미만이면 직물로서의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생기고, 또한 루프재와의 걸어 맞춤을 반복하면 변형되기 쉬운 경향이 생긴다. 한편, 눈금이 150g/㎡을 초과하면, 통기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생기고 또한 비용이 높아져, 1회용 물품에 사용하기 어려운 경향이 생긴다.
본 발명에 관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통기도는 80cc/초·㎠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250cc/초·㎠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통기도가 80cc/초·㎠ 미만이면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를 직접 피부에 접촉되는 1회용 물품에 사 용한 경우, 끈적거림이나 발한방해 요인이 되어 피부장해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제조에 있어서, 우선 부직포 기체와 장섬유 웹을 준비한다.
부직포 기체는 종래 공지의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으로 준비해도 좋다. 즉, 열가소성 섬유(A)군을 집적시키고 열가소성 섬유(A)군 상호간을 부분적으로 열융착하고, 열융착부가 점형상으로 산재하여 이루어진 부직포를 준비하면, 그것을 부직포 기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폰본드법을 채용한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순서로 부직포 기체를 얻을 수 있다. 우선, 용융방사법에 의해 열가소성 장섬유(A)군을 인수하면서 이 열가소성 장섬유(A)군을 이동하는 수집 컨베이어 상에 퇴적시켜 장섬유 부직웹을 얻는다.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중합체를 통상의 방사부재에서 용융시켜 실을 뽑아내고, 뽑아내어진 사조(絲條)를 냉각한 후, 에어 서커에서 견인하여 가늘게 하고, 다음에 공지의 방법으로 개섬(開纖 opening)시킨 후, 이동퇴적장치 상에 장섬유 부직웹으로써 퇴적시킨다. 이 때, 웹서커에서 견인할 때의 인수속도는 예를 들어 3000∼6000m/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수속도가 3000m/분 미만이면, 열가소성 장섬유(A)의 분자배향이 충분히 증대되지 않으므로, 얻어지는 열가소성 장섬유(A)의 인장강도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생긴다. 그리고, 그 결과 얻어지는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는 후크재와 박리할 때 늘어나기 쉽고, 또한 형태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생긴다. 한편, 인수속도가 6000m/분을 초과하면 용융방사시의 제사성(製絲性)이 저하되는 경향이 생긴다.
얻어진 장섬유 부직웹에 산재된 점 형상의 부분적 열융착부를 설치하면 부직포 기체가 얻어진다. 열 융착부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는 한쌍의 가열된 요철롤 또는 가열된 요철롤과 평활롤 사이에, 장섬유 부직웹을 통과시킴으로써, 요철롤의 볼록부에 맞닿는 부분의 열가소성 장섬유(A)를 연화 또는 용융시켜 장섬유(A) 상호간을 열융착하는 방법, 부분적으로 구멍이 설치된 판이나 네트를 대고, 그 위로부터 열풍 처리를 실시하여 열풍이 닿는 부분의 열가소성 장섬유(A)를 연화 또는 용융시켜 장섬유(A) 상호간을 열융착하는 방법, 한쌍의 요철롤 또는 요철롤과 평활롤로 이루어진 초음파 융착장치에, 장섬유 부직웹을 통과시킴으로써 요철롤의 볼록부에 맞닿는 부분의 열가소성 장섬유(A)를 연화 또는 용융시켜 장섬유(A) 상호간을 열융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요철롤의 볼록부의 선단면의 면적이나 배설 밀도에 의해, 또한 열풍처리의 경우에는 열풍이 통과하는 판의 구멍이나 네트의 그물코의 크기나 배설밀도에 의해 부직포 기체에 점 형상으로 산재한 열융착부의 형태가 결정된다. 따라서, 볼록부의 형태, 판의 구멍이나 네트의 형태도, 상술한 부직포 기체에서의 열융착부의 형태와 동일하게 볼록부의 선단면의 면적, 판의 구멍 면적 및 네트의 개구 면적이, 0.04∼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요철롤 표면적(볼록부를 무시한 상태에서의 표면적)에 대한 볼록부의 선단면의 총면적 비율 및 판이나 네트의 표면적(구멍을 무시한 상태에서의 표면적)에 대한 구멍의 총면적 비율은 2∼50%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된 요철롤을 사용하는 경우, 가열온도는 열가소성 장섬유(A)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융점 미만의 온도로 하고, 바람직한 것은 융점 미만∼융점보다 60℃ 낮은 온도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장섬유(A)가 저융점 중합체의 초성분과 고융점 중합체의 심성분으로 이루어진 심초형 복합 장섬유인 경우에는, 저융점 중합체의 융점을 기준으로 하여 저융점 중합체의 융점 미만∼융점보다 60℃ 낮은 온도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롤의 가열온도가 융점 이상이면 열가소성 장섬유(A)와 접촉하는 볼록부에, 연화 또는 용융된 중합체가 부착되어,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융점 보다 60℃를 초과하여 낮은 온도가 되면, 롤간의 선압(線壓)에도 기인하지만, 열가소성 장섬유(A) 상호간의 열융착이 불충분해지고 기계적 강도가 낮은 부직포 기체 밖에 얻을 수 없는 경향이 생긴다. 롤간의 선압으로서는 처리를 실시하는 장섬유 부직 웹의 눈금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면 좋지만, 98∼980N/㎝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속도에 대해서는 가열온도 및 롤간의 선압에도 따르지만, 5∼50m/분으로 하는 것이 좋다.
열풍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의 처리온도는 열가소성 장섬유(A)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하고, 바람직한 것은 융점∼융점보다 20℃ 높은 온도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장섬유(A)가 저융점 중합체의 초성분과 고융점 중합체의 심성분으로 이루어진 심초형 복합 장섬유인 경우에는 저융점 중합체의 융점을 기준으로서 실시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부직포 기체가 얻어진다. 한편, 장섬유 웹은 열가소성 장섬유(B)를 집적하면 간단하게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직포 기체를 얻을 때 의 장섬유 부직 웹을 그대로 장섬유 웹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부직포 기체를 얻을 때, 열가소성 장섬유(A) 대신 열가소성 장섬유(B)를 사용하여 장섬유 부직 웹을 얻으면, 그것이 장섬유 웹이 되는 것이다. 또한, 열가소성 장섬유(A)와 열가소성 장섬유(B)를 동일한 것으로 하면 부직포 기체를 얻을 때 제조된 장섬유 부직 웹을, 그대로 장섬유 웹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장섬유 웹과 부직포 기체라는 것은 전자가 장섬유 상호간이 열융착된 열융착부를 갖지 않는 것에 대하여, 후자는 열융착부를 가진 점에서 상이하다.
다음에, 준비된 부직포 기체와 장섬유 웹을 적층하고 장섬유 웹측에서 니들펀치 처리한다. 이에 의해, 장섬유 웹 중의 열가소성 장섬유(B)는 부직포 기체를 관통하고, 부직포 기체 표면상에서 루프를 형성한다. 또한, 열가소성 장섬유(B)는 부직포 기체 중의 열융착부 사이에 존재하는 열가소성 장섬유(A)와 교락하고, 부직포 기체와 장섬유 웹이 보다 강고하게 일체화된다. 이 원리는 이하와 같다. 즉, 장섬유 웹 중의 열가소성 장섬유(B)는 단순히 집적된 상태로서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장섬유 웹과 부직포 기체를 적층한 적층체에 있어서, 장섬유 웹측에서 니들 펀치를 실시함으로써 펀치바늘은 자유도가 높은 장섬유 웹 중의 열가소성 장섬유(B)를 건다. 펀치바늘에 걸린 열가소성 장섬유(B)는 부직포 기체 중의 열융착부 사이를 관통하여 부직포 기체 표면상으로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부직포 기체의 열가소성 장섬유(A)는 열융착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펀치바늘에 걸기 어렵고, 이것은 실질적으로 루프를 형성하지 않는다. 또한, 부직포 기체 중의 열융착부 사이에 존재하는 열가소성 장섬유(A)는 열융착부에서 고정되어 있지만, 그 고정 부분 이외에서는 어느 정도 자유도가 있다. 따라서, 열가소성 장섬유(A)와 열가소성 장섬유(B)가 니들펀치에 의해 교락하여, 부직포 기체와 장섬유 웹이 보다 강고하게 일체화되는 것이다.
니들펀치의 펀치밀도는 사용하는 펀치바늘의 종류나 바늘 심도에 의해 적절하게 설정되지만, 일반적으로 20∼100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펀치밀도가 20회/㎠ 미만이면, 부직포 기체 상에 형성되는 루프의 수가 적어지는 경향이 생긴다. 또한, 열가소성 장섬유(A) 및 열가소성 장섬유(B)의 교락이 불충분해지고, 부직포 기체와 장섬유 웹의 일체화가 그다지 강고하게 되지 않는 경향이 생긴다. 한편, 펀치 밀도가 100회/㎠를 초과하면, 펀치바늘에 의한 열가소성 섬유(A 및 B)의 손상이 심하고 장섬유 자체가 강도가 낮은 것이 되며, 얻어지는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생긴다.
이상의 니들펀치처리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더욱 루프의 탈락방지를 도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열압착 구역 및 비열압착 구역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니들 펀치를 실시한 후의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이 경우에는 전구체이다)를 가열 요철롤과 평활롤 사이에, 루프면이 요철롤에 맞닿도록 통과시킨다. 또는, 적어도 한쪽의 요철롤이 가열된 한쌍의 요철롤로 이루어지고, 각 요철롤의 볼록부가 서로 맞닿도록 배치된 요철롤 사이에, 면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전구체)를 통과시킨다. 이에 의해 볼록부가 맞닿는 구역이 열압착 구역이 되고 오목부에 대응한 구역이 비열압착 구역이 된다.
이 처리 시, 가열 요철롤과 평활롤을 이용하는 경우, 평활롤의 가열 온도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평활롤에 전체 면이 접하는 장섬유 웹에 있어서, 열가소성 장섬유(B)가 열에 의해 연화 또는 용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평활롤의 가열 온도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열가소성 장섬유(B)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융점 255℃ 전후)인 경우는 평활롤의 가열 온도를 160∼180℃ 정도로 하고, 폴리에틸렌(융점 130℃ 전후)인 경우는 평활롤의 가열 온도를 90℃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루프면에 접하는 요철롤은 열가소성 장섬유(A, B)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융점 255℃ 전후)인 경우는 가열 온도를 230∼240℃정도로 하고, 폴리에틸렌(융점 130℃전후)인 경우는 가열 온도를 120℃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섬유 웹에 맞닿는 평활롤의 가열 온도를 저온으로 하는 것은 비열압착 구역에서의 장섬유 웹 중의 열가소성 장섬유(B)가 열에 의한 연화 또는 용융으로 융착하지 않도록 하여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유연성 및 통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평활롤의 가열온도가 상기 온도를 초과하는 높은 온도이면 열가소성 섬유(B)가 용융하여 융착하기 쉬워져 얻어지는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는 거칠고 딱딱한 감이 강해지며 통기성도 저하하는 경향이 생긴다.
요철롤의 볼록부의 높이(조각의 깊이)에 대해서는 1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2mm 이상이다. 볼록부의 높이가 낮아지면 요철롤의 오목부에 루프가 접촉하기 쉬워져 루프가 요철롤의 열의 영향을 받아 용융 접착되거나 찌그러기 쉬워져 후크재와의 접합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된다. 볼록부의 높이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요철롤의 마모나 조각을 위한 비용을 고려하여 3mm 정도이면 좋다.
요철롤의 볼록부의 형상 등은 임의로서 좋다. 볼록부의 형상 등에 따라서 열압착 구역 및 비열압착 구역의 형상 등이 정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비열 압착 구역이 열압착 구역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요철롤로서는 연속된 볼록부와 볼록부에 둘러싸인 오목부를 갖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오목부가 복수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하나의 오목부의 면적은 5mm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요철롤 표면적(볼록부를 무시한 상태에서의 표면적)에 대한 오목부의 총면적은 40∼9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얻어진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또는 루프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마지막에 바인더 수지 부여 공정을 채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를 바인더 수지 용액중에 침지하거나 또는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에 바인더 수지 용액을 분무하고, 그 후 건조시키면 전체에 바인더 수지가 부여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다. 부직포 기체(1)상에 장섬유 웹(3)이 적층되고, 펀치 바늘(7)을 구비한 니들 펀치기에 의해 장섬유 웹(3)측에서 펀치 바늘(7)을 부직포 기체(1)측으로 관통시킨다. 이에 의해 부직포 기체(1) 표면상에 루프가 형성된다. 그 후, 가열 요철롤(8)과 평활롤(9)의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요철롤의 볼록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열압착 구역이 되고, 오목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비열압착 구역이 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1회용 물품에 사용하는데 필요한 형태 안정성과 걸어맞춤 강도를 갖고, 직물 겸용 면 패스너 루프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만, 열압착 구역과 비열압착 구역의 관계를 특별한 것으로 했을 때, 부직포 기체를 사용하지 않아도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비열압착 구역과 하나하나의 비열압착 구역을 둘러싸고, 또 전체가 연속되는 열압착 구역을 설치한 경우, 부직포 기체를 사용하지 않아도 원하는 형태 안정성과 걸어맞춤 강도를 갖는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가 얻어진다.
이와 같은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는 열가소성 장섬유(B)로 구성되고,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 상호간이 교락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 상호간이 열융착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비열압착 구역과 하나하나의 비열압착 구역을 둘러싸는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 상호간이 열융착되어 있는 연속된 열압착 구역을 갖고, 상기 비열압착 구역의 표면은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로 형성된 루프를 갖는 루프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루프면의 반대측의 비루프면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 상호간은 실질적으로 고착되어 있지 않다.
이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는 부직포 기체를 사용하는 상기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에서 상기 부직포 기체를 제외한 것이다. 그리고, 열압착 구역으로서 연속된 형상이고, 또 비열압착 구역을 둘러싸는 형상인 것을 채용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4 및 도 5와 같은 열압착 구역을 채용하면 좋다. 그외 사항은 상기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와 동일하다. 도 9는 이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 포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도면부호 “5”는 열압착 구역이고, “6”은 비열압착 구역이며, 비열압착 구역(6)의 표면에는 루프(4)가 형성되어 루프면으로 되어 있다.
또, 이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제조방법도 부직포 기체를 사용하는 상기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에서 해당 부직포 기체를 제외하면 좋다. 그리고, 가열 요철롤로서, 복수의 오목부와 이 오목부를 둘러싸는 연속된 볼록부를 갖는 것을 사용하면 좋다. 그외의 사항은 상기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단, 부직포 기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장섬유 웹의 눈금은 20g/m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20∼150g/m2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부직포 기체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일례를 도시한 모식적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일례를 도시한 모식적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채용하는 열압착 구역의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채용하는 열압착 구역의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채용하는 열압착 구역의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채용하는 열압착 구역의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제조예를 도시한 모식적 측면도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일례를 도시한 모식적 측면도이다.
실시예 A
실시예 1
[장섬유 웹의 준비]
융점 25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용융 온도 285℃로 방사부재에서 용융 방출했다. 방사 속도 5000m/분으로 에어서커에서 인수하여 연신후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장섬유(B)를 포집 컨베이어상에 퇴적시켜 눈금 35g/m2의 장섬유 웹을 얻었다. 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장섬유(B)의 섬도는 3.3dtex이었다.
[부직포 기체의 준비]
상기 장섬유 웹을 이용하여 이를 230℃로 가열한 요철롤과 상온의 평활롤 사이에 통과시켜 부직포 기체를 얻었다. 부직포 기체중의 열융착부는 점형상으로 산재해 있고, 하나하나의 면적은 0.4mm2이었다. 또, 열융착부의 총면적은 부직포 기체 면적에 대해 10%이고, 부직포 기체의 두께는 250㎛이었다. 또, 부직포 기체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장섬유(A)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장섬유(B)와 동일하다. 또, 부직포 기체의 눈금은 35g/m2이고 그 두께는 250㎛이었 다.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제조]
장섬유 웹과 부직포 기체를 적층하고, 니들 펀칭 기계(바늘:포스터사제, 크라운버브니들)로 니들 펀치 처리를 실시하였다. 니들펀치의 조건은 장섬유 웹측에서 펀치바늘을 관통시켜 펀치 밀도 50회/㎠, 바늘깊이 9mm로 실시했다. 니들펀치 처리 후의 적층체를 230℃로 가열된 요철롤과 200℃로 가열된 평활롤 사이를 통과시켰다. 요철롤의 볼록부의 형상은 도 4에 도시한 벌집형상이고, 벌집형상의 열압착구역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볼록부의 높이는 1.5mm로 했다. 열압착 구역에 둘러싼 하나하나의 비열압착 구역의 면적은 100mm2이고, 비열압착 구역의 총면적은 전체의 면적에 대해 76%이었다. 계속해서, 아크릴계 수지(주식회사 대일본 잉크 화학 공업 제)를 고형분 부착량으로 6질량%가 되도록 함침한 후, 건조시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2
[장섬유 웹의 준비]
융점 25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심성분으로 하고, 융점 125℃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초성분으로 하여 복합 방사 부재에서 용융 방출했다. 그리고, 에어서커에서 인수하여, 연신후의 심초형 복합 장섬유(B)(심 및 초의 복합비는 질량비로 1/1)를 포집 컨베이어상에 퇴적시켜 눈금 30g/m2의 장섬유 웹을 얻었다. 또, 심초형 복합 장섬유(B)의 섬도는 4.4dtex이었다.
[부직포 기체의 준비]
심초형 복합 장섬유의 섬도를 3.5dtex로 하는 것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장섬유 웹을 얻었다. 그리고, 이 장섬유 웹을 이용하여 요철롤의 온도를 120℃로 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 기체를 준비했다. 이 부직포 기체의 눈금은 30g/m2이고, 그 두께는 200㎛이었다.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제조]
장섬유 웹과 부직포 기체를 적층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니들 펀치 처리를 실시하였다. 니들 펀치 처리 후의 적층체를 120℃로 가열된 요철롤과 90℃로 가열된 평활롤 사이를 통과시켜 바인더 수지를 부여하지 않고 그대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를 얻었다. 요철롤의 볼록부의 형상은 도 5에 도시한 격자형상이고, 격자형상의 열압착 구역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볼록부의 높이는 1.5mm로 했다. 열압착 구역에 둘러싸인 하나하나의 비열압착 구역의 면적은 25mm2이고, 비열압착 구역의 총면적은 전체의 면적에 대해 59%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이용한 요철롤의 볼록부의 형상을 성긴 격자형상으로 하고, 열압착 구역에 둘러싸인 하나하나의 비열압착 구역의 면적을 100mm2으로 하여 비열압착 구역의 총면적을 전체 면적에 대해 76%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서 이용한 요철롤의 볼록부의 형상을 도 6에 도시한 직목 형상으로 하고, 비열압착 구역의 총면적을 전체의 면적에 대해 71%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3에서 이용한 부직포 기체를 눈금 55g/m2, 두께 450㎛의 것으로 변경한 것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2에서 이용한 요철롤의 볼록부의 형상을 빽빼한 격자형상으로 하고, 열압착 구역에 둘러싸인 하나하나의 비열압착 구역의 면적을 4mm2으로 하고, 비열압착 구역의 총면적으로 전체의 면적에 대해 44%로 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7
실시예 2에 있어서, 니들 펀치 처리후, 어떤 처리도 실시하지 않고 그대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로 했다.
실시예 8
실시예 3에서 이용한 요철롤의 볼록부의 높이를 2.5mm로 변경하는 것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를 얻었다.
이상의 실시예 A의 실시예 1∼8에서 얻어진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특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 시 예
1 2 3 4 5 6 7 8
압축강연도 cN 127 83 64 49 196 245 49 59
걸어맞춤박리강도 N/㎝ 0.64 0.39 0.29 0.49 0.20 0.10 0.29 0.39
걸어맞춤박리후의 보풀 발생 성질 5 5 4 3 3 4 2 4
통기도 cc./초·㎠ 155 130 160 93 115 82 190 125
5%신장시의 강도 N MD 56.4 49.8 38.6 47.4 61.3 15.1 32.6 55.3
CD 37.6 34.8 24.1 30.2 42.6 39.3 22.2 32.5
상기 표 1중에 도시한 각 특성의 측정방법은 이하와 같다.
(1) 압축 강연도(cN)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로부터 MD방향(기계적 방향) 5㎝×CD방향(기계적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10㎝의 장방형 시료편을 잘라 시료편의 단변과 단변을 맞추고 중앙부를 테이프로 붙여 원통형상의 시료를 작성한다. 시료를 평판상에 세우고 MD방향축으로 수직인 다른 평판으로 눌렀을 때 평판에 걸리는 최대 강도를 주식회사 동양 볼드윈제 텐실론RTM-500으로 압축 속도 50mm/분으로 측정하여 MD방향 압축 강연도로 했다.
잘라낸 시료편의 방향을 변하게 하여 동일한 수법으로 CD방향 압축 강연도를 구했다. MD, CD방향 각각 n=5로 측정하고, 전체 평균값으로 압축 강연도로 하여 유연성의 지표로 했다. 이 값에 대해서는 작을수록 유연성이 우수하고, 196c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147cN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2) 5% 신장시의 강도(N)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에서 CD방향 5㎝×MD방향 30㎝의 장방형의 시험편을 잘라내 상기 텐실론으로 척사이 20㎝, 인장속도 20㎝/분으로 MD방향으로 인장하여 5% 신장했을 때의 강도를 측정하고, 얻어진 결과의 n=5의 평균값으로 하고, 이 값으로 5% 신장시의 강도(MD방향)로 했다. 또, MD방향 5㎝×CD방향 30㎝의 장방형의 시험편을 잘라내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5% 신장시의 강도(CD방향)로 했다. 또 5% 신장시의 강도는 현실적으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 5% 정도 신장되는 것이 많으므로 이 때의 형태 안정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3) 걸어맞춤 박리 강도(N/㎝)
JIS L3416에 기재된 면 패스너의 시험방법에 준해 실시했다. 즉,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로부터 채취한 시료편을 폭 25mm, 길이 100mm로 하고, 동일 크기의 YKK제 머시룸테이프(후크측)와 겹쳐 단부 50mm 길이가 걸어맞춰지도록 24.5N의 철제의 로울러를 이왕복전압(二往復轉壓)하여 걸어맞췄다. 이를 상기 텐실론을 이용하여 붙잡은 간격 10㎝, 인장 속도 30㎝/분으로 박리했다. 강도값은 박리할 때 나타내는 최대값 6점과 최소값 6점의 평균으로 구하고, 또 n=5의 평균을 강도값으로 했다.
(4) 걸어맞춤 박리 강도 측정후의 보풀 발생 성질
걸어맞춤 박리 강도 측정후의 시료편의 루프재 표면(루프면)을 시야로 관찰하고, 루프가 절단되거나 벗겨져 발생된 보풀의 상태를 하기 5단계로 평가했다.
5; 매우 양호
4; 양호
3; 보통
2; 약간 불량
1; 불량
(5) 통기도(cc/초·cm2)
JIS L1096에 의해 측정했다.
실시예 B
실시예 10
융점 25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용융 온도 285℃에서 방사부재에서 용융 방출했다. 방사 속도 5000m/분으로 에어서커로 인수하여 연신후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장섬유(B)를 포집 컨베이어상에 퇴적시켜 눈금 80g/m2의 장섬유 웹을 얻었다. 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장섬유(B)의 섬도는 7dtex이었다.
얻어진 장섬유 웹에 니들 펀칭기구(바늘:포스터사제, 크라운바브니들)로 니들펀치 처리를 실시했다. 니들 펀치의 조건은 장섬유 웹측에서 펀치 바늘을 관통시켜 펀치 밀도 50회/㎠, 바늘 깊이 9mm로 실시했다. 이에 의해 장섬유 웹에는 펀치 바늘의 침입측과 반대면에 다수의 루프가 형성되고, 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장섬유(B) 상호간이 교락되었다.
니들 펀치 처리후의 장섬유 웹을 235℃로 가열된 요철롤과 190℃에 가열된 평활롤 사이에 통과시켰다. 요철롤의 볼록부의 형상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집형상이고, 벌집형상의 열압착 구역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볼록부의 높이는 2.5mm로 했다. 열압착 구역에 둘러싸인 하나하나의 비열압착 구역의 면적 은 85mm2이고, 비열압착 구역의 총면적은 전체 면적에 대해 60%이였다. 계속해서, 아크릴계 수지(주식회사 대일본 잉크 화학공업제)를 고형분 부착량으로 6질량%가 되도록 함침한 후, 건조시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11
융점 25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심성분으로 하고, 융점 125℃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초성분으로 하여 복합 방사부재에서 용융 방출했다. 그리고, 에어서커로 인수하여 연신후의 심초형 복합 장섬유(B)(심 및 초의 복합비는 질량비로 1/1)를 포집 컨베이어상에 퇴적시켜, 눈금 75g/m2의 장섬유 웹을 얻었다. 또, 심초형 복합 장섬유(B)의 섬도는 7dtex이였다.
얻어진 장섬유 웹에 실시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니들 펀치 처리를 실시했다.
니들 펀치 처리후의 장섬유 웹을 125℃로 가열된 요철롤과 120℃로 가열된 평활롤 사이에 통과시켰다. 요철롤의 볼록부의 형상은 도 5에 도시한 격자형상이고, 격자형상의 열압착 구역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볼록부의 높이는 3mm로 했다. 열압착 구역에 둘러싸인 하나하나의 비열압착 구역의 면적은 25mm2이고, 비열압착 구역의 총면적은 전체 면적에 대해 59%이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를 얻었다. 또 이 예에서는 바인더 수지의 부여는 실시하지 않았다.
실시예 12
장섬유 웹의 눈금을 75g/m2로 한 것, 사용하는 요철롤을 성긴 격자형상으로 한 것, 요철롤의 온도를 95℃로 한 것외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를 얻었다. 또, 요철롤을 성긴 격자형상으로 한 것에 의해 하나하나의 비열압착 구역의 면적은 100mm2이 되고, 비열압착 구역의 총면적은 전체의 면적에 대해 62%가 되었다.
이상의 실시예 B의 실시예 10∼12에서 얻어진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특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압축강연도(cN) 142 123 74
걸어맞춤 박리강도(N/㎝) 0.74 0.55 0.63
걸어맞춤 박리후의 보풀 발생 성질 5 5 4
통기도(cc/초·㎤) 129 125 143
5%신장시의 강도(N) CD 36.9 32.8 22.3
또, 압축 강연도, 걸어맞춤 박리 강도, 걸어맞춤 박리 후의 보풀 발생 성질 및 통기도의 측정방법은 실시예 A의 경우와 동일하다.

Claims (11)

  1. 열가소성 장섬유(A)로 구성되고,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A)의 연화 또는 용융에 의해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A) 상호간을 열융착하여 이루어진 열융착부가 점형상으로 산재되어 이루어진 부직포 기체(基體)와 열가소성 장섬유(B)로 구성된 장섬유 웹이 적층 일체화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의 일부가 상기 부직포 기체를 관통하여 상기 부직포 기체 표면상에서 루프를 형성하고 있는 루프면을 갖고, 또 열가소성 장섬유(A)와 열가소성 장섬유(B)가 교락(交絡)되어 있고, 상기 루프면의 반대측의 비루프면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 상호간은 실질적으로 고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
  2. 제 1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장섬유(A) 및 열가소성 장섬유(B)의 연화 또는 용융에 의해 상기 장섬유 웹과 상기 부직포 기체가 압착되어 이루어진 열압착 구역과 상기 장섬유 웹과 상기 부직포 기체가 압착되어 있지 않은 비열압착 구역을 갖고, 상기 비열압착 구역의 표면이 루프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열압착 구역의 표면은 루프면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
  3.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비열압착 구역과 하나하나의 상기 비열압착 구역을 둘러싸는 열압착 구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
  4. 제 3 항에 있어서,
    하나하나의 비열압착 구역의 면적은 5mm2이상이고, 비열압착 구역의 총면적은 전체 면적에 대해 4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장섬유(A 및/또는 B)가 고융점 심성분과 저융점 초성분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심초형 복합 장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
  6. 열가소성 장섬유(A)로 구성되고,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A)의 연화 또는 용융에 의해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A) 상호간을 열융착하여 이루어진 열융착부가 점형상으로 산재되어 이루어진 부직포 기체와 열가소성 장섬유(B)로 구성된 장섬유 웹을 적층한 후, 상기 장섬유 웹측에서 니들펀치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의 일부를 상기 부직포 기체측에서 관통시키고, 상기 부직포 기체 표면상에서 루프를 형성시켜 루프면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A)와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를 교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에 기재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7. 열가소성 장섬유(A)로 구성되고,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A)의 연화 또는 용융에 의해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A) 상호간을 열융착하여 이루어진 열융착부가 점형상으로 산재되어 이루어진 부직포 기체와 열가소성 장섬유(B)로 구성된 장섬유 웹을 적층한 후, 장섬유 웹측에서 니들펀치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의 일부를 상기 부직포 기체측으로 관통시키고, 상기 부직포 기체 표면상에서 루프를 형성시키고, 또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A)와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를 교락시킨 후, 상기 부직포 기체측이 가열 요철롤에 맞닿고, 상기 장섬유 웹측이 평활롤에 맞닿도록 하여 가열 요철롤과 평활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장섬유 웹과 상기 부직포 기체가 압착되어 이루어진 열압착구역과 상기 장섬유 웹과 상기 부직포기체가 압착되지 않은 비열압착 구역을 설치하여 상기 비열압착 구역의 표면을 루프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항에 기재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요철롤로서 복수의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를 둘러싸는 볼록부를 갖는 것을 이용하여 복수의 비열압착 구역과 하나하나의 상기 비열압착 구역을 둘러싸는 열압착 구역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9. 열가소성 장섬유(B)로 구성되고,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 상호간이 교락되어 이루어진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 상호간이 열융착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비열압착 구역과 하나하나의 비열압착 구역을 둘러싸는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 상호간이 열융착되어 있는 연속된 열압착 구역을 갖고, 상기 비열압착 구역의 표면은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로 형성된 루프를 갖는 루프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루프면의 반대측의 비루프면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 상호간은 고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
  10. 제 9 항에 있어서,
    하나하나의 비열압착 구역의 면적은 5mm2이상이고, 상기 비열압착 구역의 총면적은 전체 면적에 대해 4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
  11. 열가소성 장섬유(B)로 구성된 장섬유 웹에 니들 펀치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 상호간을 교락시키고, 또 상기 장섬유 웹의 표면상에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의 일부에 복수의 루프를 형성시킨 후, 복수의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를 둘러싸는 연속된 볼록부를 갖는 가열 요철롤에 루프 형성면이 맞닿고, 루프 비형성면이 비가열 평활롤에 맞닿도록 하여 가열 요철롤과 비가열 평활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 상호간이 열융착되어 이루어진 연속된 열압착 구역과 상기 열가소성 장섬유(B) 상호간이 열융착되어 있지 않은 비열압착 구역을 설치하여 상기 비열압착 구역의 표면을 루프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9 항에 기재된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20017016437A 2000-04-24 2000-10-26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KR100666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22990 2000-04-24
JP2000122990 2000-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908A KR20020028908A (ko) 2002-04-17
KR100666255B1 true KR100666255B1 (ko) 2007-01-09

Family

ID=18633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437A KR100666255B1 (ko) 2000-04-24 2000-10-26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279348A1 (ko)
KR (1) KR100666255B1 (ko)
WO (1) WO20010806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21847T2 (de) 2001-06-12 2008-05-15 Velcro Industries B.V. Schlaufenmaterialien für klettverschlüsse
US8323435B2 (en) * 2002-07-31 2012-12-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chanical fastening system for an article
US7547469B2 (en) * 2002-12-03 2009-06-16 Velcro Industries B.V. Forming loop materials
WO2004049853A1 (en) * 2002-12-03 2004-06-17 Velcro Industries B.V. Needling through carrier sheets to form loops
DE102004053805B3 (de) * 2004-11-08 2006-08-03 Fibertex A/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eils eines mechanischen Befestigungssystems
CA2643207C (en) * 2006-02-24 2011-10-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fabric for a female component of a fastening system
EP1988793B1 (en) * 2006-02-24 2014-07-09 Mitsui Chemicals, Inc. A nonwoven web for fastener female member
CA2643202C (en) * 2006-02-24 2012-10-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fastening system
US7895718B2 (en) 2007-02-23 2011-03-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stening system
US7789870B2 (en) 2007-02-23 2010-09-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fabric for a female component of a fastening system
US8673097B2 (en) * 2007-06-07 2014-03-18 Velcro Industries B.V. Anchoring loops of fibers needled into a carrier sheet
WO2008154303A1 (en) * 2007-06-07 2008-12-18 Velcro Industries B.V. Needling loops into carrier sheets
DE102008059512A1 (de) * 2008-11-28 2010-06-10 Nordenia Deutschland Gronau Gmbh Verbundstoffelement für einen Klettverschluss
EP2747726B1 (en) 2011-08-25 2015-10-28 Velcro Industries B.V. Hook-engageable loop fastener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9119443B2 (en) 2011-08-25 2015-09-01 Velcro Industries B.V. Loop-engageable fastener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6509506B2 (ja) * 2014-07-09 2019-05-0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面ファスナー用ループ部材及び衛生用品
US9790626B2 (en) 2015-01-30 2017-10-17 Velcro BVBA Needling fibrous webs
US10010142B2 (en) 2015-05-29 2018-07-03 Velcro BVBA Loop fastening material
US9872543B2 (en) 2015-05-29 2018-01-23 Velcro BVBA Loop fastening material
CZ2016250A3 (cs) 2016-05-02 2017-11-29 Pegas Nonwovens S.R.O. Netkaná textilie obsahující tepelně pojitelná vlákna a pojicí vtisky
DE102017109592A1 (de) * 2017-05-04 2018-11-08 Lohmann-Koester Gmbh & Co. Kg Schlaufenmaterial
US11999150B2 (en) * 2019-05-03 2024-06-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webs with one or more repeat uni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1011A (ja) * 1993-12-17 1995-07-11 Japan Vilene Co Ltd 面ファスナー雌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971332B2 (ja) * 1994-07-08 1999-11-02 大和紡績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雌材
US5656351A (en) * 1996-01-16 1997-08-12 Velcro Industries B.V. Hook and loop fastener including an epoxy binder
JP3877842B2 (ja) * 1997-03-05 2007-02-07 ユニチカ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用雌材の製造方法
JP2000041712A (ja) * 1998-07-27 2000-02-15 Seihou:Kk 面ファスナー用雌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79348A1 (en) 2003-01-29
KR20020028908A (ko) 2002-04-17
WO2001080680A1 (fr)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255B1 (ko) 면 패스너 루프재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US7156937B2 (en) Needling through carrier sheets to form loops
EP0937420B1 (en) Female component for touch and close faste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53130B1 (ko) 일회용 물품 또는 의류에 사용되는 루프 앤드 후크 형 체결부재용 루프 물질
JP3877842B2 (ja) 面ファスナー用雌材の製造方法
US6647600B1 (en) Hook and loop fastener for flat materials
AU748531B2 (en) Loop material, its manufacture, and its use in products
US20060217022A1 (en) Spunlaced loop material for a refastenable fastening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same
WO2010150611A1 (ja) 表面凹凸構造を有する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製品
JP4191364B2 (ja) 面ファスナ雌材用不織布の製造方法
JP3134709B2 (ja) 面ファスナー雌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920943B (zh) 环紧固材料
JP3727792B2 (ja) 嵩高不織布または不織布積層体およびその熱接着方法
JP4147440B2 (ja) 面ファスナー雌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847378B (zh) 环紧固材料
JP2004081254A (ja) 面ファスナー雌材
JPH09317A (ja) 面ファスナー雌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85403A (ja) 面ファスナ―雌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010807A (ja) 面ファスナ雌材用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31857A (ja) 積層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41762A (ja) 積層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28640A (ja) 自動車用成形天井材
JP2000245507A (ja) 面ファスナー雌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