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4338A -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용 내균열성 밸브 판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용 내균열성 밸브 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4338A
KR20020064338A KR1020027007377A KR20027007377A KR20020064338A KR 20020064338 A KR20020064338 A KR 20020064338A KR 1020027007377 A KR1020027007377 A KR 1020027007377A KR 20027007377 A KR20027007377 A KR 20027007377A KR 20020064338 A KR20020064338 A KR 20020064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s
rectangle
lines
slide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5837B1 (ko
Inventor
로트푸스한스
보이스데퀸빈센트
Original Assignee
비수비우스 크루서블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24393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6433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비수비우스 크루서블 컴패니 filed Critical 비수비우스 크루서블 컴패니
Publication of KR20020064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22D41/28Plat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7036Jacke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Sliding Valve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4)의 원(C)에 외접하는 출탕 구멍(3)이 마련되어 있는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용 내열 판(1)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판(1)의 변(15, 16, 17, 18) 중 적어도 일부는 스로틀링 영역과 상기 출탕 구멍 둘레에 클램핑력을 최적으로 집중시키도록 각도상 배향되어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용 내균열성 밸브 판{CRACK RESISTANT VALVE PLATE FOR A SLIDE GATE VALVE}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는 통상적으로 제강 및 다른 야금학적 공정에서 용금의 유동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러한 밸브는 일반적으로 지지 프레임과, 용금의 흐름을 안내하는 턴디쉬(tundish) 또는 레이들 노즐(ladle nozzle)과 정렬하는 오리피스가 있는 상부 고정 밸브 판과, 이와 마찬가지로 금속 안내 오리피스가 있고 상기 상부 고정 밸브 판 아래에서 미끄럼식으로 가동하는 스로틀 판을 구비한다. 연속 주조 몰드와 함께 사용되는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에 있어서, 상기 가동 스로틀 판 바로 아래에는 하부 고정 밸브 판이 설치되며, 이 하부 고정 밸브 판은 상기 상부 고정 밸브판의 오리피스와 거의 정렬되어 있는 흐름 안내 오리피스를 구비한다. 용금의 유량은 미끄럼식 가동 스로틀 판의 오리피스와 상부 고정 밸브 판의 오리피스의 중첩도에 종속된다. 가동 스로틀 판은 일반적으로 고정 스로틀 판 보다 더 긴데, 이는 자체 오리피스의 앞쪽과 뒤쪽에 있는 변(edge) 양측으로부터의 용금흐름에 대한 스로틀링 능력과, 자체 오리피스를 고정 스로틀 판의 오리피스와의 중첩으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나게 하는 것에 의한 흐름 차단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 스로틀 판은 유압 연결 장치에 의해 고정 밸브 판들 사이에서 미끄럼식으로 조작된다.
스로틀 밸브 판과 고정 밸브 판은 하부 오목부와 상부 오목부에 각각 장착되며, 이 판들은 각각 지지면으로 되는 표면을 통해 오목부에 휴지(休止)하고, 미끄럼 또는 작용 표면으로 되는 표면을 매개하여 타방의 것과 협동한다.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의 스로틀 밸브 판과 고정 밸브 판 양자는 예컨대 알루미늄 산화물, 알루미나 탄소, 지르코늄 산화물 등의 내열성 및 내식성 내화물로 성형된다. 그러나, 그러한 내화물의 내열성 및 내식성에도 불구하고, 최종적으로 겪는 심한 열기계적 응력으로 어느 정도의 균열이 발생된다. 예를 들면, 제강할 때, 각 밸브 판은 자신의 흐름 안내 오리피스를 직접 둘러싸고 있는 영역에서는 온도가 약 1600℃이지만, 자신의 외연부에서는 단지 대기 온도이다. 결과적인 큰 열구배(熱句配)는 다량의 열기계적 응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는 오리피스를 직접 둘러싸고 있는 각 밸브 판의 영역이 그 나머지 영역보다 실질적으로 더 빠른 속도로 팽창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응력은 밸브 판의 오리피스로부터 외측으로 전파하는 균열을 형성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균열이 전파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어떤 조치도 취하지 않는 경우, 균열은 항상 밸브 판의 외연부로 확장할 수 있고, 밸브 판을 파괴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균열이 전파하여 밸브 판이 결국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행기술에서는 여러 가지 해결 방안이 개발되어 왔다. 첫번째 시도로써, 개량된 클램핑 기구가 고안되었다. 이 기구는 밸브 판의 주위에 충분한 압력을 가해 오리피스에서 진행하는 균열이 밸브 판의 연부로 전파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 기구 중의 하나는 웨지(wedge)의 각도에 여각인 각도로 끝이 잘린 판의 모서리에 맞물리는 나사 작동식 웨지를 구비한 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러한 시스템은 문헌 DE-C2-3,522,134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프레임과 웨지형 클램핑 기구는 진전을 이룬 것이지만,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구조에 충분한 균열 지연 포텐셜을 얻을 수 없게 하는 몇 가지 단점이 있다는 것에 주목했다. 일반적으로, 클램핑력은 최대량의 균열이 일어나는 곳에, 즉 최대량의 열기계적 응력이 존재하는 오리피스 근처에 균일하게 집중되지 않는다. 더욱이 출원인은 일반적으로 그 판에서 방향 설정된 끝이 잘린 모서리의 각도가 이전에 생각했던 바와 같이 균열의 전파를 최적으로 방지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처럼 최적으로 되지 못한 것은 균열이 오리피스 둘레에 360°로 균일하게 분포된 상태로 형성되지 않고, 그 대신 고정형이나 가동형의 모든 밸브 판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편의되는 데에 원인이 있다. 판 오리피스 둘레에서의 균열의 이와 같은 비대칭 분포는 고정 밸브 판의 전면을 가로지른 스로틀 판의 길이 방향 미끄럼 작용의 결과로 발생하는 것이라고 믿어진다.
미국 특허 제5,626,164호에는 균열 억제 밸브 판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판의 형상은 균열의 형성과 전파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판은 축선과, 이 축선을 따라 배치되어 용금을 안내하는 오리피스와, 이 오리피스 근처에서 클램핑력을상기 축선 쪽으로 집중시키는 끝이 잘린 모서리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끝이 잘린 모서리 각각은, 상기 오리피스의 접점과의 사이에서 연장하여 상기 축선과 교차하며, 또 상기 오리피스의 폭의 절반과 동일한 거리만큼 변에서 떨어져 있는 수렴하는 판의 변에 대해 평행하게 그려진 선의 교차점을 통과하는, 선에 직교한다.
이 해결 방안에 대한 변형 형태가 문헌 WO-A1-98/05451에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판의 변들 사이의 각도가 판의 수명을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626,164호의 해결 방안은 이전에 알려진 것에 비해 현저하게 진보한 것이지만, 본 출원인은 판 형상을 계속해서 최적화하려고 노력하였다. 분명, 어떠한 균열의 확장을 최대한 늦추기 위해 균열이 생기기 가장 쉬운 판의 영역에서 클램핑력을 최적으로 집중시키는 형상의 밸브 판이 요청되고 있다. 이상적으로는, 모서리에서 원하지 않는 기계적 국소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피하기에 충분한 길이가 모서리에 제공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용금(鎔金)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용 밸브 판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열기계적 응력으로 생긴 균열에 저항성이 있는 밸브 판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판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은 선행 기술과 관련된 모든 단점을 극복하거나 적어도 개선하는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 또는 미국 특허 제5,626,164호에 개시된 판의 성능과 적어도 동일한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에 사용하는 내균열성 밸브 판 조립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금을 안내하는 오리피스, 즉 출탕 구멍이 마련된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용 내열 판에 관한 것이다. 이 오리피스는 원형인 것이 가장 흔하고, 더 일반적으로 말하면 소정 직경(Φ)의 원(C)에 외접한다.
상기 판은 두 변이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에 있는 판의 미끄럼 경로에 대해 평행한 직사각형(R)에 외접할 수 있다. 이 직사각형(R)은 가장 긴 대칭 축선으로 정의되고 판의 우선 미끄럼 경로와 일치하는 길이 방향 축선을 포함한다. 그러나, 우선 미끄럼 경로라는 개념은 본 발명에 따른 판에 고유한 특성이고, 이러한 판은 최적 방향 또는 우선 방향이 아닌 방향을 따라 게이트 밸브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이해해야 한다.
구조 목적상, 상기 직사각형(R)은 원(C)의 중심에서 교차하는 두 수직선에 의해 4개의 사분면으로 나누어지며, 이 두 수직선은 각각 짧은 변 및 긴 변에 대해 팽행하다. 각 사분면에는 교차하는 대각선이 있는데, 즉 대각선(D1, D'1, D''1, D'''1)은 원(C)의 중심을 직사각형(R)의 모서리에 연결하고, 대각선(D2, D'2, D''2, D'''2)은 원(C)의 중심에서 교차하는 수직선의 인접한 교차선을 직사각형(R)의 변과 연결한다.
출탕 구멍은 판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지만, 가장 흔하게는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편의하고 있어서 스로틀링이 더 긴 영역에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출탕 구멍은 길이 방향 축선에 수직하는 축선을 따라 약간 편의할 수 있다.
판은 균열의 형성과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클램핑력을 오리피스 근처와 스로틀링 영역 쪽으로 집중시키도록 각도상 배향된 변--끝이 잘린 직사각형(R) 모서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변들 중 적어도 일부는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 출탕 구멍에서 가장 먼(따라서 스로틀링 영역에 가장 가까운) 변이 이 변을 포함한 사분면의 대각선(D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 출탕 구멍에 가장 가까운(따라서 스로틀링 영역에서 가장 먼) 변은 이 변을 포함한 사분면의 대각선(D1)에 수직한 선, 이를 포함한 사분면의 대각선(D2), 및 전술한 선들 사이에 포함된 선 중 하나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는 두 방향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경우, 그 방향은 ±5°로 평행하다는 의미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실제, 본 출원인은 그와 같은 판 형상이 클램핑력을 판의 다른 두 영역에 최적으로 집중시킨다는 것을 측정하였다. 한편, 스로틀링 영역이 압축 상태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그 영역에서 균열의 발생이 방지되며, 다른 한편 출탕 구멍의 주위도 역시 압축 상태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출탕 구멍으로부터 발생한 균열의 전파가 방지된다.
본 출원인은 새롭게 설계된 판이 매우 유리하다는 것을 알았다. 첫째, 균열이 훨씬 적게 관찰되었다. 둘째, 균열이 여전히 발생하더라도 판의 변까지 전파하지 않으므로, 공기 침입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판이 적절한 클램핑 장치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경우,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허용 가능한 영역에서 발생할 뿐이다. 다시 말해서, 균열은 스로틀링 영역에서 발생하지도 않고, 출탕 구멍 및 이에 가장 가까운 변들 사이의 영역에서 직접 발생하지도 않는다.
상기 판은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대칭으로 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판은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대칭으로 되지 않는다. 이러한 비대칭으로, 판은 단지 상부 오목부에 있는 한 지점과 하부 오목부에 있는 한 지점에장착될 수 있을 뿐이므로, 판을 재순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판이 한 지점에서 다른 한 지점으로 통과하는 동안 판의 지지면은 미끄럼 또는 작용 표면으로 된다.
판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단지 4개의 변을 가질 수 있지만, 예각을 피하기 위해 더 많은 변을 가질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 여분의 변은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및/또는 수직하게 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이 다각형이어야 한다는 것은 필수 사항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와 반대로, 판 둘레에 클램핑 밴드가 사용되는 경우, 그러한 클램핑 밴드는 기계적인 국소 응력-이 힘은 균열으로 바뀔 수 있다-을 인접한 변에 의해 형성된 꼭지점에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모서리를 둥글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단지 변들 중 일부가 상기 정의를 만족시킨다. 변들 중 나머지는 상기 일부의 변과 만나는 곡선으로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변의 이행 반경(transition radius)으로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도면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가리키며, 본 발명은 턴디쉬에서 몰드까지 또는 레이들에서 턴디쉬까지 용금이나 다른 금속의 흐름을 제어하는 데에 이용되는 형태의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에사용하는 밸브 판(1)에 관한 것이다.
상기 판(1)에는 용금을 출탕하기 위한 오리피스 또는 출탕 구멍(3)이 있다. 이 출탕 구멍(3)은 중심(4)을 가진 원(C)에 외접한다. 도 1은 출탕 구멍이 원형이 아닌 판을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출탕 구멍(3)이 원(C)에 상당하는 판을 보여주고 있다. 직사각형(R)은 도 1과 도 2에서 관찰할 수 있다. 이 직사각형(R)에 판(1)이 외접하고,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에서 판의 미끄럼 경로에 평행한 변을 가지고 있다.
구조적으로, 원(C)의 중심(4)에서 교차하면서 직사각형(R)의 짧은 변과 긴 변에 평행한 2개의 수직선(5, 6)을 그리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들 수직선은 직사각형(R)의 4개의 사분면을 형성한다. 각각의 사분면에는 교차 대각선이 있는데, 대각선 D1, D'1, D''1 및 D'''1은 원(C)의 중심(4)을 직사각형(R)의 4개의 모서리(7, 8, 9, 10)에 연결하고, 대각선 D2, D'2, D''2 및 D'''2은 수직선(5, 6)의 인접한 교차선(11, 12, 13, 14)을 직사각형(R)의 변과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의 변은 특히 스로틀링 영역에서 클램핑력을 집중시키록 되어 있고, 다시 말해서 출탕 구멍(3)에서 가장 먼, 따라서 스로틀링 영역에 가장 가까운 변(15, 16)은 적어도 이 변을 포함한 사분면의 대각선(D2, D'2)에 평행하고 (클램핑력이 가해지는) 부분을 가진다.
도 1과 도 2 양자에서, 변들 중 적어도 일부(15)는 대각선(D2)에 평행하고, 변들 중 적어도 일부(16)는 대각선(D'2)에 평행하다. 도 1에서는 변(15, 16)의 전체가 대각선(D2, D'2)에 대해 평행하지만, 도 2에서는 변(15, 16) 중 단지 일부만대각선(D2, D'2)에 대해 평행하다.
특히 출탕 구멍(3) 둘레에 클램핑력을 집중시키도록 되어 있는 판의 변, 즉 출탕 구멍(3)에 가장 가까운 변(17, 18)이 이를 포함한 사분면의 대각선(D''1, D'''1)에 수직하게, 다른 말로 바꾸면 대각선(D''1, D'''1)에 수직하는 것으로 형성된 방향(19, 20)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는 대각선(D''1, D'''1)에 각각 수직하는 도 2의 변(17, 18) 양자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이 변(17, 18)은 이를 포함한 사분면의 대각선(D''2, D'''2)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것은 대각선(D'''2)에 대해 평행한 도 1의 변(18)에 대해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다.
다른 변형 형태에서, 변(17, 18)은 전술한 두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향하게 될 수 있다.
변(15, 16, 17, 18)은 서로 접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결 대각선(D2, D'2, D''2, D'''2)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 판(1)을 형성한다. 확실히 기계적인 응력을 피하기 위해서, 그러한 뾰족한 형상을 가진 모서리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변(15, 16, 17, 18)은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변들은 직선에 의해 분리될 수 있고, 이 직선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변에 대해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이 변들은 이행 곡선에 의해 분리된다.
도 2에서, 변(15, 16)과 변(17, 18)은 이행 반경(21, 22)에 의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수 매개 변수는 변(15, 16, 17, 18)의 배치 방향인데, 이 방향은 균열을 피하기 위해 클램핑력을 집중시키는 방식을 결정한다. 출탕 구멍(3)에 대한 변의 위치, 즉 개개의 대각선(D1, D'1, D''1, D'''1)과 나란한 변(15, 16, 17, 18)의 위치는 그 기준과 관련하여 덜 중요하다. 그러나 변(15, 16, 17, 18)은 뾰족한 형상의 모서리로 인한 기계적인 응력을 피하기 위해 너무 길게 되지 않고, 필요한 곳에 클램핑력을 충분하게 집중시키기 위해 너무 짧게 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로틀링 영역에 가장 가까운 변, 즉 변(15, 16)(또는, 이의 연장선)는 직사각형(R)의 짧은 변 길이의 1/8 ∼ 3/8 범위와 5/8 ∼ 7/8 범위로 각각 이루어진 영역에서 직사각형(R)의 짧은 변을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건은 판의 다른 변(즉, 출탕 구멍에 가장 가까운 변)에 대해서도 덜 중요하며, 변(17, 18)(또는, 이의 연장선)는 직사각형(R)의 짧은 변 길이의 1/10 ∼ 9/10 범위로 이루어진 영역에서 직사각형(R)의 짧은 변을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판이 구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 판이 외접하는 직사각형(R)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판이 규칙적이지 않는 경우, 이것이 일반적인 경우인데, 그 판이 외접하는 직사각형은 무수히 많다. 그러나 판이 외접하고 판의 우선 경로에 대해 평행한 변을 가진 직사각형(R)은 단지 하나 뿐이다. 이러한 판의 우선 경로는 쉽게 찾을 수 있다. 실제, 판에 대한 전술한 구성 원리에 따르면, 출탕 구멍에서 가장 멀리 있는 변에서는, 판(1)의 변들 중 적어도일부(15, 16)가 직사각형(R)의 사분면의 대각선(D2, D'2)에 대해 평행해야만 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변들 중 일부가 교차할 때까지 연장되는 경우, 그 연장된 변(15, 16)이 교차하는 꼭지점을 가진 섹터가 형성된다. 이 섹터는 대각선(D2, D'2)과 이의 꼭지점(11)으로 형성된 섹터와 유사하다.
다른 한편, 적어도 한 쌍(그러나, 종종 무수한 쌍)의 평행선(E1, E2)이 있는데, 하나(E1)는 출탕 구멍(3)이 외접하는 원(C)의 중심(4)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E2)는 출탕 구멍(3)에서 멀리 있는 판의 변에 접하고 있다. 각 쌍의 평행선(E1, E2)에 대하여, 출탕 구멍(3)이 외접하는 원(C)의 중심(4)을 포함하고 두 평행선(E1, E2)에 수직하는 것은 단지 1개의 평행선(E3) 뿐이다.
마지막으로, 이들 평행선(E1, E2, E3)의 조합 중에서, E1과 E3가 판을 구성하는 데에 사용된 수직선(5, 6)과 일치하도록 하는 경우는 단지 한 가지 뿐이다. 결론적으로, 전술한 섹터의 꼭지점이 (이행으로) 평행선(E2, E3)의 교차점으로 옮겨진 경우, 전술한 섹터를 형성하는 평행선은 대각선(D2, D'2)과 일치하고 이 평행선(E2, E3)의 교차점이 꼭지점(11)과 일치하도록 하는 것은 이 평행선(E2, E3)의 가능한 배치 방향 중에서 단지 하나 뿐이다. 구성 원리에 따라, 평행선(E1)을 가진 대각선(D2, D'2)은 판의 경계선에서 또는 판의 외측에서 교차하지만, 판의 내측에서는 결코 교차하지 않는다. 이러한 배치 방향으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선(5, 6)[또는 (E1, E2)]에 대해 평행한 변을 가진 직사각형(R)을 그리는 것은 쉽다.

Claims (6)

  1. 중심(4)의 원(C)에 외접하는 출탕 구멍(3)이 있는,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용 내열 판(1)으로서, 상기 판(1)은 직사각형(R)에 외접하며, 상기 직사각형의 두 변은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의 판(1)의 우선 미끄럼 경로에 대해 평행하며, 상기 직사각형(R)은 상기 원(C)의 중심(4)에서 교차하는 2개의 수직선(5, 6)에 의해 4개의 사분면으로 나누어지며, 이들 수직선(5, 6)은 상기 직사각형(R)의 짧은 변과 긴 변에 대해 각각 평행하며, 각각의 사분면에는 교차 대각선이 있으며, 상기 교차 대각선(D1, D'1, D''1, D'''1)은 원(C)의 중심(4)을 직사각형(R)의 모서리에 연결하고, 상기 교차 대각선(D2, D'2, D''2, D'''2)은 원(C)의 중심(4)에서 교차하는 수직선의 인접한 교차선을 직사각형(R)의 변과 연결하는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용 내열 판(1)에 있어서,
    상기 판(1)의 변(15, 16, 17, 18) 중 적어도 일부는,
    - 상기 출탕 구멍(3)에서 가장 먼(따라서 스로틀링 영역에 가장 가까운) 변(15, 16)이 각각 이 변을 포함한 사분면의 대각선(D2, D'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 상기 출탕 구멍(3)에 가장 가까운(따라서 스로틀링 영역에서 가장 먼) 변(17, 18)은, 이 변을 포함한 사분면의 대각선(D''1, D'''1)에 수직한 선(19, 20), 이 변을 포함한 사분면의 대각선(D''2, D'''2), 및 상기 선(19, 20) 사이에 포함된 선 중 하나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용 내열 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은 이의 우선 미끄럼 경로에 대해 대칭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용 내열 판.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변(15, 16) 또는 이의 연장선은 상기 직사각형(R)의 짧은 변의 길이의 1/8 ∼ 3/8 범위, 5/8 ∼ 7/8 범위로 각각 이루어진 영역에서 상기 직사각형(R)의 짧은 변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용 내열 판.
  4. 청구항 1 내지 3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변(17, 18) 또는 이의 연장선은 상기 직사각형(R)의 짧은 변의 길이의 1/10 ∼ 9/10 범위로 이루어진 영역에서 상기 직사각형(R)의 짧은 변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용 내열 판.
  5. 청구항 1 내지 4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변(15, 16)은 이행 곡선으로, 바람직하게는 이행 반경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용 내열 판.
  6. 청구항 1 내지 5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변(17, 18)은 이행 곡선으로, 바람직하게는 이행 반경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용 내열 판.
KR10-2002-7007377A 1999-12-10 2000-12-05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용 내균열성 밸브판 KR100485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870258.3 1999-12-10
EP99870258 1999-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338A true KR20020064338A (ko) 2002-08-07
KR100485837B1 KR100485837B1 (ko) 2005-04-28

Family

ID=824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377A KR100485837B1 (ko) 1999-12-10 2000-12-05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용 내균열성 밸브판

Country Status (35)

Country Link
US (1) US6814268B2 (ko)
EP (1) EP1239982B1 (ko)
JP (1) JP4907820B2 (ko)
KR (1) KR100485837B1 (ko)
CN (1) CN1111105C (ko)
AR (1) AR026741A1 (ko)
AT (1) ATE249901T1 (ko)
AU (1) AU766300B2 (ko)
BR (1) BR0016296A (ko)
CA (1) CA2393674C (ko)
CU (1) CU23068A3 (ko)
CZ (1) CZ295635B6 (ko)
DE (1) DE60005397T2 (ko)
DK (1) DK1239982T3 (ko)
EA (1) EA003203B1 (ko)
EG (1) EG22307A (ko)
ES (1) ES2203537T3 (ko)
GC (1) GC0000156A (ko)
HR (1) HRP20020446B1 (ko)
HU (1) HU226019B1 (ko)
MA (1) MA25510A1 (ko)
MX (1) MXPA02005757A (ko)
MY (1) MY127044A (ko)
NO (1) NO336786B1 (ko)
NZ (1) NZ519446A (ko)
PL (1) PL196476B1 (ko)
PT (1) PT1239982E (ko)
SI (1) SI1239982T1 (ko)
SK (1) SK286622B6 (ko)
TR (1) TR200302143T4 (ko)
TW (1) TW555944B (ko)
UA (1) UA72568C2 (ko)
WO (1) WO2001041956A1 (ko)
YU (1) YU39202A (ko)
ZA (1) ZA20020406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998B1 (ko) * 2006-11-06 2008-06-09 조선내화 주식회사 슬라이드 게이트용 밸브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26315B (en) * 2001-03-06 2003-04-01 Vesuvius Crucible Co Process for repairing a crack resistant valve plate and plate so repaired
JP3942029B2 (ja) 2003-06-27 2007-07-11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ロータリーノズル用煉瓦体
JP4456363B2 (ja) * 2003-12-16 2010-04-28 東京窯業株式会社 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用プレート
EP1870183A1 (fr) * 2006-06-19 2007-12-26 Vesuvius Group S.A Plaque réfractaire, jeu de plaques réfractaires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plaque réfractaire pour utilisation dans un dispositif de changement de plaque
WO2008116055A1 (en) * 2007-03-22 2008-09-25 Vesuvius Crucible Company Crack resistant plate
WO2013048658A1 (en) * 2011-09-28 2013-04-04 Pdk Llc Improved valve plate assembly for a molten metal slide gate valve
KR101520038B1 (ko) * 2014-02-06 2015-05-1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라이드 게이트 및 슬라이드 게이트용 밸브판
TWI717455B (zh) 2016-01-25 2021-02-01 比利時商維蘇威集團股份有限公司 滑動閘閥板、金屬殼及滑動閘閥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013402U1 (de) 1980-05-17 1980-08-21 Martin & Pagenstecher Gmbh, 5000 Koeln Schieberplatte fuer schieberverschluesse
US4573616A (en) 1982-05-24 1986-03-04 Flo-Con Systems, Inc. Valve, clamp, refractory and method
DE3432613C1 (de) 1984-09-05 1985-05-02 Didier-Werke Ag, 6200 Wiesbaden Feuerfeste Platte fuer Schieberverschluesse an metallurgischen Gefaessen
JPH07185781A (ja) * 1993-12-28 1995-07-25 Toshiba Ceramics Co Ltd スライドゲートプレート
JP2731725B2 (ja) 1994-08-25 1998-03-25 東芝セラミックス株式会社 再生スライドゲートプレート
JP2954493B2 (ja) * 1994-12-12 1999-09-27 品川白煉瓦株式会社 スライドバルブのプレート煉瓦固定機構
US5626164A (en) * 1995-08-02 1997-05-06 Vesuvius Crucible Company Crack resistant valve plate assembly for a molten metal slide gate valve
CN1078114C (zh) * 1996-08-05 2002-01-23 斯托品克股份公司 用于在含有熔融金属的容器的出口处的滑动闸阀的耐火板和夹持装置
WO1998054511A1 (en) 1997-06-02 1998-12-03 Hooper Ben L Christmas tree sta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998B1 (ko) * 2006-11-06 2008-06-09 조선내화 주식회사 슬라이드 게이트용 밸브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1239982E (pt) 2004-02-27
US6814268B2 (en) 2004-11-09
CZ20021861A3 (cs) 2003-05-14
HRP20020446B1 (en) 2005-04-30
EP1239982A1 (en) 2002-09-18
NO20022720L (no) 2002-08-08
SI1239982T1 (en) 2004-02-29
HRP20020446A2 (en) 2004-08-31
MA25510A1 (fr) 2002-07-01
DK1239982T3 (da) 2004-01-26
CA2393674A1 (en) 2001-06-14
NO336786B1 (no) 2015-11-02
CZ295635B6 (cs) 2005-09-14
CN1111105C (zh) 2003-06-11
MXPA02005757A (es) 2002-09-18
WO2001041956A1 (en) 2001-06-14
AU1977301A (en) 2001-06-18
YU39202A (sh) 2004-12-31
TR200302143T4 (tr) 2004-01-21
EA200200539A1 (ru) 2002-10-31
EG22307A (en) 2002-12-31
AR026741A1 (es) 2003-02-26
SK7712002A3 (en) 2003-08-05
EP1239982B1 (en) 2003-09-17
DE60005397T2 (de) 2004-07-15
DE60005397D1 (de) 2003-10-23
SK286622B6 (sk) 2009-02-05
CN1362902A (zh) 2002-08-07
NZ519446A (en) 2003-09-26
MY127044A (en) 2006-11-30
GC0000156A (en) 2005-06-29
JP4907820B2 (ja) 2012-04-04
ZA200204067B (en) 2003-07-30
AU766300B2 (en) 2003-10-16
CA2393674C (en) 2010-02-16
ES2203537T3 (es) 2004-04-16
CU23068A3 (es) 2005-07-19
PL196476B1 (pl) 2008-01-31
ATE249901T1 (de) 2003-10-15
TW555944B (en) 2003-10-01
KR100485837B1 (ko) 2005-04-28
HUP0203464A2 (en) 2003-02-28
US20020189676A1 (en) 2002-12-19
NO20022720D0 (no) 2002-06-07
HU226019B1 (en) 2008-03-28
EA003203B1 (ru) 2003-02-27
PL355759A1 (en) 2004-05-17
JP2003516235A (ja) 2003-05-13
BR0016296A (pt) 2002-08-13
UA72568C2 (uk) 2005-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837B1 (ko)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용 내균열성 밸브판
AU2002238307B2 (en) Process for repairing a crack resistant valve plate
KR20140023966A (ko) 절단 게이트 및 노즐
US5626164A (en) Crack resistant valve plate assembly for a molten metal slide gate valve
US3633654A (en) Pouring nozzle for continuous-casting machine
AU2002238307A1 (en) Process for repairing a crack resistant valve plate
EP0842002B1 (en) Crack resistant valve plate assembly for a molten metal slide gate valve
AU696838C (en) Crack resistant valve plate assembly for a molten metal slide gate valve
WO2008116055A1 (en) Crack resistant plate
KR100365122B1 (ko) 용융금속슬라이드게이트밸브용크랙내성밸브판조립체
RU2171158C2 (ru) Трещиностойкая шиберная пластина и узел трещиностойкой шиберной пластины золотникового шиберного затвора для расплавленного металла
MXPA98000908A (en) Plastic valve resistant silver unit for a valve, sliding gate that is used with metal f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15